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28A -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28A
KR20230000928A KR1020217037653A KR20217037653A KR20230000928A KR 20230000928 A KR20230000928 A KR 20230000928A KR 1020217037653 A KR1020217037653 A KR 1020217037653A KR 20217037653 A KR20217037653 A KR 20217037653A KR 20230000928 A KR20230000928 A KR 2023000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group
data
device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쳉 우
슈아이 장
진리앙 린
간 시아오
Original Assignee
센스타임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스타임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스타임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21/055735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269325A1/en
Publication of KR2023000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23Architectural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internal configuration, master/slave,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서버는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며;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21년 6월 25일에 제출된 명칭이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CENE EQUIPMENT,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인 싱가포르 출원번호 10202107014Y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싱가포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문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분야에서, 하나의 완전한 시스템은 종종 대규모 단말 기기의 협동 작업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말 기기는 하나의 노드 역할을 하고, 노드는 클라우드 서버와의 원활한 네트워크를 유지하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단말 기기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편리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보장한다.
현재, 단말 기기의 관리 시스템에서, 대량의 단말 기기 및 노드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으며, 모든 단말 기기의 실행 상태는 통상적으로 일치하지 않다. 일부 해결수단에서, 상기 시스템은 접속된 모든 단말 기기를 일괄 관리하고, 즉, 단말 기기를 목표가 있게 관리할 수 없다. 다른 해결수단에서, 단말 기기의 개수가 많을 경우, 운영 유지자가 각각의 단말 기기를 하나씩 제어해야 하므로, 운영 유지 작업의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에 접속된 대량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고,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여, 그룹에 따라 장면 기기를 목표가 있게 관리 및 제어하며, 효과적인 과리를 보장하면서 운영 유지 작업의 난이도를 줄일 수 있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에 적용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이한 장면 기기는 게임 규칙, 응용 장면, 실행 상태 등 측면에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이한 장면 기기를 목표가 있게 분류하여 관리해야 하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고, 상이한 그룹 중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를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하는 것을 통해, 관리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여, 각각의 그룹 색인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그룹 색인에 따라, 상기 제1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면 기기는 상기 다수의 장면 기기 중 하나의 장면 기기이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는 것을 통해, 임의의 하나의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빠르게 결정하도록 보장할 수 있고; 선행기술에서 각각의 장면 기기의 색인에 따라 하나씩 검색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룹 색인에 따라 검색하므로, 검색 과정을 가속화하고, 고장 위치 결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여 관리하며, 즉, 각각의 장면 기기를 하나씩 관리하지 않고, 그룹을 단위로 관리하여,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단일 실행 명령의 그룹간 송신 및 실행을 지원하고; 상이한 그룹의 장면 기기에서 공공 서비스의 구성 변화 상황을 만족시키며,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실행 명령은 셧다운(shutdown), 재부팅, 구성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가 장면 기기에 상기 임의의 하나의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장면에서 운영 유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그루핑 식별 정보는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임의의 하나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정확하게 그루핑하고; 나아가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목표가 있게 관리하며, 관리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면 기기 관리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서버에 적용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장치는,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그루핑 모듈; 및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를 더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임의의 하나의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서버 및 다수의 장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는 장면 기기 관리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임의의 하나의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 적용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서버에 접속된 대량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고,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며; 상이한 장면 기기는 게임 규칙, 응용 장면, 실행 상태 등 측면에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이한 장면 기기를 목표가 있게 분류하여 관리해야 