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97U -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 Google Patents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97U
KR20230001897U KR2020220000732U KR20220000732U KR20230001897U KR 20230001897 U KR20230001897 U KR 20230001897U KR 2020220000732 U KR2020220000732 U KR 2020220000732U KR 20220000732 U KR20220000732 U KR 20220000732U KR 20230001897 U KR20230001897 U KR 202300018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cleaning tool
head
main wash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7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홍용
Original Assignee
지홍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홍용 filed Critical 지홍용
Priority to KR2020220000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97U/en
Publication of KR20230001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9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3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leaning steps or pallets
    • B08B1/002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조절 가능한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탈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탈부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탭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 중 요홈에 더 접촉하는 메인세척부 및 메인세척부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스텝의 일면에 접촉하는 서브세척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nd more specifically, a head part coupled to one end of an adjustable length handle, at least two coupling parts that are detachable from the head part, and a coupling part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art 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tep of the escalator. It relates to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that includes a main washing part that contacts the groove among the formed unevenness and a sub-cleaning part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wash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cts one surface of the step.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ESCALATOR STEP CLEANING TOOL}Escalator step cleaning tool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요홈부를 청소하는 메인세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돌출된 일면을 청소하는 서브세척부를 형성한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that has a main cleaning part that cleans the groove of the escalator step and a sub-cleaning part that cleans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escalator step.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사람이나 화물이 자동적으로 위, 아래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의 장치로서,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지하철역, 백화점 또는 대형병원 등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어 운행된다.In general, an escalator is a stair-shaped device that allows people or cargo to go up and down automatically, and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public places such as airports, subway stations, department stores, or large hospitals with a lot of traffic.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모터 등이 구비된 구동장치부의 작동에 따라 복수개가 서로 연결 결합된 에스컬레이터 스텝이 한쌍의 난간 사이에서 순환 이동하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중 어느 하나의 스텝을 밟고 있는 사람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In these escalators,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escalator steps move circularly between a pair of handrail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driving device equipped with a motor, etc., so that a person stepping on any one of the steps of the escalator moves to the desired location. do.

한편, 어디를 경유하여 오는지도 모를 수많은 여행객 등 불특정한 다수의 사람들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때,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서는 사람들의 신발에 묻어 있던 오염물질이나 이물질이 떨어지거나 묻게 됨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상면이 더러워지게 된다.Meanwhile,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cluding numerous travelers who do not know where they are coming from, use the escalator, contaminants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ople's shoes fall or become attached to the escalator steps, mak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scalator steps dirty. You lose.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빗자루, 걸레 또는 면봉 등의 청소도구와 화학약품 등으로 이루어진 세정제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하거나, 브러시가 달린 이동식 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escalator step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tuck on the escalator steps, conventionally,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escalator steps were manually removed using cleaning tools such as brooms, mops, or cotton swabs and detergents made of chemicals. Cleaning was carried out by removing or using a portabl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brush.

그러나, 종래의 청소도구와 세정제를 이용하는 수작업으로 에스컬레이터 스텝을 청소하는 경우,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 등의 손실로 인한 작업에 수반되는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cleaning escalator steps manually using conventional cleaning tools and detergents, not only does the work efficiency decrease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work, but the costs associated with the work increase due to the loss of a lot of time, manpower, and money.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브러시가 달린 이동식 청소기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되는 도중에 에스컬레이터 스텝을 청소하는 경우, 단순히 브러시에 결착되는 이물질만을 제거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의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재작업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using a conventional mobile vacuum cleaner with a brush to clean the escalator steps while the escalator is in operation, only foreign substances stuck to the brush can be removed,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work and requires rework. There was.

