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15U -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 Google Patents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15U
KR20230000515U KR2020210002736U KR20210002736U KR20230000515U KR 20230000515 U KR20230000515 U KR 20230000515U KR 2020210002736 U KR2020210002736 U KR 2020210002736U KR 20210002736 U KR20210002736 U KR 20210002736U KR 20230000515 U KR20230000515 U KR 20230000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usic box
box device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7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877Y1 (en
Inventor
안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잭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잭슨
Priority to KR2020210002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77Y1/en
Publication of KR20230000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1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2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4Tune barrels, sheets, rollers, spool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판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시트에 의해 정해진 음이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향 발생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베이스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부 모서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 function. A music box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sheet is insert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heet is discharged; a plate-shaped bas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 sound generating unit located abov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a sound determined by the shee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motor located above the base unit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sound generating unit; And a bas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se portion. At this time, the base fix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Description

저소음으로 구현된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realized with low noise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본 고안은 저소음으로 구현된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realized with low noise.

일반적으로, 오르골(Orgel)은 자명금(自鳴琴)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특정한 음향이 연주되는 음악 완구의 일종이다. 최초에 오르골의 사용은 중세 유럽에서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명종에서 사용되었고, 이 원리를 이용하여 멜로디를 연주하는 '카리용'이라는 기구가 만들어졌으며, 이것이 현재의 오르골인 것이다.In general, a music box (Orgel) is also referred to as a jimyeongeum (自鳴琴), and is a kind of music toy in which a specific sound is played. Initially, music boxes were used in alarm clocks that automatically tell the time in medieval Europe, and a device called 'carillon' that plays melodies was created using this principle, and this is the current music box.

오르골은 시계나 담배상자, 또는 반지나 목걸이 등의 보석을 보관하는 보석함 등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에 는 어린이 장난감이나 장신구, 선물용 악세사리 등 그 용도가 다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Music boxes were mainly used for watches, cigarette boxes, or jewelry boxes for storing jewelry such as rings and necklaces, and currently, their uses are diversifying, such as children's toys, accessories, and gift accessories.

오르골은 음의 고저에 따라 유효길이가 다른 각각의 진동핀들이 형성된 진동부와, 복수의 타격 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타격드럼으로 구성되어, 타격 드럼이 태엽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타격 돌기가 진동핀들을 튕겨 연주가 되면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다.The music box is composed of a vibrating unit in which each vibration pin having a different effective length according to the pitch of the sound is formed, and a striking drum with a plurality of striking protrus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s the instrument is played by bouncing it, the sound is output.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22176호(고안의 명칭: 오르골 장치)에서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다수의 타격 돌기가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모듈, 드럼 모듈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몸체에 결합되는 구동부, 드럼 모듈의 회전 시 타격 돌기의 타격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발생부 및 음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2176 (name of design: music box devi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has a plurality of strik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surface to be coupled and separated, and the drum module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body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 sound generating unit provided to generate sound according to the impact of the hitting protrusion when the drum module rotates, and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unit.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오르골 장치는 음향발생부가 나사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어, 구동부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하우징 내에서 증폭되어 음향 발생 시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usic box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a screw, so that noise caused by vib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amplified in the housing and noise is generated when sound is generated.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향 발생부가 하우징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not fixed to the housing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but is fastened in a separate fastening method to automatically reproduce noise due to rotation of the mo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 function.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판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시트에 의해 정해진 음이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향 발생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베이스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부 모서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let through which sheets are insert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heets are discharged. formed housing; a plate-shaped bas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 sound generating unit located abov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a sound determined by the shee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motor located above the base unit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sound generating unit; And a bas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se portion. At this time, the base fix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음향 발생부가 고정된 베이스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부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되며, 베이스부와 체결부에 유격이 있어 모터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ase portion to which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fixed is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so that noise due to rotation of the motor can be minimized. can be greatly improved.

