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321A -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321A
KR20220170321A KR1020210094983A KR20210094983A KR20220170321A KR 20220170321 A KR20220170321 A KR 20220170321A KR 1020210094983 A KR1020210094983 A KR 1020210094983A KR 20210094983 A KR20210094983 A KR 20210094983A KR 20220170321 A KR20220170321 A KR 2022017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essages
web page
tag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슈퍼크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퍼크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슈퍼크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7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8Details of hyperlinks; Management of linked anno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6Handling conversation history, e.g. grouping of messages in session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체 톡방(이하, '단톡 방')에서 서로 송수신되는 채팅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주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들(이하, '연관 메시지들')을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쓰레드가 게시물로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tting messages}
본 발명은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내 업무나 관심사 커뮤니티를 위해서 그룹 채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내 업무의 경우, 업무 상의 목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는 슬랙(상표 명) 메신저와 같은 그룹 채팅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고, 관심사 커뮤니티의 경우 관심사나 취미가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서 기존의 게시판 중심의 웹 페이지 대신 카카오 톡(상표 명)이나 텔레그램(상표 명)과 같은 그룹 채팅 프로그램이 사용된다.
또한, 게시물이나 뉴스 피드 기반의 소규모 커뮤니티는 그룹 채팅으로 이동되고 있고, 활성 사용자가 많지 않은 인터넷 카페는 그대로 두고 카카오 톡에서 오픈 채팅방을 추가로 개설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룹 채팅방('단톡 방')의 경우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이 너무 많아서(수백 내지 수천) 사용자에게 중요한 메시지가 어떤 것인지를 찾기가 어렵고, 알람을 해 두어도 알람이 너무 자주 울려서 변별력이 없다. 또한, 그룹 채팅방에서는 좋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그냥 놓칠 수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룹 채팅방은 읽지 않은 가장 오래된 메시지들이 화면에 주로 보이며, 가장 최근의 메시지는 일부러 노력하여 찾지 않는 한 현재의 화면으로부터 가장 멀어져 있다. 그리고, 종래 커뮤니티와 달리, 그룹 채팅방 내의 메시지들의 경우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검색 엔진을 통해서 검색될 수 없어서, 검색을 통해서 그룹 채팅방으로 사용자가 유기적(Organic)으로 유입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한 메시지를 쉽게 찾을 수 있고 관리할 수 있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검색 엔진을 통해서 새로운 사용자가 유입될 수 있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웹 사이트의 게시판에서 게시물이나 댓글을 쓰는 것만으로도, 단톡 방에 참여할 수 있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 채팅방(이하, '단톡 방')에서 서로 송수신되는 채팅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주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들(이하, '연관 메시지들')을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쓰레드가 게시물로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상기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는 해시태그가 태깅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상기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상기 해시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일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상기 웹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웹 페이지는 아래 i), ii), iii), iv), 및 v)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i)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타이틀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틀 태그에는 상기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ii)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메타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태그의 키워드가 상기 해시 태그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iii)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메타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태그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이 상기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된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iv)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의 URL이 상기 해시 태그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v)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이미지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태그의 이미지 대안 텍스트 (alternate text, alt)가 상기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상기 단톡 방에서 상기 해시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연관 메시지들 로부터 생성된 쓰레드가 게시물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상기 단톡 방에서 상기 해시 태그가 선택되면, 노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메시지들 혹은 이 연관 메시지들로 만들어 낸 쓰레드들의 목록 또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노트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상기 단톡 방에서, 상기 해시 태그가 태깅된 메시지 - 이하 '메인 메시지' - 의 아래에 위치하는 메시지들 - 이하, '아래 메시지들' - 이 존재할 경우, 상기 아래 메시지들이 상기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메시지로 1개의 쓰레드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메인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를 1개의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상기 게시판에 포함된 상기 쓰레드에 대하여 댓글이 쓰여진 경우, 상기 단톡 방에 상기 댓글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들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엔진을 통해서 새로운 사용자가 단톡 방에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톡 방에 특정 메시지를 해시 태그로 태깅 하면, 해시 태그로 태깅된 메시지들과 답변 메시지들 만을 웹 페이지로 공개할 수 있다. 