그리고 운행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바운스로 인해 청소기가 작업위치에서 이탈되어 작업시간 내내 작업자가 청소기의 손잡이를 잡고 청소기의 작업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the bounce of the running escalator steps caused the vacuum cleaner to deviate from its working position, creating an inconvenient problem in which the worker had to hold the vacuum cleaner's handle and fix the vacuum cleaner's working position throughout the working hour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583호(2014.04.23. 등록)인 '청소효율이 증가된 에어 재순환 타입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장치'를 살펴보면, 후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흡진모터가 구비된 모터케이스와 후면에 미세먼지필터가 설치되고 흡진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을 내부 포집망으로 포집하는 포집하우징과 포집하우징의 후방과 양측에 구성되고 미세먼지필터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재순환하는 에어라인을 포함하는 본체, 본체와 연결 설치되되, 흡진호스를 통하여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진구와 배출호스를 통하여 재순환된 에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하부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결착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브러시케이스, 흡진구와 포집하우징을 연결하여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포집하우징으로 유입시키는 흡진호스 및 배출구와 에어라인을 연결하여 에어라인을 통해 재순환된 에어를 배출구로 보내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한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look at Korea Patent No. 10-1390583 (registered on April 23, 2014), 'Air recirculation type escalator step cleaning device with increased cleaning efficiency', which is attached to the rear and has an absorption motor inside. A fine dust filte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otor case, and a collection housing is installed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collection housing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ked inside by the operation of the absorption motor with an internal collection net, and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fine dust filter is installed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collection housing. A main body containing a recirculating air li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with an exhaust port tha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from the escalator steps through an exhaust hose and an outlet that discharges the recirculated air through an exhaust hose, so that foreign substances adhere to it. A brush case containing a brush, a suction hose that connects the suction port and the collection housing to allow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to flow into the collection housing, and an exhaust hose that connects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line to send recirculated air through the air line to the outlet.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이러한 종래기술은 작업자가 장시간 스텝의 상면을 누를 필요 없어 안전하고 편리하나, 진공청소기와 같이 단순히 흡입하는 원리에 의해 누적된 오염물질 및 세균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is prior art is safe and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workers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for a long tim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move accumulated contaminants and bacteria by simply suctioning like a vacuum cleaner.

또한, 장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치거나 일부부품을 교체하는 동안 사용할 수 없고, 무거운 중량으로 이동 시 불편한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if the equipment breaks down, it cannot be used while repairing or replacing some parts, and the heavy weight causes inconvenience when moving.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94847호(2022.01.05.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Office No. 20-0494847 (registered on 2022.01.0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요홈부를 청소하는 메인세척부와 메인세척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는 서부세척부를 형성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돌출된 일면을 청소하는 새로운 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ain washing part that cleans the grooves of the steps of the escalator and a western washing part that is formed with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washing part and forms a step, so that the protruding parts of the steps of the escalator are formed. We provide a new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that cleans the entire surface.

또한,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메인세척부에 결합되는 구획돌기부가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지지하게 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is provided in which a flange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supports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sub-washing unit, and a partition protrusion coupled to the main washing unit supports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sub-washing uni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is desig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길이조절 가능한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된 헤드부;A head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an adjustable length handle;

상기 헤드부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탈착되는 결합부;At least two coupling parts detachable from the head part;

상기 결합부에 탈부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탭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 중 요홈에 더 접촉하는 메인세척부; 및A main washing unit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unit and further contacts the groove among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ep of the escalator; and

상기 메인세척부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텝의 일면에 접촉하는 서브세척부를 포함하는A sub-wash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wash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step.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를 제공한다.Escalator step cleaning tools are provid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may be b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along one longitudinal side and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supporting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sub-cleaning uni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면의 단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면에 밸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체결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의 타단이 상기 고리에 결합된 후, 상기 밴드부의 일면에 접촉하여 부착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fastening holes formed on both unidirectional sides of on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 ban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Velcro formed on both sides,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And after a ring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nd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portion is coupled to the ring,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attach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band por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결합하여 상기 헤드부의 하면을 구획하는 구획돌기부; 및 상기 메인세척부의 일면에 상기 구획돌기부에 결합되는 체결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돌기부는 상기 메인세척부로 인가되는 응력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부에 상기 메인세척부가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artition protrusion portion that partitions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by coupling at least one protrus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a fastening groove coupled to the partition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the main washing unit, wherein the partition protrusion allows the main washing unit to be firmly positioned on the head in response to stress applied to the main washing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구획돌기부는 상기 메인세척부의 단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여 상기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protrus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unidirectional length of the main washing part to suppor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shing par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척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브러시패드; 상기 브러시패드의 상면이 상기 밴드부에 탈부착되게 밸크로가 형성된 브러시밸크로; 및 상기 브러시패드의 하면이 상기 스텝의 요흠에 대응하여 형성된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leaning unit includes a brush pa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Brush Velcro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rush pad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band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rush pad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cavo-convex portion of the step.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서브세척부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세척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며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서브패드; 및 상기 서브패드의 상면이 상기 밴드부에 탈부착되게 밸크로가 형성된 서브패드밸크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cleaning part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art, and is formed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washing part to form a step and one side is formed flat. subpa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ad may further include a sub-pad velcro formed with velcro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ad is detachable from the band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는 메인세척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는 서부세척부를 형성하여 메인세척부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요홈부로 진입하여 청소하는 동안 서브세척부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돌출된 일면을 청소하게 하여 보다 깨끗한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main cleaning part to form a western washing part forming a step, so that while the main cleaning part enters the groove of the escalator step and cleans it, the sub cleaning part protrudes from the step of the escalator.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cleaner cleaning by cleaning only one side.

