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68A -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68A
KR20230001268A KR1020210083973A KR20210083973A KR20230001268A KR 20230001268 A KR20230001268 A KR 20230001268A KR 1020210083973 A KR1020210083973 A KR 1020210083973A KR 20210083973 A KR20210083973 A KR 20210083973A KR 20230001268 A KR20230001268 A KR 20230001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uselage
aircraft
width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724B1 (ko
Inventor
이영환
이재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8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01M9/08Aerodynam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01M9/02Wind tunnels
    • G01M9/04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상기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상기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 상에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가 시작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A Method of Short Body Model Design for Measuring Deploying Fin Moment in Wind Tunnel Test}
아래의 실시예들은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사관에 장입하여 사출하는 비행체의 경우, 발사관의 내부 공간의 제약으로 접이식 날개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접이식 날개를 가지는 비행체는 발사관에서 사출된 직후에 날개를 전개하며, 이를 위해 날개 전개장치가 필요하다. 날개 전개장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전개되는 날개에 부과되는 하중을 예측하여 이 하중을 이겨내고 날개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날개 전개에서 고려해야하는 하중에는 공력에 의한 하중, 중력에 의한 하중, 마찰에 의한 하중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하중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풍동 시험을 이용한다.
정확한 풍동 시험을 위해서는 적절한 풍동 시험 모델과 적절한 센서를 이용해야 한다. 시험부의 크기로 인해서 풍동 시험 모델은 실제 모델을 축소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실제 모델을 시험부에 적절하도록 축소하는 경우, 날개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되고, 이를 측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날개의 크기를 측정에 용이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동체의 길이를 단축시킨 새로운 동체 형상을 제안하고, 이를 축소하여 적절한 크기의 날개에 대한 풍동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발사관에 장입하여 사출하는 장입 비행체의 경우 발사관 내부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접이식 날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입 비행체가 발사관에서 사출 직후 제한된 시간 안에 안정적으로 날개를 전개해야 성공적인 비행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발사관에서 사출된 비행체의 날개는 전개하면서 주위 대기 환경에 영향을 받는데, 이 대기 환경의 영향은 날개에 작용하는 공력에 의한 힘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를 측정하면 날개의 전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일반적인 단일 접이식 날개의 전개 하중(공력 하중) 측정 시험은 발사관 사출 직후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날개의 하중을 측정하는데, 구체적으로, 비행체의 동체와 대응되는 샘플 동체 상부에 날개를 접기 위한 힌지와 실물 혹은 축소형 날개를 부착하여 날개의 접힘 각도를 바꿔가면서 힌지에 연결된 밸런스로 측정한다.
날개 전개 거동은 동적인 운동이지만, 동적 하중 측정이 어렵고 사출 시 비행체와 바람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정적 하중을 측정하여 동적 운동을 예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날개를 두 번 접는 이중 접이식 날개의 경우 동체에 가까운 하부 날개는 기존의 단일 접이식 날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중을 측정할 수 있지만, 상부 날개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일 예로서, 상부 날개 측정 시, 하부 날개를 특정 각도로 고정한 후 상부 날개의 접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정적 하중을 측정해야 하며, 또한, 비행체 날개의 구조상 하부 날개와 상부 날개가 만나는 부위가 동체와 하부 날개가 만나는 부위의 두께에 비해 얇기 때문에 측정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측정과 보정 방법이 잘 정립된 밸런스와 같은 기존의 측정 장치를 장착할 수 없어서 스트레인 게이지와 같은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온도 변화나 조립 상태에 따라 결과 값의 신뢰성 검토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1-122931 호는 날개 풍동 시험 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풍동 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풍동 시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상기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상기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 상에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가 시작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 또는 길이는 실제 비행체의 노즐부의 형상 또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의 반지름을 지닌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는,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의 형상을 상기 실제 비행체의 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상기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상기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는,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의 형상을 상기 실제 비행체의 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풍동 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풍동 시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을 사용한 경우의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며, 도2는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며,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을 사용한 경우의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며, 도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S100),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S200),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 상에서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가 시작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는,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의 형상을 실제 비행체의 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 또는 길이는 실제 비행체의 노즐부의 형상 또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2를 참조하면, 비행체 모델의 전체적인 형상은 실제 비행체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특정 부분들의 사이즈만 축소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20)의 너비(D)와 날개부(30)의 너비(S)는 실제 비행체의 크기 대비 기 설정된 비율만큼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은 50%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0% 이외의 다른 비율로도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정의된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일 부분의 거리(L)는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절반에 해당하는 0.5D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거리(L)은 0.5D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10)의 형상은 실제 비행체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이즈 또한 실제 비행체 모델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 및 사이즈는 실제 비행체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와 날개부의 사이즈는 일정 비율로 작아지도록 비행체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다.
