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698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698A
KR20220170698A KR1020210081878A KR20210081878A KR20220170698A KR 20220170698 A KR20220170698 A KR 20220170698A KR 1020210081878 A KR1020210081878 A KR 1020210081878A KR 20210081878 A KR20210081878 A KR 20210081878A KR 20220170698 A KR20220170698 A KR 2022017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consumption
purchase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캣벨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캣벨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캣벨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698A/en
Publication of KR2022017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6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which is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n integrated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obtaining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obtaining a management deadline of at least one of an expiration date, a quality maintenance deadline, and a consumption deadline of the fo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determining an alarm deadline for the food from the management deadline; and transmitting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a consumer terminal at the alarm deadline.

Description

식품 정보 통합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food in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본 발명은 식품 정보 통합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통상 농산물의 품질은 육안으로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값싼 수입 농산물의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속여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수입산이 아니더라도 국내 농산물 및 특산물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지역의 산지를 도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In general,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naked eye, so it often happens that cheap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re sold by deceiving them as domestic products.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imported, there are frequent cases of stealing the production area of a region known to have excellent quality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nd special products.

아울러, 이러한 농산물 및 특산물을 속여 판매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소비자는 구매하려는 식품에 대한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어한다. 그에 따라, 식품에 대한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 정보를 빠르고 편하게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se agricultural products and special products are not sold by deception, consumers want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ion, processing, distribution, and sales process of the food they want to purchas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quickly and conveniently provides information on production, processing, distribution, and sales of food to consumers.

한편, 식품은 신선 식품, 가공 식품 등 다양한 종류에 따라 제조 일자와 유통 기한이 지정되어 있으며, 최근 스마트 냉장고를 통해 이러한 식품의 제조 일자와 유통 기한을 알려주는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최신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냉장고의 경우, 그 가격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date and expiration date of food are designated according to various types such as fresh food and processed food. However, in the case of smart refrigerators incorporating these latest technologi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ice is considerable.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The backgroun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as been prepar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of the invention exist as prior art.

상술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구매한 식품의 통합 관리 정보를 간편한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difficulties, a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management information of purchased food to consumers in a simple manner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소비자 단말을 통해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신선 식품, 가공 식품, 영양제 등 각종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토대로 식품의 알람 기한을 결정해 놓음으로써, 구매한 식품을 폐기시키지 않고 사용/섭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 QR codes or barcodes through consumer terminals, an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results,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various foods such as fresh food, processed food, and nutritional supplements Based on this, we tried to develop a method and device that can be used/ingested without discarding the purchased food by determining the alarm period of the food.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소비자에게 관리 기한에 따른 알람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에 더하여 식품의 소비 추천 정보를 제공한 후, 소비자 단말을 통해 식품의 소비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식품을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As a resul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provide an alarm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erio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in addition to providing foo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n acquire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It was intended to develop a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onsuming

아울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식품 구매 정보와 소비자의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함으로써, 추후 식품 구매 시에 소비자의 식품 소비 성향에 맞게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In addi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dicting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QR code or barcode and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result, to sui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ropensity at the time of future food purchase It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methods and devices for purchasing foo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식품 정보 통합 제공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리 기한으로부터 상기 식품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method is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n integrated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obtaining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among expiration dates, quality maintenance dates and consumption dates of foods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s. Acquiring at least one management deadline, determining an alarm deadline of the food from the management deadline, and sending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a consumer terminal at the alarm deadlin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소비자 단말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식품의 그래픽 객체 인식 정보 및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food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or a seller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and a purchase point of the food.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리 기한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과 상기 식품의 소비 기한의 차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nagement perio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purchase time of the food and a consumption period of the foo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비 추천 정보는, 상기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식사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using the foo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을 나열하여, 둘 이상의 식품 그룹으로 나누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둘 이상의 식품 그룹에서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step of arranging the foods in the order of imminent management period, dividing them into two or more food groups, and transmitt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transmitting may include receiving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food groups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within the management peri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edicting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y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송신된 소비 추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when the transmitte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consumption result are the same, a product usable in the food purchase service is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steps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선호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라 상기 선호 식품 또는 상기 선호 식품과 연관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predict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sumer's preferred fo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and the predicted food consumption patter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preferred food or merchandise sal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토대로 상기 구매 리스트에서 추가할 상품 또는 삭제할 식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edict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obtaining a food purchase list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information on a product to be added or food to be deleted from the purchase list based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알림 기한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기한 내 적어도 2회 이상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관리 기한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알람 기한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otification deadline is a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two or more alarm deadlines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and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nagement deadline, the management from the consumer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transmitting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at the next alarm deadline when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is not received within the deadlin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통신부, 저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하며, 상기 관리 기한으로부터 상기 식품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 상기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processor operab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processor obtains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 shelf life of the food, and acquires at least one management deadline of quality maintenance deadline and consumption deadline, determines an alarm deadline of the food from the management deadline, and transmits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a consumer terminal at the alarm deadlin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소비자 단말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식품의 그래픽 객체 인식 정보 및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food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or a seller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and a purchase point of the food.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과 상기 식품의 소비 기한의 차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purchase time of the food and an expiration date of the foo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비 추천 정보는, 상기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식사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using the foo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나열하여,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으로 나누어 송신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에서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prior to transmitt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lists food purchase information in an order in which the management deadline is imminent, divides the food purchase groups into two or more food purchase group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food purchasing groups, and generate and transmit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receives the food consumption result within the management peri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determines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It may be configured to predict a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된 소비 추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roduct usable in a food purchase service to the consumer terminal when the transmitte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consumption result are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선호 식품을 결정하고, 상기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라 상기 선호 식품 또는 상기 선호 식품과 연관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consumer's preferred food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and the preferred food or the preferred food according to the predicted food consumption pattern.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product sal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o the consum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토대로 상기 구매 리스트에서 추가할 상품 또는 삭제할 식품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obtain a purchase list of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provide information on a product to be added or a food to be deleted from the purchase list based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 기한 내 적어도 2회 이상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알람 기한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재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at least two alarm deadlines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and if the consumer terminal does not receive a result of consumption of the food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the next alarm deadline It may be configured to retransmit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인식된 소비자의 식품 구매 정보에 따라,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이 식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획득되고, 식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관리 기한에 의거한 알람 기한이 생성됨으로써, 소비자는 구매한 식품을 지정된 기한 내에 사용/섭취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식품을 촬영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식품에 대한 관리 기한을 알림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food purchas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a QR code or barcode,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expiration dat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is obtained by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y generating an alarm deadline based on the management deadline, the consumer can use/eat the purchased food within the designated deadline. In particular, consumers can easily be notified of the management deadline for food simply by photographing the food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는 식품의 사용/섭취 알람과 함께 구매한 일자와 관리 기한을 토대로 식품의 소비 기한이 여유로운지, 여유롭지 않은지에 따라 상이한 소비 추천 정보를 확인하여, 식품을 시기 적절하게 사용/섭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r uses the food in a timely manner by checking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is leisurely or not, based on the purchase date and management period along with the use/intake alarm of the food. / can be consumed.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함으로써, 추후 소비자가 특정 식품을 구매하기 전,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촬영하게 될 경우, 소비자에게 식품 소비 패턴을 토대로 특정 식품의 구매를 추천하거나, 식품과 연관된 상품을 제안하거나, 식품의 구매 수량을 제안해주는 등 합리적인 소비를 도울 수 있다. In addition, by predicting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recommends the purchase of a specific food to the consumer based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or It can help rational consumption by suggesting products related to or suggesting the quantity of food to purchas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s,"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refer to one element as It is used onl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element may be na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eg, a first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eg, a second element), the element and the above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eg, a third component) do not exis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phrase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ose operations,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be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n association relationship.