또한,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메인세척부에 결합되는 구획돌기부가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지지하게 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상층부 및 하층부 각각 청소시 서브세척부의 변형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supports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washing unit, and the partition protrusion coupled to the main washing part supports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sub-washing unit, thereby deforming the sub-washing unit when clean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of the escalator, respectively.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는 브러시패드의 일면이 구획돌기부에 결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리거나 수분이 점진적으로 제거되면서 일방향으로 더욱 밀리는 것을 지지하여 브러시패드의 변형을 줄여줌으로써, 청소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rush pad is coupled to the partition protrusion to support being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escalator step or further pushed in one direction as moisture is gradually removed,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brush pad. By reducing this, there i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leaning effec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는 밸크로로 이루어진 결합부로 인해 청소가 완료된 메인세척부 및 서브세척부를 분리하여 세척하고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보다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cleaning the steps of the escalator more hygienically by separating the main cleaning part and sub-cleaning part after cleaning and reusing them immediately due to the coupling part made of Velcro. there i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의 결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로 청소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cleaning with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when explain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in 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의 결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로 청소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 1 exploded, and Figure 3 is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cleaning with a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bottom of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bottom vie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10)는 헤드부(100), 결합부(200), 메인세척부(300) 및 서브세척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100, a coupling part 200, a main washing part 300, and a sub washing part 400. do.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10)는 길이조절 가능한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된 헤드부(100), 헤드부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탈착되는 결합부(200), 결합부에 탈부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탭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 중 요홈에 더 접촉하는 메인세척부(300) 및 메인세척부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스텝의 일면에 접촉하는 서브세척부(4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0 coupled to one end of a length-adjustable handle, an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head portion. A detachable coupling part 200, a main washing part 300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art and is in further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unevennes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p of the escalator, and a main washing part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washing part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step. Includes a sub-washing unit 4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헤드부(100)는 헤드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상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head part 100 is formed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a handle whose length is adjust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to adjust the length to the user's desired length. It can be adjusted and used.

또한, 헤드부(100)는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철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손잡이로 누르더라도 파손될 위험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portion 100 is made of plastic, polycarbonate, iron, or metal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even when pressed with a handle.

이로 인해, 무게가 가벼워 복수의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청소하기 위해 휴대하고 이동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it is light in weight and can be carried and moved to clean the steps of multiple escalators.

또한, 헤드부(100)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양측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를 형성하거나, 짧은 길이를 형성하여 보다 강도 높게 눌러서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100 can be cleaned by form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both sides of the steps of the escalator, or by forming a short length and pressing it with more intensity.

특히, 헤드부(100)는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브세척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플랜지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ead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110 that is bent at a right angle along one longitudinal side and supports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sub-washing unit 400.

일례로, 에스컬레이터를 타기위한 발판에 인접한 스텝은 소정거리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텝에 헤드부(100)를 위치시켜 청소하는 경우 서브세척부(400)가 스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끌려 헤드부(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부(1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steps adjacent to a platform for riding an escalator are formed flat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cleaning by placing the head unit 100 on such a step, the sub-cleaning unit 400 may be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p moves and become separated from the head unit 100. To prevent this, it is desirable to form a flange portion 110.

