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0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02A
KR20230001302A KR1020210084024A KR20210084024A KR20230001302A KR 20230001302 A KR20230001302 A KR 20230001302A KR 1020210084024 A KR1020210084024 A KR 1020210084024A KR 20210084024 A KR20210084024 A KR 20210084024A KR 20230001302 A KR20230001302 A KR 2023000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
unit
screen
cour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정상인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02A/ko
Priority to CN202280058048.0A priority patent/CN117881827A/zh
Priority to PCT/KR2022/008359 priority patent/WO2023277402A1/ko
Priority to EP22833458.7A priority patent/EP4365349A1/en
Priority to AU2022304418A priority patent/AU2022304418A1/en
Publication of KR2023000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화면출력부, 이동버튼부 및 다기능버튼부를 포함하고, 이동버튼부는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선택이 예정되는 선택예정대상을 변경시키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통칭)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종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버튼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
즉, 종래 인터페이스는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LCD, LED 패널 등), 해당 전자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는 노브(knob)나 버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등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위치하였고, 이와 같은 배치는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방면면 등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컨트롤패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였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각 장치들이 전자기기의 너비방향(전자기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화면출력부, 조작부 및 옵션부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한편, 관련문헌 KR 10-2016-0062917 A에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화면출력부의 둘레에 회전 가능한 노브가 마련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표시되는 다양한 선택항목을 사용자가 노브의 회전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화면출력부상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의 시작버튼이나 전원 버튼 등 다수의 버튼이 추가로 마련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화면출력부상에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므로 노브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공간에 구비되는 화면영역이 감소되고, 각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이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노브와 상기 다수의 버튼으로 인해 제한된 영역을 가지는 화면출력부의 디스플레이에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에 있어서 제한된 출력영역으로 인해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버튼들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화면출력부의 화면영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제한된 화면영역에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출력부와 조작신호가 발생되는 조작부의 설치 영역이 한정된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설정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조작신호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고 설치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된 화면영역에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버튼부는 화면출력부의 좌우측에 각각 꺽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이동버튼부는 사용자에게 해당 버튼의 기능이 이동에 관련됨을 나타내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화면출력부에는 다기능버튼부가 마련되고, 다기능버튼부는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화면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기능버튼부를 화면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버튼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화면출력부, 이동버튼부 및 다기능버튼부를 포함한다.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다.
화면출력부는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개체가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이동버튼부는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선택예정표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버튼부는 제1이동버튼부 및 제2이동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표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표시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캐비닛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된 선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선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둘레선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선, 상기 이동버튼부 및 상기 다기능버튼부의 둘레는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둘레가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며 고정시키는 화면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둘레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상에 구비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둘레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화면둘레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다기능버튼부의 현재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옵션부는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의 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일반옵션부는 상기 코스의 제1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1옵션조절부 및 상기 코스의 제2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2옵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옵션조절부 및 상기 제2옵션조절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일반옵션부는 상기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의 상기 옵션설정값이 조절되는 옵션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버튼부는 각각 해당 옵션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는 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각각 상기 옵션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에 대응되며, 상기 옵션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상기 옵션설정값에 대응되는 발광부가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옵션설정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코스가 복수개로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옵션그룹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버튼부는 함께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현재 표시되는 코스에 대한 상기 옵션그룹에 해당하면 함께 발광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일반옵션부와 대응되는 옵션 외의 추가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추가옵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 및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일반옵션부와 상기 추가옵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옵션부는 서로 다른 추가옵션이 조절되는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추가옵션부는 서로 다른 추가옵션이 조절되는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각각 해당 추가옵션의 명칭이 표시되고,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 표시되는 상기 코스에서 설정 가능한 추가옵션에 해당하면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는 전원버튼부 및 수행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 상기 이동버튼부, 상기 일반옵션부 및 상기 추가옵션부는 모두 상기 전원버튼부와 상기 수행버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버튼부, 상기 전원버튼부 및 상기 수행버튼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출력부와 조작신호가 발생되는 조작부의 설치 영역이 한정된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설정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조작신호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고 설치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된 화면영역에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컨트롤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화면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일반옵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추가옵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각 진행단계에 따라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화면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팅과정의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부팅화면 중 알림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스설정과정의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400) 중 코스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과정의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의류처리화면 중 코스진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옵션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옵션추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드럼(30) 및 터브(20) 등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육면체 형태의 캐비닛(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캐비닛(10)이 형성하는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널은 프론트패널(15), 사이드패널, 어퍼패널, 로워패널 및 리어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널은 서로 결합되어 함께 상기 캐비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에는 세제개구(16) 및 의류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개구(16)는 세제공급장치의 저장유닛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하고, 의류개구(17)는 사용자가 캐비닛(10) 내부의 드럼(30)으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은 세제개구(16)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15)을 포함한다.
프론트패널(15)에는 의류개구(17)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40)가 구비될 수 있고, 의류도어(40)는 프론트패널(15)의 외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40)에 의해 프론트패널(15)의 의류개구(17)는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드럼(30)은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30)은 외주면상에 터브(20)측과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브(20)에 저장되는 물이 드럼(30) 내부로 제공되어 의류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과 터브(20)를 모두 포함하거나, 필요에 따라 터브(20)를 제외하고 드럼(3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과 더불어 물이 수용되는 터브(20)를 포함하여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에 해당하거나, 터브(20)는 생략되고 드럼(30)만이 포함되어 드럼(30)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과 터브(20)를 모두 포함하면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세탁코스와 건조코스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1)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 내부에는 드럼(30)과 터브(20)가 함께 구비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코스의 진행을 위한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거나 캐비닛(10) 외측에 마련되어 터브(20) 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세제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제뿐만 아니라 섬유의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한 유연제 및 섬유의 색상을 개선하기 위한 표백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세제는 가루 형태의 세제는 물론 액상 형태의 세제 등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것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저장유닛은 프론트패널(15)의 세제개구(16)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출력부(8)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가 발생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론트패널(15)에 컨트롤패널(100)이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 뿐만 아니라 탑패널이나 사이드패널 등에도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패널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의 상단부는 프론트패널(15)의 상단과 상기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하는 부위로 이해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과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프론트패널(15)상에 결합되거나, 프론트패널(15)의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10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컨트롤패널(100)이 프론트패널(15)과 별개로 제조되는 경우,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상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패널(15)과 함께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에는 조작부가 포함될 수 있고,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조작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6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부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대상을 통칭하며, 후술할 이동버튼부(260), 다기능버튼부(91), 옵션버튼부 및 추가옵션버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컨트롤패널(100)에는 화면출력부(8)가 포함될 수 있고, 화면출력부(8)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8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8)의 자세한 얘기는 상기 조작부와 함께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조작부와 전기적 및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등 전기/전자적인 제어가 요구되는 대상과 전기적 및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황 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 내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패널(15)의 의류개구(17)는 의류도어(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의류의 세탁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의류도어(40)를 조작하여 의류개구(17)를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의류개구(17)에는 의류가 투입될 수 있고, 상기 의류개구(17)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20)의 터브개구(22) 및 드럼(30)의 드럼개구(32)를 통과하여 드럼(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서 고정되고, 의류개구(17)를 향하는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의류의 이탈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통해 프론트패널(15)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는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댐퍼를 통해 캐비닛(10)상에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배치되고, 드럼(30)에서 터브개구(22) 및 의류개구(17)를 향하는 전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7),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는 나란하게 정렬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은 외주면상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터브(2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드럼(3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은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축을 통해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60)의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동부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드럼(30)으로 전달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프론트로더 타입은 드럼개구(32), 터브개구(22) 및 의류개구(17)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드럼(30)의 회전축이 대략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탑로더 타입은 드럼개구(32), 터브개구(22) 및 의류개구(17)가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드럼(30)의 회전축이 대략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개구(17) 및 컨트롤패널(100)은 도 1과 같이 캐비닛(10)의 전면, 즉 프론트패널(15)에 마련되거나 도 2와 같이 캐비닛(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의류개구(17) 및 컨트롤패널(100)이 캐비닛(10)의 전면에 마련되는 경우, 컨트롤패널(100)은 의류개구(17)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100)은 캐비닛(10) 전면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술할 다기능버튼부(91)는 컨트롤패널(100)의 화면출력부(8)에서 디스플레이(84)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의류개구(17) 및 컨트롤패널(100)이 캐비닛(10)의 상면에 마련되는 경우, 컨트롤패널(100)은 의류개구(17)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100)은 캐비닛(10) 상면의 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기능버튼부(91)는 컨트롤패널(100)의 화면출력부(8)에서 디스플레이(84)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대상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변경부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다이얼부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또는 터치되는 이동버튼부(260)일 수 있다.
전술한 다이얼부는 회전 구조를 가지기 위해 컨트롤패널(100)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다이얼부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100)이 도 2에 도시된 탑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개구(17)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의류가 다이얼부에 걸리면서 의류 투입의 편의성을 저하시킬 여지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다이얼부 대신 사용자에 의해 가압 또는 터치되는 방식으로 조작되며 캐비닛(10)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가지지 않는 이동버튼부(260)를 가지고, 나아가 이동버튼부(260)와 함께 컨트롤패널(100)의 전체 구조에서 캐비닛(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제거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탑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에 해당 컨트롤패널(100)이 적용되더라도 의류의 걸림 현상을 최소화하고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에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부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급수밸브의 제어를 통해 세탁과정 등에서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는 세제공급장치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세제공급장치와 별개로 터브(20) 내부로 물을 직접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세제공급장치는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제와 물을 함께 터브(20) 또는 드럼(30)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배수부는 터브(20)와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는 제어부(6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의 구동부 및 컨트롤패널(100) 등과 같은 복수의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조작부의 조작신호 등에 기초하여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조작부를 통해 의류 처리를 위한 코스의 수행신호를 입력받으면 급수부 및 구동부 등을 제어하여 해당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캐비닛(10)의 일부 공간에 구비되거나 컨트롤패널(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모듈 형태로 마련되어 캐비닛(10)의 로워패널상에 위치되는 베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컨트롤패널(100) 내부, 예컨대 화면출력부(8) 또는 조작부의 일부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60)는 복수의 분할체로 구성되어 컨트롤패널(100)과 베이스 등에 각각 구비되어 함께 작동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가능한 통신단말기(70)와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70)는 캐비닛(1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단말기(7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및 3에는 휴대폰에 해당하는 통신단말기(70)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단말기(7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어부(60)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것일 수 있다.
