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52A - 다목적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52A
KR20230001252A KR1020210083921A KR20210083921A KR20230001252A KR 20230001252 A KR20230001252 A KR 20230001252A KR 1020210083921 A KR1020210083921 A KR 1020210083921A KR 20210083921 A KR20210083921 A KR 20210083921A KR 20230001252 A KR20230001252 A KR 2023000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ans
fixing table
guide rod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542B1 (ko
Inventor
김한울
Original Assignee
김한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울 filed Critical 김한울
Priority to KR102021008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5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거나 사용 목적에 맞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학업관련 용품, 음료병 등을 책상 위에 간단하게 거치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거치대 {Multi-Purpose Hold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거나 사용 목적에 맞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학업관련 용품, 음료병 등을 책상 위에 간단하게 거치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의 면적은 매우 제한적이며, 책상에 학업관련 용품, 휴대용기기 등을 올려 놓는 경우 책상 위 공간의 이용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책상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책상을 사용하는 학생의 부주의로 인해 올려놓은 컵이나 텀블러 등의 음료병이 전도되어 음료가 쏟아지거나 음료병의 표면에 맺힌 습기로 인해 책상의 표면이 오염되는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쾌적한 학업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책상의 일측에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거치대는 책상과 탈부착과 이동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거치할 수 있는 물품도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또한, 흡착판을 이용한 거치대도 개발되었지만, 흡착판의 부착력이 시간이 경과할 수록 감소하여 책상에서 쉽게 떨어지고, 거치할 수 있는 물품의 중량 등이 제한적인 불편함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거치하는 물품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거치대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093호 '필통 거치구' (공개일자 2011.02.01) 2. 등록특허공보 제10-1460646호 '컵홀더 겸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등록일자 2014.11.05)
본 발명은 휴대용기기, 책 등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여 거북목증후군의 예방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음료병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제한적인 책상의 공간에 다양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쾌적한 주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거치대는 가이드봉(100); 상기 가이드봉(100)의 일측단에 탈부착되며, 결합대상물(T)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고정대(200); 상기 가이드봉(100)에 안내되어 이동하며, 상기 상부고정대(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대(300); 상기 하부고정대(300)의 내측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300)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부고정대(300)를 견인하는 승강레버(400); 및 상기 상부고정대(200)에 탈착되는 거치수단(500, 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100)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산(101)과 대응되는 나사산(70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100)의 타단과 결합되며, 거치대상물(S)이 거치되는 보조거치수단(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거치수단은 제1 거치수단(500)이며, 몸체(510); 및 상기 몸체(51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직경(ø1, ø2, ø3, ø4)을 갖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안착리브(520, 520a, 520b, 520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안착리브(520, 520a, 520b, 520c)의 높이(h1, h2, h3, h4)는, 상기 몸체(510)의 회전중심(C)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것(h1<h2<h3<h4)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안착리브(520, 520a, 520b, 520c)는 거치대상물(S)이 거치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C)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홈(530a, 530b, 530c)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홈(530a, 530b, 530c)은 서로 다른 간격(d1, d2, d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거치수단은 제2 거치수단(600)이며, 제2 거치수단(600)은 베이스(610); 상기 베이스(610)의 일측에 탈부착되며, 상기 거치대상물(S)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몸체(620); 및 상기 거치대상물(S)의 전복 방지를 위하여 하부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6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베이스(61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611)에 체결되는 가압몸체(631); 상기 베이스(610)의 타측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640)의 일측이 안착되는 지지판(632); 및 일측이 상기 가압몸체(631)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판(632)과 결합되어, 상기 가압몸체(631)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6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수단은 상기 가압몸체(63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료병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에 따라 음료병 표면에 맺힌 수분으로 인한 책상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고, 책상 및 테이블로 전달되는 진동 및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거치된 음료병이 쉽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병, 휴대용가습기, 휴대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제1 거치수단과, 테블릿PC, 탭북, 책,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제2 거치수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거치할 수 있는 물품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거치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거치수단의 사용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거치수단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거치수단에 거치된 거치대상물의 무게중심, 무게중심선, 기저면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목적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이드봉(100), 상부고정대(200), 하부고정대(300), 승강레버(400) 및 거치수단(500,600)을 포함한다. 거치수단은 제1거치수단(500), 또는 제2거치수단(600)을 포함한다.
