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22U - 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 - Google Patents

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22U
KR20230001422U KR2020220002919U KR20220002919U KR20230001422U KR 20230001422 U KR20230001422 U KR 20230001422U KR 2020220002919 U KR2020220002919 U KR 2020220002919U KR 20220002919 U KR20220002919 U KR 20220002919U KR 20230001422 U KR20230001422 U KR 20230001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terminal
housing
conne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9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융쥬인 다이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순디디 컴퍼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순디디 컴퍼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순디디 컴퍼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1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2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기 부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되어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의 개폐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를 통해 제2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에 회전 연결됨으로써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실현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mobile terminal compon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ogether with a folder type mobile terminal to protect it.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clud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nd a connecting member,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sed to protect two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respectively, and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through one connecting member.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thereby realizing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folded or deployed together with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기 부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mobile terminal component technology, and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는 접거나 전개할 수 있는 신형의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로, 플렉시블 스크린 등 기술이 성숙해짐에 따라 시중에는 이미 점점 더 많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 단말기 시장의 주류는 여전히 전통적인 보드형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이며, 보드형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보호 케이스는 시장에도 부족하다.A foldable mobile terminal is a new type of smart mobile terminal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As technologies such as flexible screens mature, more and more foldable mobile terminals have begun to appear on the market. However, the current mainstream of the mobile terminal market is still the traditional board-type smart mobile terminal, and the protection case for the board-type smart mobile terminal is not applied to the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so the protective case applied to the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is also insufficient in the market.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1057호(2021.05.0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51057 (2021.05.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8030호(2021.08.1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98030 (2021.08.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990호(2013.03.14.)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5990 (2013.03.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8712호(2013.12.3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48712 (2013.12.31.)

본 고안은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is not suitable for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본 고안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되어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각각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의 개폐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각각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된다.A solution to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that can be folded or deployed together with a folder type mobile terminal to protect it.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clud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nd a connecting member,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sed to protect two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respectively, and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through one connecting member.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와 협동하는 협동부가 설치된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 cooperative portion that cooperates wit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협동부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와 각각회전 연결되고, 또는, 상기 본체는 회전 연결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에는 상기 연결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협동부와 연결된다.Preferably,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each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operation portion, or,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ly connected or detachably connected first connecting section and second connecting section Including,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operation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는 분체형으로 설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정된다.Preferably,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set in a powdery or integral ty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위치 제한 단면이 설치되거나 상기 연결 부재에는 위치 제한 부재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제한 단면 또는 위치 제한 부재는 제1 연결부가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과 협동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 또는 외벽에 맞닿는다.Preferably, a position limiting end face is installed at one end far from the main body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or a position limiting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mounted to the first frame and/or the second frame. In this case,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or position limiting member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r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corresponding first frame and/or second frame in cooperation with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remote from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Preferably,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side fram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벽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벽에는 모두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 회피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및/또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외벽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벽에는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하여 회피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Preferably, a position avoidance area is provided on bo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frame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or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rame. An avoidance area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1 프레임의 각 측면 프레임체와 제2 프레임의 각 측면 프레임체를 연결하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층은 투명한 보호층 또는 불투명한 보호층이다.Preferably, a protective layer connecting each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and each side frame body of the second frame is installed 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protect the rear surfac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 The protective layer i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or an opaque protective lay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 범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의 개폐 부분의 접힘 각도와 일치한다.Preferably, rotation rang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oincide with the folding angles of the two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 범위는 0°내지 180°이다.Preferably,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0° to 180°.

본 고안의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1.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를 통해 제2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됨으로써,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실현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당겨 중부 영역으로 향하는 당김력을 가하여,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가 예기치 않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종래의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에 로고(Logo)를 설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 부재를 설치하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를 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에 대응하여 이러한 공간 회피 설정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에서 서로 압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opposite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two opposite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thereby realizing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folded or deployed together with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serves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from being unexpectedly removed by pull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pplying a pulling force toward the central region. 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terminal prefers to install a logo on the chuck part of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mobile terminal case 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covering the chu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user's experience. Also, corresponding to the chu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such a space avoidance setting can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an unfolded state.

