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645U - carbonated water maker - Google Patents

carbonated water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645U
KR20230000645U KR2020237000011U KR20237000011U KR20230000645U KR 20230000645 U KR20230000645 U KR 20230000645U KR 2020237000011 U KR2020237000011 U KR 2020237000011U KR 20237000011 U KR20237000011 U KR 20237000011U KR 20230000645 U KR20230000645 U KR 202300006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nozzle
carbonated water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70000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니 숭
Original Assignee
지앙먼 이커메이트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앙먼 이커메이트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앙먼 이커메이트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0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4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탄산수 제조기에 있어서, 탄산수 머신(10) 및 압력 케틀(20)을 포함하고, 탄산수 머신(10)의 일측에는 베이스(11)가 설치되고, 베이스(11)에는 안착 위치가 마련되며, 안착 위치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이 설치되며, 압력 케틀(20)은 케틀 리드(22) 및 케틀 본체(21)를 포함하며, 케틀 본체(21) 내에는 케틀 라이닝(211)이 설치되고, 케틀 본체(21) 저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 내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에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재(60)가 설치되고, 케틀 라이닝(211)의 측벽에는 케틀 라이닝(211) 저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안내 튜브(61)가 설치되며, 공기 안내 튜브(61) 내에는 단방향 밸브(64)가 설치되고, 공기 안내 튜브(61) 끝단에는 분사 노즐(63)이 설치되며, 공기 안내 튜브(61)와 노즐 연결부재(60) 사이는 공기 유입관(62)을 통해 연통되어, 사용 시 물을 압력 케틀(20)에 넣은 후 안착 위치에 놓고 공기 공급 노즐(34)을 노즐 연결부재(60)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같은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량의 조건에서, 용해도가 더 높고 생성되는 탄산수의 농도가 더 높으며 압력 컵을 직접 안착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되기에 장착이 편리하다.The carbonated water maker includes a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pressure kettle 20, a base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on the base 11, and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at the seating position. An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the pressure kettle 20 includes a kettle lid 22 and a kettle body 21, a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in the kettle body 21, and the kettle body ( 21) An air inl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and a nozzle connecting member 6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the side wall of the kettle lining 211 tilts toward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An air guide tube 61 is installed, a one-way valve 64 is installed in the air guide tube 61, a spray nozzle 6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guide tube 61, and an air guide tube 61 ) and the nozzle connection member 60 are communicat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62, and when in use, water is put into the pressure kettle 20, placed in a seated position, and the air supply nozzle 34 is connected to the nozzle connection member 60 Just insert it into .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the solubility is higher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ated water produced is higher, and the installation is convenient because the pressure cup only needs to be placed directly in the seating position.

Description

탄산수 제조기carbonated water maker

본 고안은 음료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산수 제조기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beverage production, and in particular to a carbonated water maker.

탄산수 제조기는 탄산수 머신과 압력 케틀의 총칭으로, 사용 시 탄산수 머신과 압력 케틀을 함께 사용하는데, 선행기술에서는 탄산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먼저 압력 케틀에 물을 넣고, 압력 케틀은 케틀 리드를 탄산수 머신에 걸어 놓는 것을 통해 케틀 리드와 탄산수 머신의 공기 공급 노즐을 연통시키고,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케틀 리드를 따라 압력 케틀 내로 들어가 탄산수의 제조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이 높지 않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수면 위에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케틀 리드를 통해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먼저 수면 상부의 공동을 통해 오버플로하고 기류의 속도를 줄인 다음 물에 들어가기에 이산화탄소가 바로 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며, 또한 기류가 수직 방향으로 물에 부딪히기에 이산화탄소가 바닥에 부딪힌 후 원래 길을 따라 돌아와 후속적인 기류에 대해 반작용력을 생성하여 이산화탄소의 용해에 영향을 미쳐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을 감소시키고 생성된 탄산수의 농도가 낮다.The carbonated water maker is a generic name for a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a pressure kettle. When used,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the pressure kettle are used together. In the prior art,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arbonated water, water is first put into the pressure kettle, and the pressure kettle leads the kettle lead to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Through hanging, the kettle lid and the air supply nozzl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re communicated, and the high-pressure carbon dioxide gas enters the pressure kettle along the kettle lid, and production of carbonated water is completed. However, the problem with this method is that the dissolution rate of carbon dioxide is not high, because there is air above the water surface, so the carbon dioxide gas introduced through the kettle lid first overflows through the cavity above the water surface, reduces the speed of the air flow, and then enters the water. To enter, carbon dioxide does not enter the water directly. In addition, because the air flow hits the wate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arbon dioxide hits the bottom and then returns along the original path to create a reaction force against the subsequent air flow, which affects the dissolution of carbon dioxide.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ated water produced is l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ated water maker that produces carbonated water with a higher concentr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채택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blem solving method adop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탄산수 제조기에 있어서, 탄산수 머신 및 압력 케틀을 포함하고, A carbonated water maker comprising a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a pressure kettle;

상기 탄산수 머신의 일측에는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는 안착 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탄산수 머신에는 가스통을 연결하기 위한 가스통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 위치의 표면에는 공기 공급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노즐 저부에는 가스통 연결부와 연통되는 가스 튜브가 설치되고; A bas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a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an air supply nozzle is installed on a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 gas tube communicating with the gas cylinder connection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ir supply nozzle;

상기 압력 케틀은 안착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력 케틀은 케틀 본체 및 케틀 본체에 커버 결합되는 케틀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케틀 본체 내에는 케틀 라이닝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본체 저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내에는 공기 공급 노즐에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케틀 라이닝의 내벽에는 케틀 라이닝 저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안내 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안내 튜브 내에는 단방향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안내 튜브 끝단에는 분사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안내 튜브와 노즐 연결부재 사이는 공기 유입관을 통해 연통된다. The pressure kettle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seated position, the pressure kettle includes a kettle body and a kettle lid coupled to the kettle body, a kettle lining is installed in the kettle body, and an air inle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Is installed, a nozzl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an air supply nozzle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 air guide tu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kettle lining, and a one-way valve is installed in the air guide tube. is installed, a spray nozzl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guide tube, and the air guide tube and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air inlet pip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안착 위치에는 제1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노즐은 제1 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저부에는 공기 공급 노즐을 승강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장치가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 first through hole is installed in the seating position, the air supply nozzle is insta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air supply nozzle to ascend and desce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is installe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모터, 노즐 베이스 회전부,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first driving device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a nozzle base rotation unit, and a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상기 제1 구동 모터는 탄산수 머신 또는 베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출력단에는 제1 구동 기어가 장착되며; the first drive motor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or base, and a first drive gear is mounted on an output end of the first drive motor;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 외주에는 제1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1 종동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는 베이스 내에 장착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 중앙부에는 제1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홀의 측벽에는 제1 구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A first driven gear engaged with a first drive gea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is mounted in the base, a first mount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and the first mounting hole A first drive threa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는 상기 제1 장착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 외주에는 제1 구동 스레드와 결합되는 제1 종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에는 제1 수직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 내에는 노즐 슬리브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노즐은 노즐 슬리브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노즐 상측에는 노즐 슬리브 단부에 당접되는 공기 유입 통로 밀봉링이 설치된다.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a first driven thread coupled to a first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and a first vertical restrictor is installed on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An accommodating groov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a nozzle sleeve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the air supply nozzle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nozzle sleeve, and the air supply nozzle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nozzle sleeve on the upper side. An air inlet passage sealing ring is installe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안착 위치의 상면에는 베이스 내로 연장되는 가압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내에는 보호 로드가 설치되며, 보호 로드의 일단은 베이스 내에 피봇 연결되어 수평으로 스윙할 수 있고, 상기 보호 로드의 타단에는 제2 통공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폐쇄하기 위한 보호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 로드 일측에는 가압 기둥 하방에 위치하는 저항 경사면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 로드 타측에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내에는 보호 로드와 결합하는 보호 스위치가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a pressure column extending into the bas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 protective rod is installed in the base, and one end of the protective rod is pivotally connected in the base to swing horizontally. A protective door located below the second through hole to close the second through hole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rod, and a resistance inclined surface positioned below the pressing colum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rod.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a protection switch coupled to a protection rod is installed in the bas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탄산수 머신에는 베이스 상방에 위치하는 검출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플랫폼 바닥면에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플랫폼 내에는 제2 통공을 따라 승강이 가능한 검출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검출 플랫폼 내에는 검출 노즐을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노즐 상측에는 기압 센서가 설치되며;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 detection platform located above the base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 second through hol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ction platform, and the detection platform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through hole. a detection nozzle is installed, a second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etection nozzle to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and an air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above the detection nozzle;