반면,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이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의 반지름을 지닌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3를 참조하면,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20) 및 날개부(20)의 형상과 사이즈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일정한 비율로 축소되면서,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10) 또한 형상 및 사이즈가 실제 비행체 대비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10)가 실제 비행체의 노즐부와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지니는 것이 아닌,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20)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의 반지름을 지니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을 이용한 실험 데이터와 실제 비행체를 이용한 실험 데이터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4에서는 실제 비행체에 대한 풍동 시험 테스트 결과와 비행체 모델에 대한 풍동 시험 테스트 결과를 비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4의 (a)는 i) 실제 비행체와 ii) 동체부의 일 부분의 거리(L)를 동체부의 너비(D)의 절반에 해당하는 0.5D로 설정하고 노즐부를 실제 비행체 형상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형성한 비행체 모델 각각에 대하여 날개부의 전개 시 하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4의 (b)는 i) 실제 비행체와 ii) 동체부의 일 부분의 거리(L)를 동체부의 너비(D)의 절반에 해당하는 0.5D로 설정하고 노즐부를 동체부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인 0.5D의 반지름을 지닌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 비행체 모델 각각에 대하여 날개부의 전개 시 하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4의 (c)는 i) 실제 비행체와 ii) 동체부의 일 부분의 거리(L)를 동체부의 너비(D)의 3/4에 해당하는 0.75D로 설정하고 노즐부를 실제 비행체 형상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형성한 비행체 모델 각각에 대하여 날개부의 전개 시 하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4의 (d)는 i) 실제 비행체와 ii) 동체부의 일 부분의 거리(L)를 동체부의 너비(D)의 3/4에 해당하는 0.75D로 설정하고 노즐부를 동체부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인 0.5D의 반지름을 지닌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 비행체 모델 각각에 대하여 날개부의 전개 시 하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 데이터를 확인하면,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을 이용한 실험 데이터와 실제 비행체를 이용한 실험 데이터 사이에서 1.5% 이하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비행체 모델을 이용할 경우, 날개부 전개 시 하중 측정에 대한 데이터의 오차가 크지 않음에 따라 효과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도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S100'),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S200'),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S400')는, 거리(L')가 적어도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의 길이를 지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S200')는,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의 형상을 실제 비행체의 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S400')는, 거리(L')가 적어도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보다 긴 길이를 지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6을 참조하면,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20')의 너비(D')와 날개부(30')의 너비(S')는 실제 비행체의 크기 대비 기 설정된 비율만큼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은 50%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0% 이외의 다른 비율로도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정의된 비행체 모델의 일 부분의 거리(L', 동체부의 동체부가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B')까지의 거리)는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절반에 해당하는 0.5D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거리(L)은 0.5D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10')는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20')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의 반지름을 지니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은 풍동 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풍동 시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상기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 상에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가 시작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 또는 길이는 실제 비행체의 노즐부의 형상 또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의 형상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에 해당하는 길이의 반지름을 지닌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는,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의 형상을 상기 실제 비행체의 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5.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모델이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체부, 상기 동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가 상기 비행체 모델의 노즐부와 만나는 지점(A')부터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B')까지의 거리(L')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L')를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의 1/2이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모델의 동체부의 너비(D')와 날개부의 너비(S')를 실제 비행체의 동체부의 너비와 날개부의 너비 사이의 비에 상응하도록 기 설정된 비율로 줄이는 단계는,