제어부(60)는 통신단말기(70)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통신단말기(70)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무선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통해 통신단말기(70)가 직접 연결되거나,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간수단을 이용하여 간접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상기 통신단말기(70)와 함께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와이파이 모듈 등에 함께 연결되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단말기(70)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60)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 등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단말기(70)의 통신을 위한 단말기지국 등에 해당하는 통신서버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기(70)와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한 제어부(60)의 통신 방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일 뿐, 상기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60)와 통신단말기(70)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간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의 통신단말기(70)에는 의류처리장치(1)와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될 수 있고, 제어부(6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은 외부서버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되거나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의 컨트롤패널(100)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단말기(70)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거나 다양한 설정 및 수행을 명령할 수 있다.
한편,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컨트롤패널(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100)에 마련되는 화면출력부(8)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프론트 로더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탑로더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프론트로더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2와 같이 탑로더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드럼(30), 화면출력부(8), 이동버튼부(260) 및 다기능버튼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다.
화면출력부(8)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개체가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버튼부(260)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선택예정표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기능버튼부(91)는 상기 화면출력부(8)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버튼부(260)는 제1이동버튼부(261) 및 제2이동버튼부(26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이동버튼부(261)는 상기 화면출력부(8)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표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이동버튼부(262)는 상기 화면출력부(8)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표시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론트패널(15)상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 외에도 탑패널이나 사이드패널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컨트롤패널(100)이 프론트패널(15)상에 마련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컨트롤패널(10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 및 사용자가 제어부(60)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화면출력부(8)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과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프론트패널(15)상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이 프론트패널(15)의 일부로 성형되는 경우, 컨트롤패널(100)에는 상기 조작부와 화면출력부(8)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확인하기에 용이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100)은 프론트패널(15)의 상단부에서 세제개구(16)의 측방에 위치되거나, 프론트패널(15)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프론트패널(15)의 상단부 전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화면출력부(8)는 컨트롤패널(10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화면출력부(8)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화면출력부(8)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84)와, 상기 디스플레이(84)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화면둘레부(849)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둘레부(849)는 디스플레이(84)를 둘러싸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8)는 컨트롤패널(100)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화면출력부(8)는 컨트롤패널(100)과 함께 캐비닛(10)의 전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8)는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4에는 다기능버튼부(91)가 도시되어 있다. 다기능버튼부(91)는 조작부의 일부에 해당하고, 화면출력부(8)에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옵션추천기능을 가질 수 있고, 코스진행화면(510)에서는 의류추가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이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조작부에 포함되는 버튼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다기능버튼부(91)는 화면둘레부(849)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84)는 화면둘레부(849)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화면둘레부(849)에는 다기능버튼부(9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화면을 확인하면서 다기능버튼부(91)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4에는 디스플레이(84)의 하방에 다기능버튼부(91)가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다기능버튼부(91)의 구체적인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 및 다기능버튼부(91)는 적어도 테두리가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100)은 상기 화면출력부(8) 및 다기능버튼부(91)의 테두리를 따라 발광 가능 영역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디자인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이 인가되어 화면출력부(8)가 작동되면 상기 화면출력부(8)의 테두리가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화면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변화함은 물론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60)는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다기능버튼부(91)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다기능버튼부(91)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 경우 다기능버튼부(91)의 테두리는 소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다기능버튼부(91)가 활성화되어 기능이 주어지는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100)을 제어하여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테두리가 발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의 사용 가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동버튼부(260)는 조작부의 일 구성에 해당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선택예정표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개체 중 선택이 예정되는 선택예정대상을 다른 개체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예정표시란, 화면출력부(8)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개체 중 선택이 예정되는 개체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선택예정표시가 위치된 개체가 선택이 예정되는 선택예정대상에 해당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설정화면(420)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설정화면(420)에는 복수의 설정항목을 포함하는 설정목록(421)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정목록(421)에는 선택예정대상에 전술한 선택예정표시가 위치되어 있다. 선택예정표시가 위치되는 선택예정대상은 타 항목과 다른 밝기나 색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선택이 예정되는 대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예정표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제한된 디스플레이(84) 영역에서 다양한 선택 개체를 표시하기 위해, 화면상에 복수의 개체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는 개체를 상기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이 도시되어 있고,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입력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를 다른 코스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예정대상이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를 의미할 수 있고, 선택예정표시란 복수의 코스 중 선택이 예정되는 코스만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는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이 변경되는 옵션화면(440)이 도시되어 있다. 옵션화면(440)의 경우, 복수의 선택 개체 중 선택이 예정되는 옵션값이 더 큰 문자크기를 가지며 더 밝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옵션화면(440)의 선택예정표시는 복수의 개체 중 문자크기가 확대되고 더 밟은 색상을 가지도록 변경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옵션조합 중 어느 하나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옵션추천화면(460)이 도시되어 있고,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사용자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과 유사하게 이동버튼부(260)를 입력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을 다른 옵션조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옵션추천화면(460)에서의 선택예정표시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와 같이 복수의 옵션조합 중 선택이 예정되는 옵션조합만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개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예정표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0, 12 및 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4 및 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버튼부(260)는 제1이동버튼부(261) 및 제2이동버튼부(26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이동버튼부(261)는 상기 화면출력부(8)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대상을 상기 복수의 개체 중 다음 순서의 개체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개체에서 선택예정표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이동버튼부(262)는 상기 화면출력부(8)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대상을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이전 순서의 개체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개체에서 상기 선택예정표시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출력부(8)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수의 선택 개체를 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다양한 선택 개체 중 어느 하나를 직접 선택하여 이후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제1이동버튼부(261)는 선택예정표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이동버튼부(262)는 선택예정표시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이동버튼부(261)는 선택예정대상을 다음 순서의 개체로 변경시킬 수 있고, 제2이동버튼부(262)는 선택예정대상을 이전 순서의 개체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은 화면출력부(8)에 출력되는 화면에서 선택 개체가 표시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출력부(8)에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개체가 정렬되는 경우, 상기 일방향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타방향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화면출력부(8)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개체가 정렬되는 경우, 상기 일방향은 상 또는 하 방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타방향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화면출력부(8)의 원 또는 호 형상을 따라 복수의 개체가 정렬되는 경우, 상기 일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고, 타방향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에 출력되는 복수의 개체는 방향성을 가지며 정렬될 수 있고, 제1이동버튼부(261)는 상기 방향성에 대응되어 정의되는 일방향을 따라 선택예정표시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이동버튼부(262)는 타방향을 따라 선택예정표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방향 및 타방향이 모두 조작 가능한 이동버튼부(26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화면출력부(8)를 통해 복수의 개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복수의 개체에 대한 선택의 조작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다기능버튼부(91)를 통해 화면별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동버튼부(261)는 상기 화면출력부(8)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버튼부(262)는 상기 화면출력부(8)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이동버튼부(261) 및 제2이동버튼부(262)는 서로 반대방향의 이동 기능을 가지는 것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화면출력부(8)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버튼부(260)는 상기 캐비닛(10)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된 선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이동버튼부(260)는 꺽선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이동버튼부(260)가 방향성에 대한 기능을 가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동버튼부(26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버튼부(260)는 하나의 선이 절곡되어 방향성을 암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꺽선을 포함하는 화살표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출력부(8)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선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버튼부(260)는 상기 둘레선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이동버튼부(260)는 화면출력부(8)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출력부(8)는 화면둘레부(849) 내에 디스플레이(84)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선은 화면둘레부(849)의 테두리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디스플레이(84)의 제한된 영역에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고,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84)영역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다만, 화면출력부(8)상에 상기 이동버튼부(260)가 구비되면 이동버튼부(260)의 세부 구성의 배치를 위한 디스플레이(84) 영역이 제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이동버튼부(260)가 화면출력부(8)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4) 영역을 최대한의 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선, 상기 이동버튼부(260) 및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둘레는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91)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둘레가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상기 테두리선이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화면이 출력되면 상기 테두리선이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화면의 인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버튼부(260) 역시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버튼부(260)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다기능버튼부(91) 또한 발광되어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동버튼부(260) 및 다기능버튼부(91)의 경우, 각각 사용이 가능한 상황, 즉 이동버튼부(260) 및 다기능버튼부(91) 각각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버튼의 사용 가부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8)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84) 및 상기 디스플레이(84)를 둘러싸며 고정시키는 화면둘레부(849)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91)는 상기 화면둘레부(849)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상에 구비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91)는 상기 화면둘레부(849)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4)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4)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화면둘레부(849)는 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84)가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화면출력부(8)의 테두리선은 상기 화면둘레부(849)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현재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복수의 화면을 각각 출력할 수 있고, 해당 화면에 따라 다기능버튼부(91)의 활성화 여부는 물론, 활성화 상태에서의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는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활성화 여부 및 기능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기능표시영역(405)이 포함될 수 있다.