가이드봉(10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봉(100)의 일측단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직각을 이루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상부고정대(200)는 가이드봉(100)의 절곡된 일측단에 결합된다. 상부고정대(200)는 결합대상물(T)의 상면에 안착된다. 결합대상물(T)은 책상, 테이블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부고정대(200)는 고정몸체(210)와 고정몸체(210)에 결합되는 결합몸체(220)로 구성된다. 고정몸체(210)의 측면에는 가이드봉(100)의 절곡된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몸체(210)의 상면에는 삽입홀(211)로 삽입되는 가이드봉(100)의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홈(212)이 더 형성된다.
결합몸체(220)의 하면에는 레일홈(212)에 끼워지는 결합레일(221)이 형성된다. 결합레일(221)은 레일홈(212)의 일측으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되며 끼워진다. 이로 인해 고정몸체(210)와 결합몸체(220)는 상호 결합된다.
이때, 결합몸체(220)의 상면에는 거치수단(500, 600)이 핀,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몸체(210)는 결합대상물(T)의 상면에 안착된다.
하부고정대(300)는 상부고정대(200)와 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부고정대(2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가이드봉(100)의 타단이 하부고정대(300)를 관통하며, 하부고정대(300)가 관통된 상태에서 하부고정대(300)가 가이드봉(100)에 안내되어 가이드봉(1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하부고정대(300)가 상승하면, 하부고정대(300)의 상면이 결합대상물(T)의 하면과 접촉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하부고정대(30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연결판(330)을 포함한다. 상판(3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가이드봉(100)의 타단이 관통된다. 하판(320)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판(310)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가이드봉(100)의 타단이 관통된다. 연결판(330)은 상호 이격된 상판(310)과 하판(320)을 연결한다. 따라서, 하부고정대(300)는 'ㄷ' 형상을 이룬다.
승강레버(400)는 하부고정대(300) 일측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레버(400)는 하부고정대(300)의 상판(310)과 하판(320) 사이에 위치한다. 승강레버(400)의 중심에는 가이드봉(100)이 관통되어 있으며, 가이드봉(100)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난(102)과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가이드봉(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레버(400)가 하부고정대(300)의 상판(310)과 하판(320) 사이에 위치하므로 승강레버(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고정대(300)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한다. 따라서, 승강레버(400)의 조작으로 인해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300)의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어 결합대상물(T)과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거치수단(500,600) 중 어느 하나가 결합몸체(220)를 포함하는 상부고정대(200)에 체결될 수 있다. 거치수단(500,600)은 제1 및 제2 거치수단(500,600)으로 구분되며, 거치대상물(S)이 거치된다. 거치대상물(S)은 학업용품, 물병, 음료수병, 휴대폰, 휴대용기기, 테블릿PC, 책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언급된 물품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거치대상물(S)은 무게중심(CoG:Center of Gravity)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거치수단(500,600)은 바닥이 되는 기저면(BoS:Base of Support)을 가지고 있고, 거치대상물(S)의 무게중심(CoG)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무게중심선(LoG:Line of Gravity)이 작용한다.
제1 거치수단(500)에는 거치대상물(S)의 무게중심선(LoG)이 제1 거치수단(500)의 기저면(BoS)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음료병이나, 휴대폰, 휴대용 기기 등의 소형(경량)크기 제품 등이 거치될 수 있다.
제2 거치수단(600)에는 거치대상물(S)의 무게중심선(LoG)이 제2 거치수단(600)의 기저면(BoS) 안쪽 또는 바깥에 존재할 수 있는 테블릿PC, 책 등의 대형(사각형) 제품 등이 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 참조)
거치대상물(S)은 무게중심선(LoG)이 기저면(BoS) 바깥에 있도록 제2 거치수단(600)에 거치되는 경우 제2 거치수단(600)에 지지된 거치대상물(S)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미끄러지거나 또는 거치대상물(S)의 무게중심에 의해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거치대상물(S)이 전복(顚覆. Rollover)될 수 있다. (도 7 참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몸체(620)를 베이스(610)의 일측에 배치하였고, 하술하는 가압부(630)가 거치대상물(S)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고정시켜 제2 거치수단(600)에 지지된 거치대상물(S)의 미끌림 현상과 전복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참조)
한편, 베이스(610)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몸체(620)는 거치대상물(S)의 무게중심(CoG) 및 무게중심선(LoG)이 베이스(610)의 기저면(BoS)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가이드봉(100)의 타단에는 나사산(101)이 더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봉(100)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산(101)에 체결되어 가이드봉(100)과 일체를 이루는 보조거치수단(700)이 더 구비된다.
