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772A -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 Google Patents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772A
KR20230001772A KR1020210084738A KR20210084738A KR20230001772A KR 20230001772 A KR20230001772 A KR 20230001772A KR 1020210084738 A KR1020210084738 A KR 1020210084738A KR 20210084738 A KR20210084738 A KR 20210084738A KR 20230001772 A KR20230001772 A KR 2023000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user
audio output
reference line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순현
이재훈
이병현
유희천
최영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772A/en
Publication of KR2023000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Abstract

Embodiments are to provide a sound output apparatus which does not easily fall out of a user's ear. An sound output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embodiments comprises: a housing which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 first portion of a user's body, and a body part outputting sound; a coupling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wing part which is extended from the coupling part, and is inserted into a second portion of the user's body, to be supported.

Description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Sound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udio signals wirelessly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실시예들은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devic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embodiments are applicable to an audio output device that wirelessly receives an audio signal.

음향 출력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음향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의 일종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A sound output device is a type of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sound energy, and is a device that outputs sound by being connected to various multimedia devices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음향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이어폰(earphone), 스피커 등이 있다. 스피커는 변환한 음향 에너지인 소리를 공간으로 방사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반면, 이어폰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설계된 음향 출력 장치로서, 소리를 공간에 방사하지 않고, 귀의 고막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Sound output devices include, for example, earphones and speakers. A speaker is a device that outputs sound by radiating sound, which is converted acoustic energy, into a space. On the other hand, an earphone is a sound output device designed to be worn on the ear, and is a device that outputs sound by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eardrum without radiating sound into space.

이때, 이어폰은 휴대하기 편리하고, 음향을 출력하여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어폰은 예를 들어 멀티 미디어 장치와 같은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 및/또는 접속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무선 이어폰의 편리함에 의해,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고 조깅 등의 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earphone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carry and not causing damage to others even when sound is output.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earphones can be wirelessly connected and/or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multimedia devices. Due to the convenience of such wireless earphones, users who wear wireless earphones and engage in activities such as jogging are increasing.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무선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무선 이어폰이 귀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귓구멍(earhole)에 꽉 맞게 무선 이어폰이 설계되는 경우, 사용자들이 귀에 대한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wireless earphones easily fall out of the user's ea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designed to fit tightly in the earhole so that the wireless earphone does not easily fall out of the ear, there is a problem that users complain of pain in the ear.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are aimed at providing an audio output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embodiments aim to provide a sound output device that does not easily fall out of a user's ear.

또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귀에 대한 통증이 완화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aim to provide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lieves pain in the user's ears.

또한,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의 귀의 크기에 따라 착용 가능한 적합한 크기의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aim to provide a sound output device of a suitable size that can be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ears of users.

물론, 위에서 전술한 목적 이외에, 당해 명세서 및 도면의 전취지를 통하여 기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도 있다.Of course, other problems may be solved through the whole purpose of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urpose.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audio output device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음향을 출력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날개부; 를 포함하고, 날개부는, 결합부의 일측에서 볼록하게 연장되어 날개부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면; 결합부의 타측에서 오목하게 연장되어 날개부의 다른 일면을 형성하는 제 2 면; 및 제 1 면과 제 2 면을 연결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 first part of a user's body and a main body part outputting sound;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econd portion of the user's body. Including, the wing portion, a first surface extending convexly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to form one side of the wing portion; A second surface concavely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to form the other surface of the wing part; and an end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wirelessly.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은 사용자의 외이도이고,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이갑개정(cymba concha)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first part of the user's body is the user's ear canal, and a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is the user's cymba concha. An audio output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audio signals is provided.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면이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의 상부에 컨택되고, 지지부가 제 2 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 1 기준선은 단부에 대한 접선으로 결합부를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선이고, 제 2 기준선은 결합부의 일 측의 접선으로 제 1 기준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and the support part supports the second part, the first reference line is a tangential line to the end and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art. A reference line, and a second reference line is a tangential line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is a virtual reference line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line.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방향은 중력 반대 방향에 대응하고, 제 2 방향은 중력 방향에 대응하며, 수평선은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상의 기준선에 해당하고, 제 1 기준선 및 제 2 기준선은 수평선에 대해 수직한,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when the user is gazing at the front,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horizontal lin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Corresponds to a virtual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ar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providing an audio output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an audio signal.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가 22.5mm 내지 23.5mm 인 경우,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의 최소 거리는, 15.5mm 내지 16.5mm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2.5 mm to 23.5 m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is limited to a range of 15.5 mm to 16.5 mm, and a sound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wirelessly. Provide an output device.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로 길이는 16mm이고, 세로 길이는 23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n audio output device having a horizontal length of 16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3 mm and wirelessly receiving an audio signal is provided.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가 24.5mm 내지 25.5mm 인 경우,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의 최소 거리는, 13.5mm 내지 14.5mm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4.5 mm to 25.5 m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is limited to a range of 13.5 mm to 14.5 mm, and a sound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wirelessly. Provide an output device.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로 길이는 14mm이고, 세로 길이는 25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n audio output device having a horizontal length of 14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wirelessly receiving an audio signal is provided.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가 26.5mm 내지 27.5mm 인 경우,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의 최소 거리는, 11.5mm 내지 12.5mm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6.5 mm to 27.5 m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is limited to a range of 11.5 mm to 12.5 mm, and a sound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wirelessly. Provide an output device.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로 길이는 12mm이고, 세로 길이는 27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n audio output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an audio signal having a horizontal length of 12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7 mm is provided.

실시예들에 따르면, 날개부는 결합부에 대해 최소값 65° 내지 최대값 75°의 각도 내에서만 연장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wing portion provides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n audio signal wirelessly extending only within an angle of 65° to 75°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coupling portion.

실시예들에 따르면, 날개부는 결합부에 대해 70°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wing portion provides an audio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wirelessly, extending at an angle of 70°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실시예들에 따르면, 날개부의 두께는 최소값 1.1mm 내지 최대값 1.3mm의 범위로만 설계된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wing portion is designed only within the range of a minimum value of 1.1 mm to a maximum value of 1.3 mm to provide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n audio signal wirelessly.

실시예들에 따르면, 날개부의 두께는 1.2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w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1.2 mm provides an audio output device that wirelessly receives an audio signal.

