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562A -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 Google Patents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562A
KR20220170562A KR1020210081565A KR20210081565A KR20220170562A KR 20220170562 A KR20220170562 A KR 20220170562A KR 1020210081565 A KR1020210081565 A KR 1020210081565A KR 20210081565 A KR20210081565 A KR 20210081565A KR 20220170562 A KR20220170562 A KR 2022017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outsole body
sole
buffer memb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7136B1 (en
Inventor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이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도 filed Critical 이상도
Priority to KR102021008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36B1/en
Publication of KR2022017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sole disposed at the external side of a midsole, which constitutes the bottom material of a shoe along with the midsole and an insole. The sho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portion com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 outsole main body adhering to the bottom portion to function as a cushion, wherein buffering members made of a sponge material having higher stretchability than the outsole main body are inserted into the portions of the outsole main body, which correspond to an arch of the sole and a front side of the sole to protrude from a top surface of the outsol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ness of the arch buffering member and the front sole buffering member inserted to protrud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outsole main body is lower than the material of the outsole main body, so that shrinkage deformation occurs initially in the buffering members and then in the outsole main body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ole of a shoe wearer. Accordingly, in particular, when a dynamic load is applied suddenly in walking or running, the load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Description

동적하중 분산기능을 갖는 신발용 아웃솔{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Outsole for shoes with dynamic load distribution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본 발명은 신발의 바닥재를 구성하는 미드솔 및 인솔과 함께 미드솔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아웃솔을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에 접착되어 쿠션기능을 담당하는 아웃솔 본체로 구성하고, 상기 아웃솔 본체 영역의 발바닥 아치 대응 부위와 앞쪽 발바닥 대응 부위에 아웃솔 본체에 비해 신축성이 높은 재질의 완충부재를 아웃솔 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삽입하여 특히 보행이나 주행 간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이 발바닥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지지도록 하는 동적하중 분산기능을 갖는 신발용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sole located outside the midsole together with a midsole and an insole constituting the bottom material of a shoe, and consists of a bottom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 outsole main body that is adhered to the bottom part to play a cushioning function. , A shock absorbing member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elasticity than that of the outsole body is inserted into the arch portion of the outsole body area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front foot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so that the concentrated load applied during walking or running is applied to the entire sole of the foot. It relates to an outsole for shoes having a dynamic load distributing function that allows support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직립 보행을 하는 인간에게 있어 발을 바닥에 디디고 서 있거나 보행 또는 주행하는 동안에 발바닥은 신체의 하중을 떠 안은 상태로 바닥과 접촉하는 까닭에 여타 신체 부위에 비해서 피로 누적이나 부상의 위험이 높을 수 밖에 없다. For humans walking upright, the soles of the feet contact the floor while holding the weight of the body while standing with their feet on the floor or while walking or running, so the risk of fatigue accumulation or injury is higher than other body parts. does not exist.

이에 발바닥을 포함한 발의 보호를 위해 신발을 착용하게 되었는바, 통상적으로 신발은 발등 부위를 감싸는 갑피와 갑피의 하단 주연부에 연결되어 발바닥 부위를 감싸는 바닥부로 이루어져 있다. As a result, shoes are worn to protect the feet, including the soles of the feet. Typically, the shoes consist of an upper covering the instep and a bottom part connected 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upper to wrap the sole.

통상적으로 신발의 바닥부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인솔과 외측에 위치하여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아웃솔 및 인솔과 아웃솔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드솔의 3중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the sole of a shoe is not made of a single layer, but consists of a triple layer structure of an insole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wearer, an outsole located outside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midsole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the outsole.

상기 신발 바닥부의 3중층은 각기 재질을 달리하는 가운데 대략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과 동일한 동일한 평면 형태를 이루어 상하 일체로 접착된 적층체를 이루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While the three layers of the sole of the shoe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ey have the same flat shape as the shape of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and form a laminate that is integrally bonded up and down.

상기 3중층의 바닥부에서 최외곽의 아웃솔은 다양한 물리적 상황에 놓여진 지면과 직접 접촉함에 따라 수밀성의 단단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고, 미드솔은 신축성이 높은 쿠션 재질로 이루어져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의 경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솔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서 안락한 상태에서의 착용이 도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The outermost outsole at the bottom of the triple layer is made of a watertight, hard and durable material as it directly contacts the ground in various physical situations, and the midsole is made of a cushion material with high elasticity,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sole In general, the insole plays a role in promoting wearing in a comfortable state a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wearer's foot.