하고; 서버는 이러한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며, 상이한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를 일괄 관리하고, 단말 기기 관리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관련 기술에서 운영 유지 인력이 각각의 단말 기기를 하나씩 단독 제어해야 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룹에 따라 각각의 그룹의 단말 기기를 대량으로 제어하여, 운영 유지 작업의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으로 본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는 흐름 모식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가 서버에 데이터를 리포팅하는 흐름 모식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그룹에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 관리 장치의 구성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여기서 제공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 밖에, 아래에서 제공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모든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일부 실시예로서,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은 임의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포함”, “함유” 또는 또는 이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가 명시적으로 기재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 또는 장치의 구현에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더 많은 제한이 없을 경우, 문구 “하나의 …을 포함”으로 정의된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에서 다른 관련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방법 중의 단계 또는 장치 중의 유닛, 예를 들어 유닛은 일부 회로, 일부 프로세서, 일부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등).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은 기재된 단계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면 기기 관리 장치는 일련의 모듈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명시적으로 기재된 모듈을 포함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정보를 기반으로 처리할 경우 설정되어야 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문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객체를 설명하는 연관 관계일 뿐,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 및/또는 J는, I 만 존재, I 와 J가 동시에 존재, J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밖에, 본문에서 용어 “적어도 하나”는 다수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 중의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I , J, 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은, I , J 및 K로 구성된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에 적용될 수 있고, 많은 다른 범용 또는 전용 컴퓨팅 시스템 환경 또는 구성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씬크라이언트(thin client), 씩클라이언트(thick client), 휴대용 또는 랩톱 기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셋톱 박스, 프로그램 가능한 소비자 전자 제품, 네트워크 개인용 컴퓨터, 소형 컴퓨터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서버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시스템 실행 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의 일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된 작업을 실행하거나 특정된 추상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타깃 프로그램, 어셈블리, 논리,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서버는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고,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작업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 처리 기기에 의해 실행된다.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 기기를 포함하는 로컬 또는 원격 컴퓨팅 시스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상기 방법은 서버에 적용될 수 있고,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장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를 통해 접속된 각각의 장면 기기에 대해 상태 감지 및 행동 제어를 실행하고, 장면 기기는 장면 데이터 및 실행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리포팅 형식으로 서버에 송신하여 감사 및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면 기기는 게임 장면에 적용될 수 있고, 게임 장면 중의 게임은 게임 플랫폼 상의 플레잉 카드 게임 또는 다른 게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흐름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0: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면 기기는 게임을 플레이 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를 의미하고; 장면 기기의 타입은 게임 장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게임 장면 중의 게임이 플레잉 카드 게임일 경우, 장면 기기는 게임 플랫폼 및 게임 플랫폼에 설정된 일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카메라일 수 있고, 카메라는 게임 플랫폼을 촬영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장면 기기가 서버에 접속될 경우, 다수의 장면 기기 중 각각의 장면 기기는 서버에 등록 요청을 송신하고; 서버는 수신된 이러한 등록 요청을 검증하며, 검증을 통과한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고; 여기서, 다수의 장면 기기의 타입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면 기기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에 등록 요청을 송신하고; 여기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일 수 있으며, 데이터 인터랙션에 사용되는 다른 전송 프로토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는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검증을 통과한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그루핑 식별 정보는 UUID,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장면 기기는 모두 이를 식별하는 하나의 대응되는 UUID를 구비하고; 그루핑 식별 정보가 UUID를 포함할 경우, 설정된 