구체적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된 베이스부가 하우징 내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형성된 절곡된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고정은 소정간격 유격을 포함하도록 고정된다. 만약 유격이없이 베이스부가 하우징과 완전히 밀착되어 있다면, 하우징 내부의 모터의 진동이 하우징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모터 진동에 의한 소음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현될 경우, 소음이 하우징 내부에서 증폭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1차적으로 베이스부가 모터진동을 흡수하고, 0.5mm이내의 유격 부분이 2차적으로 모터의 진동을 하우징에 전달하는 것을 상쇄시켜주기 때문에, 종래의 오르골보다 훨씬 소음이 줄어들게 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se par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ate is fixed by bent fastening part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and at this time, the fixing is fixed to include a ga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f the base par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without any play, the vibration of the motor inside the housing is transmitted to the housing as it is, and as a result, noise caused by the motor vibration may be exposed as it is. However, when implemented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i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mplified inside the housing. That is, since the base part primarily absorbs the motor vibration, and the clearance part within 0.5 mm secondarily offsets the transfer of the motor vibration to the housing, noise can be much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usic box.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의 내부 부품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에 시트가 삽입되어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기어부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A의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internal components of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viewed from another sid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sheet is inserted into and operated in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tor ge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aper music box device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10;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the understanding of this applica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원은 오르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usic box device.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10)(이하, '오르골 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12 , a paper music box devic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sic box device 10') having an automatic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오르골 장치(10)는 하우징(100)에 투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투입구(110)를 통해 시트(20)가 투입되고, 배출구(120)를 통해 시트(20)가 배출되면서, 시트(20)에 따라 다른 소리가 발생하는 오르골 장치(10)에 관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music box device 10 has an inlet 110 and an outlet 120 formed in the housing 100, and a sheet 20 is put in through the inlet 110, and through the outlet 120 A music box device (10) in which different sounds a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sheet (20) while the sheet (20) is ejected.

하우징(1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110) 및 시트가 토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원통형, 다각 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입구(110)와 배출구(120)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let 110 into which the sheet is inserted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sheet is discharged are formed.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1 ,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olygonal column shape. In additio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또한,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한 배터리부(미도시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충전단자를 통해 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unit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battery unit can be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can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본체부(101) 및 덮개부(102)를 포함하되, 본체부(101) 및 덮개부(102)를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하우징(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오르골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housing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01 and a cover portion 102, and a single housing 100 is formed by combining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cover portion 102 with each other. can Also, parts for operating the music box device 10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0 .

오르골 장치(10)는 하우징(100), 베이스부(200), 음향 발생부, 구동부(700), 구동 기어부(800), 베이스 고정부(910, 920) 및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이때, 음향 발생부는 진동부(300), 타격 드럼(500) 및 프레스 축(600)을 포함한다.The music box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100, a base part 200, a sound generating part, a driving part 700, a driving gear part 800,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a controller (not shown). do. 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ing unit includes a vibrating unit 300, a percussion drum 500, and a press shaft 600.

베이스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고,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00)의 상부에는 진동부(300), 타격 드럼(500), 프레스 축(600), 및 구동부(700)가 배치되어,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예시적으로, 베이스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 고정부(910, 9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base portion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formed in a plate shape. In addition, the vibrating part 300, the hitting drum 500, the press shaft 600, and the driving part 700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200, so that assembly is easy. Illustratively, the base part 200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진동부(300)는 베이스부(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진동핀(310)이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진동핀(310)은 서로 다른 음을 발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vibration unit 300 is disposed above the base unit 200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pins 310 are arranged. In addition, each of the vibration pins 310 may be sequentially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lengths to emit different sound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타격 드럼(500)은 드럼축(530), 각각의 진동핀(310)을 타격하는 복수의 타격 돌기(511)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드럼축(5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타격휠(510), 및 타격휠(510)의 사이에 배치되고, 드럼축(530)에 고정된 가이드 롤러(520)를 구비한다. 이때, 각각의 타격휠(510)은 진동핀(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타격휠(510)의 개수는 진동핀(3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4 and 5, the hitting drum 500 has a drum shaft 530 and a plurality of hitting protrusions 511 hitting each vibration pin 310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drum shaft 530 A plurality of hitting wheels 5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roller 520 disposed between the hitting wheels 510 and fixed to the drum shaft 530. At this time, each hitting wheel 51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pin 310, and the number of hitting wheels 510 may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vibration pins 310.

또한, 드럼축(530)은 일단이 제1 고정부(43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측이 모터 고정부(72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520)는 드럼축(530)에 고정되어, 드럼축(530)이 회전될 경우, 함께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drum shaft 530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430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motor fixing part 720 .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520 is fixed to the drum shaft 530, and when the drum shaft 530 is rotated, it can be rotated together.

프레스 축(600)은 타격 드럼(5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레스 휠(6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축(600)은 제1 고정부(43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측이 모터 고정부(72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The press shaft 600 may include press wheels 610 positioned above the percussion drum 5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ddition, the press shaft 600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430, and the other side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motor fixing part 720.

