KR20230001974U - Variable Patition Device - Google Patents

Variable Pati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74U
KR20230001974U KR2020220000850U KR20220000850U KR20230001974U KR 20230001974 U KR20230001974 U KR 20230001974U KR 2020220000850 U KR2020220000850 U KR 2020220000850U KR 20220000850 U KR20220000850 U KR 20220000850U KR 20230001974 U KR20230001974 U KR 202300019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uxiliary
partition mechanism
panels
variab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8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귀인
Original Assignee
안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귀인 filed Critical 안귀인
Priority to KR2020220000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974U/en
Publication of KR20230001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7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하여 책상이나 식탁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구조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를 가지는 칸막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책상이나 식탁 등의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평면상 십(十)자 형태 또는 티(T)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받침대; 상기 제2패널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받침대; 및 상기 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에 연결되는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design relates to a partition mechanism that is intended to be installed on a desk or dining table for social distancing and has a variable structure that can be changed as needed.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first panel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a table such as a desk or dining table; a second panel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the table so as to form a 10 (十) or T (T) shape in plan with the first panel; a first suppo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so that the first panel can be erected on the table top;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panel so that the second panel can stand upright on the table top; and an auxiliary panel connected to the second panel so as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table.

Description

가변형 칸막이 기구{Variable Patition Device}Variable partition device {Variable partition device}

본 고안은 칸막이 기구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하여 책상이나 식탁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구조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를 가지는 칸막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mechanism, and more specifically, to a partition mechanism having a variable structure that can be changed as needed for installation on a desk or dining table for social distancing.

근래 코로나19 라고 하는 전염병의 창궐에 의해 사회 여러 분야가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방면으로 시행되고 있다. Recently, many areas of society have been seriously affected by the outbreak of an infectious disease called COVID-19. Social distancing is being implemented in many ways as part of effort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하여 도입된 장치 중에 하나가 식당이나 회의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칸막이이다. 책상 또는 식탁에 앉은 사용자 사이를 칸막이를 이용하여 거리적으로 이격시키는 효과를 위하여 칸막이가 사용된다. One of the devices introduced for social distancing is partitions, which are widely used in restaurants and conference rooms. Partitions are used to create distance between users sitting at a desk or table.

칸막이는 보통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테이블 위에 직립될 수 있도록 받침대가 결합되어 있다. The partition is usually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such as acrylic, and is equipped with a stand so that it can stand upright on the table.

그러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종래의 칸막이는 테이블의 평면적과 유사한 넓이를 커버할 따름이다. 사용자는 보통 테이블 밖에 앉아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칸막이를 이용하여 옆자리에 앉은 사람 사이를 완벽하게 분리하기란 매우 어렵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artition installed on the table only covers an area similar to the planar area of the table. Users are usually seated outside the tabl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completely separate people sitting next to each other using a partition.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칸막이가 제안된 바 있다.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부용 책상에 설치되는 칸막이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보통 공부의 집중을 위하여 시야를 가리기 위한 것이므로 비말을 차단하기 위한 것과는 구별된다. Various types of partition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For convenience of portability, a partition installed on a foldable study desk has also been proposed. However, these are usually intended to block the view to concentrate on studying, so they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blocking droplet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38404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3840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296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52967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사회적 거리두리를 위한 것으로서 식당이나 회의실에서 옆에 앉은 사람 간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비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테이블용 칸막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칸막이가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가변될 수 있으며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response to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design aims to provide a partition device for tables to completely separate people sitting next to each other in a restaurant or conference room to block droplets for social distancing.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whose structure can be changed to expand the range of space that the partition can separate, and which can provide a feeling of openness when it is not needed.

위와 같은 목적은, 책상이나 식탁 등의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패널; The above purpose includes: a first panel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a table such as a desk or dining table;

상기 제1패널과 평면상 십(十)자 형태 또는 티(T)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2패널; a second panel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the table so as to form a 10 (十) or T (T) shape in plan with the first panel;

상기 제1패널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받침대; a first suppo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so that the first panel can be erected on the table top;

상기 제2패널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받침대; 및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panel so that the second panel can stand upright on the table top; and