또한, 헤드부(100)는 상면에 나선결합부(120)를 더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ead portion 100 may further have a spiral coupling portion 120 formed on its upper surface.

즉, 나선결합부(120)는 헤드부(100)의 상면에 한 쌍의 나선홀이 형성되고, 나선홀에 대응하여 손잡이의 하단에 나선홀에 연통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판부재가 형성된다. 그리고 나선홀과 결합홀이 서로 연통하게 배치한 후,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나선결합되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piral coupling portion 120 has a pair of spiral 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and a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iral hole at the bottom of the handl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holes. Then, the spiral hole and the coupling hole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n are spirally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coupling member.

한편,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헤드부(100)의 상면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결합체는 생략하였다. 이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4847호(2022.01.05. 등록)의 회전부의 구성에 손잡이를 결합시키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the assembly where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is omitted. This is becaus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design can use a configuration that combines the handl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part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94847 (registered on January 5, 2022), which was previously filed and register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200)는 헤드부(100)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탈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메인세척부(300)를 헤드부(100)의 하면에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at least two coupling parts 200 are detachable from the head part 100, and serve to attach and detach the main washing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0. do.

이를 위해, 결합부(200)는 체결홀(210), 밴드부(220) 및 체결부(230)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upling portion 20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hole 210, a band portion 220, and a fastening portion 230.

체결홀(210)은 헤드부(100)의 일면의 단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The fastening holes 210 are formed on both unidirectional sides of on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즉, 체결홀(210)은 밴드부(22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헤드부(100)의 일면의 단방향의 양단을 관통하는 홀로 형성되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고, 이러한 유닛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fastening hole 210 is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both unidirectional ends of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100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 portion 220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to form one unit, and at least two such units are formed. It is formed.

밴드부(220)는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면에 밸크로가 형성되어 체결홀(210)에 체결된다.The band portion 2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Velcro formed on both sides,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10.

여기서, 밴드부(220)는 서로 접촉하여 부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밸크로를 형성되지 않게 제작하여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Here, the band portion 220 is manufactured without velcro in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saving manufacturing costs.

체결부(230)는 밴드부(220)의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밴드부(220)의 타단이 고리에 결합된 후, 밴드부(220)의 일면에 접촉하여 부착된다.The fastening portion 230 is attached b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band portion 220 after a ring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nd portion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portion 220 is coupled to the ring.

즉, 체결부(230)는 밴드부(220)의 양단이 체결홀(210)에 각각 삽입되어 일면이 헤드부(100)의 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밴드부(220)의 타단이 일단에 형성된 고리에 결합된 후, 타단이 일단의 일면에 접촉하여 부착되어 헤드부(1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fastening part 230 has both ends of the band part 22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210, so that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ead part 100. And after the other end of the band portion 220 is coupled to the ring formed at one end, the other end is attach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ne end and is firm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100.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10)의 결합부(200)는 구획돌기부(240) 및 체결홈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portion 200 of the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rotrusion 240 and a fastening groove 250.

구획돌기부(240)는 헤드부(10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결합하여 헤드부(100)의 하면을 구획하는 돌기이다.The dividing protrusion 240 is a protrusion that divides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0 by combining at least one protrus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0 .

특히, 구획돌기부(240)는 메인세척부(300)로 인가되는 응력에 대응하여 헤드부(100)에 메인세척부(300)가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serves to firmly position the main cleaning unit 300 on the head unit 100 in response to the stress applied to the main cleaning unit 300.

일례로, 메인세척부(300)는 스폰지 또는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리거나 수분이 점진적으로 제거되면서 일방향으로 더욱 밀릴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main washing unit 300 is made of a sponge or a material that absorbs moisture, it may be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steps of an escalator or may be pushed further in one direction as moisture is gradually removed.

이로 인해, 메인세척부(30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헤드부(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획돌기부(240)가 메인세척부(300)로 인가되는 응력을 분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shape of the main washing part 300 may be deformed or separated from the head part 100.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distributes the stress applied to the main washing part 300. It is desirable.