기능표시영역(405)에는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의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기능버튼부(91)가 비활성화되는 화면에서는 상기 기능표시영역(405)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는 코스선택화면(410)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는 다기능버튼부(91)의 옵션추천기능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코스진행화면(510)이 도시되어 있고, 기능표시영역(405)에 다기능버튼부(91)의 의류추가기능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옵션화면(440)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옵션화면(440)에는 다기능버튼부(91)가 비활성화되어 기능표시영역(405)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3에는 옵션추천화면(460)이 도시되어 있고, 기능표시영역(405)에는 다기능버튼부(91)의 옵션추천 종료기능을 나타내는 문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설정화면(420)이 도시되어 있고, 기능표시영역(405)에는 다기능버튼부(91)의 선택 기능을 나타내는 문구가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출력부(8)의 화면에 다기능버튼부(91)의 활성화 여부 및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기능표시영역(405)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별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 가부 및 기능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8), 다기능버튼부(91) 및 이동버튼부(260)는 컨트롤패널(10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100)은 상기 화면출력부(8) 등이 돌출되도록 않고 편평만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되는 일반옵션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옵션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옵션부(200)는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8)의 일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의 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제어부(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스는 표준세탁코스, 표준건조코스, 탈수코스, 통살균코스 등 그 특성이 서로 다른 다양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코스는 각각 복수의 옵션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옵션은 물높이, 세탁시간, 헹굼, 탈수, 물온도 등 상기 코스의 수행에 있어 조절 가능한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트롤패널(100)에서 화면출력부(8)의 일측에 상기 일반옵션부(200)가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일반옵션부(200)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컨트롤패널(100)은 캐비닛(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론트패널(15)상에 마련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100)의 중앙측에는 화면출력부(8)가 배치될 수 있으며, 화면출력부(8)의 일측에는 일반옵션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화면출력부(8)와 일반옵션부(200)는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반옵션부(200)는 제1옵션조절부(210) 및 제2옵션조절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옵션조절부(210)는 상기 코스의 제1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옵션조절부(220)는 상기 코스의 제2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옵션조절부(210) 및 상기 제2옵션조절부(220)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코스별로 조절되는 옵션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옵션은 제1옵션, 제2옵션 및 제3옵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일반옵션부(200)는 복수의 옵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각각 서로 다른 옵션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옵션조절부(210)는 제1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옵션조절부(220)는 제2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3옵션조절부(230)는 제3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옵션조절부의 개수는 옵션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옵션조절부(210) 및 상기 제2옵션조절부(220)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반옵션부(200)가 제1옵션조절부(210), 제2옵션조절부(220), 제3옵션조절부(230) 및 제4옵션조절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 옵션조절부가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옵션조절부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옵션조절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에 대해 복수의 옵션을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복수의 옵션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옵션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됨으로써 컨트롤패널(100)의 연장방향 및 화면출력부(8) 등과의 배치관계에 있어서 통일성이 유지되어 디자인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각 옵션조절부를 쉽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반옵션부(200)는 옵션표시부 및 옵션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표시부는 상기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고, 옵션버튼부는 상기 옵션의 상기 옵션설정값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반옵션부(200)는 복수의 옵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각각 옵션표시부 및 옵션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옵션조절부(210)는 제1옵션표시부(211) 및 제1옵션버튼부(2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옵션조절부(220)는 제2옵션표시부(221) 및 제2옵션버튼부(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옵션조절부(230)는 제3옵션표시부(231) 및 제3옵션버튼부(2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4옵션조절부(240)는 제4옵션표시부(241) 및 제4옵션버튼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조절부에 포함되는 옵션표시부는 해당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옵션은 복수의 옵션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헹굼' 옵션은 1회, 2회, 3회 등의 옵션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에는 복수의 옵션 각각의 옵션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옵션은 각각 복수의 옵션값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옵션설정값으로 저장되어 해당 옵션의 설정값으로서 반영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에 저장되는 복수의 코스는 표준세탁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준세탁코스는 복수의 옵션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옵션은 '물높이'옵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높이옵션의 옵션설정값이 '중'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옵션은 '헹굼'옵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헹굼옵션의 옵션설정값은 '2회'로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제어부(60)는 물높이옵션의 옵션설정값이 중에 해당하고, 헹굼옵션의 옵션설정값이 2회에 해당하는 표준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옵션은 사용자가 조절 가능하다.
한편, 옵션표시부는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옵션표시부는 해당 옵션에 포함되는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를 옵션설정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옵션표시부가 복수의 옵션값 및 옵션설정값을 표시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옵션버튼부는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을 변경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옵션버튼부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해당 옵션버튼부에 대응되는 옵션의 옵션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옵션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옵션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각각 옵션표시부 및 옵션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옵션 각각의 옵션설정값을 편리하게 확인하고 각 옵션설정값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옵션버튼부는 각각 해당 옵션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옵션버튼부(212), 제2옵션버튼부(222), 제3옵션버튼부(232) 및 제4옵션버튼부(242)에 각각 옵션 명칭이 표시된 컨트롤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상기 옵션버튼부가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버튼부가 발광되어 옵션 명칭이 사용자에게 각각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옵션버튼부가 각각 대응되는 옵션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옵션표시부는 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발광부(205)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205)는 각각 상기 옵션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에 대응되며, 상기 옵션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205) 중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상기 옵션설정값에 대응되는 발광부(205)가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옵션설정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옵션표시부는 복수의 발광부(20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205)는 각각 전력 소비를 통해 빛을 발생되는 LED소자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205)는 일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부(205)는 옵션버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205)는 옵션버튼부의 상방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205)는 상기 캐비닛(10)의 폭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옵션부는 각 구성이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05)의 개수는 각 옵션의 옵션값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옵션조절부에서 복수의 발광부(205)는 각각 서로 다른 옵션값에 대응될 수 있다.
옵션표시부는 복수의 발광부(205) 중 현재 옵션설정값으로 설정된 옵션값에 대응되는 발광부(205)가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발광되는 발광부(205)를 확인하여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옵션조절부는 하단부에 옵션버튼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옵션버튼부의 상방으로 복수의 발광부(205)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각 옵션의 옵션값은 최소값 및 최대값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발광부(205)는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되는 발광부(205)가 더 높은 옵션값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발광부(205)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발광부(205)는 옵션값 중 최소값에 대응될 수 있고, 최상단에 배치되는 발광부(205)는 옵션값 중 최대값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옵션표시부는 최하단의 발광부(205)에서부터 현재 옵션설정값에 대응되는 발광부(205)까지 함께 발광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옵션설정값이 최소값인 경우 옵션표시부는 최하단의 발광부(205)만이 발광되고, 현재 옵션설정값이 최대값인 경우 옵션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205) 전체가 발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옵션표시부에서 옵션설정값이 표시되는 방식은 복수의 발광부(205)가 발광되는 높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옵션표시부에서 복수의 발광부(205)가 발광되는 높이를 통해 현재의 옵션설정값이 전체 옵션값에서 가지는 레벨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상기 드럼(30)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코스가 복수개로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옵션그룹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버튼부는 함께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8)에 현재 표시되는 코스에 대한 상기 옵션그룹에 해당하면 함께 발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현재 표시되는 코스에 대해 조절 가능한 옵션에 해당하는 옵션조절부만이 발광되고, 나머지는 소광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옵션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스선택화면(410)에는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전술한 이동버튼부(260)를 통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는 코스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옵션조절부를 통해 현재 표시된 코스의 옵션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코스는 각각의 특성이 상이하고, 이에 따라 코스별로 조절 가능한 옵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코스는 표준세탁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준세탁코스는 복수의 옵션이 조절 가능하지만, 상기 복수의 코스는 탈수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탈수코스는 탈수만을 수행하는 코스의 특성상 탈수 회수를 조절하기 위한 '탈수'옵션 외의 옵션은 조절 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코스는 드럼(30) 내부의 청결을 위한 '통살균'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살균코스는 직접적인 의류의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코스가 아니므로 어떠한 옵션도 변경 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는 그 특성에 따라 조절 가능한 옵션들이 서로 상이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60)에는 각 코스에 따라 조절 가능한 옵션들이 옵션그룹으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옵션그룹은 각 코스별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사용자가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화면출력부(8)에 복수의 코스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화면출력부(8)에 현재 표시된 코스의 옵션그룹에 대응되는 옵션조절부가 발광되고, 나머지 옵션조절부는 소광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100)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코스에서 조절 가능한 옵션을 효과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되는 추가옵션부(2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는 화면출력부(8)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는 이동버튼부(260), 옵션부 및 추가옵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옵션부(270)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8)의 타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일반옵션부(200)와 대응되는 옵션 외의 추가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반옵션부(200)를 통해 조절되는 옵션들은 각각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옵선설정값으로 반영되는 반면, 추가옵션부(270)에서 설정 가능한 추가옵션들은 복수의 옵션값 대신 단순히 선택 여부만이 결정되는 옵션들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옵션부(270)는 '자동세제'옵션, '유연제'옵션, '스팀'옵션 및 '설정'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옵션은 예컨대 스팀옵션과 같이 스팀의 사용 여부만이 설정될 뿐 복수의 옵션값을 가지지 않고, 설정옵션과 같이 설정화면(420)으로의 진입 여부만이 결정될 뿐 복수의 옵션값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이 옵션설정값이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옵션들을 옵션표시부를 가지는 일반옵션부(200)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옵션의 진입이나 반영만이 단순 선택될 수 있는 옵션들을 추가옵션부(270)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가옵션부(270)는 캐비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출력부(8)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추가옵션부(270)는 상기 화면출력부(8)를 기준으로 일반옵션부(200)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옵션부(200)가 위치되는 일측과 추가옵션부(270)가 위치되는 타측은 상호간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제시될 뿐, 화면출력부(8)를 사이에 두고 일반옵션부(200)와 추가옵션부(270)가 서로 반대에 위치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출력부(8)를 중심으로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일반옵션부(200)와 추가옵션부(270)가 서로 반대측에 위치됨에 따라,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컨트롤패널(100)상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배치상의 통일성을 확보하여 디자인적 완성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출력부(8)를 기준으로 일반옵션부(200)와 추가옵션부(270)가 서로 반대측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일반옵션부(200)를 통해 조절되는 옵션들과 상기 추가옵션부(270)를 통해 선택되는 옵션들을 개념적으로 편리하게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8) 및 상기 이동버튼부(260)는 상기 일반옵션부(200)와 상기 추가옵션부(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일반옵션부(200)와 추가옵션부(270) 사이에 화면출력부(8)가 배치될 수 있고, 화면출력부(8)와 추가옵션부(270) 사이에 제1이동버튼부(261)가 배치될 수 있으며, 화면출력부(8)와 일반옵션부(200) 사이에 제2이동버튼부(26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화면출력부(8)와 추가옵션부(270) 사이에 제2이동버튼부(262)가 배치되고 화면출력부(8)와 일반옵션부(200) 사이에 제1이동버튼부(261)가 배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향성에 관련된 기능을 가지는 이동버튼부(260)가 화면출력부(8)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화면출력부(8) 및 이동버튼부(260)의 양측으로 일반옵션부(200)와 추가옵션부(270)가 배치됨으로써, 컨트롤패널(100)의 연장방향과 각 구성들의 배치 방향간의 통일성이 확보되어 디자인적 완성도가 향상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100)상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옵션부(270)는 서로 다른 추가옵션이 조절되는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옵션버튼부는 제1추가옵션버튼부(271), 제2추가옵션버튼부(272), 제3추가옵션버튼부(273) 및 제4추가옵션버튼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옵션버튼부의 구체적인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옵션버튼부는 