한편, 근래에는 인체공학을 기반으로 해서 신발의 바닥부를 형성함에 있어 서, 미드솔의 쿠션기능을 통한 단순한 하중의 경감 차원을 넘어서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에 대응해서 적절하게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중분산기능을 갖는 미드솔이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forming the sole of a shoe based on ergonomics, it goes beyond simple load reduction through the cushioning function of the midsole to properly distribute the load in response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sole. A midsole having a load distributing function is known.

그리고, 최근의 새로운 경향으로서 미드솔이 아닌 아웃솔을 쿠션재질로 형성하여 충격완화 내지는 하중분산이 유도되도록 하고 있는바, 그 중 두 가지의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as a recent trend, the outsole, not the midsole, is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to induce shock mitigation or load distribution. Two of the prior patents are as follows.

먼저, 등록특허 제10-0757996호에는 신발의 아웃솔에 의해서 발바닥 전체 영역이 지지되고 또한 완충되도록 하여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밑창으로서, 밑창의 상면에 발바닥의 움푹 파인 종족골 부위를 지지하는 원호상 돌기부를 형성하고, 뒷꿈치 부위에는 뒷꿈치 안착부를 형성하여 뒷꿈치 부위가 부드럽게 감싸진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하고, 밑창의 바닥의 제1,5종족골두 위치에는 완충요홈부를, 가로방향 중앙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넓은 폭의 가로요홈을, 그리고 뒷굽 하부 모서리에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넓게 형성하도록 경사 접지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서 보행 간에 밑창의 접지면적 확대 및 밑창의 부드러운 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고 밝히고 있다. First, Patent Registration No. 10-0757996 discloses a functional shoe sole that supports and cushions the entire area of the sole by the outsole of the shoe so that load or shock is dispersed. A circular arc-shaped protrusion is formed, and a heel seating part is formed on the heel so that the heel is supported in a softly wrapped state. It is revealed that through the structure of forming a horizontal groove of increasingly wide width and an inclined contact portion at the bottom corner of the heel to form a wider grip with the ground, the contact area of the outsole is expanded and the outsole is softly bent during walking.

다음, 등록특허 제10-0851537호에는 전반부와 후반부 및 상기 전반부와 후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대략 발바닥 모양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 위치되도록 중공관 형태의 족궁지지체를 삽입하고, 상기 후반부의 단부에는 쿠션삽입홈을 형해서 에어쿠션을 삽입한 구성의 기능성 신발 밑창이 개시되고 있는바, 상기 기능성 신발 밑창에서는 연결부에 삽입된 족궁지지체에 의해서 보행시 착용자의 아치 부위를 자극 및 보정하여 올바른 발의 발달을 유도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신발 밑창 바닥면의 자연스러운 경사로 인하여 발의 굴림 운동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는 것이 기대된다고 적고 있다. Next, Patent Registration No. 10-0851537 discloses a foot arch support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so as to be positioned from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to the central part in a shoe sole in the shape of a sole consisting of a first half and a second half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inserted, and a cush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half to insert an air cushion, and a functional shoe sole is disclosed. It is expected to stimulate and correct foot development,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naturally maintain foot rolling motion due to the natural slo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of the shoe.

