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63U - Hydroponics Growing Pot - Google Patents

Hydroponics Growing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63U
KR20230001363U KR2020210003941U KR20210003941U KR20230001363U KR 20230001363 U KR20230001363 U KR 20230001363U KR 2020210003941 U KR2020210003941 U KR 2020210003941U KR 20210003941 U KR20210003941 U KR 20210003941U KR 20230001363 U KR20230001363 U KR 20230001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onic cultivation
fixing hole
outer fixing
support plat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충원
Original Assignee
김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원 filed Critical 김충원
Priority to KR2020210003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63U/en
Publication of KR20230001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6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수경 재배용 포트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외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거나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상단에서 수평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내측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 삽입홀을 형성하면서 관통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외측 단부가 몸체의 내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관통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외측 고정홀과 외측 고정홀을 중앙 삽입홀에 방사상 및 상하로 연통시키는 이동 슬릿을 형성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has a penetrating part inside that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outer surface decreases in width from top to bottom or is formed of the same diameter.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lates having outer end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while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art while forming a central insertion hole, and inserting the outer fixing hole and the outer fixing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edge region of the penetrating part. and a second support plate forming a movable slit radially and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hole.

Description

수경 재배용 포트{Hydroponics Growing Pot}Pots for hydroponics {Hydroponics Growing Pot}

본 고안은 수경 재배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경 식물의 뿌리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at grips and supports the root of a hydroponic plant.

수경 재배는 흙을 사용하는 대신에 각종 양분을 용해한 물(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기르는 것으로, 묘판에서 모종을 길러 적당한 크기로 성장하면 이를 수경 재배기로 옮겨 배양액으로 기르게 된다.Hydroponic cultivation is to grow plants in water (culture medium) in which various nutrients are dissolved instead of using soil. When seedlings are grown in seedlings and grown to an appropriate size, they are transferred to a hydroponic cultivation machine and grown in culture medium.

수경 재배기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재배판이 설치되고, 관통공에 수경 재배용 포트를 삽입하게 된다. 수경 재배용 포트는 보통 원형 컵 형태의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구성하고, 밑면이나 옆면에 망사 구조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스폰지, 황토볼 등을 매립하고 있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machine, a cultiva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installed, and por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Hydroponic cultivation pots are usually composed of plastic injection moldings in the form of circular cups, and a mesh structure is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surface, and sponges, ocher balls, etc. are buried inside.

한국특허등록 제10-1780235호는 "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를 제시하고 있는데, 구성을 보면,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씨앗이 수용되는 일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되며, 바닥면과 둘레에는 각각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포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특허등록 제10-1780235호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포트에 스폰지 등이 설치되어야 하고, 수경 식물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0235 suggests a "multi-stage seedling pot that is easy to expan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and a receiving part of a certain depth to accommodate seeds is formed inside, and the bottom Each of the surface and the circumference includes a first por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owever, the hydroponic cultivation po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0235 has a problem in that a sponge or the like must be installed in the pot and the size of the pot mus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hydroponic plant.

한국특허공개 제10-2021-0053615호(수경 재배용 포트)는 수경 식물의 뿌리를 파지하는 스폰지 등이 필요 없고, 뿌리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를 제시하고 있다. 구성을 보면,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식물 뿌리가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부는 몸체의 내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특허공개 제10-2021-0053615호는 결합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크기(특히, 직경)가 큰 수경 식물을 결합하여 지지하는 경우에는 수경 식물을 가압되면서 죽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53615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suggests a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at does not require a sponge or the like to hold the roots of hydroponic plants and does not need to adjust the size of the port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root .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t includes a tubular body with upper and lower parts open, and a coupl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plant roots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coupling portion forms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inside the body. By the wa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53615 has an integrated coupling part, so when combining and supporting hydroponic plants having a large size (in particular, diameter), there is a case where the hydroponic plants die while being pressed.