    상기 비행체 모델의 날개부의 형상을 상기 실제 비행체의 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전개 하중 측정을 위한 풍동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KR1020210083973A 2021-06-28 2021-06-28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KR10262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73A KR102623724B1 (ko) 2021-06-28 2021-06-28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73A KR102623724B1 (ko) 2021-06-28 2021-06-28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68A true KR20230001268A (ko) 2023-01-04
KR102623724B1 KR102623724B1 (ko) 2024-01-12

Family

ID=8492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973A KR102623724B1 (ko) 2021-06-28 2021-06-28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694B1 (ko) 2023-08-18 2024-03-25 국방과학연구소 복합적인 물질전달을 반영할 수 있는 풍동 시험 장치 및 풍동 시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682B1 (en) * 2002-01-07 2004-04-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erodynamic prediction using semiempirical prediction techniques and methods therefor
KR20180125211A (ko) * 2017-05-15 2018-11-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압축파 및 팽창파 상쇄 기능을 갖는 우주발사체의 지상시험모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682B1 (en) * 2002-01-07 2004-04-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erodynamic prediction using semiempirical prediction techniques and methods therefor
KR20180125211A (ko) * 2017-05-15 2018-11-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압축파 및 팽창파 상쇄 기능을 갖는 우주발사체의 지상시험모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694B1 (ko) 2023-08-18 2024-03-25 국방과학연구소 복합적인 물질전달을 반영할 수 있는 풍동 시험 장치 및 풍동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724B1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nner et al. Nonlinear behavior of a typical airfoil section with control surface freeplay: a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KR20230001268A (ko) 날개전개 하중 측정 풍동 시험을 위한 시험용 단축형 비행체 모델 설계 방법
Wang et al. Design of a pulse-type strain gauge balance for a long-test-duration hypersonic shock tunnel
Boutemedjet et al. Wind tunnel measurement of small values of rolling moment using six-component strain gauge balance
Storkmann et al. Force measurements in hypersonic impulse facilities
Wheaton et al. Roughness-induced instabilities at Mach 6: a combined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Gatto et al. Evaluation of a three degree of freedom test rig for stability derivative estimation
Abate et al. Transonic aerodynamic and scaling issues for lattice fin projectiles tested in a ballistics range
KR102001514B1 (ko) 이중 접이식 날개의 상부 날개의 공력 하중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RU2726564C1 (ru)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ая модель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воздушно-реактивным двигателем
Mathur et al. Drag reduction from square base afterbodies at high speeds
Heeg et al. Wind tunnel to atmospheric mapping for static aeroelastic scaling
Meritt et al. A Summary of AFOSR BOLT II Direct Wall Shear Stress Measurements
Avelar et al. Analysis of the flow patterns on the fore-body section of a sounding vehicle in the transonic regime
JPH04102038A (ja) 間欠吹出式風洞試験装置
Hemsch et al. Repeatability Modeling for Wind-Tunnel Measurements: Results for Three Langley Facilities
Werling et al. Force measurements on a NACA 0012 wingtip at Mach 0.75
US11802803B2 (en) Internal force transducer balance system for measuring aerodynamic interference forces
Smolinski Proof of concept for testing acceleration compensation force balance techniques in short duration flows with a CEV capsule
Adamov et al. Aerodynamic derivatives of a cone with a semi-apex angle 20° at supersonic velocities
Morelli Wind tunnel testing-A career at high speed-while standing still! 1990-2022
US20070055474A1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ratiometric characterizations to improve air data accuracy
Potvin et al. Three-stage model for slider-reefed parafoil inflation
Benedetti et al. Wind-Tunnel Measurement of Differential Pressure on the Surface of a Dynamically Inflatable Wing Cell. Aerospace 2020, 8, 34
Meritt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light and Full-Scale Ground Facility Wall Shear Measurements on the BOLT II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