일반옵션부(200)에서 조절되는 옵션들과 달리 선택 또는 진입 여부가 선택될 뿐이므로 옵션표시부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복수의 버튼이 효율적으로 배치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배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각각 해당 추가옵션의 명칭이 표시되고,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화면출력부(8)에 표시되는 상기 코스에서 설정 가능한 추가옵션에 해당하면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코스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옵션별로 조절 가부가 상이하고, 이는 추가옵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 중 어느 하나는 '스팀'옵션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스팀옵션은 단순 탈수과정을 목적으로 하는 탈수코스 등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각각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60)는 화면출력부(8)에 현재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선택이 예정되는 코스에 대해,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 중 선택 가능한 추가옵션버튼부만이 발광되고, 나머지는 소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선택 가능한 추가옵션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각각 대응되는 추가옵션에 대한 명칭이 버튼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100)은 각 추가옵션버튼부상에 추가옵션의 명칭이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추가옵션버튼부의 내부에는 각각 제어부(60)에 의해 발광 및 소광 여부가 제어될 수 있는 LED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부는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는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8), 상기 이동버튼부(260), 상기 일반옵션부(200) 및 상기 추가옵션부(270)는 모두 상기 전원버튼부(281)와 상기 수행버튼부(2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원버튼부(281)를 조작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품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하면 화면출력부(8)에 현재 표시된 코스에 대한 의류처리과정(P3)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버튼부(281)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슬립상태로 대기할 수 있고, 전원버튼부(281)로부터 상기 전원신호가 전달되면 슬립온 상태로 전환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의류처리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하여 의류처리장치(1)가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처리과정(P3)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수행버튼부(282)는 터치식 또는 기계식 버튼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조작신호의 일종인 수행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60)는 슬립온 상태에서 상기 수행신호가 전달되면, 구동부 및 급수부 등을 제어하여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의류처리과정(P3)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에 있어 사용자에게 필수적으로 조작되고 중요도가 높은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는 상기 화면출력부(8) 및 옵션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는 컨트롤패널(100)에서 화면출력부(8) 및 옵션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는 화면출력부(8)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는 일반옵션부(200) 및 추가옵션부(270)와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원버튼부(281)와 수행버튼부(28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에 있어 필수적이거나 가장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므로, 일반옵션부(200) 및 추가옵션부(270)와 구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원버튼부(281)와 수행버튼부(282)는 캐비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컨트롤패널(100)의 최외곽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100)의 일단부에 상기 전원버튼부(281)가 위치될 수 있고, 타단부에 수행버튼부(282)가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일단부에 수행버튼부(282)가 위치되고 상기 타단부에 전원버튼부(281)가 위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는 컨트롤패널(100)의 최외곽에 위치됨으로써, 전술한 화면출력부(8), 이동버튼부(260), 일반옵션부(200) 및 추가옵션부(270)는 모두 전원버튼부(281)와 수행버튼부(28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원버튼부(281) 및 수행버튼부(282)는 각각 컨트롤패널(100)의 단부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수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상기 전원버튼부(281)와 수행버튼부(282)를 쉽게 인지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버튼부(260), 상기 전원버튼부(281) 및 상기 수행버튼부(282)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디자인적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는 상기 화면출력부(8)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부(260)는 상기 화면출력부(8)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변화하는 다기능버튼부(91)는 화면출력부(8)상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화면을 확인함과 함께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편리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버튼부(260)는 화면출력부(8)의 외측에 별개로 마련됨으로써 화면출력부(8)에서 불필요한 공간소비를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84)영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과정에 따른 화면출력부(8)의 화면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과정은 부팅과정(P1), 코스설정과정(P2) 및 의류처리과정(P3)을 포함할 수 있다. 부팅과정(P1)은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에 전원이 입력되고 제어부(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이 부팅되는 과정에 해당한다.
코스설정과정(P2)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코스에 대한 다양한 설정이 진행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의류처리과정(P3)은 코스설정과정(P2)에서 결정된 코스에 따라 의류가 처리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의류처리과정(P3)에서 제어부(60)는 구동부나 기타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코스를 수행한다.
한편, 화면출력부(8)는 부팅과정(P1)에서 부팅화면(300)을 출력할 수 있다. 부팅화면(300)은 부팅과정(P1)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부팅화면(300)은 현재 기온, 날씨, 부팅 진행 상황, 경고 내용, 알림 내용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상기 부팅화면(300)을 출력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8)를 제어하고, 상기 부팅화면(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는 코스설정과정(P2)에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코스설정화면(400)을 출력할 수 있다. 코스설정화면(4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코스와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코스설정화면(400)을 통해 코스 및 옵션 등의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코스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코스선택화면(410) 등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조작부를 조작하면, 제어부(60)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코스나 설정 등에 따라 의류처리과정(P3)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는 의류처리과정(P3)에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의류처리화면(500)을 출력할 수 있다. 의류처리화면(500)은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되는 코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의류처리화면(50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화면(500)에서 현재 진행되는 코스의 명칭, 코스의 수행시간, 해당 코스에서 현재 진행되는 처리과정 및 남은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부팅화면(300) 중 알림화면(3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부팅화면(300)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의 준비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부팅화면(300)은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알림화면(320)은 부팅화면(300)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알림화면(320)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알림화면(320)은 현재 날씨, 기온, 수온, 세제의 잔여량 등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에 앞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400) 중 코스선택화면(4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400)은 코스선택화면(410) 등 다양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스선택화면(410)은 화면출력부(8)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400)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설정화면(400)의 일례로서 코스선택화면(410)이 도시되어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이동버튼부(260) 조작을 통해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에는 순서표시영역(411), 코스명칭영역, 옵션안내영역(413) 및 기능표시영역(405)이 포함될 수 있다. 순서표시영역(411)은 코스선택화면(41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복수의 코스 중 현재 표시된 코스가 몇번째인지 순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코스를 화면출력부(8)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다만, 화면출력부(8)는 디스플레이(84)를 통해 한정된 면적에서 정보를 표시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코스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복수의 코스를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함으로써, 제한된 화면영역에서 복수의 코스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스선택화면(410)은 현재 표시되는 코스가 몇번째 순서인지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순서표시영역(411)을 포함하고, 순서표시영역(411)을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코스에 대해 현재 표시되는 코스의 순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는 순서표시영역(411)에서 상기 코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개체가 표시되고,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현재 표시되는 코스에 대응되는 원형 개체가 나머지 원형 개체와 다른 조도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표스되는 코스의 순서를 나타내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순서표시영역(411)의 구체적인 형태는 복수의 코스에 대한 현재 코스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코스명칭영역에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현재 표시되는 코스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코스명칭영역을 통해 현재 표시되는 코스를 확인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에는 현재 표시된 코스에 대한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코스는 각각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옵션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옵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옵션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으로 지정되어 해당 코스의 수행에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를 표시하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가 해당 코스에 대한 현재의 옵션 설정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코스선택화면(410)의 옵션안내영역(413)을 통해 해당 코스의 대한 복수의 옵션의 각 옵션설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기능표시영역(405)에는 화면출력부(8)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에 따른 다기능버튼부(91)의 현재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화면별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 시 이루어지는 결과를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스선택화면(410)의 기능표시영역(405)에는 옵션추천화면(460)의 진입을 나타내기 위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고, 옵션추천화면(46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한정적인 출력 면적에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영역이 효율적으로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기 위한 표시그룹의 지정 여부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그룹으로의 지정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10를 참고하면, 순서표시영역(411)에는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되는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응되는 점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점 영역의 전체 개수는 상기 표시그룹의 코스 전체 개수와 동일할 수 있고, 현재 표시된 코스에 대응되는 점 영역이 밝기 차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순서표시영역(411)은 디스플레이(84)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순서표시영역(411)의 하방에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이 위치될 수 있다.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은 디스플레이(84)의 대략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에는 현재 표시된 코스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고, 타 영역과의 관계에서 가장 큰 문자크기를 가지며 사용자의 가시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은 상기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은 선택코스 표시영역(412)과 함께 디스플레이(84) 중앙측에 위치되되, 상기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에는 복수의 옵션 각각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에는 복수의 옵션 각각의 명칭과, 각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에 표시되는 문자는 상기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의 문자보다 작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고,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의 문자보다 낮은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기능표시영역(405)은 옵션안내영역(413)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기능표시영역(405)은 디스플레이(84)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기능표시영역(405)에 표시되는 문자는 선택코스 표시영역(412)의 문자보다 낮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8)에 코스선택화면(4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는 복수의 코스 중 선택예정표시가 위치된 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코스는 표시순서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는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코스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해 제1이동버튼부(261) 및 제2이동버튼부(262)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할 수 있고, 이전 순서에 해당하는 코스를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제1이동버튼부(261) 및 제2이동버튼부(262) 중 나머지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는 일반옵션부(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옵션조절부와 추가옵션부(270)에 포함되는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 중 제어부(60)에 의해 발광되도록 제어된 개체들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는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함으로써 코스선택화면(410)에 현재 표시된 코스를 수행하는 의류처리과정(P3)을 진행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를 조작하여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옵션추천화면(46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로부터 출력되는 의류처리화면(500) 중 코스진행화면(510)이 도시되어 있다. 즉, 코스진행화면(510)은 의류처리화면(500) 중 하나에 해당하며, 도 11에는 코스진행화면(510)이 의류처리화면(500)의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화면출력부(8)의 코스선택화면(410) 등을 통해 사용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전술한 이동버튼부(260) 및 수행버튼부(282) 등을 통해 어느 하나의 코스를 특정하면, 제어부(60)는 상기 이동버튼부(260) 및 수행버튼부(282) 등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표준세탁코스 또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표준건조코스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60)는 급수부, 구동부, 공기공급부 및 배수부 등을 제어하여 해당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해당 코스를 수행하는 의류처리과정(P3)에서, 제어부(60)는 화면출력부(8)가 코스진행화면(510)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코스진행화면(510)을 통해 제어부(60)는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중인 의류처리과정(P3)을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스진행화면(510)은 수행코스 표시영역(511), 수행시간 표시영역(512), 수행과정 표시영역(513), 수행완료도 표시영역(514) 및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코스진행화면(510)의 구성은 반드시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수행코스 표시영역(511)은 의류처리과정(P3)에서 수행중인 코스의 명칭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사용자는 수행코스 표시영역(511)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코스를 확인할 수 있다.
수행시간 표시영역(512)은 현재 수행중인 코스의 수행 경과시간을 또는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사용자는 수행시간 표시영역(512)에 표시되는 시간 정보를 통해 현재 수행중인 코스의 수행 정도 또는 종료시간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있다.