상기 케틀 리드 저부에는 케틀 본체 상측까지 관통하여 검출 노즐과 연통되는 공기통로 안내홀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통로 안내홀의 내벽에는 링 플랫폼이 설치되며, 상기 링 플랫폼 중앙부는 크기가 공기통로 안내홀보다 작은 공기 안내홀이고, 상기 링 플랫폼 저부에는 공기 안내홀을 폐쇄하고 검출 노즐 저부에 당접되는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 저부에는 제1 리셋 장치가 설치된다. An air passage guide hol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and communicates with the detection nozzle by passing through to the top of the kettle body, and a ring platform is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guide hole,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ring platform is smaller in size than the air passage guide hole. An air guiding hole, an exhaust passage valve plug closing the air guiding hole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detection nozzl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and a first reset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모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second driving device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an upper base rotating member, and an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상기 제2 구동 모터는 검출 플랫폼 내 또는 탄산수 머신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출력단에는 제2 구동 기어가 설치되며; the second drive motor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or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a second drive gear is installed at an output end of the second drive motor;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는 검출 플랫폼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 중앙부에는 제2 장착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장착홀 측벽에는 제2 구동 스레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 둘레에는 제2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가 설치되며;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a second mounting hol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a second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mounting hole, and a second mounting hole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a second driven gear meshing with the two drive gears is installed;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는 제2 장착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 둘레에는 제2 구동 스레드와 결합하는 제2 종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검출 노즐은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 상측에는 제1 장착홈이 설치되며, 상기 기압 센서는 상기 장착홈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 노즐은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 저부에 설치되어 장착홈 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에는 제2 수직 제한부가 설치된다.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a second driven thread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thread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and the detection nozzl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A first mount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the atmospheric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detection nozzl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and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 second vertical restric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베이스를 향한 상기 탄산수 머신의 일측 표면에는 측면으로 개구된 제1 수용 캐비티, 및 제1 수용 캐비티 상방에 위치하고 제1 수용 캐비티 상측과 연통되는 제2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 캐비티 내에는 배기 박스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 박스의 상측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케틀 리드 둘레에는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삽입 설치 가능한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 하단면에는 케틀 리드 저부까지 연장되는 배기 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튜브 내에는 배기 튜브의 개폐를 위한 밀봉 밸브 플러그가 설치되며, 상기 케틀 리드 표면에는 밀봉 밸브 플러그의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배기 버튼이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 first accommodating cavity open to the sid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facing the base, and a second accommodating cavity located above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is provided. An exhaust box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an opening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exhaust box, a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cavity is installed around the kettle lid, and the protrusion An exhaust tube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 sealing valve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tube is installed in the exhaust tube, and an exhaust button for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ling valve plug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kettle lid. installe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배기 튜브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케틀 리드를 관통하여 케틀 리드 상측까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채널은 제1 채널 측벽에 연결되어 돌출부 하단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채널 둘레에는 제2 채널 하방에 위치하는 환형 플랫폼이 설치되며, 상기 밀봉 밸브 플러그는 환형 플랫폼 하방에 설치되어 환형 플랫폼 중앙부의 채널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밀봉 밸브 플러그 저부에는 제2 리셋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 버튼은 제1 채널 상측에 설치되어 밀봉 밸브 플러그 상측에 당접될 수 있고, 상기 배기 버튼은 제1 채널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버튼 둘레에는 제2 채널 상방에 위치하여 제1 채널 측벽을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링이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exhaust tube includes a first channel and a second channel, the first channel penetrates the kettle lid and extends vertic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kettle lid, and the second channel is An annular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channel 1 and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part, and an annular platform located below the second channel is installed around the first channel, and the sealing valve plug is installed below the annular platform to close the channel at the center of the annular platform. A second reset device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ling valve plug, the exhaust button may be installed above the first channel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valve plug, and the exhaust button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channel. A first sealing ring for sealing a sidewall of the first channel located above the second channel is installed around the exhaust butt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탄산수 머신 내에는 배기 연결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 로드 중앙부는 탄산수 머신 내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배기 연결 로드 전측단에는 제2 통공 내에 위치하여 제2 통공에서 승강이 가능한 가압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 로드의 끝단에는 배기 연결 로드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가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an exhaust connecting rod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 central portion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a front end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is positioned in a second through hole to provide a second through hole. A pressurizing ro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the through hole is installed, and an actuator for driving the exhaust connecting rod to swing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공기 안내 튜브에서 케틀 라이닝 저부까지의 높이는 케틀 라이닝 높이의 2분의 1보다 작고, 상기 공기 안내 튜브와 케틀 라이닝 내면 사이의 끼인각은 30-60도이다.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height from the air guiding tube to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is less than half of the height of the kettle lining,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air guiding tub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kettle lining is 30-60 degree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케틀 리드 저부에는 적어도 2그룹의 압력 안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안정부는 케틀 리드 내에 설치된 압력방출홈 및 케틀 리드 저부에 설치되어 압력방출홈과 연통되는 안내공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방출홈 내에는 상기 안내공을 막기 위한 배기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방출홈 내에는 배기 로드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3 리셋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방출홈 내에는 공기 방출 홀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리드 외측에는 공기 방출 홀과 연통되는 에어 벤트가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t least two groups of pressure stabilizer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and the pressure stabilizers are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installed in the kettle lid and a guid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to communicate with the pressure release groove. An exhaust rod for blocking the guide hole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a third reset device for driving the exhaust rod to move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and a third reset device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An air release hole is installed, and an air vent communicating with the air release hole is installed outside the kettle li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가스통 연결부는 장착시트, 와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includes a mounting seat and a washer assembly,

상기 장착시트 내에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연결구 측벽에는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는 연결부 하방의 측벽에 위치하고 지지 링 플랫폼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 내에는 지지 링 플랫폼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튜브와 연통되는 흐름 안내 연결구가 설치되고; A connector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eat, a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connector, the connector is located on the sidewall below the connector and a support ring platform is installed, and the connector is located below the support ring platform and communicates with the gas tube A flow guide fitting is installed;

상기 와셔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구 내에 위치하고 연결구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셔 어셈블리는 고정시트, 제2 밀봉링 및 잠금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시트 중앙부에는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시트 저부에는 제1 보스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스 둘레에는 제1 링 홈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와셔 중앙부에는 제1 링 홈에 씌움 설치되는 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시트 상측에는 제2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스 둘레에는 제2 링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밀봉링은 상기 제2 링 홈 내에 씌움 설치되고, 상기 고정시트의 상단면은 지지 링 플랫폼 단면에 당접되며, 상기 제2 밀봉링은 상기 지지 링 플랫폼의 측면에 당접된다. The washer assembly is located in the connector and is rotatable in the connector, the washer assembly includes a fixing seat, a second sealing ring and a lock washer, a hole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seat, and a second port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seat. 1 boss is installed, a first ring groove is installed around the first boss, a through hol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ck washer to cover the first ring groove, and a second boss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seat, A second ring groove is installed around the second boss, the second sealing ring is cover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ring groove,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seat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and the second sealing ring is abutted against the sid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연결구 바닥면에는 상측 핀홀이 설치되고, 상기 상측 핀홀 내에는 핀홀이 설치되며, 상기 핀홀과 상측 핀홀 측벽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고, 상기 핀홀은 상기 천공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천공 내측벽에는 제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핀홀 둘레에는 제한 플레이트 표면에 당접되는 돌출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시트에는 드라이브 스윙 로드가 피봇 연결되고, 상기 드라이브 스윙 로드의 끝단은 핀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드라이브 스윙 로드의 타측 상단에는 드라이브 스윙 로드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전자기 밸브가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an upper pinhol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a pinhole is installed in the upper pinhole, a gasket is installed between the pinhole and a sidewall of the upper pinhole, and the pinhole is installed in the perforation. A limi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ion, a protrusion plate is installed around the pinhole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miting plate, a drive swing ro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sheet, and an end of the drive swing rod is Located above the pinhole, a first electromagnetic valve for driving the drive swing rod to swing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wing ro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장착시트에는 수납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 캐비티 저부는 연결부 하방에 위치한 연결홀을 통해 연결구와 연통되며, 상기 수납 캐비티 내에는 연결홀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용 상측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용 상측 로드 둘레와 수납 캐비티 측벽 사이에는 제3 밀봉링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캐비티 내에는 밀봉용 상측 로드 후측단에 위치하여 상측 로드를 연결홀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4 리셋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시트에는 상측 로드 후측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설치된다. 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 storage cavity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heet, the storage cavity bottom communicates with a connector through a connection hole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al for closing the connection hole is located in the storage cavity. An upper rod for sealing is installed, a third sealing 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rod for sealing and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avity, and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rod for sealing in the storage cavity to move the upper rod toward the connection hole. A fourth reset device for driving is installed, and a micro switch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rod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shee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한 개선으로서, 상기 안착 위치는 포지셔닝 캐비티이고, 상기 케틀 본체 저부에는 회전 포지셔닝 홈이 설치되며, 상기 포지셔닝 캐비티 둘레에는 회전 포지셔닝 홈과 결합하여 케틀 본체의 이탈을 제한하는 포지셔닝 핀이 설치된다.As an improvemen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seating position is a positioning cavity, a rotation position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and a positioning pin is combined with the rotation positioning groove around the positioning cavity to limit the separation of the kettle body. is installed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탄산수 머신의 일측에는 베이스가 설치되고, 베이스에는 안착 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안착 위치에는 공기 공급 노즐이 설치되며, 안착 위치에는 압력 케틀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압력 케틀은 케틀 리드 및 케틀 본체를 포함하며, 케틀 본체 내에는 케틀 라이닝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본체 저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내에는 공기 공급 노즐에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케틀 라이닝의 측벽에는 케틀 라이닝 저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안내 튜브가 설치되며, 공기 안내 튜브 내에는 단방향 밸브가 설치되고, 단방향 밸브를 통해 가스 또는 액체가 공기 안내 튜브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안내 튜브 끝단에는 분사 노즐이 설치되며, 공기 안내 튜브와 노즐 연결부재 사이는 공기 유입관을 통해 연통되는 것을 통해, 사용 시 먼저 물을 압력 케틀에 넣은 후 압력 케틀을 안착 위치에 놓고 공기 공급 노즐을 노즐 연결부재에 삽입하면,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기 안내 튜브로 흘러 케틀 라이닝에 분사되는데, 공기 안내 튜브가 케틀 라이닝의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기에 케틀 라이닝 내에 물을 담을 경우 물에 직접 공기 안내 튜브가 잠길 수 있어 이산화탄소가 공기 안내 튜브를 따라 분사될 경우 바로 물과 접촉하게 되며, 또한 경사진 경로로 유입되기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에서의 운동 거리가 더 길고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에서의 체류 시간이 더 길며, 이산화탄소 가스가 케틀 라이닝 저부에 수직되게 부딪히지 않기에 이산화탄소 기류가 케틀 라이닝 벽에 접촉 시 원래 길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굴절이 발생하므로 후속적인 이산화탄소가 물에 들어가는 것에 대하여 역압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되도록 한다. 선행기술에 비해, 같은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량의 조건에서, 용해도가 더 높고 생성되는 탄산수의 농도가 더 높으며 압력 컵을 직접 안착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되기에 장착이 매우 편리하다.The advantageous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bas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on the base, an air supply nozzle is installed at the seating position, a pressure kettle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seating position, and the pressure kettle is detachably installed. includes a kettle lid and a kettle body, a kettle lining is installed in the kettle body, an air inle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a nozzl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an air supply nozzle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a kettle An air guiding tu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lining, and a one-way valve is installed in the air guiding tube, and the one-way valve prevents gas or liquid from flowing backward along the air guiding tube, A spray nozzl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guide tube, and the air guide tube and the nozzle connection member are communicat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When using it, put water into the pressure kettle first, then place the pressure kettle in a seated position and air supply nozzle When is inserted into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high-pressure carbon dioxide gas flows through the air guide tube and is sprayed to the kettle lining. Since the air guide tube is installed inclined on the side wall of the kettle lining,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kettle lining, the air guide tube directly into the water. can be submerged, so that when the carbon dioxide is injected along the air guide tube, it directly contacts the water, and since it is introduced in an inclined path, the carbon dioxide gas travels in the water longer and the carbon dioxide gas stays in the water longer. Since the carbon dioxide gas does not hit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vertically, the carbon dioxide airflow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ath when it contacts the kettle lining wall, but rather refracts, so that the subsequent carbon dioxide does not create counter pressure against entering the water, so more carbon dioxide to dissolve in water. Compared to the prior art,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the solubility is higher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ated water produced is higher, and the installation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pressure cup only needs to be placed directly in the seating position.