본 명세서의 해석의 명확함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For clarity of interpretation of this specifica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fin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은,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가 소비자가 구매한 식품에 부착된 그래픽 객체를 획득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식품의 관리 정보와 식품의 소비 패턴을 예측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식품이란 채소, 과일, 고기와 같은 신선 식품과 만두, 라면, 밀가루, 설탕, 간장 등의 가공 식품 그리고 영양제와 같이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항목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항목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cquires a graphic object attached to food purchased by a consumer, management information and It can predict food consumption patterns. Here, the food may include all kinds of foods that can be consumed by humans, such as fresh foods such as vegetables, fruits, and meat, processed foods such as dumplings, ramen, flour, sugar, and soy sauce, and nutritional supplement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ems that can be consumed by humans have been mainly described, but items that can be consumed by animals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소비자 단말(100) 또는 소비자 단말(100)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200)은 식품에 부착된 그래픽 객체를 획득하여 소비자 단말(100)에 저장하고, 이를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로는 QR 코드 바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코드, 시리얼 넘버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그래픽 객체 중에서도 QR 코드와 바코드를 통해 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seller terminal 200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100 acquires a graphic object attached to food, stores it in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sends it to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can be sent The graphic object may include a 2D code such as a QR code or a barcode, and may include a 3D code or a serial number according to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through QR codes and barcodes among graphic objects will be described.

소비자 단말(100)은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으며, 판매자 단말(200)은 POS(Point of Sale) 기기와 같이 식품에 부착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판매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The consum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possessed by a consumer purchasing food, and the seller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QR code or barcode attached to food, such as a Point of Sale (POS) device. It may be a terminal possessed by the seller.

소비자 단말(100)은 식품에 부착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촬영하여 식품의 인식 정보와 구매 정보를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200)에 의해 획득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단말(100)은 소비자로부터 판매자 단말(200)로 소비자의 개인 식별 정보(예. 소비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 받음에 따라, 소비자가 구매한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The consumer terminal 100 acquires food recognition informa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or barcode attached to the food, or the QR code or barcode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ller terminal 20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receiving,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can be acquired. For example, the consumer terminal 100 may acquire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purchased by the consumer a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the consumer's mobile phone number) is input from the consumer to the seller terminal 200. .

실시예에 따라, 소비자 단말(100)은 식품의 구매 시점, 식품의 명칭(종류), 수량이 기재된 영수증을 촬영하여,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식품을 직접 구매할 경우, 소비자 단말(100)은 소비자가 현재 소지하고 있는 식품 또는 영수증을 통해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소비자가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식품을 구매할 경우, 소비자 단말(100)은 해당 사이트에서의 구매 내역을 끌어옴으로써,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sumer terminal 100 may capture a receipt describing the purchase time of food, the name (type), and quantity of the food,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receipt to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 That is, when a consumer visits an offline store and directly purchases food, the consumer terminal 100 may obtain food purchase information through the food or receipt the consumer currently possesses. Alternatively, when a consumer purchases food using a website or a mobile application, the consumer terminal 100 may acquir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by pulling purchase details from the corresponding site.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통합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소비자 단말(100) 및 판매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식품 정보 제공용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is a server providing integrated food management information, and may be installed in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seller terminal 200 to provide a web or mobile application for providing executable food information.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 식품의 구매 정보를 통해 해당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관리 기한은 식품의 관리 정보로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가 구매한 식품이 폐기되지 않도록 소비자 단말(100)로 지속적인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obtain food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acquire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the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the corresponding food through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there is. In this case, the food management period is food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inuous notific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so that the food purchased by the consumer is not discard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소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품의 유통 기한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품질 유지 기한 또는 소비 기한을 제공해줌으로써, 소비자가 식품을 적절한 시기 및 조합에 맞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가 식품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제조 과정 또는 유통 과정을 제공해줄 수 있다. That 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the expiration date of food that the consumer can check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100, but also provides the quality of the food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100. By providing a maintenance period or an expiration date, it is possible to help consumers consume food at the right time and combination.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a process of manufacturing or distributing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so that the consumer can safely consume the food.