실시예들에 따르면, 날개부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는 실리콘 및 폴리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wing, a cavity is formed inside the wing, and the wing includes at least one of silicon and polyurethane. An audio output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audio signals. provides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provides an audio output device that does not easily fall out of a user's ear.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대한 통증이 완화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provides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lieves pain in a user's ear.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들이 각각의 귀의 크기에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provides an audio output device that users can select appropriately for the size of each ear.

실시예들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embodimen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may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실시예들과 관련된 음향 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들과 관련된 사용자의 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에 대해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추가적인 구성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dio output device related to embodiments.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ppearance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Figure 3 shows a user's ear in relation to embodiments.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is worn on a user's ear.
5 is a detailed view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6 is a front view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7 is a side view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8 illustrates that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added to th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은 실시예들과 관련된 음향 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dio output device related to embodiments.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음향 출력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실시예들에 따라 설명되는 음향 출력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 190), etc.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audio output device, so the audio output device descri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부(110)는, 음향 출력 장치(1000)와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 음향 출력 장치(10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음향 출력 장치(1000)와 다른 음향 출력 장치(1000) 사이, 또는 음향 출력 장치(10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음향 출력 장치(10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used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nd a multimedia device,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nd another sound output device 1000. , or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nd an external server.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to one or more networks.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멀티미디어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 탑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Although not shown, multimedia devices include, for exampl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devices, and slate PCs. (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digital TV, desktop computer, etc.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부(110)는,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 형태여도 무선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장치라면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와 통신 가능함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communicate with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f it is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even in the form of a new product to be developed later. You will know.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실시예들에 따른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된다.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ccording to embodiments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s include satellite channels and terrestrial channels. Two or mor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ar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receive simultaneous broadcasting of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or to switch broadcast channels.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omplies with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Access 2000),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signal includes a voice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음향 출력 장치(10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is built into or external to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은,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and the lik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viewpoint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실시예들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Ultra Wideband (UWB). ),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음향 출력 장치(10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음향 출력 장치(1000)와 다른 음향 출력 장치(1000) 사이, 또는 음향 출력 장치(1000)와 다른 음향 출력 장치(10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be used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nd other sound output devices 1000, or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hrough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1000 and a network where other sound output devices 1000 (or external servers) are located may be supported.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local are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정보 모듈(115)은 음향 출력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ccording to embodiments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음향 출력 장치 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udio output device utilizes a GPS module, the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may be obtained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udio output device utilizes the Wi-Fi module, the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can be obtained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Fi module and a wireless AP (Wireless Access Point)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there is. 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function among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obtain data on the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in substitution or addition.

위치정보모듈(115)은 음향 출력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음향 출력 장치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부(120)는, 영상 입력부(도시하지 않음),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1), 또는 오디오 입력부(도시하지 않음),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한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된다.The input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not shown), a microphone 121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not shown),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122, for example,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is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음향 출력 장치(10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2 according to embodiments processes external sound signals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 (or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being performed i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Various noise cancella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음향 출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3 according to embodiments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You can control the action.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음향 출력 장치의 외부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3)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외관에 마련된 터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음향 출력 장치의 외부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3 includes a mechanical input means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unit may include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utside the audio output device through software processing.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23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is sensed through a touch sensor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utside the audio output device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a graphic, text, icon, or a combination thereof. It can be done.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부(140)는 음향 출력 장치 내 정보, 음향 출력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The sensing unit 140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audio output devic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audio output device, and user information.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 microphone (see 122),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sensor, heat sensor, gas sensor, etc.), chemical sensor (eg, electronic nose, healthcare sensor, biometric sensor, etc.).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output unit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unit 152, a haptic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includes at least one of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외부에 구현된다. 이러한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외부는 음향 출력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외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본체부(1110))에 형성되어, 예를 들어, 아이콘,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implemented outsid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The exterior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functions as a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nd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nd the user. can do.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formed outside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eg, the body unit 1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 for example, an icon or text.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 장치(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52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re is. The sound output unit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performed by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실시예들에 따른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A haptic module 153 according to embodiments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are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or a setting of a controller.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3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m.

실시예들에 따른 광출력부(154)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 장치(10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54 according to embodiments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by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s, alarms, schedule notifications,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pplications.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60)는 음향 출력 장치(10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interface unit 160 according to embodiments serves as a passage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음향 출력 장치(10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device 10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70)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memory 170 according to embodiments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

메모리(170)는 음향 출력 장치(1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음향 출력 장치(10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음향 출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음향 출력 장치(1000) 상에 존재한다. The memory 170 stores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s) driven i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data for operating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ar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exist o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sound output)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음향 출력 장치(10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 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nd driven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한다.In addition to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embodiments generally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 The control unit 180 provides or processe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음향 출력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combine and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음향 출력 장치(1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power supply unit 190 according to embodiments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191,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음향 출력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so,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audio output device may be implemented on the audio output device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ppearance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이어폰(earphon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의 양쪽 귀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 가능한 하나 또는 한 쌍의 전자 장치이다.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is an audio output device that wirelessly receives an audio signal, and includes, for example, earphones.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s one or a pair of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worn on at least one of both ears of a user.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를 출력하는 하우징(1100) 및 하우징(1100)에 결합되어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 및/또는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200)를 포함한다.The audio output device 1000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audio and a housing 1100 coupled to the housing 1100 to fix and/or support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to the user's ear. It includes the support part 1200.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1100)은,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1110)와 음향을 출력하는 본체부(1120)를 포함한다. The housing 1100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an insertion part 1110 inserted into a first part of a user's body and a main body part 1120 that outputs sound.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부(1110)는, 음향 출력 장치(1000) 중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2에서는, 삽입부(1110)를 커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삽입부(1110)는 오픈형이어도 된다. 또한, 삽입부(1110)는 고막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면, 커널형 및 오픈형이 아닌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The insertion part 1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a part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rt of the user's body. In FIG. 2 , the insertion part 1110 is shown as a kernel shape, but the insertion part 1110 may be an open type. In addition, the insertion part 1110 may have any shape other than a kernel type and an open type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eardrum.

이때,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이다.At this time, the first part of the user's body is, for example, the ear canal of the user's ear.

삽입부(1110)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직경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을 갖는 삽입부(1110)로 교체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11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이도 내부의 압박 또는 통증을 전혀 또는 거의 느끼지 않고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The insertion unit 1110 may be replaced with insertion units 1110 having different diameter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user's ear canal. In addition, the insertion unit 111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canal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rough this,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sound signal without feeling any or little pressure or pain inside the ear canal.

