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89U - 수술용 절개가이드 - Google Patents

수술용 절개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89U
KR20230001289U KR2020210003841U KR20210003841U KR20230001289U KR 20230001289 U KR20230001289 U KR 20230001289U KR 2020210003841 U KR2020210003841 U KR 2020210003841U KR 20210003841 U KR20210003841 U KR 20210003841U KR 20230001289 U KR20230001289 U KR 202300012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rame
center
poin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854Y1 (ko
Inventor
이기석
한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Priority to KR2020210003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54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1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2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netration dep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복부 수술시 복부표면에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 절개라인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그릴 수 있는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환자 배꼽의 정중앙과 치골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중심라인이 환자의 복부표면에 그려진 상태에서, 중심라인상에 정렬되는 상부포인트를 갖는 상부표식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 절개라인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점이 중심라인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라인상에 정렬되는 하부포인트를 갖는 하부표식부를 포함하되, 상부프레임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되, 환자의 복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포인트가 정렬되는 상기 중심라인의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 되도록 하는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술용 절개가이드 {surgical incision guide}
본 고안은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복부 수술시 복부표면에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 절개라인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그릴 수 있는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시 사용자(의사, 시술자 등)는 메스를 사용하여 환자의 복부표면을 절개 하는 경우가 있다.
일예로, 제왕절개시 절개 방법으로는 산모 복부의 정중앙선을 따라 절개하는 수직절개 방법과, 가로로 절개하는 반원형 횡절개 방법이 있다. 수직절개의 경우 수술시간이 짧고 수술시야가 넓어 수술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수술 후 흉터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미용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술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흉터가 속옷에 가려지는 반원형 횡절개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제왕절개용 절개 가이드 눈금자는 상하단이 뾰족한 수직테이프(10)와, 수직테이프(10)에 교차로 부착되는 수평테이프(20)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테이프(10)에는 분할선(11) 및 치골결합선(12)이 표시되어 있다.
수평테이프(20)에는 분할선(11)에 대응되는 수직눈금(21)과 절개기준선(22)이 표시되어 있다. 절개기준선(22)은 수직눈금(21)에 대하여 대칭인 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직테이프(10)는 배꼽에서 클리토리스에 맞추어 수직으로 환자의 복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수평테이프(20)는 수직눈금(21)과 분할선(11)이 일치되고, 저면이 수직테이프(10)의 치골결합선(12)과 일치되도록 수직테이프(10)에 교차되어 부착된다.
수직테이프(10)와 수평테이프(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절개기준선(22)은 반원형 횡절개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제왕절개용 절개 가이드 눈금자가 산모의 복부 표면에 직접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절개 기준선을 따라 복부표면을 절개하기 때문에 절개 가이드 눈금자가 흔들리는 경우 또는 메스가 미끄러지는 경우에 절개라인이 왜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평테이프와 환자의 복부표면을 동시에 절개해야하므로 절개해야 하는 복부표면의 깊이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198호 (발명의 명칭: 제왕절개용 절개 가이드 눈금자, 등록일: 2018. 08. 3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복부 수술시 복부표면에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 절개라인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그릴 수 있는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자 배꼽의 정중앙과 치골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중심라인이 환자의 복부표면에 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원호형상의 횡방향 절개라인을 그리기 위한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수술용 절개가이드는 상기 중심라인상에 정렬되는 상부포인트를 갖는 상부표식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절개라인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점이 상기 중심라인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라인상에 정렬되는 하부포인트를 갖는 하부표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되, 환자의 복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포인트가 정렬되는 상기 중심라인의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 되도록 하는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표식부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되어있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상부표식부의 외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상부표식부 사이에는 환자의 복부표면 일부가 노출 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 하부프레임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표식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표식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라인에 정렬되는 제1하부포인트를 가지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하부표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표식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라인상에 정렬되고 상기 절개라인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하부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하측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하부표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은 모두 상기 중심라인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녹이슬지 않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절개라인이 표시된 뒤 수술용 절개가이드가 환자의 복부 표면에서 제거되므로 수술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해지고 메스가 피부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절개라인을 따라 복부표면의 절개가 이루어지므로 정밀한 수술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셋째, 상부프레임의 테두리부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부표식부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끝이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상부표식부로부터 환자와 사용자를 보호하는 이점도 있다.
넷째, 제2하부포인트를 갖는 제2하부표식부가 함몰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식별표지용 펜 등에 의하여 절개라인이 그려지기 때문에 제2하부표식부와 대응되는 절개라인상의 식별포인트를 통하여 절개라인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다섯째, 수술용 절개가이드가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포인트와 하부포인트를 중심라인에 일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좌우대칭의 절개라인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왕절개용 절개 가이드 눈금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사용하여 절개라인을 그리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대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또는 상측면, 하측면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술용 절개가이드는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그리고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은 상부표식부(110)와 테두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표식부(110)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표식부(110)는 상부프레임(100)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표식부(110)는 그 끝점에 상부포인트(120)를 가질 수 있다. 상부포인트(120)는 환자 배꼽의 정중앙과 치골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중심라인상(C)에 정렬될 수 있다.
