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15A - Work support system - Google Patents

Work suppor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15A
KR20230001515A KR1020220070035A KR20220070035A KR20230001515A KR 20230001515 A KR20230001515 A KR 20230001515A KR 1020220070035 A KR1020220070035 A KR 1020220070035A KR 20220070035 A KR20220070035 A KR 20220070035A KR 20230001515 A KR20230001515 A KR 2023000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ehicle
map
work
unit
suppo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료 아사다
다카시 나카바야시
마사유키 호리우치
슌스케 미야시타
šœ스케 미야시타
나가히로 후지와라
도모히코 사노
오사무 요시다
슌스케 에도
šœ스케 에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3000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automatic stee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 rada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G05D2201/02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 suppor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an outer circumference map according to a property of a working vehicle. The work support system includes: an obtaining unit (81) obtaining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on an object position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area of a paddy while a first working vehicle (1) drives in the paddy; a transmitting unit (22) transmit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obtained by the obtaining unit (81) to a management server (3) capable of memoriz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and a map generating unit (32) generating the outer circumference map showing the boundary for preventing a second working vehicle (2) from crossing the boundary when the second working vehicle (2) drives in the paddy, by process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second working vehicle (2).

Description

작업 지원 시스템{WORK SUPPORT SYSTEM}Work support system {WORK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작업차를 사용한 작업을 지원하는 작업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work using a work vehicle.

상기와 같은 작업 지원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작업 지원 시스템은, 포장의 경계선의 지도 위치를 나타내는 경계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장의 경계선을 넘는 것을 피하도록 작업차(특허문헌 1에서는 「콤바인」)의 주행을 제어한다. 또한, 이 작업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경계선 데이터는, 포장에 있어서의 당해 작업차의 주행 궤적에 기초하여 생성된다.As such an operation support system, what w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lready known, for example. This work support system controls the running of a work vehicle ("combine" in Patent Literature 1) so as to avoid crossing the boundary of the field by using boundary data indicating the map position of the boundary of the field. Further, in this work support system, boundary line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travel trajectory of the work vehicle in the pavement.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06983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9-106983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작업차 사이에서 경계선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Patent Literature 1 does not describe sharing of boundary line data among a plurality of work vehicles.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경계선 데이터와 같이, 작업차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는 외연 맵을 생성 가능한 작업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단순히, 복수의 작업차 사이에서 외연 맵을 공유하도록 구성한 경우, 외연 맵이 각 작업차의 특성에 맞지 않아, 각 작업차가 효율적으로 주행할 수 없는 사태가 상정된다.Here, in a work support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 extension map indicating a boundary where a work vehicle cannot cross the border, such as the boundary data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boundary map is simply configured to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work vehicles, the boundary map is each It is assumed that each work vehicle cannot run efficiently because it does no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vehicle.

예를 들어, 작업차의 종류에 따라, 작업차의 외형은 다르다. 그 때문에, 포장에 있어서, 작업차가 포장의 외연 영역에 위치하는 휴반의 근방을 주행할 때, 작업차가 휴반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지는, 작업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적절한 외연 맵은, 작업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vehicle, the appearance of the work vehicle is different. Therefore, in the pavement, when the work vehicle travels in the vicinity of the bed transport located in the outer edge of the pavement, the degree to which the work vehicle can come close to the bed transpor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vehicle. Accordingly, an appropriate extension map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차의 특성에 따른 외연 맵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 작업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suppor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an extension ma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work vehicle.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작업차가 포장에서 한창 주행하고 있는 중에 상기 포장의 외연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제2 작업차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포장에서 주행할 때 상기 제2 작업차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는 외연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of an object located in an outer edge region of the pavement while a first work vehicle is running on the pavement, and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3D location data to a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storing the 3D location data, and processing the 3D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work vehicle, so that when the second work vehicle runs on the pavement, the second work The difference lies in having a map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n extension map indicating a boundary where border crossing is impossible.

본 구성에 의하면, 맵 생성부에 의해, 제2 작업차의 특성에 따라서 외연 맵이 생성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p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extension ma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work vehicle.

또한, 제1 작업차의 주행 시에 3차원 위치 데이터가 취득되어 있으면, 제2 작업차는, 외연 맵의 생성을 위해 포장을 주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작업차를 위한 외연 맵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작업차가 포장을 주행할 필요가 있는 구성에 비해, 외연 맵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3D positional data is obtained while the first work vehicle is traveling, the second work vehicle does not need to travel on the pavement to generate the extension map. Therefore, compar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work vehicle needs to travel on the pavement to generate the outside map for the second work vehicle, the outside map can be generated efficiently.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작업차의 특성에 따른 외연 맵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 작업 지원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ork suppor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an extension ma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제2 작업차에 구비되는 작업 장치의 높이이면 적합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characteristic is suitable if the height of the work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work vehicle is sufficient.

포장의 외연 영역에는 휴반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휴반은, 외측일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작업차가 휴반의 근방을 주행할 때, 작업차가 휴반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지는, 작업 장치의 높이에 따라서 다르다. 그 때문에, 작업 장치의 높이에 따라서 외연 맵이 생성되면, 외연 맵이 적합한 것으로 되기 쉽다.In many cases, a break is provided at the outer edge of the pavement. In general, the resting plate is inclined so as to be higher on the outer side. Therefore, when the work vehicle travels near the bed, the degree to which the work vehicle can come close to the bed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work device. Therefore, if an extension map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 device, the extension map is likely to be suitable.

