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537A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537A
KR20220170537A KR1020210081500A KR20210081500A KR20220170537A KR 20220170537 A KR20220170537 A KR 20220170537A KR 1020210081500 A KR1020210081500 A KR 1020210081500A KR 20210081500 A KR20210081500 A KR 20210081500A KR 20220170537 A KR20220170537 A KR 20220170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index
area
walking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임
최원규
Original Assignee
비에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537A/en
Publication of KR2022017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alculating a living index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calculating a living index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a plurality of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a data pre-processing unit which sets a walking area based on at least one target house among a plurality of houses through pre-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and a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which calculates information on the parks located within walking distance among the plurality of parks and calculates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neighborhood for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more objective living index and standard of living in a forest area.

Description

산림 빅데이터에 기반한 생활지수 산출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forest big data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본 발명은 생활지수 산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생활지수에 기초하여 숲세권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cal idea of calculating a living index of a forest subregion by using forest big data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a forest subregion based on the calculated living index. .

통상적으로, 부동산은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가 부동산을 확인하기 위해 부동산이 위치한 장소에 직접 방문하여야 하며, 거래가 이루어지더라도 계약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계약당사자(매도인 및 매수인 또는 임대인 및 임차인)들이 서로 만나서 계약을 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Usually, since real estate is fixed in a specific place, the buyer must visit the place where the real estate is located to check the real estate. Transactions are made by meeting each other and making contracts.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거래방식은 구매자가 부동산 매물을 직접 방문하여 매물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함과 동시에 거래 체결 시 계약당사자(판매자, 구매자 및 중개인)들이 동일한 장소, 날짜 및 시간대에 직접 만나야만하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이 많아 시간이 과도하게 지체되며, 일정이 맞지 않는 경우 계약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ransaction method, the buyer must visit the real estate property to visually check the property status, and at the same time, the parties to the contract (seller, buyer, and broker) must meet in person at the same place, date, and time when signing the transaction. Due to time and space constraints, time is excessively delayed, and contracts are delayed when schedules do not match.

이에, 최근에는 상술한 오프라인 거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망을 통해 부동산 거래 및 임대 정보를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ccordingly,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offline transactions, various studies on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s that provide real estate transaction and rental information to connected users through a network have been conducted.

기존 부동산 중개 플랫폼은 부동산매물에 대한 정보(위치, 교통정보, 가격, 형태, 크기, 층수, 매매형태, 주변시설 등)를 접속된 유저(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매매정보의 열람을 통해 자신의 매매조건에 부합하는 매물을 1차적으로 선택 하도록 지원한다. Existing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s provide information on real estate sales (location, traffic information, price, shape, size, number of floors, sales type, surrounding facilities, etc.) to connected users (buyers), so that buyers can trade without directly visiting the site. Supports the primary selection of a property that meets one's trading conditions through the viewing of information.

한편, 부동산 시장에서는 역세권, 학세권에 이어 숲세권 여부가 신규 분양 시장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나, 기존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서는 숲세권에 대한 부동산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의 숲세권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al estate market, following station and school areas, whether or not forest area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new pre-sale market. However, in the existing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information on forest areas 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the real estate market for forest areas is provided. unable to provide

구체적으로, 기존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서는 아파트 인근의 공원 정보(일례로, 공원까지의 최단거리, 이동시간 및 최대면적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일회성으로 숲세권 아파트 홍보만으로 숲세권 정보를 이용하고 있을 뿐, 숲세권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이에 따른 숲세권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existing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is onl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forest area by promoting a service that provides park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park, travel time and maximum area) in the vicinity of the apartment and a one-time promotion of the apartment in the forest area. However, it fails to provide an accurate evaluation of the forest subregion and information on the forest subreg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21662호,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거 환경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21662, "Residential environment search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public big data" 한국등록특허 제10-1781890호, "부동산 중개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1890, "Real Estate Brokerage System"