상기 종래 발명들의 신발 밑창 구조는 발바닥의 3차원적 형상에 기인하여 작용하는 하중의 편차를 어느 정도 보상 또는 보정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이와 같은 발명의 신발 밑창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보행하거나 주행하는 등의 동적인 상태에서 증가된 하중이 밑창의 특정 영역에 작용하는 경우에 그 주변 영역으로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기능면에 있어서는 개선 또는 보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It cannot be said that the shoe sole structure of the prior inventions has no utility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mpensate or correct the deviation of the load acting due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ole to some ext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or supplement the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to the surrounding area when the increased load acts on a specific area of the sole in a dynamic state such as walking or running in a shoe equipped with a shoe sole.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신발용 아웃솔과 관련하여 지적되어 오고 있는 단점과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창안된 것으로서, 아웃솔을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에 접착되어 쿠션기능을 담당하는 아웃솔 본체로 구성하고, 상기 아웃솔 본체의 발바닥 아치 대응 부위와 앞쪽 발바닥 대응 부위에 아웃솔 본체에 비해 신축성이 높은 재질의 완충부재를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하여 발바닥의 대부분 영역이 아웃솔에 지지되어 동적하중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아웃솔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with the disadvantages and problems pointed out in relation to the conventional shoe outsole in mind, and the outsole is bonded to the bottom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bottom part to serve as a cushioning function. In addi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elasticity than that of the outsole body is inserted into the arch portion of the outsole body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ole of the outsole body so as to protrude upward so that most of the sole area is supported by the outsole and the dynamic load is distributed.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so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용 아웃솔의 폭 방향을 따라 해당 폭의 길이보다 적은 길이의 다수의 절개선을 형성하여 아웃솔 본체의 영역을 부분 분할함으로써 해당 분할 영역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해서 각 분할 영역의 압축변형이 우선해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동적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아웃솔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incision lines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width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sole for shoes to partially divide the area of the outsole body, so that each divided area corresponds to the load acting on the divided area. It is to provide an outsole in whic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is induced to be performed first, and as a result, the dynamic load is distribut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발바닥 형태를 이루며 뒷꿈치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아웃솔 본체와 상기 아웃솔 본체의 저면에 접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신발용 아웃솔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본체의 발바닥 아치 대응 부위와 앞쪽 발바닥 대응 부위에 아웃솔 본체에 비해 신축성이 높은 완충부재가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되어 동적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용 아웃솔에 의해서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sole for shoes consisting of an outsole body having a sole shape and decreasing in thickness from the heel toward the front and a bottom portion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nd contacting the ground, wherein the outsole body corresponds to the arch of the foot This is achieved by an outsole for shoes in which a buffer member with higher elasticity than the outsole body is protruded upward 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sole and the forefoot to distribute the dynamic load.

상기 아웃솔 본체는 EVA 발포체 등과 같은 신축성 또는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며, 아웃솔 본체의 저면에 접착되는 바닥부는 단단하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서 아웃솔 본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sole body is made of a flexible or cushioning material such as EVA foam, and the bottom portion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outsole body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hard and highly durable, and is preferably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outsole body.

그리고, 상기 아웃솔 본체의 상면 주연부는 윗쪽을 향해서 연장돌출된 테두리핀부로 형성되어 아웃솔 본체의 상면에 적층되는 미드솔 및 인솔의 접착이 상기 테두리핀부를 통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is formed as an edge pin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serves to ensure that the midsole and insol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re smoothly bonded through the edge pin portion.

상기 아웃솔 본체의 아치 부위와 앞쪽 발바닥 부위에는 대략 사각형의 통공부가 형성되어 이들 통공부에 아치 완충부재와 앞발바닥 완충부재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아치 완충부재와 앞발바닥 완충부재는 일예로 EVA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아웃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신축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rch portion of the outsole body and the front sole portion of the outsole body, and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forefoot sole buffer member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se through holes.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are made of, for example, EVA sponge and are configured to exhibit relatively high elasticity compared to the outsole body.

상기 아웃솔 본체 재질의 경도가 50도 내지 60도 범위인 경우에, 상기 완충부재의 경도는 40도 내지 50도 정도로서 약 10도 가량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웃솔 본체와 완충부재에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면 완충부재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압착(또는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Whe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outsole body is in the range of 50 degrees to 60 degrees, the hardness of the buffer member is about 40 degrees to 50 degrees, which is preferably about 10 degrees lower. Therefore, when the same load is applied to the outsole body and the buffer member, relatively more compression (or contraction) of the buffer member occurs.

상기 완충부재는 이들이 삽입되는 아웃솔 본체의 두께에 비해서 두텁기 때문에 완충부재가 아웃솔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충부재들의 상면은 주위의 아웃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아치 완충부재와 그 주위의 아웃솔 본체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2.8 - 4.2mm가 바람직하고, 앞발바닥 완충부재와 그 주위의 아웃솔 본체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2.8 - 3.2mm가 바람직하다. Since the buffer members ar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sole body into which they are inserted, the upper surfaces of the buffer members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surrounding outsole bodies when the buffer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outsole body. At this tim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round it is preferably 2.8 - 4.2 mm,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orefoot buff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round it is preferably 2.8 - 3.2 mm.