제3자는 원하는 정보를 검색 엔진에서 검색할 때 단톡 방에서 이루어지는 메시지들에 대하여도 검색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톡 방에 송수신 되는 메시지들을 웹 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고, 그 메시지들에 대하여 답글을 함으로써, 단톡 방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시 태그 별로 메시지들을 분류한 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의 노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의 해시태그를 태깅하는 방법, 댓글 쓰는 방법, 및 해시 태그 정정 및 삭제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형태로 나타난 웹 사이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본 웹 사이트 화면에는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표시하지 않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댓글을 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Cosine Similarity를 산출하는 수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구성요소 B, 및/또는 구성요소 B'라고 함은 '구성요소 A, 구성요소 B, 및 구성요소 C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수신', '제공', 또는 '전달'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구성요소 a')에서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c)를 경유하여 구성요소 b로 전달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구성요소 a')와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가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 되어 있다는 명시적인 표현이 없더라도,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직접 또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통해서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a)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구성요소 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구성요소 b가 직접 또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통해서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b)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면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는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스마트폰(100), 제3자 단말기(300), 서버 장치(200), 웹 서버 장치(400)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203),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프로그램의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버스, 및 리소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다른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예를 들면, 관리 프로그램)을 동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통신용 랜카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기억장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이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설명들에서 메모리나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버스, 및 기타 리소스는 서로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한도에서 기재 또는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쓰레드(thread)'는 메시지 또는 메시지들의 묶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연관 메시지들'은 소정의 주제에 대한 메시지들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연관 메시지들은 주제별로 묶인다. 예를 들면 제1 연관 메시지들이라고 함은 제1 주제에 대한 메시지들을 의미하고, 제2 연관 메시지들이라고 함은 제2 주제에 대한 메시지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관 메시지들은 1개의 쓰레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는 해시 태그가 태깅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는 해시 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채팅 메시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이라고도 함)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사용자 스마트 폰(100), 서비스 서버 장치(200), 및 웹 서버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사용자 스마트 폰(100)과 서비스 서버 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스마트 폰(100)과 웹 서버 장치(400)도 통신망을 통해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비스 서버 장치(200)는 웹 서버 장치(400)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자 단말기(300)도 사용자 스마트 폰(100), 서비스 서버 장치(200), 및 웹 서버 장치(400)와 각각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3자 단말기(300)에는 채팅 메시지 앱이 설치 또는 미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00)은 프로세서(미 도시), 메모리(미 도시),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 버스(미 도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 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 도시)를 포함하며, 이들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 스마트 폰(100)'은 컴퓨터이며,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PDA와 같은 장치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제3자 단말기(300)'도 컴퓨터이며,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PDA와 같은 장치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미 도시)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미 도시)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 이동 장치 또는 다른 전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미 도시)는 예를 들어,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서버 팜, 클라우드 컴퓨터, 컨텐츠 플랫폼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미 도시)는 사용자 스마트 폰(100)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구, 가상 또는 기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미 도시)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다이내믹 RAM(DRAM: Dynam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미 도시)는 사용자 스마트 폰(100)(200)의 상태 정보와 같은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미 도시)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00)은 필요에 따라 또는 적절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미 도시)는 사용자 스마트 폰(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미 도시)는 예를 들어 사용자 스마트 폰(100)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 도시)와 메모리(미 도시) 사이에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버스(미 도시)는 사용자 스마트 폰(100)의 구성요소들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렬, 직렬 또는 다른 토폴로지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는 소정의 연장된(예를 들어, 메모리(미 도시)에 비해)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 스마트 폰(100)에 의해 사용되는 메모리(미 도시) 또는 다른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는 사용자 스마트 폰(100) 내의 프로세서(미 도시)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미 도시)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명령 입력,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입력 또는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위한 입력이 입출력 인터페이스(미 도시)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 도시)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 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 도시)는 블루투스 무선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용 무선 랜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명령들 및/또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위한 명령들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 도시)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실행될 수 있다.