2. 본 고안에서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협동부와 연결 부재에 있는 연결부의 상호 협동을 통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의 연결을 실현한다. 이 설계는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과 조립에 편리하고,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realizes the connection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on part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cooperation part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This design has a simple structure, convenient production and assembly,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3. 본 고안에서 연결부와 상기 협동부의 협동을 통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 있고, 본체를 설계함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구조 양식이 다양하여,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적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유리하다.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cooperation part, and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an be realized by designing the main body, and the structural form is It is advantageous to enrich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4. 본 고안에서 본체와 연결부는 분체형으로 설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설계는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적 다양성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다.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may be set in a powder type or integral type. This design can further enrich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5. 본 고안에서 연결 부재는 위치 제한 단면을 통해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과 조일 수 있어, 연결 부재가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연결 안정성을 강화한다. 또한, 연결 부재의 설치 방향이 다름에 따라 위치 제한 단면은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부 벽 또는 외부 벽에 맞닿아 조임 동작을 완성할 수 있다. 이 설계는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적 다양성을 더 풍부하게 하는데 유리하다.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tightened with the first frame and/or the second frame through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preventing the connecting member from unexpectedly falling off, and enhancing the connection st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 addition, a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different,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r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and/or the second frame to complete the tightening operation. This design is advantageous for further enriching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6. 본 고안에서 제1 연결부의 길이는 제1 프레임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 및 제2프레임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 이 설계는 연결부의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가까운 일단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너무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가 사용 중에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접촉하여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 표면을 긁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side frame body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rame side frame body. This desig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end close to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of the connecting portion from approaching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too much, and there is no situa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contacts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and scrat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during use. make sure it doesn't happen

7.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외부 벽에 있는 위치 회피 영역은 연결 부재에 대해 위치 회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된 연결 부재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잡을 때의 감촉에 영향을 주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내부 벽에 있는 위치 회피 영역은 회전 부재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간격을 더 넓혀 연결부가 모바일 단말기에 긁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voidance area on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an avoi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mounted connection member from protruding outward and holding the mobile terminal. It affects the feeling of touch and can reduce the overall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 addition, the location avoidance area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further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not scratched by the mobile terminal.

8.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뒷면에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층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의 충격 방지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의 보호층과 제2 프레임의 보호층은 투명한 보호층일 수 있다. 이 설계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보호 케이스를 설치한 경우에도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 원래의 설계가 드러나도록 한다. 또한,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뒷면 디스플레이가 있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본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범용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8.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layer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protective layer protects the ba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o prevent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cratched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hock to the mobile terminal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of the first frame and the protective layer of the second frame may b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s. This design allows the original design of the back sid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o be revealed even when a protective case is installed on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by applying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to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having a rear display,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versatil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case.

9.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회전 범위는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범위에 일치하여 범용성이 강하다.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oincides with the rotation range of the mobile terminal, so the versatility is strong.

10.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회전 범위는 0°내지 180°로 회전 범위가 넓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에 완벽하게 협동할 수 있다.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ng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0° to 180°, and the rotation range is wide, which can perfectly cooperate with the us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라면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연결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연결 부재의 다른 시각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technical solu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the accompanying drawings requir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r the prior art. Obviously,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below are on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obtain other drawings based on these drawings under the premise that creative labor is not performed.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provided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기술 방안과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조합하여 본 고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을 해석하는 데 사용될 뿐 본 고안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In order to make the purpose, technical solution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combin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only used to interpret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고정"된다고 지칭되는 경우, 그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존재하거나 중간에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다고 지칭되는 경우, 그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에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직인", "수평인", "좌", "우" 및 유사한 표현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fix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element or intervening elements may be presen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r intervening elements may coexist. The terms “vertical,” “horizontal,” “left,” “right,” and similar expressions used herein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본 고안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 "정상", "바닥", "내", "외", "중", "수직", "수평", "가로", "세로"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표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용어는 주로 본 고안과 그 실시예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지정된 장치, 요소 또는 구성 부분이 특정 방위를 가지거나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해야 한다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p", "bottom", "left", "right", "front", "after", "top", "bottom", "inside", "outside", "middle", "vertical" , "horizontal", "horizontal", "vertical" and the like indicate the orienta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orienta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terms are primarily intended to better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at a designated device, element or component must have a specific orientation or be configured and operated in a specific orientation.