본 발명은 도보 중심의 생활 반경 내에 자연친화적 공간에 관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인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ving index calculat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alculating a more objective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in a forest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a nature-friendly space within a walking radius of life.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에 기초하는 숲세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 중개 플랫폼의 정보제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capability of a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by providing forest influ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forest influence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원 및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복수의 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택을 기준으로 하는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및 복수의 공원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공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공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a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ouses through pre-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A data pre-processing unit that sets the walking area based on the target house of the target house and calculates information on parks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mong a plurality of parks, and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the forest neighborhood living index for the target house It may include a life index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처리부는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의 출입구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 내에 위치한 영역을 도보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pre-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data on a plurality of houses, and sets an area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dius based on the calculated location of the entrance as the walking range area.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공원에 대한 데이터는 도시공원 정보, 산책길 정보, 생태문화길 정보 및 지천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for a plurality of park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ity park information, promenade information, eco-cultural road information, and jicheon road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calculates the living index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can be calculated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는 도보권 영역과 도시공원 정보에 기초하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도보권 영역과 산책길 정보에 기초하는 산책 생활권 지수, 도보권 영역과 생태문화길 정보에 기초하는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도보권 영역과 지천길 정보에 기초하는 지천 생활권 지수를 산출하고,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is an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based on walking area and city park information, a walking living area index based on walking area and walking trail information, and an ecological culture based on walking area and ecological cultural path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living area index, the walking area area, and the branch road information, and the forest area living area index can be calculated through calculation based on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walking living area index,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branch living area index. there is.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생활권 지수를 합산하여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forest zone living index by applying predetermined weights to each of the city park living zone index, walking living zone index, ecological and cultural living zone index, and tributary living zone index, and adding the weighted living zone indexes. can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는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a standard score for the living index in the forest area, and calculate a standard score for the forest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데이터 수집부에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원 및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데이터 전처리부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복수의 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택을 기준으로 하는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생활지수 산출부에서 복수의 공원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공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공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a plurality of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in a data collection unit, and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in a data pre-processing unit. Setting a walking area based on at least one target house among a plurality of houses, and calculating information on a park located within a walking range among a plurality of parks in a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and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and calculating a living index of the forest sub-region for the target house.

일측에 따르면,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의 출입구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 내에 위치한 영역을 도보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setting the walking area is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data on a plurality of houses, and to set an area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dius based on the calculated location of the entrance to the walking area. can be set to

일측에 따르면,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is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Based on this, the living index can be calculated.

일측에 따르면,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in the forest neighborhood may calculate a standard score for the forest neighborhood living index, and calculate a forest neighborhood living grade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보 중심의 생활 반경 내에 자연친화적 공간에 관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인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a more objective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in a forest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a nature-friendly space within a walking-centered living radius.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산출된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에 기초하는 숲세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 중개 플랫폼의 정보제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information provision capability of the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by providing forest influ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of the forest influenc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에서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iving index calcul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tting a walking range area in a living index cal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amples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and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a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used only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When a (e.g.,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a component refers to said 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m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nfigured to (or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changed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hardware or software ,"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can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Also, the term 'or' means 'inclusive or' rather than 'exclusive or'.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That is, unless otherwise stated or clear from the context, the expression 'x employs a or b' means any one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are expressed in singular or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s presented.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singular or plural expressions are selected appropriately for the presented situ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ingular or plural components, and even components expressed in plural are composed of a singular number or , Even component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n be composed of plural.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contain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iving index calcul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100)는 도보 중심의 생활 반경 내에 자연친화적 공간에 관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인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calculate a more objective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in a forest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a nature-friendly space within a walking-centered living radius. .

또한, 생활지수 산출장치(100)는 산출된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에 기초하는 숲세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 중개 플랫폼의 정보제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100 can improve the information providing capability of the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orest influence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living index and standard of living in the forest influence area.

이를 위해, 생활지수 산출장치(100)는 데이터 수집부(110), 데이터 전처리부(120) 및 생활지수 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iving index calcula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data collection unit 110, a data pre-processing unit 120, and a living index calculating unit 130.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10)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원 및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llect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a plurality of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예를 들면,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는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주택에 대한 기본정보 및 주소 위치 요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본 정보는 복수의 주택 각각에 대응되는 시군구 코드, 법정동 코드, 법정동 주소, 단지 코드, 단지명 및 세대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data on a plurality of houses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and address location summary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multi-family house and a single house, where the basic information is a city/gun/gu cod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use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information of a legal dong code, a legal dong address, a complex code, a complex name,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또한,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및 기숙사 중 적어도 하나의 주택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artment hou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artment, a row house, a multi-household house, and a dormitory.

