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219U - Portable moving guard - Google Patents

Portable moving gu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19U
KR20230000219U KR2020210002296U KR20210002296U KR20230000219U KR 20230000219 U KR20230000219 U KR 20230000219U KR 2020210002296 U KR2020210002296 U KR 2020210002296U KR 20210002296 U KR20210002296 U KR 20210002296U KR 20230000219 U KR20230000219 U KR 202300002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ver
user
present
drop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광빈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임광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임광빈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2020210002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219U/en
Publication of KR20230000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1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8Tents or tent-like constructions composed partially of rigi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말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커버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부, 커버의 내부 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착용수단, 및 한 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어 길이를 단축하거나 연장하여 내부공간을 축소하거나 확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비말이 타인에게 튀거나 타인의 비말이 사용자에게 튀는 현상을 방지해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고, 등산, 낚시, 걷기 등의 이동 활동에도 비말 차단이 가능하기에 외부 활동 중에도 감염 예방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여 비말을 차단하므로, 스포츠 관람 시 사용하면 내부에서 간단한 취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고, 커버 내부 공간 크기의 확장 축소로 보관, 운반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거치부가 구비되므로, 간단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들이 다양한 일상적 활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어서 사회적 손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portable screen, which includes a cover provid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o block droplet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 pair of frame parts provided at opposite positions and supporting the cover,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t includes a wearing means provided to fix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at least one pol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rame parts to reduce or expand the inner space by shortening or extend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dependent space to the user,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infection by preventing the user's droplets from bouncing to others or others' droplets to the user, and it is possible to block droplets even during movement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fishing, and walk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ection even during outdoor activities, and it provides an independent space to the user to block droplets, so when used while watching sport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t inside easily, and it can be stored and transported by expanding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space inside the cover. It has the effect of ease of use, and since the holder is provided, it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mount simple objects and also has an effect of minimizing social damage because individuals can safely perform various daily activities.

Description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PORTABLE MOVING GUARD}Movable portable screen {PORTABLE MOVING GUARD}

본 고안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에 관한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고, 이동하며 사용할 때도 비말차단의 역할을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portable shield, which can be carried and used by an individual regardless of location, and provides a movable portable shield that plays a role in blocking splashes even when moving and using.

현대사회는 인구가 밀집하여 생활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In modern society, the population is densely populated, and accordingly, multi-use facilities are often used.

또한, 교통의 발달로 활발하게 인구 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염병이 발생하고 전파되기 쉽다.In addition, since population movement occurs active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fectious diseases are easily generated and spread.

따라서 이러한 여건에서 전염병의 예방과 위생관리는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hygiene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in these conditions.

그러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불특정 다수가 밀접하게 접촉하는 경우가 많아서 전염병이 급속도로 전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multi-use facilitie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come into close contac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fectious diseases spread rapidly.

또한, 이와 같이 전염병이 전파되는 경우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과 감염 방지를 위해 많은 사회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infectious disease spreads in this way, many social losses may occur for the health of members of society and prevention of infection.

특히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많은 사회적 손실이 발생하고, 스포츠 산업에서는 관중을 제대로 받지 못해서 더욱 큰 손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개인들도 코로나 19로 인하여 옥외 활동 등에 많은 제약을 받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a lot of social losses have recently occurred due to COVID-19, and in the sports industry, even greater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the inability to properly receive spectators, and individuals are also subject to many restrictions on outdoor activities due to COVID-19.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특허문헌1(제10-2228027호)과 같은 비말 차단장치가 개발되었다. 특허문헌1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를 이용해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을 설치함으로써 비말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비말로 인한 감염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 droplet blocking device such as Patent Document 1 (No. 10-2228027) has been developed. Patent Document 1 is a device for preventing infection due to droplets by blocking droplets from scattering by installing a shiel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using a plurality of easily installable supports.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비말 차단을 위한 가림막은 거치식으로서 책상, 식탁 또는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동 간에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설치된 공간을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에는 비말 차단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 conventional screen for blocking splashes is a stationary type and is installed on a desk, table, or floor so that the user cannot use it while moving, it does not play a role in blocking splashes when moving out of the installed space. there is.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28027호(공개일: 2021.03.12.)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28027 (published date: 2021.03.1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하며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ortable, portable screen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location.