실시예들에 따른 본체부(1120)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부,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제어부,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body unit 1120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n interface unit, a memory,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described in FIG. 1 .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1100)의 구성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0)과 삽입부(1210)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1120)가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고막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여도 된다.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housing 1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using 1100 and the insertion portion 1210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main body 1120 may perform both functions of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into audio signals and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user's eardrum.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의 귀에 음향 출력 장치(1000)를 고정 및/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200)를 포함한다.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a support 1200 to fix and/or support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o the user's ear.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200)는, 하우징(1100)에 결합되어,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 및/또는 지지되도록 돕는다. The support part 1200 according to embodiments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0 to help fix and/or support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o the user's ear.

지지부(1200)는, 삽입부(1110)와 본체부(1120) 사이에 결합된다. 또는, 지지부(1200)는 삽입부(1110)와 본체부(1120)를 연결하는 외관에 끼우는 형태로 결합한다. 또는, 예를 들어, 삽입부(1110)를 포함하지 않는 음향 출력 장치(1000)로서 본체부(1120)만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경우, 지지부(1200)는, 본체부(1120)의 일면에 결합한다. 지지부(1200)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support part 1200 is coupled between the insertion part 1110 and the body part 1120. Alternatively, the support part 1200 is coupled in a form fitted to the exterior connecting the insertion part 1110 and the main body part 1120. Alternative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including only the body portion 1120 as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not including the insertion portion 1110, the support portion 1200 is the body portion 1120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shape of the support 1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3 .

지지부(1200)는 지지부(120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탄성 또는 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0)는, 실리콘, 폴리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지부(1200)는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통증, 압박 및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200 include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flexibility for all or part of the support part 1200 .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200 includes at least one of silicone and polyurethane. Through this, the support 1200 can minimize pain, pressure, and discomfort applied to the user's ear.

지지부(1200)는, 하우징(1100)과 결합되는 결합부(1210)와 결합부(1210)에서 연장되어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에 고정되는 날개부(1220)를 포함한다.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이갑개정(cymba concha)이다.The support part 1200 includes a coupling part 1210 coupled to the housing 1100 and a wing part 1220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art 1210 and fixed to the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The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is for example the cymba concha.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200)는, 사용자의 귀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0)는 서로 다른 대(1200L), 중(1200M), 소(1200S)의 크기를 갖는다. The support part 1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s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ear. 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1200 has different sizes of large (1200L), medium (1200M), and small (1200S).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는, 결합부(1210)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되, 날개부(1220)의 크기만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는, 결합부(1210)와 날개부(1220)의 크기가 모두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the support parts 1200 having different sizes, the coupling parts 1210 may all have the same size, but only the wing parts 1220 may have different sizes. Alternatively, in the support part 1200 having different sizes, both the size of the coupling part 1210 and the wing part 12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11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형상 또는 크기를 갖는다. 즉, 하우징(11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 각각과 호환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기의 귀의 크기에 적합한 사이즈의 지지부(1200)를 하우징(1100)에 결합하여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1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s the same shape or siz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upport parts 1200 having different sizes. That is, the housing 1100 is compatible with each of the support parts 1200 having different sizes. Accordingly, the user may us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by coupling the support 1200 having a siz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user's ear to the housing 1100 .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장시간 착용 가능하고 고정력이 향상된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s such a configuration, so that it can be worn for a long time and has improved fixing force.

이하에서는, 각 지지부(1220)의 형상에 대해 더 자세히 기술하기 위하여, 그에 앞서 사용자의 귀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the shape of each support part 1220 in more detail, the shape of the user's ear will be described beforehand.

도 3은 실시예들과 관련된 사용자의 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user's ear in relation to embodiments.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귀(2000)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내외 방향에 대한 좌표계를 함께 도시하였다. FIG. 3 illustrates an ear 2000 of a user wearing an audio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oordinate system for vertical directions, front-back directions, and internal and external directions is shown together.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2000)는 2220s 내지 2220i를 포함하는 귓구멍을 갖는다. 귓구멍은 외이도(2100)를 통해 고막(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다.As shown in FIG. 3 , the user's ear 2000 has ear canals including 2220s to 2220i. The ear hole is connected to the eardrum (not shown) through the ear canal 2100 .

구체적으로, 귓구멍은 귓구멍의 최상단부(2220s, earhole entrance superius)와 귓구멍의 최하단부(2220i, earhole entrance inferius)를 포함한다. 이때, 귓구멍의 최상단부(2220s)와 귓구멍의 최하단부(2220i)의 중심을 귓구멍 중심(2220, earhole center)이라고 한다.Specifically, the ear hole includes an uppermost end of the ear hole (2220s, earhole entrance superius) and a lowermost end of the ear hole (2220i, earhole entrance inferius).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uppermost end portion 2220s of the ear hole and the lowermost end portion 2220i of the ear hole is referred to as an earhole center 2220.

사용자가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하는 경우, 삽입부(1210)가 귓구멍을 통해 외이도(2100)로 삽입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귓구멍 중심(2220)을 이용해 지지부(1220)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ear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ertion part 1210 being inserted into the ear canal 2100 through the ear hole, the size of the support part 1220 and/or shape can be designed.

한편, 이하에서는, 귓구멍 중심(2220) 외에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의 귀(2000)에 잘 안착되게 하기 위한 다른 고려 요소에 대해 상술한다.Meanwhile, hereinafter, in addition to the center of the ear hole 2220 , other consideration factors for ensuring that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s well seated in the user's ear 2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is worn on a user's ear.

도 4의 (a)는, 도 3에서 설명한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있어서, 귀(2000)에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4(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worn on the ear 2000 in the vertical and front-back direc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이때, 도 4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단부(1223)와 이갑개정(221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단부(1223)와 이갑개정의 최상단(superior cymba concha)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At this time, (a) of FIG. 4 illustrates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223 and the yigap revision 2210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a) of FIG. 4 shows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223 and the uppermost end of the cymba concha according to embodiments in the front-back and up-down directions.

도 4의 (b)는, 도 3에서 설명한 상하 방향과 내외 방향에 있어서, 귀(2000)에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b) of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worn on the ear 20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outer direction described in FIG. 3 .