또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구매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소비자 별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비 모델은 기계학습 알고리즘, 신경망 알고리즘(DNN, RNN, BRDNN), 유전자 알고리즘,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일 수 있으며, 소비 모델을 통해 출력된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은 소비자에게 식품 구매 주기를 알람해주거나,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의 적정 수량, 연관 상품/식품을 제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may predict a food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consumer upon receiving food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 Specificall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may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y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food consump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sumption model may be a learning model learned us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mo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eural network algorithms (DNN, RNN, BRDNN), genetic algorithm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nd through the consumption model. The outputted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can be used to alert the consumer of a food purchase cycle, or to suggest an appropriate quantity of food and related products/foods that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 소비 패턴으로, 소비자 별로 식품 구매 주기에 따라 구매하는 식품의 종류를 구분하여, 그 값을 수치화하고(백분위 계산), 수치화된 값을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어떠한 종류의 식품을 구매하는게 합리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For examp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classifies the type of food purchased according to the food purchase cycle for each consumer as a food consumption pattern, digitizes the value (percentile calculation), and converts the digitized value to the consumer terminal ( 100) can be transmitted. That 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the consumer terminal 100 with guid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at kind of food is reasonable to purchase.

한편,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식품의 종류로는 채소류, 과일류, 육류 외에도 과자류, 빵류 또는 떡류, 농산가공식품류, 당류, 동물성가공식품류,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빙과류, 수산가공식품류, 유가공품, 주류, 조미식품, 즉석식품류 등 기준규격으로 정의된 가공식품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food for predicting food consumption patterns include confectionery, bread or rice cakes,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sugars, animal processed foods, tofu or jelly, noodles, frozen confectionery, seafood processed foods, dairy products in addition to vegetables, fruits, and meat. , alcoholic beverages, seasoned foods, ready-to-eat foods, etc. may be included.

실시예에 따라,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른 식품 구매 주기에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정보와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가 자주 구매하는 선호 식품을 결정하고, 이를 구매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the consumer terminal 100 with a food purchase list in a food purchase cycle according to a food consumption pattern.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determine preferred food that the consumer frequently purchases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and may include it in a purchase list.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식품에 대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식품 소비 패턴을 토대로 특정 식품의 구매 수량을 조절하거나, 연관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receiving QR code or barcod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djusts the purchase quantity of the specific food based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or Can recommend products.

이하에서는, 소비자에게 식품과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that provides consumers with all information related to fo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 a storage unit 320 and a processor 330 .

통신부(3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 또는 판매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관리 기한에 따른 알람, 식품의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31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고, 소비자 단말(100)로 소비 결과를 토대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송신하거나, 소비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한 후, 특정 주기에서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부(31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구매 리스트 또는 구매 예정인 식품에 대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소비자 단말(100)로 미리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른 추가 상품 정보를 송신하거나, 삭제할 식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seller terminal 200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to exchange data.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food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ransmit an alarm according to a food management period and foo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food consumption results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ransmits goods usable in the food purchase service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based on the consumption results, or the consumer consumes food based on the consumption results. After predicting the pattern, the purchase list of food can be transmitted at a specific period. As an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a QR code or barcod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a purchase list of food or food to be purchas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e communication unit 310 according to a food consumption pattern predicted by the consumer terminal 100 in advance. Additional produc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food information to be deleted may be transmitted.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소비자 단말(100)이 아닌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소비자가 구매한 식품의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에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가 제공한 식품 정보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판매자 단말(200)이 소비자를 통해서 소비자 고유의 식별 정보(예. 소비자의 핸드폰 번호, 소비자 식별 번호)를 획득할 경우, 판매자 단말(200)은 인식된 식품의 구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 외에도, 소비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가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이면, 소비자 단말(100) 또는 판매자 단말(200)로 소비자 단말(100)/판매자 단말(200)과의 연결을 시도하고자 하는 알림이 생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비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연결될 경우, 판매자 단말(200)은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인식한 식품의 구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purchased by the consumer from the seller terminal 200 instead of the consumer terminal 100 . Specifically,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seller terminal 200, and accordingly, the seller terminal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 through the consumer. Whe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onsumer's mobile phone number, consumer identification number) is obtained, the sell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food purchase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can In addition to this metho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seller terminal 200 is with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seller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consumer terminal 100 / seller terminal 200 ) may generate a notification attempting to connect. Accordingly, when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seller terminal 200 are connected, the seller terminal 200 transmits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recognized through a QR code or barcode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can be sent to

저장부(320)는 소비자에게 식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20)는 식품 별 관리 기한(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소비 기한)과 관리 기한에 따른 알람 기한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20)는 관리 기한이 24시간인 식품에 대해서는 8시간 전, 12시간 전, 16시간 전 등으로 알람 기한을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 기한이 2일~7일인 식품에 대해서는 1일 전, 3일 전 등으로 알람 기한을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 기한이 30일~50일인 식품에 대해서는 7일, 14일, 21일, 40일 등으로 알람 기한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알람 기한과 알람 횟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의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various data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to consumers. In detail,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management deadlines for each food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deadline, consumption deadline) and alarm deadlines according to management deadlines.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alarm period as 8 hours ago, 12 hours ago, 16 hours ago, etc. for foods with a management period of 24 hours, and for foods with a management period of 2 to 7 days. Alarm deadlines can be stored as 1 day ago, 3 days ago, etc., and alarm deadlines can be stored as 7 days, 14 days, 21 days, 40 days, etc. for foods with management deadlines of 30 to 50 days. In addition, the alarm deadline and the number of alarms may be designated by a manager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or adjusted according to a consumer's choice.