이때, 상기 아치 완충부재는 발뒤꿈치 쪽에 비해 반대편(앞쪽) 쪽이 주위의 아웃솔 본체 상면과 더 큰 높이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일예로 아치 완충부재의 발뒤꿈치 쪽은 아웃솔 본체 상면과 3mm의 높이 차이를 보임에 비해 반대편은 4mm의 높이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아치 완충부재의 높이는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더라도 아웃솔 본체의 높이가 전방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줄어듦에 기인한다. At this time, the opposite (front) side of the arch buffer member has a greater height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round it compared to the heel side. For example, the heel side of the arch buffer member shows a height difference of 3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while the opposite side shows a height difference of 4 mm. due to the progressively decreasing

앞발바닥 완충부재의 경우에도 앞쪽으로 갈수록 아웃솔 본체 상면과의 높이 차이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긴 하나 상기 아치 완충부재에 비해서는 차이가 훨씬 적다. Even in the case of the forefoot buffer memb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increases toward the front, but the difference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arch buffer member.

한편, 상기 완충부재들은 자체 높이를 갖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서, 아치 완충부재의 경우에는 뒤꿈치 쪽에 비해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약간 확개된 형태가 바람직하고, 앞발바닥 완충부재의 경우에는 반대로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드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members are approximately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its own height, and in the case of the arch buffer member, the width is preferably slightly expanded toward the front compared to the heel side, and in the case of the forefoot buffer member, on the contrary, the width increases toward the front A narrower form is preferred.

다음, 상기 아웃솔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해당 폭의 길이보다 적은 길이의 다수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아웃솔 본체 영역을 부분적으로 분할한다. 이때 상기 절개선은 아웃솔 본체의 양편 가장자리로부터 약 1 - 2cm 안쪽에 종단점이 위치한 상태로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그 깊이는 아웃솔 본체의 상면에서 저면에 이르기까지 전체 두께에 걸치게 된다. Next, a plurality of cut lines having a length less than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width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to partially divide the outsole body area. At this time, the incision line is formed with a length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end point located inside about 1-2 cm from both edges of the outsole body, and its depth spans the entire thicknes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

상기 절개선은 아웃솔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다수 개가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 그 형성 위치는 일예로 아웃솔 본체의 뒷꿈치 영역에 2개, 상기 아치 완충부재와 앞발바닥 완충부재 사이에 1개 그리고 앞발바닥 완충부재 형성부위에 2개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incision line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t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For example, two are formed in the heel area of the outsole body, one is formed between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forefoot sole buffer member, and two are formed in the forefoot sole buffer member formation area.

한편, 상기 절개선은 그 시작점(또는 단부)을 직각으로 연장해서 절개하여 그 절곡단부가 아웃솔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하중의 작용에 의한 변형과정에서 절개선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과적으로는 아웃솔 본체의 완전한 분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cision line extends its starting point (or end) at right angles and cuts it so that the bent end fac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so that the incision lin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deformation process by the repeated action of the load. As a result, it is prevented from leading to complete division of the outsole body.

상기 아웃솔 본체는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선에 의해서 단일 영역이 아닌 다수의 소분할 영역으로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아웃솔 본체에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그러한 국부적인 하중이 가해진 소분할 영역에서의 우선적인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변형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작용된 하중을 수용함과 아울러 인접한 여타의 소분할 영역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The outsole body exists as a plurality of subdivided areas rather than a single area by a plurality of incisions formed therein, and accordingly, when a local load is applied to the outsole body, the subdivided area to which the local load is applied It accommodates the load applied in the process of preferential and relatively large deformation in and distributes it to other adjacent subdivided areas.

