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82U -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82U
KR20230001382U KR2020210003969U KR20210003969U KR20230001382U KR 20230001382 U KR20230001382 U KR 20230001382U KR 2020210003969 U KR2020210003969 U KR 2020210003969U KR 20210003969 U KR20210003969 U KR 20210003969U KR 20230001382 U KR20230001382 U KR 202300013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pillow
axis
mobile phone
holder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이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씨코리아
Priority to KR2020210003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82U/ko
Publication of KR20230001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가 제공된다.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개는, 기능성 베개와, 기능성 베개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부를 받쳐 지지하는 설치 안내부와, 설치 안내부에 결합되고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및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고, 핸드폰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A functional pillow that includes a cell phone holder}
본 고안은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핸드폰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람이 잠을 자거나 휴식하기 위해 누울 때, 머리 부분을 적당 높이로 받쳐주어 편안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도구로, 이미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고,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핸드폰은 소형화, 박형화되어 휴대가 간편하므로 항상 휴대하고 있으며, 핸드폰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핸드폰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또는 왼손 중 어느 하나의 손으로 핸드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핸드폰 패널이나 버튼을 터치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한 손으로 핸드폰을 파지하는 자세는 한쪽 손으로 공중으로 치켜 올리는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쉽게 팔에 피로도 및 통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626호에 핸드폰 거치기능을 갖는 목베개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목을 감쌀 수 있도록 굽어져 형성된 호형부와, 상기 호형부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거위목부와, 상기 거위목부에 설치되어 핸드폰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위목부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매설되며 외력에 의해 휨 변형이 가능한 코어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호형부와 거치부의 간격이 좁아 거치부에 거치된 핸드폰에 의해 사용자의 눈이 쉽게 피로해져 눈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을 거치부에 끼워 결합하므로 견고하게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626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핸드폰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핸드폰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핸드폰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탄력있게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는, 기능성 베개와, 상기 기능성 베개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부를 받쳐 지지하는 설치 안내부와, 상기 설치 안내부에 결합되고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고, 핸드폰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머리 받침부와, X축 반대방향인 상기 머리 받침부의 후면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수용홈과, X축 방향인 상기 머리 받침부의 전면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경추 보호부 및 X축 방향인 상기 머리 받침부의 전면 단부에서 경추 보호부를 중심으로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의 양측에 만곡되어 형성된 어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머리 받침부의 중앙에 Z축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머리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베개는, 상기 경추 보호부의 Z축 반대방향 단부의 머리 받침부에 형성된 목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베개는, 상기 경추 보호부에 X축 반대방향으로 요입형성된 탄성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 안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X축 방향인 전면부가 기능성 베개의 수용홈에 결합되고,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는 기능성 베개의 외부에 돌출되어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홀더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X축 방향인 전면부의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설치 안내부에 결합되는 하부 힌지부와, Z축 반대방향의 하단부인 하단부가 상기 하부 힌지부에 결합되고, Z축 방향의 상단부인 상단부가 중간 힌지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크부와, 상기 하부 링크부와 상부 링크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힌지부와, X축 반대방향의 측단부인 일측이 중간 힌지부에 결합되고 X축 방향의 측단부인 타측이 상부 힌지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크부, 및 상기 상부 링크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상부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거치 연결대와, 상기 거치 연결대를 높이 조절부의 상부 힌지부에 고정하는 연결 고정부재, 및 상기 거치 연결대에 연결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 연결대에 고정하는 거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에 의하면, 핸드폰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핸드폰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핸드폰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탄력있게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이용에도 피로감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100)는, 기능성 베개(110), 설치 안내부(120), 높이 조절부(130), 거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베개(11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기능성 베개(110)는 X축 방향인 전면부보다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가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기능성 베개(110)를 베는 사용자 머리의 입부분이 들려지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할 수 있다. 기능성 베개(110)는 탄성이 있는 라텍스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이 없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성 베개(110)는 머리 받침부(111), 수용홈(113), 경추 보호부(114), 어깨 지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받침부(111)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 받침부(111)의 중앙에 Z축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머리받침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머리받침부재(112)는 Z축 반대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하향으로 만곡되면서 Z축 반대방향 단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머리의 뒤부분을 편안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 받침부(111) 및/또는 머리받침부재(112)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복수의 지압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지압돌기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압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을 낮출 수 있다.
수용홈(113)은 X축 반대방향인 머리 받침부(111)의 후면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요입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홈(113)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받침대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추 보호부(114)는 X축 방향인 머리 받침부(111)의 전면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경추 보호부(114)는 사용자의 경추 곡선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어깨 지지부(115)는 X축 방향인 머리 받침부(111)의 전면 단부에서 경추 보호부(114)를 중심으로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의 양측에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깨 지지부(115)는 사용자의 어깨선에 대응되도록 Y축 방향으로 요입형성될 수 있다.