아울러, 저장부(320)는 식품 별 제조 과정, 유통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소비자 고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data on manufacturing processes and distribution processes for each food, and may store consume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뿐만 아니라, 저장부(320)는 소비자 별로 식품의 소비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품질 유지 기한, 소비 기한에 따른 알람을 생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유의 경우, 개봉하지 않은 채 냉장 보관하면 소비 기한이 45일이고, 개봉한 이후에 냉장 보관하면 소비 기한이 14일로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식품의 개봉 여부, 보관 방식에 따라 식품의 품질 유지 기한, 소비 기한이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저장부(320)는 소비자 별로 구매한 식품에 대한 소비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food consumption results for each consumer, which may be used to generate an alarm according to a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an expiration d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milk, the expiration date is 45 days if refrigerated unopened, and the expiration date is reduced to 14 days if refrigerated after opening. In this way,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purchased food for each consum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the food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food is opened or not and how the food is stored.

아울러, 저장부(320)는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a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food consumption results.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부(3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unit 320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capable of storing various data, commands, an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2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SRAM, ROM, EEPROM, PROM, network storag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storage, cloud, and blockchain database.

또한, 저장부(320)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와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부(320)는 소비자에게 식품의 통합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have instructions for operation with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recorded therein. In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unit 320 may have an application (not shown) recorded thereon to provide integrated food management information to consumers.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 및 저장부(32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부(3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식품 별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 알람 기한에 맞게 소비자에게 식품의 사용/섭취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torage unit 32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nd drives applications or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larm period for each food purchased by the consumer, and to perform various commands to provide the consumer with a food use/intake alarm according to the alarm period.

한편, 프로세서(3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330 may correspond to an arithmetic devic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hip (IC) such as a System on Chip (SoC) in which various computing devices are integrated.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330)는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 식품의 구매 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소비자 단말(100) 또는 소비자 단말(100)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식품의 그래픽 객체 인식 정보 또는 식품의 구매 시점을 식품의 구매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obtain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and may obtain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the expiration dat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the fo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Specifically, the processor 330 converts the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of food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seller terminal 200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purchase time of the food as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can be obtained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소비자 단말(100)이 식품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 영수증을 촬영함에 따라 획득된 식품의 종류, 명칭, 제조사 등을 식품의 구매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프로세서(33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한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acquire the type, name, manufacturer, and the like of the food acquired as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s the consumer terminal 100 photographs the QR code, barcode or receipt of the food. In addition to this, the processor 330 may obtain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purchased through a web or mobile applic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판매자 단말(200)이 식품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촬영하고, 해당 식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획득된 식품의 종류, 명칭, 제조사 등을 식품의 구매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200)은 소비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경우나 소비자를 통해 직접 소비자의 개인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 식품의 구매 정보와 소비자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330 records the type, name, manufacturer, etc. of the food acquired as the seller terminal 200 photographs the QR code or barcode of the food and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who purchased the food. can be obtained as purchase information of Here, the seller terminal 200 is the case where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seller terminal 200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or when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umer is obtained directly through the consumer,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and Customer information can be matched.

일반적으로, 과자, 아이스크림 등의 제조 식품, 가공 식품, 수입 식품은 유통 기한이 표시될 수 있으며, 햄버거, 도시락 등 상하기 쉬운 식품이나, 설탕, 소금 등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식품의 경우, 유통 기한이 아닌 제조 일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통조림, 김치, 술 등 장기간 보관해도 부패 우려가 적은 식품의 경우, 품질 유지 기한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소비 기한은 식품의 개봉 여부와 식품의 보관 방식에 따라 유통 기한이 경과한 이후에도 소비자가 섭취할 수 있는 최장 기간을 의미한다. In general, manufactured foods such as sweets and ice cream, processed foods, and imported foods may have expiration dates, and perishable foods such as hamburgers and lunch boxes, or foods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such as sugar and salt, do not have expiration dates. The date of manufacture may be indicated, and the expiration date for maintaining quality may be indicated for foods that are less likely to spoil even after long-term storage, such as canned food, kimchi, and alcohol. In this case, the expiration date means the longest period that a consumer can consume even after the expiration date has elapsed depending on whether the food has been opened and how the food is stored.

이와 같이, 식품의 종류에 따라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이 상이한 바, 프로세서(330)는 식품에 지정된 관리 기한으로부터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 프로세서(330)는 결정된 알람 기한에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관리 기한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연두부의 알람 기한이 2일 남았습니다”와 같은 알람을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fo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the processor 330 determines the alarm period from the management period specified for the food, and the processor 330 communicates the determined alarm perio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food management deadlin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310 .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an alarm such as “2 days left until the alarm deadline for Yondubu”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330)는 관리 기한 내 적어도 2회 이상의 알람 기한을 결정할 수 있으며,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관리 기한 내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100)로 해당 식품의 관리 기한에 대한 알람을 재송신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determine at least two or more alarm deadlines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and if a result of food consumption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is not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next An alarm for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corresponding food may be re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t the alarm due date.

아울러, 프로세서(330)는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관리 기한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소비자가 식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소비 추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식품의 구매 시점과 식품의 소비 기한의 차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 추천 정보는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식품을 조합한 한 끼 식사 구성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330)는 식품의 소비 기한이 여유로운 경우, 식품의 추가 구매가 가능한 레시피 또는 한 끼 식사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로세서(330)는 식품의 소비 기한이 임박하면 식품의 추가 구매를 최소화하거나, 식품의 추가 구매 없는 레시피 또는 식사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provide the consumer terminal 100 with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consumer can use and consume the foo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providing an alarm for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 time of the food and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For example,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a recipe using food or a meal composition combining foods, and the processor 330 may configure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that allows additional purchase of food when the food consumption period is leisurely. can create Conversely, the processor 330 may minimize the additional purchase of food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is imminent, or create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without additional food purchase.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식품에 대하여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나열한 뒤, 식품의 구매 정보를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을 나눈 상태로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a 식품, b 식품, c 식품, d 식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한 번에 획득하고,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b 식품, c 식품, a 식품, d 식품”과 같이 나열한 뒤, “그룹. (b 식품, c 식품), 2. 그룹. (a 식품, d 식품)”과 같이 그룹을 나눈 상태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할 소비 추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ince the processor 330 may obtain purchase inform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two or more types of food are ordered in order of expiration date. After listing the purchase informati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food purchase groups are divided.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acquires purchase information for “a food, b food, c food, d food” at once, and purchases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b food, c food” in order of imminent management period. , a food, d food” and then “group. (b food, c food), 2. group. Food purcha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in a grouped state such as “(a food, d food)”, an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consumer may be determined through this process.