또한, 본 고안은 이동하며 사용할 때에도 비말차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portable screen that can play a role in blocking droplets even when used while moving.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말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부, 상기 커버의 내부 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착용수단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어 길이를 단축하거나 연장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축소하거나 확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ver provid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o block droplet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 pair of frame part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and supporting the cover, and a part of the user's bod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t provides a mobile portable screen that includes a wearing means provided to fix the and at least one pol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rame parts and provided to reduce or expand the inner space by shortening or extending the length.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폴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rame portion provides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one or more hollow parts to which the pole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폴대는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대의 일단과 상기 제 2 폴대의 타단을 연결하는 탄성줄을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ole includes a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and provides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an elastic string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le.

또한, 상기 폴대는, 상기 제 1 폴대의 일단에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폴대 및 상기 제 2 폴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ole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t one end of the first pole, and provides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a guide provided to fix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또한, 상기 프레임부 또는 상기 폴대에 설치되어 소정의 물체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movable portable screen tha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frame portion or the pole to hold a predetermined object.

또한, 상기 커버의 일면에 구비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clos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to be opened or closed is provided.

또한, 상기 착용수단은, 사용자의 어깨로 착용되도록 구비된 어깨끈 및 사용자의 허리로 착용되도록 구비된 허리끈을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earing means provides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a shoulder strap provided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and a waist strap provided to be worn on the user's waist.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비말이 타인에게 튀거나 타인의 비말이 사용자에게 튀는 현상을 방지해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infection by providing an independent space to the user to prevent the splashing of the user's droplets to others or the splashing of other people's droplets to the user.

본 고안에 따르면, 등산, 낚시, 걷기 등의 이동 활동에도 비말 차단이 가능하기에 외부 활동 중에도 감염 예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ection even during external activities because it is possible to block droplets even in moving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fishing, and walking.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여 비말을 차단하므로, 스포츠 관람 시 사용하면 내부에서 간단한 취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ndependent space is provided to the user to block droplets, there is an effect that simple eating is possible inside when used when watching sports.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 내부 공간 크기의 확장 축소로 보관, 운반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by expanding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본 고안의 따르면, 거치부가 구비되므로, 간단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there is an effect that simple objects can be mounted.

본 고안의 따르면, 개인들이 다양한 일상적 활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어서 사회적 손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s can safely perform various daily activities, thereby minimizing social damage.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진입구를 저면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프레임부와 폴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폴대가 펴져 있거나(a) 접혀 있는 형상(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전면 개폐부를 나타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측면 개폐부를 나타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개폐부를 포함한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내측에 구비된 착용수단을 도시하기 위해 착용수단과 커버의 후면만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거치부가 프레임부 및 폴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거치부 중 제 2 거치부와 폴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거치부중 제 1 거치부와 프레임부 및 폴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거치부가 정 위치된 모습<a>과 제 2 거치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폴대에 연결된 소정의 각도(r)를 조절한 모습<b>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up at the entran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of the mobi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surface.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portion and the pole of the mobi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hape (b) in which the pole of the mobile portable screen is unfolded (a) or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showing a fron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portable portabl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eft side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showing a sid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portable portabl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portable portabl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only the wearing mean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to show the wear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movable portabl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ovab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rame portion and a pole.
10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 pole among the mounting portions of a mobi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mounting portion, the frame portion, and the pole among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mobi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is properly positioned <a> and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angle (r) connected to the pole is adjusted by moving the second hold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고안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ortable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은 커버(100), 프레임부(200), 착용수단(300) 및 폴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movab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00, a frame portion 200, a wearing means 300, and a pole 400.

커버(100)는 소정의 공간을 만들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말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커버(100)는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프레임부(200)에 의해 지지된다. 상세하게, 커버(100)는 프레임부(200)에 지지됨으로써 프레임부(200)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커버(100) 자체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ver 100 is configured to block droplet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by creat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cover 100 is supported by the frame part 200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In detail, the cover 100 may have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unit 200 by being supported by the frame unit 200 . Alternatively, the cover 100 itself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일례로, 커버(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커버(10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커버(100)를 육면체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목적과 효과 등을 고려하여 구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커버(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For example, the cover 1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In detail, the cover 100 may be provided in a cuboid or regular hexahedron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00 is described based on a hexahedral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hexahedron,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pherical shape in consideration of its purpose and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ll be described as a standard.