구간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의 UUID를 분할할 수 있고, 동일한 구간에 위치한 각각의 UUID에 대응되는 장면 기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며; 나아가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고; 예를 들어, 장면 기기 D1 내지 장면 기기 D10에 대응되는 UUID는 각각 1 내지 10이며; 구간을 5로 설정할 경우, 2개의 그룹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장면 기기 D1 내지 장면 기기 D5는 하나의 그룹이고; 장면 기기 D6 내지 장면 기기 D10은 다른 그룹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는 장면 기기의 기본 속성 정보, 예를 들어, 게임 플랫폼의 사이즈, 게임 플랫폼의 형상, 게임 플랫폼에 설정된 센서의 개수, 위치 및 모델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핑 식별 정보가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를 포함할 경우,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본 속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게임 플랫폼의 사이즈 및 게임 플랫폼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루핑 식별 정보가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을 포함할 경우,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이 다양한 상이한 놀이 방법의 플레잉 카드 게임에 대응될 경우, 동일한 플레잉 카드 놀이 방법을 사용하는 장면 기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아가 다수의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는 흐름 모식도이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작업자가 실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장면 기기를 장착한 다음; 다수의 장면 기기 중 각각의 장면 기기는 서버에 등록 요청을 송신하고; 이어서, 서버는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그루핑 정보을 획득하며, 그루핑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저장된 그루핑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업데이트된 각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그루핑 식별 정보는 UUID,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및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서버는 성공적으로 접속된 정보를 각각의 그룹 중의 장면 기기에 반환하고; 이때, 각각의 그룹 중의 장면 기기는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연결되며;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장면 기기에 대해, 일부 사용자 지정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단말 사용자에게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 101: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고;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에 따라 다수의 그룹을 획득한 후,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가 서버에 성공적으로 접속되고 네트워크의 노드가 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실행 상태 데이터는 장면 기기 실행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카메라의 방향 정보, 장면 기기의 온 또는 오프 정보 등일 수 있다. 장면 데이터는 장면 기기를 통해 획득한 게임 관련 데이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장면 데이터는 현재 게임 플랫폼 상의 플레잉 카드 정보, 또는 현재 게임 플랫폼 상의 화폐 대용품 정보일 수 있으며; 여기서, 플레잉 카드 정보는 카드면 타입, 플레잉 카드의 개수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화폐 대용품 정보는 화폐 대용품의 액수, 화폐 대용품의 타입, 화폐 대용품의 개수, 화폐 대용품의 소유자 신원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는 실행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자체 실행 상태 데이터를 서버에 리포팅할 수 있고, 이로써, 서버는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실행 상태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장면 기기의 온라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장면 기기의 정상적인 실행을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는 실행 과정에서, 수집된 장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서버에 리포팅할 수 있고, 이로써, 서버는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장면 데이터를 일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간격의 설정은 실제 장면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3s, 5s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그룹에 위치하는 상이한 장면 기기 사이에 중복되는 실행 상태 데이터 또는 장면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중복되는 실행 상태 데이터 또는 장면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고, 즉, 각각의 그룹을 관리할 때, 대량의 중복 데이터를 남길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 중복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가 서버에 데이터를 리포팅하는 흐름 모식도이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면 기기는 실행 과정에서 자체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를 획득하며, 장면 기기는 실시간으로 자체 실행 상태 데이터를 서버에 리포팅할 수 있고, 서버는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실행 상태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장면 기기의 온라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장면 기기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장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서버에 리포팅하고, 서버는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에 따라 장면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단계는,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각각의 그룹을 단위로,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을 수행하고; 즉, 동일한 그룹 중 처리될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방식 및 저장 방식은 동일하며; 여기서, 상이한 그룹 중 처리될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방식 및 저장 방식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장면 기기는 게임 규칙, 응용 장면, 실행 상태 등 측면에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이한 