또한, 복수의 공원에 대한 데이터는 도시공원 정보, 산책길 정보, 생태문화길 정보 및 지천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산책길 정보는 근교산자락길 정보, 단풍길 정보, 벚꽃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ity park information, promenade information, eco-cultural path information, and branch road information, where the promenad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suburban mountain trails, foliage path information, and cherry blossom roads. It may contain mor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복수의 공원에 대한 데이터는 서울시 도시공원 현황 정보, 서울시 산책로/주제별 도보 코스 정보(즉, 산책길 정보, 생태문화길 정보, 한강/지천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city parks in Seoul and information on trails/thematic walking courses in Seoul (ie, information on walking trails, ecological and cultural trails, and information on Han River/Jicheon roads).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처리부(120)는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복수의 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택을 기준으로 하는 도보권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The data pre-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et a walking range based on at least one target house among a plurality of houses through pre-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예를 들면, 전처리부(120)는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가공을 통해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이상치를 제거하고, 데이터 필터링 및 이에 따른 파생 변수를 생성하며, 데이터 필터링 및 생성된 파생 변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원 및 주택에 대한 정보를 이차원(2D) 및/또는 삼차원(3D) 지도 상에 공간화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processing unit 120 removes outliers outsid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through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filters data and creates a derived variable accordingly, and based on the data filtered and generated derived variabl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ks and houses may be spatialized on a two-dimensional (2D) and/or three-dimensional (3D) map.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처리부(120)는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의 출입구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 내에 위치한 영역을 도보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pre-processing unit 120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data on a plurality of houses, and sets an area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dius based on the calculated location of the entrance to the walking range area. can be set

예를 들면, 타겟 주택의 출입구는 주택 건물의 출입구 및 주택 단지의 정문 및 후문 출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임계반경은 500m 내지 1km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ntrance of a house building and a front gate and a back gate of a housing complex, and a preset critical radius may be 500 m to 1 km.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처리부(120)는 지도 상에 공간화된 복수의 주택 중 타겟 주택의 좌표를 기준점으로 하는 거리 연산을 통해 500m 내지 1km의 반경을 갖는 영역을 도보권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ata pre-processing unit 120 may set an area having a radius of 500 m to 1 km as a walking area through distance calculation using coordinates of a target house as a reference point among a plurality of houses spatialized on a map.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복수의 공원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공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공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lculates information on a park located within a walking range among a plurality of parks, and calculates a living index in a forest neighborhood for a target house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can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산책길, 생태문화길 및 지천길)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fe index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walking path, ecological cultural path, and branch road)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calculated city park Based on the total area of the forest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alculated walking course,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can be calculated.

예를 들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 및 도보 코스를 산출하고, 산출된 도시공원 및 도보 코스에 대한 교차분석(intersect)을 수행하여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도보 코스의 총길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교차분석은 필지 단위 또는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셀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a city park and a walking course located within a walking area, and intersects the calculated city park and walking course to determine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walking course. The total length of can be calculated, where the cross analysis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parcels or units of cell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구체적으로,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보권 영역과 도시공원 정보에 기초하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도보권 영역과 산책길 정보에 기초하는 산책 생활권 지수, 도보권 영역과 생태문화길 정보에 기초하는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도보권 영역과 지천길 정보에 기초하는 지천 생활권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is based on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walking area and city park information,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walking area and walking trail information, and the walking area and ecological cultural path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area of walking area and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예를 들면,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수치화한 정보를 의미하고, 산책 생활권 지수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산책로나 자락길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수치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ity park living area index means information digitizing the ease of access to city parks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digitizes the ease of access to trails or trails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can mean information.

또한,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자연생태 코스 및 트래킹 코스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수치화한 정보를 의미하고, 지천 생활권 지수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강(일례로, 한강)과 지천 주변의 산책로 및 운동코스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수치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cological and cultural life zone index means information that quantifies the ease of access to natural ecology courses and tracking courses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Jicheon living zone index is located around rivers (eg, the Han River) and Jicheon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It may mean information that quantifies the ease of access to walking trails and exercise courses.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기준값의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를 방지하고 동일한 정도의 스케일(중요도)로 반영되도록 정규화(normalization)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을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prevents overflow or underflow of the reference value and utilizes a normalization technique so that it is reflected on the same scale (importance), urban park living area Each index, walking living area index,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local stream living area index can be calculated.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시 공원의 총면적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테이블, 산책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산책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산책 생활권 지수 테이블, 생태문화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테이블 및 지천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천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지천 생활권 지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stores a city park living zone index table for storing a plurality of urban park living zone index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area value of the city park, and a plurality of strolling living zone index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walking trail. A walking living area index table, an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eco-cultural trails, and a Ji-cheon living area index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Ji-cheon living area index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s of the provincial roads. Using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the walk living area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respectively.