또한, 상술한 일부 용어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 "위"는 특정 상황에 따라 특정 종속성 또는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의 경우, 본 고안에서 이러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Also, some of the terms mentioned above may be used to indicate orienta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other meanings. For example, the term "above" can be used to indicate a particular dependency or connection depending on the particular context.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pecific meaning of these term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또한, 용어 "장착", "설정", "설치", "연결", "서로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부착 가능한 연결 또는 전체적인 구조일 수 있고,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다. 직접 연결하거나 중간 매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거나 두 장치, 요소 또는 구성 부분 사이의 내부 연결이 될 수 있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의 경우, 본 고안에서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Also, the terms "mounting", "setting", "installation", "connection", and "interconnection" should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For example, it may be a fixed connection, a detachable connection or an overall structure, and may be a mechan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 connection. It can be a direct connection,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or an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elements or compon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본 고안에서 제1실시예는, 도 1과 도 2를 조합하여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됨에 따라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를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제1 하우징(1), 제2 하우징(2) 및 연결 부재(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 및 상기 제2 하우징(2)은 각각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의 개폐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하우징(1) 및 상기 제2 하우징(2)은 각각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11)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3)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21)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combines FIGS. 1 and 2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100 that can protect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as it is folded or deployed.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cludes a first housing 1, a second housing 2 and a connecting member 3, and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are each a foldable mobile. Used to protect the two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terminal,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each have a first frame 11 and a second frame 21, the first frame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11) are rotationally connected with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21 through a connecting member 3, respectively.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11)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를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3)를 통해 제2 프레임(21)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함으로써,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 사이의 상대 회전을 실현하여,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는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을 당겨 내부로 향하는 당김력을 가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가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종래의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에 로고를 설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의 측면에 연결 부재(3)를 설치하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를 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에 대응하여 이러한 공간 회피 설정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이 전개된 상태에서 서로 압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rotationally connecting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11 to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21 through one connecting member 3, the first frame 11 and It can be appreciated that by realiz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second frames 21,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can be folded or deployed together with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3 serves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from unexpectedly falling off by pulling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and applying a pulling force toward the inside. . 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terminal prefers to install a logo on the chuck part of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the connection member 3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By install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from covering the chu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chu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such a space avoidance setting can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the unfolded stat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를 감싸는 측면 프레임체를 둘러싸고 있다. 이 설계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의 감싸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보호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surround the side frame body surrounding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design can secure the area surrounding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for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and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there is.

본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는 상하로 개폐되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도 간단한 변환을 통해 좌우로 개폐되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에 있어서, 양자는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that opens and closes vertically. In another embodiment, it can be applied to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that opens and closes left and right through a simple convers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is not substantially different.

또한,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 내에 정의된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의 용적 크기는 모바일 단말기의 부피 크기보다 약간 작다. 이 설계는 모바일 단말기를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에 넣은 후, 모바일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를 팽팽하게 하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가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volume size of the accommodating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mobile terminal defined i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volum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design, after putting the mobile terminal into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the mobile terminal tightens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from unexpectedly falling off,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case from falling off unexpectedly. (100) improve the operational stabilit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폐부에 대응하며, 각각 하나의 수용 캐비티를 정의하고, 2개의 수용 캐비티는 서로 협동하여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를 공동으로 수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correspond to the two openings and closing parts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each defining an accommodating cavity, and the two accommodating cavit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can be jointly accommodated.

또한,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에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측면 프레임체의 버튼에 대응하여 보조 버튼이 설치되고,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측면 프레임체의 포트 및 스피커에 대응하여 위치 회피 구멍이 설치된다. 이 설계는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측면 프레임체의 포트와 스피커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조 버튼은 사용자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측면 프레임체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auxiliary buttons are installed in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to correspond to buttons on the side fram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nd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ports and speakers on the side fram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voidance holes are installed. This design can prevent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from interfering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orts and speakers of the side fram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buttons allow the user to press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t can assist in manipulating buttons on the side frame body to improve user experience.