테두리부(130)는 상부표식부(110)의 외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테두리부(130)와 상부표식부(110)의 사이에는 환자의 복부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공간부(S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30)는 상부표식부(110)의 외측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부표식부(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체적으로는 U자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130)는 끝이 뾰족한 상부표식부(110)로부터 환자와 사용자를 보호하고, 복부수술시 사용자의 손잡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00)이 환자의 배꼽 위에 위치하는 경우 제1공간부(S1)를 통해 사용자가 배꼽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테두리부는 평면도상 제1공간부(S1)가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200)은 하부방향으로 상부프레임(100)과 일정간격 떨어져 설치되되, 연결프레임(300)을 매개로 상부프레임(100)과 연결된다.
하부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 본체(250)와, 하부포인트(220, 240)를 가지는 하부표식부(21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포인트(220, 240)는 절개라인(D)(도 4 참조)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점이 중심라인(C)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라인(C)상에 정렬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 본체(250)는 절개라인을 표시할 수 있도록 원호형태의 띠 형상을 가지며,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표면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하부표식부는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표식부는 제1하부표식부(210) 및 제2하부표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표식부(210)는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부표식부(210)는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부표식부(210)는 상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끝점에 제1하부포인트(22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하부포인트(220)는 중심라인(C)상에 정렬될 수 있다.
제2하부표식부(230)는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하측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부표식부(230)는 상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수 있으며 그 끝점에 제2하부포인트(24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하부포인트(240)는 중심라인(C)상에 정렬될 수 있다.
상부포인트(120), 제1하부포인트(220) 및 제2하부포인트(240)는 각각 중심라인(C)상에 배치되어 수술용 절개가이드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하부표식부(230)는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하부표식부(230)는 절개라인(D)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라인(D)이 환자의 복부표면에 표시된 뒤 수술용 절개가이드가 제거되더라도 사용자가 식별포인트(P)(도 4의 (c) 참조)를 통해 절개라인(D)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도 4 참조).
연결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연결한다. 또한, 연결프레임(300)에는 제1하부포인트(210)가 정렬되는 중심라인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2공간부(S2)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술용 절개가이드가 환자의 복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하부포인트(210)가 정렬되는 중심라인(C)의 일부 영역이 제2 공간부(S2)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 공간부(S2)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제1 하부포인트(210)를 중심라인(C)상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연결프레임(300)은 제2공간부(S2)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프레(310)임 및 제2연결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 연결프레임(300) 및 하부프레임(2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부프레임(100), 연결프레임(300) 및 하부프레임(200)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수술용 절개가이드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녹이 슬지 않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 연결프레임(300) 및 하부프레임(200)은 모두 중심라인(C)에 대하여 대칭의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부포인트(120), 제1하부포인트(220) 및 제2하부포인트(240)를 중심라인(C)에 일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환자의 복부표면에 좌우대칭의 절개라인(D)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사용하여 절개라인(D)을 그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는 환자 배꼽의 정중앙과 치골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중심라인이 환자의 복부표면에 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원호형상의 횡방향 절개라인을 그리기 위한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식별표지 펜 등을 사용하여 환자 배꼽의 정중앙과 치골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라인(C)을 환자의 복부표면에 그린다(도 4의 (a) 참조). 이때 사용자는 배꼽부터 치골까지 연결되는 라인 전체를 그릴 필요는 없으며 절개라인(D)과 교차가 예상되는 부분만을 중심라인으로 그려서 표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부포인트(120), 제1하부포인트(220) 및 제2하부포인트(230)가 각각 중심라인(C)상에 정렬되도록 수술용 절개가이드를 환자의 복부표면에 위치시킨다(도 4의 (b) 참조).
여기서, 사용자는 상부포인트(120), 제1하부포인트(220) 및 제2하부포인트(230)를 중심라인(C)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개라인(D)이 그려질 위치에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하측면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식별표지 펜 등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 본체(250)의 하측면을 따라 복부표면에 절개라인(D)을 그린다. 제2하부포인트(230)가 함몰 형성 되어있기 때문에, 절개라인(D)도 제2하부포인트(230)를 따라 함몰된 상태로 그려진다. 절개라인(D)은 제2하부포인트(230)에 대응되는 함몰된 부분인 식별포인트(P)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술용 절개가이드가 제거되더라도 식별포인트(P)를 통해 절개라인(D)의 좌우 방향에 대한 중심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도 4의 (c) 참조).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절개라인(D)을 따라서 환자의 복부표면을 절개하게 된다.
절개라인이 표시된 뒤 수술용 절개가이드가 환자의 복부 표면에서 제거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해지고 메스가 피부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복부표면의 절개가 이루어지므로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대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000)의 테두리부(1300)는 제1공간부(S10)가 폐쇄된 원 또는 타원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1300)가 원 또는 타원 모양의 형상을 가지면 상부표식부가 상부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더라도 환자 및 사용자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부표식부(1100)는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그 끝점에는 상부포인트(120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부표식부(2100)는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그 끝점에는 제1하부포인트(22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하부표식부(2300)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그 끝점에는 제2하부포인트(24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구비된 상기 테두리부, 상부표식부, 제1하부표식부 및 제2하부표식부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 제작의 용의성 등 필요에 따라 도 3의 일실시예와 도 5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형상에서 개별적으로 선택되어 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상부프레임 110 : 상부표식부
120 : 상부포인트 130 : 테두리부
200 : 하부프레임 210 : 제1하부표식부
220 : 제1하부포인트 230 : 제2하부표식부
240 : 제2하부포인트 250 : 하부프레임 본체
300 : 연결프레임 310 : 제1연결프레임
320 : 제2연결프레임 C : 중심라인
D : 절개라인 P : 식별포인트