아래에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탄산수 머신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방향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4의 C 부분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가스통 연결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D-D 방향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E 부분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와셔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F-F 방향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제1 구동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제2 구동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보호 로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압력 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G-G 방향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H 부분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I-I 방향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압력 컵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specific embodiments.
1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AA direction of FIG. 1;
3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carbonated water machin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BB direction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larged structure of part C of FIG. 4;
6 is a structural schematic view of a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DD direction of FIG. 6;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larged structure of part E of FIG. 7 .
9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washer assembly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FF direction of FIG. 9 .
1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first driving devic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driving devic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protective ro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pressure cup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GG direction of FIG. 14;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panded structure of part H of FIG. 15 .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II direction of FIG. 14 .
1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ploded structure of a pressure cup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부분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도면은 도형으로 명세서의 텍스트 부분의 설명을 보완하여 사람들이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본 고안의 각각의 기술적 특징 및 전반적인 과제 해결 수단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In this part,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rawings complement the description of the text part of the specification with figures so that people can intuitively and visually view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help understand each technical feature and overall problem solving means of, bu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앞, 뒤, 좌, 우 등의 방향 설명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으며,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ions or positional relationships such as up, down, front, back, left, right, etc. are based on the directions or position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drawings, only to facilitate the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simplify the explan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for simplification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nor to indicate or imply that a referenced device or element must necessarily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be constructed and operated in a particular orientation.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복수개를 의미하고, 복수개는 2개 이상을 의미하며, 초과, 미만 등은 자기 자신의 수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며, 이상, 이하, 이내 등은 자기 자신의 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제2로 설명된 경우 기술적 특징을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설명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나타내거나 설명된 기술적 특징의 순서 관계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means one or a plurality, a plurality means two or more, and more than, less than, etc. are understood as not including their own number, and more than, less than, less than, etc. It is understood to include its own number.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descriptions, it is only for distinguishing technical features, indicating or implying relative importance, implicitly indicating the quantity of the described technical features, or implicitly indicating the order relationship of the described technical features. should not understand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설치, 장착, 연결 등의 용어는 달리 명확히 정의하지 않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당업자는 과제 해결 수단의 구체적인 내용을 합리하게 결합하여 본 고안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stallation, mounting, connection, etc. should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unless clearly defined otherwis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sonably combin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to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determine

본 과제 해결 수단에서, 홀 또는 홈의 방향은 개구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의 저부 또는 하부이다. In the present solution, the direction of the hole or groove is the bottom or bottom of one end away from the opening.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탄산수 제조기는 탄산수 머신(10) 및 압력 케틀(20)을 포함하고, 1 to 18, the carbonated water maker includes a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pressure kettle 20,

상기 탄산수 머신(10)의 일측에는 베이스(1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1) 상면에는 안착 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탄산수 머신(10)에는 가스통을 연결하기 위한 가스통 연결부(50)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 위치의 표면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 저부에는 가스통 연결부(50)와 연통되는 가스 튜브(35)가 설치되고; A base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 and a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for connecting a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 an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nd a gas tube 35 communicating with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air supply nozzle 34;

상기 압력 케틀(20)은 안착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력 케틀(20)은 케틀 본체(21) 및 케틀 본체(21)에 커버 결합되는 케틀 리드(22)를 포함하며, 상기 케틀 본체(21) 내에는 케틀 라이닝(211)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본체(21) 저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내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에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케틀 라이닝(211)의 내벽에는 케틀 라이닝(211) 저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안내 튜브(61)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 내에는 단방향 밸브(64)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 끝단에는 분사 노즐(63)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와 노즐 연결부재(60) 사이는 공기 유입관(62)을 통해 연통된다. The pressure kettle 20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seated position, the pressure kettle 20 includes a kettle body 21 and a kettle lid 22 cover-coupled to the kettle body 21, the kettle body A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in the 21, an air inl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21, and a nozzle connecting member 6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an air guide tube 61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kettle lining 211, and a one-way valve 64 is installed in the air guide tube 61, An injection nozzle 6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nozzle connection member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air inlet pipe 62.

탄산수 머신(10)의 일측에는 베이스(11)가 설치되고, 베이스(11)에는 안착 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안착 위치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이 설치되며, 안착 위치에는 압력 케틀(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압력 케틀(20)은 케틀 리드(22) 및 케틀 본체(21)를 포함하며, 케틀 본체(21) 내에는 케틀 라이닝(211)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본체(21) 저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내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에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재(60)가 설치되고, 케틀 라이닝(211)의 측벽에는 케틀 라이닝(211) 저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안내 튜브(61)가 설치되며, 공기 안내 튜브(61) 내에는 단방향 밸브(64)가 설치되고, 단방향 밸브(64)를 통해 가스 또는 액체가 공기 안내 튜브(61)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안내 튜브(61) 끝단에는 분사 노즐(63)이 설치되며, 공기 안내 튜브(61)와 노즐 연결부재(60) 사이는 공기 유입관(62)을 통해 연통되는 것을 통해, 사용 시 먼저 물을 압력 케틀(20)에 넣은 후 압력 케틀(20)을 안착 위치에 놓고 공기 공급 노즐(34)을 노즐 연결부재(60)에 삽입하면,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기 안내 튜브(61)로 흘러 케틀 라이닝(211)에 분사되는데, 공기 안내 튜브(61)가 케틀 라이닝(211)의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기에 케틀 라이닝(211) 내에 물을 담을 경우 물에 직접 공기 안내 튜브(61)가 잠길 수 있어 이산화탄소가 공기 안내 튜브(61)를 따라 분사될 경우 바로 물과 접촉하게 되며, 또한 경사진 경로로 유입되기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에서의 운동 거리가 더 길고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에서의 체류 시간이 더 길며, 이산화탄소 가스가 케틀 라이닝(211) 저부에 수직되게 부딪히지 않기에 이산화탄소 기류가 케틀 라이닝(211) 벽에 접촉 시 원래 길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굴절이 발생하므로 후속적인 이산화탄소가 물에 들어가는 것에 대하여 역압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되도록 한다. 선행기술에 비해, 같은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량의 조건에서, 용해도가 더 높고 생성되는 탄산수의 농도가 더 높으며 압력 컵을 직접 안착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되기에 장착이 매우 편리하다.A base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on the base 11, an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at the seating position, and a pressure kettle 20 is installed at the seating position. Detachably installed, the pressure kettle 20 includes a kettle lid 22 and a kettle body 21, a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in the kettle body 21, and the kettle body 21 bottom An air inlet is installed, and a nozzle connecting member 6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the air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kettle lining 211. A guide tube 61 is installed, and a one-way valve 64 is installed in the air guide tube 61 to prevent gas or liquid from flowing backward along the air guide tube 61 through the one-way valve 64. The spray nozzle 6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60 are communicat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62, so when in use First, after putting water into the pressure kettle 20, placing the pressure kettle 20 in a seated position and inserting the air supply nozzle 34 into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60, high-pressure carbon dioxide gas flows through the air guide tube 61. It flows and is sprayed to the kettle lining 211. Since the air guide tube 61 is installed obliquely on the sidewall of the kettle lining 211,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kettle lining 211, the air guide tube 61 is directly submerged in the water. Therefore, when carbon dioxide is injected along the air guide tube 61, it directly contacts water, and since it is introduced through an inclined path,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bon dioxide gas in the water is longer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carbon dioxide gas in the water is shortened. It is longer, and since the carbon dioxide gas does not hit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vertically, the carbon dioxide airflow does not return to the original path when it contacts the wall of the kettle lining 211, but refraction occurs, so counterpressure against subsequent carbon dioxide entering the water causes so that more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the water. Compared to the prior art,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the solubility is higher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ated water produced is higher, and the installation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pressure cup only needs to be placed directly in the seating position.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물에서 이산화탄소의 이동 거리를 증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 내에는 단방향 밸브(64)와 분사 노즐(63) 사이에 위치한 와류 가이드(65)가 설치되고, 와류 가이드(65)를 통해 분사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와류 상태가 되며, 가스가 물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수면 위 공간으로 즉시 넘치지 않고 물에 더 오랜 시간 동안 머물 수 있으므로 생성되는 탄산수의 농도가 증가된다. For further optimization, a vortex guide 65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air guide tube 61 between the one-way valve 64 and the injection nozzle 63 to increase the travel distance of carbon dioxide in the water, The carbon dioxide gas injected through the vortex guide 65 becomes a vortex, and since the gas forms a turbulent flow in the water and can stay in the water for a longer time without immediately overflowing into the space above the water surface,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ated water is increased.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입관(62)은 나일론 튜브이다. For further optimization, preferably the air inlet tube 62 is a nylon tube.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 연결부재(60) 저부에는 공기 공급 노즐(34)과 연결되는 제1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홈의 단부는 나팔 형상이며, 상기 노즐 연결부재(60) 상측에는 공기 유입관(62)과 연결되는 제2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홈의 포트에는 공기 유입관(62)을 고정하기 위한 공기 유입관(62) 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홈과 제1 홈 저부는 연통된다. 나팔 형상의 제1 홈을 통해 공기 공급 노즐(34)을 더욱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For further optimization, preferably, a first groov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end of the first groove has a trumpet shape, and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60 A second groove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6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 nut of the air inlet pipe 62 for fixing the air inlet pipe 62 is installed in the port of the second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nd the first groove bottom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ir supply nozzle 34 can be more conveniently installed through the first trumpet-shaped groove.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공기 공급 노즐(34)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 충돌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 위치에는 제1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은 제1 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1) 저부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을 승강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장치가 설치된다. 이로써 압력 케틀(20)이 안착 위치에 안착된 경우에만, 공기 공급 노즐(34)이 상승하여 공기 공급 노즐(34)을 보호한다.For further optimiz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air supply nozzle 34 from being damaged by collision when not in use, a first through hole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seating position, and the air supply nozzle 34 has a first through hole. , and a firs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air supply nozzle 34 to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11. As a result, only when the pressure kettle 20 is seated in the seating position, the air supply nozzle 34 rises to protect the air supply nozzle 34 .