본 발명은 아웃솔 본체의 상면에 돌출된 상태로 삽입된 아치 완충부재와 앞발바닥 완충부재의 경도가 아웃솔 본체의 재질에 비해서 낮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에의 하중 작용시에 우선적으로 이들 완충부재의 수축변형이 일어난 연후에 아웃솔 본체의 변형이 일어나게 됨에 따라 특히 보행이나 주행 상태에서 급격한 동적하중이 가해지는 때에 효과적으로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dness of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insert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sole body, these buffer members preferentially shrink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ole of the shoe wearer. As the deformation of the outsole body occurs after the deformation occurs, especially when a sudden dynamic load is applied in a walking or running state, the load is effectively distribu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아웃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아치 완충부재가 신발 착용자의 아치 부위 발바닥을 지지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통해서 가해지는 하중의 상당 부분이 아치 완충부재의 변형에 의해서 수용됨으로써 보행이나 주행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하중의 작용의 결과로 수반되는 발뒤꿈치 부위의 통증이나 족저근막의 손상을 예방 내지는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ch buffer membe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supports the arch of the foot of the shoe wear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oad applied through the wearer's heel is accommoda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arch buffer member, so that walking or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or alleviating pain in the heel area or damage to the plantar fascia accompanying the repetitive load applied to the heel during driv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아웃솔 본체는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그러한 국부적인 하중은 절개선에 의해서 형성된 소분할 영역에서 우선적인 변형이 발생하면서 작용된 하중이 수용됨과 아울러 인접한 여타의 소분할 영역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어 안락한 느낌의 착용감이 지속된다. In addition, when a local load is applied to the outsol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load is preferentially deformed in the small divided area formed by the incision line, and the applied load is accommodated and other adjacent small divided areas The load is distributed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mitted to the body, so the comfortable feeling of wearing is maintain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아웃솔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아웃솔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에 인솔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폭방향 단면도이고,
(나)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ure 2;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sole is coupled to th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신발용 아웃솔의 전반적인 구조 및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결합관계 등과 관련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아웃솔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을 통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tters related to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outsole for shoes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re clear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the outsole for sho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아웃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아웃솔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First,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0)은 아웃솔 본체(20)와 아웃솔 본체(20)의 저면에 접착되어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바닥부(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outso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outsole body 20 and a bottom portion 30 that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and directly contacts the ground.

상기 아웃솔 본체(20)는 일예로 EVA 발포체로 성형되어 쿠션 특성을 갖는 바, 쿠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경도는 50도 내지 60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5도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 본체(20)의 저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부(30)은 상기 아웃솔 본체(20) 보다는 얇은 두께의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저면에는 논슬립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sole main body 20 is molded of, for example, EVA foam and has cushioning properties, and the hardness as an indicator of cushioning properties is preferably 50 to 60 degrees, more preferably 55 degrees. 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30 integrally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a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thinner and more durable than the outsole body 20, and a protrusion for non-slip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아웃솔 본체(20)는 뒷꿈치 부위로부터 앞쪽(발가락 부위)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되는바, 일예로 뒷꿈치 부위의 아웃솔 본체 두께가 2cm 정도라면 전단부측의 두께는 그 절반인 1cm가 되도록 완만하게 두께의 감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아웃솔 본체(30)의 상면은 뒷꿈치 부위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완만한 하향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The outsole body 20 made of the elastic material is gradually thinner from the heel to the front (toe).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outsole body at the heel is about 2 cm, the thickness of the front end is half The thickness is gradually reduced to 1 cm.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30 forms a gentle downward slope from the heel to the front.

한편, 아웃솔 본체(20)의 발바닥 아치 부위 대응 영역과 앞쪽 발바닥 부위 대응 영역에는 대략 사각형의 아치부 통공(21)과 앞발바닥부 통공(22)이 형성되어 이들 통공(21)(22) 각각에 아치 완충부재(41)와 앞발바닥 완충부재(42)가 삽입된 다. 상기 아치 완충부재(41)와 앞발바닥 완충부재(42)는 EVA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아웃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신축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substantially rectangular arch through hole 21 and a forefoot through hole 22 are form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foot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sole of the outsole body 20, and each of these through holes 21 and 22 The arch buffering member 41 and the forefoot buffering member 42 are inserted. The arch buffer member 41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42 are made of EVA sponge and are configured to exhibit relatively high elasticity compared to the outsole body.

즉, 아웃솔 본체(20) 재질의 경도가 50도 내지 60도이면, 상기 완충부재(41) (42)의 경도는 40도 내지 50도 정도로서 약 10도 가량이 낮게 유지되도록 해서 동일한 하중이 가해질 때 아웃솔 본체(20) 부위에 비해 상기 완충부재 (41)(32)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더 많은 압축 변형이 유도되도록 구성한다. That is, if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outsole body 20 is 50 to 60 degrees, the hardness of the buffer members 41 and 42 is about 40 to 50 degrees, so that when the same load is applied by keeping it about 10 degrees low Compared to the outsole main body 20, more compressive deformation is preferentially induced in the areas of the buffer members 41 and 32.