이후,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 내에서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1 그룹 c 식품, 2 그룹 a 식품”과 같은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식품을 메인으로 하면서, 선택받지 못한 나머지 식품 또는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한 끼 식사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rocessor 330 receives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in two or more food purchase groups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can For example, as the processor 330 receives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such as “1 group c food, 2 group a foo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each food is the main food, and the rest of the non-selected food Or you can create a recipe or one-meal composition using additionally purchasable foods.

이와 같이, 프로세서(330)가 소비자에게 관리 기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레시피 또는 한 끼 식사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요리에 능숙하지 않은 소비자들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를 통해 간편하게 한 끼 식사를 구성해낼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or 330 provides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to consumer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eriod, so that even consumers who are not good at cooking can enjo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you can easily organize a meal.

한편,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관리 기한 또는 관리 정보(소비 추천 정보)를 통한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150). 즉, 프로세서(330)는 소비자 단말(100)로 관리 기한을 알람해주고, 소비 추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식품을 폐기하지 않고 사용/섭취하였는지 확인하고자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소비 결과는 완성된 식품의 사진 또는 구매한 식품 중 해당 식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식품의 종류 및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a food consumption result through a management deadline or management information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S150). That is, the processor 330 not only notifies the consumer terminal 100 of a management deadline and provides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ut also consumes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o confirm whether the consumer has used/ingested the food without discarding it. You can receive results. In this case,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may include a picture of the finished food or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food used to make the food among the purchased food.

프로세서(330)는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된 소비 추천 정보와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경우,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소비 결과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진과 소비 추천 정보에 따른 식품의 대표 사진과의 유사도를 계산하거나, 소비자가 해당 식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식품의 종류 및 수량 항목과 소비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항목과의 일치율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각각의 계산 결과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소비 추천 정보와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consump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re the same, the processor 330 transmits goods usable in the food purchase service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provide. The processor 330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photo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representative photo of the foo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or the consumer uses the food used to make the corresponding foo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umption result is the sam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type and quantity of food items and the items included in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330 may determine that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consumption result are the same when each calculation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한편,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는 가상 화폐(예. 포인트)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프로세서(330)는 소비자에게 이득이 되는 다양한 종류의 재화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goods usable in the food purchase service may be virtual currency (eg, points), and in addition to this, the processor 330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goods beneficial to consumers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아울러, 프로세서(330)는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S160). 실시예에 따라, 소비 모델은 기계학습 알고리즘, 신경망 알고리즘(DNN, RNN, BRDNN), 유전자 알고리즘,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일 수 있으며, 소비 모델을 통해 출력된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은 소비자에게 식품 구매 주기를 알람해주거나,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의 적정 수량, 연관 상품/식품을 제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S16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sumption model may be a learning model learned us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mo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eural network algorithms (DNN, RNN, BRDNN), genetic algorithm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nd through the consumption model. The outputted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can be used to alert the consumer of a food purchase cycle, or to suggest an appropriate quantity of food and related products/foods that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프로세서(330)는 식품 소비 패턴으로, 소비자 별로 식품 구매 주기에 따라 구매하는 식품의 종류를 구분하여, 그 값을 수치화하고(백분위 계산), 수치화된 값을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어떠한 종류의 식품을 구매하는게 합리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processor 330 classifies the type of food purchased according to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consumer according to the food purchase cycle, digitizes the value (percentile calculation), and provides the digitized value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so that the consumer can get a guide to deciding what kind of food to buy makes sense.

또한, 프로세서(330)는 식품의 구매 정보와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가 일정 기간(예. 2주, 한 달)동안 가장 많이 구매/소비한 선호 식품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미리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라 선호 식품 또는 선호 식품과 연관된 상품 판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소비자의 선호 식품이 박력분인 경우, 제빵에 사용되는 각종 도구나 계란과 같은 연관 상품, 식품의 판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determine the most purchased/consumed preferred food by the consum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 weeks, 1 month)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and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preferred food or product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ferre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ccording to a food consumption pattern predicted in advance. For example, when the consumer's preferred food is soft flour, the processor 330 may provide sales information of various tools used for baking, related products such as eggs, an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이 외에도, 프로세서(330)는 식품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식품의 구매 리스트에서 추가할 상품 또는 삭제할 식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이전의 소비 결과에 따라 필요했던 식품 또는 상품을 추가 제안하거나, 소비 결과에 따라 섭취량이 적었던 식품을 삭제 제안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processor 33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product to be added or a food to be deleted from the food purchase list acquir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by us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additionally suggest necessary foods or products according to previous consumption results, or may suggest deleting foods that were less consumed according to consumption results.