수행과정 표시영역(513)은 현재 수행중인 코스의 현재 처리과정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는 복수의 처리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준세탁코스는 급수과정, 세제투입과정, 세탁과정, 헹굼과정, 배수과정, 탈수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코스가 수행되면 해당 코스에 대한 복수의 처리과정이 수행될 수 있고, 제어부(60)는 코스진행화면(510)의 수행과정 표시영역(513)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중인 처리과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처리과정(P3)에 대한 직관성을 확보하고 현재의 처리과정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행완료도 표시영역(514)은 현재 진행중인 코스 전체에 대해 현재까지의 진행 정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수행완료도 표시영역(514)은 완료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시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행완료도 표시영역(514)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코스의 진행 정도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잔여시간만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영역과 달리 코스의 전체 과정 중 현재 과정을 표시하는 수행완료도 표시영역(514)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화면(500) 중 코스진행화면(510)은 전술한 코스선택화면(410)과 같이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기능버튼부(91)는 코스진행화면(510)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다기능버튼부(91)가 활성화되면 다기능버튼부(91) 자체 또는 화면출력부(8)의 일부, 예컨대 다기능버튼부(91)의 테두리영역이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다기능버튼부(91)의 사용 가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코스진행화면(510)에서 조작부의 각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스진행화면(510)에서 사용자가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하면 제어부(60)는 일시정지상태에 진입하며, 화면출력부(8)는 일시정지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의류처리과정(P3)을 일시정지시킨 이후, 다시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하면 일시정지 직전의 의류처리과정(P3)으로 복귀될 수 있다.
코스진행화면(510)에서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를 조작하면 제어부(60)는 의류추가과정으로 진입하고, 화면출력부(8)는 의류추가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60)는 코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과정 중 현재 진행중인 과정이 의류추가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과정인이 먼저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의류추가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면 다기능버튼부(9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스진행화면(510)에는 현재 진행중인 과정에 따라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405)이 표시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옵션화면(440)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옵션버튼부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한 옵션값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8)는 상기 화면출력부(8)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옵션화면(440)으로 전환되며, 상기 옵션화면(440)에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의 옵션값이 표시될 수 있다.
옵션버튼부는 해당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을 변경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옵션버튼부를 조작하면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에 해당하는 옵션값이 다른 옵션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옵션버튼부가 헹굼회수 옵션에 대해 마련된 경우, 상기 헹굼회수 옵션은 1회, 2회, 3회 등 복수의 옵션값을 가지며, 헹굼회수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1회인 경우에서 상기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헹굼회수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디른 옵션값에 해당하는 2회, 3회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옵션버튼부에 대응되는 옵션은 각 코스별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옵션버튼부는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해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8)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옵션화면(4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화면출력부(8)는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옵션화면(44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옵션화면(440)에는 해당 옵션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화면(440)에서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코스설정과정(P2)에서 화면출력부(8)에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복수의 옵션버튼부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옵션화면(44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옵션화면(440)에는 복수의 옵션값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를 옵션선택값으로 설정하거나,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옵션버튼부를 반복 조작하여 상기 옵션설정값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버튼부의 조작이 수행되면 화면출력부(8)에서 해당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 변화를 표시하는 옵션화면(440)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옵션 설정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8)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84) 전체 영역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상기 옵션화면(44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디스플레이(84) 영역을 최대한 활용하며 복수의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팝업 방식을 통해 상기 옵션화면(44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팝업 방식이란 기존의 화면에서 새로운 화면이 튀어나오듯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팝업 방식에 의하면 기존의 화면위에 새로운 화면이 일종의 레이어 형태로 적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설정과정(P2)에서 화면출력부(8)가 코스설정화면(400)을 출력하도록 마련되고, 코스설정화면(400)은 코스선택화면(410)과 옵션화면(4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옵션화면(440)은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팝업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옵션버튼부는 제1옵션을 조절하기 위한 제1옵션버튼부(212) 및 제2옵션을 조절하기 위한 제2옵션버튼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제1옵션버튼부(212)가 조작되면 상기 제1옵션의 옵션값이 표시되는 제1옵션화면(441)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2옵션버튼부(222)가 조작되면 상기 제2옵션의 옵션값이 표시되는 제2옵션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옵션별로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1옵션버튼부(212)가 조작되면 화면출력부(8)는 제1옵션의 옵션값이 표시되는 제1옵션화면(441)을 출력하며, 제2옵션버튼부(222)가 조작되면 제2옵션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1옵션 및 제2옵션으로 설명한 헹굼회수 및 세탁강도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일 뿐이며, 제1옵션 및 제2옵션은 헹굼회수 및 세탁강도 외의 다른 옵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코스선택화면(410)은 현재 표시된 코스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안내영역(413)을 포함하고, 상기 옵션화면(440)은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과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적어도 일부가 함께 표시되는 옵션값 표시영역(44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복수의 옵션값이 표시되는 옵션화면(440)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버튼부는 제1옵션버튼부(212), 제2옵션버튼부(222), 제3옵션버튼부(232) 등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옵션값은 회수를 상징하는 숫자뿐만 아니라 강도를 나타내는 문자 형태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옵션은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옵션설정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코스는 복수의 옵션이 조절 가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옵션 각각은 복수의 옵션값을 가지며, 각 옵션은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옵션설정값으로 저장되어 해당 코스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코스선택화면(410)에는 사용자가 옵션화면(440)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현재 표시된 코스에서 각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옵션안내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스선택화면(410)에는 복수의 옵션 각각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안내영역(413)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옵션안내영역(413)을 통해 현재 코스의 각 옵션설정값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옵션화면(440)에는 해당 옵션의 옵션설정값 뿐만 아니라 나머지 옵션값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옵션설정값과 함게 표시되는 옵션값 표시영역(440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옵션값 표시영역(4401)을 통해 사용자는 옵션화면(44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옵션값의 존부를 편리하게 확인하고, 옵션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서 현재의 옵션설정값은 나머지 옵션값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는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서 현재 옵션설정값이 나머지 옵션값보다 큰 크기로 표시되고 색상 및 밝기가 다르게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옵션설정값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도 옵션안내영역(413)을 통해 사용자에게 각 옵션의 옵션설정값을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알리고, 나아가 옵션화면(440)에서는 옵션설정값 외의 옵션값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원하는 옵션설정값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옵션화면(440)은 상기 옵션값 표시영역(4401)과 더불어 옵션명칭 표시영역(44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화면(440)이 제1옵션화면(441) 및 제2옵션화면 등 복수의 옵션화면(4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현재 변경중인 옵션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해 옵션화면(440)에 옵션명칭 표시영역(4405)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는 제1옵션화면(441)의 옵션명칭 표시영역(4405)에 헹굼회수 옵션임을 알리기 위해서 "헹굼"이라는 단어가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제2옵션화면의 옵션명칭 표시영역(4405)에는 세탁강도 옵션임을 알리기 위해 "세탁"이라는 단어가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제1옵션 및 제2옵션이 반드시 헹굼회수 옵션 및 세탁강도 옵션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나아가 헹굼회수 옵션 및 세탁강도 옵션을 나타내기 위한 옵션명칭 표시영역(4405)의 구체적인 문구 또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옵션설정값으로 표시되고, 상기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상기 어느 하나 대신 다른 하나가 옵션설정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옵션설정값을 다른 옵션값으로 변경하거나, 옵션버튼부를 반복 조작하여 옵션설정값을 다른 옵션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적어도 일부가 순서대로 나열되어 표시되고, 상기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현재 옵션설정값의 다음 순서에 해당되는 옵션값이 옵션설정값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60)에는 복수의 옵션 각각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이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옵션화면(440)에는 해당 옵션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 중 적어도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옵션화면(440)의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는 동시에 표시되는 옵션값 개수가 미리 정해질 수 있고, 해당 옵션의 옵션값 개수가 옵션값 표시영역(4401) 에서 동시에 표시되는 옵션값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는 현재의 옵션설정값에 해당하는 옵션값을 중심으로 그 이전순서의 옵션값 및 그 이후순서의 옵션값들을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는 옵션설정값으로 저장된 옵션값의 이전순서에 해당하는 옵션값과 이후순서에 해당하는 옵션값이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 함께 표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서 동시에 표시되는 옵션값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화면(440)에서 옵션버튼부를 조작하여 옵션설정값의 현재의 옵션값에서 다른 옵션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화면출력부(8)에 옵션화면(44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옵션버튼부의 옵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옵션설정값에 해당하는 옵션값의 다음순서에 해당하는 옵션값을 옵션설정값으로 변경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화면(440)에서 옵션버튼부의 입력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옵션값 중 원하는 옵션값을 옵션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복수의 옵션값이 이동 모션으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옵션값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옵션화면(440)은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는 상기 옵션값 표시영역(440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옵션값 표시영역(4401)의 표시만이 변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버튼부가 반복 조작되더라도 불필요한 화면 변화 없이 옵션값의 변화만을 출력함으로써 불필요한 화면 변경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옵션값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서는 각 옵션값이 이동 모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옵션값 표시영역(4401)의 각 옵션값은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애니메이션과 같이 이동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옵션화면(440)에서 옵션버튼부가 입력되어 옵션설정값이 변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옵션화면(440)은 현재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을 포함하고, 상기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의 일측에 위치되어 현재 옵션설정값의 이전순서 옵션값이 표시되는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 및 상기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의 타측에 위치되어 현재 옵션설정값의 다음순서 옵션값이 표시되는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의 옵션값이 상기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으로 이동되어 표시되고, 상기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의 옵션값이 상기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값 표시영역(4401)이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 및 다음순서표시영역(411)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에는 해당옵션에서 현재 옵션설정값으로 설정된 옵션값이 표시되고,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에는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에 표시된 옵션값의 이전순서에 해당하는 옵션값이 표시되며,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에는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에 표시된 옵션값의 다음순서에 해당하는 옵션값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에서 옵션설정값에 해당하는 옵션값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의 옵션설정값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과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옵션값의 순서를 파악하고 옵션버튼부의 조작에 따른 옵션설정값의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 및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옵션화면(440)에서 옵션버튼부가 입력되어 옵션설정값이 변경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값 표시영역(4401)의 각 옵션값은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이동 모션을 통해 위치가 변경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버튼부가 조작되면 기존에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에 위치되었던 옵션값이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으로 이동되고, 기존에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에 위치되었던 옵션값은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에는 기존에 옵션값 표시영역(4401)에 표시되지 않았던 옵션값이 신규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제1이동버튼부(261)가 조작되면 상기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의 옵션값이 상기 이전순서 표시영역(4402)으로 이동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2이동버튼부(262)가 조작되면 상기 옵션설정값 표시영역(4403)의 옵션값이 상기 다음순서 표시영역(4404)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화면(440)에서 옵션버튼부가 입력되어야 옵션설정값이 변경되거나, 이동버튼부(260)가 조작되어야 옵션설정값이 변경되거나, 옵션버튼부 및 이동버튼부(260)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옵션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화면(440)에서의 조작 방식의 결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된 옵션설정시간동안 상기 옵션버튼부의 조작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옵션화면(440)으로부터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화면(440)은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옵션화면(440)이 종료되면 화면출력부(8)의 디스플레이(84)에는 다시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 때 코스선택화면(410)의 옵션안내영역(413)에는 상기 옵션화면(440)을 통해 조정된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옵션화면(440)의 종료를 위한 옵션설정시간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화면출력부(8)에 옵션화면(440)이 출력된 이후부터 상기 옵션설정시간동안 옵션버튼부의 조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옵션 설정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옵션설정시간동안 사용자에 의한 조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옵션화면(440)으로부터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8)를 제어하여 옵션 설정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옵션버튼부가 옵션부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고, 옵션부는 상기 옵션버튼부와 함께 옵션조절부를 구성하는 옵션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옵션표시부는 상기 옵션설정값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화면(440)에서 상기 옵션표시부와 함께 상기 옵션설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옵션표시부에서 발광부(205)의 발광 특성 변화를 통해 옵션설정값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함과 함께, 화면출력부(8)에서도 옵션화면(440)을 통해 옵션설정값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전환되어 출력되는 옵션추천화면(460)이 도시되어 있다. 