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49U - 다기능 가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49U
KR20230001449U KR2020220000058U KR20220000058U KR20230001449U KR 20230001449 U KR20230001449 U KR 20230001449U KR 2020220000058 U KR2020220000058 U KR 2020220000058U KR 20220000058 U KR20220000058 U KR 20220000058U KR 20230001449 U KR20230001449 U KR 202300014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rame
top plate
support
multifunctional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숙
Original Assignee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숙 filed Critical 박미숙
Priority to KR2020220000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449U/ko
Publication of KR20230001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49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7Back supports, e.g. for sitting in b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테이블상판과, 상기 테이블상판이 지지되는 테이블프레임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테이블다리들을 가지는 테이블수단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상단모서리부위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서 상기 테이블수단측 방향의 테두리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상판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다리들을 가지는 등받이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가구{A multifunctional furniture}
본 고안은,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펼치거나 접어서 선택적인 가변을 통해 평상, 탁자, 침상 및 의자 등으로 변환시켜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을 통해 휴양지나 여행지로 이동하여 야와레저활동을 하는 캠핑문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야외활동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각종 가구들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데, 야외용 식탁, 야외용 의자, 야외용 탁자 등과 같이, 절첩되어 보관 및 휴대시 점유공간을 줄이도록 된 다양한 기능성 가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야외용 테이블은, 통상 의자와 상판이 각각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이들 연결링크를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휴대하기에 용이하고 펼쳐 사용하기 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을 의자로부터 분리하거나 의자와 상판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 휴대용 테이블이 야외에서 물품의 거치 용도뿐만 아니라 식탁, 취사대, 독서대 또는 작업대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72104호(명칭: 조립식 가구/2019.12.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판부재를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수개의 상판부재 변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엮어, 상기 다수개의 상판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상판부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리부를 관통하며, 양단이 맞물리도록 결합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X형상인 링크 프레임이 한쌍으로 구비되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링크 프레임에 각각 끼움 삽입되는 수평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한쌍의 링크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도록 제1조립홈이 형성되는 제1조립바; 및 상기 한쌍의 링크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조립되도록 제2조립홈이 형성되는 제2조립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바 및 제2조립바가 조립되도록 각각 제3조립홈 및 제4조립홈이 형성되는 조립식 가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좌판플레이트과 다리프레임을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고 야외 활동시에 레져용으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간이의자 또는 간이테이블로도 적용되는 야외용 가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8454호(명칭: 테이블 겸용 착탈식 간이 의자/2011.10.24.)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좌판과 다리를 분리하여 착탈이 가능하고 좌판을 연이어 연결하여 테이블로도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겸용 착탈식 간이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플레이트와, 상기 좌판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삽설 구비되어 상기 좌판플레이트가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좌판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슬리이딩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이딩 요홈에는 상기 좌판플레이트를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부재가 삽설 구비되는 테이블 겸용 착탈식 간이 의자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72104호(2019.12.2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8454호(2011.10.24.)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기능 가구들은, 선택된 크기의 테이블 또는 의자 등으로의 전환만 가능하게 됨에 따라,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택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테이블 및 의자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기능의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펼치거나 접어서 선택적인 가변을 통해 평상, 탁자, 침상 및 의자 등으로 변환시켜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특히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다기능 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가구는, 테이블상판과, 상기 테이블상판이 지지되는 테이블프레임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테이블다리들을 가지는 테이블수단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상단모서리부위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서 상기 테이블수단측 방향의 테두리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상판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다리들을 가지는 등받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상판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상 경사각도를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가구는, 보관 및 휴대할 때에는, 각각의 테이블수단과 등받이수단이 축결합된 상단모서리부위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테이블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을 접어 각각의 테이블상판과 등받이상판이 서로 면접촉하도록 하여 그 점유공간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사용처에서 평상, 탁자 등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테이블수단과 등받이수단이 축결합된 상단모서리부위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테이블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을 펼쳐 각각의 테이블상판과 등받이상판이 서로 수평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각각의 테이블상판과 등받이상판의 상면들을 작업공간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등받이상판이 등받이프레임상에서 회전하여 수평상 경사각도를 형성하면서 사용자가 테이블상판을 좌석으로 적용할 때, 등을 받혀주도록 됨에 따라, 침상 및 의자 등으로 변환시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의 의자, 침대, 평상, 탁자 형태의 변환에 대한 사용상태 일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의 운반가능한 형태의 변환에 대한 일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의 형태 변환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는, 특히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펼치거나 접어서 선택적인 가변을 통해 평상, 탁자, 침상 및 의자 등으로 변환시켜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는, 테이블상판과, 상기 테이블상판(21)이 지지되는 테이블프레임(22)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2)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테이블다리(23)들을 가지는 테이블수단(2)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2)의 상단모서리부위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프레임(32)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서 상기 테이블수단(2)측 방향의 테두리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상판(31)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다리(33)들을 가지는 등받이수단(3);을 포함한다.