[선행특허문헌][Prior patent literature]

1. 한국특허등록 제10-1780235호(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0235 (multi-stage seedling pot for easy expansion)

2. 한국특허공개 제10-2021-0053615호(수경 재배용 포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53615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경 재배용 포트에 모종을 용이하게 삽입(또는 결합)할 수 있고, 나아가 수경 재배용 포트에 모종을 삽입할 때 모종 손상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수경 재배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an easily insert (or combine) the seedlings in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port, and further prevent or minimize seedling damage when the seedlings are inserted in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port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몸체, 플랜지,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지지 플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may include a body, a flange, a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like.

몸체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외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거나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penetrating portion passing vertically therein, and the outer surface may have a reduced width or have the same diameter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플랜지는 몸체의 상단에서 수평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The flange may protrude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top of the body.

다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는 내측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 삽입홀을 형성하면서 관통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외측 단부가 몸체의 내벽에 결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lates may have outer end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while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portion while forming a central insertion hole penetrating vertically at the inner center.

제2 지지 플레이트는 관통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외측 고정홀과 외측 고정홀을 중앙 삽입홀에 방사상 및 상하로 연통시키는 이동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may form an outer fixing hole vertically penetrating an edge reg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movable slit radially and vertically communicating the outer fixing hole with the central insertion hol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내측이 외측 고정홀에 결합하고 외측은 몸체의 내벽에 결합하여 외측 고정홀을 지지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support plate having an inner side coupled to an outer fixing hole and an outer side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body to support the outer fixing hol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이동 슬릿은 중앙 삽입홀에서 외측 고정홀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slit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while going from the central insertion hole to the outer fixing hol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중앙 삽입홀과 이동 슬릿의 연결부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entral insertion hole and the movable sl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외측 고정홀과 이동 슬릿의 연결부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uter fixing hole and the movable sl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중앙 삽입홀은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insertion hole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외측 고정홀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ixing hole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는 관통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while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hrough part.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외측 고정홀의 내벽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late may form protrusions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fixing hol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 중앙 삽입홀을 통해 모종을 삽입함으로써 포트에 모종을 용이하게 삽입(또는 결합)할 수 있다.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asily insert (or combine) the seedling into the pot by inserting the seedling through the central insertion hole having a sufficient space.

또한,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제1~3 지지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하고 또한 이격시켜 배열함으로써 측방(즉, 원주 방향)의 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결과 포트가 모종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모종을 삽입할 때는 물론 수경 재배 과정에서 모종의 손상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ateral (ie, circumferential) pressing force by configuring the first to third support plates in a plate shape and arranging them spaced apart, and as a result, the pressure exerted by the pot on the seedlings It can be minimized to prevent or minimize damage to seedlings during hydroponic cultivation as well as when inserting seedlings.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 재배용 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 재배용 포트의 평면 및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경 재배용 포트에 모종을 삽입(결합)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po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and bottom view of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eedlings are inserted (coupled) into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 재배용 포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 재배용 포트의 평면 및 저면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and bottom view of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1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몸체(110), 플랜지(120), 제1 지지 플레이트(130), 제2 지지 플레이트(140), 제3 지지 플레이트(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a, 1b, 2,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flange 120, a first support plate 130, a second support plate 140, a third support plate ( 150) and the like.

몸체(110)는 뿌리가 배양액에 닿아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되는, 즉 내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사각통, 원통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a cylinder, etc., with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so that the roots can touch and absorb the culture solution, that is, having a penetrating part penetrating vertically therein.

몸체(110)는 외면을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적어도 동일 직경으로 구성하여 재배판의 결합공에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되게 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configured to have at least the same diameter,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coupling hole of the rear panel.

몸체(110)는 탄성을 가지며 고온에서 살균 처리가 가능한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made of silicone, etc., which has elasticity and can be sterilized at a high temperature.

플랜지(120)는 재배판의 결합공 가장자리에 걸려 지지되는 것으로, 몸체(110)의 상단에서 수평 외측으로 돌출하는 형태, 예를 들어 내부에 관통부를 갖는 고리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flange 120 is supported by hanging on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rear panel,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protru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a through-hole therein.