즉, 경추 보호부(114)에 사용자의 경추가 안착되고, 어깨 지지부(115)에 사용자의 어깨가 밀착되므로 자연스럽게 기능성 베개(110) 사용자의 올바른 숙면 자세를 유도함은 물론 바른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성 베개(110)는 목 받침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목 받침부(116)는 경추 보호부(114)의 X축 반대방향 단부의 머리 받침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목 받침부(116)는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인 양측의 높이보다 중앙 부분의 높이가 낮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목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성 베개(110)는 탄성홈(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홈(117)은 경추 보호부(114)에 X축 반대방향으로 요입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홈(117)은 경추 보호부(114)에 Z축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를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치 안내부(120)는 기능성 베개(110)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부(13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설치 안내부(120)는 받침대(121), 홀더부재(122), 홀더 고정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2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X축 방향인 전면부가 기능성 베개(110)의 수용홈(113)에 결합되고,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는 기능성 베개(1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에에서 받침대(121)의 X축 방향인 전면부의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은 수용홈(113)과 머리 받침부(111) 저면과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121)는 머리 받침부(111)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홀더부재(122)는 받침대(121)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재(122)는 Z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높이 조절부(13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홀더 고정부재(123)는 홀더부재(122)에 결합된 높이 조절부(130)의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홀더 고정부재(123)는 홀더부재(122)에 관통된 나사공에 체결되면서 높이 조절부(13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0)는 설치 안내부(120)에 결합되고, 거치부(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0)는 하부 힌지부(131), 하부 링크부(132), 중간 힌지부(133), 상부 링크부(134), 상부 힌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힌지부(131)는 설치 안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힌지부(131)는 본체와 힌지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Z축 반대방향으로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설치 안내부(120)의 홀더부재(122)에 결합되고, 홀더 고정부재(123)의 가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링크부(132)는 Z축 반대방향의 하단부인 하단부가 하부 힌지부(131)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Z축 방향의 상단부인 상단부가 중간 힌지부(133)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링크부(132)는 제1 하부링크와 제2 하부링크,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링크와 제2 하부링크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는 제2 하부링크와 하부 힌지부(131)를 연결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재는 제2 하부링크를 당김으로써 하부 링크부(132)를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다.
중간 힌지부(133)는 하부 링크부(132)와 상부 링크부(134)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힌지부(133)는 본체와 힌지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링크부(134)는 X축 반대방향의 측단부인 일측이 중간 힌지부(133)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X축 방향의 측단부인 타측이 상부 힌지부(135)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링크부(134)는 제1 상부링크와 제2 상부링크,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링크와 제2 상부링크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는 제2 상부링크와 중간 힌지부(133)를 연결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재는 제2 상부링크를 당김으로써 상부 링크부(134)를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 힌지부(135)는 상부 링크부(134)와 거치부(140)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힌지부(135)는 본체와 힌지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40)는 높이 조절부(130)에 연결되고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부(140)는 거치 연결대(141), 연결 고정부재(142), 거치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연결대(141)는 높이 조절부(130)의 상부 힌지부(135)와 거치부재(143)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 연결대(141)는 X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연결몸체와, 연결몸체의 X축 방향 단부에서 형성된 회전안내볼(141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정부재(142)는 상부 힌지부(135)와 거치 연결대(141)에 체결되면서 거치 연결대(141)를 상부 힌지부(135)에 고정할 수 있다.