Claims (6)

  1. 환자 배꼽의 정중앙과 치골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중심라인이 환자의 복부표면에 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원호형상의 횡방향 절개라인을 그리기 위한 수술용 절개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중심라인상에 정렬되는 상부포인트를 갖는 상부표식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절개라인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점이 상기 중심라인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라인상에 정렬되는 하부포인트를 갖는 하부표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하부프레임;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되, 환자의 복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포인트가 정렬되는 상기 중심라인의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 되도록 하는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표식부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되어있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상부표식부의 외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상부표식부 사이에는 환자의 복부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눈금이 표시된 하부프레임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표식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표식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라인에 정렬되는 제1하부포인트를 가지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하부표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표식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라인상에 정렬되고 상기 절개라인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하부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 본체의 하측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하부표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은 모두 상기 중심라인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절개가이드.
KR2020210003841U 2021-12-15 2021-12-15 수술용 절개가이드 KR200497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41U KR200497854Y1 (ko) 2021-12-15 2021-12-15 수술용 절개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41U KR200497854Y1 (ko) 2021-12-15 2021-12-15 수술용 절개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89U true KR20230001289U (ko) 2023-06-22
KR200497854Y1 KR200497854Y1 (ko) 2024-03-15

Family

ID=8694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841U KR200497854Y1 (ko) 2021-12-15 2021-12-15 수술용 절개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5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669U (ko) * 1995-07-25 1997-02-19 정연길 각위치 지시구가 부착된 분도기
US20120016397A1 (en) * 2010-07-14 2012-01-19 Core Essence Orthopaed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doscopic ligament release
CN106618681A (zh) * 2015-07-30 2017-05-10 刘以年 一种弧度调节式医用手术刀片导向机构
KR101896198B1 (ko) 2017-11-29 2018-09-07 황태웅 제왕절개용 절개 가이드 눈금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669U (ko) * 1995-07-25 1997-02-19 정연길 각위치 지시구가 부착된 분도기
US20120016397A1 (en) * 2010-07-14 2012-01-19 Core Essence Orthopaed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doscopic ligament release
CN106618681A (zh) * 2015-07-30 2017-05-10 刘以年 一种弧度调节式医用手术刀片导向机构
KR101896198B1 (ko) 2017-11-29 2018-09-07 황태웅 제왕절개용 절개 가이드 눈금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54Y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7351C (en) Device for performing surgery
US20100312121A1 (en) Apparatus for a needle director for an ultrasound transducer probe
US11974769B2 (en) Carpal tunnel release systems and methods
JP2012085998A (ja) 椎弓根挿入器具ガイド装置
US201801255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JP5629290B2 (ja) 注射針穿刺ガイド
KR20230001289U (ko) 수술용 절개가이드
US11376042B2 (en) Section-guide graduated ruler for caesarean section
CN211131316U (zh) 超声共面穿刺辅助导轨
CN211131313U (zh) 穿刺针定位辅助装置
KR200488091Y1 (ko) 유두 재건 수술용 형판
JP6679610B2 (ja) 超音波ガイド下穿刺用案内具(注射針穿刺ガイド)
CN215651416U (zh) 一种用于手术的切割刀组件
US5368589A (en) Scalpel gauge
KR200480358Y1 (ko) 쌍꺼풀 매몰법용 겸자
CN215228540U (zh) 一种立体定向引导脑内肿瘤全切限位装置
US20120323166A1 (en) Phacoemulsification irrigation sleeve with an alignment mark
CN210447099U (zh) 辅助拉钩组件
CN205268168U (zh) 包皮环切手术测量尺
KR200293657Y1 (ko) 포셉
CN219183883U (zh) 一种开眼角辅助整形器械
CN214907871U (zh) 一种具有引导穿刺功能的超声探头
EP2185085B1 (en) Apparatus for conducting an episiotomy
CN215349344U (zh) 一种用于肺穿刺手术的量角尺
CN202604961U (zh) 剖腹产专用手术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