또한, 프레스 휠(610)은 가이드 롤러(520)와 함께 시트(2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투입구(110)로 투입된 시트(20)는 가이드 롤러(520)와 프레스 휠(610) 사이에 삽입되어, 가이드 롤러(520)와 프레스 휠(6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될 수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520)와 프레스 휠(610)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시트(20)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시트(20)에 형성된 홀에 타격 돌기(511)가 삽입되어 타격휠(510)이 회전함에 따라 타격 돌기(511)가 진동핀(310)을 타격하여 정해진 음이 연주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 wheel 610 serves to move the sheet 20 together with the guide roller 520. In other words, the sheet 20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is inserted between the guide roller 520 and the press wheel 610, and moves as the guide roller 520 and the press wheel 61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can be In addition, the guide roller 520 and the press wheel 610 rotate at the same angular velocity, and thus the sheet 20 can be smoothly discharged. At this time, as the hitting protrusion 511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seat 20 and the hitting wheel 510 rotates, the hitting protrusion 511 strikes the vibration pin 310 so that a predetermined sound can be played.

구동부(700)는, 도 5를 참조하면, 타격 드럼(500) 및 프레스 축(6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700)는 베이스부(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모터 고정부(720), 모터 고정부(720)에 고정된 모터(710), 모터(7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710)의 모터축(711)과 구동축(730)은 모터 기어부(740)를 통해 연결되어, 모터(710)의 구동력을 구동축(7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 고정부(720)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이 베이스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모터 고정부(720)는 원통형상의 모터(7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모터(710)의 하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모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 지지부는 원통 형상의 모터(7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부가 챔퍼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riving unit 700 may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percussion drum 500 and the press shaft 600 . In addition, the driving part 700 includes a motor fixing part 720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200, a motor 710 fixed to the motor fixing part 720, and a driving shaft 730 that transmits driving force of the motor 710. )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motor shaft 711 of the motor 710 and the drive shaft 730 are connected through the motor gear unit 740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710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730 . The motor fixing part 720 is formed in an 'L' shap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may be fixed to the base part 200 . In addition, the motor fixing part 720 may include a motor support part positioned at a lower part of the motor 7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stably support the cylindrical motor 710, and the motor support part has a cylindrical shape. The top may be chamfered to stably support the motor 710 of the.

또한, 모터 고정부(720)는 상부 중앙부에 구동축(730)이 관통되도록 ‘U’자 형으로 함몰된 함몰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고정부(720)의 높이를 높게 제작할 수 있어,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 구동축(730)에 간섭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모터(710)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fixing part 720 may include a recessed part 721 recessed in a 'U' shape so that the drive shaft 730 passes through the upper central portion.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motor fixing part 720 can be manufactured high, and the motor 710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rive shaft 730 while having sufficient rigidity.

구동 기어부(800)는 구동부(700)의 구동력을 타격 드럼(500)과 프레스 축(60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구동 기어부(800)는 구동부(700)에 연결된 제1 구동 기어(810), 제1 구동 기어(810)에 치합되고, 프레스 축(600)에 연결된 제2 구동 기어(820), 및 제2 구동 기어(820)와 치합되고, 모터(710)축에 연결된 제3 구동 기어(8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gear unit 80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700 to the percussion drum 500 and the press shaft 600 . To this end, the drive gear unit 800 includes a first drive gear 810 connected to the drive unit 700, a second drive gear 820 meshed with the first drive gear 810 and connected to the press shaft 600, and a third driving gear 830 meshed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820 an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710 .

예시적으로, 모터(710)에 전원 전압을 인가할 경우, 제1 구동 기어(8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구동 기어(8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구동 기어(8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기어(820)에 연결된 프레스 휠(610)과 제3 구동 기어(830)에 연결된 가이드 롤러(5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투입구(110)로 투입된 시트(20)를 배출구(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power voltage is applied to the motor 710, the first driving gear 8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second driving gear 820 is rotated clockwise, and the third driving gear ( 830)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Accordingly, while the press wheel 610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gear 820 and the guide roller 520 connected to the third drive gear 83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sheet 20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can be moved to the outlet 120.