여기서, 본 구성에 의하면, 제2 작업차를 위한 외연 맵이, 제2 작업차에 구비되는 작업 장치의 높이에 따라서 생성된다. 그 때문에, 생성되는 외연 맵이 적합한 것으로 되기 쉽다.He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uter edge map for the second work vehicl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work vehicle. As a result, the generated extension map tends to be suitab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차의 자동 주행을 위한 목표 주행 경로를 상기 외연 맵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목표 주행 경로를 따라 자동 주행한 경우에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상기 목표 주행 경로를 생성하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th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arget driving path for automatic driving of the second work vehicle based on the external map is provided, and the path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second working vehicle to determine the target driving path. It is suitable if the target travel route is generated so that the second work vehicle does not come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boundary map when automatically traveling along the road.

본 구성에 의하면, 제2 작업차가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 없이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목표 주행 경로가 생성된다. 그 때문에, 제2 작업차가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피하면서 작업 주행을 행하는 것을 자동 주행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지원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target travel route on which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second work vehicle coming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boundary map is gene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ork suppor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work travel by automatic travel while avoiding that the second work vehicle comes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boundary map.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상기 제2 작업차의 주행을 제어하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ve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second work vehicle is provided, and the travel control unit prevents the second work vehicle from coming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extension map. It is suitable if the running of the 2nd work vehicle is controlled.

본 구성에 의하면, 제2 작업차가 작업 주행 중에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이 피해진다. 이에 의해, 제2 작업차가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피하면서 작업 주행을 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작업 지원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avoided that the second work vehicle comes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extension map during work travel. Thereb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ork support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work travel while avoiding the second work vehicle from coming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boundary map.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관리 서버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if the map cre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server.

일반적으로,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용량은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3차원 위치 데이터는, 외연 맵에 비해 큰 용량을 갖게 된다.Generally, the capacity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of an object is relatively large. For this reason, the 3D position data has a larger capacity than the boundary map.

여기서, 본 구성에 의하면, 맵 생성부가 관리 서버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큰 용량을 갖는 3차원 위치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부터 제2 작업차로 보낼 필요가 없다. 또한, 관리 서버로부터 외연 맵을 제2 작업차로 보내면, 제2 작업차에 있어서 외연 맵을 이용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ap generating unit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server, there is no need to send large-capacity 3D location data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second work vehicle. In addition, if the management server sends the extension map to the second work vehicle, the extension map can be used in the second work vehicle.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제2 작업차에 있어서 외연 맵을 이용 가능함과 함께, 관리 서버로부터 제2 작업차로 보낼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비교적 작아지기 쉬운 작업 지원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ork support system in which the second work vehicle can use the external map, and the capacity of data that needs to be s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second work vehicle is relatively smal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차의 위치 정보를 경시적으로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취득 중에 상기 제1 작업차가 주행한 주행 궤적 중, 상기 포장의 외주부에 가장 가까운 요소의 집합체인 최외 궤적 요소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최외 궤적 요소군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마스킹 영역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상기 마스킹 영역의 위치 정보를 산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와, 상기 마스킹 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마스킹 처리를 행하는 마스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마스킹 처리 후의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면 적합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work vehicle over time, and a traveling trajectory along which the first work vehicle traveled during acqui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by the acquisition unit , Extrac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which is a collection of elements closes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vement, and setting the area surrounded by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as a masking area, and calcula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asking area a masking area setting unit and a masking unit that performs a masking process to remove the 3D position data included within a range of the masking area, wherein the transmitter transmits an aggregate of the 3D position data after the masking pro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It is suitable to send to

본 구성에 의하면, 마스킹 처리 후의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의 용량은, 마스킹 처리 전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송신부로부터 관리 서버로 보낼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비교적 작아지기 쉬운 작업 지원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apacity of the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after the masking process is smaller than before the masking proc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ork support system in which the capacity of data that needs to be sent from the transmitter to the management server is relatively small.

도 1은 작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예취 주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예취 주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작업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마스킹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외연 맵 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diagram of a work support system.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mbine.
3 is a plan view of a combine.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reaping run.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reaping ru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ork support system.
7 is a diagram illustrating masking processing.
8 is a diagram showing an edge map and the like.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F의 방향을 「전방」, 화살표 B의 방향을 「후방」으로 하고,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L의 방향을 「좌측」, 화살표 R의 방향을 「우측」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U의 방향을 「상방」, 화살표 D의 방향을 「하방」으로 한다.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shown in Figs. 2 and 3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is "rear",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shown in Fig. 3 is Let the direction be "left"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be "right".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U shown in FIG. 2 is "upward"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is "downward."

〔작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work support system]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제1 작업차(1)와, 제2 작업차(2)와, 관리 서버(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작업차(1)와 관리 서버(3)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작업차(2)와 관리 서버(3)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work support system A includes a first work vehicle 1, a second work vehicle 2, and a management server 3. The 1st work vehicle 1 and the management server 3 are comprised so that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2nd work vehicle 2 and the management server 3 are comprised so that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작업차(1)는, 구체적으로는, 보통형 콤바인(10)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작업차(2)는, 구체적으로는, 트랙터(4A) 및 이앙기(4B)이다.As shown in FIG. 1, the 1st work vehicle 1 in this embodiment is a normal type combine 10 specifically,. In addition, the 2nd work vehicle 2 in this embodiment is specifically, the tractor 4A and the rice transplanter 4B.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작업차(1)가 트랙터(4A)여도 되고, 제2 작업차(2)가 콤바인(10)이어도 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1st work vehicle 1 may be the tractor 4A, and the 2nd work vehicle 2 may be the combine 10.

