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214U -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 Google Patents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14U
KR20230000214U KR2020210002275U KR20210002275U KR20230000214U KR 20230000214 U KR20230000214 U KR 20230000214U KR 2020210002275 U KR2020210002275 U KR 2020210002275U KR 20210002275 U KR20210002275 U KR 20210002275U KR 20230000214 U KR20230000214 U KR 202300002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discharge
inlet
connection
embe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268Y1 (en
Inventor
신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기업
신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기업, 신현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기업
Priority to KR2020210002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68Y1/en
Publication of KR20230000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1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6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는 실런트가 내장되는 실런트 내장부, 및 상기 실런트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내장부로부터 상기 실런트를 실런트 토출부에 제공하며 실런트 연결토출부를 포함하는 실런트 내장케이스; 및 상기 실런트 토출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실런트 인입부, 및 상기 실런트 인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실런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실런트 토출부를 포함하는 실런트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다. A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ealant embedding portion in which sealant is embedded, and a sealant embed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alant embedding portion and supplying the sealant from the sealant embedding portion to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including a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including a sealant inlet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into which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sealant discharge portion connected to the sealant inlet portion and discharging the sealant supplied from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length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Description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본 고안은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ant built-in and discharge composite member.

종래, 특허문헌 KR 10-1353999에는 패스너 조립용 실런트 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패스너 조립용 실런트 노즐은 패스너를 밀봉하기 위한 실런트를 가공 홀에 공급하는 패스너 조립용 실런트 노즐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보관용기와 상기 보관용기에서 연장되고, 선단에 경사 면을 갖는 원뿔형 몸체와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며, 상기 실런트를 배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보관 용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실런트를 밀어내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 홀은 상기 패스너가 삽입되는 입구에 테이퍼진(tapered) 면을 갖는 카운터 싱크(countersink)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테이퍼진 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ventionally, Patent Document KR 10-1353999 discloses a sealant nozzle for assembling a fastener. The sealant nozzle for assembling fasteners is a sealant nozzle for assembling fasteners for supplying sealant for sealing fasteners to a processing hole, wherein the sealant nozzle for assembling fasteners has a storage container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alant therein and extends from the storage container, and has a slanted tip. A conical body having a surface, a discharge portion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discharging the sealant, and a piston dispos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pushing the sealant, wherein the processing hole is tapered at an inlet into which the fastener is inserted. A countersink having a tapered surface is provided,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apered surface.

다만, 상기 특허문헌에 의한 패스너 조립용 실런트 노즐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기 어려워 원하는 방향으로 실런트 토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실런트 토출 후 남는 실런트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However, the sealant nozzle for assembling fasteners according to the patent docu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sealant in a desired dire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minimizing the remaining sealant after sealant discharge is not disclos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원하는 방향으로 실런트 토출이 가능하고, 실런트 토출 후 남는 실런트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capable of dispensing sealant in a desired direction and minimizing the amount of sealant remaining after dispensing sealant.