제1 구동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모터(30), 노즐 베이스 회전부(31),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를 포함하고, For further optimiza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the first driving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30, a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and a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상기 제1 구동 모터(30)는 탄산수 머신(10) 또는 베이스(1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모터(30)의 출력단에는 제1 구동 기어(301)가 장착되며; The first drive motor 30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or the base 11, and the output end of the first drive motor 30 is equipped with a first drive gear 301;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 외주에는 제1 구동 기어(301)와 치합되는 제1 종동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는 베이스(11) 내에 장착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 중앙부에는 제1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홀의 측벽에는 제1 구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A first driven gear engaged with a first drive gear 301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is mounted in the base 11, and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A first mount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first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mounting hole;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는 상기 제1 장착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 외주에는 제1 구동 스레드와 결합되는 제1 종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에는 제1 수직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 내에는 노즐 슬리브(33)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은 노즐 슬리브(33)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 상측에는 노즐 슬리브(33) 단부에 당접되는 공기 유입 통로 밀봉링이 설치된다. 사용 시 제1 구동 모터(30)를 통해 제1 구동 기어(301)를 회전시키고, 공기통로 베이스 회전부재는 제1 종동 기어와 제1 구동 기어(301)의 결합 하에 회전하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는 제1 수직 제한부에 의해 제한되어 공기통로 베이스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할 수 없으므로, 공기통로 베이스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을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의 승강 작용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제1 구동 모터(30)의 회전 운동의 속도를 감소하여, 공기 공급 노즐(34)의 승강 속도가 더욱 안정적이도록 한다.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is install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a first driven thread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and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 a first vertical restriction is installed, an accommodating groov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a nozzle sleeve 33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air supply nozzle 34 is a nozzle It is inserted into the sleeve 33, and an air inlet passage sealing ring abutting the end of the nozzle sleeve 3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supply nozzle 34. In use, the first drive gear 301 is rotated through the first drive motor 30, the air passage base rotation member rotates under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riven gear and the first drive gear 301, and the nozzle base rotation unit ( 31) is limited by the first vertical limiter and cannot rotate together with the air passage base rotating member, s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air passage base rotating member can be transformed into a lifting action of the nozzle base lifting member 32. In this way, the speed of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30 is reduced, so that the lifting speed of the air supply nozzle 34 is more stable.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위생 성능을 고려하여, 압력 케틀(20)이 안착 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 제1 통공은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닫힌 상태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 위치의 상면에는 베이스(11) 내로 연장되는 가압 기둥(113)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1) 내에는 보호 로드(114)가 설치되며, 보호 로드(114)의 일단은 베이스(11) 내에 피봇 연결되어 수평으로 스윙할 수 있고, 상기 보호 로드(114)의 타단에는 제2 통공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폐쇄하기 위한 보호 도어(115)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 로드(114) 일측에는 가압 기둥(113) 하방에 위치하는 저항 경사면(116)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 로드(114) 타측에는 리턴 스프링(117)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1) 내에는 보호 로드(114)와 결합하는 보호 스위치가 설치된다. 압력 케틀(20)을 안착 위치에 안착시킬 경우, 압력 케틀(20)이 가압 기둥(113)을 누르게 되고, 가압 기둥(113)의 저부가 보호 로드(114) 상의 저항 경사면(116)을 밀어, 보호 로드(114)를 수평으로 스윙시키고, 제2 통공을 개방하여 보호 스위치를 트리거하면, 이때 공기 공급 노즐(34)이 안착 위치의 표면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압력 케틀(20)이 제거되면, 공기 공급 노즐(34)은 베이스(11) 내에서 상승할 수 없다. For further optimization, in consideration of hygienic performance, when the pressure kettle 20 is not seated in the seating position, the first through-hole is closed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and the base 11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 pressure column 113 extending into the inside is installed, a protection rod 114 is installed in the base 11, and one end of the protection rod 114 is pivotally connected in the base 11 so that it can swing horizontally, , A protective door 115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rod 114 to clos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located below the pressure column 113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rod 114. A resistance slope 116 is installed, a return spring 117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on rod 114, and a protection switch coupled to the protection rod 114 is installed in the base 11. When the pressure kettle 20 is seated in the seating position, the pressure kettle 20 presses the pressure column 113, and the bottom of the pressure column 113 pushes the resistance slope 116 on the protection rod 114 to protect it. Swing the rod 114 horizontally, open the second through-hole to trigger the protection switch, at which time the air supply nozzle 34 can rise to the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nd when the pressure kettle 20 is removed, the air The supply nozzle 34 cannot rise within the base 11 .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압력 케틀(20) 내의 기압 측정이 편리하도록, 바람직하게 상기 탄산수 머신(10)에는 베이스(11) 상방에 위치하는 검출 플랫폼(12)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플랫폼(12) 바닥면에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플랫폼(12) 내에는 제2 통공을 따라 승강이 가능한 검출 노즐(39)이 설치되며, 상기 검출 플랫폼(12) 내에는 검출 노즐(39)을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노즐(39) 상측에는 기압 센서(391)가 설치되며; For further optimization, the detection platform 12 located above the base 11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the detection platform 12 is located at the bottom so that it is convenient to measure the air pressure in the pressure kettle 20. A second through hol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a detection nozzle 39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through hole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and the detection nozzle 39 is driven to move up and down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A second driving device is installed, and an air pressure sensor 391 is installed above the detection nozzle 39;

상기 케틀 리드(22) 저부에는 케틀 본체(21) 상측까지 관통하여 검출 노즐(39)과 연통되는 공기통로 안내홀(7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통로 안내홀(70)의 내벽에는 링 플랫폼(71)이 설치되며, 상기 링 플랫폼(71) 중앙부는 크기가 공기통로 안내홀(70)보다 작은 공기 안내홀이고, 상기 링 플랫폼(71) 저부에는 공기 안내홀을 폐쇄하고 검출 노즐(39) 저부에 당접되는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 저부에는 제1 리셋 장치(73)가 설치된다. 압력 케틀(20)이 안착 위치에 장착된 후, 제2 구동 장치가 검출 노즐(39)을 하향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공기통로 안내홀(70) 내에 삽입되고, 배기홀 밸브 플러그를 밀어 하향 이동시켜, 공기 안내홀을 개방하고, 케틀 본체(21) 내의 고압 가스가 공기 안내홀 및 공기통로 안내홀(70)을 통해 기압 센서(391)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케틀 본체(21) 내의 기압 세기를 적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보조적인 제어 역할을 하여 제조되는 탄산수 품질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an air passage guide hole 70 penetra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kettle body 21 and communicating with the detection nozzle 39 is installed, and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is provided with a ring platform ( 71) is installed, the central portion of the ring platform 71 is an air guide hole smaller in size than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and the air guide hole is closed at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71 and the bottom of the detection nozzle 39 An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in contact with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is installed, and a first reset device 73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After the pressure kettle 20 is mounted in the seated position, the second driving device drives the detection nozzle 39 to move downward,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and pushes the exhaust hole valve plug to move it downward. , By opening the air guide hole and allowing the high-pressure gas in the kettle body 21 to be transmitted to the air pressure sensor 391 through the air guide hole and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the strength of the air pressure in the kettle body 21 is timely measured. can be accurately measured, so it can play an auxiliary control role and stably guarantee the quality of carbonated water produced.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의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는 공기 안내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삽입 플랫폼 및 삽입 플랫폼 저부에 위치한 제한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플랫폼의 크기는 공기 안내홀보다 작기에 공기 안내홀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 플랫폼은 링 플랫폼(71)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한 플랫폼의 최소 크기는 공기 안내홀보다 크며, 상기 제한 플랫폼 상단에는 링 플랫폼(71) 저부와 당접되는 고무 가스켓이 설치되어, 제한 플랫폼이 링 플랫폼(71) 저부에 당접되어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For further optimization, for further optimiz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preferably,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is located on the insertion platform movably inserted into the air guide hole an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latform. It includes a limiting platform, the size of the insertion platform is smaller than the air guiding hole, so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ir guiding hole, the limiting platform is located below the ring platform 71, and the minimum size of the limiting platform is the air guiding hole. and a rubber gasket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limiting platform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71, so that the limiting platform can be seal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71.

추가적인 개선으로서,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와 링 플랫폼(71)의 결합이 더욱 긴밀하도록 하여 가스켓이 링 플랫폼(71) 저부에 더 잘 밀봉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링 플랫폼(71) 저부는 링 플랫폼(71) 중심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다. As a further improvement, in order to make the coupling between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and the ring platform 71 more tight, so that the gasket is better sealed to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71,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71 is preferably It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 platform 71.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모터(36),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를 포함하고, For further optimization, preferably, the second driving device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36, an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and an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상기 제2 구동 모터(36)는 검출 플랫폼(12) 내 또는 탄산수 머신(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 모터(36)의 출력단에는 제2 구동 기어가 설치되며; the second driving motor 36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or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second driving gear is installed at the output end of the second driving motor 36;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는 검출 플랫폼(12)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 중앙부에는 제2 장착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장착홀 측벽에는 제2 구동 스레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 둘레에는 제2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371)가 설치되며;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a second mount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and a second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mounting hole. , A second driven gear 371 engaged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는 제2 장착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둘레에는 제2 구동 스레드와 결합하는 제2 종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검출 노즐(39)은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상측에는 제1 장착홈이 설치되며, 상기 기압 센서(391)는 상기 장착홈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 노즐(39)은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저부에 설치되어 장착홈 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에는 제2 수직 제한부가 설치된다.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is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a second driven thread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thread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the detection nozzle 39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 first mount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the air pressure sensor 391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detection nozzle 39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vertical restric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서, 제1 구동 장치 및 제2 구동 장치의 실시형태는 다양하며, 예를 들어 검출 노즐(39) 및 공기 공급 노즐(34) 단부에 직접 설치되는 승강 모터 등 방식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In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embodiments of the first driving device and the second driving device are various, and for example, the detection nozzle 39 and the air supply nozzle 34 may be direct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ift motor or the like. It is not repeated here.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서, 상기 제2 수직 제한부는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표면에 설치된 수직 안내홈 및 검출 플랫폼(12)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안내홈 내에 삽입 설치된 제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 제한부는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 상부 둘레에 설치된 제2 제한 홈 및 베이스(11) 내부에 설치되고 제2 제한 홈 내에 삽입 설치된 제한 리브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직 제한부 및 제1 수직 제한부는 다른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또는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 내에 수직홀이 설치되고, 검출 플랫폼(12) 또는 베이스(11)에 수직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핀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방식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For further optimization, in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second vertical limite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groov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the detection platform 12, and the limit plate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first vertical limiting part includes a second limiting groove installed o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and a limiting rib plate installed inside the base 11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limiting groove. The second vertical limiting unit and the first vertical limiting unit may have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a vertical hole is installed in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or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and the detection platform 12 ) or an insertion pin inserted into a vertical hole in the base 11 may be installed. A specific method is not repeatedly described here.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회전 속도를 더 잘 조절하고 제1 구동 기어(301), 제2 구동 기어,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371)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구동 기어(301)와 제1 종동 기어 사이 및 제2 구동 기어와 제2 종동 기어(371) 사이에 차동 기어 세트가 설치된다. For further optimization, preferably said first drive gear 301, second drive gear, first driven gear and second driven gear 371 are sized in order to better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Differential gear sets are installed between the gear 301 and the first driven gear and between the second drive gear and the second driven gear 371 .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서,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및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의 승강 폭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및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의 상방 및 하방에는 각각 스트로크 리셋 스위치 및 스트로크 스톱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및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가 스트로크 리셋 스위치 또는 스트로크 스톱 스위치에 닿을 경우 즉시 운행을 중지하고 다음 운동은 반대 방향으로 수행한다. In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in order to prevent the lifting width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from becoming too large, preferably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 A stroke reset switch and a stroke stop switch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32), respectively, and when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touch the stroke reset switch or the stroke stop switch, operation is immediately stopped. Stop and perform the next exercise in the opposite direction.