상기 아치 완충부재(41)와 앞발바닥 완충부재(42)는 이들이 삽입되는 아웃솔 본체(20)의 두께에 비해서 두텁기 때문에 이들 완충부재(41)(42)가 아웃솔 본체 (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충부재들의 상면은 주위의 아웃솔 본체에 비해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아치 완충부재(41)와 그 주위의 아웃솔 본체(20)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2.8 - 4.2mm가 범위가 적당하고, 앞발바닥 완충부재(42)와 그 주위의 아웃솔 본체(20)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2.8 - 3.2mm가 적절하다. 상기 완충부재 상면과 아웃솔 본체 상면 사이의 높이 차이 범위는 신발 착용자가 돌출 상태의 완충부재가 발바닥에 접촉하여도 이물감이나 거부감이 없는 가운데 본연의 하중 분산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범위로서, 이러한 수치한정 범위는 높이 차이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많은 횟수에 걸쳐서 시험하여 얻어진 결과치이다. Since the arch buffer member 41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42 ar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sole body 20 into which they are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se buffer members 41 and 42 are inserted into the outsole body 20 The upper surfaces of the buffer members are in a protruding state compared to the surrounding outsole body. At this tim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arch buffer member 4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around it is appropriately in the range of 2.8 to 4.2 mm,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around it. A height difference of 2.8 - 3.2 mm is appropriate. The height difference rang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is a range in which the original load distribution function is smooth while the shoe wearer does not feel a foreign body or a sense of rejection even when the protruding buffer member contacts the sole of the foot, and this numerical limit range is the result obtained by testing many times while varying the height difference in various ways.

이때, 상기 아치 완충부재(41)는 발뒤꿈치 쪽에 비해 반대편(앞쪽) 쪽이 주위의 아웃솔 본체(20) 상면과 더 큰 높이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일예로 완충부재의 발뒤꿈치 쪽은 아웃솔 본체 상면과 3mm의 높이 차이를 보임에 비해 반대편은 4mm의 높이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아치 완충부재(41)의 높이는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더라도 아웃솔 본체(20)의 상면 높이가 전방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향 경사져서 낮아짐에 기인한다. At this time, the opposite (front) side of the arch buffer member 41 shows a larger height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outsole body 20 than the heel side. For example, the heel side of the buffer member shows a height difference of 3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whereas the opposite side shows a height difference of 4 m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lopes gently downward toward the front.

앞발바닥 완충부재(42)의 경우에도 앞쪽으로 갈수록 아웃솔 본체(20) 상면과의 높이 차이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긴 하나 상기 아치 완충부재(41)에 비해서는 차이가 훨씬 적다. Even in the case of the forefoot buffer member 42,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increases toward the front, but the difference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arch buffer member 41.

한편, 상기 완충부재(41)(42)들은 자체 높이를 갖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서, 아치 완충부재(41)의 경우에는 뒤꿈치 쪽에 비해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약간 확개된 형태이고, 앞발바닥 완충부재(42)의 경우에는 반대로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드는 형태가 되는바, 이는 아웃솔 본체(20)의 길이방향에 따른 폭의 변화(더욱 정확하게는 발바닥의 형상)에 따른 자연스런 결과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members 41 and 42 are approximately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their own height, and in the case of the arch buffer member 41, the width is slightly expanded toward the front compared to the heel side,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42 ), on the contrary,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ont, which is a natural result of the change in width (more precisely, the shape of the s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20.

다음, 상기 아웃솔 본체(20)의 폭 방향을 따라 해당 폭의 길이보다 적은 길이의 다수의 절개선(23)이 형성되어 아웃솔 본체 영역을 부분적으로 분할 구성한 다. 이때 상기 절개선(23)은 아웃솔 본체의 양편 가장자리로부터 약 1 - 2cm 안쪽에 종단점이 위치한 상태로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그 깊이는 아웃솔 본체의 상면에서 저면에 이르기까지 전체 두께에 걸치게 된다. Nex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20, a plurality of incision lines 23 having a length less than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width are formed to partially divide the outsole body area. At this time, the incision line 23 is formed with a length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end point located inside about 1 - 2 cm from both edges of the outsole body, and the depth is the entire thicknes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body. will get caught

상기 절개선(23)은 아웃솔 본체(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incision lines 23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20 .

한편, 상기 절개선(23)은 그 시작점(또는 단부)을 직각으로 연장해서 절개해서 그 연장단부가 아웃솔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단부(23a)로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인 하중의 작용과 변형과정에서 절개선(23)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과적으로는 아웃솔 본체(20)의 분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cision line 23 extends its starting point (or end) at right angles and cuts it to form a bent end part 23a so that the extended end fac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thereby repetitive load action and deformation process. The incision line 23 extends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sequently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plitting of the outsole body 20 .

