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65U -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 Google Patents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65U
KR20230000765U KR2020210003062U KR20210003062U KR20230000765U KR 20230000765 U KR20230000765 U KR 20230000765U KR 2020210003062 U KR2020210003062 U KR 2020210003062U KR 20210003062 U KR20210003062 U KR 20210003062U KR 20230000765 U KR20230000765 U KR 202300007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ydrant
outdoor fire
main body
hydrant valve
sp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312Y1 (en
Inventor
권원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210003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12Y1/en
Publication of KR20230000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1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4Internal grip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스렌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메인바디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하방 가압력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 상수도 소화전 주변으로 소화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보호틀 또는 안전틀로 인해 밸브 개폐시 간섭받지 않음은 물론 하방 가압력 및 회전력이 적절하게 조화되어 안정적인 밸브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옥외 소화전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수용되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의 회전 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nd more particularly, as the main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and a pressure hand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user's downward pressing force acts smoothly, so that the external water supply fire hydrant is formed. It relates to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that is not interfered with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due to a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installed to protect the fire hydrant in the surroundings, and can stably open and close the valve by appropriately harmonizing downward pressing force and rotational for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f an outdoor fire hydrant, wherein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has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bottom portion to correspond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to accommodat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 main body in which a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s it rotates in the state; and a rotation knob that is received and coupled transversely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s rotational force to be applied from the user when the main body rotates.

Description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본 고안은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스렌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메인바디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하방 가압력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 상수도 소화전 주변으로 소화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보호틀 또는 안전틀로 인해 밸브 개폐시 간섭받지 않음은 물론 하방 가압력 및 회전력이 적절하게 조화되어 안정적인 밸브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nd more particularly, as the main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and a pressure hand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user's downward pressing force acts smoothly, so that the external water supply fire hydrant is formed. It relates to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that is not interfered with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due to a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installed to protect the fire hydrant in the surroundings, and can stably open and close the valve by appropriately harmonizing downward pressing force and rotational force.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을 지하에 매설 후 비상 화재시 소화용수 사용과 관내 침전물 및 적체수 배출을 위하여 관로상 일정구간마다 소화전을 설치하고 있는데,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지상에 위치하는 지상식소화전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after water supply pipes are buried underground, fire hydrants are installed at certain sections on the pipeline to us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case of an emergency fire and discharge sediment and accumulated water in the pipe. For ease of maintenance, many ground-type fire hydrants are located on the ground. are installing

그러나, 도심지에서의 자동차 및 농촌에서의 경운기를 비롯한 농기계등의 충돌로 인하여 고가의 소화전이 많이 파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 lot of expensive fire hydrants are damaged due to collisions between automobiles in urban areas and agricultural machines including cultivators in rural areas.

도 1은 일반적인 외부 상수도 소화전에 보호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frame is installed on a general external water supply hydran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전(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소화전(1)의 일정 거리 주변으로 도 1과 같이 보호틀(2)을 설치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rder to prevent the fire hydrant (1) from being damaged, a protective frame (2) is installed around a certain distance of the fire hydrant (1)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소화전(1)을 통해 소화용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옥외 소화전 밸브(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옥외 소화전 밸브(3)의 개방을 위해 도 2와 같은 스패너(4)를 사용하는데,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3)의 크기에 따라 제1밸브수용홈(5) 또는 제2밸브수용홈(6)에 옥외 소화전 밸브(3)를 수용한 상태로 스패너(4)를 회전시켜 옥외 소화전 밸브(3)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if you want to use fire extinguishing water through the fire hydrant (1), you need to rotat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3) in the direction of opening. In us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3), the spanner (4) is rotated with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3) accommodated in the first valve receiving groove (5) or the second valve receiving groove (6).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3 is opened or closed.

하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보호틀(2) 또는 안전틀 등이 소화전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 스패너(4)를 회전시킬 때 보호틀(2) 또는 안전틀과 간섭이 발생되어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1, when the protective frame 2 or the safety frame is installed around the fire hydrant, when the spanner 4 is rotated, interference occurs with the protective frame 2 or the safety frame, so that the rotation is smooth. An unsupported problem occur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에 따라서는 파이프렌지 등을 사용하여 개폐시키기도 하는데, 이러한 파이프렌지를 사용할 경우 비교적 경도가 낮은 동재질로 옥외 소화전 밸브가 형성됨에 따라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workers open and close using a pipe wrench, etc. When using such a pipe wrench, wear or damage occurs as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is formed of a copper material with relatively low hardness.