관리 서버(3)는, 제1 작업차(1) 및 제2 작업차(2)의 외부에 위치하는 관리 시설(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다.The management server 3 is installed in a management facility (not shown) located outside the first work vehicle 1 and the second work vehicle 2 .

〔콤바인의 구성〕[composition of the combine]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기체 프레임(9), 수확부 H,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1), 운전부(12), 탈곡 장치(13), 곡립 탱크(14), 반송부(16), 곡립 배출 장치(18), 위성 측위 모듈(80)을 구비하고 있다.2 and 3, the combine 10 has a body frame 9, a harvester H, a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 11, a driving unit 12, a threshing device 13, a grain tank (14), conveyance part 16, grain discharge device 18, and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are provided.

주행 장치(11)는, 콤바인(10)의 기체에 있어서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장치(11)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콤바인(10)은, 주행 장치(11)에 의해 자주 가능하다.The travel device 11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combine 10. In addition, the traveling device 11 is driven by power from an engine (not shown). And the combine 10 is often possible by the traveling device 11.

또한, 운전부(12), 탈곡 장치(13), 곡립 탱크(14)는, 주행 장치(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12), 탈곡 장치(13), 곡립 탱크(14)는, 기체 프레임(9)에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12)에는, 콤바인(10)의 작업을 감시하는 오퍼레이터가 탑승 가능하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콤바인(10)의 기체 밖으로부터 콤바인(10)의 작업을 감시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2, the threshing device 13, and the grain tank 14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device 11. Moreover, the driving part 12, the threshing apparatus 13, and the grain tank 14 are supported by the body frame 9. An operator who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combine 10 can ride on the driver 12 . In addition, the operator may monitor the work of the combine 10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combine 10.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배출 장치(18)는, 곡립 탱크(14)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위성 측위 모듈(80)은, 운전부(1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grain discharge device 18 is provided above the grain tank 14 . Also, the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r 12 .

수확부 H는, 기체에 있어서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부(16)는, 수확부 H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확부 H는, 예취 장치(15) 및 릴(17)을 포함하고 있다.The harvesting part H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body. And the conveyance part 16 is provided in the rear side of the harvesting part H. Moreover, harvesting part H includes the reaping device 15 and the reel 17.

예취 장치(15)는, 포장(5)(도 4 참조)의 식립 곡간을 예취한다. 또한, 릴(17)은,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릴 축심(17b) 주위로 회전 구동하면서 수확 대상의 식립 곡간을 긁어들인다. 예취 장치(15)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은, 반송부(16)로 보내진다.The reaping device 15 mows the planting grain stem of the field 5 (refer FIG. 4). In addition, the reel 17 scrapes the planted grain to be harvested while rotating around the reel shaft 17b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dy. The harvested grain stalk harvested by the reaping apparatus 15 is sent to the conveyance part 16.

이 구성에 의해, 수확부 H는, 포장(5)의 작물을 수확한다. 그리고, 콤바인(10)은, 예취 장치(15)에 의해 포장(5)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면서 주행 장치(11)에 의해 주행하는 예취 주행이 가능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harvesting unit H harvests crops in the field 5 . And the combine 10 is capable of reaping travel that travels with the traveling device 11 while mowing the planted grain stem of the field 5 with the reaping device 15 .

수확부 H에 의해 수확된 예취 곡간은, 반송부(16)에 의해 기체 후방으로 반송된다. 이에 의해, 예취 곡간은 탈곡 장치(13)로 반송된다.The harvested grain stalks harvested by the harvesting unit H are conveyed to the rear of the body by the conveying unit 16 . Thereby, the harvested grain stem is conveyed to the threshing apparatus 13.

탈곡 장치(13)에 있어서, 예취 곡간은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은, 곡립 탱크(14)에 저류된다. 곡립 탱크(14)에 저류된 곡립은, 필요에 따라, 곡립 배출 장치(18)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In the threshing apparatus 13, the harvested grain stem is threshed. The grain obtained by the threshing process is stored in the grain tank 14.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tank 1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as by the grain discharge device 18 as needed.

여기서, 콤바인(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연 영역(6)의 내측에 위치하는 포장(5)에 있어서, 작물을 수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연 영역(6)은, 포장(5)을 둘러싸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연 영역(6)에는, 예를 들어 휴반(61)이나 급배수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이 포함되어 있다. 휴반(61) 및 급배수 펌프는, 모두, 본 발명에 관한 「물체」에 상당한다. 또한, 도 3에서는, 휴반(61)의 상면부가 사선의 해칭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Here,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combine 10 is configured to harvest crops in the field 5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region 6 . The outer edge region 6 is provid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package 5 .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outer edge region 6 includes, for example, a shelf 61,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ump (not shown), and the like. Both the mobile unit 61 and the water supply/drainage pump correspond to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FIG. 3,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bed board 61 is shown by oblique hatching.

콤바인(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예취 주행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예취 주행이란, 포장(5)의 외주 영역 SA에 있어서 행해지는 예취 주행이다. 또한, 외주 영역 SA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5) 내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영역이다.As shown in FIG. 4, the combine 10 is comprised so that execution of the 1st reaping run is possible. 1st reaping run is a reaping run per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area|region SA of the field 5. Note that, as shown in FIG. 5 , the outer periphery area SA is an area locat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e 5 .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예취 주행에서의 주회수는 1회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1 예취 주행에서의 주회수는, 2회 이상의 어떠한 횟수여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urns in the 1st reaping run is 1 ti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turns in the first reaping run may be any number of times of two or more.