또한, 제1 구동 기어(810), 제2 구동 기어(820), 제3 구동 기어(830)는 구동 기어비가 1.5:1.5:1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구동 기어(810)와 제2 구동 기어(820)는 동일한 구동 기어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3 구동 기어(830)는 제1 구동 기어(810)와 제2 구동 기어(820)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710)에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비는 오르골 장치(10)의 시트(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비율일 수 있다.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시트(20)는 시트 가이드부(400)를 통해 타격 드럼(500) 및 프레스 축(600) 사이로 이동되고, 시트(20)에 형성된 홀에 타격 돌기(511)가 삽입되어 타격휠(510)이 회전함에 따라 타격 돌기(511)가 진동핀(310)을 타격하여 정해진 음이 연주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트(20)가 충분한 힘을 갖고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모터(710)가 일반 시중에 판매되는 저가 모터이더라도, 구동 기어비를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시트(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한 토크(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의 일반 모터를 자동 재생 종이 오르골 장치에 장착하였을 경우, 임계치 이상의 토크를 발생시키는 모터는 RPM(연주음의 박자와 연관됨)이 원하는 대로 발생되지 않거나, RPM이 원하는 대로 발생되는 모터는 충분한 토크가 발생되지 않아 시트(20)가 자동 재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본 구동 기어(810, 820, 830)들의 구성과 모양, 조합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하고, 구동 기어비와 구동부의 구조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토크로 원하는 RPM에 따라 연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RPM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모터를 동작시키더라도(예를 들어, 발라드 음악이나 댄스음악이 연주되더라도) 충분한 토크로 오르골 음악이 연주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동 기어비는 일 예일뿐이며, 다양한 비율로 구동 기어비가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first driving gear 810, the second driving gear 820, and the third driving gear 830 may have a driving gear ratio of 1.5:1.5:1. In other words, the first drive gear 810 and the second drive gear 8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rive gear ratio, and the third drive gear 830 is the first drive gear 810 and the second drive gear 820 ) can be formed smaller than Accordingly, the load on the motor 710 can be minimized. The drive gear ratio may be a ratio capable of generating a minimum torque that allows the seat 20 of the music box device 10 to be moved. The sheet 20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is moved between the hitting drum 500 and the press shaft 600 through the sheet guide part 400, and the hitting protrusion 511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sheet 20. As the hitting wheel 510 rotates, the hitting protrusion 511 strikes the vibration pin 310 so that a predetermined sound is played. In order for this process to occur, the seat 20 must be able to move with sufficient force. Even if the motor 710 is a low-cost motor sold on the market, when the drive gear ratio is configured as above, sufficient torque (force) can be generated so that the seat 20 can be moved. When a conventional general motor is installed in an auto-playing paper music box device, a motor that generates torque above a threshold does not generate RPM (related to the rhythm of the playing sound) as desired, or a motor that generates RPM as desired has sufficient torqu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heet 20 was not automatically reproduced because the sheet 20 did not occu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shape, and combination of the drive gears 810, 820, and 830 as described above, and by configuring the drive gear ratio and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as described above, the desired RPM with sufficient torque. can be made playable. That is, even if the user sets a desired RPM and operates the motor accordingly (for example, ballad music or dance music is played), the music box music can be played with sufficient torque. However, the above-described driving gear ratio is only an example, and the driving gear ratio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ratios.

아울러, 구동부(700)는 모터(710)의 구동력을 구동 기어부(80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기어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 기어부(740)는 모터(710)의 모터축(711)과 구동축(730) 사이에 위치하여, 모터(710)의 구동력을 복수의 기어를 통해 구동축(730)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7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gear unit 740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710 to the driving gear unit 800 . In other words, the motor gear unit 7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otor shaft 711 of the motor 710 and the driving shaft 730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710 to the driving shaft 730 through a plurality of gears. .