보다 구체적으로,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 공원의 총면적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n index corresponding to the total area value of city parks located within walking distance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city park living zone index table as the city park living zone index for the target house.

또한,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산책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산책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산책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n index corresponding to a total length value of a walking trail located in a walking living area among indexes stored in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table as a walking living area index for a target house.

또한,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생태문화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n index corresponding to a total length value of an eco-cultural living area located within a walking distance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eco-cultural living zone index table as an eco-cultural living zone index for the target house.

또한,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지천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영 내에 위치한 강/지천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지천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n index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river/district road located within the walking range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Jicheon living zone index table as the Jicheon living zone index for the target house.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zone through calculation based on the urban park living zone index, the walk living zone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zone index, and the tributary living zone index.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생활권 지수를 합산하여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applies preset weights to each of the urban park living zone index, walking living zone index, ecological cultural living zone index, and tributary living zone index, and adds up the weighted living zone indexes to live in the forest zone. index can be calculated.

예를 들면,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의 가중치는 0.7로 설정되고,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의 가중치는 0.1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is set to 0.7, and the weight of each of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may be set to 0.1.

다시 말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 0.7) + (산책 생활권 지수 * 0.1) +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 0.1) + (지천 생활권 지수 * 0.1)'의 연산의 결과를 숲세권 생활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iving index calculator 130 calculates the result of '(city park living zone index * 0.7) + (walking living zone index * 0.1) + (ecological culture living zone index * 0.1) + (jicheon living zone index * 0.1)'. can be calculated as the index of living in the forest area.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 및 도보 코스의 개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숲세권 생활지수에 산출된 도시공원 및 도보 코스의 개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개수 가중치(α)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숲세권 생활지수(즉, 숲세권 생활지수 * α)를 산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number of city parks and walking courses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sets a predetermine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ity parks and walking courses calculated in the calculated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By assigning a weight (α), a weighted forest neighborhood living index (ie, a forest neighborhood living index * α) may be calculated.

한편,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는 하기 표1을 이용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 standard score for a living index in a forest neighborhood, and calculate a living grade in a forest neighborhood for a target house using Table 1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일측에 따르면,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최적화 분류 방법의 하나인 Jenks natural breaks optimization 기법을 활용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 living grade in a forest neighborhood for a target house by utilizing Jenks natural breaks optimization technique, which is one of optimization classification methods.

구체적으로, Jenks natural breaks optimization는 데이터 분류 방법론 중의 하나로 단계 구분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며, 임의로 등급을 나눈 후, 최적화된 값을 만족할 때까지 객체의 등급을 하나씩 조정하는 연산 반복을 수행하여 등급 내 분산 최소화, 등급 간 분산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법은 정량화할 수 있는 동질성(quantifiable homogeneity)과 통계적 클러스터 개념(cluster concept in statistics)을 기초로 한 최적화된 등급화(classification) 방법으로 실세계에 분포하는 현상을 분류하는 데 적합하여 공간분석 활용 분야에서 주로 활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Jenks natural breaks optimization is one of the data classification methodologies and is a technique mainly used for classifying. After randomly classifying, it repeats an operation that adjusts the class of objects one by one until the optimized value is satisfied. Minimize variance and maximize variance between classes. In addition, this technique is an optimized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quantifiable homogeneity and the cluster concept in statistics, and is suitable for classifying phenomena distributed in the real world for spatial analysis. It can be mainly used in the application field.

최종적으로 생활지수 산출부(130)는 타겟 주택의 숲세권 생활지수 및 숲세권 생활등급을 포함하는 숲세권 정보를 타겟 주택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inally,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130 may provide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house with forest neighborhood information including the forest neighborhood living index and the forest neighborhood living grade of the target house.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에서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tting a walking range area in a living index cal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00은 타겟 주택(아파트)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을 기준으로 설정된 도보권 영역을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 2 ,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walking range area set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ical radius based on a target house (apartment).

