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34U -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 Google Patents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34U
KR20230000934U KR2020210003323U KR20210003323U KR20230000934U KR 20230000934 U KR20230000934 U KR 20230000934U KR 2020210003323 U KR2020210003323 U KR 2020210003323U KR 20210003323 U KR20210003323 U KR 20210003323U KR 20230000934 U KR20230000934 U KR 202300009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neck
zipper
end surface
sca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차흠
Original Assignee
연차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차흠 filed Critical 연차흠
Priority to KR2020210003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934U/ko
Publication of KR20230000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아지의 목에 두를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목도리를 마련하고; 상기 목도리의 외피의 일측 선단면에 각각 상호 이격되어 폭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조절지퍼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의 최내측의 조절지퍼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착탈식 체결구가 송아지 목에 두를때에 목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외피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지퍼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의 메인지퍼가 형성되되, 상기 외피의 타단면의 내피에 형성되어서,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 목의 직경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지퍼에 장착시켜서,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착탈식 체결구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에서 상호 체결되도록 착탈식 체결부가 형성되어서, 메인지퍼(20)와 조절지퍼가 상호 장착되더라도, 송아지의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지퍼가 풀리지 않도록, 송아지의 목 상측에 풀림방지부를 형성시키고;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도록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보온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내피와 외피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구획을 형성시키도록 박음질을 형성시키고, 정형화되지 않는 울뚱불뚱한 주름형상을 형성시키고;송아지의 목에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피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단탄성밴드와 하단탄성밴드를 부착하고, 중앙부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중앙탄성밴드를 부착하여, 직사각형의 목도리가 상기 각각의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에 둥글게 원형으로 말리도록; 이루어 진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송아지의 발육정도에 따라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신체에 알맞은 최적의 밀착성을 유지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지퍼가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하여 보온성을 극대화하며,
메인지퍼를 어느 하나의 사이즈 조절지퍼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조립하는 방법으로 송아지 목의 발육정도에 따라 방한복의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송아지 목의 신체에 알맞은 최적의 밀착성을 유지하면서 보온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하나의 방한복을 이용하여 송아지가 성장할 때까지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Scraf for calf}
본 고안은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아지의 발육정도에 따라 목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신체에 알맞은 최적의 밀착성을 유지하고, 송아지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아지의 사육환경에서 온도는 송아지의 체온과 직결되므로 다양한 병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혹한기와 같은 추위 속에 태어난 새끼의 경우, 체온유지를 위한 난방시설이 되어 있지 않으면, 폐사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용신안등록 제491045호 명칭/송아지 목도리」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하고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 착용감이 좋도록 한 송아지용 목도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통상의 송아지는 발육과정을 통해 체형이 점진적으로 커짐에도 상기한 선행기술의 방한용 덮개는 사이즈가 일정하게 한정됨으로써 송아지의 발육정도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하면서 맞춤으로 착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넉넉한 사이즈의 방한용 덮개를 착용하는 경우 매우 헐렁하여 신체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 보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이와 반대로 적당한 사이즈의 방한용 덮개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보온성은 높으나 송아지가 조금만 발육하더라도 사이즈가 작아 입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049104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지퍼를 어느 하나의 사이즈 조절지퍼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조립하는 방법으로 방한복의 목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송아지의 몸놀림에 의하여 상기 지퍼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탈식 열림방지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하는 열림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송아지의 목에 두를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목도리를 마련하고; 상기 목도리의 외피의 일측 선단면에 각각 상호 이격되어 폭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조절지퍼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의 최내측의 조절지퍼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착탈식 체결구가 송아지 목에 두를때에 목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외피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지퍼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의 메인지퍼가 형성되되, 상기 외피의 타단면의 내피에 