또한, 구획돌기부(240)는 헤드부(100)의 하면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by a coupling member, but may also be formed as an integrated piec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획돌기부(240)는 메인세척부(300)의 단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여 서브세척부(4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unidirectional length of the main washing unit 300 and serve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sub-cleaning unit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은 상층부 및 하층부의 이동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각 층에 본 고안의 청소도구(10)를 위치 시, 헤드부(10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한다.That is, sin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steps of the escalator is the same, when the cleaning too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each floor, stress acts on the head portion 100 in different directions.

따라서, 플랜지부(110)는 에스컬레이터의 상층부에서 서브세척부(400)를 지지하고, 구획돌기부(240)는 하층부에서 서브세척부(400)를 지지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ange portion 110 supports the sub-washing unit 400 at the upper level of the escalator, and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supports the sub-washing unit 400 at the lower level.

체결홈부(250)는 메인세척부(300)의 일면에 구획돌기부(240)에 결합되는 홈으로 형성된다.The fastening groove 250 is formed as a groove coupled to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on one surface of the main cleaning unit 300.

즉, 구획돌기부(240)에 억지끼움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세척부(300)가 헤드부(100)의 하면에 견고하게 위치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That is, it is forcefully fitted into the partition protrusion 240 and serves to firmly position the main washing unit 3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0 as described abov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세척부(300)는 결합부에 탈부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탭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 중 요홈에 더 접촉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4, the main washing part 300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coupling part and comes into further contact with the concave-convex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ep of the escalator.

이러한, 메인세척부(300)는 브러시패드(310), 브러시밸크로(320) 및 요철부(330)를 포함한다.This main washing unit 300 includes a brush pad 310, a brush velcro 320, and an uneven portion 330.

브러시패드(310)는 헤드부(10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헤드부(100)의 양단보다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The brush pad 31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length that protrudes beyond both ends of the head unit 100.

이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이 이동하는 양측에 헤드부(100)가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텝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facilitate cleaning of the steps by preventing the head portion 100 from being adjacent to both sides where the steps of the escalator move.

브러시밸크로(320)는 브러시패드(310)의 상면이 밴드부(220)에 탈부착되게 밸크로가 형성된다.The brush velcro 32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rush pad 31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band portion 220.

요철부(330)는 브러시패드(310)의 하면이 스텝의 요흠에 대응하여 형성된다.The uneven portion 3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ush pad 310 to correspond to the unevenness of the step.

이로 인해, 요철부(330)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요홈으로 진입하여 스텝의 이동에 따라 오물을 제거하는 청소를 하는 것이다.Due to this, the uneven portion 330 enters the groove of the step of the escalator and cleans by removing dirt as the step move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브세척부(400)는 메인세척부(30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스텝의 일면에 접촉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sub-cleaning unit 4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washing uni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cts one surface of the step.

이러한, 서브세척부(400)는 서브패드(410) 및 서브패드밸크로(420)를 더 포함한다.This sub-washing unit 400 further includes a sub-pad 410 and a sub-pad velcro 420.

서브패드(410)는 헤드부(1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메인세척부(3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며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The subpad 4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art 100,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washing part 300, forming a step and having one side flat.

이로 인해, 요철형상의 메인세척부(300)는 스텝의 요홈으로 진입하여 오물을 제거하고, 서브패드(410)는 스텝의 돌기부분의 편평한면을 청소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보다 더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uneven main cleaning unit 300 enters the groove of the step to remove dirt, and the subpad 410 cleans the flat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of the step, making it possible to clean the steps of the escalator more thoroughly. .

서브패드밸크로(420)는 서브패드(410)의 상면이 밴드부(220)에 탈부착되게 밸크로가 형성된다.The subpad velcro 420 is formed with velcro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ad 41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band portion 22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claim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

10 :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100 : 헤드부 110 : 플랜지부
120 : 나선결합부 200 : 결합부
210 : 체결홀 220 : 밴드부
230 : 체결부 240 : 구획돌기부
250 : 체결홈부 300 : 메인세척부
310 : 브러시패드 320 : 브러시밸크로
330 : 요철부 400 : 서브세척부
410 : 서브패드 420 : 서브패드밸크로
10: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100: head part 110: flange part
120: spiral joint 200: joint
210: fastening hole 220: band part
230: fastening part 240: compartment protrusion
250: fastening groove 300: main washing part
310: Brush Pad 320: Brush Velcro
330: uneven part 400: sub-washing part
410: Subpad 420: Subpad Velcro