도 9를 참조하면, 모터 기어부(740)는 모터축(711)에 고정된 제1 모터 기어(741), 제1 모터 기어(741)에 치합되는 제2 모터 기어(742), 제2 모터 기어(742)와 동일 회전축에 결합되되, 직경이 제2 모터 기어(742)보다 작은 제3 모터 기어(743), 제3 모터기어(743)에 치합되는 제4 모터 기어(744), 제4 모터 기어(744)와 동일 회전축에 결합되되, 직경이 제4 모터 기어(744)보다 작은 제5 모터 기어(745), 제5 모터 기어(745)에 치합되는 제6 모터 기어(746), 제6 모터 기어(746)와 동일 회전축에 결합되되, 직경이 제6 모터 기어(746)보다 작은 제7 모터기어(747), 제7 모터 기어(747)에 치합되는 제8 모터 기어(748), 제8 모터 기어(748)와 동일 회전축에 결합되되, 직경이 제8 모터 기어(748)보다 작은 제9 모터 기어(749) 및 제9 모터 기어(749)에 치합되고, 구동축(730)에 고정된 제10 모터 기어(7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motor gear unit 740 includes a first motor gear 741 fixed to a motor shaft 711, a second motor gear 742 meshed with the first motor gear 741, and a second motor. A third motor gear 743 coupled to the same rotational axis as the gear 742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motor gear 742, a fourth motor gear 744 meshed with the third motor gear 743, and a fourth A fifth motor gear 745 coupled to the same rotational axis as the motor gear 744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ourth motor gear 744, a sixth motor gear 746 meshed with the fifth motor gear 745, 6 Doedoe coupled to the same rotational axis as the motor gear 746, a seventh motor gear 747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ixth motor gear 746, an eighth motor gear 748 meshed with the seventh motor gear 747, Doedoe coupled to the same rotating shaft as the eighth motor gear 748, meshed with the ninth motor gear 749 and the ninth motor gear 749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eighth motor gear 748, and fixed to the drive shaft 730 A tenth motor gear 750 may be included.

또한, 제1 모터 기어(741) 내지 제10 모터 기어(740)는 서로 치합되는 모터 기어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며, 직경의 작고 큼이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 기어부(740)는 제1 모터 기어(741)로부터 제10 모터 기어(750)까지 순차적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며, 직경의 크기가 크고 작음이 교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모터 기어(742)의 직경은 제1 모터 기어(7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4 모터 기어(744)의 직경은 제3 모터 기어(7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6 모터 기어(746)의 직경은 제5 모터 기어(7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8 모터 기어(748)의 직경은 제7 모터 기어(74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RPM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모터(710)를 동작시키더라도 충분한 토크로 오르골 음악이 연주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tor gears 741 to 10th motor gears 74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of motor gears mesh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such that small and large diameters are repeated. Tha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gear unit 740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tor gear 741 to the tenth motor gear 750, and the diameter may be large or small. Illustratively, the second motor gear 74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motor gear 741, and the fourth motor gear 744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ird motor gear 742. And, the diameter of the sixth motor gear 746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fth motor gear 745, and the diameter of the eighth motor gear 748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venth motor gear 747. there is. Through this, even if the user sets the desired RPM and operates the motor 710 accordingly, the music box music can be played with sufficient torque.

아울러, 제1 내지 제 10 모터 기어는 별도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모터 기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모터축(711) 및 구동축(730)은 복수의 모터 기어를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enth motor gears are located inside a separate housing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between the motor gears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motor shaft 711 and the driving shaft 730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motor gears therein.

제어부(미도시됨)는 구동부(700)를 제어하며, 배터리부를 통해 인가된 전원 전압을 모터(710)로 공급할 수 있다.A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700 and supply the power voltage applied through the battery unit to the motor 710 .

오르골 장치(1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전원버튼, 재생버튼, 및 속도조절버튼을 구비하는 컨트롤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모터(710)의 온/오프 및 구동속도(RPM)를 조절할 수 있다.The music box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loc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power button, a play button, and a speed control butt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urn on/off the motor 710 and adjust the driving speed (RPM)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a user.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가이드부(40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7 and 8 , a sheet guide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오르골 장치(10)는 진동부(300)의 상부에 위치하고, 투입구(110)로 투입된 시트(20)를 가이드하는 시트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sic box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sheet guide unit 400 located above the vibration unit 300 and guiding the sheet 20 inserted through the input hole 110 .

시트 가이드부(400)는 진동부(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판형의 하부 시트 누름부(420), 하부 시트 누름부(42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부 시트 누름부(410), 하부 시트 누름부(420) 및 상부 시트 누름부(410)의 좌측 단부가 고정되고, 하단이 베이스부(200)에 고정된 제1 고정부(430) 및 하부 시트 누름부(420) 및 상부 시트 누름부(410)의 우측 단부가 고정되고, 하단이 베이스부(200)에 고정된 제2 고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트 가이드부(400)는 투입구(110)로 투입된 시트(20)가 프레스 축(600)과 타격 드럼(500)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부 시트 누름부(420)는 제1 고정부(430) 및 제2 고정부(440)에 좌우측 단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부 시트 누름부(410)는 제1 고정부(430) 및 제2 고정부(440)에 양측부 후방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sheet guide unit 400 includes a plate-shaped lower sheet pressing unit 420 positioned above the vibrating unit 300 and an upper sheet pressing unit located apart from the lower sheet pressing unit 4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per direction ( 410), the left ends of the lower sheet pressing part 420 and the upper sheet pressing part 410 are fixed, and the first fixing part 430 and the lower sheet pressing part 420 having lower ends fixed to the base part 200 and a second fixing part 440 having a right end of the upper sheet pressing part 410 fixed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base part 200 . In other words, the sheet guide unit 400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heet 20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between the press shaft 600 and the striking drum 500 .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sheet pressing part 420 are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430 and the second fixing part 440 so as not to move, and the upper sheet pressing part 41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430 And the rear of both side parts can be hinged to the second fixing part 440 .

