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56U -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 Google Patents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56U
KR20230000156U KR2020210002190U KR20210002190U KR20230000156U KR 20230000156 U KR20230000156 U KR 20230000156U KR 2020210002190 U KR2020210002190 U KR 2020210002190U KR 20210002190 U KR20210002190 U KR 20210002190U KR 20230000156 U KR20230000156 U KR 20230000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information
food
tag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선미
이택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Priority to KR2020210002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156U/ko
Publication of KR20230000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Smart food tag for band-type baby food management}
본 고안은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에 관한 것이다.
이유식의 경우 대부분 가열되어 조리가 완료된 후 포장되어 출하되기 때문에 가열 조리되지 않은 식재료들에 비해 유통기한이 짧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이유식들은 냉동된 상태로 유통되며, 가정에서도 이를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먹을 때마다 꺼내 데워서 먹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냉동실의 경우 문을 자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이유식과 같은 식품을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보관했다가 취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냉동 상태에서도 곰팡이 및 세균이 충분히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으며, 성인들이 섭취하는 경우에도 건강에 심각한 위해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영유아 취식용 식품의 유통기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태그 밴드를 이용한 태깅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이유식의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그 밴드는 식품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탈착되는 밴드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이용자 기기; 및 상기 다수의 이용자 기기에 의해 태킹되는 태그 밴드;을 이용하며, 영유아용 식품에 사용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식품명과 제조일을 포함하며 상기 태그 밴드와 연동되는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식품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취식 정보를 포함하는 수정된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정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단계;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이용자들이 제공한 상기 발달 정보가 나열되고, 상기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이용자들의 상기 식품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로, 상기 추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밴드 하나의 고유 코드에는 다수 개의 용기에 담긴 식품 정보가 연동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밴드는 상기 이용자 기기에 의해 무선 태그되는 NFC 태그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키, 몸무게, 운동량, 심박수, 혈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 발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암기력 지수, 이해력 지수, 언어 능력 지수, 공간 지각 능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발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영유아 취식용 식품의 유통기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하부 중앙이 상측으로 함입된 이유식 전용 중탕용기에 이용되는 태그 밴드는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기기를 이용한 태깅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및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태깅 시스템의 실시예로, 태그가 용기에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태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 태그가 밴드에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 가능하며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S),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임플란트 관리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용자 기기(A), 식품 용기에 부착되며 무선으로 상기 이용자 기기(A)에 고유 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 밴드(B)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임플란트 관리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자 기기(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란 육아를 하는 부모 또는 보모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 기기를 통해 육아가 섭취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나 발달 정보가 입력될 수 다.
또한, 관리자란 상기 관리 서버(S)를 관리하는 주체로, 다양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에 업로드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W)에는 상기 이용자 기기(A(1)~ A(n))와 상기 관리자 기기(C)가 필요에 따라 다수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는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통해 접속하기 위한 기기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개인 통신 기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기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기기, 개인 정보 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기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별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관리 서버(S)는 이용자 기기(A)와 관리자 기기(B)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91), 상기 이용자 기기(A)로부터 전달받은 식품 정보를 저장하는 식품 정보 저장부(92), 식품 정보를 전달받은 이용자에 의해 육성되는 자제의 개인정보 및 발달 정보를 저장하는 발달 정보 저장부(93), 연산부(94) 및, 이용자 기기(A)와 관리자 기기(B)에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94)는 발달 정보를 분석하고 후술할 추천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의 일 구성인 상기 태그 밴드(T)를 볼 수 있다.
상기 태그 밴드(T)는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의해 태깅됨으로써 고유 코드를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태그 밴드(T)는 용기 하부 중앙이 상측으로 함입된 이유식 전용 중탕용기(Y)에 채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태그 밴드(T)가 이유식 전용 중탕용기(Y)는 냉동실에 보관된 상태에서 그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이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태그 밴드(T)가 여러가지 종류의 식품 용기(or 패키징(P))에 장착된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태그 밴드(T)가 호환될 수 있다.
상기 태그 밴드(T)는 이용자 기기에 의해 무선 태그되는 무전력 방식의 NFC 태그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충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저온의 냉장고 내부에서도 그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태그 밴드(T) 하나의 고유 코드에는 다수 개의 용기에 담긴 식품 정보가 연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같은 메뉴의 식품이 여러 개 동시에 저장될 경우 하나의 태그 밴드(T)를 이용해 경제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고안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용자 기기 A 태그 밴드 B
관리자 기기 C 네트워크 N
관리 서버 S

Claims (5)

  1.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이용자 기기; 및 상기 다수의 이용자 기기에 의해 태킹되는 태그 밴드;을 이용하며, 영유아용 식품에 사용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에 이용되는 스마트 식품 태그에 있어서,
    밴드 타입으로 용기에 장탈착되는 밴드 및 태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밴드는
    식품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밴드 하나의 고유 코드에는 다수 개의 용기에 담긴 식품 정보가 연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밴드는
    상기 이용자 기기에 의해 무선 태그되는 NFC 태그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키, 몸무게, 운동량, 심박수, 혈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 발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KR2020210002190U 2021-07-09 2021-07-09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KR202300001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90U KR20230000156U (ko) 2021-07-09 2021-07-09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90U KR20230000156U (ko) 2021-07-09 2021-07-09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56U true KR20230000156U (ko) 2023-01-18

Family

ID=8510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90U KR20230000156U (ko) 2021-07-09 2021-07-09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1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stillejo et al. An internet of things approach for managing smart services provided by wearable devices
US20160203284A1 (en) Mobile Application for Use With Young Patients Who Have A Chronic Illness
KR102004438B1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Evans et al. Social-psychologic perspective in motivating changes in eating behavior.
Anumala et al. Distributed device health platform us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Koubai et al. Myrestaurant: A smart restaurant with a recommendation system
CN106202855A (zh) 用以于一通信网络中提供定性数据收集的系统及其方法
KR20230000156U (ko) 밴드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KR20230000159U (ko) 스티커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KR20230000157U (ko) 캡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KR20230000158U (ko) 자석타입 이유식 관리용 스마트 식품 태그
KR102183043B1 (ko) 식자재의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67507B1 (ko)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KR20220164116A (ko)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010147A (ko) 식단관리 기능이 있는 영유아 식단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방법
Patil et al. A real time sensor data monitoring system for wireless sensor network
KR20220060681A (ko) 이유식 용기 관리 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
CN108364673A (zh) 方案的执行监督方法及系统
Díaz-Hellín et al. NFC as a childhood obesity treatment tool
Uramowska-Zyto et al.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in Poland--empirical study
Kontogianni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dentification productivity recording and breeding system for the sheep industry
Del Fatto et al. The design of a smart tray with its canteen users: A formative study
Vazquez-Briseno et al. mHealth Platform and Architectures to Provide Nutritional Guidance to Children.
KR102577740B1 (ko) 사용자를 위한 애완 동물의 건강 관리 케어 방법
KR102543133B1 (ko) 유아 식단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