플랜지(120)는 몸체()와 동일 공정에서 제조하여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120)는, 몸체(110)와 동일하게,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하여, 탄성을 가지며 고온 살균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flange 1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body 110 and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ody 110 . In this case, the flange 120, like the body 110, is made of silicone or the like, has elasticity, and can be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sterilization treatment.

제1 지지 플레이트(130)는 몸체(110)의 내부 관통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 결합하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30)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외측 단부가 몸체(110)의 내벽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내측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 삽입홀(CH)을 형성할 수 있다. 중앙 삽입홀(CH)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외측 고정홀(OH)을 십자 형태로 대칭되게 배치하는 경우에는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1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that is spaced apart and coup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inner penetration part of the body 110 . The first support plate 130 may be radially arranged so that an outer end thereof is coupled to and fixed to an inner wall of the body 110, and a center insertion hole (CH) penetrating vertically may be formed at an inner center thereof.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or quadrangular, but when the outer fixing hole (OH) to be described later is symmetrically arranged in a cross shape, it may be preferable to configure it in a circular shape.

제1 지지 플레이트(130)는 다수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데, 이를 통해 공간 유연성을 높여 모종이 삽입될 때 모종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130 forms a separation space therebetween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space flexibility and minimiz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edlings when the seedlings are inserted.

제1 지지 플레이트(130)는 위에서 설명한 몸체(110), 플랜지(120)와 동일 공정에서 제조하여 몸체(110)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130)는, 몸체(110) 등과 동일하게,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하여, 탄성을 가지며 고온 살균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13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body 110 and the flange 120 described abov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10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late 130, like the body 110, etc., made of silicone or the like, has elasticity and can be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sterilization treatment.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배치되면서 몸체(110) 관통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외측 고정홀(OH)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 고정홀(OH)은 원형, 타원형 등의 곡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40 may form an outer fixing hole OH penetrating vertically in an edge reg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body 110 while being disposed as a pair. The outer fixing hole OH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내측 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130)의 내측 단부에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다. An inn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40 may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30 .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중앙 삽입홀(CH)과 외측 고정홀(OH)을 방사상 및 상하로 연통시키는 이동 슬릿(MS)을 2개가 쌍을 이루는 사이 공간에 형성할 수 있다. 이동 슬릿(MS)은 중앙 삽입홀(CH)에 삽입한 모종을 외측 고정홀(OH)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중앙 삽입홀(CH)에서 외측 고정홀(OH)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40 may form a movable slit MS, which radially and vertically communicates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and the outer fixing hole OH, in a space between the two pairs. The moving slit (MS)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while going from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to the outer fixing hole (OH) to facilitate moving the seedlings inserted into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to the outer fixing hole (OH) can do.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몸체(110) 관통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중앙 삽입홀(CH)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몸체(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외측 고정홀(OH)을 대칭되게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through portion of the body 110 .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late 140 is arranged in a cross (+) shape around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and symmetrically provided with an outer fixing hole (OH) in an edge region of the body 110 .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위에서 설명한 몸체(110), 플랜지(120), 제1 지지 플레이트(130)와 동일 공정으로 제조하여 몸체(110)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몸체(110) 등과 동일하게,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하여, 탄성을 가지며 고온 살균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4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body 110, the flange 120,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30 described abov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10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late 140, like the body 110, etc., made of silicon or the like, has elasticity and can be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sterilization treatment.

제2 지지 플레이트(140)는 외측 고정홀(OH)의 내벽에 돌기(T)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T)는 외측 고정홀(OH)에 내장 지지되는 모종(20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나아가 외측 고정홀(OH)과 모종(200)의 사이에 유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물, 배양액 등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돌기(T)는 상하로 연장하는 일체형 반원 기둥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외측 고정홀(OH)의 내벽에서 원주를 따라 다수를 이격시켜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40 may form a protrusion T on an inner wall of the outer fixing hole OH. The protrusion T firmly supports the seedling 200 embedded in the outer fixing hole OH, and further forms a gap (space) between the outer fixing hole OH and the seedling 200, thereby providing air and water. , the culture medium, etc. can move smoothly. The protrusion 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ntegral semicircular pillar extending vertically, and may be provided by spacing a plurality of them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fixing hole OH.