도 1, 도 3 및 도 4를 조합하면, 상기 연결 부재(3)는 본체(31) 및 상기 본체(31)에 설치된 연결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상기 제2 프레임(21)에는 상기 연결부(32)와 협동하기 위한 협동부(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는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21)에 있는 협동부(4)와 연결 부재(3)에 있는 연결부(32)의 협동을 통해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21) 및 연결부(32)의 연결을 실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설계는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과 조립이 편리하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Combining FIGS. 1, 3 and 4, the connecting member 3 includes a main body 31 and a connecting portion 32 installed on the main body 31, and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The frame 21 is provided with cooperative parts 4 for cooperating with the connecting parts 32, respectively.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fram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cooperation part 4 in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and the connection part 32 in the connection member 3 (11), it can be understood as realizing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frame 2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2. This design has a simple structure, convenient production and assembly,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은 각각 상기 연결부(32)와 상기 협동부(4)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3)와 회전 연결된다. 또는, 상기 본체(31)는 회전 연결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32)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협동부와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연결부(32)와 상기 협동부(4)의 협동을 통해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의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 있고, 본체(31)에 대한 설계를 통해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의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구조 양식이 다양하여,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구조적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유리하다.Optionally,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 via the connecting portion 32 and the cooperative portion 4,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main body 31 includes a first connection s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section connected by rotation or detachably, and the connection part 32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The connection part 32 is connected to the cooperative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can be realiz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connecting part 32 and the cooperative part 4, and through the design of the main body 31, Rota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can be realized, and the structural form is diverse, which is advantageous in enriching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은 각각 연결부(32)와 협동부(4)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3)와 회전 연결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 via the connecting portion 32 and the cooperative portion 4, respectively.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을 힌지와 같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 양식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그 다음, 제1 연결섹션과 제2 연결섹션이 그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을 다시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과 각각 연결시킨다. 이러한 구조 양식에서 제1 연결섹션 및 제2의 연결섹션에 연결부(32)를 설정하지 않고,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에 직접 접착하거나 용접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may be set in a relatively rotatable structural form such as a hinge, and then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are reconnected to one end away from the connection area.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respectively. In this structural form,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direct bonding or welding to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without setting the connection parts 32 to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선택적으로, 본체(31)와 상기 연결부(32)는 분체형으로 설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정된다. 이 설계는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구조적 다양성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다.Optionally, the main body 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2 are set to be powdery or integral. This design can further enrich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본체(31)와 상기 연결부(32)는 일체형으로 설정된다. 이 설계를 통해 연결 부재(3)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2 are integrally set. Through this design, the production cost of the connecting member 3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제1연결부(32)가 본체(31)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위치 제한 단면(321)이 설치되거나 상기 연결 부재(3)는 위치 제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3)가 상기 제1 프레임(11) 및/또는 제2 프레임(2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제한 단면(321) 또는 위치 제한 부재는 제1 연결부(32)가 본체(31)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과 협동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1 프레임(11) 및/또는 제2 프레임(21)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 또는 외벽에 맞닿는다.In addition, a position limiting end face 321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far from the main body 31, or the connection member 3 further includes a position limiting member. When the connecting member 3 is mounted to the first frame 11 and/or the second frame 21,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321 or the position limiting member is such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 )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r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corresponding first frame 11 and/or second frame 21 in cooperation with one end far from ).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은 각각 3개의 측면 프레임체를 포함하고, 3개의 측면 프레임체는 U자형 중공구조를 형성하며, 2개의 U자형 중공구조는 상대적으로 둘러싸여 ㅁ자형 또는 O자형 중공구조를 형성하여,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에서 상기 중공구조와 직접 연결되는 쪽을 내부 벽으로 정의한다. 즉, 6개의 내부 벽이 둘러싸여 상기 ㅁ자형 또는 O자형 중공구조를 형성하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에서 내부 벽을 등진 쪽을 외부 벽으로 정의한다.Specifically,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each include three side frame bodies, the three side frame bodies form a U-shaped hollow structure, and the two U-shaped hollow structures are relatively By forming a square-shaped or O-shaped hollow structure by being surrounded, the side directly connected to the hollow structure in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is defined as an inner wall. That is, the six inner walls are surrounded to form the square-shaped or O-shaped hollow structure, and the outer wall is defined as the side facing the inner wall in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본 고안의 연결 부재(3)는 위치 제한 단면(321)을 통해 제1 프레임(11) 및/또는 제2 프레임(21)과 조일 수 있어, 연결 부재(3)가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연결 안정성을 강화한다. 또한, 연결 부재(3)의 장착 방향이 다름에 따라 위치 제한 단면(321)은 제1 프레임(11) 및/또는 제2 프레임(21)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부 벽 또는 외부 벽에 맞닿아 조임 동작을 완성할 수 있다. 이 설계는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구조적 다양성을 더 풍부하게 하는데 유리하다.The connecting memb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ightened with the first frame 11 and/or the second frame 21 through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321, preventing the connecting member 3 from unexpectedly falling off. , Strengthen the connection st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In addition, as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 is different,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321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11 and/or the second frame 21 and is tightened. action can be completed. This design is advantageous for further enriching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는 측면 프레임체의 외부 벽에서 내부 벽을 향해 장착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연결 부재(3)의 본체(31)는 측면 프레임체의 외부 벽에 노출되고, 위치 제한 단면(321)은 측면 프레임체의 내부 벽에 맞닿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는 측면 프레임체의 내부 벽에서 밖으로 향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본체(31)는 측면 프레임체의 내부 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변하고, 위치 제한 단면(321)은 측면 프레임체의 외부 벽에 맞닿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connecting member 3 is moun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toward the inner wall in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the main body 31 of the connecting member 3 is exposed to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and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321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3 may be mounted toward the outsi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and at this time, the main body 31 is chang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n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and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321 is It can be understood as abutting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또한, 연결부(32)는 본체(31)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이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32)는 본체(31)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32 protrudes on the far side from the main body 31 . Preferably, the connecting portion 32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main body 31 .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32)의 길이는 제1 프레임(11) 또는 제2 프레임(21)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 본 고안의 제1연결부(32)의 길이는 제1 프레임(11) 측면 프레임체의 두께 및 제2 프레임(21) 측면 프레임체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 이 설계는 연결부(32)의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가까운 일단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너무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연결부(32)가 사용 중에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접촉하여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바깥 표면을 긁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ptionally,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11 or the second frame 21 .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frame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frame of the second frame 21. This design effectively prevents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2 close to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from coming too close to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during us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can prevent scratching situations from occurring.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2)의 돌출된 길이는, 제1 프레임(11)의 측면 프레임체의 두께 및 상기 제2 프레임(21)의 측면 프레임체의 두께보다 작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32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second frame 21.