상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task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는 실런트가 내장되는 실런트 내장부, 및 상기 실런트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내장부로부터 상기 실런트를 실런트 토출부에 제공하며 실런트 연결토출부를 포함하는 실런트 내장케이스; 및 상기 실런트 토출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실런트 인입부, 및 상기 실런트 인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실런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실런트 토출부를 포함하는 실런트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다.A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nnected to a sealant embedding portion in which sealant is embedded, and the sealant embedding portion, and provides the sealant from the sealant embedding portion to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and connects the sealant. Sealant built-in case including a discharge unit;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including a sealant inlet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into which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sealant discharge portion connected to the sealant inlet portion and discharging the sealant supplied from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length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실런트 토출이 가능하고, 실런트 토출 후 남는 실런트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sealant in a desired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sealant remaining after the sealant is discharged.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내장케이스와 실런트 토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런트 토출부재가 이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각각 도 2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내장케이스와 실런트 토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내장케이스와 실런트 토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의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member for embedding and dispensing seal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sealant interior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of the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composite member for embedding and discharging sealant according to FIG. 1 .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ealant discharge member of FIG. 1 is us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lant discharge member according to FIG. 4 .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2, respectively.
7 is a view showing a sealant built-in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sealant built-in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of the sealant discharge unit according to FIG. 12 .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the resulting actions and effects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일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일 실시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일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one embodiment,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an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is embodiment only makes the disclosure of an embodiment complet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one embodiment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member for embedding and dispensing seal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는 실런트(Sealant)가 내장되는 실런트 내장부(110), 및 상기 실런트 내장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내장부(110)로부터 상기 실런트를 실런트 토출부재(200)에 제공하며 실런트 연결토출부(120)를 포함하는 실런트 내장케이스(100); 및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120)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실런트 인입부(220), 및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실런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실런트 토출부(210)를 포함하는 실런트 토출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alant embedded portion 110 in which sealant is embedded, and a sealant embedded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sealant embedded portion 110. a sealant internal case 100 providing the sealant to the sealant dispensing member 200 and including a sealant connection dispensing part 120; and a sealant inlet portion 220 into which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120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the sealant connected to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and provided from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120. It may include a sealant discharge member 200 including a sealant discharge unit 210 that discharges to the outside.

실런트 토출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런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토출부(211), 및 제1 토출부(211)와 실런트 인입부(2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토출부(211)와 실런트 인입부(220)를 직접 연결하는 제2 토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unit 211 for discharging the sealant to the outside an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unit 211 and the sealant inlet 220. A second discharge part 215 directly connecting the first discharge part 211 and the sealant inlet 220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재(200)는 실런트 토출 장소 및 상황에 따라 교체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1회성으로 사용되고 폐기될 수 있다. The sealant dispensing memb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sealant dispensing location and situation, and may be typically used once and discarded.

실런트 연결토출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2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이하,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제2 방향)을 따라 상이한 폭을 갖는 부분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상기 상이한 폭을 갖는 부분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 중 큰 폭을 갖는 부분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외면을 따라 휘감아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ealant connection and discharge unit 120 is directed in a direction (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he sealant connection and discharge uni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2 directions) has a structure in which parts having different widths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That is, among structures in which parts having different widths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art 120 are alternately arranged, a part having a large width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t is wound and exten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art 120 .

실런트 인입부(220)는 외면을 따라 휘감아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실런트 인입부(220)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가 삽입 연결될 때, 실런트 인입부(220)는 실런트 연결토출부(120)를 완전히 감싸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런트 인입부(220)는 외관상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유사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실런트 인입부(220)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는 삽입 연결되어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may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120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by winding along an outer surface.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alant inlet 220 and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120 are inserted and connected, the sealant inlet 220 may be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completely surround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12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sealant inlet 22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120 in appearance, the sealant inlet 220 and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120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be strongly fastened.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given later.

도 2는 도 1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내장케이스와 실런트 토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각각 도 2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ealant interior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of the sealant embedding and dispens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FIG. 1 .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2, respectivel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런트 연결토출부(120)는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2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이하,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제2 방향)을 따라 상이한 폭을 갖는 부분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상기 상이한 폭을 갖는 부분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 중 큰 폭을 갖는 부분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외면을 따라 휘감아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220)는 제1 폭을 갖는 제1 연결토출부(121), 및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제2 연결토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토출부(121)와 제2 연결토출부(125)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s described above,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120 intersects a direction (hereinafter, a first direction)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 It has a structure in which portions having different width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That is, among structures in which parts having different widths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art 120 are alternately arranged, a part having a large width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t is wound and exten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art 120 . That is,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unit 2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discharge unit 121 having a first width and a second connection/discharge unit 125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 The first connection/discharge part 121 and the second connection/discharge part 125 may be repeatedly arranged in a direction of the sealant inlet part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런트 인입부(220)는 제1 두께(W220_1)를 갖는 제1 인입부(221), 및 상기 제1 두께(W220_1)보다 큰 제2 두께(W220_2)를 갖는 제2 인입부(225)를 포함하고, 제2 인입부(225)는 실런트 인입부(220)의 외면을 따라 휘감아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면상 상기 제1 인입부(221)와 상기 제2 인입부(225)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6 ,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includes a first inlet portion 221 having a first thickness W220_1 and a second thickness W220_2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W220_1. It may include two inlet portions 225 ,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225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by winding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 In cross section, the first inlet portion 221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225 may be repeatedly arrang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210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