위에서 설명한 제1,2 지지 플레이트(130,140)는 중앙 삽입홀(CH)과 이동 슬릿(MS)의 연결부, 그리고 이동 슬릿(MS)과 외측 고정홀(OH)의 연결부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모종이 이동할 때 모종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나아가 모종 손상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30 and 140 described above have a curved surface a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and the movable slit (MS)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ovable slit (MS) and the outer fixing hole (OH), so that seedlings are When moving,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seedlings, and further prevent or minimize damage to the seedlings.

제3 지지 플레이트(150)는 외측 고정홀(OH)을 지지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추가 구비할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50)는 외측 고정홀(OH)을 형성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140)의 외측 단부에 내측 단부가 결합하고 외측 단부는 몸체(110)의 내벽에 결합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late 150 supports the outer fixing hole OH, and may optionall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third support plate 150 may have an inner end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40 forming the outer fixing hole OH and an outer end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110 .

제3 지지 플레이트(150)는 위에서 설명한 몸체(110), 플랜지(120), 제1 지지 플레이트(130), 제2 지지 플레이트(140)와 동일 공정으로 제조하여 몸체(110)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지지 플레이트(150)는, 몸체(110) 등과 동일하게,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하여, 탄성을 가지며 고온 살균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late 15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body 110, the flange 120, the first support plate 13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40 described abov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10 and the like. can In this case, the third support plate 150, like the body 110, etc., made of silicon or the like, has elasticity and can be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sterilization treatment.

위에서 설명한 제1~3 지지 플레이트(130,140,150)은 그 상단을 플랜지(120)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제1~3 지지 플레이트(130,140,150)의 상하 폭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외측 고정홀(OH)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모종(200)에 가해지는 전체 압력을 줄일 수 있다.The upper ends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plates 130, 140, and 150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lange 12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plates 130, 140, and 150 may be reduced. It may be desirable.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tal pressure applied to the seedling 200 supported inside the outer fixing hole (OH).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경 재배용 포트에 모종을 삽입(결합)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eedlings are inserted (coupled) into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모종(200)을 외측 고정홀(OH)에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모종(200)은 중앙 삽입홀(CH)에 먼저 삽입된 후 이동 슬릿(MS)을 따라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하여 외측 고정홀(OH)에서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seedlings 200 by inserting them into the outer fixing hole OH. The seedling 200 may be supported in the outer fixing hole OH by mov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moving slit MS after being first inserted into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모종의 삽입 및 지지 과정에서, 중앙 삽입홀(CH)의 직경이 모종(200)의 직경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모종(200)은 중앙 삽입홀(CH)에 용이하게 삽입될 뿐 아니라, 삽입 과정에서 모종(200)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supporting the seedling, since the diameter of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is muc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edling 200, the seedling 200 is not only easily inserted into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but also in the insertion process. Damage to the seedlings 200 can also be prevented or minimized.

또한, 이동 슬릿(MS)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중앙 삽입홀(CH)에 삽입된 모종(200)을 외측 고정홀(OH)로 이동시킬 때, 이동이 원활하고,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이동 슬릿(MS)이 테이퍼 형상, 그리고 중앙 삽입홀(CH), 이동 슬릿(MS), 외측 고정홀(OH)의 곡면 연결부로 인해 모종(200) 손상도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slit (MS) is configured in a tapered shape, when the seedling 200 inserted into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is moved to the outer fixing hole (OH), the movement is smooth, and in this movement process Due to the tapered shape of the slit (MS), and the curved connection of the central insertion hole (CH), the movable slit (MS), and the outer fixing hole (OH), damage to the seedling 200 can also be prevented or minimized.