따라서 이와 같은 소화전 주변의 보호틀 또는 안전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옥외 소화전 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옥외 소화전 밸브 개폐용 스패너의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a span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f an outdoor fire hydrant that can smoothly open and close the valve of an outdoor fire hydran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around the fire hydrant.

등록특허공보 10-1450769호(공고일자 2014.10.1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50769 (Announcement Date 2014.10.16.)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스렌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메인바디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하방 가압력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상수도 소화전 주변으로 소화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보호틀 또는 안전틀로 인해 밸브 개폐시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가압손잡이를 통한 하방 가압력과 메인바디의 회전손잡이를 통한 회전력이 적절하게 조화되어 안정적인 밸브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main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with a certain length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pressing handle that allows the user's downward pressing force to act smoothly, so that the external water supply can be moved around the fire hydrant. Due to the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installed to protect the fire hydrant, interference during valve opening and closing can be completely eliminated, and the downward pressure force through the pressure knob and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rotation knob of the main body are properly harmonized to ensure stable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고안은 옥외 소화전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수용되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의 회전 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f an outdoor fire hydrant. A main body in which a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s it rotates; and a rotation knob that is received and coupled transversely to a certain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s rotational force to be applied from the user when the main body rotates.

여기서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를 포함한다. Her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extends upwardly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pressing handle that allows pressing force to be appli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ser.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홈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손잡이의 양단부에는 관통홈 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 스토퍼가 형성되어 회전손잡이가 메인바디의 관통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handle is accommodated in a through-groove formed transversely at a certain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handle, a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groove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handle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It is formed so as not to deviate from .

아울러 상기 복스렌치부의 수용홈은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벽면에 밀착부가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와의 밀착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o correspond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nd a clos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또한 상기 가압손잡이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과 상부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수직 하방 가압력에 인가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손잡이는 회전방향에 따라 관통홈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pressing handle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n upper side, and a press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pplied to a user's vertical downward pressing force. Or, it is moved to the right and rotated.

아울러 상기 메인바디는 높이가 150mm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손잡이는 그 길이가 상기 메인바디의 높이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formed to have a height of 150 mm or more, and the rotation handle preferably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하부 외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수용되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의 회전 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 상기 메인바디를 일정 부분 수용하고 메인바디의 결합브라켓이 안착되도록 하는 브라켓안착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가 형성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lower outer surface; a rotation knob that is transversely received through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s rotational force to be applied from the user when the main body rotates; a pressing handl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a pressing force to be appli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ser; A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the coupling bracket of the main body to be seated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are spaced apart, 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bottom portion to correspond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thereby forming an outdoor fire hydrant. It includes; a receiving body having a box wrench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s it rotates while receiving the valve.

여기서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 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직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되 그 내주면이 수용바디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한다.Here,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brackets is protru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protrusion protrudes vertically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protrusion to both sid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the receiving body It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또한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의 수용 높이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브라켓안착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안착부는 수용바디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메인바디의 결합브라켓이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수직절개부로부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개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수평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개부는 결합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 결합브라켓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djust the receiving height of the main body, and the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coupling bracket of the main body can move vertically. It is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vertical incision cut so as to b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incision to form a horizontal incision, and the horizontal incision is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of the coupling bracket when the coupling bracket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외부 상수도 소화전 주변의 안전틀 또는 보호틀로 인해 밸브 개폐시 조작이 불편한 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mpletely solve the inconvenience of oper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due to the safety frame or protection frame around the existing external water supply hydrant.

아울러 밸브 개폐를 위해 회전손잡이를 통한 회전력 인가시 가압손잡이를 통한 수직 하방력이 적절하게 동시 인가됨에 따라 복스렌치부와 밸브의 결합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rotation knob to open and close the valve, a vertical downward force through the pressure knob is simultaneously applied appropriately,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box wrench unit and the valve.