옵션추천화면(460)은 코스설정과정(P2)에서 화면출력부(8)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400)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드럼(30), 조작부, 화면출력부(8)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화면출력부(8)와 신호적으로 연결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미리 저장되며, 각 코스에서 복수의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이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에 대해 상기 복수의 옵션에 대한 각 옵션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옵션조합이 저장되며, 상기 화면출력부(8)를 통해 상기 옵션조합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코스는 각각 복수의 옵션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스별로 상기 복수의 옵션은 각각 초기 옵션설정값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옵션 조절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초기 옵션설정값에 기초하여 해당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누적회수 이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옵션설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옵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옵션설정값을 옵션조합으로 저장하여 이후의 코스선택 시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에는 코스의 수행에 있어 복수의 옵션에 대해 사용자에게 권장되거나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옵션설정값들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60)는 복수의 옵션에 대해 사용자에게 권장되거나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옵션설정값들이 조합된 옵션조합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누적회수 이상 설정되거나 사용자에게 권장되는 옵션설정값 모음을 상기 옵션조합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코스선택과정에서 상기 옵션조합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옵션조합이 복수개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옵션조합은 상기 복수의 옵션 중 적어도 일부의 옵션설정값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옵션조합은 복수의 옵션에 대한 각 옵션설정값을 포함하고, 제어부(60)에는 서로 다른 옵션조합이 복수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옵션조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선택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옵션조합을 추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옵션조합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옵션조합이 옵션추천화면(46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안되는 방식은 코스선택화면(410)에서 복수의 코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옵션추천화면(460)에는 복수의 옵션조합 중 어느 하나의 옵션조합이 택일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옵션조합을 순서대로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13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옵션조합이 제안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면출력부(8)에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옵션추천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옵션조합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옵션추천화면(46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은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고, 기능표시영역(405)에는 다기능버튼부(91) 조작 시 옵션조합이 추천되는 옵션추천기능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에는 기능표시영역(405)에 "마스터 카드"라는 옵션추천기능의 별칭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옵션추천기능을 나타내는 문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에서 다기능버튼부(91)가 조작되면 화면출력부(8)의 디스플레이(84) 영역에 출력되는 화면은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옵션추천화면(460)은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461), 옵션조합영역(462) 및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461)에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된 코스를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461)에는 상기 코스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461)을 통해 현재 추천되는 옵션조합의 대상 코스가 무엇인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옵션조합영역(462)에는 복수의 옵션조합이 택일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옵션조합영역(462)에서 복수의 옵션조합이 표시되는 방식은 코스선택화면(410)에서 복수의 코스가 표시되는 방식과 유사하다.
즉, 옵션조합영역(462)에는 복수의 옵션조합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 등을 조작하여 상기 옵션조합영역(462)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을 다른 옵션조합으로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는 옵션추천화면(460)의 옵션조합영역(462)에 제1옵션조합(46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부 조작에 따라 상기 옵션조합영역(462)에 제2옵션조합(4602)이 표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제어부(60)는 복수의 옵션조합에서 코스별로 적용 가능한 옵션조합 그룹이 미리 설정되고,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옵션조합영역(462)에는 상기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461)에 표시된 코스에 적용 가능한 옵션조합 그룹에 해당하는 옵션조합만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옵션조합영역(462)에는 현재 표시되는 옵션조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옵션조합영역(462)에는 옵션조합의 명칭과 해당 옵션조합에 포함되는 각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옵션추천화면(460)은 코스선택화면(410)과 같이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추천화면(460)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옵션추천화면(460)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기능을 가질 수 있고, 기능표시영역(405)에는 다기능버튼부(91)의 종료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에는 기능표시영역(405)에 "닫기"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일 뿐 다기능버튼부(91)의 종료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문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옵션조합이 복수개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해 적용 가능한 옵션조합들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복수의 옵션조합 중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에 적용 가능한 옵션조합들이 표시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옵션부는 복수의 옵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조절부를 포함하고, 옵션조절부에서 조절되는 옵션 이외의 추가옵션에 대한 추가옵션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옵션조절부는 각각 코스별로 변경이 불가하도록 제어부(60)에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조합은 각각의 옵션 특성에 따라 복수의 코스 중 일부에 대해 적용이 불가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60)에는 복수의 옵션조합에 대한 코스별 적용 가부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설정값을 통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옵션조합이 저장될 수 있고, 다만 복수의 코스는 각각의 특성상 특정 옵션이 변경 불가하거나 적용이 불가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60)에는 복수의 옵션조합에 대해 각 코스별 적용 가부가 미리 설정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코스별 최적의 옵션조합을 추천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에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면, 제어부(6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코스에 적용이 가능한 옵션조합들을 화면출력부(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일부에 대해 상기 옵션조합을 제공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일부는 옵션조합이 적용될 수 없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이를 달리 말하면,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일부는 옵션의 변경이 불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는 드럼(30) 내부를 스팀 등을 이용하여 자동 세척하기 위한 통살균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살균코스는 의류가 직접 처리되지 코스가 아니므로 헹굼회수, 세탁강도, 물온도, 스팀 적용 여부가 임의적으로 조절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살균코스 외에도 다양한 이유에 따라 옵션조합에 포함되는 복수의 옵션에 대해 변경이 불가한 코스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60)가 복수의 코스 중 일부에 대해서는 옵션조합을 제안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옵션조합은 최빈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 이상의 의류처리행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동일하게 설정된 옵션설정값을 상기 최빈조합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옵션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 이상으로 적용되어 의류처리과정(P3)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옵션에 대한 각 옵션설정값을 복수의 옵션조합 중 하나에 해당하는 최빈조합으로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13에는 제1조합옵션이 표시된 조합추천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1조합옵션은 상기 최빈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기준회수 이상의 의류처리행정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옵션설정값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옵션설정값을 상기 최빈조합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기간이 증가할수록 사용자에 의해 기준회수 이상 설정되는 옵션설정값이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준회수 이상 설정된 옵션설정값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60)는 기준회수 이상 사용된 복수의 옵션설정값 중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옵션설정값을 상기 최빈조합으로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출력부(8)가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옵션조합을 표시하는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은 전술한 옵션화면(440)과 같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팝업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 전체가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복수의 옵션조합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되는 옵션조합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화면출력부(8)상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하는 다기능버튼부(9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은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의 상기 기능표시영역(405)에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 진입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추천화면(460)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옵션추천 종료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의 상기 기능표시영역(405)에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 종료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옵션추천화면(460)에 어느 하나의 옵션조합이 표시된 상태에서 의류처리과정(P3)을 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수행버튼부(282)가 조작되면, 옵션추천화면(460)의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461)에 표시된 코스에 대해 옵션조합영역(462)에 표시된 옵션조합을 적용하여 의류처리과정(P3)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의 옵션설정값들은 상기 옵션추천화면(460)과 상기 옵션표시부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동버튼부(260) 등의 조작에 따라 옵션추천화면(460)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이 변경되면, 옵션표시부 또한 옵션조합의 변경에 대응되어 옵션설정값 정보를 변경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조합 추천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가 발생되도록 마련되고, 화면출력부(8)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화면출력부(8)와 신호적으로 연결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미리 저장되고, 각 코스에서 복수의 옵션에 대한 옵션설정값이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에 대해 상기 복수의 옵션에 대한 각 옵션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옵션조합이 저장되며,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상기 옵션조합이 표시되는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다기능버튼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다기능버튼부(91)는 상기 화면출력부(8)상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은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의 상기 기능표시영역(405)에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 진입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에 대한 옵션조합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옵션추천화면(460)에는 해당 코스에 적용 가능한 옵션조합이 표시될 수 있다.
수행버튼부(282)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의 수행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수행버튼부(282)의 조작신호를 상기 수행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수행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를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 표시된 옵션조합을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옵션추천화면(460)에서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84) 영역의 화면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기능버튼부(91)를 통해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추천된 옵션조합을 무시하고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진입되기 전의 옵션설정값이 반영된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의 각 옵션의 옵션설정값을 초기값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옵션부가 조작되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으로부터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으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옵션부의 옵션버튼부 또는 추가옵션버튼부의 조작신호를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와 마찬가지로 받아들여 화면출력부(8)가 다시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옵션부는 상기 복수의 옵션의 각 옵션설정값을 표시하는 복수의 옵션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의 옵션조합값은 상기 옵션추천화면(460)과 상기 옵션표시부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적용 가능한 옵션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전술한 이동버튼부(2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이동버튼부(260)가 조작되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되는 코스가 변경되고,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서 상기 이동버튼부(260)가 조작되면 상기 옵션추천화면(460)에 표시되는 옵션조합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드럼(30), 조작부, 화면출력부(8)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에 대해 상기 복수의 옵션에 대한 각 옵션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옵션조합이 저장되며,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가 조작되면 상기 옵션조합이 표시되는 옵션추천화면(46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400) 중 설정화면(420)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드럼(30), 조작부, 화면출력부(8) 및 제어부(60)를 포함하고, 드럼(3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다.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화면출력부(8)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화면출력부(8)와 신호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30)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적어도 일부가 표시그룹으로 지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이 표시되는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선택되는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코스에서 각각 상기 표시그룹으로의 지정 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에는 표준세탁코스, 표준건조코스, 탈수코스 등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코스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설정과정(P2)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코스를 표시하고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기 위한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부팅과정(P1) 이후 코스설정과정(P2)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는 제한된 디스플레이(84) 영역에서 복수의 코스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만을 택일적으로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가 전술한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면 복수의 코스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제어부(60)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코스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코스를 모두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에 따라서 불필요한 코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코스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제어부(60)에 저장된 다수의 코스에 대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는 코스를 지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별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에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코스 중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기 위한 표시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코스선택화면(410)에는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만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만을 확인 및 선택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한 표시그룹으로의 지정 여부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한 표시그룹으로의 지정 여부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부(60)에 저장된 다양한 코스 중 사용자가 요구하는 코스들을 선별하여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표시그룹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환경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선택화면(410)은 순서표시영역(411), 코스명칭영역, 옵션안내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스명칭영역에는 전술한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만이 표시될 수 있다.