상기 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에 연결되는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This is achieved by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comprising: an auxiliary panel connected to the second panel so as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tabl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패널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패널에서 펼쳐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anel can be unfolded from the second panel in a sliding manner.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패널의 상하단에 바(bar) 형태로 된 가이드홀더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더에는 상기 제2패널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제2패널안착홈과, 상기 보조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홈이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 holders in the form of bars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panel, respectively; The guide holde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anel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panel are inserted, and a rail groove into which the auxiliary panel is slidably seate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패널이 정해진 구간에서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보조패널의 상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가이드홀더의 레일홈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limiting means for allowing the auxiliary panel to slide only in a predetermined section, wherein the limiting means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uxiliary panel; It may include stoppers installed on both edges of the rail groove of the guide holder.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식탁이나 책상의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칸막이 기구에 있어서, 옆에 앉은 사람과의 온전한 분리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보조패널을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없는 경우에는 보조패널을 수납시킴으로써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a partition device installed on a dining table or desk, an auxiliary panel can be installed as needed to completely separate the person sitting next to it, and a sense of openness is secured by storing the auxiliary panel when it is not needed.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is provided that allows this.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패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편리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is provided that allows the auxiliary panel to be conveniently folded or unfolded in a sliding mann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칸막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칸막기 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칸막기 기구의 제2패널과 보조패널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보조패널이 접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보조패널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y diagram of the second panel and the auxiliary panel of the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with the auxiliary panel in a folded stat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with the auxiliary panel in an unfolded state.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다만 필요한 곳에서는 특정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simultaneously. However, where necessary, I will explain by citing specific drawings.

제1패널(10)이 책상이나 식탁 등의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된다. 제2패널(20,30)은 상기 제1패널(10)과 평면상 십(十)자 형태 또는 티(T)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된다. The first panel 10 is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a table, such as a desk or dining table. The second panels 20 and 30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o as to form a cross or T shape in plan with the first panel 10.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패널(10)은 1장이고 제2패널(20,30)이 4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패널(10)이 2장, 제2패널이 2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패널(10)이 2장, 제2패널이 4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2패널은 가로로 설치되는 것과 및 세로로 설치되는 것의 구분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first panel 10 may be composed of one sheet and the second panels 20 and 30 may be composed of four sheets. However, the first panel 10 may be composed of two sheets and the second panel may be composed of two sheets. Furthermore, the first panel 10 may be composed of two panels, and the second panel 10 may be composed of four panels.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panels are simply divided into those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ose installed vertically, and can be assembled and configured in various ways.

제1받침대(11)는 제1패널(10)이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제1패널(10)의 하단에 결합된다. 또한 제2받침대(14)가 제2패널(20,30)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20,3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1,2받침대(11,14)는 여러 개의 단위받침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도 다양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1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10 so that the first panel 10 can stand upright on the table top. Additionally, a second support 14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panels 20 and 30 so that the second panels 20 and 30 can stan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s 11 and 14 may be composed of multiple unit pedestals and may have various shapes.

또한 제1,2패널(10,20)의 상단에는 제1,2패널(10,20)의 고정을 위한 상부홀더(12,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부홀더(12,13) 역시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upper holders 12 and 13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10 and 2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10 and 20. The upper holders 12 and 13 may also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numbers.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기구는 위와 같은 기본적인 칸막이 구조에 더하여 보조패널(40,50)을 더 포함한다. 보조패널(40,50)은 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도록 제2패널(30)의 좌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The parti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uxiliary panels 40 and 50 in addition to the basic partition structure as above.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panel 30 so that they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table.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보조패널(40,5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2패널(30)의 좌우측에서 각각 펼쳐질 수 있게 설치된다. 즉 보조패널(40,50)은 접이식으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unfol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panel 30 in a sliding manner. That is,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are foldable.

보조패널(40,50)의 설치를 위하여 가이드홀더(60,70)가 제2패널(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보조패널(40,50)은 제1,2패널(10,20,30)에 비하여 경량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To install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guide holders 60 and 70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panel 30, respectively.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may be ligh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panels 10, 20, and 30. By reducing the thickness, it can be made lightweight.

가이드홀더(60,7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홀더(60,70)는 바(bar)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2패널(30)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제2패널안착홈(61,71)과 보조패널(40,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홈(62,72)을 가진다. Guide holders 60 and 7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guide holders (60, 70) are in the shape of a bar, and the second panel seating grooves (61, 71) into which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panel (30) are inserted and the auxiliary panels (40, 50) are sliding. It has rail grooves 62 and 72 that can be seated.

가이드홀더(60,70)의 저면에는 테이블 상면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밀착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홀더(60,70)는 접착제로써 테이블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Adhesion pads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guide holders (60, 70) to increase adhesion to the table top surface. In some cases, the guide holders 60 and 70 may be fixed to the table top using adhesiv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보조패널(40,50)이 정해진 구간에서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한수단이 마련된다. 제한수단은 보조패널(40,50)의 상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42)와 가이드홀더(60,70)의 레일홈(62,72)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토퍼(64,74)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miting means is provided to allow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to slide only in a designated section. The limiting means include locking protrusions (41, 42)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uxiliary panels (40, 50) and stoppers (64) installed on both edges of the rail grooves (62, 72) of the guide holders (60, 70). ,74) may be included.