이때, 도 4의 (b)는, 실시예들에 따른 단부(1223)와 이갑개정(221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단부(1223)와 이갑개정의 최상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내외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At this time, (b) of Figure 4, shows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223 and the yigap revision 2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For example, (a) of FIG. 4 shows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223 and the uppermost end of the cleft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directions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사용자가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하는 경우, 지지부(1200)가 이갑개정(2210)에 삽입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이갑개정(2210)의 형상, 이갑개정의 최상단과 단부(1223)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 지지부(1220)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설계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하는 경우, 날개부(1220)가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부위가 이갑개정의 최상단임을 고려하여, 지지부(1220)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설계한다.When the user wear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support 1200 is inserted into the 2210, the shape of the 2210, the upper end of the 2210 and the end 1223 The size and/or shape of the support 1220 is designed using the distance. Specifically, when a user wear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size and/or or design the shape.

도 3에서 설명한 귓구멍 중심(2220)과 도 4에서 설명한 이갑 개정(2210)의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귀 형상에 더 적합한 크기를 갖는 지지부(1220)를 얻기 위한 설계 방안은 아래와 같다.Consider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center of the ear hole 2220 described in FIG. 3 and the ear cuff revision 2210 described in FIG. 4, the design method for obtaining the support 1220 having a size mor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user's ear is as follows.

구체적으로, 귓구멍 중심(2220)을 기준으로 하여, 이갑개정(2210)(구체적으로, 이갑개정의 최상단)의 분포 위치에 대해 귀의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값들을 선정한다. 즉, 귓구멍 중심(2220)에 대한 이갑개정(2210)의 분포 중, 사용자들의 귀 크기 중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각각 대표하는 값을 선정하였다. 예를 들어, 귓구멍 중심(2220)에 대한 이갑개정(2210)의 분포 중 25%, 50%, 75%에 해당하는 크기를 사용자들의 귀 크기 중에서, 소, 중, 대의 크기를 각각 대표하는 값으로서 선정하였다. Specifical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ear hole 2220, representative values that can represent the size of the ear are selected for the distribution position of the earlobe 2210 (specifically, the uppermost end of the earlobe). That is, among the distribution of the ear gap correction 2210 for the center of the ear hole 2220, values representing the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among the ear sizes of users were selected. For example, the sizes corresponding to 25%, 50%, and 75% of the distribution of the ear gap correction 2210 for the center of the ear hole 2220 are values representing the small, medium, and large sizes of the ears of users, respectively. selected.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귀 형상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지지부(1220)의 형상 및 구체적인 값들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ata obtained in this way, the shape and specific values of the support part 1220 having a siz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user's ea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에 대해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etailed view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5에서 1200은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지지부(1200)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서 소(small)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를 도시하였다.In FIG. 5 , 1200 represents a support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In FIG. 5 , in order to explain the support 1200 , a support having a small siz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5의 (a)는 지지부(1200)의 정면도이다. 5(a)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part 1200 .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2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1210)와 날개부(1220)를 포함한다. 지지부(1200)는 곡옥 형상을 갖는다. 이때, 결합부(1210)는 곡옥 형상 중 원 형상 부분에 해당하고, 날개부(1220)는 곡옥 형상 중 뿔 형상 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나, 지지부(12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이(外耳)의 형상에 부합하는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As described in FIG. 2 , the support part 1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 coupling part 1210 and a wing part 1220 . The support part 1200 has a magat shape.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1210 corresponds to a circle-shaped part of the shape of a magatama, and the wing part 1220 corresponds to a horn-shaped part of the shape of a magatama. However,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12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shap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날개부(1220)는 사용자의 외이(外耳)에 대해 더 단단히 고정된다. 이때, 사용자의 외이(外耳)는 예를 들어 이갑개정(cymba concha)이다. 즉, 날개부(1220)는 사용자의 이갑개정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By having such a shape, the wing portion 1220 is more firmly fixed to the outer ear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outer ear of the user is, for example, the cymba concha. That is, the wing portion 1220 includes all shapes that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hape of the user's yigap revision.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부(1210)는 하우징(1100) 내부 또는 하우징(1100)의 일면과 결합한다. 결합부(1210)는 하우징(1100)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에 구멍(1211)을 갖는다. 구멍(1211)은 하우징(1100)의 외면 크기에 기초하여,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The coupling part 1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0 or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0 . The coupling part 1210 has a hole 1211 therein to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100 . The holes 1211 ar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outer surface size of the housing 1100 .

도 5에서는 소(small)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만을 도시하였으나, 크기에 관계없이 지지부(1200)는 모두 구멍(1211)을 갖는다. 구멍(1211)에 의하여, 크기에 관계없이 지지부(1200)는 하우징(1100)과 호환 가능하다.In FIG. 5 , only small-sized supports are shown, but all support parts 1200 have holes 1211 regardless of the size. The hole 1211 makes the support 1200 compatible with the housing 1100 regardless of size.

결합부(1210)는 하우징(1100)과 회전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1210)와 하우징(1100) 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은 각각 나선 모양의 홈을 포함한다. The coupling part 1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0 . At this time,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part 1210 and the housing 1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cludes a spiral-shaped groove.

또는, 결합부(1210)는 음향 출력 장치(1000)에 인입 또는 출입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1210)와 하우징(1100)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은, 결합부(1210)가 하우징(1100)으로부터 또는 하우징(1100)이 결합부(12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고정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요철 형상을 갖는 장치,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Alternatively, the coupler 1210 is coupled to be drawn in or out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 At this time, the part where the coupling part 1210 and the housing 1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a device for fixing the coupling part 1210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0 or the housing 1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art 1210 (shown). not included). The fixing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concave-convex device and a fixing device.

또는, 고정하는 장치는 별도의 장치가 아닌, 고정을 위해 설계된 사이즈 또는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결합부(1210) 및/또는 하우징(1100)은 서로 탈착 및 고정되기 위하여 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xing device may include a size or material designed for fixing, rather than a separate device. Alternatively, the coupling part 1210 and/or the housing 1100 may include grooves (not shown) to be detached and fix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결합부(1210)는, 본체부(1120)와 삽입부(1110)를 서로 분리한 뒤, 본체부(1120), 결합부(1210) 및 삽입부(1110)의 순서를 갖도록 조립하는 형태로 하우징(1100)과 결합한다. 또는, 예를 들어, 결합부(1210)는, 본체부(1120)와 삽입부(1110)를 서로 분리하지 않고, 본체부와 삽입부(1110)의 사이에 결합한다.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1210 is assembled so that the main body part 1120 and the insertion part 11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main body part 1120, the coupling part 1210 and the insertion part 1110 are in order. It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1100 in the form of 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1210 is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part and the insertion part 1110 without separating the main body part 1120 and the insertion part 1110 from each other.