압력 케틀(20)은 탄산수의 제조가 완료된 후 압력 방출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의 압력 방출 방법은 천천히 압력을 방출하여 탄산수의 제조 과정에서 생성된 거품이 배기와 함께 외부로 대량으로 뿜어져 나오지는 않지만 압력 방출에 긴 시간이 필요하고, 시럽이나 과즙이 함유된 탄산수 음료를 제조할 경우 느린 배기로 인해 일부 시럽 및 과즙이 케틀 리드(22) 내에 남아 있어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 시 매우 비위생적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11)를 향한 상기 탄산수 머신(10)의 일측 표면에는 측면으로 개구된 제1 수용 캐비티(13), 및 제1 수용 캐비티(13) 상방에 위치하고 제1 수용 캐비티(13) 상측과 연통되는 제2 수용 캐비티(1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 캐비티(13) 내에는 배기 박스(4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 박스(40)의 상측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케틀 리드(22) 둘레에는 제2 수용 캐비티(14) 내에 삽입 설치 가능한 돌출부(221)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221) 하단면에는 케틀 리드(22) 저부까지 연장되는 배기 튜브(80)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튜브(80) 내에는 배기 튜브(80)의 개폐를 위한 밀봉 밸브 플러그(83)가 설치되며, 상기 케틀 리드(22) 표면에는 밀봉 밸브 플러그(83)의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배기 버튼(84)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배기 및 감압 시 압력 케틀(20) 내의 가스 및 가스와 함께 딸려 나오는 일부 액체는 배기 튜브(80)를 통해 빠르게 배기 박스(40) 내에 분사되어 깨끗하고 깔끔한 환경을 보장하고 압력 방출에 필요한 시간이 더 짧으며, 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과즙 또는 설탕이 케틀 리드(22) 내에 쉽게 쌓이지 않아 압력 케틀(20)의 청결을 보장하고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기초상에서 최적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 튜브(80)는 제1 채널(82) 및 제2 채널(8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82)은 케틀 리드(22)를 관통하여 케틀 리드(22) 상측까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채널(81)은 제1 채널(82) 측벽에 연결되어 돌출부(221) 하단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채널(82) 둘레에는 제2 채널(81) 하방에 위치하는 환형 플랫폼(85)이 설치되며, 상기 밀봉 밸브 플러그(83)는 환형 플랫폼(85) 하방에 설치되어 환형 플랫폼(85) 중앙부의 채널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밀봉 밸브 플러그(83) 저부에는 제2 리셋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 버튼(84)은 제1 채널(82) 상측에 설치되어 밀봉 밸브 플러그(83) 상측에 당접될 수 있고, 상기 배기 버튼(84)은 제1 채널(8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버튼(84) 둘레에는 제2 채널(81) 상방에 위치하여 제1 채널(82) 측벽을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링이 설치된다. 자동으로 압력을 방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탄산수 머신(10) 내에는 배기 연결 로드(42)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 로드(42) 중앙부는 탄산수 머신(10) 내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배기 연결 로드(42) 전측단에는 제2 통공 내에 위치하여 제2 통공에서 승강이 가능한 가압 로드(41)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 로드(42)의 끝단에는 배기 연결 로드(42)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43)가 설치된다. 사용 시 구동기(43)가 배기 연결 로드(42)를 스윙하도록 구동하여 배기 연결 로드(42) 단부의 가압 로드(41)가 배기 버튼(84) 표면까지 눌려져 배기 버튼(84)이 내리 눌려 배기 튜브(80)를 개방한다.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가압 로드(41)와 배기 버튼(84) 사이의 접촉에 대해 소정의 완충 작용을 하여 직접적인 강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 로드(41)의 하단면에는 충격감소패드가 설치되고,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서, 구동기(43)의 구조는 다양하며 실제 생성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기 밸브, 승강 실린더 등이다. The pressure kettle 20 needs to release the pressure after the produ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is completed. In the conventional pressure release method, the pressure is released slowly so that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arbonated water are not ejected in large quantities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exhaust, but the pressure is released It requires a long time, and when producing a carbonated beverage containing syrup or fruit juice, some syrup and fruit juice remain in the kettle lid 22 due to slow exhaust, which causes mold to propagate, which is very unsanitary during long-term use. Preferably, on one surfac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facing the base 11, a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opened to the side, and located above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A communicating second accommodating cavity 14 is installed, an exhaust box 4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and an open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box 40, A protrusion 22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cavity 14 is installed around the kettle lid 22, and an exhaust tube 80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21. In the exhaust tube 80, a sealing valve plug 8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tube 80 is installed, and an exhaust for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ling valve plug 83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kettle lid 22. A button 84 is installed. In this way, when exhausting and decompressing, the gas in the pressure kettle 20 and some of the liquid accompanying the gas are quickly sprayed into the exhaust box 40 through the exhaust tube 80 to ensure a clean and tidy environment and to release pressure. The required time is shorter, and fruit juice or sugar discharged with the gas does not easily accumulate in the kettle lid 22, ensuring cleanliness of the pressure kettle 20 and preventing mold growth. For optimization on this basis, preferably, the exhaust tube 80 includes a first channel 82 and a second channel 81, and the first channel 82 passes through the kettle lid 22 to form a kettle. It extends up and down to the upper side of the lead 22, and the second channel 81 is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first channel 82 and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221, and the second channel 81 surrounds the first channel 82. An annular platform 85 is installed below the channel 81, and the sealing valve plug 83 is installed below the annular platform 85 to close the central channel of the annular platform 85. A second reset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lug 83, and the exhaust button 8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hannel 82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valve plug 83, and the exhaust button 84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channel 82, and around the exhaust button 84, a first sealing ring is installed above the second channel 81 to seal the sidewall of the first channel 82. do. In order to release the pressure automatically, preferably, an exhaust connecting rod 42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central part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is pivotally connect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the exhaust conn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rod 42, a pressure rod 41 is install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second through hole. A driver 43 is installed. When in use, the driver 43 drives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to swing, so that the pressurizing rod 41 at the end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is pressed to the surface of the exhaust button 84, and the exhaust button 84 is pushed down to release the exhaust tube. (80) open. For further optimization, in order to prevent direct strong contact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buffering effect on the contact between the pressure rod 41 and the exhaust button 84,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rod 41 is preferably a shock reducing pad is installed, and in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structure of the actuator 43 is various an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need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valve, an elevating cylinder, and the like.

추가적인 개선으로서, 실제 생성 과정에서 물은 일반적으로 압력 케틀(20)의 절반 용량만큼 채워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에서 케틀 라이닝(211) 저부까지의 높이는 케틀 라이닝(211) 높이의 2분의 1보다 작고,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와 케틀 라이닝(211) 내면 사이의 끼인각은 30-60도이다.As a further improvement, considering that water is generally filled by half the capacity of the pressure kettle 20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the height from the air guide tube 61 to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is preferably the kettle lining ( 211) It is less than one-half of the height,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kettle lining 211 is 30-60 degrees.

추가적인 개선으로서, 압력 케틀(20) 내의 기압이 너무 커 케틀이 폭발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틀 리드(22) 저부에는 적어도 2그룹의 압력 안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안정부는 케틀 리드(22) 내에 설치된 압력방출홈(91) 및 케틀 리드(22) 저부에 설치되어 압력방출홈(91)과 연통되는 안내공(90)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방출홈(91) 내에는 상기 안내공(90)을 막기 위한 배기 로드(92)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방출홈(91) 내에는 배기 로드(92)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3 리셋 장치(93)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방출홈(91) 내에는 공기 방출 홀(94)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리드(22) 외측에는 공기 방출 홀(94)과 연통되는 에어 벤트(95)가 설치된다. 케틀 내의 압력이 너무 클 경우, 고압의 가스는 안내공(90)을 통해 배기 로드(92)를 밀어 제3 리셋 장치(93)의 힘을 이겨내어 압력방출홈(91)과 안내공(90)을 연결시켜, 고압의 가스가 압력방출홈(91) 상의 공기 방출 홀(94) 및 케틀 리드(22) 상의 에어 벤트(95)를 통해 배출되어 압력이 방출된다. 케틀 라이닝(211) 내의 압력이 기설정 값에 도달할 경우, 고아브이 가스는 더이상 배기 로드(92)를 밀지 않고, 배기 로드(92)가 안내공(90)을 폐쇄하여 압력을 유지하며, 적어도 2그룹의 압력 안정부는 그중 하나의 그룹의 압력 안정부가 고장난 경우 압력 케틀(20)이 여전히 사용이 가능하도록 보장함으로써 내결함성(Fault tolerance rate)을 증가시킨다. As a further improvement, in order to prevent the kettle from exploding when the air pressure in the pressure kettle 20 is too large, at least two groups of pressure stabilizer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and the pressure stabilizers are installed on the kettle lid 22. ) and a guide hole 9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and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90) is installed, and a third reset device 93 for driving the exhaust rod 92 to move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and the pressure release groove ( 91), an air discharge hole 94 is installed, and an air vent 95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hole 94 is installed outside the kettle lid 22. When the pressure in the kettle is too high, the high-pressure gas pushes the exhaust rod 92 through the guide hole 90 to overcome the force of the third reset device 93 and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and the guide hole 90 is connected, the high-pressur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release hole 94 o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and the air vent 95 on the kettle lid 22, and the pressure is released. When the pressure in the kettle lining 211 reaches a preset value, the high AV gas no longer pushes the exhaust rod 92, and the exhaust rod 92 closes the guide hole 90 to maintain the pressure, at least The two groups of pressure stabilizers increase the fault tolerance rate by ensuring that the pressure kettle 20 is still usable if one of the pressure stabilizers fails.

바람직하게 압력 안정부는 두 그룹이고, 두 그룹의 압력 안정부는 공기통로 안내홀(7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공기통로 안내홀(70)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서, 구조적 최적화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통로 안내홀(70)은 에어 벤트(95) 중앙부에 위치한다.Preferably, there are two groups of pressure stabilizers, and the pressure stabilizers of the two groups are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with the axis of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as the center. In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considering structural optimization,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ir vent 95.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종래의 이산화탄소 가스통이 탄산수 머신(10)에 장착될 경우 가스통이 쉽게 이탈되고 밀봉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가스통 연결부(50) 상의 연결구(511) 내에 하나의 밀봉 와셔만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가스통을 밀봉하여 가스통을 가스통 연결부(50)에 나사산 연결할 경우 가스통 입구 및 연결구(511) 내면이 모두 밀봉 가스켓과 마찰하게 되고, 하나의 와셔의 양측이 반대되는 힘을 받아 밀봉 와셔에 주름지기 쉬워 밀봉 효과가 약해지고, 또한 밀봉 와셔는 자체 탄성의 작용으로 가스통 입구를 반대 방향으로 밀어 역회전시키는 반발력을 축적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스통 연결부(50)를 최적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통 연결부(50)는 장착시트(51), 와셔 어셈블리(52)를 포함하고, For further optimization, when the conventional carbon dioxide gas cylinder is mounted o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the reason why the gas cylinder is easily removed and the sealing performance is poor is that only one sealing washer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 511 on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so that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When the gas cylinder is threadedly connected to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both the gas cylinder inl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511 rub against the sealing gasket, and both sides of one washer receive opposing forces, making the sealing washer easy to wrinkle, resulting in a sealing effect is weakened, and the sealing washer accumulates a repulsive force that pushes the gas cylinder inlet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action of its own elasticity and causes reverse rotation. Considering this point, if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is optimized, It includes a mounting seat 51 and a washer assembly 52,