보조거치수단(700)은 상기 나사산(101)과 결합되는 나사산(701)이 형성되는 몸체(710)와 몸체(710)의 하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는 고리부(720)를 포함한다. 고리부(720)에는 거치대상물(S)이 거치될 수 있는데, 이때 거치되는 거치대상물(S)은 우산, 가방 등 고리에 걸어서 보관이 가능한 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제1 거치수단(500)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거치수단(500)은 몸체(510), 안착리브(520)를 포함한다. 몸체(510)는 상부고정대(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몸체(510)는 소정의 두께와 직경을 갖는 원판 또는 다각형형상을 이루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안착리브(520)는 몸체(5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안착리브(520)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안착리브(520)는 거치되는 음료병 등의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는 호(弧)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510)의 상면에 컵, 텀블러 등의 거치대상물(S)이 안착되면, 안착리브(520)가 거치대상물(S)의 하단 일부와 접촉되면서 거치대상물(S)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5 를 참조하면 안착리브(520)는 종이컵이나 음료캔과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가지는 기둥형태 거치물의 몸통크기를 고려하여 방사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적어도 2열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착리브(520)가 4열 이상으로 몸체(5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1열은 몸체(510)의 회전중심(C)과 인접하고, 4열은 몸체(510)의 회전중심(C)과 제일 먼 위치에 형성되며, 4열로 갈수록 안착리브(520)의 길이 및 높이는 점차적으로 길어진다.
예를 들어, 몸체(510)의 회전중심(C)과 인접한 1열의 안착리브(520)의 높이(h1), 2열의 안착리브(520a)의 높이(h2), 3열의 안착리브(520b)의 높이(h3), 4열의 안착리브(520c)의 높이(h4)는 점증(h1<h2<h3<h4)할 수 있다.
각각의 안착리브(520,520a,520b,520c) 각각의 직경은 점증(ø1<ø2<ø3<ø4)한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과 모양 및 크기를 갖는 거치대상물(S)이 안착리브(5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전복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안착리브(5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안착리브(520)는 다수개로 구성되는데, 몸체(51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일정곡률반경을 그리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격된 간격으로 두께를 갖는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나 학업용품 등이 삽입되어 세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홈(530a 530b, 530c)이 구비된다.
홈(530a 530b, 530c)은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홈(530a 530b, 530c)은 서로 다른 간격(d1, d2, d3)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다른 두께를 갖는 거치대상물(S)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다수의 안착리브(520) 중 어느 하나의 안착리브(520)를 기준으로 하고, 기준이 되는 안착리브(520)와 이웃한 안착리브(520d)의 상호간 이격된 간격(d1), 안착리브(520d)와 이웃한 안착리브(520e)의 상호간 이격된 간격(d2)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된다. 한편, 안착리브(520)는 더 분할되어 안착리브(520e)와 이격된 간격(d2)을 갖는 이웃한 안착리브(520f)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안착리브(520,520d,520e,520f)의 이격된 간격은 d1>d2>d3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안착리브(520,520d,520e,520f)의 이격된 간격으로 인해 사용자는 거치대상물(S)의 두께를 고려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거치수단(6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거치수단(600)은 제1 거치수단(500)에 거치되는 거치대상물(S)보다 크기, 중량 등이 더 큰 테블릿PC, 책, 공책 등에 해당하는 거치대상물(S)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베이스(610), 지지몸체(620), 가압부(630) 및 탄성부(640)를 포함한다.