상부 시트 누름부(410)는 타격휠(510)이 위치한 단부에 타격휠(510)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 회전 방지부(412)를 포함하고, 회전 방지부(412)는 시트(20)가 시트 가이드부(400)에 투입됨에 따라 상부 시트 누름부(410)의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되어, 타격휠(510)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시트 누름부(410)는 일부분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투입된 시트(20)에 의해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절곡 누름부(411)를 더 포할 수 있다.The upper sheet pressing portion 410 includes an anti-rotation portion 412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event the hitting wheel 510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at the end where the hitting wheel 510 is located, As the sheet 20 is put into the sheet guide unit 400, the anti-rotation unit 412 moves the end of the upper sheet pressing unit 410 up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hitting wheel 510 is rotatable. can be In addition, the upper sheet pressing portion 410 may further include a bending pressing portion 411 whose end is moved upward by the sheet 20 that is partially bent downward and inserted.

다시 말해, 투입구(110)를 통해 시트(20)가 투입됨에 따라 절곡 누름부(411)를 통과하면서 회전 방지부(412)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타격휠(510)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며, 가이드 롤러(520)와 프레스 휠(610)이 회전됨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시트(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시트(20)에 임의로 형성된 홀에 타격휠(510)의 타격 돌기(511)가 삽입되어 타격휠(510)이 회전됨에 따라, 진동핀(310)을 타격함에 따라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sheet 20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the anti-rotation part 412 moves up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bending pressing part 411, and the rotation lock state of the hitting wheel 510 is released. And, as the guide roller 520 and the press wheel 610 are rotated, the sheet 20 can be moved at a constant speed. At this time, as the hitting protrusion 511 of the hitting wheel 510 is inserted into the hole arbitrarily formed in the seat 20 and the hitting wheel 510 rotates, sound may be generated as the vibration pin 310 is hit. .

시트 가이드부(400)는 상부 시트 누름부(41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방지부(412)가 시트(20)가 투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가압부(450)를 통해 상부 시트 누름부(410)를 가압하여, 외부의 진동에 의해 타격휠(51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heet guid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unit 450 that presses the upper sheet pressing unit 410 downward. Accordingly, the anti-rotation unit 412 presses the upper sheet pressing unit 410 through the pressing unit 450 so that the sheet 20 is not moved upward in a state in which the sheet 20 is not inserted, so that the upper sheet pressing unit 410 is hit by external vibration. Rotation of the wheel 510 may be prevented.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고정부(910, 9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0 to 12,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베이스 고정부(910, 9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0)의 둘레부 모서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may b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dg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part 200, respectively.

다시 말해, 베이스 고정부(910, 920)은 베이스부(200)의 꼭지점 측면 일부와 상면 일부를 함께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부를 커버하는 부분은 베이스부(200)의 상면과 소정 간격 유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re formed in a shape that covers a part of the vertex side surface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00 together, and the part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00. It can be formed in a position with a gap.

또한, 베이스부(200)가 하우징 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투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하우징(100)의 마주하는 측면에 배치될 때, 베이스 고정부(910, 920)은 투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형성된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part 20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housing and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100,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re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formed.