그리고, 콤바인(10)은, 제1 예취 주행을 행한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예취 주행을 행함으로써, 포장(5)에 있어서의 예취 주행을 실행 가능하다. 제2 예취 주행이란, 제1 예취 주행 후에 외주 영역 SA보다도 내측의 작업 대상 영역 CA에 있어서 행해지는 예취 주행이다.And after performing the 1st reaping run, the combine 10 can execute the reaping run in the field 5 by performing the 2nd reaping run as shown in FIG. The second reaping run is a reaping run performed in the work target area CA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area SA after the first reaping run.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제1 예취 주행은 수동 주행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제2 예취 주행은 자동 주행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1 예취 주행은 자동 주행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또한, 제2 예취 주행은 수동 주행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1st reaping run shown in FIG. 4 is performed by manual running. In addition, the 2nd reaping run shown in FIG. 5 is performed by automatic runn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reaping run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 running. In addition, the 2nd reaping run may be performed by manual travel.

〔위치 정보의 취득에 대하여〕[About acquisition of location informa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위치 정보 취득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성 측위 모듈(80)은,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인공 위성 GS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성 측위 모듈(80)은, 수신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콤바인(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를 위치 정보 취득부(21)로 보낸다.As shown in FIG. 6, the combine 10 is equipped with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part 21. Further, as shown in Fig. 2, the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receives a GPS signal from an artificial satellite GS used i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s shown in FIG. 6, the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sends the positioning data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combine 10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part 21 based on the received GPS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성 측위 모듈(80)은, GPS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위성 측위 모듈(80)은, GPS 이외의 GNSS(GLONASS, Galileo, 미치비키, BeiDou 등)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may not use GPS. For example, the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may use GNSS (GLONASS, Galileo, Michibiki, BeiDou, etc.) other than GPS.

위치 정보 취득부(21)는, 위성 측위 모듈(80)에 의해 출력된 측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콤바인(10)의 위치 좌표(본 발명에 관한 「위치 정보」에 상당)를 경시적으로 산출한다. 이에 의해, 위치 정보 취득부(21)는, 콤바인(10)의 위치 좌표를 경시적으로 취득한다.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calculates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combine 10 (equivalent to "pos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based on the positioning data output by the satellite positioning module 80 . Thereby,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part 21 acquires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combine 10 with time.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제1 작업차(1)의 위치 좌표를 경시적으로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21)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is provided with a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that acquires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first work vehicle 1 over time.

〔취득부에 대하여〕[About Acquisition Divis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취득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취득부(81)는, 외연 영역(6) 중, 콤바인(10)의 진행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검출 대상으로 하여, 콤바인(10)의 포장(5)에서의 주행 중에, 외연 영역(6)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를 검출한다. 이에 의해, 취득부(81)는, 외연 영역(6)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ombine 10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81 . Acquisition unit 81 makes a part located ahead of the moving direction of combine 10 among the outer edge areas 6 as a detection target, and during travel in the field 5 of the combine 10, the outer edge areas 6 ) detects the 3D position of the object located at In this way, the acquisition unit 81 acquir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outer edge region 6 .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제1 작업차(1)가 포장(5)에서 한창 주행하고 있는 중에 포장(5)의 외연 영역(6)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81)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acquires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of objects located in the outer edge region 6 of the pavement 5 while the first work vehicle 1 is running on the pavement 5. A part 81 is provided.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취득부(81)는, ToF(Time of flight) 측정 방식의 측정 장치인 2차원 스캔 LiDAR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취득부(81)는, 3차원 스캔 LiDAR이어도 된다. 또한, 취득부(81)의 측정 방식은, ToF 측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레오 매칭 측정 방식 등이어도 된다.More specifically, the acquisition unit 81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wo-dimensional scan LiDAR that is a measuring device of a time of flight (ToF) measurement metho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cquisition unit 81 may be a three-dimensional scanning LiDAR. In addition,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acquisition unit 81 is not limited to the ToF measurement method, and may be a stereo matching measurement method or the like.

취득부(81)는, ToF 측정 방식의 측정 결과와, 위치 정보 취득부(21)가 취득한 콤바인(10)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전방 영역 FA(도 2 참조)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 및 높이를 나타내는 점군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 취득부(81)는, 콤바인(10)의 포장(5)에서의 주행 중에, 콤바인(10)의 진행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인 전방 영역 FA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 및 높이를 검출한다. 이에 의해, 취득부(81)는, 외연 영역(6)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Acquisition unit 81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oF measurement method and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combine 10 acquired by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the position of the object present in the front area FA (see Fig. 2) and Output point cloud data representing the height. With this structure, the acquisition unit 81 determines the position and height of an object present in the front area FA, which is an area located ahea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mbine 10, during travel on the field 5 of the combine 10. detect In this way, the acquisition unit 81 acquir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outer edge region 6 .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취득부(81)는, 외연 영역(6)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cquisition unit 81 may have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acquir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of an object located in the outer edge region 6 .

취득부(81)는, 예를 들어 외연 영역(6)에 위치하는 휴반(61)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The acquisition unit 81 acquir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of the carrying unit 61 located in the outer edge region 6, for example.

그리고, 취득부(81)가 전방 영역 FA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 및 높이를 검출하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이 포장(5)을 주행함으로써, 외연 영역(6)의 전체 둘레에 대응하는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가 취득되게 된다.Then, while the acquisition unit 81 detects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object existing in the front area FA, the combine 10 travels on the field 5 as shown in FIGS. 4 and 5, so that the outer edge area 6 ),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 is acquired.