단면상 제1 인입부(221)의 폭(W1)보다 실런트 토출부(210)의 폭(W2)이 더 클 수 있다. In cross section, the width W2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inlet part 221 .

도 3은 도 1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composite member for embedding and discharging sealant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L1)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1 to 3 , a length L1 of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art 120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is equal to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of the sealant inlet part 220. I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2) in the direction towar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런트 내장 케이스(100)의 실런트 연결토출부(120)가 실런트 인입부(220)의 통공 내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경우, 실런트 인입부(220)의 길이(L2)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길이(L1)보다 길기 때문에, 실런트 인입부(220)의 기저부(223)가 실런트 내장부(110)에 직접 접하고, 기저부(223)와 연결되는 실런트 인입부(220)의 일 단부로부터 길이(L2-L1)에 해당하는 실런트 인입부(220)의 중심부까지는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중첩하고,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의 중심부로부터 실런트 인입부(220)의 타 단부까지는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when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art 120 of the sealant built-in case 100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sealant inlet part 220, the length L2 of the sealant inlet part 220 )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art 120, the sealant inlet part 223 of the sealant inlet part 220 directly contacts the sealant internal part 110 and is connected to the sealant inlet part 223. The center of the sealant inlet 220 corresponding to the length (L2-L1) from one end of the 220 overlaps with the sealant connection/outlet 120, and the sealant inlet (220) from the center of the sealant inlet (220). 220) may not overlap with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art 120.

상술한 바와 같이, 실런트 인입부(220)는 제1 인입부(221), 및 상기 제1 두께(W220_1)보다 큰 제2 두께(W220_2)를 갖는 제2 인입부(225)를 포함하고, 단면상 상기 제1 인입부(221)와 상기 제2 인입부(225)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플렉시블한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런트 인입부(220)의 중심부로부터 실런트 인입부(220)의 타 단부까지는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중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무관하게 더욱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실런트 인입부(220)의 타 단부를 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includes the first inlet portion 221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225 having a second thickness W220_2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W220_1, and has a cross-sectional view. Since the first inlet part 221 and the second inlet part 225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ant inlet par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overall flexible characteristics. thi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the sealant inlet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alant inlet 220 do not overlap with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art 120, the corresponding part is more independent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art 120. Since it is flexibl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other end of the sealant inlet 220 in a desired direction by bending it, thereby increasing workability.

도 4는 도 1의 실런트 토출부재가 이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ealant discharge member of FIG. 1 is used.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재(200)의 실런트 토출부(210)는 실런트의 토출양을 제어하기 위해, 실런트 토출부(210)의 일부를 일 방향(또는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5의 커팅 전 실런트 토출부(210)의 타 단부의 토출폭 대비, 커팅 후 실런트 토출부(210)의 타 단부의 토출폭이 증가하여 실런트 토출양이 많은 곳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alant ejection unit 210 of the sealant dispensing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rects a part of the sealant dispensing unit 210 in one direction (or the sealant connection)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sealant discharged. It may be used by cut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1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Through this, the discharg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after cutting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discharg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before cutting in FIG. There is an advantage.