선택적으로, 협동부(4)는 막대형 구멍 또는 둥근 구멍이다. 협동부(4)가 막대형 구멍일 때, 연결부(32)가 협동 작업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협동부(4)가 둥근 구멍일 때,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구조가 더 조밀하여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강화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설계는 연결 부재(3)와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 사이의 조정을 더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민감도를 쉽게 향상시킨다.Optionally, the cooperative portion 4 is a bar-shaped hole or a round hole. When the cooperation part 4 is a rod-shaped hole, the connection part 32 can slide in the cooperative operation, and when the cooperation part 4 is a round hole, the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is more compact,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can be strengthened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easily. This design can make the adjustment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 and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more flexible and easily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도 1 및 도 2를 조합하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11)의 내벽과 상기 제2 프레임(21)의 내벽에는 모두 상기 연결 부재(3)에 대응하여 위치 회피 영역(51)이 설치되어 있으며, 및/또는 제1 프레임(11)의 외벽 및 상기 제2 프레임(21)의 외벽에는 상기 연결 부재(3)에 대응하여 회피 영역(52)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의 외부 벽에 있는 위치 회피 영역(51)은 연결 부재(3)에 대해 위치 회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된 연결 부재(3)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잡을 때의 감촉에 영향을 주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전체 부피를 줄여 이로 하여금 외관을 더 아름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의 내부 벽에 있는 위치 회피 영역(51)은 회전 부재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간격을 더 넓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의 내부 벽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접촉하여 연결부(32)가 모바일 단말기를 긁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위치 회피 영역(51)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Combining FIGS. 1 and 2 , the position avoidance area 51 is optionally installed on bo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frame 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nection member 3. And/or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rame 21 are provided with avoidance areas 52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member 3. The position avoidance area 51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 avoid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3, through which the mounted connecting member 3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outward, affects the feeling when holding the mobile terminal, and reduces the overall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to make the appearance more beautiful. In addition, the position avoidance area 51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further widens the gap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 The inner wall of 21) may contact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32 from scratching the mobile terminal. 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avoidance area 51 may not be se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11)의 내벽과 상기 제2 프레임(21)의 내벽에는 모두 상기 연결 부재(3)에 대응하여 위치 회피 영역(51)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프레임(11)의 외벽 및 상기 제2 프레임(21)의 외벽에는 상기 연결 부재(3)에 대응하여 회피 영역(52)이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bo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frame 21 are provided with position avoidance areas 51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member 3, and Avoidance areas 52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rame 21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ng member 3 .