또한, 커버(100)는 사용자의 개인 사생활 등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일부 또는 전부가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커버(100)는 사용자가 내부공간에서 외부 공간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를 위해 접을 수 있도록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PVC VINYL 일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r all of the cover 100 may be visually blocked to protect privacy, such as a user's personal privacy. Alternatively, the cover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external space from the internal spac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ree of shape deformation so as to be foldable for carrying, and may be preferably PVC VINYL.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진입구(101)를 저면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커버(100)는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진입구(101)는 사용자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착용하기 위해 내부공간으로 들어 갈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up at the entrance 10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of the mobil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surface. Referring to FIG. 2 , the cover 100 may have an entrance 101 formed so that a user may enter an internal space. The entrance 101 is a configuration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nter the inner space to wear the movable portable screen.

진입구(101)는 커버(10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착용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착용구는 커버(100)의 저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진입구(101)를 통해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entrance 10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100 .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wear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00 so that the movable portable shield can be moved smoothly while wearing it. That is, the user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vable portable screen through the entrance 101.

진입구(101)는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진입구(101)는 그 목적과 효과, 커버(100)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본 고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의 입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entrance 101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or a circle. In detail, the entrance 10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its purpose and effect, the shape of the cover 100, etc.,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rectangular entrance.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커버(100)는 사용자가 외부와 차단되는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하여 비말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커버(100)는 코로나 등과 같은 전염병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When configured as above, the cover 100 can block droplets by positioning the user in an internal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rough this, the cover 100 can safely protect the user from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도 1을 참고하면, 프레임부(200)는 커버(100)를 지지하기위한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1 , the frame portion 2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over 100 .

프레임부(200)는 커버(100)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사각형, 원형, H형 X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우리는 사각형을 일례로 하는데 후술하는 개폐부(110)의 구비를 위해서는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프레임부(20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프레임부(20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부(200)는 직사각형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그 목적과 효과 등을 고려하여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capable of supporting the cover 100 unit. In detail, it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an H shape, an X shape, and the like. In more detail, we take a square as an exampl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quare for the provis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frame unit 2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detail, the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unit 200 is described based on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and polygonal shapes in consideration of its purpose and effect.

프레임부(200)의 절단면은 사각형, 원형, H형 X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고안에서는 절단면이 원 형태이면서 관 형상의 절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 프레임부(200)가 전술한 커버(100)를 지지할 때, 커버(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부(200)의 무게를 줄여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ting surface of the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 circle, an H shape, and an X shape.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surface is described as having a circular cutting surface and a tubular cutting surface. More specifically, when the frame portion 200 supports the above-described cover 100, it is preferable to have a circular shap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over 100,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frame portion 200 to improve portability.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ubular in order to raise it.

한편, 프레임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쌍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한 쌍을 기준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in one pair, but may be further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as nee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based on a pair.

또한, 프레임부(200)는 좌우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한 쌍의 프레임부(200)는 커버(100)의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여 커버(1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커버(100)가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In detail, the pair of frame parts 200 are positioned on facing surfaces of the cover 100 to support the cover 100 so that the cover 100 maintain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프레임부(200)는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커버(100)를 지지하여 내부공간의 형상을 형성하고 유지한다. 이를 통해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확보한다.The fram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ames facing each other and supports the cover 100 to form and maintain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Through this, an internal space is secured so that the user can be located inside.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수단(300)을 도시하기 위해 착용수단(300)과 커버(100)내측의 후면만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착용수단(300)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이동시에도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only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wearing means 300 and the cover 100 to show the wearing mean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wearing means 300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wear a mobile portable screen even when moving.

착용수단(300)은 프레임부(200) 또는 커버(100)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착용수단(300)은 커버(100)의 내부 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착용수단(300)이 후술할 어깨끈(310) 및 허리끈(320)으로 구비되기 위해서는 착용수단(300)은 커버(100)의 내부 면 중 후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aring means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frame part 200 or the cover 100. In detail, the wearing means 30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00 . In order for the wearing means 300 to be provided with shoulder straps 310 and waist straps 320 to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the wearing means 30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00.

한편, 착용수단(300)은 끈 형태 또는 조끼 형태 등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끈 형태의 어깨끈(310) 및 허리끈(320)으로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earing means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o fix the user's body in the form of a string or ves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 shoulder strap 310 and a waist strap 320 in the form of a strap.

착용수단(300)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이동 간에도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하면서도 사용자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어서 비말을 차단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By using the wearing means 300, the user can use the mobile portable screen even while moving. Therefore, while moving, the user can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bile portable shield, thereby preventing infection by blocking droplets.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폴대(400)는 프레임부(200)와 함께 내부공간의 형상을 유지하고, 길이가 단축 또는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축소하거나 확장되도록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pole 400 maintains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together with the frame portion 200, and is shortened or extended to reduce or expand the inner space.