〔마스킹 처리에 대하여〕[About the masking process]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마스킹 영역 설정부(23) 및 마스킹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23) 및 마스킹부(24)에 대하여 설명한다.As shown in FIG. 6 , the combine 10 includes a masking area setting unit 23 and a masking unit 24 . Hereinafter, the masking area setting unit 23 and the masking unit 24 will be described.

마스킹 영역 설정부(23)는, 위치 정보 취득부(21)가 취득한 콤바인(10)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콤바인(10)의 주행 궤적으로부터, 최외 궤적 요소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최외 궤적 요소군이란, 취득부(81)에 의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취득 중에 콤바인(10)이 주행한 주행 궤적 중, 포장(5)의 외주부에 가장 가까운 요소의 집합체이다.The masking area setting unit 23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from the travel locus of the combine 10 based on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combine 10 acquired by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is an aggregate of elements closes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vement 5 among the travel loci on which the combine 10 traveled during acqui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by the acquisition unit 81 .

그리고, 마스킹 영역 설정부(23)는, 최외 궤적 요소군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마스킹 영역(도 7 참조)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마스킹 영역의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Then, the masking area setting unit 23 sets the area surrounded by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as a masking area (see Fig. 7), and calculat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asking area.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취득부(81)에 의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취득 중에 제1 작업차(1)가 주행한 주행 궤적 중, 포장(5)의 외주부에 가장 가까운 요소의 집합체인 최외 궤적 요소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최외 궤적 요소군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마스킹 영역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마스킹 영역의 위치 정보를 산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23)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is an aggregate of elements closes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vement 5 among the travel trajectories along which the first work vehicle 1 traveled during the acqui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by the acquisition unit 81. A masking area setting unit 23 is provided which extract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sets an area surrounded by the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as a masking area, and calculat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asking area.

마스킹부(2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킹 처리를 행한다. 마스킹 처리란, 취득부(81)에 의해 취득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로부터, 마스킹 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처리이다. 또한, 마스킹 처리되는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는, 제1 예취 주행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동안에 취득된 것이어도 되고, 제1 예취 주행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제2 예취 주행의 도중까지의 동안에 취득된 것이어도 되고, 제1 예취 주행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제2 예취 주행의 종료 시점까지의 동안에 취득된 것이어도 된다.The masking unit 24 performs a masking process as shown in FIG. 7 . The masking process is a process of removing the 3D positional data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masking area from the aggregate of the 3D positional data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81 . In addition, the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to be masked may be obtained from the start of the first reaping to the end of the first reaping, or from the start of the first reaping to the middle of the second reaping. It may be done, or it may be obtained during the time from the start time of the 1st reaping run to the end time of the 2nd reaping run.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마스킹 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마스킹 처리를 행하는 마스킹부(24)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includes a masking unit 24 that performs masking processing to remov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included within the range of the masking area.

〔송신부 및 기억부에 대하여〕[About transmission unit and storage unit]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송신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리 서버(3)는, 기억부(31)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combine 10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22 .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 includes a storage unit 31 .

송신부(22)는, 마스킹 처리 후의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관리 서버(3)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3)가 수취한 마스킹 처리 후의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는, 기억부(31)에 기억된다. 즉, 관리 서버(3)는, 기억부(31)에 의해,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기억 가능하다.The transmission unit 22 transmits the aggregate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after the masking pro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3.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fter masking processing received by the management server 3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1 .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3 can store the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by the storage unit 31 .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취득부(81)에 의해 취득된 3차원 위치 데이터를, 3차원 위치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관리 서버(3)로 송신하는 송신부(22)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unit 22 that transmit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81 to the management server 3 capable of stor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외연 맵에 대하여〕[About the extension map]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맵 생성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맵 생성부(32)는 관리 서버(3)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work support system A includes a map creation unit 32 . The map generator 32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server 3 .