도 1은 일반적인 외부 상수도 소화전에 보호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frame is installed in a general external waterworks hydrant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7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examined with reference to it.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100)는 크게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11a)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11)가 형성되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수용되어 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메인바디(10)의 회전 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20) 및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단에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3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groove 11a formed on the lower bottom portion to conform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in a state wher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is accommodated.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box wrench part 11 is formed so that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opens and closes as it rotates, and the main body 10 is transversely accommodated at a certain point on the upper side and is coup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laterally. A rotation handle 20 for apply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user when the body 10 rotates and a pressure handle 30 extending upwardly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so that pressing force is appli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ser consists of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1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압손잡이(30)가 결합된다. Here,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on one side is formed a box wrench portion 11 for receiving and rotating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and on the other side, the pressure handle 30 are combined

또한 상기 복스렌치부(11)는 규격화된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밀착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11a)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11a)을 구성하는 복스렌치부(11)의 내벽면 상에는 밀착도를 증대시키도록 돌부와 홈부가 반복하여 구성되는 밀착부(11b)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vox wrench part 11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11a formed to closely accommodate a standardized outdoor fire hydrant valve in shape, and the vox wrench part 11 constituting the accommodating groove 11a On the inner wall surface, a contact portion 11b is formed in which protrusions and grooves are repeatedly configured to increase adhesion.

여기서 상기 외부 상수도 옥외 소화전 밸브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11a) 또한 육면체 형상인 옥외 소화전 밸브를 밀착 수용하도록 그 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Here, as the external water supply outdoor fire hydrant valve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he receiving groove 11a should also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o closely accommodate the hexahedral outdoor fire hydrant valve.

한편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측, 즉 가압손잡이(30)와의 결합측 일정 지점에는 메인바디(10)를 횡으로 관통하여 수용되며 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손잡이(2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t a certain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on the coupling side with the pressure handle 30, a rotation handle 20 is provided that is accommodated through the main body 10 horizontally and coupled to be slid laterally. .

이러한 회전손잡이(20)는 복스렌치부(11)를 통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하는 메인바디(1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려고 할 때,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회전손잡이(20)는 메인바디(10)의 상부 일측에 관통 수용되며, 사용자가 회전력을 특정 방향으로 인가하고자 할 때 방향성을 고려한 회전력 인가의 편의를 위해 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rotation handle 20 is provided as a means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when a user tries to rotate the main body 10 accommodating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through the box wrench 11, such a rotation handle 20 is accommodated through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up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laterally for the convenience of applying the rotational force considering the directionality when the user wants to apply the rotational force in a specific direction.

즉, 사용자가 시계방향으로 메인바디(10)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회전손잡이(20)를 오른쪽으로 횡 이동을 시켜 메인바디(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당기거나, 반대로 왼쪽으로 횡 이동을 시켜 메인바디(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밀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main body 10 clockwise, the rotation knob 20 is laterally moved to the right to pull the main body 10 to rotate clockwise, or vice versa, lateral movement to the left It can be pushed to rotate the main body 10 clockwise.

이와 같이 회전손잡이(20)의 횡 슬라이딩 이동 방향은 사용자가 메인바디(10)의 회전방향과 해당 회전방향력을 인가할 때 밀어서 회전력을 인가할지 당겨서 회전력을 인가할지에 따라 자유롭게 정해질 것이다. In this way, the transvers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rotation handle 20 will be freely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applies the rotational force by pushing or pulling when apply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rresponding rotational direction force.

이러한 회전손잡이(20)는 메인바디(10)에 일정 부분 관통 수용되고 횡으로 이동하는 원통손잡이(21)와, 상기 원통손잡이(21)의 양 단부측에 형성되어 메인바디(10)로부터 원통손잡이(21)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스토퍼(22)로 구성된다. This rotary handle 20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handle 21, which is received through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moves laterally, and the cylindrical handle 21, from the main body 10 to the cylindrical handle (21) is composed of a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22) to prevent complete separation.

여기서 이탈방지 스토퍼(22)는 원통손잡이(21)의 직경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손잡이(20)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최대치 횡이동할 때 이탈방지 스토퍼(22)에 간섭되어 더 이상 횡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Here,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22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handle 21, so that when the rotary knob 20 moves horizontally to the right or left at the maximum value, it interferes with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22 and no longer crosses. It is configured so as not to move.

아울러 상기 회전손잡이(20)는 그 길이가 상기 메인바디(10)의 높이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한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바디(10)의 높이는 150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메인바디(10)가 150mm인 경우라면 회전손잡이(20)의 길이는 적어도 150mm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rotation handle 20 preferably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150 mm or more Accordingly, if the main body 10 is 150 mm, the length of the rotation handle 20 will have to be formed at least 150 mm or more.