폴대(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폴대(400)의 길이가 단축 또는 연장됨으로써 프레임부(200)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넓어진다. 상세하게, 한 쌍의 프레임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폴대(400)의 일단과 타단은 한 쌍의 프레임부(200)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프레임부(200)의 양측은 프레임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면을 일컫는다. 또한, 폴대(400)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다단식, 탄성줄 방식, 기계적 방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 중공부(210)에 결합 및 분리될 때 고정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탄성줄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e 400 is provided between the frame parts 200 provided as a pair, and as the length of the pole 400 is shortened or extended, the space between the frame parts 200 is narrowed or widened. In detail,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ole 400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rame parts 20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air of frame parts 200, respectively. Here, both sides of the frame unit 200 refer to the surfaces on which the frame unit 200 faces each other. In addition, the pole 400 may be provided in a multi-stage, elastic, mechanical, or the like method to adjust the length.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astic string to facilitate fixing and storage when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llow part 210 described later.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내부 공간의 부피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휴대가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can be adjusted and used efficiently, and the mobile portable screen can be carried.

추가적인 일례로,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부(200)에는 중공부(2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210)는 폴대(400)가 프레임부(20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As an additional example, referring to FIG. 3 , a hollow part 21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rame part 200 . The hollow part 210 is configured to allow the pole 400 to be detachable from the frame part 200.

한 쌍의 프레임부(200)에는 각각 폴대(400)의 수만큼 또는 그 이상의 중공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폴대(400)와 프레임부(200)의 탈부착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한 쌍의 프레임부(200) 각각에 형성된 각각의 중공부(210)인 제 1 중공부(211) 및 제 2 중공부(212)에 폴대(400)의 일단과 타단이 삽입되어 폴대(400)와 프레임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frame parts 200 may have as many hollow parts 210 as the number of poles 400 or more.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detachable position of the pole 400 and the frame portion 200. Referring to FIG. 3 ,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ole 40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art 211 and the second hollow part 212, which are each hollow part 210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frame parts 200.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ole 400 and the frame portion 200.

또한, 폴대(400)는 중공부(2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캡(4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폴대(400)의 일단과 타단 양 측에 고무캡(401)을 장착하여 프레임부(200)의 중공부(210)에 연결시 유격을 줄여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e 4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ubber cap 401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10 and fixed. By mounting rubber caps 401 on both side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ole 400, it can be firmly fixed by reducing the gap when connected to the hollow part 210 of the frame part 200.

따라서, 프레임부(200)에 중공부(210)가 형성되면 프레임부(200)에서 폴대(400)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부피를 줄여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휴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ollow part 210 is formed in the frame part 200, the pole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part 200 to reduce the volume and carry a portable portable shield.

추가적인 일례로, 도 4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폴대가 펴져 있거나(a) 접혀 있는 형상(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고하면, 폴대(400)는 제 1 폴대(410), 제 2 폴대(420), 탄성줄(430) 및 가이드(440)를 포함 할 수 있다. 폴대(400)는 내부공간을 축소할 수 있도록 제 1 폴대(410) 및 제 2 폴대(420)로 분리되도록 구비 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폴대(410)의 일단과 제 2 폴대(420)의 타단을 연결하는 탄성줄(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410)와 제 2 폴대(420)가 연결되었을 때 직선 형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가이드(440)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xample, FIG. 4 is a view showing a shape (b) in which the pole of the movable portable screen is unfolded (a) or folded. Referring to <a> and <b> of FIG. 4 , the pole 400 may include a first pole 410, a second pole 420, an elastic line 430 and a guide 440. The pole 400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pole 410 and a second pole 420 so as to reduce the internal space. In detail, it may include an elastic line 430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ole 4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le 420 . In addition, the first pole 410 and the second pole 420 may include a guide 440 that supports to maintain a straight shape when connected.

가이드(440)는 제 1 폴대(410)의 일단에 고정되며,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 2 폴대(400)의 타단이 가이드(440)의 관 형상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guide 440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pole 410,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le 40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tubular shape of the guide 440.

따라서, 접이식으로 구비되는 폴대(400)를 접어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folding the foldable pole 400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portable screen, it can be conveniently stored or transported.