상기 장착시트(51) 내에는 연결구(511)가 설치되고, 연결구(511) 측벽에는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511)는 연결부 하방의 측벽에 위치하고 지지 링 플랫폼(71)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511) 내에는 지지 링 플랫폼(71)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튜브(35)와 연통되는 흐름 안내 연결구(512)가 설치되고; A connector 511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eat 51, a connector is installed on a sidewall of the connector 511, the connector 511 is located on a sidewall below the connector, and a support ring platform 71 is installed. In the connector 511, a flow guide connector 512 is installed below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and communicates with the gas tube 35;

상기 와셔 어셈블리(52)는 상기 연결구(511) 내에 위치하고 연결구(511)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셔 어셈블리(52)는 고정시트(521), 제2 밀봉링(523) 및 잠금 와셔(52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시트(521) 중앙부에는 천공(52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시트(521) 저부에는 제1 보스(521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스(5212) 둘레에는 제1 링 홈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와셔(522) 중앙부에는 제1 링 홈에 씌움 설치되는 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시트(521) 상측에는 제2 보스(52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스(5211) 둘레에는 제2 링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밀봉링(523)은 상기 제2 링 홈 내에 씌움 설치되고, 상기 고정시트(521)의 상단면은 지지 링 플랫폼(71) 단면에 당접되며, 상기 제2 밀봉링(523)은 상기 지지 링 플랫폼(71)의 측면에 당접된다.The washer assembly 52 is located within the connector 511 and is rotatable within the connector 511, and the washer assembly 52 includes a fixing seat 521, a second sealing ring 523 and a lock washer 522 ), wherein a perforation 5213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sheet 521, a first boss 5212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sheet 521, and a first boss 5212 is installed around the first boss 5212. A ring groove is installed, a through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ck washer 522 to cover the first ring groove, and a second boss 52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seat 521, and the second boss ( 5211), a second ring groove is installed around the circumference, the second sealing ring 523 is cover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ring gro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seat 521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The second sealing ring 523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이러한 방식으로, 가스통이 연결부를 통해 장착구 내에 설치할 경우, 가스통 입구와 잠금 와셔(522)가 당접되어 밀봉 작용을 일으키고 가스통이 회전하며, 고정시트(521)와 지지 링 플랫폼(71) 단면은 매끄럽게 접촉하기에 회전이 편리하고, 가스통이 회전하는 동시에 잠금 와셔(522)가 동기화 회전하며, 잠금 와셔(522)의 회전 시 축적된 반발력은 고정시트(521)를 통해 지지 링 플랫폼(71)에 대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쇄되기에, 잠금 와셔(522) 표면에 주름이 쉽게 생기지 않고 반발력의 축적이 감소된다. 제2 밀봉링(523)은 제1 보스(5212)와 지지 링 플랫폼(71) 측면 사이를 밀봉하는 효과가 있기에 밀봉 성능을 더욱 보장한다. 가스통이 개방될 경우, 고압의 가스가 천공(5213) 및 흐름 안내 연결구(512)를 통해 흘러 나오는데, 이때 고압의 가스에 의해 생성된 역압은 와셔 어셈블리(52)를 가스통 입구로 눌러 가스통 입구이 밀봉 성능이 더욱 좋고 역회전이 더욱 어려워 진다. In this way, when the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the gas cylinder inlet and the lock washer 522 come into contact to cause a sealing action, the gas cylinder rotates,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fixed seat 521 and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is smooth. The rotation is convenient for contact, the gas cylinder rotates and the lock washer 522 rotates synchronously, and the repulsive force accumulated when the lock washer 522 rotates against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through the fixed seat 521 Because they are offset in a rotational manner, the surface of the lock washer 522 is less prone to wrinkling and the accumulation of repelling force is reduced. The second sealing ring 523 has an effect of sealing between the first boss 5212 and the sid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further ensuring sealing performance. When the gas cylinder is opened, the high-pressure gas flows out through the perforations 5213 and the flow guide fitting 512, where the back pressure created by the high-pressure gas presses the washer assembly 52 into the cylinder inlet and seals the cylinder inlet. The better it is, the harder it is to reverse.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이산화탄소 가스통의 개폐가 편리하도록,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구(511) 바닥면에는 상측 핀홀(531)이 설치되고, 상기 상측 핀홀(531) 내에는 핀홀(53)이 설치되며, 상기 핀홀(53)과 상측 핀홀(531) 측벽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고, 상기 핀홀(53)은 상기 천공(5213)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천공(5213) 내측벽에는 제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핀홀(53) 둘레에는 제한 플레이트 표면에 당접되는 돌출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시트(51) 배면에는 드라이브 스윙 로드(54)가 피봇 연결되고, 상기 드라이브 스윙 로드(54)의 끝단은 핀홀(53)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드라이브 스윙 로드(54)의 타측 상단에는 드라이브 스윙 로드(54)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전자기 밸브(55)가 설치된다. 이산화탄소 가스통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 제1 전자기 밸브(55)에 의해 드라이브 스윙 로드(54)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고, 핀홀(53)을 이산화탄소 가스통 입구에 누르도록 하여 이산화탄소 가스통을 개방하며, 상기 돌출 플레이트 및 제한 플레이트는 핀홀(53)의 이동 폭을 제한한다. For further optimization, to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preferably, an upper pinhole 53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511, and a pinhole 53 is installed in the upper pinhole 531. A gasket is installed between the 53 and the sidewall of the upper pinhole 531, the pinhole 53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5213, a limi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ion 5213, and the pinhole ( 53) A protruding plat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miting plate is installed around the periphery, and a drive swing rod 54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seat 51, and the end of the drive swing rod 54 is at the upper side of the pin hole 53. , and a first electromagnetic valve 55 for driving the drive swing rod 54 to swing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wing rod 54. When trying to open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the drive swing rod 54 is driven to swing by the first electromagnetic valve 55, and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is opened by pressing the pinhole 53 to the inlet of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and the projecting plate and the limiting plate limits the movement width of the pinhole 53.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이산화탄소 가스통 내의 기압 크기를 측정하기 편리하고 이산화탄소 가스통을 교체하기 편리하도록,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시트(51)에는 수납 캐비티(56)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 캐비티(56) 저부는 연결부 하방에 위치한 연결홀을 통해 연결구(511)와 연통되며, 상기 수납 캐비티(56) 내에는 연결홀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용 상측 로드(57)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용 상측 로드(57) 둘레와 수납 캐비티(56) 측벽 사이에는 제3 밀봉링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캐비티(56) 내에는 밀봉용 상측 로드(57) 후측단에 위치하여 상측 로드를 연결홀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4 리셋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시트(51)에는 상측 로드 후측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58)가 설치된다. 이산화탄소 가스통을 개방할 경우, 기압은 연결홀을 통해 밀봉용 상측 로드(57)를 위로 밀어 밀봉용 상측 로드(57)를 마이크로스위치(58)에 당접시켜 마이크로스위치(58)를 온(on)시키고, 이때 즉 이산화탄소 가스통 내의 기압이 충분하며, 기압이 부족할 경우 밀봉용 상측 로드(57)를 더이상 구동할 수 없어 마이크로스위치(58)가 트리거되지 않기에 이산화탄소 가스통 내의 기압 크기를 적시게 정확하게 피드백할 수 있다. For further optimization, to make it convenient to measure the pressure level in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and to conveniently replace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a storage cavity 56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seat 51, and the bottom of the storage cavity 56 is a connecting portion. It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or 511 through a connection hole located below, and an upper rod 57 for sealing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avity 56 to close the connection hol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rod 57 for sealing A third sealing 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storage cavity 56, and a fourth seal ring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rod 57 for sealing in the storage cavity 56 and drives the upper rod to move toward the connecting hole. A reset device is installed, and a micro switch 58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rod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seat 51. When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is opened, atmospheric pressure pushes the upper rod 57 for sealing upwar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bringing the upper rod 57 for sealing into contact with the micro switch 58 to turn on the micro switch 58. At this time, that is, the air pressure in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is sufficient, and when the air pressure is insufficient, the sealing upper rod 57 cannot be driven any more and the microswitch 58 is not triggered, so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can be accurately fed back. there is.

추가적인 최적화를 위해, 이산화탄소 가스통에 가스가 가득 차 있을 경우 및 가스가 거의 없을 때 가스의 단위 출력량 차이가 크기에, 제조된 탄산수의 농도가 차이가 크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흐름 안내 연결구(512) 내에 미세다공성 감압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미세다공성 감압 밸브는 제1 밸브 스탠드 및 제1 밸브 스탠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밸브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밸브 스탠드 내에는 밸브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스탠드 둘레에는 밸브 홀과 연통되는 연통 밸브 채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 스탠드 둘레와 흐름 안내 연결구(512) 측벽 사이는 환형 가스 유입 홈을 형성하고, 환형 가스 유입 홈을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 중의 승화되지 않은 고정 드라이아이스 입자를 여과하여, 이를 가스로 승화시킨 후 통과시키며, 밸브 홀의 직경을 제한하여 밸브 홀을 통과하는 기류를 하나의 유속 범위 내로 안정시켜 압력 케틀 내에 충전되는 기압 및 유량이 보다 안정되도록 보장하고 제조된 탄산수의 농도가 보다 균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밸브 홀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0.0078~0.39mm2이다.For further optimization, when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is full of gas and when there is almost no gas, the difference in the unit output of gas is large, so the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produced carbonated water becomes large. Therefore, preferably, a microporous pressure reducing valve is installed in the flow guide connector 512, the microporous pressure reducing valve includes a first valve stand and a second valve stand located behind the first valve stand, wherein the second valve A valve hole is installed in the stand, a communication valve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valve hole is installed around the first valve stand, and an annular gas inlet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valve stand and the side wall of the flow guide connector 512. and filtering non-sublimated fixed dry ice particles in the carbon dioxide gas through the annular gas inlet groove, sublimating them into gas and passing them through, and limiting the diameter of the valve hole to stabilize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valve hole within a flow rate range. to ensure that the air pressure and flow rate charged in the pressure kettle are more stabl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roduced carbonated water is more balanced, and the diameter of the valve hole is preferably 0.0078 to 0.39 mm 2 .