베이스(6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부고정대(200)와 탈부착 되도록 결합된다. 베이스(610)의 일측에는 지지몸체(620)가 안착되는 안착홈(6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몸체(620)는 다양한 크기와 지지면적을 가지도록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사용자가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대상물(S)의 종류를 고려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안착홈(612)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지몸체(620)의 일면은 소정각도 경사(θ)를 이룬다. 따라서, 지지몸체(620)에 거치되는 거치대상물(S)이 테블릿 PC 또는 책일경우 영상을 시청하거나 읽기 편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다.
가압부(630)는 베이스(610)의 상면에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된다. 슬라이딩 되는 방향은 경사를 이루고 있는 지지몸체(620)의 일측면 방향을 향한다. 가압부(630)가 지지몸체(620)에 거치된 거치대상물(S)의 하단을 가압하면서 지지몸체(620)에 거치된 거치대상물(S)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즉, 거치대상물(S)의 무게중심이 지지몸체(620)의 지지면적 밖으로 벗어난 경우 거치대상물(S)의 중량으로 인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탄성부(640)는 가압부(630)를 탄성지지하며, 지지몸체(620)에 거치된 거치대상물(S)을 지속적으로 가압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거치대상물(S)의 중량 및 크기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640)를 교체함으로써,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별도로, 제2 거치수단(600)은 무게중심, 회전중심, 힘 평형, 회전(모멘트) 평형, 스프링력, 마찰력을 확인하는 재미있는 실험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거치대상물(S)의 중량과 무게중심을 측정하고 지지몸체(6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 후 놓여진 거치대상물(S)이 미끄러진 거리를 계측하여 스프링상수, 마찰계수 등을 구할 수 있는(추정할 수 있는) 과학실험이 가능한 교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가압부(630)는 가압몸체(631), 지지판(632) 및 가이드부재(633)를 포함한다.
가압몸체(631)는 베이스(610)에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슬라이딩홈(611)에 체결되어 슬라이딩홈(61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한다. 따라서, 거치대상물(S)의 두께에 대응하여 가압몸체(631)이 거치대상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632)은 베이스(610)의 타측단에 결합되며, 지지판(632)을 관통하는 관통홀(632h)이 형성된다. 지지판(632)의 상면이 베이스(610)의 상면보다 돌출되며, 지지판(632)의 일측면에는 탄성부(640)의 일측단이 안착된다.
가이드부재(633)는 슬라이딩홈(611)의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부재(633)의 일측은 가압몸체(631)와 결합되고, 타측은 관통홀(632h)에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지지판(632)과 가이드부재(633)는 거치대상물(S)의 두께에 따라 일체로 슬라이딩되며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가압몸체(631)와 인접한 가이드부재(633)의 일측에 지지돌기(633-1)가 형성되며, 지지돌기(633-1)에 탄성부(640)의 타측이 지지되면서 지지판(632)과 가이드부재(633)는 탄성부재(64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가압부(630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돌기(633-1)와 지지판(632)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640)의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몸체(631)가 지지몸체(6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치대상물(S)을 가압한다. (도 8 참조)
거치대상물(S)을 거치시킬 때 가압몸체(631)를 복원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지지몸체(620)에 거치대상물(S)을 안착시킨다. 이때, 탄성부(640)가 압축되고 동시에 가이드부재(633)의 타측이 관통홀(632h)을 따라 지지판(632)의 외측면으로 노출된다.(도 9 참조), 가변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재(633)일 경우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탄성부(640)의 복원력으로 가압몸체(631)가 거치대상물(S)을 지지한다. 이처럼 가압몸체(631)가 슬라이딩되며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치대상물(S)의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제2 거치수단(600)에 거치대상물(S)을 거치시킬 수 있다.