또한, 제1 프레임(11) 및/또는 제2 프레임(21)에서 대응하는 연결 부재(3)가 있는 영역의 일부 두께를 줄여 상기 위치 회피 영역(51) 및/또는 회피 영역(52)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avoidance area 51 and/or avoidance area 52 is form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member 3 is located in the first frame 11 and/or the second frame 21. do.

도 1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은 보호층(6)을 각각 포함하고, 2개의 보호층(6)은 제1 하우징(11)의 각 측면 프레임체와 제2 하우징(21)의 각 측면 프레임체를 각각 연결하여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한다. 보호층(6)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의 충격 방지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1,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each include a protective layer 6, and the two protective layers 6 are each side frame of the first housing 11. The rear surface of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is protected by connecting the body and each side frame body of the second housing 21 to each oth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otective layer 6 protects the rear surfac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cratched, and at the same time further improving the anti-shock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선택적으로, 보호층(6)의 재질은 프레임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보호층(6)의 재질은 프레임의 재질과 다르다. 프레임은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에 대해 보다 우수한 서포트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강도를 향상시키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케이스 외부 프레임 재료와 같은 강도가 비교적 높은 재료를 사용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Optionally,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layer 6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ram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layer 6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ram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rame uses a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 strength, such as the currently commonly used outer frame material of a mobile phone case, in order to provide better support for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and improve overall strength.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1)의 보호층(6) 및 제2 하우징(2)의 보호층(6)은 투명한 보호층(6) 또는 불투명한 보호층(6)일 수 있다.Optionally, the protective layer 6 of the first housing 1 and the protective layer 6 of the second housing 2 may be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6 or an opaque protective layer 6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의 보호층(6)과 제2 하우징(2)의 보호층(6)은 모두 투명한 보호층(6)이다. 보호층(6)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보호 케이스를 장착한 경우에도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 원래의 설계를 드러낼 수 있다. 또한,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를 뒷면에 디스플레이가 있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하여 본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의 범용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both the protective layer 6 of the first housing 1 and the protective layer 6 of the second housing 2 ar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s 6 . The protective layer 6 can reveal the original desig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even when the protective case is attached to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versatility of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by applying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to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on the back.

또한, 보호층(6)에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의 위치를 회피하기 위한 카메라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camera hole is provided in the protective layer 6 to avoid the location of the camera of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또한, 제1 하우징(1) 및 제2 하우징(2)은 각각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을 통해 각각 보호층(6)과 함께 외부와 연통된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를 정의하고, 제1 하우징(1)의 수용 캐비티는 제2 하우징(2)의 수용 캐비티와 연통된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1 and the second housing 2 accommodate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layer 6 through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respectively. The receiving cavity of the first housing 1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cavity of the second housing 2.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을 통해서만 수용 캐비티를 정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 내에 보호층(6)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2개의 하우징(1), 하우징(2)에 의해 정의된 수용 캐비티는 각각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2개의 개폐부와 매칭되며, 전개되면 두 수용 캐비티가 공동으로 전개된 모바일 단말기와 매칭됨을 이해할 수 있다.It is to be appreciated that in other embodiments, the receiving cavity may be defined only by the frame.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protective layer 6 i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ccommodating cavities defined by the two housings 1 and 2 match the two openings and closing parts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and when deployed, the two accommodating cavities match the jointly deployed mobile terminal. .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의 회전 범위는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범위와 일치하다. 이 설계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coincides with the rotation range of the mobile terminal. This design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

또한,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 (21) 사이의 회전 범위는 0°내지 180°이다. 제1 프레임(11)은 제2 프레임(21)과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은 회전한 후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35°, 140°, 150°, 160°, 170° 및 180°와 같은 특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range between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is 0 ° to 180 °. The first frame 11 can rotate relative to the second frame 21, and after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rotate, 0 °, 5 °, 10 °, 15 °,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35°, 140° , 150°, 160°, 170°, and 180° may remain motionless while maintaining specific angles.

또한, 연결 부재(3)는 경질 재료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연결 부재(3)는 경질 재료를 사용하여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인다. 또한, 접을 때, 연결 부재(3)는 접힌 상태의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을 지지할 수 있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100)가 외부의 과도한 압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connecting member 3 uses a hard material. The connection memb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ard material to increas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 In addition, when folded, the connecting member 3 can support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100 are not subjected to excessive pressure on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선택적으로, 연결 부재(3)는 TPU와 같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Optionally, the connecting member 3 may use a metal or non-metal material such as TPU.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는 금속 재질을 사용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3 uses a metal material.