이 스토퍼(64,74)에 의하면 가이드홀더(60,70)는 보조패널(40,50)이 유동하는 주행공간(63,73)을 갖게 된다. 보조패널(40,50)은 이 주행공간(63,73)의 길이만큼만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se stoppers (64, 74), the guide holders (60, 70) have running spaces (63, 73) in which the auxiliary panels (40, 50) move. The auxiliary panels (40, 50) can be slidable only by the length of the driving space (63, 73).

보조패널(40,5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끼울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4는 보조패널(40,50)이 접힌 상태를, 도 2,5는 보조패널(40,50)이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may be provided with hand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user can hang or insert his or her fingers. Figures 1 and 4 show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in a folded state, and Figures 2 and 5 show the auxiliary panels 40 and 50 in an unfolded state,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e things described above are just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using the examples without exceeding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d in the claims. For example, all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freely combin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패널 11 : 제1받침대
12,13 : 상부홀더 14 : 제2받침대
20,30 : 제2패널 40,50 : 보조패널
41,42 : 걸림돌기 60,70 : 가이드홀더
61,71 : 제2패널안착홈 62,72 : 레일홈
63,73 : 주행공간 64,74 : 스토퍼
10: first panel 11: first stand
12,13: Upper holder 14: Second stand
20,30: 2nd panel 40,50: Auxiliary panel
41,42: Stumbling protrusion 60,70: Guide holder
61,71: Second panel seating groove 62,72: Rail groove
63,73: Driving space 64,74: Stopper

Claims (4)

책상이나 식탁 등의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평면상 십(十)자 형태 또는 티(T)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받침대;
상기 제2패널이 상기 테이블 상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받침대; 및
상기 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패널에 연결되는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
A first panel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a table, such as a desk or dining table;
a second panel installed upright on the top of the table so as to form a cross or T shape in plan with the first panel;
a first suppo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so that the first panel can be erected on the table top;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panel so that the second panel can stand upright on the table top; and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comprising: an auxiliary panel connected to the second panel so as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패널에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anel can be unfolded from the second panel in a sliding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30)의 상하단에 바(bar) 형태로 된 가이드홀더(60,7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더(60,70)에는 상기 제2패널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제2패널안착홈(61,71)과, 상기 보조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홈(62,7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Guide holders 60 and 70 in the form of bars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panel 30, respectively;
The guide holders (60, 70) are provided with second panel seating grooves (61, 71) into which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panel are inserted, and rail grooves (62, 72) into which the auxiliary panel is slidably seated.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characterized by be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이 정해진 구간에서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보조패널의 상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42)와;
상기 가이드홀더(60,70)의 레일홈(62,72)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토퍼(64,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3,
It further includes a limiting means for allowing the auxiliary panel to slide only in a predetermined section, wherein the limiting means includes;
Locking protrusions (41, 42)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uxiliary panel;
A variable partition mechanism comprising stoppers (64, 74) installed on both edges of the rail grooves (62, 72) of the guide holders (60, 70).
KR2020220000850U 2022-04-07 2022-04-07 Variable Patition Device KR2023000197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50U KR20230001974U (en) 2022-04-07 2022-04-07 Variable Pati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50U KR20230001974U (en) 2022-04-07 2022-04-07 Variable Pati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74U true KR20230001974U (en) 2023-10-16

Family

ID=8850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850U KR20230001974U (en) 2022-04-07 2022-04-07 Variable Pati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974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04B1 (en) 2013-08-07 2014-09-12 신상순 The polyfunctional partition for a desk
KR101452967B1 (en) 2014-08-01 2014-10-22 광건티앤씨(주) Base for partition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04B1 (en) 2013-08-07 2014-09-12 신상순 The polyfunctional partition for a desk
KR101452967B1 (en) 2014-08-01 2014-10-22 광건티앤씨(주) Base for partition co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182B2 (en) Two person work environment
CA1291201C (en) Modular furniture
JPS6038123B2 (en) Furnishing system
US20070283631A1 (en) Workspace Dividing System
JP2004150255A (en) Private room box
US20160360882A1 (en) Freestanding Desktop Storage Unit for Support of a Privacy Panel
JP6827703B2 (en) Top plate elevating furniture
KR20230001974U (en) Variable Patition Device
US5406893A (en) Work-study carrel
JP3229360U (en) Desktop partition
US10470560B2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KR20040012649A (en) A desk assembly
KR102273918B1 (en) A partition
KR200492758Y1 (en) Desk arrangement structure of reading room
JP3228823U (en)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partition
JP7071578B1 (en) Partitions and partitions
KR100449327B1 (en) desk unit for a reading room
KR20210152658A (en) Table partition for epidemic prevention
JP2019148100A (en) Interior structure of building
JP7464813B2 (en) Table Unit
KR102406875B1 (en) Anti-splash membrane with window using for variable blocking film
KR200384334Y1 (en) Glass holder for desk
KR100374741B1 (en) desk unit for a reading rooom
CA2940479C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JP5672438B2 (en) Furniture with a top board with curt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