다음,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에 미드솔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폭방향 단면도이고, (나)는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50)은 아웃솔 본체(20)의 상면 가장자리부와 아웃솔 본체(20)의 테두리핀부 (24)와 접착면을 형성한 상태로 아치 완충부재(41) 및 앞발바닥 완충부재(42)를 포함한 아웃솔 본체(20)의 상면에 덧씌워진 상태로 된다. Next,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midsole is coupled to th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the midsole 50 is the outsole body (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including the arch buffer member 41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42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edge portion and the edge pin portion 24 of the outsole body 20 and the adhesive surface are formed. become overlai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41)(42)의 상면과 아웃솔 본체(20)의 상면 사이에는 높이 차이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미드솔(50)의 저면과 아웃솔 본체(20)의 상면 사이에서 서로 접착이 되지 않고 들떠서 공간부(V)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s 41 and 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there is a mutual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The space portion V is formed by floating without adhesion.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발용 아우솔이 적용된 신발에서 하중의 분산 및 발바닥 보호가 이루어지게 되는 메커니즘은 아래와 같다. In the shoes to which the insole for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pplied, the mechanism for distributing the load and protecting the sole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아웃솔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하고 정지된 상태로 서 있는 경우, 아웃솔 본체(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아치 완충부재(41)가 착용자의 아치 부위와 탄성적으로 접촉을 이루면서 수축변형이 유도되어 발뒤꿈치에 집중되는 하중의 부분적인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며, 앞발바닥 부위에서도 앞발바닥 완충부재(42)의 우선적인 접촉 및 변형 과정을 통해 동 영역에서도 어느 정도의 하중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When wearing shoes to which th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tanding still, the arch buffer member 4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20 elastically contacts the wearer's arch and induces contraction deformation. As a result, partial dispersion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heel is achieved, and even in the forefoot portion, a certain degree of load dispersion is achieved in the same area through the process of preferential contact and deformation of the forefoot cushioning member 42.

다음, 본 발명의 아웃솔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걷거나 주행을 하는 동적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정지간에 비해서 상당히 증가된 하중이 발뒤꿈치 부위나 앞발바닥 부위에 집중된 상태로 아울솔로 전달된다. Next, when a dynamic load of walking or running for a long time is applied while wearing shoes to which th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significantly increased load compared to the stopping period is concentrated on the heel or forefoot area and is transmitted to the outsole.

이러한 경우에,발뒤꿈치 부위에 작용하는 국부적인 하중은 그 앞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우선적으로 그리고 더 많은 변형량으로 수축변형하는 아치 완충부재 (41) 쪽으로 하중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즉 결과적으로 하중의 분산이 일어나게 된다. In this case, the local load acting on the heel area is formed to protrude in front of it, and the support of the load is made toward the arch buffer member 41, which shrinks and deforms preferentially and with a greater amount of deformation, that is, as a result, the load dispersion will occur.

그리고, 앞발바닥 부위가 먼저 지면에 닿는 보행이나 주행시에는 앞발바닥 부위의 아웃솔 영역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전달되는데, 이렇게 전달된 하중은 상기 앞발바닥 완충부재(42)가 우선적으로 변형하며 또한 더 많은 변형량으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walking or running, in which the sole of the forefoot first touches the ground, the load is intensively transferred to the outsole area of the sole of the foot. In the process of deformation, the load is distributed.

이에 더하여, 아웃솔 본체(2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선(23)에 의해서 단일 영역이 아닌 다수의 소분할 영역으로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아웃솔 본체(20)에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그러한 국부적인 하중이 가해진 소분할 영역에서의 우선적인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변형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작용된 하중이 수용됨과 아울러 인접한 여타의 소분할 영역으로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outsole body 20 exists as a plurality of subdivided areas rather than a single area by the plurality of incisions 23 formed therein, and thus the outsole body 20 has a local load acting.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preferential and relatively large deformation in the small divided area to which such local load is applied, the applied load is accommodated and distributed to other adjacent small divided areas.