맵 생성부(32)는, 기억부(31)로부터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수취한다. 그리고, 맵 생성부(32)는,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제2 작업차(2)의 특성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써, 외연 맵 MP(도 8 참조)를 생성한다. 외연 맵 MP란, 제2 작업차(2)가 포장(5)에서 주행할 때 제2 작업차(2)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는 맵이다.The map creation unit 32 receives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from the storage unit 31 . Then, the map generator 32 generates an extension map MP (see Fig. 8) by processing the aggregate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work vehicle 2. The extension map MP is a map indicating a boundary where the second work vehicle 2 cannot menstruate when the second work vehicle 2 travels on the pavement 5.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제2 작업차(2)의 특성에 따라서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제2 작업차(2)가 포장(5)에서 주행할 때 제2 작업차(2)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는 외연 맵 MP를 생성하는 맵 생성부(32)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processes the 3-dimensional position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work vehicle 2, so that when the second work vehicle 2 travels on the pavement 5, the second work vehicle 2 ) is provided with a map generating unit 32 that generates an extension map MP indicating a boundary where borders are impossibl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작업차(1)가 포장(5)에서 작업 주행을 행한 후, 제2 작업차(2)가 포장(5)에서 작업 주행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작업차(1)가 작업 주행을 행하는 포장(5)과, 제2 작업차(2)가 작업 주행을 행하는 포장(5)은 동일하다. 또한, 제1 작업차(1)가 작업 주행을 완료하고 나서, 제2 작업차(2)가 작업 주행을 개시할 때까지의 기간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work vehicle 1 performs work travel on the field 5, and then the second work vehicle 2 performs work travel on the field 5. The pavement 5 on which the first work vehicle 1 travels is the same as the pavement 5 on which the second work vehicle 2 travel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eriod from when the first work vehicle 1 completes the work travel until the second work vehicle 2 starts the work trav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8에는, 제2 작업차(2)가 트랙터(4A)인 경우의 외연 맵 MP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예에서는, 외연 맵 MP는, 제1 경계선 M1 및 제2 경계선 M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경계선 M1 및 제2 경계선 M2는, 모두 프레임상이다. 또한, 제2 경계선 M2는 제1 경계선 M1을 둘러싸고 있다.8 shows an extension map MP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work vehicle 2 is a tractor 4A. In this example, the boundary map MP includes the first boundary line M1 and the second boundary line M2. Both the first boundary line M1 and the second boundary line M2 are frame-shaped. Also, the second boundary line M2 surrounds the first boundary line M1.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4A)는, 주행 장치(44) 및 경운 장치(45)(본 발명에 관한 「작업 장치」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경운 장치(45)는,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tractor 4A is equipped with a traveling device 44 and a tilling device 45 (corresponding to “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ling device 45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도 8에는, 제1 높이 H1이 나타내어져 있다. 제1 높이 H1은, 트랙터(4A)가 포장(5)을 주행하고 있을 때의 주행 장치(44)의 하단의 높이이다. 또한, 제1 높이 H1은, 포장(5)의 지면의 높이와 동일하다.8 shows the first height H1. The first height H1 i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44 when the tractor 4A is traveling on the field 5. In addition, the 1st height H1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ground surface of the pavement 5.

제1 경계선 M1은, 제1 높이 H1에 따라서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 중, 높이 위치가 제1 높이 H1인 3차원 위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좌표를 평면으로 보아 연결한 것이, 제1 경계선 M1이다.The first boundary line M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height H1. More specifically, among the aggregates of 3D positional data, the first boundary line M1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positional coordinates represented by the 3D positional data having a height position of the first height H1 in a plane view.

제1 경계선 M1은, 주행 장치(44)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The first boundary line M1 represents a boundary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44 cannot menstruate.

또한, 도 8에는, 제2 높이 H2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2 높이 H2는, 트랙터(4A)가 포장(5)을 주행하고 있을 때의, 상승 자세의 경운 장치(45)의 하단의 높이이다.8, the 2nd height H2 is shown. The second height H2 i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tilling device 45 in the raised posture when the tractor 4A is traveling on the field 5.

제2 경계선 M2는, 제2 높이 H2에 따라서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 중, 높이 위치가 제2 높이 H2인 3차원 위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좌표를 평면으로 보아 연결한 것이, 제2 경계선 M2이다.The second boundary line M2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height H2. More specifically, among the aggregates of 3D positional data, the second boundary line M2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positional coordinates represented by the 3D positional data having a height position of the second height H2 in a plan view.

제2 경계선 M2는, 경운 장치(45)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The second boundary line M2 represents a boundary in which the tilling device 45 cannot menstruate.

즉, 주행 장치(44)의 하단의 높이에 따라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처리함으로써, 제1 경계선 M1이 생성된다. 또한, 상승 자세의 경운 장치(45)의 하단의 높이에 따라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처리함으로써, 제2 경계선 M2가 생성된다.That is, by processing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44, the first boundary line M1 is generated. Further, the second boundary line M2 is generated by processing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tilling device 45 in the raised posture.

이와 같이, 상술한 「제2 작업차(2)의 특성」은, 구체적으로는, 제2 작업차(2)에 구비되는 경운 장치(45)의 높이이다.In this way,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work vehicle 2" is,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tilling device 45 provided in the second work vehicle 2.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맵 생성부(32)는, 경운 장치(45)의 높이 이외의 특성에 따라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처리함으로써, 외연 맵 MP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맵 생성부(32)는, 제2 작업차(2)에 있어서의 경운 장치(45) 이외의 소정 부위의 높이에 따라서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처리함으로써, 외연 맵 MP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소정 부위의 높이는, 상술한 「제2 작업차(2)의 특성」에 상당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p generating unit 32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xtension map MP by processing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e height of the tilling device 45, There may be. For example, the map generation unit 32 generates an extension map MP by processing an aggregat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according to the heights of predetermined parts other than the plowing device 45 in the second work vehicle 2. It may be configured to do so.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predetermined part corresponds to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working vehicle 2".

또한, 맵 생성부(32)는, 트랙터(4A)의 특성에 따른 외연 맵 MP뿐만 아니라, 콤바인(10)의 특성에 따른 외연 맵 MP를 생성 가능해도 되고, 이앙기(4B)의 특성에 따른 외연 맵 MP를 생성 가능해도 된다.In addition, the map generation unit 32 may be capable of generating not only the perimeter map M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ctor 4A, but also the perimeter map M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e 10, and the perimeter ma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ce transplanter 4B A map MP may be generated.

〔경로 생성부 및 주행 제어부에 대하여〕 [About route creation unit and travel control unit]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4A)는, 맵 취득부(41), 경로 생성부(42), 주행 제어부(4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tractor 4A includes a map acquisition unit 41, a path creation unit 42, and a travel control unit 43.

맵 취득부(41)는, 관리 서버(3)로부터 외연 맵 MP를 취득한다.The map acquisition unit 41 acquires the extension map MP from the management server 3 .