추가적인 일례로,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500)가 프레임부(200) 및 폴대(40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에는 거치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500)는 사용자가 소정의 물건을 거치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As an additional example,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ame unit 200 and the pole 400. Referring to FIG. 9 , the movable portable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unit 500 . The holder 500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hold a predetermined object.

거치부(500)는 프레임부(200) 또는 폴대(400)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거치부(500)는 프레임부(200) 또는 폴대(400) 등에 끈, 후크, 클립, 중공를 통한 고정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거치부(500)는 컵 홀더로 사용할 수 있는 제 1 거치부(510) 및 손 선풍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제 2 거치부(5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50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200 or the pole 400. In detail, the holder 50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part 200 or the pole 400 in various ways, such as a string, a hook, a clip, or fixing through a hollow.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500 is a cup A first holder 510 that can be used as a holder and a second holder 520 that can be used as a hand fan holder may be provided.

제 1 거치부(510)는 컵 등이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first holding portion 510 is configured to allow a cup or the like to be placed thereon.

제 1 거치부(510)는 프레임부(200) 또는 폴대(400)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거치부(510)는 프레임부(200)의 측면과 저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거치부(510)는 더욱 견고하게 장착되기 위해서는 폴대(400)에도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상세하게,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부(200) 및 폴대(400)에 장착되는 제 1 거치부(510)를 설명한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200 or the pole 400 or the like. In detail,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side surface and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20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is preferably also mounted on the pole 400 in order to be more firmly mount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200 and the pole 400.

도 11 및 도 12는 제 1 거치부(510)가 프레임부(200) 및 폴대(400)에 장착되는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위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 1 거치부(510)는 컵 받침(511), 제 1 스트립(512), 제 2 스트립(513) 및 결착부(514)를 포함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거치부(510)는 컵 받침(511)에 연결되어 프레임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스트립(512), 제 1 스트립(512)에 연결되어 폴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스트립(513) 및 제 1 스트립(512) 또는 제 2 스트립(513)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부(514)를 포함한다. 결착부(514)는 제 1 스트립(512) 또는 제 2 스트립(513)이 프레임부(200) 또는 폴대(4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결착부(514)는 프레임부(200) 및 폴대(400)에 끼움 삽입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결착부(514)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지만, 제 1 스트립(512)의 일단에 제 1 결착부(515)와 타단에 제 2 결착부(516), 제 2스트립의 일단에 제 3 결착부(517)가 구비 되는 것이 제 1 거치부(5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 할 수 있다.11 and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is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200 and the pole 400. Referring to FIGS. 11 and 12 above, the first holding portion 510 may include a coaster 511 , a first strip 512 , a second strip 513 , and a binding portion 514 . In detail, the first mounting part 510 is connected to the coaster 51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rip 512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part 200, and the first strip 512 is connected to the pole 400 ) It includes a second strip 513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strip 512 and at least one binding portion 514 formed on the first strip 512 or the second strip 513. The fastening part 514 i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strip 512 or the second strip 513 to be attached to the frame part 200 or the pole 400 .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portion 514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portion 200 and the pole 400. In more detail, at least one attachment part 514 may be provided, but the first attachment part 515 at one end of the first strip 512 and the second attachment part 516 at the other end, the second strip Having the third fastening part 517 at one end can fix the first holding part 510 more firmly.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 1 스트립(512)을 프레임부(200) 쪽을 향하도록 힘을 가하면 제 1 결착부(515)가 프레임부(20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 1 스트립(512) 및 제 2 스트립(513)을 프레임부(200) 또는 폴대(400)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프레임부(200) 및 폴대(400)에 제 2 결착부(516) 및 제 3 결착부(517)를 장착 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strip 512 toward the frame portion 200, the first coupling portion 515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rame portion 200. In addition, by applying force to the first strip 512 and the second strip 513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200 or pole 400,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516 is attached to the frame portion 200 and the pole 400. And a third coupling part 517 can be mounted.

이와 같이 제 1 거치부(510)를 프레임부(200) 및 폴대(400)에 장착하면, 제 1 거치부(510)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음료를 취식 중 내려놓을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holder 510 is mounted on the frame part 200 and the pole 400, the first holder 51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vable portabl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put down a drink while eating will secure

제 2 거치부(520)는 손 선풍기와 같은 막대 형상의 대상물을 거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holding unit 520 is configured to hold a bar-shaped object such as a hand fan.