Claims (7)

길이조절 가능한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탈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탈부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탭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 중 요홈에 더 접촉하는 메인세척부; 및
상기 메인세척부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텝의 일면에 접촉하는 서브세척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 head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an adjustable length handle;
At least two coupling parts detachable from the head part;
A main washing unit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unit and further contacts the groove among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ep of the escalator; and
A sub-wash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wash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step.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lange portion bent at a right angle along one longitudinal side to support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sub-washing unit.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면의 단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면에 밸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체결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의 타단이 상기 고리에 결합된 후, 상기 밴드부의 일면에 접촉하여 부착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Fastening holes formed on both unidirectional sides of on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 ban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Velcro formed on both sides,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and
After a ring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nd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portion is coupled to the ring, 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attach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band portio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결합하여 상기 헤드부의 하면을 구획하는 구획돌기부; 및
상기 메인세척부의 일면에 상기 구획돌기부에 결합되는 체결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돌기부는 상기 메인세척부로 인가되는 응력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부에 상기 메인세척부가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 partition protrusion part that partitions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art by combining at least one protrus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groove coupled to the partition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the main washing part,
The partition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washing unit is firmly positioned on the head in response to the stress applied to the main washing unit.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돌기부는
상기 메인세척부의 단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여 상기 서브세척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ccording to claim 4,
The compartment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the unidirectional length of the main washing part and supports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sub-washing part.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척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브러시패드;
상기 브러시패드의 상면이 상기 밴드부에 탈부착되게 밸크로가 형성된 브러시밸크로; 및
상기 브러시패드의 하면이 상기 스텝의 요흠에 대응하여 형성된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ccording to claim 3,
The main washing part
a brush pa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Brush Velcro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rush pad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band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rush pad further includes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cavo-convex portion of the step.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세척부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세척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며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서브패드; 및
상기 서브패드의 상면이 상기 밴드부에 탈부착되게 밸크로가 형성된 서브패드밸크로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According to claim 3,
The sub-washing unit
a sub-pad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art, formed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washing part, forming a step, and having one side fla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ad further includes a subpad velcro formed with velcro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ad is detachable from the band portio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KR2020220000732U 2022-03-24 2022-03-24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KR2023000189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732U KR20230001897U (en) 2022-03-24 2022-03-24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732U KR20230001897U (en) 2022-03-24 2022-03-24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97U true KR20230001897U (en) 2023-10-05

Family

ID=882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732U KR20230001897U (en) 2022-03-24 2022-03-24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97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47Y1 (en) 2020-07-10 2022-01-07 지홍용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47Y1 (en) 2020-07-10 2022-01-07 지홍용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9363C2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isposable pad
US5896618A (en) Vacuum cleaner
US20040148732A1 (en) Endpiece for a vacuum cleaner
JP2009504309A (en) Upright vacuum cleaner that can be converted to a canister type
WO2004062454A3 (en)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pad
JP5155742B2 (en) Brush device for floor cleaning machine etc.
KR200494847Y1 (e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KR20230001897U (en)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CA2365574A1 (en) Improved vacuum nozzle for cleaning ceiling fan blades
US20100170059A1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CN210931227U (en) Mop with dust absorption function
KR20110086998A (en) Back and forth function have billiard table vacuum cleaner
US20160270609A1 (en) Cleaner
JP3113060U (en) Vacuum cleaner for vacuum cleaner
JP2006130255A (en) Sucking tool for vacuum cleaner
GB2374523A (en) Vacuum cleaner suction head
CN217244072U (en) Cleaning machine system
JPH08294469A (en) Floor-cleaning dust sucker
CN212548655U (en) Auxiliary cleaning equipment for filter element of air purifier
JP3024256B2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JPH08294468A (en) Floor-cleaning dust sucker
KR101129373B1 (en)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teel and concreat
KR20050036476A (en) Vacuum cleaner
JPH0662975U (en) Dust mat
JP3004525U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