참조부호 200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는 지도 상에 공간화된 복수의 주택 중 타겟 주택(아파트)의 좌표를 기준점으로 하는 거리 연산을 통해 500m 내지 1km의 반경을 갖는 영역을 도보권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200, the living index cal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alks an area having a radius of 500m to 1km through distance calculation using the coordinates of a target house (apartment) as a reference point among a plurality of houses spatialized on a map. You can set the volume area.

또한, 생활지수 산출장치는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공원)의 총면적과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단풍길, 벚꽃길, 생태문화길, 한강지천길 및 근교산자락길)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calculates the total area of city parks (parks)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s (maple road, cherry blossom road, ecological culture road, Han River branch road and nearby mountain trail)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calculated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can be calculated.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다시 말해, 도 3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후 도 3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other words,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S. 1 and 2, and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 FIGS. 1 and 2 among contents described through FIG.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데이터 수집부에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원 및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in step 310, in the method for calculating a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ata collection unit may collect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a plurality of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예를 들면,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는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주택에 대한 기본정보 및 주소 위치 요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본 정보는 복수의 주택 각각에 대응되는 시군구 코드, 법정동 코드, 법정동 주소, 단지 코드, 단지명 및 세대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data on a plurality of houses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and address location summary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multi-family house and a single house, where the basic information is a city/gun/gu cod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use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information of a legal dong code, a legal dong address, a complex code, a complex name,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또한,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및 기숙사 중 적어도 하나의 주택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artment hou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artment, a row house, a multi-household house, and a dormitory.

또한, 복수의 공원에 대한 데이터는 도시공원 정보, 산책길 정보, 생태문화길 정보 및 지천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산책길 정보는 근교산자락길 정보, 단풍길 정보, 벚꽃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ity park information, promenade information, eco-cultural path information, and branch road information, where the promenad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suburban mountain trails, foliage path information, and cherry blossom roads. It may contain more information.

다음으로, 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데이터 전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택을 기준으로 하는 도보권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Next, in step 320, in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ata pre-processing unit pre-processes the collected data to set a walking area based on at least one target house among the plurality of houses. .

구체적으로, 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가공을 통해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이상치를 제거하고, 데이터 필터링 및 이에 따른 파생 변수를 생성하며, 데이터 필터링 및 생성된 파생 변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원 및 주택에 대한 정보를 이차원(2D) 및/또는 삼차원(3D) 지도 상에 공간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step 3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moves outliers outsid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through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filters data and generates derived variables accordingly, and filters and generates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ks and houses may be spatialized on a two-dimensional (2D) and/or three-dimensional (3D) map based on the derived variables.

일측에 따르면, 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의 출입구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 내에 위치한 영역을 도보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3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data on a plurality of houses, and is located within a preset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alculated entrance. The area can be set as a walking area.

예를 들면, 타겟 주택의 출입구는 주택 건물의 출입구 및 주택 단지의 정문 및 후문 출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임계반경은 500m 내지 1km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ntrance of a house building and a front gate and a back gate of a housing complex, and a preset critical radius may be 500 m to 1 km.

즉, 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지도 상에 공간화된 복수의 주택 중 타겟 주택의 좌표를 기준점으로 하는 거리 연산을 통해 500m 내지 1km의 반경을 갖는 영역을 도보권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3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ts an area having a radius of 500m to 1km as a walking area through distance calculation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target house as a reference point among a plurality of houses spatialized on the map. can

다음으로, 3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생활지수 산출부에서 복수의 공원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공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공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Next, in step 330, in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calculates information on a park located within walking distance among a plurality of parks, and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a target hous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for Korea.

일측에 따르면, 3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ep 330 calculates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rang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located within the walking range, and calculates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calculated walking distance. The living index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course.

한편, 3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33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alculate a standard score for a living index in a forest neighborhood, and calculate a living grade in a forest neighborhood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410 내지 440은 도 3의 330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steps 410 to 440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in step 330 of FIG. 3 .

구체적으로, 4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산책길, 생태문화길 및 지천길)의 총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step 41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rang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walking path, ecological cultural path, and branch road) located within the walking range. there is.

다음으로,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기준값의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를 방지하고 동일한 정도의 스케일(중요도)로 반영되도록 정규화(normalization)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을 산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4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utilizes a normalization technique to prevent overflow or underflow of the reference value and reflect the same degree of scale (importance). ,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walking living area index,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tributary living area index can be calculated respectively.