또한, 베이스 고정부(910, 92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may be formed in an 'L'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베이스부(200)는 베이스 고정부(910, 920)와 베이스부(200) 사이에 유격이 있도록 베이스 고정부(910, 9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부와 모터(710)가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될 경우, 베이스 고정부(910, 920)의 하부면과 베이스부(200)의 상부면이 소정의 거리(d) 이격되도록 위치할 있다. 이때, 베이스 고정부(910, 920)와 베이스부(200) 사이의 유격은 0.3mm 내지 0.7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베이스 고정부(910, 920)와 베이스부(200) 사이의 유격이 넓을 경우, 베이스 고정부(910, 920)에 의한 고정력이 떨어지고, 너무 가까울 경우, 모터(710)의 진동이 하우징(100)에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the base part 200 . 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base part 200 to which the sound generator and the motor 710 are fixed is fixed to the housing 100, the lower surfaces of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the base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200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the base part 200 may be 0.3 mm to 0.7 mm, preferably 0.5 mm. When the gap betwee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the base part 200 is wide, the fixing force by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decreases, and when they are too close, the motor 710 vibrates to the housing 100 can be forwarded to

이에 따라, 오르골 장치(10)는 모터(710)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이 하우징(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고음질의 음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music box device 10 can minimize transmission of vibration due to rotation of the motor 710 to the housing 100, and thus has an effect of delivering high-quality sound to the user.

아울러, 오르골 장치(10)는 베이스 고정부(910, 920)와 베이스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전달 방지 부재(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진동 전달 방지 부재는 스폰지와 같이 진동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진동 전달 방지 부재를 베이스 고정부(910, 920)와 베이스부(200) 사이에 위치시킴에 따라,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sic box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transmission prevention member (not shown) positioned betwee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the base part 200 . Illustratively, the vibration transmission prevention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transmission of vibration, such as a sponge. As the vibration transmission prevention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and the base part 200, transmission of vibrations can be minimized and fixing force can be improved.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 본체부(101) 및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본체부(101)에 결합되는 덮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체부(101)는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덮개부(102)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ousing 100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 body portion 101 having an outlet 120 through which sheets are discharged, and an inlet 110 into which sheets are inserted, and a main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cover portion 102 coupled to (101). Illustratively, the body portion 10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the cover portion 102 may be coupled to the open portion.

또한, 베이스 고정부(910, 920)는 배출구(120)가 형성된 본체부(101)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된 제1 베이스 고정부(910) 및 덮개부(102)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된 제2 베이스 고정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ixing parts 910 and 920 have a first base fixing part 910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1 where the outlet 120 is formed, and a second base fixing part 910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02. A base fixing part 920 may be included.

다시 말해, 오르골 장치(10)를 조립할 경우, 음향 발생부와 모터(710)가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00)를 본체부(101)에 삽입하여, 베이스부(200)가 제1 베이스 고정부(910)에 의해 고정되도록한 후, 덮개부(102)를 조립함에 따라, 베이스부(200)의 둘레부 모서리부에 제1 고정부(910) 및 제2 고정부(920)가 위치하여,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when assembling the music box device 10, the base part 200 having the sound generator and the motor 710 fixed thereon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01 so that the base part 200 is attached to the first base. After being fixed by the top 910, as the cover part 102 is assembled, the first fixing part 9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920 are located at the edg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part 200 , has the effect of easy assembly.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 오르골 장치 20 : 시트
100 : 하우징
101 : 본체부 102 : 덮개부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200 : 베이스부
300 : 진동부 310 : 진동핀
400 : 시트 가이드부
410 : 상부 시트 누름부 411 : 절곡 누름부
412 : 회전 방지부
420 : 하부 시트 누름부
430 : 제1 고정부 440 : 제2 고정부
450 : 가압부
500 : 타격 드럼 510 : 타격휠
511 : 타격돌기 520 : 가이드 롤러
530 : 드럼축
600 : 프레스 축 610 : 프레스 휠
700 : 구동부
710 : 모터 720 : 모터 고정부
721 : 함몰부
730 : 구동축
740 : 모터 기어부
800 : 구동 기어부 810 : 제1 구동 기어
820 : 제2 구동 기어 830 : 제3 구동 기어
910 : 제1 고정부 920 : 제2 고정부
10: music box device 20: sheet
100: housing
101: body part 102: cover part
110: inlet 120: outlet
200: base part
300: vibration unit 310: vibration pin
400: seat guide part
410: upper sheet pressing part 411: bending pressing part
412: anti-rotation unit
420: lower seat pressing part
430: first fixing part 440: second fixing part
450: pressing part
500: hitting drum 510: hitting wheel
511: striking protrusion 520: guide roller
530: drum axis
600: press shaft 610: press wheel
700: driving unit
710: motor 720: motor fixing part
721: depression
730: drive shaft
740: motor gear unit
800: drive gear unit 810: first drive gear
820: second driving gear 830: third driving gear
910: first fixing part 920: second fixing part

Claims (11)