추가적인 개선으로서, 압력 케틀(20)이 안착 위치에 안착되기만 하면 포지셔닝이 완료되고 장착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 위치는 포지셔닝 캐비티(111)이고, 상기 포지셔닝 캐비티(111) 둘레에는 포지셔닝 핀(112)이 설치되며, 케틀 본체(21) 저부에는 회전 포지셔닝 홈(212)이 설치된다. 케틀 본체(21) 저부가 포지셔닝 캐비티111에 안착되고 포지셔닝 핀(112)이 회전 포지셔닝 홈(212) 내에 스냅될 경우, 이때 압력 케틀(20)이 고정되며, 압력 케틀(20)이 탄산수 머신(10)에서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며 배기 박스(40) 및 가압 로드(41)의 위치와 대응된다. As a further improvement, the seating position is preferably a positioning cavity 111, and around the positioning cavity 111, so that the positioning is completed and the mounting stability can be ensured once the pressure kettle 20 is seated in the seating position. A pin 112 is installed, and a rotation positioning groove 2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21 . Whe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21 is seated in the positioning cavity 111 and the positioning pin 112 is snapped into the rotational positioning groove 212, the pressure kettle 20 is fixed at this time, and the pressure kettle 20 is plac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It is located at the exact position in and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exhaust box 40 and the pressure rod 41.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서, 제1 리셋 장치(73), 제2 리셋 장치, 제3 리셋 장치(93) 및 제4 리셋 장치는 모두 압력 스프링일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first reset device 73, the second reset device, the third reset device 93, and the fourth reset device may all be pressure springs.

상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특허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고안적 개념 하에서 본 고안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 내용이 이루어진 등가 구조 변환을 활용하고, 또는 직간접적으로 다른 관련 기술 분야에 적용하는 것은 본 고안의 특허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at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tilizes the equivalent structural transformation made by the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design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Direct or indirect application to other related technical fields is included in the patent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탄산수 제조기에 있어서,
탄산수 머신(10) 및 압력 케틀(20)을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 머신(10)의 일측에는 베이스(1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1) 상면에는 안착 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탄산수 머신(10)에는 가스통을 연결하기 위한 가스통 연결부(50)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 위치의 표면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 저부에는 가스통 연결부(50)와 연통되는 가스 튜브(35)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케틀(20)은 안착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력 케틀(20)은 케틀 본체(21) 및 케틀 본체(21)에 커버 결합되는 케틀 리드(22)를 포함하며, 상기 케틀 본체(21) 내에는 케틀 라이닝(211)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본체(21) 저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내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에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케틀 라이닝(211)의 내벽에는 케틀 라이닝(211) 저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안내 튜브(61)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 내에는 단방향 밸브(64)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 끝단에는 분사 노즐(63)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와 노즐 연결부재(60) 사이는 공기 유입관(62)을 통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In the carbonated water maker,
It includes a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pressure kettle 20,
A base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 seating posi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 and a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for connecting a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 an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nd a gas tube 35 communicating with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air supply nozzle 34;
The pressure kettle 20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seated position, the pressure kettle 20 includes a kettle body 21 and a kettle lid 22 cover-coupled to the kettle body 21, the kettle body A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in the 21, an air inl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21, and a nozzle connecting member 6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an air guide tube 61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kettle lining 211, and a one-way valve 64 is installed in the air guide tube 61,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ay nozzle 6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air guide tube 61 and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ir inlet pipe 6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위치에는 제1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은 제1 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1) 저부에는 공기 공급 노즐(34)을 승강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hrough hole is installed at the seating position, the air supply nozzle 34 is insta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air supply nozzle 34 to move up and dow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ase 11.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모터(30), 노즐 베이스 회전부(31),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모터(30)는 탄산수 머신(10) 또는 베이스(1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모터(30)의 출력단에는 제1 구동 기어(301)가 장착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 외주에는 제1 구동 기어(301)와 치합되는 제1 종동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는 베이스(11) 내에 장착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회전부(31) 중앙부에는 제1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홀의 측벽에는 제1 구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는 상기 제1 장착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 외주에는 제1 구동 스레드와 결합되는 제1 종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에는 제1 수직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베이스 승강부재(32)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 내에는 노즐 슬리브(33)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은 노즐 슬리브(33)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 노즐(34) 상측에는 노즐 슬리브(33) 단부에 당접되는 공기 유입 통로 밀봉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driving device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30, a nozzle base rotation unit 31, and a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The first drive motor 30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or the base 11, and the output end of the first drive motor 30 is equipped with a first drive gear 301;
A first driven gear engaged with a first drive gear 301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is mounted in the base 11, and the nozzle base rotating part 31 A first mount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first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mounting hole;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is install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a first driven thread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and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 a first vertical restriction is installed, an accommodating groov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base elevating member 32, a nozzle sleeve 33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air supply nozzle 34 is a nozzle The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sleeve (33), and an air inlet passage sealing r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supply nozzle (34) and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nozzle sleeve (3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위치의 상면에는 베이스(11) 내로 연장되는 가압 기둥(113)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1) 내에는 보호 로드(114)가 설치되며, 보호 로드(114)의 일단은 베이스(11) 내에 피봇 연결되어 수평으로 스윙할 수 있고, 상기 보호 로드(114)의 타단에는 제2 통공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폐쇄하기 위한 보호 도어(115)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 로드(114) 일측에는 가압 기둥(113) 하방에 위치하는 저항 경사면(116)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 로드(114) 타측에는 리턴 스프링(117)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1) 내에는 보호 로드(114)와 결합하는 보호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2,
A pressure column 113 extending into the base 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sition, and a protection rod 114 is installed in the base 11, and one end of the protection rod 114 extends into the base 11. It is pivotally connected inside and can swing horizontally, an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on rod 114, a protection door 115 is installed below the second through hole to clos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protection rod 114 On one side, a resistance inclined surface 116 located below the pressure column 113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on rod 114, a return spring 117 is installed, and in the base 11, a protection rod 114 and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ection switch is installed.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머신(10)에는 베이스(11) 상방에 위치하는 검출 플랫폼(12)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플랫폼(12) 바닥면에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플랫폼(12) 내에는 제2 통공을 따라 승강이 가능한 검출 노즐(39)이 설치되며, 상기 검출 플랫폼(12) 내에는 검출 노즐(39)을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노즐(39) 상측에는 기압 센서(391)가 설치되며;
상기 케틀 리드(22) 저부에는 케틀 본체(21) 상측까지 관통하여 검출 노즐(39)과 연통되는 공기통로 안내홀(7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통로 안내홀(70)의 내벽에는 링 플랫폼(71)이 설치되며, 상기 링 플랫폼(71) 중앙부는 크기가 공기통로 안내홀(70)보다 작은 공기 안내홀이고, 상기 링 플랫폼(71) 저부에는 공기 안내홀을 폐쇄하고 검출 노즐(39) 저부에 당접되는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통로 밸브 플러그(72) 저부에는 제1 리셋 장치(7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A detection platform 12 located above the base 11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 second through hol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ction platform 12,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A detection nozzle 39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through hole is installed, a second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etection nozzle 39 up and down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and an air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above the detection nozzle 39. (391)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an air passage guide hole 70 penetra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kettle body 21 and communicating with the detection nozzle 39 is installed, and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is provided with a ring platform ( 71) is installed, the central portion of the ring platform 71 is an air guide hole smaller in size than the air passage guide hole 70, and the air guide hole is closed at the bottom of the ring platform 71 and the bottom of the detection nozzle 39 A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an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and a first reset device (73)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xhaust passage valve plug (7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모터(36),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모터(36)는 검출 플랫폼(12) 내 또는 탄산수 머신(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 모터(36)의 출력단에는 제2 구동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는 검출 플랫폼(12)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 중앙부에는 제2 장착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장착홀 측벽에는 제2 구동 스레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 베이스 회전부재(37) 둘레에는 제2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371)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는 제2 장착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둘레에는 제2 구동 스레드와 결합하는 제2 종동 스레드가 설치되며, 상기 검출 노즐(39)은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상측에는 제1 장착홈이 설치되며, 상기 기압 센서(391)는 상기 장착홈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 노즐(39)은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 저부에 설치되어 장착홈 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측 공기통로 승강부재(38)에는 제2 수직 제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driving device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36, an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and an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the second driving motor 36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or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second driving gear is installed at the output end of the second driving motor 36;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platform 12, a second mount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and a second driving threa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mounting hole. , A second driven gear 371 engaged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base rotating member 37;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is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a second driven thread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thread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the detection nozzle 39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 first mount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the air pressure sensor 391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detection nozzle (39)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and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vertical restrictor is installed in the upper air passage elevating member (38) Carbonated water maker.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11)를 향한 상기 탄산수 머신(10)의 일측 표면에는 측면으로 개구된 제1 수용 캐비티(13), 및 제1 수용 캐비티(13) 상방에 위치하고 제1 수용 캐비티(13) 상측과 연통되는 제2 수용 캐비티(1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 캐비티(13) 내에는 배기 박스(4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 박스(40)의 상측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케틀 리드(22) 둘레에는 제2 수용 캐비티(14) 내에 삽입 설치 가능한 돌출부(221)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221) 하단면에는 케틀 리드(22) 저부까지 연장되는 배기 튜브(80)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튜브(80) 내에는 배기 튜브(80)의 개폐를 위한 밀봉 밸브 플러그(83)가 설치되며, 상기 케틀 리드(22) 표면에는 밀봉 밸브 플러그(83)의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배기 버튼(8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5,
On one surface of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facing the base 11, a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open to the side, and a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located above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A second accommodating cavity 14 is installed, an exhaust box 4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avity 13, an open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box 40, and the kettle lid (22) A protrusion 22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cavity 14 is installed around the circumference, and an exhaust tube 80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221, A sealing valve plug 8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tube 80 is installed in the exhaust tube 80, and an exhaust button for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ling valve plug 83 on the surface of the kettle lid 22 ( 84)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k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튜브(80)는 제1 채널(82) 및 제2 채널(8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82)은 케틀 리드(22)를 관통하여 케틀 리드(22) 상측까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채널(81)은 제1 채널(82) 측벽에 연결되어 돌출부(221) 하단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채널(82) 둘레에는 제2 채널(81) 하방에 위치하는 환형 플랫폼(85)이 설치되며, 상기 밀봉 밸브 플러그(83)는 환형 플랫폼(85) 하방에 설치되어 환형 플랫폼(85) 중앙부의 채널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밀봉 밸브 플러그(83) 저부에는 제2 리셋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 버튼(84)은 제1 채널(82) 상측에 설치되어 밀봉 밸브 플러그(83) 상측에 당접될 수 있고, 상기 배기 버튼(84)은 제1 채널(8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버튼(84) 둘레에는 제2 채널(81) 상방에 위치하여 제1 채널(82) 측벽을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7,
The exhaust tube 80 includes a first channel 82 and a second channel 81, and the first channel 82 penetrates the kettle lid 22 and extends vertic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kettle lid 22. The second channel 81 is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first channel 82 and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221, and has an annular shape located below the second channel 81 around the first channel 82. A platform 85 is installed, and the sealing valve plug 83 is installed below the annular platform 85 to close the channel at the center of the annular platform 85, and the second reset valv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ling valve plug 83. The device is installed, the exhaust button 8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hannel 82 and can be abu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valve plug 83, and the exhaust button 84 is along the first channel 82 It can move up and down, and a first sealing ring for sealing the sidewall of the first channel (82) is installed above the second channel (81) around the exhaust button (8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머신(10) 내에는 배기 연결 로드(42)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 로드(42) 중앙부는 탄산수 머신(10) 내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배기 연결 로드(42) 전측단에는 제2 통공 내에 위치하여 제2 통공에서 승강이 가능한 가압 로드(41)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 로드(42)의 끝단에는 배기 연결 로드(42)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4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7 or 8,
An exhaust connecting rod 42 is install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 central portion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is pivotally connected in the carbonated water machine 10,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A pressurizing rod 41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is installed, and an actuator 43 for driving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to swing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xhaust connecting rod 42. carbonated water m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에서 케틀 라이닝(211) 저부까지의 높이는 케틀 라이닝(211) 높이의 2분의 1보다 작고, 상기 공기 안내 튜브(61)와 케틀 라이닝(211) 내면 사이의 끼인각은 30-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from the air guiding tube 61 to the bottom of the kettle lining 211 is less than half of the height of the kettle lining 211,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air guiding tube 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kettle lining 211 is 30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6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틀 리드(22) 저부에는 적어도 2그룹의 압력 안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안정부는 케틀 리드(22) 내에 설치된 압력방출홈(91) 및 케틀 리드(22) 저부에 설치되어 압력방출홈(91)과 연통되는 안내공(90)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방출홈(91) 내에는 상기 안내공(90)을 막기 위한 배기 로드(92)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방출홈(91) 내에는 배기 로드(92)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3 리셋 장치(93)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방출홈(91) 내에는 공기 방출 홀(94)이 설치되고, 상기 케틀 리드(22) 외측에는 공기 방출 홀(94)과 연통되는 에어 벤트(9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groups of pressure stabilizer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and the pressure stabilizers are installed in a pressure release groove 91 installed in the kettle lid 22 and a pressure release groove 91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kettle lid 22. ) and a guide hole 90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an exhaust rod 92 for blocking the guide hole 90 is installed, and an exhaust rod 92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A third reset device 93 for driving the rod 92 to move is installed, an air release hole 94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release groove 91, and an air release hole 94 is installed outside the kettle lid 22. A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vent (95) communicating with the hole (94)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 연결부(50)는 장착시트(51), 와셔 어셈블리(52)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시트(51) 내에는 연결구(511)가 설치되고, 연결구(511) 측벽에는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511)는 연결부 하방의 측벽에 위치하고 지지 링 플랫폼(71)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511) 내에는 지지 링 플랫폼(71)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튜브(35)와 연통되는 흐름 안내 연결구(512)가 설치되고;
상기 와셔 어셈블리(52)는 상기 연결구(511) 내에 위치하고 연결구(511)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셔 어셈블리(52)는 고정시트(521), 제2 밀봉링(523) 및 잠금 와셔(52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시트(521) 중앙부에는 천공(52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시트(521) 저부에는 제1 보스(521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스(5212) 둘레에는 제1 링 홈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와셔(522) 중앙부에는 제1 링 홈에 씌움 설치되는 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시트(521) 상측에는 제2 보스(52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스(5211) 둘레에는 제2 링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밀봉링(523)은 상기 제2 링 홈 내에 씌움 설치되고, 상기 고정시트(521)의 상단면은 지지 링 플랫폼(71) 단면에 당접되며, 상기 제2 밀봉링(523)은 상기 지지 링 플랫폼(71)의 측면에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gas cylinder connection part 50 includes a mounting seat 51 and a washer assembly 52,
A connector 511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eat 51, a connector is installed on a sidewall of the connector 511, the connector 511 is located on a sidewall below the connector, and a support ring platform 71 is installed. In the connector 511, a flow guide connector 512 is installed below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and communicates with the gas tube 35;
The washer assembly 52 is located within the connector 511 and is rotatable within the connector 511, and the washer assembly 52 includes a fixing seat 521, a second sealing ring 523 and a lock washer 522 ), wherein a perforation 5213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sheet 521, a first boss 5212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sheet 521, and a first boss 5212 is installed around the first boss 5212. A ring groove is installed, a through hol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ck washer 522 to cover the first ring groove, and a second boss 52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seat 521, and the second boss ( 5211), a second ring groove is installed around the circumference, the second sealing ring 523 is cover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ring gro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seat 521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And the second sealing ring 523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ing platform 7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11) 바닥면에는 상측 핀홀(531)이 설치되고, 상기 상측 핀홀(531) 내에는 핀홀(53)이 설치되며, 상기 핀홀(53)과 상측 핀홀(531) 측벽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고, 상기 핀홀(53)은 상기 천공(5213)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천공(5213) 내측벽에는 제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핀홀(53) 둘레에는 제한 플레이트 표면에 당접되는 돌출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시트(51)에는 드라이브 스윙 로드(54)가 피봇 연결되고, 상기 드라이브 스윙 로드(54)의 끝단은 핀홀(53)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드라이브 스윙 로드(54)의 타측 상단에는 드라이브 스윙 로드(54)를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전자기 밸브(5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2,
An upper pinhole 53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511, a pinhole 53 is installed in the upper pinhole 531, and a gasket is installed between the pinhole 53 and the sidewall of the upper pinhole 531. The pinhole 53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5213, a limiting plate is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perforation 5213, and a protruding plat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miting plate is installed around the pinhole 53, A drive swing rod 54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seat 51, the end of the drive swing rod 54 is positioned above the pinhole 53, and the drive swing rod 54 is at the top of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wing rod 54. A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electromagnetic valve (55) is installed to drive the swing rod (54) to swing.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시트(51)에는 수납 캐비티(56)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 캐비티(56) 저부는 연결부 하방에 위치한 연결홀을 통해 연결구(511)와 연통되며, 상기 수납 캐비티(56) 내에는 연결홀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용 상측 로드(57)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용 상측 로드(57) 둘레와 수납 캐비티(56) 측벽 사이에는 제3 밀봉링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캐비티(56) 내에는 밀봉용 상측 로드(57) 후측단에 위치하여 상측 로드를 연결홀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4 리셋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시트(51)에는 상측 로드 후측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5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2 or 13,
A storage cavity 56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eat 51, and the bottom of the storage cavity 56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or 511 through a connection hole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art, and a connection hole in the storage cavity 56. An upper rod 57 for sealing is installed, and a third sealing 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rod 57 for sealing and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avity 56, and the sealing inside the storage cavity 56 is installed. A fourth reset devic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rod 57 for driving the upper rod to move toward the connecting hole is installed, and a micro switch 58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rod on the mounting sheet 51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위치는 포지셔닝 캐비티(111)이고, 상기 케틀 본체(21) 저부에는 회전 포지셔닝 홈(212)이 설치되며, 상기 포지셔닝 캐비티(111) 둘레에는 회전 포지셔닝 홈(212)과 결합하여 케틀 본체(21)의 이탈을 제한하는 포지셔닝 핀(11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sition is the positioning cavity 111, and a rotation positioning groove 2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21, and the kettle body 21 is coupled with the rotation positioning groove 212 around the positioning cavity 111. ) Carbonated water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pin 112 for limiting the departure is installed.
KR2020237000011U 2020-11-30 2021-11-04 carbonated water maker KR20230000645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375759.X 2020-11-30
CN202011375759.XA CN112386110A (en) 2020-11-30 2020-11-30 Bubble water maker
PCT/CN2021/128731 WO2022111250A1 (en) 2020-11-30 2021-11-04 Sparkling water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45U true KR20230000645U (en) 2023-03-27