한편 상기 가압손잡이(30)는 사용자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압손잡이(30)를 통한 수직 하방력은 전술한 회전손잡이(20)를 통한 회전력 인가시 메인바디(10)의 복스렌치부(11)에 수용되어 밀착되는 소화전 밸브가 복스렌치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handle 30 is provided so that pressing force is appli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ser. The vertical downward force through the pressing handle 30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rotary knob 20. The fire hydrant valve accommodated in the box wrench unit 11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x wrench unit 1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즉, 회전손잡이(20)를 통한 회전방향은 수평방향이기 때문에 큰 가압력이 수평방향으로 작용할 때 자칫 옥외 소화전 밸브가 복스렌치부(11)에서 이탈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회전력을 인가함과 동시에 가압손잡이(30)를 통해 수직 하방력을 인가함으로써 옥외 소화전 밸브가 복스렌치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of rotation through the rotary handle 20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a large pressing force ac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may be separated from the box wrench unit 11. At the same time as applying, by applying a vertical downward force through the pressure handle 30,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can be rota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box wrench part 11.

이러한 가압손잡이(30)는 메인바디(10)의 상부면 상에서 연장되는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상부면 상에 연결되며 수평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가압판(31)으로 구성된다. The pressure handle 30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32 exten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pressure plate 31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2 and formed in a horizontal disk shape.

여기서 상기 가압판(31)은 도면에서는 일예로 수평 원판 형태로 형성하였으나, 이외에도 수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pressure plate 31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disk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but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in addition to it.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는 크게 회전손잡이(111) 및 가압손잡이(120)가 각각 상부 일측 및 상부면 상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 외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130)이 돌출 형성되는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를 일정 부분 수용하고 메인바디(110)의 결합브라켓(130)이 안착되도록 하는 브라켓안착부(143)가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144a)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144)가 형성되는 수용바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handle 111 and the pressing handle 120 are formed to extend on one upper side and the upper surface,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on one side of the lower outer surface. The main body 110 from which the 130 protrudes, and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3 for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allowing the coupling bracket 130 of the main body 110 to be seated have different heights.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spaced apart, and an accommodating groove (144a) is formed on the lower bottom portion to correspond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o that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is opened and closed as it rotates while accommodating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body 140 is formed.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110)는 상기 수용바디(140)로 일정 부분 수용되되 수용되는 메인바디(110)의 높이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의 전체 높이가 결정되게 된다. Here, the main body 110 is partially accommodated as the receiving body 140, and the total height of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2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10 accommodated.

즉, 본 실시예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의 높이를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외부 상수도 소화전에 설치되는 보호틀 또는 안전틀의 높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옥외 소화전 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200, and is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that can stably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installed on the external water supply hydrant. It can be adjusted to a height of (200).

일예로 보호틀 또는 안전틀의 높이가 옥외 소화전 밸브의 높이에 비해 200mm 정도 높게 형성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옥외 소화전 밸브를 회전시킬 수 있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의 높이는 대략 300mm 이상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frame or the safety frame is formed to be about 200 mm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the height of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200 capable of stably rotating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hould be approximately 300 mm or more.

이는 수용바디(140)의 저면으로부터 회전손잡이(111)의 높이가 200mm 보다 높아야 회전손잡이(111)를 회전시킬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수용바디(140)의 저면으로부터 회전손잡이(111)의 높이는 200mm 보다 높아야 할 것이다. This is becaus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rotating the rotation knob 111 when the height of the rotation knob 111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body 140 is higher than 200 mm, so at least the rotation knob 111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body 140 The height will have to be higher than 200mm.

물론 수용바디(140)의 저면으로부터 회전손잡이(111)의 높이가 200mm 이며 회전손잡이(111)의 회전시 보호틀 또는 안전틀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여유 마진을 두어야 할 것이며, 바람직한 여유 마진으로는 50mm 이상이 적절할 것이다. Of course, since the height of the rotation handle 111 is 200 mm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140 and it can contact the protection frame or safety frame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on knob 111, a margin should be left. 50mm or more would be appropriate.