10. 아웃솔
21. 아치부 통공
22. 발바닥부 통공
23. 절개부
23a. 절곡단부
30. 바닥부
41. 아치 완충부재
42. 앞발바닥 완충부재
50. 미드솔
10. Outsole
21. Arch through
22. Through the sole of the foot
23. Incision
23a. bent end
30. Bottom
41. Arch buffer member
42. Forefoot buffer member
50. Midsole

Claims (4)

발바닥 형태를 이루며 뒷꿈치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아웃솔 본체와 상기 아웃솔 본체의 저면에 접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신발용 아웃솔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본체의 발바닥 아치 대응 부위와 앞발바닥 대응 부위에 아웃솔 본체에 비해 신축성이 높은 아치 완충부재와 앞발바닥 완충부재가 아웃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하중 분산기능을 갖는 신발용 아웃솔.
In the outsole for shoes consisting of an outsole body having a sole shape and decreasing in thickness from the heel toward the front, and a bottom portion adher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body to contact the ground;
A shoe having a dynamic load distribu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arch buffer member and a forefoot buffer member having higher elasticity than the outsole body are inserted into the arch portion of the outsole body and the portion of the forefoot portion of the outsole body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for outs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본체 재질의 경도는 50도 내지 60도이고, 상기 아치 완충부재와 앞발바닥 완충부재의 경도는 40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하중 분산기능을 갖는 신발용 아웃솔. The outsole for shoes having a dynamic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rdness of the outsole body material is 50 to 60 degrees, and the hardness of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forefoot buffer member is 40 to 50 degree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완충부재와 그 주위의 아웃솔 본체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2.8 - 4.2mm이고, 앞발바닥 완충부재와 그 주위의 아웃솔 본체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2.8 - 3.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기능을 갖는 신발용 아웃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arch buff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round it is 2.8 - 4.2mm,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orefoot buff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body around it is 2.8 - 3.2mm. Outsole for shoes with a characteristic load distribu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해당 폭의 길이보다 적은 길이의 다수의 절개선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기능을 갖는 신발용 아웃솔.


The outsole for shoes having a load distributing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incisions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width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sole body.


KR1020210081565A 2021-06-23 2021-06-23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KR102537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65A KR102537136B1 (en) 2021-06-23 2021-06-23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65A KR102537136B1 (en) 2021-06-23 2021-06-23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62A true KR20220170562A (en) 2022-12-30
KR102537136B1 KR102537136B1 (en) 2023-05-26

Family

ID=8453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565A KR102537136B1 (en) 2021-06-23 2021-06-23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42B1 (en) * 2023-09-04 2024-02-21 주식회사 알타핏 Functional shoes that can help relieve plantar fasciitis, spine pain, and knee pain with a windlass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58A (en) *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보스산업 Shoes with arch support
KR100942678B1 (en) * 2007-11-01 2010-02-16 박문환 Sole of shoes having
KR200462847Y1 (en) * 2012-05-16 2012-10-05 (주)나닥스가족 Outsole capable of protecting genu and correcting genu varum
KR20160001214U (en) * 2014-10-02 2016-04-12 (주) 거림케미칼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58A (en) *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보스산업 Shoes with arch support
KR100942678B1 (en) * 2007-11-01 2010-02-16 박문환 Sole of shoes having
KR200462847Y1 (en) * 2012-05-16 2012-10-05 (주)나닥스가족 Outsole capable of protecting genu and correcting genu varum
KR20160001214U (en) * 2014-10-02 2016-04-12 (주) 거림케미칼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42B1 (en) * 2023-09-04 2024-02-21 주식회사 알타핏 Functional shoes that can help relieve plantar fasciitis, spine pain, and knee pain with a windlass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36B1 (en)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1959B2 (en)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US9259050B2 (en) Footwear with orthotic midsole
US6658766B2 (en)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US4783910A (en) Casual shoe
US9504293B2 (en) Outsole with extendable traction elements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US919220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US9737111B2 (en)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KR100884659B1 (en) Mid-sole for a shoes with impact dispersion and round walking function
US20240082681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durometer outsole and directional cleat pattern
KR20040087320A (en) Anti-roll arch support insole
US20180343965A1 (en) Footwear and the manufacture thereof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KR102371476B1 (en) dynamic insole
US1139959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uxetic sole structure having a filled auxetic aperture
KR102537136B1 (en) Shoe outsole having a function of dispersing dynamic load
US11388951B2 (en) Sole for an item of footwear having progressive damping
KR102123523B1 (en) Sole for pain relief
JP7397871B2 (en) shoes
JPH05199907A (en) Shoe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