100 : 가이드봉 200 : 상부고정대
300 : 하부고정대 400 : 승강레버
500 : 메인거치수단

Claims (7)

  1. 가이드봉(100);
    상기 가이드봉(100)의 일측단에 탈부착되며, 결합대상물(T)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고정대(200);
    상기 가이드봉(100)에 안내되어 이동하며, 상기 상부고정대(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고정대(300);
    상기 하부고정대(300)의 내측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300)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부고정대(300)를 견인하는 승강레버(400); 및
    상기 상부고정대(200)에 탈착되는 거치수단(500, 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100)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산(101)과 대응되는 나사산(70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100)의 타단과 결합되며, 거치대상물(S)이 거치되는 보조거치수단(7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제1 거치수단(500)이며,
    몸체(510); 및
    상기 몸체(51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직경(ø1, ø2, ø3, ø4)을 갖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안착리브(520, 520a, 520b, 520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착리브(520, 520a, 520b, 520c)의 높이(h1, h2, h3, h4)는, 상기 몸체(510)의 회전중심(C)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것(h1<h2<h3<h4)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착리브(520, 520a, 520b, 520c)는 거치대상물(S)이 거치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C)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홈(530a, 530b, 530c)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홈(530a, 530b, 530c)은 서로 다른 간격(d1, d2, d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제2 거치수단(600)이며,
    베이스(610);
    상기 베이스(610)의 일측에 탈부착되며, 상기 거치대상물(S)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몸체(620); 및
    상기 거치대상물(S)의 전복 방지를 위하여 하부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6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베이스(61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611)에 체결되는 가압몸체(631);
    상기 베이스(610)의 타측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640)의 일측이 안착되는 지지판(632); 및
    일측이 상기 가압몸체(631)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판(632)과 결합되어, 상기 가압몸체(631)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6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수단은 상기 가압몸체(63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6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거치대.
KR1020210083921A 2021-06-28 2021-06-28 다목적 거치대 KR10253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21A KR102539542B1 (ko) 2021-06-28 2021-06-28 다목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21A KR102539542B1 (ko) 2021-06-28 2021-06-28 다목적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52A true KR20230001252A (ko) 2023-01-04
KR102539542B1 KR102539542B1 (ko) 2023-06-02

Family

ID=8492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921A KR102539542B1 (ko) 2021-06-28 2021-06-28 다목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5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83Y1 (ko) * 1996-05-21 1998-12-15 한창훈 유동방지 구조를 갖는 책상
KR20110001093U (ko) 2009-07-24 2011-02-01 안병서 필통 거치구
KR101460646B1 (ko) 2013-07-24 2014-11-12 (주)미주경영지원시스템 컵홀더 겸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KR20160148845A (ko) * 2015-06-17 2016-12-27 김정래 스마트폰 거치대
US20190343085A1 (en) * 2018-05-10 2019-11-14 Vanessa Donado Dog leash supporting clamp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83Y1 (ko) * 1996-05-21 1998-12-15 한창훈 유동방지 구조를 갖는 책상
KR20110001093U (ko) 2009-07-24 2011-02-01 안병서 필통 거치구
KR101460646B1 (ko) 2013-07-24 2014-11-12 (주)미주경영지원시스템 컵홀더 겸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KR20160148845A (ko) * 2015-06-17 2016-12-27 김정래 스마트폰 거치대
US20190343085A1 (en) * 2018-05-10 2019-11-14 Vanessa Donado Dog leash supporting clam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542B1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644B2 (en) Hands-free holding device
US8201782B2 (en) Height adjustable stand and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the same
US7455270B2 (en) Support arm mechanism
US10687615B2 (en) Lifting table
US20090035050A1 (en) Self-balancing magnetic objects
US9605790B1 (en) Universal support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102140887B1 (ko)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US5911398A (en) Portable copyholder
KR102539542B1 (ko) 다목적 거치대
KR20000016844A (ko) 시트물기립구
US6113052A (en) Portable desk
CN110731622A (zh) 一种美术用多功能升降桌
KR200478058Y1 (ko) 모니터 사이드 조명이 구비된 문서 거치대
KR200378928Y1 (ko) 휴대단말기의 거치 구조
KR200415288Y1 (ko) 키보드 수납 트레이
CN210800549U (zh) 一种计算机显示器底座
US12007064B1 (en) Universal support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17982611U (zh) 一种教学装置
CN213429359U (zh) 一种多功能展台
CN213118285U (zh) 一种可伸缩式桌面支架
CN214275099U (zh) 一种显示器支架的定位装置
CN220506624U (zh) 一种环形护眼台灯的结构
KR20200001650U (ko) 다용도 보드
CN210721419U (zh) 一种用于微课制作的手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