장면 기기를 목표가 있게 분류하여 관리해야 하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고, 상이한 그룹 중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를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하는 것을 통해, 관리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여, 각각의 그룹 색인을 획득하는 단계; 및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그룹 색인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장면 기기는 다수의 장면 기기 중 하나의 장면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기 전에, 먼저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고, 이로써, 임의의 하나의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색인에 따라 상기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빠르게 검색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그룹에서 상기 그룹에서 고장이 발생한 장면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시피, 선행기술에서 각각의 장면 기기의 색인에 따라 하나씩 검색하는 것에 비해, 그룹에 따라 검색하는 것은, 고장 위치 결정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 명령은 셧다운(shutdown), 재부팅, 구성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가 장면 기기에 상기 임의의 하나의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통해, 상이한 장면에서의 운영 유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그룹 중의 장면 기기에 대해, 서버에 의해 송신된 단일 실행 명령을 일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그룹 E1 및 그룹 F1을 획득할 경우; 서버는 그룹 E1 중의 장면 기기에 에 일괄된 셧다운(shutdown)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아울러, 그룹 F1 중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재부팅 명령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룹 E1 중의 장면 기기에서 셧다운(shutdown) 명령을 수신할 경우, 셧다운(shutdown) 동작을 실행하고; 그룹 F1 중의 장면 기기에서 재부팅 명령을 수신할 경우, 재부팅 동작을 실행하며; 여기서, 셧다운(shutdown) 동작 및 재부팅 동작은 병렬로 실행될 수 있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그룹의 장면 기기에 따라 상이한 실행 명령을 송신하여, 상이한 서비스 장면에서 장면 기기의 관리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다중 서비스 장면의 병렬 실행을 지원할 수 있으며,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그룹 중의 장면 기기에 대해, 서버에 의해 송신된 단일 실행 명령을 일괄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그룹 E2 및 그룹 F2를 획득할 경우; 서버는 그룹 E2 및 그룹 F2 중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셧다운(shutdown)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그룹 E2 및 그룹 F2 중의 장면 기기에서 모두 셧다운(shutdown) 명령이 수신될 경우, 셧다운(shutdown) 동작을 함께 실행한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그룹에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구조 모식도이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그룹 E3에 실행 명령 cmd1을 송신하며, 그룹 E3 중의 장면 기기는 실행 명령 cmd1을 수신할 경우 상기 명령을 실행하고; 서버는 그룹 F3에 실행 명령 cmd3을 송신하며, 그룹 F3 중의 장면 기기는 실행 명령 cmd3을 수신할 경우 상기 명령을 실행하며; 서버는 그룹 E3 및 그룹 F3에 실행 명령 cmd2를 송신하며, 이로써, 그룹 E3 및 그룹 F3 중의 장면 기기는 실행 명령 cmd2를 수신할 경우 모두 상기 명령을 실행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단일 실행 명령의 그룹간 송신 및 실행을 지원하고; 상이한 그룹의 장면 기기에서 공공 서비스의 구성 변화 상황을 만족시키고,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모식도이고,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하나의 서버 및 다수의 장면 기기를 포함하며; 다수의 장면 기기가 서버에 접속될 경우, 먼저 상기 서버에 하나의 등록 요청을 송신하고, 서버는 등록 요청을 검증하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이를 그룹핑하고, 그룹 A, 그룹 B, 그룹 C 및 그룹 D 등 4개의 그룹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그룹 중의 장면 기기는 서버에 성공적으로 접속하고 하나의 네트워크의 노드가 된다. 여기서,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장면 기기가 일치하지 않는 실행 상태 및 처리 논리를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다중 서비스 장면의 병렬 실행을 지원할 수 있고, 운영 유지 작업의 난이도도 크게 줄여준다.
실제 응용에서, 단계 100 내지 단계 101은 서버 중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응용 주문형 직접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 적용되고,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서버에 접속된 대량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고,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며; 상이한 장면 기기는 게임 규칙, 응용 장면, 실행 상태 등 측면에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이한 장면 기기를 목표가 있게 분류하여 관리해야 하고; 서버는 이러한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며, 상이한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를 일괄 관리하고, 단말 기기 관리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관련 기술에서 운영 유지 인력이 각각의 단말 기기를 하나씩 단독 제어해야 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룹에 따라 각각의 그룹의 단말 기기를 대량으로 제어하여, 운영 유지 작업의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하나의 응용 장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응용 장면에서, 게임 장면은 스마트 오락장 장면이며, 장면 기기는 스마트 게임 테이블이고,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이다.
실행 명령을 일괄 송신하는 장면에 있어서, 운영 유지자는 스마트 오락장 내의 일부 스마트 게임 테이블에 대해 업그레드 명령 M을 실행하고, 다른 스마트 게임 테이블에 대해 업그레드 명령 N을 실행해야 한다. 스마트 게임 테이블의 응용 장면에 따라 스마트 게임 테이블을 그룹 1 및 그룹 2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운영 유지자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업그레드 명령 M을 그룹 1에 송신할 수 있으며, 업그레드 명령 N을 그룹 2에 송신할 수 있고, 업그레드 명령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때까지 기다린 후 종료된다.