코스명칭영역에는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 중 어느 하나만이 표시될 수 있다. 옵션안내영역(413)에는 상기 코스명칭영역에 표시된 코스에 대한 옵션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이동버튼부(260) 등을 조작하여 코스명칭영역 및 옵션안내영역(413)에 표시되는 코스를 다음순서 또는 이전순서의 코스로 변경하여 선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순서표시영역(411)에서 표시되는 순서 및 코스의 개수는 상기 표시그룹의 설정 상태에 종속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순서표시영역(411)에서 표시되는 코스의 개수는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의 수에 해당할 수 있고, 순서표시영역(411)에서 표시되는 현재 코스의 순서 정보는 상기 표시그룹에서의 순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을 제외한 나머지 코스들은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만이 표시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출력부(8)의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된 표시그룹에 해당하는 코스들만을 대상으로 의류처리를 위한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상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는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 중 어느 하나만이 택일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는 코스가 다른 코스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한된 디스플레이(84)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그룹으로 설정된 코스들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코스선택화면(410)에 어느 하나의 코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 예컨대 이동버튼부(260) 등을 조작하여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된 코스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코스선택화면(41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여 제어부(60)에게 수행을 명령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화면출력부(8)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코스선택화면(410)을 출력하고, 코스선택화면(410)에는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 중 어느 하나만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코스명칭영역 및 옵션안내영역(413)을 확인하여 현재 표시된 코스의 수행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가 전술한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하여 조작신호의 하나인 수행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60)는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된 코스에 현재의 옵션설정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코스에 근거한 의류처리과정(P3)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코스선택화면(410)에 현재 표시된 코스 외의 코스를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되는 코스를 다른 코스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면출력부(8)에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다양한 코스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되도록 하고, 코스선택화면(410)에 수행을 희망하는 코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수행버튼부(282)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전술한 제1이동버튼부(261)가 조작되면 현재 표시되는 코스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코스를 표시하고, 전술한 제2이동버튼부(262)가 조작되면 현재 표시되는 코스의 이전 순서에 해당하는 코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코스의 순서 정보는 제어부(6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60)는 이동버튼부(260)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는 코스의 다음순서에 해당하는 코스 또는 이전순서에 해당하는 코스를 코스선택화면(410)에 표시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코스를 포함하는 코스목록이 표시되는 코스편집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코스편집화면의 출력을 명령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스편집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전술한 옵션부의 추가옵션버튼부 중 설정버튼부를 조작함으로써 화면출력부(8)에 설정화면(420)을 출력시킬 수 있고, 설정화면(420)에는 코스편집항목(4212)을 포함하는 설정목록(421)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와 다기능버튼부(91) 등을 이용하여 상기 코스편집항목(4212)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상기 코스편집항목(4212)이 선택되면 상기 코스편집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코스목록에는 제어부(60)에 저장된 모든 코스가 항목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코스편집화면의 코스목록을 통해 제어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코스를 전체로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코스목록에서 사용의사가 있는 코스들을 표시그룹으로 지정하고, 사용의사가 없는 코스들은 표시그룹에서 지정 해제하여 원하는 표시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스편집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출력부(8)의 제한된 출력영역, 즉 디스플레이(84) 영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코스편집화면이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 코스선택화면(410) 대신 코스편집화면이 출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화면의 전환 출력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한된 디스플레이(84) 영역에서도 다양한 화면을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설정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설정버튼부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복수의 설정항목이 표시되는 설정화면(420)으로 전환되며, 상기 설정화면(420)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설정항목 중 코스편집항목(4212)이 선택되면 상기 코스편집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410)이 화면출력부(8)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버튼부가 조작되면, 제어부(60)는 코스선택화면(410) 대신 설정화면(42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화면(420)에는 현재 표시되는 코스의 설정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 사용환경 전반에 대한 설정에 관련된 설정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목록(42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에는 코스선택화면(410)으로부터 설정버튼부의 설정신호에 따라 설정화면(420)으로 전환되는 모습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설정목록(421)에는 언어설정, 초기화설정 등 다수의 설정항목이 포함될 수 있고, 화면출력부(8)는 제한된 디스플레이(84)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설정항목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설정화면(420)상에서 복수의 설정항목 중 미리 정해진 개수만큼을 설정화면(42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는 제어부(60)에 저장된 설정목록(42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설정목록(421) 중 일부가 설정화면(420)에 표시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4에는 도시된 설정화면(420) 및 설정목록(421)을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이며, 설정목록(421)에서 동시에 표시되는 설정항목의 개수나 설정목록(421)의 전체 설정항목 내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설정화면(420)에서 복수의 설정항목 중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버튼부(260) 등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설정화면(420)에 표시되는 설정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설정화면(420)에서 이동버튼부(260)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현재 표시되는 설정항목을 설정목록(421)상의 순서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화면출력부(8)에 설정항목 중 코스편집항목(4212)이 표시된 설정화면(420)이 도시되어 있다. 코스편집항목(4212)을 나타내는 명칭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8)는 화면상에 복수의 항목이 표시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예정대상임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는 복수의 설정항목 중 코스편집항목(4212)이 나머지와 다른 색상 또는 조도를 가지며 선택예정대상으로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항목과 다른 색상 또는 조도를 가지는 선택예정표시가 적용되고, 상기 선택예정표시가 적용된 항목이 현재의 선택예정대상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 또는 수행버튼부(282) 등의 조작부를 조작하면 제어부(60)는 상기 선택예정표시가 적용된 선택예정대상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출력부(8)에 복수의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선택예정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설정화면(420)에서 사용자가 제1이동버튼부(261)를 조작하면 선택예정표시가 코스편집항목(4212) 아래의 항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이동버튼부(262)를 조작하면 상기 선택예정표시가 코스편집항목(4212) 위의 항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에 표시된 항목들 중 최하단의 항목에 선택예정표시가 적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면, 화면출력부(8)는 현재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목록상 다음순서의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며, 현재의 화면에서 표시된 항목들 중 최상단의 항목이 화면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에 설정화면(420)이 출력된 상태에서 다기능버튼부(91)가 활성화되어 선택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설정화면(420)이 출력된 상태에서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를 선택신호로 인식하여 현재 선택예정대상의 선택에 따른 이후 절차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설정과정(P2)에서 화면출력부(8)에 코스선택화면(410)이 출력될 수 있고,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가 설정버튼부를 조작하면 제어부(60)는 화면출력부(8)에 코스선택화면(410) 대신 설정화면(42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설정화면(420)에서 사용자가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선택예정표시가 코스편집항목(4212)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를 조작하면, 제어부(60)는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를 선택신호로 판단하고 코스편집항목(4212)의 선택에 따라 화면출력부(8)에서 설정화면(420) 대신 코스편집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8)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제한된 디스플레이(84) 영역에서 코스선택화면(410), 설정화면(420) 및 코스편집화면을 택일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복수의 항목 중 일부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되는 항목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항목을 효율적으로 표시하며, 다기능버튼부(91)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마련되어 조작부의 추가 없이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면을 조작하거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1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설정항목은 코스정렬항목(4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설정화면(420)에서 상기 코스정렬항목(4211)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그룹의 코스들이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는 표시순서를 사용빈도에 따라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스편집항목(4212) 및 코스설정항목을 포함하는 설정목록(421)이 표시된 화면출력부(8)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동버튼부(260)를 조작하여 선택예정표시를 상기 코스정렬항목(421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기능버튼부(91)를 터치하면, 제어부(60)는 코스정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코스정렬과정에서 제어부(60)는 최근 의류처리과정(P3)에서 사용된 코스의 빈도수에 따라 표시그룹의 코스들에 대한 표시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의류처리과정(P3) 회수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로 사용된 코스에서 가장 낮은 빈도수로 사용된 코스까지 표시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코스정렬항목(4211)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빈도수를 반영한 표시순서를 가지는 표시그룹의 코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스목록에는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한 상기 표시그룹 지정 여부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그룹 지정 여부는 상기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스목록에는 제어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코스항목이 표시되고, 각 코스항목에는 표시그룹의 지정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코스항목 중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항목의 표시박스에는 체크표시가 나타나고, 표시그룹으로 지정되지 않은 코스항목의 표시박스에는 체크표시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코스편집화면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전달되면 현재 선택된 코스의 표시그룹 지정 여부를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코스편집화면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표시그룹 지정여부 변경 기능을 가지며, 제어부(60)는 어느 하나의 코스항목에 대해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표시그룹의 지정 여부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코스가 표시그룹에서 지정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3코스에 대해 다기능버튼부(91)의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60)는 제3코스를 표시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설정화면(420)에서 설정항목 선택기능을 가지고, 코스편집화면에서 표시그룹 지정변경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화면출력부(8)의 화면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짐으로써, 화면별로 서로 다른 버튼부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다양한 기능이 입력될 수 있어 설계상 유리하고, 사용자가 다기능버튼부(91) 하나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출력부(8)는 현재 출력되는 화면에서 상기 다기능버튼부(91)의 현재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버튼부(91)는 현재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바, 상기 기능표시영역(405)에 표시되는 내용은 화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다기능버튼부(91)가 기능하지 않도록 비활성화되는 경우, 화면출력부(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는 기능표시영역(405)이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설정화면(420)에서 각 설정항목의 선택기능을 가지는 바, 설정화면(420)은 다기능버튼부(91)의 선택기능이 표시된 기능표시영역(4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화면(420)의 기능표시영역(405)에서 다기능버튼부(91)의 선택기능을 "선택"이라는 명칭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버튼부(91)는 코스편집화면에서 각 코스항목의 표시그룹 지정 변경 기능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항목에 대해서는 표시그룹 해제 기능을, 표시그룹으로 지정 해제된 코스항목에 대해서는 표시그룹 지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버튼부(91)는 현재 선택예정대상에 따라서도 기능이 변화할 수 있고, 코스편집화면의 기능표시영역(405)에는 다기능버튼부(91)의 표시그룹 지정 기능 또는 표시그룹 지정해제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정화면(420)의 기능표시영역(405)과 코스편집화면의 기능표시영역(405)은 서로 다른 표시를 가질 수 있으며, 나아가 코스편집화면에서도 선택예정대상에 따라 기능표시영역(405)이 서로 다른 표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기능버튼부(91)가 화면별로 상이한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화면에서 선택예정대상에 따라서도 상이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유리하다.