일측에 따르면,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시 공원의 총면적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테이블, 산책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산책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산책 생활권 지수 테이블, 생태문화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테이블 및 지천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천 생활권 지수를 저장하는 지천 생활권 지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을 산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4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ity park living area index table for storing a plurality of city park living area indic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area value of the city park, and a plurality of living area index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walking trail. A walking living area index table that stores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an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eco-cultural living area indic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eco-cultural road, and a plurality of sub-stream living area index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branch road.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each of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using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table.

보다 구체적으로,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 공원의 총면적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step 420,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verts the index corresponding to the total area value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distance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city park living area index table into the city park living area index for the target house. can be calculated

또한,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산책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산책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산책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4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alculate an index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walking trail located in the walking living area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table as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for the target house. .

또한,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생태문화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4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lculates the index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of the ecological cultural road located in the walking area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ecological cultural living zone index table as the ecological cultural living zone index for the target house. can do.

또한,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지천 생활권 지수 테이블에 저장된 지수 중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강/지천길의 총길이 값에 대응되는 지수를 타겟 주택에 대한 지천 생활권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42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lculates the index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value of the river/district road located in the walking area among the indices stored in the Jicheon living zone index table as the Jicheon living zone index for the target house. can

다음으로, 4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43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calculate the forest zone living index through calculation based on the urban park living zone index, the walk living zone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zone index, and the tributary living zone index.

일측에 따르면, 4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생활권 지수를 합산하여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43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s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city park living zone index, the walking living zone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zone index, and the Jicheon living zone index, and calculates the living zone index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By summing them,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can be calculated.

예를 들면,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의 가중치는 0.7로 설정되고, 산책 생활권 지수,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의 가중치는 0.1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is set to 0.7, and the weight of each of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the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may be set to 0.1.

다시 말해, 4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 0.7) + (산책 생활권 지수 * 0.1) +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 0.1) + (지천 생활권 지수 * 0.1)'의 연산의 결과를 숲세권 생활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step 430 is '(city park living area index * 0.7) + (walking living area index * 0.1) + (ecological culture living area index * 0.1) + (jicheon living area index * 0.1) ' can be calculated as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다음으로, 4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지수 산출방법은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여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Next, in step 440,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lculates a standard score for a living index in a forest neighborhood, and calculates a living grade in a forest neighborhood for a target house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도보 중심의 생활 반경 내에 자연친화적 공간에 관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인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After all,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more objective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in the forest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nature-friendly spaces within a walking-centered living radius.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숲세권 생활지수 및 생활등급에 기초하는 숲세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 중개 플랫폼의 정보제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information provision capability of the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by providing forest influ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forest influence living index and living grad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생활지수 산출장치 110: 데이터 수집부
120: 데이터 전처리부 130: 생활지수 산출부
100: living index calculator 110: data collection unit
120: data pre-processing unit 130: life index calculation unit