따라서 본 실시예는 옥외 소화전 밸브를 개폐해야 할 외부 상수도 소화전마다 보호틀 또는 안전틀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해당 소화전에 설치되는 보호틀 또는 안전틀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may be different for each external water supply hydrant that needs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n appropriate outdoor hydrant valve sp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frame or safety frame installed on the hydrant in the field (2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이를 위해 상기 수용바디(140)에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수용 높이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브라켓안착부(143)가 높이를 달리하여 이격 형성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안착부(143)는 수용바디(14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메인바디(110)의 결합브라켓(130)이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수직절개부(141)로부터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143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eceiving body 140 to adjust the receiving height of the main body 110. The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143 are It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140 and is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vertical cutout 141 so that the coupling bracket 130 of the main body 110 can move vertically.

아울러 상기 수직절개부(141)를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수평절개부(14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평절개부(142)는 결합브라켓(13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수평절개부(142)의 하부측에는 브라켓안착부(143)가 형성되어 결합브라켓(1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horizontal cutout 142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vertical cutout 141, and this horizontal cutout 142 is formed to accommodate when the coupling bracket 130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cutout A bracket seating portion 14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rtion 142 to support the coupling bracket 130.

여기서 상기 결합브라켓(130)은 메인바디(110)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브라켓(130)은 메인바디(110)의 외주면 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1)와, 상기 돌출부(131)로부터 수직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되 수용바디(140)의 외주면 곡률과 내주면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평연장부(132)로 구성된다. Here,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brackets 130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 and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13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protrusion 131 to both sides and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curvatur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140.

즉, 상기 수평연장부(132)는 메인바디(110)가 일정 각도 회전 시 상기 수용바디(140)의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하며 수평연장부(132) 및 돌출부(131)는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수용바디(140)의 브라켓안착부(143)에 안착되어 지지받게 된다. That is,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132 rotate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140 when the main body 110 rotates at a certain angle,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132 and the protrusion part 131 receive accommodation as they rotate at a certain angle. It is seated on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3 of the body 140 and supported.

이와 같은 브라켓안착부(143)는 도 5 및 도 6에서 3개소를 형성하였으나, 높이 조절을 보다 세분화하여 설정하고 싶은 경우 3개소 보다 많이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3 is formed in three places in FIGS. 5 and 6, more than three places can be formed if you want to set the height adjustment in more subdivided ways.

아울러 상기 수평연장부(132)는 돌출부(131)로부터 좌, 우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데, 이는 상기 수평절개부(142) 및 브라켓안착부(143)가 수직절개부(141)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이유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132 extends vertically from the protruding part 131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means that the horizontal cutout 142 and the bracket seating part 143 are left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cutout 141. , it is formed for the same reason as tha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ight sid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는 메인바디(110)와 수용바디(140)가 결합한 전체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20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안착부(143) 중 사용자가 목적하는 높이의 브라켓안착부(143)에 메인바디(110)의 결합브라켓(130)이 지지되도록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회전시키는 방향은 개폐하고자 하는 외부 상수도 옥외 소화전 밸브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회전시켜야 한다. That is,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entir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200 in which the main body 110 and the receiving body 140 are combined can be adjusted. Among the bracket seating parts 143, the user rotates the coupling bracket 130 of the main body 110 at a certain angle so that it is supported on the bracket seating part 143 at the desired height.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is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be opened and closed It should be rotated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즉, 옥외 소화전 밸브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결합브라켓(130)이 안착되는 브라켓안착부(143)는 메인바디(110)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안착되는 측이 될 것이고, 옥외 소화전 밸브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바디(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안착되는 측이 될 것이다. That is, when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3 on which the coupling bracket 130 is seated will be the side to be seated when the main body 1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f you want to rotat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clockwise, it will be the side to be seated when the main body 110 is rotated clockwise.

따라서, 옥외 소화전 밸브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해당 방향별로 메인바디(110)의 결합브라켓(130)이 안착되는 브라켓안착부(143)가 수직절개부(141)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지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rotat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3 on which the coupling bracket 130 of the main body 110 is seated is se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from the vertical cutout 141 for each direction. is determined by one of them.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회전손잡이(111) 및 가압손잡이(1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손잡이(120)에는 가압판(121) 및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knob 111 and the pressure knob 12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form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pressure knob 120 includes a pressure plate 121 and a connecting portion 122. do.

아울러 메인바디(110) 및 수용바디(140)는 서로 회전 결합 및 수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메인바디(1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를 수용하는 수용바디(140)의 내측 수용공간 또한 이와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as the main body 110 and the accommodating body 140 are rotated and accommodated with each other,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140 for accommodating it is also a corresponding cylindrical shape. formed as a

아울러 상기 메인바디(110)에 형성되는 결합브라켓(13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한 쌍으로 형성하여 결합강도를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위해 3개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upling brackets 130 formed on the main body 110 can be configured to increase coupling strength by forming a pair as shown in FIGS. 5 to 7, and also formed in three or more for higher coupling strength. Of course you can.