결합부(1210)는, 하우징(1100)과 결합된 후에도 하우징(1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1100)에 대해 결합부(1210)를 포함하는 지지부(1200)를 자유 자재로 결합 또는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210 is separable from the housing 1100 even after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1100 . 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couple or detach the support part 1200 including the coupling part 121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0 for use.

실시예들에 따른 날개부(1220)는 결합부(1210)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에 고정된다. The wing portion 1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extends from the coupling portion 1210 and is fixed to the user's ear.

날개부(1220)는,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의 이갑개정(cymba concha)에 삽입되어 음향 출력 장치(1000)를 고정 및/또는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날개부(1220)는 측면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귀에 삽입 또는 부착되어, 음향 출력 장치(1000)를 고정 및/또는 지지한다. 이때, 측면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면은 양면이 모두 평평한(fla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측면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면은 양면이 모두 곡면을 가질 수도 있고, 이 경우 조약돌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wing portion 1220 is a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and is inserted into, for example, the cymba concha of the user's ear to fix and/or support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 Specifically, the wing portion 1220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side formed to have a curvature, and is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user's ear to fix and/or support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formed to have curvature may have a flat shape. Alternatively, both sides of the side formed to have curvature may have curved surfaces, and in this case, they may have a shape such as a cobblestone.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1220)는 휘어진 뿔 형상을 가지고,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귀의 이갑개정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날개부(1220)는, 휘어진 뿔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부분(1223)이 뾰족하지 않고 이갑개정의 형상에 부합하게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ng portion 1220 has a curved horn shape, and specifical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ors of the human ear. Therefore, the wing portion 1220, the portion 1223 corresponding to the apex of the curved horn is not sharp and is formed as a smooth curved surface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hin.

날개부(1220)는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후술하는 구체적인 수치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형상 자체로서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어 있는다. Through such a shape, the wing portion 1220 can improve the fixing force by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s fixed to the user's ear as a shape itself, even without considering specific numerical values described later. Therefore, for example, even when a user exercises for a long time while wearing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s fixed to the user's ear.

날개부(1220)는 사용자의 귀에 더 잘 부착되기 위하여, 제 1 면(1221), 제 2 면(1222) 및 제 1 면(1221)과 제 2 면(1222)을 연결하는 단부(1223)를 포함한다.The wing part 1220 has a first surface 1221, a second surface 1222, and an end 1223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to better attach to the user's ear. include

구체적으로, 날개부(1220)는, 볼록면(1221), 오목면(1222) 및 볼록면(1221)과 오목면(1222)을 연결하는 단부(122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wing portion 1220 includes a convex surface 1221 , a concave surface 1222 , and an end portion 1223 connecting the convex surface 1221 and the concave surface 1222 .

실시예들에 따른 볼록면(1221)은 결합부(12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볼록한 곡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볼록면(1221)은, 사용자의 귓바퀴 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다. 볼록면(1221)의 전부 또는 일부는 사용자의 이갑개정에 컨택하여 사용자의 이갑개정을 포함하는 귀를 지지할 수 있다. The convex surface 12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formed b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1210 and has a convex curved surface. For example, the convex surface 1221 has a convex curved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ape of the user's auricle. All or part of the convex surface 1221 may contact the user's ear cup and support the ear containing the user's ear cup.

실시예들에 따른 오목면(1222)은 결합부(1210)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오목한 곡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오목면(1222)은, 사용자의 귓바퀴 형상과 같은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갖는다. 또한, 오목면(1222)은, 결합부(1210)로부터 볼록면(122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concave surface 12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1210 and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For example, the concave surface 1222 has a curved surface conca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ape of the user's auricle. In addition, the concave surface 1222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vex surface 1221 extends from the coupling portion 1210 .

실시예들에 따른 단부(1223)는 볼록면(1221)의 볼록한 면과 오목면(1222)의 오목한 면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다. 상술한 지지부(1200) 및 날개부(1220)의 형상은, 구체적으로, 날개부(1220)가 이갑개정에 부합하면서 동시에 단부(1223)가 이갑개정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한다. 단부(1223)는 사용자의 이갑개정 내에서 이갑개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지지부(1200)의 측면도이다. The end 12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a portion where the convex surface of the convex surface 1221 and the concave surface of the concave surface 1222 meet each other.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support portion 1200 and the wing portion 1220 includes, in detail, a shape in which the wing portion 1220 conforms to the cleft palate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portion 1223 can be seated in the cleft palate. End 1223 can support the user's ear, including the user's chin, within the chin. 5(b)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part 1200 .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1220)는 결합부(1210)에 대하여 a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날개부(1220)는 결합부(1210)에 대해 신체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의 귀에 더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5 , the wing portion 1220 extends at an angle of a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1210 and is formed. In this case, the wing portion 1220 is formed at an angle in the bod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1210, so that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user's ear.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200)는, 상술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람이 외이(外耳)에 대해 압박을 받으면 불편을 느끼는 부위에 여유 공간을 주어 착용감을 확보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200)는, 상술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람이 외이(外耳)에 대해 압박을 받으면 불편을 덜 느끼는 부위에 압박을 주어 음향 출력 장치(1200)가 사람의 외이(外耳)에 대해 더 잘 고정되도록 한다. The sound output device 1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s the above-described shape, so that when a person receives pressure on the outer ear, a spare space is provided to an area where a person feels discomfort to secure a wearing comfort.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device 1200 has the above-described shape, so that when a person receives pressure against the outer ear, pressure is applied to a part where the person feels less discomfort, so that the sound output device 1200 can be applied to the outer ear of the person. to be better fixed for

즉,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200)는, 사용자의 귀의 형상을 고려하여 설계된 음향 출력 장치(1200)로서, 착용감과 고정감을 모두 갖는다.That is, the sound output device 1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user's ear, and has both a feeling of wearing comfort and a fixed feeling.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 형상에 더 적합한 크기를 갖는 지지부(1220)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support parts 1200 having different sizes, specific values of the support part 1220 having a size mor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user's ear will be described.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6 is a front view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6은 사용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지지부(120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정자세로서,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FIG. 6 illustrates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200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when a user wears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wearing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is gazing at the front in a straight posture.