도 5는 도 4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재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lant discharge member according to FIG. 4 .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런트 토출부(210)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1 토출부(211)와 제2 토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부(211)는 제1 폭(W2_1)을 갖고, 제2 토출부(215)는 제2 폭(W2_2)을 가질 수 있다. 제1 토출부(211)의 제1 폭(W2_1)은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작아지고, 제2 토출부(215)의 제2 폭(W2_2)은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토출부(215)의 제2 폭(W2_2)은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지는 정도는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토출부(215)의 제2 폭(W2_2)이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실런트 토출부(210)를 통해 실런트를 토출하고 남은 실런트 잔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실런트 토출부(210)를 통해 실런트를 토출한 후 남는 잔여 실런트 실런트 인입부(220)와 가까운 제2 토출부(215)에 위치하기 때문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unit 211 and a second discharge unit 215 having different widths. The first discharge part 211 may have a first width W2_1,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may have a second width W2_2. The first width W2_1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 decreases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and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may increase along a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outlet 210 . More specifically, the degree of increase of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in a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may gradually decreas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15 increases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210, so that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210 ),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after discharging the sealant. This is because the remaining sealant after the sealant is normally discharged through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is located in the second discharge unit 215 close to the sealant inlet 220 .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내장케이스와 실런트 토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built-in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재(200_1)의 실런트 인입부가 제1 인입부(221)와 통일한 두께를 갖는 제3 인입부(227)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실런트 인입부(220)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7 , the sealant inlet portion of the sealant discharge member 200_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hird inlet portion 227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inlet portion 221, It is different from the sealant inlet 220 according to

제3 인입부(227)의 제2 인입부(225)와 닿는 일 단부로부터 제3 인입부(227)의 타 단부까지는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중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무관하게 더욱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실런트 인입부(220)의 타 단부를 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재(200) 대비, 실런트 인입부 중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중첩하지 않는 부분을 제1 및 제2 인입부(221, 225)와 같이 패터닝하는 공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단축된다는 이점이 있다.Since one end of the third inlet 227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let 225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inlet 227 do not overlap with the sealant connection and discharge unit 120,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connected and discharged with sealant. Since it is more flexible regardless of the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other end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220 in a desired direction by bending it, thereby increasing workability. In addition, in contrast to the sealant discharge member 200 according to FIG. 2 ,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portion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120 like the first and second inlet portions 221 and 225 is performed. Since it is not necessa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 time is shortened.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내장케이스와 실런트 토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built-in case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인입부(227_1)의 폭(W1_1)이 연장 방향을 따라 상이하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제3 인입부(227)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인입부(227_1)의 폭(W1_1)은 실런트 인입부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런트 연결토출부(120)와 중첩하지 않는 제3 인입부(227_1)의 제2 인입부(225)와 닿는 일 단부로부터 제3 인입부(227_1)의 타 단부까지 얇은 폭(W1_1)을 통해 보다 플렉시블해져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실런트 인입부(220)의 타 단부를 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third retraction portion 227_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retraction portion 227 according to FIG. 7 in that the width W1_1 is differen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A width W1_1 of the third inlet portion 227_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gradually decrease along a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por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210 . Through this, a thin width (W1_1) is formed from one end of the third inlet portion 227_1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1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let portion 225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inlet portion 227_1. Through this, the other end of the sealant lead-in part 220 can be easily controlled in a desired direction by being more flexible, so that workability can be increased.

뿐만 아니라, 실런트 토출부(210)를 통해 실런트를 토출하고 남은 실런트 잔여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remaining after the seal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may be further reduced.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210_1)의 제2 토출부(215_1)의 제2 폭(W2_2)이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지는 정도는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1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_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It differs from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in that the degree of increase along the way can gradually increase.

본 실시예와 같이, 실런트 토출부(210_1)의 제2 토출부(215_1)의 제2 폭(W2_2)이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지는 정도는 점차적으로 커짐으로써, 실런트 토출부(210)를 통해 실런트를 토출하고 남은 실런트 잔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1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_1 increases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gradually increases. By increasing to ,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remaining after discharging the sealant through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can be greatly reduced.