Family

ID=7460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11U KR20230000645U (en) 2020-11-30 2021-11-04 carbonated water mak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00645U (en)
CN (1) CN112386110A (en)
WO (1) WO202211125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3251A (en) * 2020-11-30 2021-02-12 江门市伊科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Pressure kettle
CN112386110A (en) * 2020-11-30 2021-02-23 江门市伊科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Bubble water maker
CN115060433B (en) * 2022-06-27 2024-03-12 广东傲美智能科技有限公司 Bubble water machine air tightness detection and debugging system and automatic debugging method
CN115316848A (en) * 2022-08-05 2022-11-1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Carbon dioxide gas filling system and water purifying dispenser
CN218355731U (en) * 2022-08-16 2023-01-24 江门市伊科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Bubble water machine with automatic air inlet resetting function
CN115804525B (en) * 2022-12-08 2023-12-01 佛山市芯耀环保科技有限公司 Pneumatic spr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producing soda wa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7009B2 (en) * 2001-12-17 2004-07-27 The Coca-Cola Company Carbonator with targeted carbonation level
JP2007000771A (en) * 2005-06-23 2007-01-1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arbonated water production apparatus
US20140079856A1 (en) * 2012-06-29 2014-03-20 Darren Hatherell Beverage Carbon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ing a Beverage
CN204394246U (en) * 2015-01-12 2015-06-17 宋宁 A kind of split type beverage machine
CN107691962A (en) * 2017-09-26 2018-02-16 界首市百乐泉纯净水厂 A kind of soda water making apparatus
TWI680916B (en) * 2018-12-21 2020-01-01 沃拓創意股份有限公司 Portable bubble water bottle and air valve structure thereof
CN214208070U (en) * 2020-11-30 2021-09-17 江门市伊科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Pressure kettle with lateral air inlet
CN112353251A (en) * 2020-11-30 2021-02-12 江门市伊科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Pressure kettle
CN112386110A (en) * 2020-11-30 2021-02-23 江门市伊科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Bubble water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1250A1 (en) 2022-06-02
CN112386110A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0645U (en) carbonated water maker
BRPI0621433A2 (en) liquid dispensing tap, particularly for high and medium density liquids
US4589577A (en) Dispenser closure
US20150052855A1 (en) Vacuum apparatus
US20140305541A1 (en) Container Filling Valve
US3817286A (en) Hydraulic flush tank with improved seating and resealing means
WO2022111251A1 (en) Pressure water carafe
CA2373287C (en) Beverage container
AU629136B2 (en) Container filling apparatus
CN214284517U (en) Bubble water maker
CN109770818A (en) A kind of dish-washing machine
CN110813966B (en) Simple cleaning device for inner wall of narrow-mouth bottle
US7228789B1 (en) Beverage container
CN220308859U (en) Valve body structure for preventing hot water from splashing
CN115027810B (en) Anti-oxidation edible oil bottle sealing method and bottle cap
CN216951717U (en) Butterfly valve capable of reducing impact force on sealing element
CN219106471U (en) Battery priming device
CN217918544U (en) Low-foam canning device
CN115028130A (en) Super-hydrophobic antireflection material bottling distributor and production process
CN219488341U (en) Automatic cleaning agent adder and bathroom device
CN219652673U (en) Quantitative filling machine is used in rapeseed oil production
CN216534934U (en) Water bottle linkage mechanism for preventing water from falling off on bubble water machine
RU2181100C2 (en) Device for filling drinks into polyethylene bottles
CN209743682U (en) check valve for filter flask of water vending machine
CN220013892U (en) Drainer and integrated water t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