Claims (11)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원 및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택을 기준으로 하는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공원 중 상기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공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공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부
를 포함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a plurality of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A data pre-processing unit for setting a walking range based on at least one target house among the plurality of houses through pre-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and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a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parks, and calculating a living index in the forest area for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Living index calcul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주택의 출입구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출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 내에 위치한 영역을 상기 도보권 영역으로 설정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pre-processing unit,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data for the plurality of houses, and setting an area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diu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entrance as the walking area
Living index calc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원에 대한 데이터는,
도시공원 정보, 산책길 정보, 생태문화길 정보 및 지천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for the plurality of parks,
At least one information of city park information, walking trail information, eco-cultural road information, and jicheon road information
Living index calc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지수 산출부는,
상기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상기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상기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alculated walking course
Living index calcul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지수 산출부는,
상기 도보권 영역과 상기 도시공원 정보에 기초하는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상기 도보권 영역과 상기 산책길 정보에 기초하는 산책 생활권 지수, 상기 도보권 영역과 상기 생태문화길 정보에 기초하는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상기 도보권 영역과 상기 지천길 정보에 기초하는 지천 생활권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상기 산책 생활권 지수, 상기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상기 지천 생활권 지수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상기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An urban park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walking area and the city park information, a walking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walking area and the promenade information, an eco-cultural living area index based on the walking area and the eco-cultural path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Jicheon life zone index based on the walking area and the Jicheon road information,
Calculating the forest zone living index through calculation based on the urban park living zone index, the walking living zone index, the ecological and cultural living zone index, and the tributary living zone index
Living index calcul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지수 산출부는,
상기 도시공원 생활권 지수, 상기 산책 생활권 지수, 상기 생태문화 생활권 지수 및 상기 지천 생활권 지수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생활권 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city park living area index, the walking living area index, the ecological and cultural living area index, and the Jicheon living area index, and adding the living area index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to calculate the forest area living index
Living index calc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지수 산출부는,
상기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standard score for the forest area living index, and calculating a forest area living grade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Living index calculator.
데이터 수집부에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원 및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데이터 전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택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택을 기준으로 하는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생활지수 산출부에서, 상기 복수의 공원 중 상기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공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공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주택에 대한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활지수 산출방법.
Collecting data on a plurality of parks and a plurality of hous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in a data collection unit;
setting, in a data pre-processing unit, a walking range based on at least one target house among the plurality of houses through pre-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Calculating, in a living index calculation unit, information on a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parks, and calculating a forest neighborhood living index for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park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보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주택의 출입구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출입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반경 내에 위치한 영역을 상기 도보권 영역으로 설정하는
생활지수 산출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setting the walking area,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data for the plurality of houses, and setting an area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diu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entrance as the walking area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상기 도보권 영역 내에 위치한 도보 코스의 총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도시공원의 총면적과 상기 산출된 도보 코스의 총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Calculating the total area of the city park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walking course located within the walking area, and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area of the city park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alculated walking cours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숲세권 생활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숲세권 생활지수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표준 점수에 기초하여 숲세권 생활등급을 산출하는
생활지수 산출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iving index of the forest area,
Calculating a standard score for the forest area living index, and calculating a forest area living grade based on the calculated standard score
Living index calculation method.
KR1020210081500A 2021-06-23 2021-06-23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KR202201705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00A KR20220170537A (en) 2021-06-23 2021-06-23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00A KR20220170537A (en) 2021-06-23 2021-06-23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37A true KR20220170537A (en) 2022-12-30

Family

ID=8453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500A KR20220170537A (en) 2021-06-23 2021-06-23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53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90B1 (en) 2016-03-09 2017-09-26 이상규 Real estate mediating system
KR20210021662A (en) 2019-08-19 2021-03-02 최원제 Searc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public big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90B1 (en) 2016-03-09 2017-09-26 이상규 Real estate mediating system
KR20210021662A (en) 2019-08-19 2021-03-02 최원제 Searc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public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sen et al.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children's mode of travel to and from school
Sohn et al. The economic value of walkable neighborhoods
Tang et al. A data-informed analytical approach to human-scale greenway planning: Integrating multi-sourced urban data wit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JP2021060602A (en) Geometric fingerprinting for localization of device
Ram et al. Walkable places for visitors: Assessing and designing for walkability
Naish A method of developing regional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strategies
Nasri Roodsari et al. An assessme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green space supply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of Tehran districts—Iran
Khadr et al. Using GIS in constructing area-based physical deprivation index in Cairo Governorate, Egypt
JP6460572B2 (en) Living area setting support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oly et al.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visual evaluation of landscape
Kuta et al. Using a GIS-Based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Urban Greenspace Accessibility for Different Socio-Economic Groups, Specifically Related to Deprivation in Leicester, UK.
Toger et al. The connectivity of Haifa urban open space network
Graves McEwan Qualitative Landscape Theories and Archaeological Predictive Modelling—A Journey Through No Man’s Land?
Pellicelli et al. Sustainable mobility and accessibility to essential services. an assessment of the san benedetto neighbourhood in Cagliari (Italy)
Morar et al.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green areas using change detection: a case study of Kharkiv, Ukraine
Laato et al. Into the Unown: Improving location-based gamified crowdsourcing solutions for geo data gathering
Semenov et al. Application suggesting attractive walking routes for pedestrians using an example of Saint-Petersburg City
Carlsson Computing views, remodeling environments
KR202201705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dex of life based on forest big-data
Meeder et al. Measuring neighborhood walkability using detour factor distributions
Yin et al. Capitalizing on views: Assessing visibility by using 3D visualization and GIS technologies for hotel development in the City of Niagara Falls, New York
KR20200064355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eal estate
Cramwinckel The role of global open geospatial data in measuring SDG indicator 11.7. 1: Public open spaces
Xu et al. Influence of spatial scale on the study of access fairness of urban park green space
Babb et al. Developing neighbourhood ‘walkability’indices for children’s active trans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