도 9에 따른 제2 토출부(215_1)의 길이와 도 5에 따른 제2 토출부(215)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제2 토출부(215_1)의 면적은 제2 토출부(215)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런트 잔여량을 줄일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1 according to FIG. 9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according to FIG. 5 are the same,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 can be smal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as described above.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210_2)의 제2 토출부(215_2)의 제2 폭(W2_2)이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지는 정도가 일정하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10 ,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2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_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a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in that the degree of increase along the line is constant.

본 실시예와 같이, 실런트 토출부(210_2)의 제2 토출부(215_2)의 제2 폭(W2_2)이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커지는 정도가 일정함으로써, 실런트 토출부(210)를 통해 실런트를 토출하고 남은 실런트 잔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width W2_2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2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_2 increases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is constant. By doing so,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remaining after discharging the sealant through the sealant discharge unit 210 can be greatly reduced.

도 10에 따른 제2 토출부(215_2)의 길이와 도 5에 따른 제2 토출부(215)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제2 토출부(215_2)의 면적은 제2 토출부(215)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런트 잔여량을 줄일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2 according to FIG. 1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according to FIG. 5 are the same,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2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 . can be smal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as described above.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210_3)의 제1 토출부(211_1)의 제1 폭(W2_1)이 실런트 인입부(220)로부터 실런트 토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되, 그 작아지는 정도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width W2_1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_1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_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a direction from the sealant inlet 220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art 210.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9 in that the degree of decrease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line.

도 11에 따른 제1 토출부(211_1)의 길이와 도 9에 따른 제1 토출부(211)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제1 토출부(211_1)의 면적은 제1 토출부(21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런트 잔여량을 줄일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_1 according to FIG. 11 and the length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 according to FIG. 9 are the same,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_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 . can be smal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maining amount of sealant as described above.

뿐만 아니라, 대체로 도 9에 따른 제1 토출부(211)의 폭(W2)보다 작기 때문에, 미세한 영역에 실런트를 토출할 때 더욱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 according to FIG. 9 , it may be more advantageous when the sealant is discharged to a minute area.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의 실런트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의 평면도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sealant discharge unit of a sealant embedding and discharging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of the sealant discharge unit according to FIG. 12 .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의 제1 토출부(211_2)의 단부(제1 토출부(211_2)에서 제2 토출부(215_2)를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 단부)가 노출되고(211_2P, 이하 노출부), 평면상 제1 토출부(211_2)와 제2 토출부(215_2)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11에 따른 실런트 토출부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end of the first discharge part 211_2 of the sealant discharg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opposite to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discharge part 211_2 to the second discharge part 215_2) ) is exposed (211_2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posed portion), and the first discharge portion 211_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15_2 on a plane have a wavy shape as shown in FIG. 13, according to FIG. It is different from the sealant discharge part.

도 13에서는 제1 토출부(211_2)의 노출부(211_2P)의 평면 형상과, 제2 토출부(215_2)의 제1 토출부(211_2)와 만나는 부분(215_2P)이 예시되어 있다. In FIG. 13 , the planar shape of the exposed portion 211_2P of the first discharge portion 211_2 and the portion 215_2P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15_2 meeting the first discharge portion 211_2 are illustrated.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일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point should be made clear.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an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an embodiment.