고장 위치 결정 장면에 있어서, 스마트 오락장 내의 스마트 게임 테이블에서 비정상적인 충돌이 발생할 경우, 운영 유지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스마트 게임 테이블이 위치한 그룹 및 마지막으로 리포팅된 실행 상태 데이터의 시간 및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나아가 스마트 오락장 내의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빠르게 위치 결정하며 점검할 수 있다. 그 후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같은 그룹 다른 스마트 게임 테이블과 비교하여, 오류를 조사하고 스마트 게임 테이블의 접속을 복원한다.
스마트 오락장은 하나의 대형 오락장과 IOT를 긴밀하게 통합한 지능형 게임 시스템으로, 스마트 게임 테이블은 사용자에게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드로, 네트워크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스마트 게임 테이블에 대해 상태 모니터링 및 행동 제어를 실행하고, 스마트 게임 테이블은 데스크탑 데이터(장면 데이터) 및 실행 로그(실행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리포팅 형식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여 감사 및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보다시피, 스마트 게임 테이블을 그루핑하는 것을 통해, 상이한 응용 장면의 처리 논리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 스마트 게임 테이블이 운영 유지 측면에서 더 높은 자유도로 그루핑 동작을 지원하도록 하며, 스마트 오락장의 다중 서비스 장면의 병렬 실행을 지원할 수 있고, 운영 유지 작업의 난이도도 크게 줄여준다. 이 밖에, 스마트 게임 테이블은 데스크탑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행 로그를 클라우드 서버에 리포팅하며, 클라우드 서버는 그루핑 논리에 따라 처리하므로, 대량의 데이터 중복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그루핑 저장 및 그루핑 처리는 색인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고장 위치 결정 효율을 향상시킨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상기 방법에서, 각 단계의 쓰기 순서가 엄격한 수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 과정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하는 것이고, 각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가능한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시한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의 기초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면 기기 관리 장치를 제시하고, 상기 장치는 서버에 적용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기 관리 장치의 구성 구조 모식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그루핑 모듈(200); 및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관리 모듈(201)을 포함할 수 있고;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 모듈(201)이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것은,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 모듈(201)은 또한,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여, 각각의 그룹 색인을 획득하고;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그룹 색인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검색하며; 제1 장면 기기는 다수의 장면 기기 중 하나의 장면 기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 모듈(201)은 또한,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 모듈(201)은 또한,
적어도 2개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실행 명령은 셧다운(shutdown), 재부팅, 구성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루핑 식별 정보는 UUID,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실제 응용에서, 그루핑 모듈(200) 및 관리 모듈(201)은 모두 서버 중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ASIC, DSP, DSPD, PLD, FPGA, CPU,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면 기기 관리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서버 및 다수의 장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한다.
이 밖에, 본 실시예에서 각 기능 모듈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실현되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실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장면 기기 관리 방법에 대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광 디스크, 하드 드라이버, USB 메모리 등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저장 매체에서 장면 기기 관리 방법에 대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하나의 서버에 의해 판독 또는 실행될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의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기반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메모리(301) 및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는 서버(3)를 나타내고, 여기서,
메모리(301)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프로세서(302)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의 장면 기기 관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메모리(301)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드라이버(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또는 전술한 유형의 메모리의 조합일 수 있고, 프로세서(302)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302)는 ASIC, DSP, DSPD, PLD, FPGA, CPU,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이한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는 다른 것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또는 포함하는 모듈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구현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각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점은 서로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방법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방법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제품 실시예에서 개시된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제품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방법 또는 기기 실시예에서 개시된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방법 실시예 또는 기기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함께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임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며,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단말기(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이지 않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시사하에, 본 발명의 사상 및 청구 범위가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또한 다양한 형식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0)

  1. 장면 기기 관리 방법으로서,
    서버에 적용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여, 각각의 그룹 색인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그룹 색인에 따라, 상기 제1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면 기기는 상기 다수의 장면 기기 중 하나의 장면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명령은 셧다운(shutdown), 재부팅, 구성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핑 식별 정보는 범용 고유 식별자(UUID),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방법.
  8. 장면 기기 관리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서버에 적용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장치는,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그루핑 모듈; 및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장치.