도 6에서, 1200S, 1200M, 1200L은 각각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한 것은 예시로서,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6 , 1200S, 1200M, and 1200L denote support units having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respectively. However, what is shown in FIG. 6 is an example, an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uch a shape.

도 6에서 1221S, 1221M, 1221L은 각각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귀 크기를 갖는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과 컨택하는 제 1 면을 나타낸다. In FIG. 6 , reference numerals 1221S, 1221M, and 1221L denote first surfaces contacting a second part of a user's body having ear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 1 면(1221S, 1221M, 1221L)은 각각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귀 크기를 갖는 사용자의 이갑개정의 상부(superior cymba concha)에 접하여 이갑개정의 상부(superior cymba concha)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지지부(1200S, 1200M, 1200L)는 사용자 신체에 대하여 고정력 및/또는 지지력을 향상시킨다.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s 1221S, 1221M, and 1221L are in contact with the superior cymba concha of the user having small, medium, and large ear sizes, respectively, to Supports the superior cymba concha. Through this, the support units 1200S, 1200M, and 1200L improve fixation and/or support to the user's body.

도 6에서, d1은 제 1 방향으로서, 중력 반대방향을 나타내고, d2는 제 2 방향으로서 중력 방향을 나타낸다. 도 6에서, S, M, L은 각각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에 포함되는 결합부(1210S, 1210M, 1210L)의 중심을 나타낸다. 도 6에서, H는 결합부의 중심(S, M, L)을 지나고,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에 대해 수직한 가상의 기준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 수평선이라고 칭한다. 이때, 결합부의 중심(S, M, L)은 각각 사용자의 귓구멍 중심(earhole center)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의 중심(S, M, L)은 서로 겹쳤을 때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In FIG. 6 , d1 represents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as the first direction, and d2 represents the direction of gravity as the second direction. In FIG. 6 , S, M, and L denote centers of coupling portions 1210S, 1210M, and 1210L included in support portions having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respectively. In FIG. 6 , H represents an imaginary reference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s S, M, and L of the coupling part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and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line below.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S, M, L)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user's ear ho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enters of the coupling parts (S, M, L) may be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y overlap each other.

도 6에서,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S, 1200M, 1200L) 각각에 대하여, 제 1 기준선(PS1, PM1, PL1)은 단부(1223S, 1223M, 1223L)에 대한 접선으로 결합부(1210S, 1210M, 1210L)를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나타낸다. In FIG. 6 , the first reference lines PS1 , PM1 , and PL1 are defined as ends 1223S and 1223M for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200S, 1200M, and 1200L having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

도 6에서,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S, 1200M, 1200L) 각각에 대하여, 제 2 기준선(PS2, PM2, PL2)은 결합부(1210S, 1210M, 1210L)의 일측에 대한 접선으로 각각의 제 2 기준선(PS2, PM2, PL2)은 각각의 제 1 기준선(PS1, PM1, PL1)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을 나타낸다.In FIG. 6 , for each of the support units 1200S, 1200M, and 1200L having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the second reference lines PS2, PM2, and PL2 are coupled portions 1210S, Each of the second reference lines PS2 , PM2 , and PL2 as a tangent to one side of 1210M and 1210L represents a virtual reference line parallel to each of the first reference lines PS1 , PM1 , and PL1 .

이때, 제 1 기준선(PS1, PM1, PL1) 및 제 2 기준선(PS2, PM2, PL2)은 수평선(H)에 대해 수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reference lines PS1 , PM1 , PL1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s PS2 , PM2 , PL2 ar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H.

이때, 제 1 기준선(PS1, PM1, PL1) 및 제 2 기준선(PS2, PM2, PL2) 사이의 최소 거리를 음향 출력 장치(1000)의 가로 길이(wS, wM, wL)라고 한다. 또한, 지지부(1200)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를 음향 출력 장치(1000)의 세로 길이(hS, hM, hL)라고 한다.In this case,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s PS1 , PM1 , PL1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s PS2 , PM2 , PL2 is referred to as the horizontal lengths wS , wM , and wL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 Also, lengths of the support part 1200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re referred to as vertical lengths hS, hM, and hL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소(small)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S)에 대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hS)는 22.5mm 내지 23.5mm 로 제한되고, 음향 출력 장치의 가로 길이(wS)는 15.5mm 내지 16.5mm 로 제한된다.For the small-sized support 1200S, the vertical length (hS)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limited to 22.5 mm to 23.5 mm, and the horizontal length (wS)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limited to 15.5 mm to 16.5 mm. limited

더 바람직하게는, 소(small)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S)에 대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hS)는 23mm 이고, 음향 출력 장치의 가로 길이(wS)는 16mm 이다.More preferably, for the small-sized support part 1200S, the vertical length (hS)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3 mm and the horizontal length (wS)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16 mm.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이와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하면, 작은 사이즈의 귀를 가지는 사용자들은 이갑(concha) 내부에 압박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고정력이 향상된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a result of confirmation through experiments, if designed to have such a size, users with small ears can wear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with improved fixation without feeling pressure inside the concha. It works.

중(medium)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M)에 대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hM)는 24.5mm 내지 25.5mm 로 제한되고, 음향 출력 장치의 가로 길이(wM)는 13.5mm 내지 14.5mm 로 제한된다.For the medium-sized support 1200M, the vertical length (hM)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limited to 24.5 mm to 25.5 mm, and the horizontal length (wM)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limited to 13.5 mm to 14.5 mm. limited

더 바람직하게는, 중(medium)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M)에 대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hM)는 25mm 이고, 음향 출력 장치의 가로 길이(wM)는 14mm 이다.More preferab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200M having a medium size, the vertical length (hM)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5 mm and the horizontal length (wM)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14 mm.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이와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하면, 중간 사이즈의 귀를 가지는 사용자들은 이갑(concha) 내부에 압박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고정력이 향상된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experiments, if designed to have such a size, users with medium-sized ears can wear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with improved fixation without feeling pressure inside the concha. It works.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L)에 대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hL)는 26.5mm 내지 27.5mm 로 제한되고, 음향 출력 장치의 가로 길이(wL)는 11.5mm 내지 12.5mm 로 제한된다.For the large-sized support 1200L, the vertical length (hL)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limited to 26.5 mm to 27.5 mm, and the horizontal length (wL)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limited to 11.5 mm to 12.5 mm. limited

더 바람직하게는,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1200L)에 대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hL)는 27mm 이고, 음향 출력 장치의 가로 길이(wL)는 12mm 이다.More preferably, for the large-sized support part 1200L, the vertical length (hL)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7 mm and the horizontal length (wL)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12 mm.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이와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하면, 큰 사이즈의 귀를 가지는 사용자들은 이갑(concha) 내부에 압박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고정력이 향상된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착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a result of confirmation through experiments, if designed to have such a size, users with large ears can wear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with improved fixation without feeling pressure inside the concha. It works.