제 2 거치부(520)는 프레임부(200) 또는 폴대(400)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손 선풍기는 거치 시 공기의 순환이 될 수 있도록 제 2 거치부(520)는 프레임부(200)의 상단 또는 상측에 위치한 폴대(4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에서는 상측에 위치한 폴대(400)에 장착되는 제 2 거치부(520)를 설명한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200 or the pole 400. In detail, the second holding part 52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pole 400 located at the top or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200 so that air can circulate when the hand fan is mount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mounted on the pole 400 located on the upper side.

도 10은 제 2 거치부(520)가 상단에 위치한 폴대(400)에 장착되는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 2 거치부(520)는 폴대(4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벽면부와, 한 쌍의 벽면부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거치부(520)는 단면이 "ㄷ"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거치부(520)는 폴대(400)에 결합하기 위해 관통구(5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한 쌍의 벽면부는 폴대(400)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5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벽면부 각각에 형성된 관통구(521)에 폴대(400)를 끼워 삽입함으로써 고정하는 구조이다. 관통구(521)가 형성됨으로써 폴대(400)의 축을 기준으로 제 2 거치부(520)를 소정의 각도(r)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폴대(400)의 끝단에는 고무캡(401)이 구비되는데, 각 벽면부의 관통구(521)에 삽입하기 위해 고무캡(401) 부분을 분리하여 삽입한다. 프레임부(200)와 분리된 폴대(400)의 고무캡(401) 부분을 분리하여 제 2 거치부(520)의 관통구(521)를 폴대(400)에 장착하고, 다시 고무캡(401)을 결합할 수 있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520 is mounted on the pole 400 located at the top. Referring to FIG. 10 ,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may include a pair of wall portions into which the pole 400 is inserted, and a support portion connecting each lower end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Accordingly,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may have a “c” shape in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521 to be coupled to the pole 400. In detail, a pair of wall portions may be formed with a through-hole 521 through which the pole 400 is inserted. It is a structure that is fixed by inserting the pole 400 into the through-hole 521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By forming the through-hole 521,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r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ole 400. At this time, a rubber cap 401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le 400, and the rubber cap 401 is separated and inser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521 of each wall portion. The rubber cap 401 of the pole 400 separated from the frame part 200 is separated, the through-hole 521 of the second mounting part 520 is mounted on the pole 400, and the rubber cap 401 is again can be combined.

또한, 제 2 거치부(520)는 선풍기의 막대 형상의 손잡이 등을 삽입 및 거치할 수 있도록 끼움구(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거치부(520)의 지지부에는 선풍기를 끼움 삽입함으로써 거치시키는 끼움구(52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tting 52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so that a bar-shaped handle of an electric fan may be inserted and mounted therein. In detail, a fitting 52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of the second holding part 520 to hold the fan by inserting it.

한편, 제 2 거치부(520)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 될 수 있지만, 실리콘 재질로 구비 되면, 끼움구(522)에 손 선풍기를 삽입할 경우 끼움구(522)의 크기가 유동적으로 조절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손 선풍기 제품을 손쉽게 장착이 가능하며, 손 선풍기를 끼움구(522)에 끼우는 높이를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도 13은 제 2 거치부(520)가 정 위치된 모습<a>과 제 2 거치부(52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폴대(400)에 연결된 소정의 각도(r)를 조절한 모습<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 2 거치부(520)가 폴대(400)에 연결된 소정의 각도(r)를 조절 하여 손 선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의 각도도 조절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lder 520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f it is made of silicon, the size of the fitting 522 can be flexibly adjusted when a hand fa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522.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hand fan products of various specification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 fan inserted into the fitting 522. In addition, FIG. 13 is a picture of the second holder 520 in the correct position <a> and a picture of adjusting the predetermined angle r connected to the pole 400 by moving the second holder 5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t is a drawing showing <b>. Referring to FIG. 13 , the angle of the wind coming out of the hand fan can also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redetermined angle r connected to the pole 400 by the second holder 520 .

이와 같이 제 2 거치부(520)를 설치하게 되면 손 선풍기를 거치하여 내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되고, 더욱 쾌적한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전염병 감염의 위험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한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holding unit 520 is installed, air circulation inside is possible by holding a hand fan, and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is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fection more efficiently.

추가적인 일례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개폐부(111)를 나타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정면도이다.As an additional example, FIG. 5 is a front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showing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개폐부(112)를 나타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좌측면도이다.6 is a left side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showing a side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10)를 포함한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커버(100)에는 개폐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7 , an opening/clos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the cover 100 .