즉, 각각의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이 축결합된 상단모서리부위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상기 테이블프레임(22)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을 접어 각각의 상기 테이블상판(21)과 상기 등받이상판(31)이 서로 면접촉하도록 하여 그 점유공간을 줄이게 된다.
그리고 사용처(야외)에서 평상, 탁자 등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이 축결합된 상단모서리부위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상기 테이블프레임(22)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을 펼쳐 각각의 상기 테이블상판(21)과 상기 등받이상판(31)이 서로 수평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각각의 상기 테이블상판(21)과 상기 등받이상판(31)의 상면들을 작업공간으로 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테이블프레임(22)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는, 서로 맞춤되면서 각각의 결속상태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된 주잠금요소(41)들이 각각 구비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주잠금요소(41)들의 잠금 및 해제구동을 통해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의 결속상태를 선택적으로 잠금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의 결속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지 않아, 보관 및 휴대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테이블프레임(22) 또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5)를 통해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이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잡고 휴대 및 운반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주잠금요소(41)들의 구성 및 구조는, '고리요소' 와 '걸고리요소'의 결합구성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잠금요소(41)들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테이블다리(23)는, 상기 테이블프레임(22)의 내측하단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되,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지 않는 '걸림요소'(42)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테이블프레임(22)에 대한 상기 테이블다리(23)의 절첩구성 및 절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등받이다리(33)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2)의 내측하단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되,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지 않는 '걸림요소'(42)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 대한 상기 등받이다리(33)의 절첩구성 및 절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절첩구성 및 절첩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에서, 상기 등받이상판(31)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2)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상 경사각도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받이상판(31)이 상기 등받이프레임상(32)에서 회전하여 수평상 경사각도를 형성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상판(21)을 좌석으로 적용할 때, 등을 받혀주게 된다.
이에 따라, 침상 및 의자 등으로 변환시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등받이상판(31)의 저면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의 사이에는, 상기 등받이상판(31)을 지지하여 받침하도록 된 지지수단(6);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수단(6)을 통해 상기 등받이상판(3)의 선택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배치된 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의자 또는 침상으로의 사용시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수단(6)은, 일측의 프레임고정단(321)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등받이고정단(311)은 상기 등받이상판(31)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래치기어들이 배열형성된 래치링크(61)와; 일측이 가동단은 상기 등받이상판(31)에서 상기 등받이고정단(311)과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축회전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종동단에는 상기 래치기어들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지면서 걸림되면서 상기 래치링크(6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된 걸림부재(63)가 구비되는 지지링크(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상판(31)이 상기 등받이프레임(32)에 대하여 축회전운동할 때, 상기 걸림부재(63)가 상기 래치링크(61)상에서 안내되면서 상기 지지링크(62)가 상기 래치링크(61)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면서 축회전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링크(62)가 상기 등받이상판(31)을 지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등받이상판(31)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링크(62)의 경사각도가 맞춤되면서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수단(6)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에서, 상기 테이블상판(21)은, 길이를 가지며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22)에 각각 고정구비되는 다수의 고정판넬(211)들과; 상기 고정판넬(211)들의 각각의 간격들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가변판넬(212);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프레임(22)상에서 상기 가변판넬(212)들이 상기 고정판넬(211)들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테이블상판(21)의 전체 길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조절하여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테이블상판(21)의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변판넬(212)들의 각각의 선단들은, 연결측판프레임(24)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연결측판프레임(24)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임의로 유동시켜 다수의 상기 가변판넬(212)들을 통시에 직선운동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측판프레임(24)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1)에는, 