사용자들은 귀의 사이즈에 따라서 다른 크기의 이갑 개정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1100)에 대하여, 자기의 귀에 적합한 사이즈를 갖는 지지부(1200S, 1200M, 1200L 를 자유 자제로 부착 및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다. Users have different sizes of incisor correction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ars. Accordingly, users can freely attach and detach the support parts 1200S, 1200M, and 1200L having sizes suitable for their ears to the housing 1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즉,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이갑 개정의 크기가 서로 다른 사용자들에 대하여 각각 적절하게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0)는 이갑 개정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대한 음향 출력 장치(1000)의 고정력과 착용감을 향상시킨다.That is, the audio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ing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can be appropriately worn by users having different sizes of ear cuffs. .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200 improves the fixing force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to the user's ear and fit by supporting the ear cuff opening.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7 is a side view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7에서, 1200S, 1200M, 1200L은 각각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지지부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7에서 도시한 것은 예시로서,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7 , 1200S, 1200M, and 1200L denote support units having sizes of small, medium, and large, respectively. However, what is shown in FIG. 7 is an example, an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uch a shape.

도 7에서, C는 결합부(1210)에 대해 수평한 가상의 선을 나타낸 것이다. In FIG. 7 , C represents a horizontal imaginary lin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1210 .

또한, 도 7에서, CS는 소(small)의 크기를 갖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단부(1223S)를 기준으로, C에 대해 각도를 갖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 것이고, CM은 중(medium)의 크기를 갖는 음향 출력 장치의 단부(1223M)를 기준으로, C에 대해 각도를 갖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CL은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단부(1223L)를 기준으로, C에 대해 각도를 갖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 것이다. 즉, CS, CM, CL은 각각, 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고 형성된 날개부(1220)의 일면을 측면에서 나타낸 선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in FIG. 7, CS represents an imaginary line having an angle with respect to C based on the end 1223S of th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ing a small size, and CM represents a medium ( medium) is an imaginary line having an angle with respect to C based on the end 1223M of the sound output device. In addition, CL represents an imaginary line having an angle with respect to C based on the end 1223L of the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large-sized embodiments. That is, CS, CM, and CL each represent a line showing one side of the wing portion 1220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C from the sid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와 CS 사이의 각도는 a 이고, C 와 CM 사이의 각도는 a 이고, C 와 CL 사이의 각도는 a 이다.As shown in FIG. 7, the angle between C and CS is a, the angle between C and CM is a, and the angle between C and CL is a.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각각의 날개부(1220S, 1220M, 1220L)는 각각의 결합부(1210S, 1210M, 1210L)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a를 갖는다. That is, as shown in FIG. 7, each of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having a small, medium, and large size is coupled to each other. It has a predetermined angle a with respect to portions 1210S, 1210M, and 1210L.

즉,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음향 출력 장치(1000)는 각각 날개부(1220S, 1220M, 1220L)의 크기가 상이하나, 결합부(1210S, 1210M, 1210L)에 대한 날개부(1220S, 1220M, 1220L)의 각도는 동일하다.That is, although the size of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is different i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having a small, medium, and large size, the coupling parts 1210S, 1210M, The angles of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relative to the 1210L are the same.

이때, 소정의 각도 a는 65° 내지 75°일 수 있다. 즉, 날개부(1220S, 1220M, 1220L)는, 결합부(1210S, 1210M, 1210L)에 대해 최소값 65° 내지 최대값 75°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a may be 65° to 75°. That is, the wing portions 1220S, 1220M, and 1220L are formed to extend at an angle of between a minimum value of 65° and a maximum value of 75°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s 1210S, 1210M, and 1210L.

날개부(1220S, 1220M, 1220L)가 결합부(1210S, 1210M, 1210L)에 대해 최소값 65° 내지 최대값 75°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됨으로써, 사용자는 착용 시 압박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더 잘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are extended at an angle of 65° to 75°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s 1210S, 1210M, and 1210L, the user may not feel pressure when wearing the sound output device. can be better fixed to the user's ear.

바람직하게는, 날개부(1220S, 1220M, 1220L)는 결합부(1210S, 1210M, 1210L)에 대해 70°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ing portions 1220S, 1220M, and 1220L may extend at an angle of 70°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s 1210S, 1210M, and 1210L.

날개부(1220S, 1220M, 1220L)가 결합부(1210S, 1210M, 1210L)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됨으로써,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들에게 가장 통증 또는 불편이 없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Since the wing parts 1220S, 1220M, and 1220L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s 1210S, 1210M, and 1210L, th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an sound output device that causes no pain or inconvenience to users. provides

도 7에서, tS, tM, tL은 각각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음향 출력 장치(1000)의 날개부(1220S, 1220M, 1220L)의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In FIG. 7 , tS, tM, and tL represent the thicknesses of wings 1220S, 1220M, and 1220L of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having small, medium, and large sizes, respectively. .

소(small), 중(medium), 대(large)의 크기를 갖는 음향 출력 장치(1000)는 각각 날개부(1220S, 1220M, 1220L)의 크기가 상이하나, 날개부(1220S, 1220M, 1220L)의 두께의 범위는 동일하다.I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having a small, medium, and large size,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have different sizes, but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The range of the thickness of is the same.

이때, 날개부의 두께(tS, tM, tL)는 1.1mm 내지 1.3mm일 수 있다. 즉, 날개부의 두께(tS, tM, tL)는 최소값 1.1mm 내지 최대값 1.3m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wings (tS, tM, tL) may be 1.1mm to 1.3mm. That is, the thicknesses (tS, tM, and tL) of the wings are formed to have a range from a minimum value of 1.1 mm to a maximum value of 1.3 mm.

바람직하게는, 날개부의 두께(tS, tM, tL)는 1.2mm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hicknesses (tS, tM, tL) of the wings may be 1.2 mm.