개폐부(110)는 커버(10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비된다. 개폐부(110)는 커버(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폐부(110)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개폐부(110)는 커버(100)의 측면,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개폐부(110)가 커버(100)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형성되거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 과 전면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 양측면에 팔 출입을 위한 측면 개폐부(112), 사용자의 전면에 위치한 전면 개폐부(111)가 모두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opening/closing part 110 is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cover 100 . The opening/closing part 11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100 . In addition, one or more opening/closing parts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In detail, the opening/closing part 11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front part of the cover 100 . In more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ver 100, or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and may be formed on both the side and front por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both the side opening and closing parts 112 and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1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for arm entry and exit on both sides of the us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개폐부(110)는 지퍼, 벨크로, 단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개폐부(110)의 효과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개폐부(110)를 폐쇄했을 때, 비말이 차단될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며, 개폐부(110)를 개방할 때에는 개방의 용이성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고안에서는 지퍼 형식의 개폐부(1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zipper, Velcro, or a button to be opened and closed. In detail, 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ffect and purpose of the opening/closing unit 110 .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is closed, a method in which droplets can be blocked is preferable, and whe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have ease of opening.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of the zipper type.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개폐부(112)를 나타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우측면에 위치한 측면 개폐부(112)는 커버(100)의 좌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우측 팔이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사용자의 반대쪽 팔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맞은편 대칭되는 위치에도 측면 개폐부(1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6 is a left side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showing a side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side opener 112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ser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cover 100 and is provided so that the user's right arm can enter and exit. A side opening/closing part 112 may be further formed at a symmetrical position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user's opposite arm can enter and exit.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개폐부(111)를 나타낸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면 개폐부(111)는 커버(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소정의 물건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전면 개폐부(111)는 제 1 지퍼손잡이 및 제 2 지퍼 손잡이를 포함하여 두개의 지퍼손잡이로 양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5 is a front view of a movable portable shield showing a front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front opening/closing part 1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ver 100 and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receive a predetermined object. In detail,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1 may be provided to open in both directions with two zipper handles including a first zipper handle and a second zipper handle.

따라서, 사용자는 양 측면의 측면 개폐부(112)를 통해 팔을 꺼내 외부에 있는 소정의 물체를 집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면부의 전면 개폐부(111)를 통해 소정의 물건을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take out his arms through the side openings 112 on both sides and pick up a predetermined objec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ser can enter and exit a predetermined object through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of the front part.

추가적인 일례로,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수단(300)을 도시하기 위해 착용수단(300)과 커버(100)내측의 후면만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착용수단(300)은 어깨끈(310) 및 허리끈(320)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xampl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only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wearing means 300 and the cover 100 to show the wearing mean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wearing means 300 may include a shoulder strap 310 and a waist strap 320 .

어깨끈(310)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자의 어깨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허리끈(320)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자의 허리가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shoulder strap 310 is worn by the user so that the user's shoulder is fixed to the movable portable screen. In addition, the waist strap 320 is worn by the user so that the user's waist is fixed to the movable portable screen.

착용수단(300)인 어깨끈(310) 및 허리끈(320)은 상술했듯이, 커버(100) 내부 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세하게, 커버(100)의 내부공간의 후면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허리끈(320)은 버클, 단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버클식으로 구비되는 허리끈(320)을 나타낸 도면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houlder strap 310 and the waist strap 320, which are the wearing means 300, are prefer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00, and in detail, may be provid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100. there is. In addition, the waist strap 320 may be provided to fix the user's waist in various ways such as a buckle or a button. 8 is a view showing a waist strap 320 provided in a buckled manner.

사용자가 어깨끈(310) 및 허리끈(320)을 착용하면 이동시 상하좌우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을 이동하며 사용시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user wears the shoulder strap 310 and the waist strap 320, it is possible to prevent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during movement.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portable shield more stably when moving and using it.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bove claims.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by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고안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고안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exemplary system described above,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 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steps, some steps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or concurrently with other steps as described above. can Fur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s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one or more steps of the flowcharts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커버
101: 진입구
110: 개폐부 111: 전면 개폐부
112: 측면 개폐부
200: 프레임부 210: 중공부
211: 제 1 중공부 212: 제 2 중공부
300: 착용수단 310: 어깨끈
320: 허리끈
400: 폴대 401: 고무캡
410: 제 1 폴대 420: 제 2 폴대
430: 탄성줄 440: 가이드
500: 거치부 510: 제 1 거치부
511: 컵 받침 512: 제 1 스트립
513: 제 2 스트립 514: 결착부
515: 제 1 결착부 516: 제 2 결착부
517: 제 3 결착부 520: 제 2 거치부
521: 관통구 522: 끼움구
100: cover
101: entrance
110: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fron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side opening part
200: frame part 210: hollow part
211: first hollow part 212: second hollow part
300: wearing means 310: shoulder strap
320: waist strap
400: pole 401: rubber cap
410: first pole 420: second pole
430: elastic string 440: guide
500: mounting unit 510: first mounting unit
511 Coaster 512 First strip
513: second strip 514: binding part
515: first attachment part 516: second attachment part
517: third attachment part 520: second attachment part
521: through hole 522: fitting hole