경로 생성부(42)는, 맵 취득부(41)가 취득한 외연 맵 MP에 기초하여, 트랙터(4A)의 자동 주행을 위한 목표 주행 경로 LI(도 8 참조)를 생성한다.The path creation unit 42 generates a target travel path LI (see Fig. 8) for automatic travel of the tractor 4A based on the external map MP acquired by the map acquisition unit 41.

경로 생성부(42)는, 트랙터(4A)가 목표 주행 경로 LI를 따라 자동 주행한 경우에 트랙터(4A)가 외연 맵 M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목표 주행 경로 LI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 생성부(42)는, 트랙터(4A)가 목표 주행 경로 LI를 따라 자동 주행한 경우에, 주행 장치(44)가 제1 경계선 M1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고, 또한, 경운 장치(45)가 제2 경계선 M2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목표 주행 경로 LI를 생성한다.The path creation unit 42 sets the target travel path LI so that the tractor 4A does not come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extension map MP when the tractor 4A automatically travels along the target travel path LI. create More specifically, the path creation unit 42 prevents the traveling device 44 from coming out of the first boundary line M1 when the tractor 4A automatically travels along the target travel path LI, and furthermore, A target travel path LI is generated so that the tiller 45 does not come out of the second boundary line M2.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트랙터(4A)의 자동 주행을 위한 목표 주행 경로 LI를 외연 맵 MP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42)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is provided with a path creation unit 42 that generates a target travel path LI for the automatic travel of the tractor 4A based on the external map MP.

주행 제어부(43)는, 트랙터(4A)가 목표 주행 경로 LI를 따라 자동 주행하도록, 트랙터(4A)의 주행을 제어한다.The travel control unit 43 controls the travel of the tractor 4A so that the tractor 4A automatically travels along the target travel path LI.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시스템 A는, 트랙터(4A)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43)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work support system A is provided with a travel control unit 43 that controls the travel of the tractor 4A.

또한, 주행 제어부(43)는, 트랙터(4A)가 외연 맵 M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트랙터(4A)의 주행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제어부(43)는, 주행 장치(44)가 제1 경계선 M1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고, 또한, 경운 장치(45)가 제2 경계선 M2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트랙터(4A)의 주행을 제어한다.Further, the travel control unit 43 controls the travel of the tractor 4A so that the tractor 4A does not go outside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outer edge map MP. More specifically, the travel control unit 43 prevents the travel device 44 from coming out of the first boundary M1 and the tilling device 45 from coming out of the second boundary M2, The driving of the tractor 4A is controlled.

또한, 이와 같은 주행 제어부(43)에 의한 주행의 제어는, 트랙터(4A)가 자동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 실행되어도 되고, 트랙터(4A)가 수동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주행 제어부(43)는, 트랙터(4A)가 수동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 외연 맵 M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올 것 같은 경우에, 트랙터(4A)의 주행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혹은, 트랙터(4A)를 주행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control of travel by the travel controller 43 may be executed when the tractor 4A is in automatic travel or may be executed when the tractor 4A is in manual travel. For example, the travel controller 43 reduces the travel speed of the tractor 4A when it is likely to come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extension map MP while the tractor 4A is manually traveling. Or,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running of the tractor 4A may be stopped.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맵 생성부(32)에 의해, 제2 작업차(2)의 특성에 따라서 외연 맵 MP가 생성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map creation unit 32 generates an extension map M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work vehicle 2 .

또한, 제1 작업차(1)의 주행 시에 3차원 위치 데이터가 취득되어 있으면, 제2 작업차(2)는, 외연 맵 MP의 생성을 위해 포장(5)을 주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작업차(2)를 위한 외연 맵 MP를 생성하기 위해 제2 작업차(2)가 포장(5)을 주행할 필요가 있는 구성에 비해, 외연 맵 MP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3D position data is acquired while the first work vehicle 1 is traveling, the second work vehicle 2 does not need to travel on the pavement 5 to generate the extension map MP. Therefore, compar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work vehicle 2 needs to travel on the pavement 5 in order to generate the outer map MP for the second work vehicle 2, the outer edge map MP can be generated efficiently. .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차의 특성에 따른 외연 맵 MP를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 작업 지원 시스템 A를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work support system A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an extension map M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vehicle.

〔그 밖의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 제1 작업차(1)는, 자동 주행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1) The 1st work vehicle 1 may be comprised so that it cannot run automatically.

(2) 제2 작업차(2)는, 자동 주행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2) The second work vehicle 2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automatically travel.

(3) 맵 생성부(32)는, 제1 작업차(1)에 구비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작업차(2)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3) The map generator 32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work vehicle 1 o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work vehicle 2.

(4) 마스킹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4)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masking processing may not be performed.

(5) 제1 작업차(1)와 제2 작업차(2)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작업차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작업차(1)와 제2 작업차(2)가 모두 콤바인(10)이어도 된다.(5) The first work vehicle 1 and the second work vehicle 2 may be the same type of work vehicle. For example, the combine 10 may be sufficient as both the 1st work vehicle 1 and the 2nd work vehicle 2.

(6) 제1 작업차(1) 및 제2 작업차(2)는, 어떠한 종류의 작업차여도 된다.(6) The first work vehicle 1 and the second work vehicle 2 may be any kind of work vehicle.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다른 실시 형태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cluding other embodiments,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a configuration disclosed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no contradiction occur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작업차를 사용한 작업을 지원하는 작업 지원 시스템에 이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work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work using a work vehicle.