나아가, 화면출력부(8)에서 표시되는 화면상에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405)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다기능버튼부(91)의 기능을 편리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가능한 통신단말기(70)와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코스목록과 상기 통신단말기(70)에 저장되는 단말기 코스목록을 상호 동기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70)와 서버 등을 통해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통신단말기(70)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단말기(7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코스목록을 편집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70)에서 코스목록이 편집된 결과는 제어부(60)로 전송되어 제어부(60)가 기 저장된 코스목록이 상기 통신단말기(70)에서 편집된 코스목록과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화면출력부(8)의 코스편집화면을 통해 편집된 코스목록은 통신단말기(7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통신단말기(70)를 통해 편리하게 현재의 코스목록을 확인하고 편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코스는 상기 표시그룹 지정 해제가 불가한 고정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코스목록은 상기 고정코스와 나머지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60)에는 복수의 코스 중 일부가 표시그룹 지정 해제가 불가한 고정코스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스는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에 있어서 기본적인 코스에 해당하거나 기타 전략적인 측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출력부(8)의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되는 코스들을 편집할 수 있고, 다만 사용자가 단순한 실수 등을 통해 기본적인 코스들을 표시그룹에서 지정 해제하게 되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가 기본적인 코스가 표시되지 않아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60)에 저장되는 복수의 코스는 기본적이고 사용 필수성이 잠재되는 코스들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표시그룹의 지정을 해제하지 못하는 고정코스로 저장함으로써, 사용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의 코스편집화면에서 고정코스는 다른 코스들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코스는 나머지 코스항목과 달리 더 낮은 밝기를 가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코스의 표시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일 뿐, 고정코스를 표시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표시그룹의 코스들에 대해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순서에 따른 표시순서가 저장되고, 상기 화면출력부(8)는 상기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순서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코스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그룹의 코스들의 표시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가장 최근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는 제어부(60)에 의해 최선의 순서를 가지거나 최후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선택화면(410)에서 표시그룹의 코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표시하며, 제어부(60)에 의해 설정되는 표시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그룹의 코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편집화면을 통해 최근 표시그룹으로 지정한 코스는 사용자가 최근 사용 의사를 가진 코스에 해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스선택화면(4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순서에 따른 표시그룹의 표시순서대로 코스들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코스는 상기 표시그룹으로 지정된 코스들에 대해 독립된 표시순서를 가지며, 상기 표시그룹의 코스들 중 상기 고정코스를 제외한 나머지 코스들은 상기 고정코스의 표시순서를 회피하여 표시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고정코스는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범용적이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스에 해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표시그룹의 코스들보다 우선하여 표시되거나 최후에 표시되는 등, 표시순서에 있어서도 고정코스는 나머지 코스들과 차별화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세탁코스에 해당하는 표준세탁코스는 세탁과정에 있어 대표적인 코스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표준세탁코스는 고정코스로 지정되어 나머지 코스들의 표시순서와 무관하게 표시그룹 전체에서 제1표시순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과정(P3)에 있어 위생상 전략적으로 사용자에게 권고되는 통살균코스는 일반적인 의류처리과정(P3)에서 사용되지는 않으나 사용자에게 권고되기 위해 고정코스로 지정될 수 있고, 다만 그 사용빈도수를 고려할 때 최후의 표시순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이유로 표시그룹의 지정 여부가 변경 불가한 고정코스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코스에 대한 표시순서가 나머지와 달리 전략적으로 결정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8 : 화면출력부
10 : 캐비닛 15 : 프론트패널
16 : 세제개구 17 : 의류개구
20 : 터브 22 : 터브개구
30 : 드럼 32 : 드럼개구
40 : 의류도어 60 : 제어부
70 : 통신단말기 100 : 컨트롤패널
200 : 일반옵션부 205 : 발광부
210 : 제1옵션조절부 211 : 제1옵션표시부
212 : 제1옵션버튼부 220 : 제2옵션조절부
221 : 제2옵션표시부 222 : 제2옵션버튼부
230 : 제3옵션조절부 231 : 제3옵션표시부
232 : 제3옵션버튼부 240 : 제4옵션조절부
241 : 제4옵션표시부 242 : 제4옵션버튼부
260 : 이동버튼부 261 : 제1이동버튼부
262 : 제2이동버튼부 270 : 추가옵션부
271 : 제1추가옵션버튼부 272 : 제2추가옵션버튼부
273 : 제3추가옵션버튼부 274 : 제4추가옵션버튼부
281 : 전원버튼부 282 : 수행버튼부
300 : 부팅화면 320 : 알림화면
400 : 코스설정화면(400) 405 : 기능표시영역
410 : 코스선택화면 411 : 순서표시영역
412 : 선택코스 표시영역 413 : 옵션안내영역
420 : 설정화면 421 : 설정목록
440 : 옵션화면 460 : 옵션추천화면
461 : 옵션추천 코스표시영역 462 : 옵션조합영역
500 : 의류처리화면 510 : 코스진행화면
511 : 수행코스 표시영역 512 : 수행시간 표시영역
513 : 수행과정 표시영역 514 : 수행완료도 표시영역
P1 : 부팅과정 P2 : 코스설정과정
P3 : 의류처리과정

Claims (2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개체가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화면출력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선택이 예정되는 선택예정대상을 변경시키는 이동버튼부; 및
    상기 화면출력부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하는 다기능버튼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대상을 상기 복수의 개체 중 다음 순서의 개체로 변경시키는 제1이동버튼부; 및
    상기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화면에서 상기 선택예정대상을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이전 순서의 개체로 변경시키는 제2이동버튼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버튼부 및 상기 제2이동버튼부는 상기 캐비닛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된 선 형상으로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선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테두리선의 외측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버튼부는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기능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상태에서 발광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며 고정시키는 화면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둘레부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는 상기 드럼 내부와 연통되는 의류개구 및 상기 화면출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의류개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둘레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화면둘레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내측에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다기능버튼부의 현재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코스의 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일반옵션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옵션부는,
    상기 코스의 제1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1옵션조절부; 및
    상기 코스의 제2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2옵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옵션조절부 및 상기 제2옵션조절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옵션부는,
    상기 옵션의 옵션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의 상기 옵션설정값이 조절되는 옵션버튼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버튼부는 각각 해당 옵션의 명칭이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표시부는 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각각 상기 옵션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에 대응되며,
    상기 옵션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상기 옵션설정값에 대응되는 발광부가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옵션설정값 정보를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코스가 복수개로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옵션그룹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버튼부는 함께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옵션표시부 및 상기 옵션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에 현재 표시되는 코스에 대한 상기 옵션그룹에 해당하면 함께 발광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일반옵션부와 대응되는 옵션 외의 추가옵션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추가옵션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 및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일반옵션부와 상기 추가옵션부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옵션부는 서로 다른 추가옵션이 조절되는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옵션부는 서로 다른 추가옵션이 조절되는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옵션버튼부는 각각 해당 추가옵션의 명칭이 표시되고, 발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 표시되는 상기 코스에서 설정 가능한 추가옵션에 해당하면 발광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는 전원버튼부 및 수행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출력부, 상기 이동버튼부, 상기 일반옵션부 및 상기 추가옵션부는 모두 상기 전원버튼부와 상기 수행버튼부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버튼부, 상기 전원버튼부 및 상기 수행버튼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의류처리장치.
  24.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개체가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화면출력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복수의 개체 중 선택이 예정되는 선택예정대상을 변경시키는 이동버튼부; 및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기능이 가변하는 다기능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부는 상기 화면출력부 외측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84024A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24A KR20230001302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CN202280058048.0A CN117881827A (zh) 2021-06-28 2022-06-14 衣物处理装置
PCT/KR2022/008359 WO2023277402A1 (ko) 2021-06-28 2022-06-14 의류처리장치
EP22833458.7A EP4365349A1 (en) 2021-06-28 2022-06-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2304418A AU2022304418A1 (en) 2021-06-28 2022-06-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24A KR20230001302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02A true KR20230001302A (ko) 2023-01-04

Family

ID=8469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24A KR20230001302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5349A1 (ko)
KR (1) KR20230001302A (ko)
CN (1) CN117881827A (ko)
AU (1) AU2022304418A1 (ko)
WO (1) WO20232774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50B1 (ko) * 2009-12-15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30204406A1 (en) * 2010-04-12 2013-08-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ntrol interface for household appliances
ES2598836T3 (es) 2011-04-14 2017-01-30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de lavado
KR102243658B1 (ko) 2014-11-26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2017164332A (ja) * 2016-03-17 2017-09-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KR102442974B1 (ko) * 2017-08-08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402A1 (ko) 2023-01-05
EP4365349A1 (en) 2024-05-08
CN117881827A (zh) 2024-04-12
AU2022304418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6298B1 (en)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43658B1 (ko) 세탁장치
KR20110130089A (ko) 세탁장치
US11608581B2 (en) Washing machine
KR10259415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8761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486360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1119896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CN113366164B (zh) 衣物处理设备及包含该衣物处理设备的在线系统的控制方法
KR20230001302A (ko) 의류처리장치
RU2767802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выбора режимов стирки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KR2023000130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1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387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09A (ko) 의류처리장치
US10851487B2 (en) Appliance with context-sensitive fixed-position user interface
KR102583513B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4357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1007635A (ja) 衣類処理装置
KR102254893B1 (ko) 세탁장치
US2024017518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4004357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71435B1 (ko) 세탁장치
KR20160073597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