형성되어서,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 목의 직경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지퍼에 장착시켜서,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착탈식 체결구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에서 상호 체결되도록 착탈식 체결부가 형성되어서, 메인지퍼(20)와 조절지퍼가 상호 장착되더라도, 송아지의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지퍼가 풀리지 않도록, 송아지의 목 상측에 풀림방지부를 형성시키고;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도록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보온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내피와 외피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구획을 형성시키도록 박음질을 형성시키고, 정형화되지 않는 울뚱불뚱한 주름형상을 형성시키고;송아지의 목에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피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단탄성밴드와 하단탄성밴드를 부착하고, 중앙부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중앙탄성밴드를 부착하여, 직사각형의 목도리가 상기 각각의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에 둥글게 원형으로 말리도록; 이루어 진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송아지의 발육정도에 따라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신체에 알맞은 최적의 밀착성을 유지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지퍼가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하여 보온성을 극대화하며,
메인지퍼를 어느 하나의 사이즈 조절지퍼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조립하는 방법으로 송아지 목의 발육정도에 따라 방한복의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송아지 목의 신체에 알맞은 최적의 밀착성을 유지하면서 보온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하나의 방한복을 이용하여 송아지가 성장할 때까지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의 외피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의 내피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가 자연스럽게 말린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송아지의 목에 두를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목도리(100)를 마련하고
상기 목도리(100)의 외피(101)의 일측 선단면에 각각 상호 이격되어 폭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조절지퍼(10)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101)의 최내측의 조절지퍼(10)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착탈식 체결구(51)가 송아지 목에 두를때에 목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외피(10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지퍼(10)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의 메인지퍼(20)가 형성되되, 상기 외피(101)의 타단면의
내피(102)에 형성되어서,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 목의 직경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지퍼(10)에 장착시켜서,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착탈식 체결구(51)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에서 상호 체결되도록 착탈식 체결부(52)가 형성되어서, 메인지퍼(20)와 조절지퍼(10)가 상호 장착되더라도, 송아지의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지퍼가 풀리지 않도록, 송아지의 목 상측에 풀림방지부(50)를 형성시키고;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도록 상기 내피(102)와 외피(101)사이에 보온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내피(102)와 외피(101)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구획을 형성시키도록 박음질(103)을 형성시키고, 정형화되지 않는 울뚱불뚱한 주름형상을 형성시키고;;
송아지의 목에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피(102)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단탄성밴드(31)와 하단탄성밴드(31)를 부착하고, 중앙부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중앙탄성밴드(32)를 부착하여, 직사각형의 목도리(100)가 상기 각각의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에 둥글게 원형으로 말리도록; 이루어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송아지는 어미소와 달리 면역력이 떨어지고 추위에 약하게 된다. 특히, 혹한기와 같은 추위 속에 태어난 새끼의 경우, 체온유지를 위한 난방시설이 되어 있지 않으면, 폐사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게 하고, 또한,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목 도리가 벗겨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풀림방지구를 적용한 송아지 목도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송아지의 목에 두를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목도리(100)를 마련하고, 상기 목도리(100)의 폭은 송아지 목길이에 대응되는 크기이며, 길이는 송아지 목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의 목은 점점 확대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송아지의 목의 직경변화에도 용이히게 조절하는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목도리(100)의 외피(101)의 일측 선단면에 각각 상호 이격되어 폭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조절지퍼(10)가 형성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하여, 2개이상의 조절지퍼(10)가 고정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101)의 최내측의 조절지퍼(10)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착탈식 체결구(51)가 송아지 목에 두를때에 목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외피(101)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착탈식 체결구(51)의 선단은 플라스틱의 삽입홈구를 형성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띠에 부착되어서, 송아지 목의 크기에 따라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탈식 체결구(51)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에서 상호 체결되도록 착탈식 체결부(52)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삽입홈구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띠에 부착되어서, 송아지 목의 크기에 따라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탈식 체결구(51) 및 착탈식 체결부(52)를 이루는 풀림방지부(50)는 메인지퍼(20)와 조절지퍼(10)가 상호 장착되더라도, 