1: 제1 작업차
2: 제2 작업차
3: 관리 서버
5: 포장
6: 외연 영역
21: 위치 정보 취득부
22: 송신부
23: 마스킹 영역 설정부
24: 마스킹부
32: 맵 생성부
42: 경로 생성부
43: 주행 제어부
45: 경운 장치(작업 장치)
61: 휴반(물체)
81: 취득부
A: 작업 지원 시스템
LI: 목표 주행 경로
MP: 외연 맵
1: 1st working car
2: 2nd working car
3: management server
5: Packing
6: extrinsic region
21: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2: transmitter
23: masking area setting unit
24: masking unit
32: map generator
42: path generation unit
43: driving control unit
45 tillage device (work device)
61: Heuban (object)
81: acquisition unit
A: Job support system
LI: target driving path
MP: extension map

Claims (6)

제1 작업차가 포장에서 한창 주행하고 있는 중에 상기 포장의 외연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제2 작업차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포장에서 주행할 때 상기 제2 작업차가 월경 불가능한 경계를 나타내는 외연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를 구비하는, 작업 지원 시스템.
A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ree-dimensional positional data of an object located in an outer edge area of the pavement while the first work vehicle is running on the pavement;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3-dimensional position data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to a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storing the 3-dimensional position data;
By processing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work vehicle, the second work vehicle has a map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n outer boundary map indicating a boundary where the second work vehicle cannot cross the road when the second work vehicle travels on the pavement.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제2 작업차에 구비되는 작업 장치의 높이인, 작업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acteristic is a height of a work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work vehicle, the work support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차의 자동 주행을 위한 목표 주행 경로를 상기 외연 맵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목표 주행 경로를 따라 자동 주행한 경우에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상기 목표 주행 경로를 생성하는, 작업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ath generator for generating a target driving path for automatic driving of the second work vehicle based on the external map;
The path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target driving path so that the second working vehicle does not come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boundary map when the second working vehicle automatically travels along the target driving path. work support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제2 작업차가 상기 외연 맵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계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상기 제2 작업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작업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rave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vel of the second work vehicle,
The work support system, wherein the travel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vel of the second work vehicle so that the second work vehicle does not come out of the boundary indicated by the outer edge ma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관리 서버에 구비되어 있는, 작업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p gener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server, the work support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차의 위치 정보를 경시적으로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취득 중에 상기 제1 작업차가 주행한 주행 궤적 중, 상기 포장의 외주부에 가장 가까운 요소의 집합체인 최외 궤적 요소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최외 궤적 요소군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마스킹 영역으로서 설정함과 함께, 상기 마스킹 영역의 위치 정보를 산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와,
상기 마스킹 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마스킹 처리를 행하는 마스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마스킹 처리 후의 상기 3차원 위치 데이터의 집합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작업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work vehicle over time;
Extra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n outermost locus element group, which is an aggregate of elements closes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vement, among the travel loci traveled by the first work vehicle during the acqui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by the acquisition unit, and the outermost locus element a masking area setting unit that sets an area surrounded by groups as a masking area and calculat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asking area;
a masking unit for performing a masking process to remov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included within the range of the masking area;
wherein the transmitter transmits the aggregate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after the masking pro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KR1020220070035A 2021-06-28 2022-06-09 Work support system KR2023000151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6515A JP2023004672A (en) 2021-06-28 2021-06-28 Work support system
JPJP-P-2021-106515 2021-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15A true KR20230001515A (en) 2023-01-04

Family

ID=8484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035A KR20230001515A (en) 2021-06-28 2022-06-09 Work support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04672A (en)
KR (1) KR20230001515A (en)
CN (1) CN11559908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6983A (en) 2017-12-18 2019-07-04 株式会社クボタ Agricultural work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6983A (en) 2017-12-18 2019-07-04 株式会社クボタ Agricultural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99087A (en) 2023-01-13
JP2023004672A (en)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7409A1 (en) Agricultural work machine
CN112601448A (en) Harvester, surrounding situation detection system, surrounding situation detec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surrounding situation detection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surrounding situation detection method
CN112585424A (en) Outline shape calculation system, outline shape calculation method, outline shape calcul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containing outline shape calculation program, field map creation system, field map cre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containing field map creation program, and field map creation method
JP7353796B2 (en) Automated driving system for work vehicles
JP6956620B2 (en) Travel route generation system and field work vehicle
WO2020218464A1 (en) Harvester, obstacle determin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on which obstacle determination program is recorded, obstacle determination method, agricultural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on which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nd control method
JP2019114138A (en) Farm work supporting system
KR20230001515A (en) Work support system
KR20230107116A (en) Driving control system
WO2022124001A1 (en) Agricultural work machine, agricultural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on which agricultural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nd agricultural work machine control method
KR20230001512A (en) Work support system
JP7423443B2 (en) harvester
KR20230001514A (en) Work support system
KR20220142373A (en) Path generating system
JP2023097980A (en) Traveling management system
JP2024076610A (en) Work vehicle
WO2023127557A1 (en) Agricultural machine, sensing system used in agricultural machine, and sensing method
WO2024004782A1 (en) Travel route management system
WO2024004785A1 (en) Machine body control system
WO2024004881A1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delivery vehicle
JP2023097981A (en) system
KR20220142374A (en) Driving management system
WO2023238827A1 (en)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
KR20230114263A (en) Pavement map generation system, pavement work vehicle, pavement map generation method, pavement map gene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23127556A1 (en) Agricultural machine, sensing system for use in agricultural machine, and sen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