한편,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식품에 대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일련의 식품들에 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330 may obtain a purchase list of food by receiving QR code or barcod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rial number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By receiving the input information on the foods of the numb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purchase list of foods.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인식된 소비자의 식품 구매 정보에 따라,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이 획득되고, 관리 기한에 의거한 알람 기한이 생성됨으로써, 소비자는 구매한 식품을 지정된 기한 내에 사용/섭취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식품을 촬영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식품에 대한 관리 기한을 알림 받을 수 있다. So fa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food purchas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food QR code or barcode,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the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is obtained, and an alarm deadline based on the management period is generated By doing so, the consumer can use/eat the purchased food within a specified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consumers can easily be notified of the management deadline for food simply by photographing the food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이하에서는 상술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to consumers using the above-described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is a flow chart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S110), 식품의 구매 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 또는 소비자 단말(100)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식품의 그래픽 객체 인식 정보 또는 식품의 구매 시점을 식품의 구매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obtains food purchase information (S110), and determines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the food expiration dat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S120). In detail,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determines the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of food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seller terminal 200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100 or the purchase time of the food as the food. It can be obtained as purchase information.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이 식품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 영수증을 촬영함에 따라 획득된 식품의 종류, 명칭, 제조사 등을 식품의 구매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한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acquire the type, name, manufacturer, etc. of the food acquired as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obtained when the consumer terminal 100 photographs a QR code, barcode or receipt of the food. . In addition to th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obtain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purchased through a web or mobile applic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

다른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판매자 단말(200)이 식품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촬영하고, 해당 식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획득된 식품의 종류, 명칭, 제조사 등을 식품의 구매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200)은 소비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경우나 소비자를 통해 직접 소비자의 개인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 식품의 구매 정보와 소비자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the seller terminal 200 photographs the QR code or barcode of the food, and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who purchased the food to the acquired food type, name, and manufacturer. etc. can be acquired as food purchase information. Here, the seller terminal 200 is the case where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seller terminal 200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or when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umer is obtained directly through the consumer,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and Customer information can be matched.

일반적으로, 과자, 아이스크림 등의 제조 식품, 가공 식품, 수입 식품은 유통 기한이 표시될 수 있으며, 햄버거, 도시락 등 상하기 쉬운 식품이나, 설탕, 소금 등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식품의 경우, 유통 기한이 아닌 제조 일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통조림, 김치, 술 등 장기간 보관해도 부패 우려가 적은 식품의 경우, 품질 유지 기한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소비 기한은 식품의 개봉 여부와 식품의 보관 방식에 따라 유통 기한이 경과한 이후에도 소비자가 섭취할 수 있는 최장 기간을 의미한다. In general, manufactured foods such as sweets and ice cream, processed foods, and imported foods may have expiration dates, and perishable foods such as hamburgers and lunch boxes, or foods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such as sugar and salt, do not have expiration dates. The date of manufacture may be indicated, and the expiration date for maintaining quality may be indicated for foods that are less likely to spoil even after long-term storage, such as canned food, kimchi, and alcohol. In this case, the expiration date means the longest period that a consumer can consume even after the expiration date has elapsed depending on whether the food has been opened and how the food is stored.

이와 같이, 식품의 종류에 따라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이 상이한 바,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에 지정된 관리 기한으로부터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S130), 결정된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관리 기한을 송신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연두부의 알람 기한이 2일 남았습니다”와 같은 알람을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fo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determines the alarm period from the management period specified for the food (S130), and the determined alarm period The management period of foo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S140). For examp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transmit an alarm such as "Yeondubu's alarm deadline is 2 days away"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시점(41)과 식품의 관리 기한을 토대로 소비자 단말(100)로 다음과 같은 알람(42)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소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유기농 어린이 치즈”에 대한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소비자 단말(100)로 “12월 9일 구매 건에 대한 소비 기한이 7일 남았습니다”와 같은 문구가 포함된 알람(43)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기농 어린이 치즈”에 대한 일부 소비 결과를 수신한 경우, 소비자 단말(100)로 “12월 16일 소비/개봉 건에 대한 소비 기한이 3일 남았습니다” 와 같은 문구가 포함된 알람(44)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4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the following alarm 42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based on the purchase time 41 of food and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alarms of differ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nsumption results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organic If the consumption result for "children's cheese" is not received, the consumer terminal 100 may provide an alarm 43 including a phrase such as "7 days remain until the consumption deadline for the purchase on December 9th." , organic children's cheese”, an alarm 44 is sent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with a phrase such as “there are 3 days left for consumption/opening on December 16th.” can provid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관리 기한 내 적어도 2회 이상의 알람 기한을 결정할 수 있으며,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관리 기한 내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100)로 해당 식품의 관리 기한에 대한 알람을 재송신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determine at least two or more alarm deadlines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and if the consumer terminal 100 does not receive a result of food consumption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the next alarm An alarm for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corresponding food may be re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t the due date.

뿐만 아니라,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알람 외에도 식품의 제조 과정 또는 유통 과정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을 통해 획득된 식품의 구매 정보에서 식품의 구매 시점(51)과 식품의 종류 및 수량(52)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비자 단말(100)로 어느 하나의 식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획득한 후에 유통 과정에 대한 정보가 담긴 팝업창(53)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제조 과정, 유통 과정 또는 관리 기한에 대한 알람은 소비자의 설정(예. 신선 식품에 한하여 알림 제공, 한 달 동안 알림 제공)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the consumer terminal 100 with information on a manufacturing or distribution process of food in addition to food alarms. Referring to FIG. 5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check the food purchase time 51 and the type and quantity 52 of the food from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consumer After obtaining purchase information on any one food product through the terminal 100, a pop-up window 53 containing information on a distribution process may be provided. However, here, the alarm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distribution process, or management period may be provided variably according to the consumer's settings (eg, notification provided only for fresh food, notification provided for one month).

아울러,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의 관리 기한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소비자가 식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소비 추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소비 추천 정보는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식품을 조합한 한 끼 식사 구성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에 대한 관리 기한 알림(61)을 제공하면서,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62) 또는 식품의 보관 방식에 대한 추가 정보(63)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so that consumers can use and consume foo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providing an alarm for the expiration date of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Here,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a recipe using food or a meal composition combining food. Referring to FIG. 6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a notification 61 of a management deadline for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 recipe 62 using the food or a storage method of the food ( 63) can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시점과 식품의 소비 기한의 차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소비 기한이 여유로운 경우, 식품의 추가 구매가 가능한 레시피 또는 한 끼 식사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소비 기한이 임박하면 식품의 추가 구매를 최소화하거나, 식품의 추가 구매 없는 레시피 또는 식사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may generate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food purchase point and a food consumption expiration dat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generate a recipe or a meal plan that allows additional purchase of food when the expiration date of food is leisurely. Conversel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minimize the additional purchase of food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is imminent, or create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without additional food purchase.