물론 이경우, 수직절개부(141)가 결합브라켓(130)의 형성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수평절개부(142) 및 브라켓안착부(143)는 좌, 우로 각각 한 쌍씩 더 추가되며, 높이방향으로 따라 설정한 개수별로 더 추가될 것이다. Of course, in this case, the vertical cutout 141 must be formed equal to the number of coupling brackets 130 formed, and the horizontal cutout 142 and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3 are added by one pair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height More will be added according to the number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아울러 상기 복스렌치부(144)는 수용바디(140)의 저면부에 형성되며, 이러한 복스렌치부(14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용홈(144a)과 밀착부(144b)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ox wrench part 144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body 140, and the box wrench part 144 is composed of the receiving groove 144a and the contact part 144b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Equivalent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바디 10a : 관통홈
11 : 복스렌치부 11a : 수용홈
11b : 밀착부 20 : 회전손잡이
21 : 원통손잡이 22 : 이탈방지 스토퍼
30 : 가압손잡이 31 : 가압판
32 : 연결부 100, 200 :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110 : 메인바디 111 : 회전손잡이
120 : 가압손잡이 121 : 가압판
122 : 연결부 130 : 결합브라켓
131 : 돌출부 132 : 수평연장부
140 : 수용바디 141 : 수직절개부
142 : 수평절개부 143 : 브라켓안착부
144 : 복스렌치부 144a : 수용홈
144b : 밀착부
10: main body 10a: through groove
11: box wrench part 11a: receiving groove
11b: close contact 20: rotation knob
21: cylindrical handle 22: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30: press handle 31: press plate
32: Connection 100, 200: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110: main body 111: rotation handle
120: press handle 121: press plate
122: connection part 130: coupling bracket
131: protrusion 132: horizontal extension
140: receiving body 141: vertical incision
142: horizontal incision 143: bracket seating
144: box wrench part 144a: receiving groove
144b: close contact

Claims (10)

옥외 소화전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수용되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의 회전 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In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f the outdoor fire hydrant,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on a lower bottom surface to correspond in shape to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and a box wrench portion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s it rotates while accommodating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nd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handle that is received through and coupled transversely to a certain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s rotational force to be applied from the user when the main body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1,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handle extending upwardly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pressing force to be appli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홈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손잡이의 양단부에는 관통홈 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 스토퍼가 형성되어 회전손잡이가 메인바디의 관통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handle is accommodated in a through-hole formed through a transverse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handle, a breakaway stopp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handle does not escape from the through groov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스렌치부의 수용홈은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벽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와의 밀착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ox wrench part is
It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o correspond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손잡이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과 상부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수직 하방 가압력에 인가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ure handl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sid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e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pplied to the user's vertical downward pressing for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는
회전방향에 따라 관통홈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3,
The rotating handl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made by moving to the left or right from the through groo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높이가 150mm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손잡이는 그 길이가 상기 메인바디의 높이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3,
The main body is formed to have a height of 150 mm or more, and the rotation handle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옥외 소화전의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는
하부 외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 일정 지점에 횡으로 관통 수용되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의 회전 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압손잡이;
상기 메인바디를 일정 부분 수용하고 메인바디의 결합브라켓이 안착되도록 하는 브라켓안착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하측 저면부에 옥외 소화전 밸브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옥외 소화전 밸브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옥외 소화전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복스렌치부가 형성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In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f the outdoor fire hydrant,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 main body in which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ower outer surface;
a rotation knob that is transversely received through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s rotational force to be applied from the user when the main body rotates;
a pressing handl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pressing force to be appli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ser;
A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the coupling bracket of the main body to be seated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spaced apart, 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in shape to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on the lower bottom portion of the outdoor fire hydrant.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omprising a; receiving body having a box wrench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fire hydrant valve as it rotates while receiving the val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 상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직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되 그 내주면이 수용바디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8,
The coupling bracket is
At least one protrud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vertic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horizontal extension par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protrusion part to both sides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curvature of the receiving body. Fire hydrant valve span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의 수용 높이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브라켓안착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안착부는
수용바디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메인바디의 결합브라켓이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수직절개부로부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개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수평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개부는 결합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 결합브라켓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According to claim 9,
The receiving body
A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spaced apart to adjust the receiving height of the main body,
The plurality of bracket seating parts
It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eiving body and is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vertical incision so that the coupling bracket of the main body can move vertically,
A plurality of pieces are spaced apar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cutout to form a horizontal cutout,
The horizontal cutout is a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of the coupling bracket when the coupling bracket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2020210003062U 2021-10-12 2021-10-12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KR2004973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62U KR200497312Y1 (en) 2021-10-12 2021-10-12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62U KR200497312Y1 (en) 2021-10-12 2021-10-12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65U true KR20230000765U (en) 2023-04-19
KR200497312Y1 KR200497312Y1 (en) 2023-10-10