거치부재(143)는 거치 연결대(141)에 연결되고 핸드폰이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143)는 판상의 거치몸체와 판상의 거치몸체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 양측에 탄성편이 절곡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몸체에 거치되는 핸드폰은 탄성편의 가압으로 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몸체의 X축 방향 내면에는 거치되는 핸드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재는 마찰계수고 높은 고무 재질로 거치몸체 내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거나, 거치몸체 내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몸체의 X축 반대방향 외면에는 거치 연결대(141)의 회전안내볼(141a)을 수용하는 거치 수용홈(143a)이 형성되고, 거치 수용홈(143a) 내면에 마찰부재가 결합됨으로써 거치부재(143)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부(140)는 거치 고정부재(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고정부재(144)는 이탈방지핀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이탈방지핀은 회전안내볼이 결합된 수용홈에 끼워져 회전안내볼(14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는 수용홈에 형성된 나사공으로 체결되면서 회전안내볼(141a)을 가압하고, 회전안내볼(141a)을 거치 수용홈(143a) 내면에 밀착고정시킴으로써 거치부재(143)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핸드폰을 거치부(140)에 거치하고, 사용자의 머리는 기능성 베개(110)에 베고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는 연결 고정부재(142)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거치 연결대(141)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연결 고정부재(142)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거치부재(143)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눈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한 후, 사용자는 핸드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핸드폰이 거치된 거치부(140)의 높이를 높이 조절부(130)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110: 기능성 베개
111: 머리 받침부
112: 머리받침부재
113: 수용홈
114: 경추 보호부
115: 어깨 지지부
116: 목 받침부
117: 탄성홈
120: 설치 안내부
121: 받침대
122: 홀더부재
123: 홀더 고정부재
130: 높이 조절부
131: 하부 힌지부
132: 하부 링크부
133: 중간 힌지부
134: 상부 링크부
135: 상부 힌지부
140: 거치부
141: 거치 연결대
142: 연결 고정부재
143: 거치부재
144: 거치 고정부재

Claims (10)

  1. 기능성 베개;
    상기 기능성 베개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부를 받쳐 지지하는 설치 안내부;
    상기 설치 안내부에 결합되고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고, 핸드폰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머리 받침부;
    X축 반대방향인 상기 머리 받침부의 후면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수용홈;
    X축 방향인 상기 머리 받침부의 전면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경추 보호부; 및
    X축 방향인 상기 머리 받침부의 전면 단부에서 경추 보호부를 중심으로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의 양측에 만곡되어 형성된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머리 받침부의 중앙에 Z축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머리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베개는,
    상기 경추 보호부의 Z축 반대방향 단부의 머리 받침부에 형성된 목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베개는,
    상기 경추 보호부에 X축 반대방향으로 요입형성된 탄성홈을 더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안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X축 방향인 전면부가 기능성 베개의 수용홈에 결합되고,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는 기능성 베개의 외부에 돌출되어 위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X축 반대방향인 후면부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홀더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X축 방향인 전면부의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형성된 단턱을 더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설치 안내부에 결합되는 하부 힌지부;
    Z축 반대방향의 하단부인 하단부가 상기 하부 힌지부에 결합되고, Z축 방향의 상단부인 상단부가 중간 힌지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크부;
    상기 하부 링크부와 상부 링크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힌지부;
    X축 반대방향의 측단부인 일측이 중간 힌지부에 결합되고 X축 방향의 측단부인 타측이 상부 힌지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크부; 및
    상기 상부 링크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상부 힌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거치 연결대;
    상기 거치 연결대를 높이 조절부의 상부 힌지부에 고정하는 연결 고정부재; 및
    상기 거치 연결대에 연결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 연결대에 고정하는 거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KR2020210003969U 2021-12-29 2021-12-29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KR202300013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69U KR20230001382U (ko) 2021-12-29 2021-12-29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69U KR20230001382U (ko) 2021-12-29 2021-12-29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82U true KR20230001382U (ko) 2023-07-06

Family

ID=8715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69U KR20230001382U (ko) 2021-12-29 2021-12-29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3927A1 (en) * 2020-08-24 2022-02-24 Stephen Sjodin Mobile device hol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26B1 (ko) 2013-12-17 2015-04-27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폰 거치기능을 갖는 목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26B1 (ko) 2013-12-17 2015-04-27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폰 거치기능을 갖는 목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3927A1 (en) * 2020-08-24 2022-02-24 Stephen Sjodin Mobile device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81047A (zh) 易佩戴颈部按摩器
US6030041A (en) Back pad adjusting structure
US9283878B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US7761943B2 (en) Headrest assembly for a massage device
CN211410701U (zh) 挂脖式颈部按摩器
KR20230001382U (ko)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CN113874084B (zh) 用于矫正姿势的垫子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0908737B1 (ko) 의자
KR101077053B1 (ko)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
US20060139568A1 (en) Eye mask
KR101673845B1 (ko) 안마 의자용 tv 거치대
CN216817566U (zh) 一种托下巴式脖戴坐姿矫正器
CN109805656B (zh) 三维可调节扶手及转椅
KR20220000437U (ko) 분리형 다용도 베개
US20060202522A1 (en) Neck rest for a chair
KR200439162Y1 (ko) 의자용 요추 완충장치
CN110711066A (zh) 一种下颌支撑器
CN200973524Y (zh) 自由椅
KR200489593Y1 (ko) 지압기능을 갖는 취침용 베드
CN218832387U (zh) 一种护颈装置
CN220458886U (zh) 一种坐姿矫正器
KR102095352B1 (ko) 경추 교정장치
CN217645676U (zh) 一种多功能颈部按摩器
CN219122524U (zh) 一种新型带弓形弹片的铰链以及高弹性轻便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