실시예에 따라,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식품에 대하여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나열한 뒤, 식품의 구매 정보를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을 나눈 상태로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inc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acquire purchase inform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food is ordered in the order of imminent management period. After listing, food purcha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food purchase groups are divided.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다수의 식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한 번에 획득하고,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나열한 뒤, “그룹 1. (소비 기한 1주일 내), 그룹 2. (소비 기한 2주일 내), 그룹 3. (소비 기한 4주일 내)”와 같이 그룹을 나눈 상태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할 소비 추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cquires purchas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at once, lists the purchase information of foods in the order of imminent management period, and then displays “Group 1. (Within 1 week of expiration date), Group 2. (Within 2 weeks of expiration date), Group 3. (Within 4 weeks of expiration date)” Through this process,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consumers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가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 내에서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그룹 1. 풀무원 연두부”와 같은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식품을 메인으로 하면서, 선택받지 못한 나머지 식품 또는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식품(72)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한 끼 식사 구성에 대한 알람(7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 구매 그룹 내에서 메인 식품과 조화되지 못하는 식품이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알림 표시(73)를 생성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Here, whe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receives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in two or more food purchase group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recommends different consumption based on th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created and transmitted. For example, upon receiving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such as “Group 1. Pulmuone silken tofu”,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sets each food as the main food, and the rest of the non-selected food or food that can be additionally purchased ( An alarm 71 for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using 72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generate a separate notification display 73 when there is food that is not compatible with the main food in the food purchase group, and may guide the consumer.

이와 같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가 소비자에게 관리 기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레시피 또는 한 끼 식사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요리에 능숙하지 않은 소비자들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를 통해 간편하게 한 끼 식사를 구성해낼 수 있다.In this wa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consumers with a recipe or a meal composi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eriod, so that even consumers who are not good at cooking can us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300), one meal can be easily composed.

한편,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관리 기한 또는 관리 정보(소비 추천 정보)를 통한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150). 즉,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관리 기한을 알람해주고, 소비 추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식품을 폐기하지 않고 사용/섭취하였는지 확인하고자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소비 결과는 완성된 식품의 사진 또는 구매한 식품 중 해당 식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식품의 종류 및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may receive food consumption results through a management period or management information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S150). That 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not only notifies the consumer terminal 100 of a management deadline and provides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ut also provides information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to confirm whether the consumer uses/ingests food without discarding it. A consumption result of food may be received. In this case,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may include a picture of the finished food or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food used to make the food among the purchased food.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된 소비 추천 정보와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경우, 소비자 단말(100)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제공할 수 있다.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 결과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진과 소비 추천 정보에 따른 식품의 대표 사진과의 유사도를 계산하거나, 소비자가 해당 식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식품의 종류 및 수량 항목과 소비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항목과의 일치율을 계산할 수 있다.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각각의 계산 결과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소비 추천 정보와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consump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re the sam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provides the consumer terminal 100 with goods usable in the food purchase service. ca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picture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the representative picture of foo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or the consumer makes the corresponding foo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umption result is the sam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type and quantity of food items used for food consumption and the items included in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determine that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consumption result are the same when each calculation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한편,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는 가상 화폐(예. 포인트)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에게 이득이 되는 다양한 종류의 재화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goods usable in the food purchase service may be virtual currency (eg, points), and in addition to th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goods beneficial to consumers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there is.

아울러,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S160). 구체적으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 소비 패턴을 통해 소비자 별로 식품 구매 주기에 따라 구매하는 식품의 종류를 수치화하여 계산하고(백분위 계산), 계산된 값(소비자의 식품 소비 성향)을 지정된 식품 주기에 맞게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어떠한 종류의 식품을 구매하는게 합리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may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S160). . Specificall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digitizes and calculates the type of food purchased by each consumer according to the food purchase cycle through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percentile calculation),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value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ropensity) as a designated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ood cycle, the consumer can obtain guid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ich type of food is reasonable to purchase.

또한,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의 구매 정보와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가 일정 기간(예. 2주, 한 달)동안 가장 많이 구매/소비한 선호 식품을 결정할 수 있으며,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미리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라 선호 식품 또는 선호 식품과 연관된 상품 판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의 선호 식품이 박력분인 경우, 제빵에 사용되는 각종 도구나 계란과 같은 연관 상품, 식품의 판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determine the preferred food that the consumer purchases/consumes the mo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 weeks, 1 month)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transmit preferred food or product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ferre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predicted food consumption pattern. For example, when the consumer's preferred food is soft flou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sales information of various tools used for baking, related products such as eggs, an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100 .

이 외에도,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식품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식품의 구매 리스트에서 추가할 상품 또는 삭제할 식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이전의 소비 결과에 따라 필요했던 식품 또는 상품을 추가 제안하는 알람(82)을 제공하거나, 소비 결과에 따라 섭취량이 적었던 식품을 삭제 제안하는 알람(81)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product to be added or a food to be deleted from the food purchase list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by us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an alarm 82 for additionally suggesting necessary food or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vious consumption result, or food whose intake was low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result. An alarm 81 suggesting deleting may be provided.