Claims (7)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말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커버(100);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1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
상기 커버(100)의 내부 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착용수단(300);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길이가 단축되거나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축소하거나 확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 cover 100 provid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o block droplet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 pair of frame parts 200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supporting the cover 100;
Wearing means 300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00 and provided to fix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At least one pole 400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rame parts 200 and shortened or extended in length to reduce or expand the inne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table portabl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폴대(4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part 200 is a mobile portabl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hollow parts 210 to which the pole 400 is detachably coupled are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400)는,
제 1 폴대(410) 및 제 2 폴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대(410)의 일단과 상기 제 2 폴대(420)의 타단을 연결하는 탄성줄(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ccording to claim 2,
The pole 400,
Including a first pole 410 and a second pole 420,
A mobile portable shiel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line 430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ole 4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le 4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400)는,
상기 제 1 폴대(410)의 일단에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폴대(410) 및 상기 제 2 폴대(420)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가이드(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ccording to claim 3,
The pole 400,
It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t one end of the first pole 410 and includes a guide 440 provided to fix the first pole 410 and the second pole 42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0) 또는 상기 폴대(400)에 설치되어 소정의 물체가 거치되는 거치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ccording to claim 1,
A mobile portabl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500 installed on the frame portion 200 or the pole 400 to hold a predetermined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ccording to claim 1,
A mobile portable shiel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closing portion 1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100 to be opened or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300)은,
사용자의 어깨로 착용되도록 구비된 어깨끈(310) 및 사용자의 허리로 착용되도록 구비된 허리끈(320)을 포함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means 300,
A mobile portable shield comprising a shoulder strap 310 worn on the user's shoulder and a waist strap 320 worn on the user's waist.
KR2020210002296U 2021-07-20 2021-07-20 Portable moving guard KR2023000021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96U KR20230000219U (en) 2021-07-20 2021-07-20 Portable moving gu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96U KR20230000219U (en) 2021-07-20 2021-07-20 Portable moving gu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19U true KR20230000219U (en) 2023-01-27

Family

ID=8510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96U KR20230000219U (en) 2021-07-20 2021-07-20 Portable moving gu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219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27B1 (en) 2020-05-06 2021-03-12 박정현 saliva spray blo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27B1 (en) 2020-05-06 2021-03-12 박정현 saliva spray blo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1156T3 (en) Camera device
KR20190056722A (en) Foldable Companion Animal Bag with Waist Bag
CA2244146A1 (en) Protective cover for baby seats
US9585449B2 (en) Mobile phone enclosures
US20090023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and Using a Cell Phone
US6216296B1 (en) Apparatus operable as vestment and litter
KR20230000219U (en) Portable moving guard
US20070062995A1 (en) Pack for chairs
US20060243771A1 (en) Shoulder/body harness for carrying devices
US20170112290A1 (en) Chair with Covering
KR101635847B1 (en) Length-adjustable stretcher
US9770085B2 (en) Backpack with electronic device storage and umbrella compartment
KR200467694Y1 (en) Camera holder
KR200480794Y1 (en) Hipseat with a portable bag
JP2017099728A (en) Rucksack for observation
KR100840124B1 (en) Strap for preventing camera from shaking
KR100762450B1 (en) Rucksack combined chair
JP3196780U (en) Upper limb fixture
US8533865B2 (en) Apparatus for changing into and out of suits associated with cold water activities
US20050017039A1 (en) Portable apparatus for carrying a stroller
KR200496492Y1 (en) Bag
KR101940703B1 (en) Bag for dispersion of weight and correction of posture
JP3133640U (en) Camera case
KR20200000080U (en) Pet Bag
CN215584491U (en) Neck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