오르골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판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시트에 의해 정해진 음이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향 발생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베이스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부의 모서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하는 것인 오르골장치.
In the music box device,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inlet into which the sheet is insert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heet is discharged;
a plate-shaped bas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 sound generating unit located abov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a sound determined by the shee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motor located above the base unit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sound generating unit; and
Including a base fixing part for fixing the base part,
The music box device, wherein the base fixing part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part of the bas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정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유격이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베이스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usic box device, wherein the base part is fixed to the base fixing part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base fixing part and the base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꼭지점의 측면 일부와 상면 일부를 함께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 일부를 커버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소정 간격 유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ase fixing part is formed in a shape that covers a part of the side surface and a part of the top surface of the vertex of the base part together,
The music box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part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상기 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면에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상기 투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base par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housing,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The music box device, wherein the base fixing part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base fixing part is formed in an 'L' shape, the music box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정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유격은 0.3mm 내지 0.7mm인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usic box device, wherein the gap between the base fixing part and the base part is 0.3mm to 0.7m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정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전달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usic box device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transmission preven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base fixing part and the bas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고정부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된 제1 베이스 고정부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된 제2 베이스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 bod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heet is discharged; and
An inlet into which the sheet is inserted is formed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e music box device, wherein the base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base fixing part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 the outlet is formed, and a second base fixing part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진동핀이 배열된 진동부;
드럼축, 상기 진동핀을 타격하는 복수의 타격 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럼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타격휠, 및 상기 타격휠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축에 고정된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타격 드럼;
상기 타격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레스 휠을 구비하는 프레스 축;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타격 드럼과 프레스 축으로 전달하는 구동 기어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generator
a vibrating unit disposed above the base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vibrating pins;
A drum shaft and a plurality of hitting protrusions for striking the vibrating pin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r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hitting wheel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of the drum shaft and the hitting wheel, and the drum shaft a percussion drum having guide rollers fixed thereon;
a press shaft located above the percussion drum and having press whe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driving gear unit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percussion drum and the press shaft; and
A music box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usic box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voltage to th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전원버튼, 재생버튼, 및 속도조절버튼을구비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르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usic box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loc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power button, a play button, and a speed control button.
KR2020210002736U 2021-09-03 2021-09-03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KR2004978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36U KR200497877Y1 (en) 2021-09-03 2021-09-03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36U KR200497877Y1 (en) 2021-09-03 2021-09-03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5U true KR20230000515U (en) 2023-03-10
KR200497877Y1 KR200497877Y1 (en) 2024-03-22

Family

ID=8550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736U KR200497877Y1 (en) 2021-09-03 2021-09-03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77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1286A (en) * 1970-12-25 1972-09-12 Sankyo Seiki Seisakusho Kk Musical box movement
JP2004012678A (en) * 2002-06-05 2004-01-15 Sankyo Seiki Mfg Co Ltd Music box device
US20040231486A1 (en) * 2003-04-04 2004-11-25 M.H. Segan Limited Partnership Electronic acoustic music eng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1286A (en) * 1970-12-25 1972-09-12 Sankyo Seiki Seisakusho Kk Musical box movement
JP2004012678A (en) * 2002-06-05 2004-01-15 Sankyo Seiki Mfg Co Ltd Music box device
US20040231486A1 (en) * 2003-04-04 2004-11-25 M.H. Segan Limited Partnership Electronic acoustic music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77Y1 (en)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3118Y1 (en) Toy top game unit and toy top used therefor
JP5572787B2 (en) Game machine
KR20100126674A (en) Toy
US20190046889A1 (en) Top
US7321090B2 (en)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WO2011158940A1 (en) Top toy play stand
KR20230000515U (en)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implemented with low noise
US4197778A (en) Music box
JP5861158B2 (en) Game machine
KR200494334Y1 (en) Paper orgel apparatus having auto play feature
US5949004A (en) Compact music box
JP2010152062A (en) Performance toy
JP5757059B2 (en) Game machine
JP4044345B2 (en) Rotating toy
KR102164559B1 (en) Orgel
KR20190105331A (en) The music box device
JP2002065939A (en) Cushioning-connecting structure for reel shaft section
JPH066868Y2 (en) Hammering sound with function
JP3071771U (en) Top toy
JPH0741518Y2 (en) Self-playing toys
JP5966219B2 (en) Game machine
US20030143920A1 (en) Musical toy with a motor driven display
JPH075191U (en) Orgol device
JPH09237083A (en) Music box device
JP2536415Y2 (en) Orgol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