한편, 식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식품에 대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소비자 단말(100)로부터 일련의 식품들에 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may acquire a purchase list of food by receiving QR code or barcod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and a series of foods from the consumer terminal 100. By receiving input information about , it is possible to obtain a purchase list of foo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는 식품의 사용/섭취 알람과 함께 구매한 일자와 관리 기한을 토대로 식품의 소비 기한이 여유로운지, 여유롭지 않은지에 따라 상이한 소비 추천 정보를 확인하여, 식품을 시기 적절하게 사용/섭취할 수 있다. So far, the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r uses the food in a timely manner by checking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is leisurely or not, based on the purchase date and management period along with the use/intake alarm of the food. / can be consum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소비자 단말
200: 판매자 단말
300: 식품 정보 제공 장치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30: 프로세서
100: consumer terminal
200: seller terminal
300: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10: communication department
320: storage unit
330: processor

Claims (20)

식품 정보 통합 제공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리 기한으로부터 상기 식품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 food information integrated providing device,
Acquiring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acquiring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a shelf life, a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a consumption period of the fo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determining an alarm deadline for the food from the management deadline;
transmitting a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a consumer terminal at the alarm deadlin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소비자 단말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식품의 그래픽 객체 인식 정보 및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urchase information,
The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food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or a seller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and a purchase point of the fo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기한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과 상기 식품의 소비 기한의 차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After the step of sending the management deadline,
Transmitting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 time of the food and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추천 정보는,
상기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식사 구성을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using the fo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을 나열하여, 둘 이상의 식품 그룹으로 나누어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둘 이상의 식품 그룹에서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인,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Prior to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the foods in the order of approaching the management period and dividing them into two or more food group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step of receiving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food groups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와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or 5,
After the step of send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eiving a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within the management peri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Predicting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송신된 소비 추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After receiving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product usable in a food purchase service to the consumer terminal when the transmitte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consumption result are the s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선호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 와
상기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라 상기 선호 식품 또는 상기 선호 식품과 연관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After predict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Determining the consumer's preferred food based on the food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food consumption result; and
Transmitting the preferred food or merchandise sal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dicted food consumption patter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토대로 상기 구매 리스트에서 추가할 상품 또는 삭제할 식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After predict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Acquiring a food purchase list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product to be added or a food to be deleted from the purchase list based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기한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기한 내 적어도 2회 이상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관리 기한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알람 기한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재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otification deadline,
determining a deadline for at least two or more alarms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After the step of sending the management deadline,
If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is not received within the management peri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retransmitting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at the next alarm due date.
통신부;
저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식품의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를 기초로 식품의 유통 기한, 품질 유지 기한 및 소비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한을 획득하며, 상기 관리 기한으로부터 상기 식품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 상기 알람 기한에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communications department;
storage unit;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including,
the processor,
Obtaining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obtaining at least one management period of the shelf life, quality maintenance period, and consumption period of the fo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determining an alarm period of the food from the management period,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a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a consumer terminal at the alarm deadl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소비자 단말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과 기 설정된 범위 내 위치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식품의 그래픽 객체 인식 정보 및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purchase information,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food obtain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or a seller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of the consumer terminal and a purchase point of the fo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품의 구매 시점과 상기 식품의 소비 기한의 차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process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purchase time of the food and an expiration date of the fo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추천 정보는,
상기 식품을 이용한 레시피 또는 식사 구성을 포함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ing a recipe or meal composition using the fo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비 추천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관리 기한이 임박한 순서대로 식품의 구매 정보를 나열하여,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으로 나누어 송신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둘 이상의 식품 구매 그룹에서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식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서로 다른 소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processor,
Before sending the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Listing the purchase information of food in the order of approaching the management deadline, dividing it into two or more food purchase groups, and transmitting it;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nfigured to receiv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food purchasing groups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to generate and transmit different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in food selection information.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소비 모델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을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the processor,
Receiving a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within the management peri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nfigured to predict a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y using a consumption model learned to predict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된 소비 추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소비 결과가 동일한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로 식품 구매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processor,
If the transmitted consump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consumption result are the sam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s configured to provide a product usable in a food purchase service to the consumer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품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선호 식품을 결정하고,
상기 예측된 식품 소비 패턴에 따라 상기 선호 식품 또는 상기 선호 식품과 연관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processor,
Determining the consumer's preferred fo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consumption result of the food;
and transmitting the preferred food or merchandise sal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dicted food consumption patter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식품의 구매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식품 소비 패턴을 토대로 상기 구매 리스트에서 추가할 상품 또는 삭제할 식품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process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nfigured to obtain a purchase list of food from the consumer terminal,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 product to be added or a food to be deleted from the purchase list based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 기한 내 적어도 2회 이상의 알람 기한을 결정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기한 내 상기 식품의 소비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알람 기한에 상기 소비자 단말로 상기 식품의 관리 기한을 재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cessor,
Determine at least two or more alarm deadlines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and resending the management deadline of the 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at a next alarm deadline when the consumer terminal does not receive a result of consumption of the food within the management deadline.
KR1020210081878A 2021-06-23 2021-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KR202201706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78A KR20220170698A (en) 2021-06-23 2021-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78A KR20220170698A (en) 2021-06-23 2021-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698A true KR20220170698A (en) 2022-12-30

Family

ID=8453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878A KR20220170698A (en) 2021-06-23 2021-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6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3457A1 (en) Self-shopping refrigerator
US10207859B2 (en) Nutritional substance label system for adaptive conditioning
US20180284093A1 (en) Trusted Food Traceability System and Method and Sensor Network
US9171061B2 (en) Local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497990B2 (en) Local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10209691B2 (en) Instructions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US20180232689A1 (en) Computer Vision Based Food System And Method
US9069340B2 (en) Multi-conditioner control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US9080997B2 (en) Local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436170B2 (en) Appliances with weight sensor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8851365B2 (en) Adaptive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20130269543A1 (en) System for Managing the Nutritional Content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20130275460A1 (en) Consumer Information System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20130273217A1 (en) Conditioning system for nutritional substances
WO2014210531A2 (en) Local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EP3068695A1 (en) Nutritional substance label system for adaptive conditioning
WO2015069325A1 (en) Multi-conditioner control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WO2015069950A1 (en) Instructions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US11144982B1 (en) System for recommending a meal kit based upon use-by dates and related methods
KR20220170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integrated manner
WO2015195573A1 (en) Multi-conditioner control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Roy et al. Disruptive Technologies: Its Scope in Seafood Processing and Traceability of Fish Products
WO20220041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etzel et al. Smart manufacturing in the food industry
JP2023012953A (en) Commodity sales method and commodity sale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