서로 맞춤되면서 각각의 결속상태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된 보조잠금요소(43)들이 각각 구비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보조잠금요소(43)들의 잠금 및 해제구동을 통해 상기 연결측판프레임(24)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2)의 결속상태를 선택적으로 잠금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측판프레임(24)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2)의 결속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지 않아, 보관 및 휴대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연결측판프레임(24)에는,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보조다리(25)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측판프레임(24)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임의로 유동시켜 다수의 상기 가변판넬(212)들이 상기 테이블프레임(21)의 외측으로 펼쳐진 경우에, 상기 보조다리(25)들이 바닥에 대하여 상기 가변판넬(212)들의 선단을 지지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다리(25)들은, 상기 연결측판프레임(24)의 내측하단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되, 접혀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지 않는 '걸림요소'(42)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측판프레임(24)에 대한 상기 보조다리의 절첩구성 및 절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절첩구성 및 절첩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은, 상기 테이블상판(21)과 상기 등받이상판(31)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패드(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상판(21)과 상기 등받이상판(31)의 상부에 상기 상부패드(7)가 적층되어 불규칙한 표면을 제거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락하게 눕거나 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패드(7)는, 섬유직물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탄성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가구(1)은, 상기 테이블수단(2)과 상기 등받이수단(3)이 축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테이블프레임(22)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2)이 접히거나 펼쳐져 각각의 상기 테이블상판(21)과 상기 등받이상판(31)이 서로 면접촉하게 접히거나 서로 수평적으로 연결되도록 펼쳐지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다기능 가구
2 : 테이블수단 21 : 테이블상판
211 : 고정판넬 212 : 가변판넬
22 : 테이블프레임 23 : 테이블다리
24 : 연결측판프레임 25 : 보조다리
3 : 등받이수단 31 : 등받이상판
311 : 등받이고정단 32 : 등받이프레임
321 : 프레임고정단 33 : 등받이다리
41 : 주잠금요소 42 : 걸림요소
43 : 보조잠금요소 5 : 손잡이
6 : 지지수단 61 : 래치랭크
62 : 지지링크 63 : 걸림부재
7 : 상부패드

Claims (2)

  1. 테이블상판과, 상기 테이블상판이 지지되는 테이블프레임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테이블다리들을 가지는 테이블수단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상단모서리부위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서 상기 테이블수단측 방향의 테두리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상판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다리들을 가지는 등받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상판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상 경사각도를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구.
KR2020220000058U 2022-01-10 2022-01-10 다기능 가구 KR202300014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58U KR20230001449U (ko) 2022-01-10 2022-01-10 다기능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58U KR20230001449U (ko) 2022-01-10 2022-01-10 다기능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49U true KR20230001449U (ko) 2023-07-18

Family

ID=8742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58U KR20230001449U (ko) 2022-01-10 2022-01-10 다기능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44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454A (ko) 2010-03-29 2011-10-06 권순표 재배열 체인 코드 기반 영상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454A (ko) 2010-03-29 2011-10-06 권순표 재배열 체인 코드 기반 영상 검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125B2 (en) Convertible bench table with magnetic locks
US6296304B1 (en) Inclined back support arrangement for folding furniture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US7416248B2 (en) Adjustable configuration seating
US6145716A (en) Combination backpack and folding chair
US6364411B1 (en) Foldable chair with utility side desk
CN103431653B (zh) 桌凳一体化椅
US8333428B2 (en) Foldable chair with side table
US20110316312A1 (en) Combination bench and table
CA2997151A1 (en) Folding x-frame chair with extended backrest
US11234525B1 (en) Folding chair
CN203483106U (zh) 桌凳一体化椅
US4354437A (en) Support structure for folding tables and like structures
JP2000225033A (ja) 着脱自在なテーブルが一体的に備えられた折り畳み式椅子
PL202172B1 (pl) Przekształcalny mebel
KR20180124104A (ko) 다용도 접이식 가구
KR20130001825U (ko) 접이식 테이블
KR100917255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KR20230001449U (ko) 다기능 가구
US4960303A (en) Folding table and seat assembly
US9039106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base and modular applications including armchairs, tables, and storage cabinets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CN112641231B (zh) 一种便携式餐桌
JPH1094449A (ja) 折り畳み式支持面付き着座器具
CN212325780U (zh) 一种帐篷的吧台桌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