날개부(1220S, 1220M, 1220L)가 이와 같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들에게 통증 또는 불편이 없으면서, 착용감과 고정력이 향상된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제공한다.Since the wings 1220S, 1220M, and 1220L have such a thicknes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provide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with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fixation power without pain or discomfort to users. to provide.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추가적인 구성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that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added to th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0)는 날개부(1220)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공(hole)(1220h)을 포함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000)는 날개부(1220) 상에 크기가 서로 같거나 또는 상이한 복수 개의 통공(1220h)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one or more holes 1220h on the wings 1220 .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20h having the same size or different sizes on the wing portion 1220 .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1000)는 날개부(1220) 상에 날개부(1220)의 전체의 1/2 이상을 차지하는 커다란 하나의 통공(1220h)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공기 및 땀을 배출하면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압박 및 통증이 감소된 음향 출력 장치(1000)가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may have one large through hole 1220h on the wing 1220 that occupies 1/2 or more of the entire wing 1220 .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n which pressure and pain felt by a user are reduced while efficiently discharging air and sweat can be provided.

또한,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1000)는 날개부(1220) 상에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통공들(1220h)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공기 및 땀을 더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제공한다.Also,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20h having different sizes on the wing portion 1220 . Through such a structure, an acoustic output device 1000 capable of more easily discharging air and sweat is provid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200)의 내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공동(cavity)가 형성되어도 된다. 즉, 지지부(1200)의 내부의 전체 또는 일부는 속이 꽉 차있지 않고 비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cavity may be formed in all or part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1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at is, the whole or part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empty rather than full.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음향 출력 장치(1000)는 음향 출력 장치(1000)로 인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박이 더 감소된 음향 출력 장치(1000)를 제공한다.Through such a structure,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provides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n which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ears due to the sound output device 1000 is further reduc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음향 출력 장치
1100: 하우징
1110: 삽입부
1120: 본체부
1200: 지지부
1210: 결합부
1220: 날개부
1221: 볼록면
1222: 오목면
1223: 단부
2000: 귀
2100: 외이도
2200: 귓구멍(earhole)
2210: 이갑개정(cymba concha)
2220: 귓구멍 중심(earhole center)
1000: sound output device
1100: housing
1110: insertion part
1120: body part
1200: support
1210: coupling part
1220: wing part
1221: convex surface
1222: concave
1223: end
2000: ears
2100: ear canal
2200: earhole
2210: cymba concha
2220: earhole center

Claims (15)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음향을 출력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볼록하게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면;,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서 오목하게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의 다른 일면을 형성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단부;
를 포함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n audio output device that wirelessly receives an audio signal,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 first part of a user's body and a main body part that outputs sou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user's body; including,
The wing part,
A first surface extending convexly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to form one surface of the wing part;
a second surface extending concave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to form the other surface of the wing part; and
an end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cluding,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제 1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이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이갑개정(cymba concha)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 of the user's body is the user's ear canal;
The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is the user's cymba concha.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이 상기 사용자 신체의 제 2 부분의 상부에 컨택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2 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 1 기준선은 상기 단부에 대한 접선으로 상기 결합부를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선이고,
제 2 기준선은 상기 결합부의 일 측의 접선으로 상기 제 1 기준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and the support part supports the second part,
A first reference line is a virtual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as a tangential line to the end,
The second reference line is a tangential line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is a virtual reference line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line,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방향은 중력 반대 방향에 대응하고,
제 2 방향은 중력 방향에 대응하며,
수평선은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상의 기준선에 해당하고, 상기 제 1 기준선 및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수평선에 대해 수직한,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user is staring at the front,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 horizontal lin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and corresponds to an imaginary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ar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가 22.5mm 내지 23.5mm 인 경우,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기준선의 최소 거리는, 15.5mm 내지 16.5mm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2.5 mm to 23.5 m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is limited within the range of 15.5 mm to 16.5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거리는 16mm이고, 상기 세로 길이는 23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minimum distance is 16 mm, the vertical length is 23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가 24.5mm 내지 25.5mm 인 경우,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기준선의 최소 거리는,
13.5mm 내지 14.5mm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4.5 mm to 25.5 m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Limited to within the range of 13.5 mm to 14.5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거리는 14mm이고, 상기 세로 길이는 25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inimum distance is 14 mm, the vertical length is 25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세로 길이가 26.5mm 내지 27.5mm 인 경우,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기준선의 최소 거리는,
11.5mm 내지 12.5mm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ound output device is 26.5 mm to 27.5 m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Limited to within the range of 11.5 mm to 12.5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거리는 12mm이고, 상기 세로 길이는 27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minimum distance is 12 mm, the vertical length is 27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에 대해 최소값 65° 내지 최대값 75°의 각도 내에서만 연장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ng part extends only within an angle of 65 ° to 75 ° to the maximum valu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and receives an audio signal wirelessl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에 대해 70°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wing portion extends at an angle of 70 °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두께는 최소값 1.1mm 내지 최대값 1.3mm의 범위로만 설계된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wing portion is designed only in the range of a minimum value of 1.1 mm to a maximum value of 1.3 m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두께는 1.2mm인,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thickness of the wing portion is 1.2 mm,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는 실리콘 및 폴리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wing portion, a cavity is formed inside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ilicone and polyurethane.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udio signals wirelessly.
KR1020210084738A 2021-06-29 2021-06-29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KR202300017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38A KR20230001772A (en) 2021-06-29 2021-06-29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38A KR20230001772A (en) 2021-06-29 2021-06-29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72A true KR20230001772A (en) 2023-01-05

Family

ID=8492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38A KR20230001772A (en) 2021-06-29 2021-06-29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7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5635B2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091520B1 (en) Mobile terminal
AU2016218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hearing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KR2017012882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2183A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25850A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790528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11799852B2 (en) Wireless dongle for communications with wireless earpieces
US20180356881A1 (en) Pairing of wireless earpiece to phone or other device
KR102340794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earable Device
KR2016012045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KR2015009350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00330A (en) Mobile terminal
KR20160004129A (en) Glass type terminal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KR101595398B1 (en) Band type terminal
KR20230001772A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of receiving audio signal wirelessly
US11510064B2 (en) Secure wearable wireless personal server device
KR20160100065A (en) Electronic device
KR102560674B1 (en) Sound output apparatus
US9961436B2 (en) Headset comprising heart rate measurement unit
WO2015196246A1 (en) Wearable communication interface
KR10164386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