본 고안의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1.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를 통해 제2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됨으로써,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실현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에 로고를 설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 부재를 설치하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를 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척부에 대응하여 이러한 공간 회피 설정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에서 서로 압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opposite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two opposite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thereby realizing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folded or deployed together with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terminal prefers to install a logo on the chuck portion of the folder-type mobil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se is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Covering the chuck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Also, corresponding to the chu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such a space avoidance setting can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an unfolded state.

2. 본 고안에서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의 협동부와 연결 부재에 있는 연결부의 상호 협동을 통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의 연결을 실현한다. 이 설계는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과 조립에 편리하고,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realizes the connection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cooperation part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This design has a simple structure, convenient production and assembly,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3. 본 고안에서 연결부와 상기 협동부의 협동을 통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 있고, 본체를 설계함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구조 양식이 다양하여,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적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유리하다.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cooperation part, and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an be realized by designing the main body, and the structural form is It is advantageous to enrich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4. 본 고안에서 본체와 연결부는 분체형으로 설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설계는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적 다양성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다.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may be set in a powder type or integral type. This design can further enrich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5. 본 고안에서 연결 부재는 위치 제한 단면을 통해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과 조일 수 있어, 연결 부재가 예기치 않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연결 안정성을 강화한다. 또한, 연결 부재의 설치 방향이 다름에 따라 위치 제한 단면은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부 벽 또는 외부 벽에 맞닿아 조임 동작을 완성할 수 있다. 이 설계는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적 다양성을 더 풍부하게 하는데 유리하다.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tightened with the first frame and/or the second frame through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preventing the connecting member from unexpectedly falling off, and enhancing the connection st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 addition, a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different,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r the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and/or the second frame to complete the tightening operation. This design is advantageous for further enriching the structural divers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6. 본 고안에서 제1 연결부의 길이는 제1 프레임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 및 제2프레임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 이 설계는 연결부의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가까운 일단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너무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가 사용 중에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접촉하여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 표면을 긁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side frame body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rame side frame body. This desig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end close to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of the connecting portion from approaching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too much, and there is no situa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contacts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and scrat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shell mobile terminal during use. make sure it doesn't happen

7.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외부 벽에 있는 위치 회피 영역은 연결 부재에 대해 위치 회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된 연결 부재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잡을 때의 감촉에 영향을 주며,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내부 벽에 있는 위치 회피 영역은 회전 부재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간격을 더 넓혀 연결부가 모바일 단말기에 긁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voidance area on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an avoi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mounted connection member from protruding outward and holding the mobile terminal. It affects the feeling of touch and can reduce the overall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n addition, the location avoidance area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further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not scratched by the mobile terminal.

8.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뒷면에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층은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의 충격 방지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의 보호층과 제2 프레임의 보호층은 투명한 보호층일 수 있다. 이 설계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보호 케이스를 설치한 경우에도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 원래의 설계가 드러나도록 한다. 또한, 본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뒷면 디스플레이가 있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본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범용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8.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layer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protective layer protects the back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o prevent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cratched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hock to the mobile terminal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of the first frame and the protective layer of the second frame may b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s. This design allows the original design of the back sid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o be revealed even when a protective case is installed on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by applying the present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to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having a rear display,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versatility of the present mobile terminal case.

9.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회전 범위는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범위에 일치하여 범용성이 강하다.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oincides with the rotation range of the mobile terminal, so the versatility is strong.

10. 본 고안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회전 범위는 0°내지 180°로 회전 범위가 넓어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에 완벽하게 협동할 수 있다.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ng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0° to 180°, and the rotation range is wide, which can perfectly cooperate with the us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위의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원칙 내에서 진행된 어떠한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진 등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y modifications, equivalent replacements and improvements made within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included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1: 제1 하우징
11: 제1프레임 2: 제2 하우징
21: 제2프레임 3: 연결 부재
31: 본체 32: 연결부
321: 위치 제한 단면 4: 협동부
51: 위치 회피 영역 52: 회피 영역
6: 보호층
100: mobile terminal case 1: first housing
11: first frame 2: second housing
21: second frame 3: connecting member
31: body 32: connection
321: position limitation section 4: cooperation section
51: position avoidance area 52: avoidance area
6: protective layer