Family

ID=8609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62U KR200497312Y1 (en) 2021-10-12 2021-10-12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12Y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155A (en) * 1996-11-08 1998-05-26 Nichiben Tokushu Kogyo:Kk Water valve opening/closing socket wrench
KR200266615Y1 (en) * 2001-11-23 2002-02-28 (주)서용아쿠아솔루션 valve-handling key
KR20100002098U (en) * 2008-08-19 2010-03-02 한국철도공사 tool for water supply valve hook nut fixing
JP2012057649A (en) * 2010-09-06 2012-03-22 Maezawa Ind Inc Valve switch and its dismounting method
KR20130065577A (en) * 2011-12-09 2013-06-19 주식회사 미래산업 The sleeve for a building dry-wall
KR101450769B1 (en) 2013-07-23 2014-10-16 박영미 Multi function wrench for fire fighting
KR20160080477A (en) * 2014-12-29 2016-07-08 한국철도공사 Apparatus for Fix stop nut
KR200491356Y1 (en) * 2019-10-11 2020-03-25 주식회사 기남금속 Manhole Cover Locking Device and Tools for i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155A (en) * 1996-11-08 1998-05-26 Nichiben Tokushu Kogyo:Kk Water valve opening/closing socket wrench
KR200266615Y1 (en) * 2001-11-23 2002-02-28 (주)서용아쿠아솔루션 valve-handling key
KR20100002098U (en) * 2008-08-19 2010-03-02 한국철도공사 tool for water supply valve hook nut fixing
JP2012057649A (en) * 2010-09-06 2012-03-22 Maezawa Ind Inc Valve switch and its dismounting method
KR20130065577A (en) * 2011-12-09 2013-06-19 주식회사 미래산업 The sleeve for a building dry-wall
KR101450769B1 (en) 2013-07-23 2014-10-16 박영미 Multi function wrench for fire fighting
KR20160080477A (en) * 2014-12-29 2016-07-08 한국철도공사 Apparatus for Fix stop nut
KR200491356Y1 (en) * 2019-10-11 2020-03-25 주식회사 기남금속 Manhole Cover Locking Device and Tools for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12Y1 (en)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6486A (en) Valve structure of outdoor hydrant equipment
US20050244227A1 (en) Construction castings with ball and socket connectors
US9340948B2 (en) Explosion mitigating vault
KR20230000765U (en) Outdoor fire hydrant valve spanner
US20160258141A1 (en) Wall hydrant with integral shut-off valve
US6131604A (en) Lockout device for subsurface valves
CA2957623C (en) Valve with locking slide
US5730180A (en) Positioning member for a curb stop box
US20150260309A1 (en) Long Handled Valve Actuator For Opening And Closing Buried Valves
KR101654426B1 (en) the water supply with nonfreezing valve
US20060254649A1 (en) Universal cradle for subterranean valve installations
US11387596B1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KR101306208B1 (en) Device for lifting of power transmission steel tower
JP2009007893A (en) Iron lid opening/closing device
KR100591915B1 (en) A controllable valve operator of sluice-valve
JP2015209647A (en) Fire hydrant standpipe
EP3260614A1 (en) A sewer valve
KR200385736Y1 (en) Protective tube for stop cock
DE202008003510U1 (en) Energy column for outdoor use
US9834903B2 (en) Underground security barrier
US9681608B2 (en) Non-invasive sprinkler
CN210031978U (en) Ground upper fire hydrant
US20230061786A1 (en) Low profile outdoor pedestal
AU2016206228B2 (en) A bracket for holding pipes
CA2785559A1 (en) Hydrant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