송아지의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지퍼가 풀리지 않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지퍼(10)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의 메인지퍼(20)가 형성되되, 상기 외피(101)의 타단면의 내피(102)에 형성되어서,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 목의 직경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지퍼(10)에 장착시켜서,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절지퍼(10)는 외피(101)에 고정부착시키고, 메인지퍼(20)는 내피(102)에 고정부착시켜서, 송아지 목에 둥글게 말아서, 지퍼기능을 할때에 찬 바람이 목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도록 상기 내피(102)와 외피(101)사이에 보온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내피(102)와 외피(101)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구획을 형성시키도록 박음질(103)을 형성시키고, 정형화되지 않는 울뚱불뚱한 주름형상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은
송아지의 목에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피(102)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단탄성밴드(31)와 하단탄성밴드(31)를 부착하고, 중앙부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중앙탄성밴드(32)를 부착하여, 직사각형의 목도리(100)가 상기 각각의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에 둥글게 원형으로 말리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상기 내피(102)에 고정부착된 3개의 탄성밴드의 수축에 의하여, 직사각형의 목도리는 자연스럽게 원형으로 말리는 것이다.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액자
20:벽걸이구
21:부착면
22:걸이구
22a:슬롯홈
30: 걸이삽입구

Claims (1)

  1. 송아지의 목에 두를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목도리(100)를 마련하고
    상기 목도리(100)의 외피(101)의 일측 선단면에 각각 상호 이격되어 폭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조절지퍼(10)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101)의 최내측의 조절지퍼(10)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착탈식 체결구(51)가 송아지 목에 두를때에 목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외피(10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지퍼(10)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의 메인지퍼(20)가 형성되되, 상기 외피(101)의 타단면의
    내피(102)에 형성되어서, 발육상태가 매우 좋은 송아지 목의 직경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지퍼(10)에 장착시켜서,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착탈식 체결구(51)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면에서 상호 체결되도록 착탈식 체결부(52)가 형성되어서, 메인지퍼(20)와 조절지퍼(10)가 상호 장착되더라도, 송아지의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지퍼가 풀리지 않도록, 송아지의 목 상측에 풀림방지부(50)를 형성시키고;
    겨울철에 송아지의 목을 따뜻하도록 상기 내피(102)와 외피(101)사이에 보온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내피(102)와 외피(101)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구획을 형성시키도록 박음질(103)을 형성시키고, 정형화되지 않는 울뚱불뚱한 주름형상을 형성시키고;;
    송아지의 목에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피(102)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단탄성밴드(31)와 하단탄성밴드(31)를 부착하고, 중앙부의 전체 길이방향으로
    중앙탄성밴드(32)를 부착하여, 직사각형의 목도리(100)가 상기 각각의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에 둥글게 원형으로 말리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KR2020210003323U 2021-11-01 2021-11-01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KR202300009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23U KR20230000934U (ko) 2021-11-01 2021-11-01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23U KR20230000934U (ko) 2021-11-01 2021-11-01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34U true KR20230000934U (ko) 2023-05-09

Family

ID=8631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23U KR20230000934U (ko) 2021-11-01 2021-11-01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93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45Y1 (ko) 2018-02-07 2020-02-11 주한나 송아지용 목도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45Y1 (ko) 2018-02-07 2020-02-11 주한나 송아지용 목도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495B2 (en) Cover assembly for protecting a dressing on a dog's leg
CA1317829C (en) Anti-rub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orse's coat from damage from a horse blanket
US20080256679A1 (en) Convertible maternity coat
US20090090307A1 (en) Animal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BR202013032274U2 (pt) Peitoral para animais de estimação
US7637087B1 (en) Body blanket for hoofed and domesticated animals
US20170325423A1 (en) Elizabethan animal collar
US7690332B1 (en) Humane weaning muzzle
KR20230000934U (ko) 목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송아지 목도리
US2014035820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evaporative cooling for an animal
CN113827078A (zh) 防寒保暖被
KR101808088B1 (ko) 가축용 방한복
US20160174523A1 (en) Animal Coat
KR20110120371A (ko) 가축용 방한복
US20170064923A1 (en) Headwear Interface for Animals
KR100989048B1 (ko) 기능성 송아지 방한복
US20140236062A1 (en) Blood flow conducive brace
JP2019180296A (ja) ペット用暖房ウェア
CN204015786U (zh) 婴幼儿及儿童防踢被
CN211532894U (zh) 一种自发热纤维防风帽子
KR200491045Y1 (ko) 송아지용 목도리
KR20110137002A (ko) 가축용 방한복
US20180317452A1 (en) Dog garment that restricts scratching and biting
CN218126261U (zh) 一种智能发热宠物衣
CN102860596A (zh) 带有可调节长度的卡扣式腰带的羽绒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