100: 실런트 내장케이스
200: 실런트 토출부재
100: sealant built-in case
200: sealant discharge member

Claims (3)

실런트가 내장되는 실런트 내장부, 및 상기 실런트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내장부로부터 상기 실런트를 실런트 토출부재에 제공하며 실런트 연결토출부를 포함하는 실런트 내장케이스; 및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실런트 인입부, 및 상기 실런트 인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실런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실런트 토출부를 포함하는 실런트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런트 연결토출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은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
a sealant built-in case including a sealant inner portion in which sealant is embedded, and a sealant connection discharge portion connected to the sealant inner portion and supplying the sealant from the sealant inner portion to a sealant discharge member; and
A sealant discharge member including a sealant inlet portion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sealant discharge portion connected to the sealant inlet portion and discharging the sealant supplied from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to the outside. do,
A composite member for embedding and discharging sealant, wherein a length of the sealant connection/discharge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sealant inle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인입부는 제1 두께를 갖는 제1 인입부, 및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제2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입부와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실런트 인입부의 상기 실런트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ant inlet portion includes a first inle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inlet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repeatedly disposed in a direction of the sealant inlet toward the sealant outlet.
제1 항에 있어서,
단면상 상기 제1 인입부는 제1 폭을 갖고, 단면상 상기 실런트 토출부는 제2 폭을 갖되,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큰 실런트 내장 및 토출 복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In cross-section, the first inlet portion has a first width, and in cross-section, the sealant discharge portion has a second width, wherein the second width is larger than the first width.
KR2020210002275U 2021-07-19 2021-07-19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KR2004972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75U KR200497268Y1 (en) 2021-07-19 2021-07-19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75U KR200497268Y1 (en) 2021-07-19 2021-07-19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14U true KR20230000214U (en) 2023-01-26
KR200497268Y1 KR200497268Y1 (en) 2023-09-15

Family

ID=8510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75U KR200497268Y1 (en) 2021-07-19 2021-07-19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68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8983U (en) * 1987-08-11 1989-02-21
KR200399634Y1 (en) * 2005-07-29 2005-10-27 안석호 Silicone hera combined use dischage tube
KR20120007943U (en) * 2011-05-11 2012-11-21 최도수 Silicon nozzle cap and protection cap for silicon hardening prevention
KR20140002139U (en) * 2012-09-1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ilicone of length adjustment type
KR20160000098U (en) * 2014-07-01 2016-01-11 전병남 Rotatable Silicon Nozzle
KR200493066Y1 (en) * 2019-03-14 2021-01-26 주식회사 투엔티원 Nozzle cap fixture for silicone cartridg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8983U (en) * 1987-08-11 1989-02-21
KR200399634Y1 (en) * 2005-07-29 2005-10-27 안석호 Silicone hera combined use dischage tube
KR20120007943U (en) * 2011-05-11 2012-11-21 최도수 Silicon nozzle cap and protection cap for silicon hardening prevention
KR20140002139U (en) * 2012-09-1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ilicone of length adjustment type
KR20160000098U (en) * 2014-07-01 2016-01-11 전병남 Rotatable Silicon Nozzle
KR200493066Y1 (en) * 2019-03-14 2021-01-26 주식회사 투엔티원 Nozzle cap fixture for silicone cartrid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68Y1 (en)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7033B2 (en) Acoustic tube and directional microphone
US9821383B2 (en) Ball end mill
US7934890B2 (en) End mill
KR101104979B1 (en) Drill body for a drill
JP5937147B2 (en) Antenna unit
US9707639B2 (en) Tip dresser
WO2007026648A1 (en) Speaker device
US20150030396A1 (en) Ball end mill with coolant holes
JP5010194B2 (en) Power cord
KR20230000214U (en) Sealant Built-in and Emission Components
KR20190021592A (en) Cutting insert for drilling
US8388269B2 (en) Pin mirror cutter
US2004016325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 hole member
US7632049B2 (en) Hole cutter
JP4712368B2 (en) Connecting elements for sheet pile
JP3221024U (en) Drill structure
JP2011141315A (en) Optical fiber cable
US20020194892A1 (en) Method for forming tube end
JP2703475B2 (en) Flexible circuit
JP6585411B2 (en) Inductor
JP7250404B2 (e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JP3287520B2 (en) Body structure of side sill
EP3812176B1 (en) Tire
JP2024518320A (en) Medical optical fiber with tip protection encapsulation
JPH09158367A (en) Connection structure of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