Claims (10)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접히거나 전개되어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로서,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의 개폐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는 각각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의 두 상대 측면 프레임체와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ogether with a folder-type mobile terminal to protect it,
It includ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nd a connecting member,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sed to protect the two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respectively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wherein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are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two mating side frame bodies of the second frame through one connecting memb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와 협동하는 협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nnection par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cooperation part that cooperates with the connection part is install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협동부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와 각각 회전 연결되고, 또는, 상기 본체는 회전 연결된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섹션 및 제2 연결섹션에는 상기 연결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협동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operative portion, or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connecting section and a second connecting section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and the first connecting section and the connection part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and the connection parts are connected to the cooperation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는 분체형으로 설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set in a powdery or integral ty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위치 제한 단면이 설치되거나 상기 연결 부재에는 위치 제한 부재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제한 단면 또는 위치 제한 부재는 제1 연결부가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과 협동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 또는 외벽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2,
A position limiting end face is installed at one end far from the main body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or a position limiting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nnection member, and when the connection member is mounted to the first frame and/or the second frame, the The position limiting end face or the position limiting member abuts against an inner wall or an outer wall of the side frame body of the corresponding first frame and/or second frame in cooperation with one end remote from the main bod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측면 프레임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side fram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벽에는 모두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 회피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및/또는 제1 프레임의 외벽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벽에는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하여 회피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Position avoidance areas are provided on bo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frame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or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member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rame.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avoidance area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는, 폴더형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1 프레임의 각 측면 프레임체와 제2 프레임의 각 측면 프레임체를 연결하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층은 투명한 보호층 또는 불투명한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protective layer connecting each sid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and each side frame body of the second frame is installed 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protect the rear surface of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i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or an opaque protect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 범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두 개의 개폐 부분의 접힘 각도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oincide with the folding angle of the two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 범위는 0°내지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0 ° to 180 °.
KR2020220002919U 2022-01-04 2022-12-14 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 KR20230001422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0028124.0U CN217428188U (en) 2022-01-04 2022-01-04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CN202220028124.0 2022-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22U true KR20230001422U (en) 2023-07-11

Family

ID=8317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919U KR20230001422U (en) 2022-01-04 2022-12-14 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1422U (en)
CN (1) CN217428188U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90Y1 (en) 2012-10-18 2013-03-20 박재영 Folder type mobile phone case
KR101348712B1 (en) 2012-10-10 2014-01-10 주식회사 뉴빛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102251057B1 (en) 2020-01-31 2021-05-11 이현우 A cell phone case
KR20210098030A (en) 2020-01-31 2021-08-1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Cell phone case with wireless charging auxiliary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12B1 (en) 2012-10-10 2014-01-10 주식회사 뉴빛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200465990Y1 (en) 2012-10-18 2013-03-20 박재영 Folder type mobile phone case
KR102251057B1 (en) 2020-01-31 2021-05-11 이현우 A cell phone case
KR20210098030A (en) 2020-01-31 2021-08-1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Cell phone case with wireless charging auxili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428188U (en)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7671B1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7408514B2 (en) Speaker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sonance space
US7440782B2 (en)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US20070270199A1 (en) Watch type mobile phone
KR101050634B1 (en) Antenn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AU2005287305A1 (en) Interconnect assembly for a clam sty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12607A (en) Portable terminal for having detachable bluetooth headset
JP2005198314A (en) Portable radio terminal having rotary display unit
US7286861B2 (en) Rotary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30001422U (en) A mobile teminal protective shell
KR10074745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oth fold type and slide type
KR20090082433A (en) Cellular phone
KR100672601B1 (en) Mobile phone
KR200419350Y1 (en) A terminal protection case of a folder and flip type cellular phone
KR100630090B1 (en) Display unit position to convert device of mobile phone
KR200276837Y1 (en) Folder type celluar phone
KR200174762Y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mobile phone
KR100557166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180372Y1 (en) Cellulaphone having a movil compter
KR200392978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slider in mobile terminal
KR200172531Y1 (en) Double flip type radiotelephone for image communication
KR100442659B1 (en) Portable phone with stereo sound
KR100536395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313143B1 (en) Hinge device of flip type mobile phone
KR100605492B1 (en) Folder-type handphone having two folder body on front and back 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