  9. 서버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장면 기기와 데이터 인터랙션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며,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여, 각각의 그룹 색인을 획득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그룹 색인에 따라, 상기 제1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검색하며, 상기 제1 장면 기기는 상기 다수의 장면 기기 중 하나의 장면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적어도 2개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일괄된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명령은 셧다운(shutdown), 재부팅, 구성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핑 식별 정보는 범용 고유 식별자(UUID), 장면 기기의 속성 데이터, 장면 기기의 응용 장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장면 기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버 및 다수의 장면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기기 관리 시스템.
  17.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각각의 장면 기기에 의해 송신된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요청 중의 그루핑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장면 기기를 그루핑하여, 다수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그룹 중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상기 처리될 데이터는 실행 상태 데이터 및 장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에 의해 리포팅된 처리될 데이터에 대해 일괄 처리 및 일괄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각각의 그룹의 장면 기기를 일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또한,
    상기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색인을 구축하여, 각각의 그룹 색인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될 데이터에 따라, 제1 장면 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그룹 색인에 따라, 상기 제1 장면 기기가 위치한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상기 제1 장면 기기는 상기 다수의 장면 기기 중 하나의 장면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 중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37653A 2021-06-25 2021-06-28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20230000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2107014Y 2021-06-25
SG10202107014Y 2021-06-25
PCT/IB2021/055735 WO2022269325A1 (en) 2021-06-25 2021-06-28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cene equipment,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28A true KR20230000928A (ko) 2023-01-03

Family

ID=8449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653A KR20230000928A (ko) 2021-06-25 2021-06-28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17337A1 (ko)
KR (1) KR20230000928A (ko)
CN (1) CN115516830A (ko)
AU (1) AU20212046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1626B2 (en) * 2001-01-26 2012-09-18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s for displaying physical network topology and environmental status by location, organization, or responsible party
EP2502408B1 (en) * 2009-11-17 2015-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of cameras for multi-view session capturing
US9602776B2 (en) * 2010-02-02 2017-03-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ccessing web-based cameras arranged by category
US8671099B2 (en) * 2011-12-28 2014-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ustering devices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US10084871B2 (en) * 2013-05-23 2018-09-25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frames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9955061B2 (en) * 2016-08-03 2018-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btaining camera device image data representing an event
US10887174B2 (en) * 2016-09-19 2021-01-05 Amazon Technologies, Inc. Group command management for device groups
US10313914B2 (en) * 2017-03-13 2019-06-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monitoring, and notifications regarding groups of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KR102390979B1 (ko) * 2017-10-17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도록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운용 방법
CN111209031B (zh) * 2019-12-30 2024-02-02 瑞庭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数据获取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7337A1 (en) 2022-12-29
AU2021204618A1 (en) 2023-01-19
CN115516830A (zh)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35794B (zh) 防火墙策略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516072B2 (en) Hybrid cluster recovery techniques
US7418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olicies
CN111464355A (zh) Kubernetes容器集群的伸缩容控制方法、装置和网络设备
JPWO2013140608A1 (ja) イベントの根本原因の解析を支援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30191516A1 (en) Automated configuration error detection and prevention
CN110784515B (zh) 基于分布式集群的数据存储方法、及其相关设备
US8863278B2 (en) Grid security intrusion detection configuration mechanism
JP6356599B2 (ja) 監視支援システム、監視支援方法、および監視支援プログラム
CN113127199B (zh) 负载均衡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592657B2 (en) Automated secure disposal of hardware components
CN111464353A (zh) 区块链节点管理方法、装置、计算机以及可读存储介质
AU2021204550A1 (en) Scen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30000928A (ko) 장면 기기 관리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11897768B (zh) 一种对象访问策略的配置方法和装置
CN111274004B (zh) 进程实例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7389684A (zh) 一种SaaS多租户数据隔离方法和系统
CN117376092A (zh) 故障根因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2839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08259214B (zh) 一种配置命令管理方法、装置和机器可读存储介质
WO20222693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cene equipment,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398943B1 (en) Negative caching for event notifications
CN115686811A (zh) 进程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EP36184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 associated with an object on iot enabled devices
CN116938605B (zh) 网络攻击防护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