모종(200)이 삽입된 도 3의 수경 재배용 포트는 재배판(미도시)의 결합공에 하나씩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po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FIG. 3 into which the seedlings 200 are inserted may be inserted and supported one by one into coupling holes of a cultivation plate (not shown).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들은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출원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examples, but these are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hange or modify these embodiments in other forms.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may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0 : 몸체 120 : 플랜지
130 : 제1 지지 플레이트 140 : 제2 지지 플레이트
150 : 제3 지지 플레이트 200 : 모종
CH : 중앙 삽입홀 OH : 외측 고정홀
MS : 이동 슬릿 T : 돌기
110: body 120: flange
130: first support plate 140: second support plate
150: third support plate 200: seedling
CH: center insertion hole OH: outer fixing hole
MS: moving slit T: projection

Claims (9)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외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거나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수평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내측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 삽입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관통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외측 고정홀과 상기 외측 고정홀을 상기 중앙 삽입홀에 방사상 및 상하로 연통시키는 이동 슬릿을 형성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A body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passing through vertically and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a reduced width or the same diameter as going from top to bottom;
a flange protru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lates having outer ends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body while forming a central insertion hole penetrating vertically at an inner center and spaced apar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portion;
A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comprising: an outer fixing hole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an edge reg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late forming a movable slit radially and vertically communicating the outer fixing hole with the central inser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내측은 상기 외측 고정홀에 결합하고 외측은 상기 몸체의 내벽에 결합하여 상기 외측 고정홀을 지지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According to claim 1,
A hydroponic cultivation port including a third support plate having an inner side coupled to the outer fixing hole and an outer side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body to support the outer fixing ho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릿은
상기 중앙 삽입홀에서 상기 외측 고정홀로 가면서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moving slit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while going from the central insertion hole to the outer fixing hole, a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삽입홀과 상기 이동 슬릿의 연결부는
곡면을 형성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entral insertion hole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vable slit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at forms a curved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홀과 상기 이동 슬릿의 연결부는
곡면을 형성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fixing hole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vable slit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at forms a curved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삽입홀은
원형을 형성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entral insertion hole
A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forming a cir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홀은
원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fixing hole
A pot for hydroponics, forming a round or oval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다수를 구비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econd support plate
A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having a plurality while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hrough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고정홀의 내벽에 돌기를 형성하는, 수경 재배용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econd support plate
Forming a protrusion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fixing hole, a port for hydroponic cultivation.
KR2020210003941U 2021-12-24 2021-12-24 Hydroponics Growing Pot KR2023000136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41U KR20230001363U (en) 2021-12-24 2021-12-24 Hydroponics Growing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41U KR20230001363U (en) 2021-12-24 2021-12-24 Hydroponics Growing 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63U true KR20230001363U (en) 2023-07-03

Family

ID=8715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41U KR20230001363U (en) 2021-12-24 2021-12-24 Hydroponics Growing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6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370B1 (en) Raising seedling device for aerial seed collecting of farm products
KR101774108B1 (en) System For Both Strawberry Cultivation And Growing-Seedlings
KR20170079314A (en) Plants cultivation vessel
CN203761957U (en) Detachable seedling hole tray
JP6650091B2 (en) Hydroponic cultivator
KR101780235B1 (en) Extendable Multi-stacked Seeding Pot
KR20180000133U (en) Plants cultivation vessel
KR20230001363U (en) Hydroponics Growing Pot
KR20210053615A (en) Port for hydroponics
KR102160899B1 (en) Hydroponics apparatus
JP3143823U (en) Strawberry seedling connection pot
KR20160109298A (en) Strawberry seedlings pot
KR20210105157A (en) Device for Cultivating Root Plant
CN218977453U (en) Split seedling raising cup
KR200297338Y1 (en) pot
CN215500622U (en) Seedling tray for hybrid rice seed production
CN209806582U (en) Multipurpose seedling cup
KR200493718Y1 (en) Flowerport of pipe type for cultivating a plant
CN219803108U (en) Seedling raising device
KR100235227B1 (en) The flower pot and method of making it
JP3016388U (en) Collective seedling raising device for transplanting seedlings
KR20140002164U (en) Size controllable pot
CN219919807U (en) Butterfly orchid combined flowerpot special for potting
CN209994944U (en) Combined flowerpot
KR200274673Y1 (en) Port for raising seedlings a broadleaf t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