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영구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Alternatively),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 스마트 폰(100)과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스마트 폰(100)에 다운로드 된 후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스마트 폰(100)은 상술한 구성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대부분의 종래 기술적 구성요소들은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가 없어서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자(이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스마트 폰(1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 GPS 모듈, 카메라, 및 지자기나 가속도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들, 및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장치(200)와 웹 서버 장치(400)는, 각각, 프로세서(미 도시), 메모리(미 도시),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 버스(미 도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 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 도시)를 포함하며, 이들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 장치(200)에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실행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장치(200)에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영구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Alternatively), 서비스 서버 장치(200)에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가, 서비스 서버 장치(200)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 서버 장치(200)에 다운로드 된 후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웹 서버 장치(400)에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실행될 수 있다. 웹 서버 장치(400)에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영구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Alternatively), 웹 서버 장치(400)에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영구 저장 장치(미 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가, 웹 서버 장치(400)의 요청에 의해 웹 서버 장치(400)에 다운로드 된 후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실행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에는 다른 도면들을 같이 참조하여, 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그룹 채팅 방(이하, '단톡 방')에서 서로 송수신되는 채팅 메시지(이하,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주제(이하, '제1주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들(이하, '제1 연관 메시지들')을 쓰레드(이하, '제1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S101); 및 S101 단계에서 생성된 쓰레드가 게시물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개시하는 단계(S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는 해시태그(이하, '제1 해시태그')가 태깅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제1 해시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단톡 방에서 서로 송수신되는 채팅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주제(이하, '제2주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들(이하, '제2 연관 메시지들')을 쓰레드(이하, '제2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는 해시태그(이하, '제2 해시태그')가 태깅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제2 해시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개시하는 단계(S105)는 제1 쓰레드와 제2 쓰레드를 서로 다른 게시물로 게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단톡 방에서 해시 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이하,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들이 존재할 경우, 메인 메시지와 그 답변 메시지들을 1개의 쓰레드로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 제1단계: 메인 메시지와 그 답변 메시지를 각각 인코딩을 함
- 제2단계: 인코딩 간에 Cosine Similarity를 계산함
- 제3단계: Cosine Similarity 가 기준 값(미리 정한 값) 이하일 경우, 1개의 쓰레드로 생성함.
여기서, 인코딩은 메시지를 벡터화 시키는 동작이며, 예를 들면 딥러닝 NLP(자연어 처리) 엔진(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이 동작적으로 연결된 집합체)에 메시지를 입력하면 벡터 값이 출력되고, Cosine Similarity는 두 벡터 간의 거리를 Cosine 함수와 내적(inner-product)로 정의한 두 벡터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두 벡터의의 코사인 값은 도 11의 (a)와 같이 유클리디안 스칼라 곱 공식(Euclidean dot product formula)에서 유도될 수 있다. 속성 A, B의 벡터 값이 각각 주어졌을 때, 코사인 유사도 cos(θ)는 벡터의 스칼라 곱과 크기로 도 11의 (b)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유사도는 -1에서 1까지의 값을 가지며, '-1'은 서로 완전히 반대되는 경우, '0'은 서로 독립적인 경우, '1'은 서로 완전히 같은 경우를 의미한다. 도 11의 (b)에서 'Ai' 와 'Bi'는 각각 벡터 A와 B의 성분들(components)이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제1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S101)는, 예를 들면, 단톡 방에서 송수신 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해시 태그('제1 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제1 해시 태그에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제1 메인 메시지')와, 단톡 방에서 제1 메인 메시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예컨대, 제1 메인 메시지보다 시간적으로 나중에 작성된) 메시지(이하 '아래 메시지'라고 함)들 각각에 대하여 제1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메인 메시지만으로 제1 쓰레드를 생성하고, 제1 메인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제1 메인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를 제1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메인 메시지와 그 답변 메시지는, 서로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제2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S103)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단톡 방에서 송수신 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해시 태그('제2 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제2 해시 태그에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제2 메인 메시지')와, 단톡 방에서 제2 메인 메시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예컨대, 제2 메인 메시지보다 시간적으로 나중에 작성된) 메시지(이하, '아래 메시지' 라고 함)들 각각에 대하여 제2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2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메인 메시지를 제2 쓰레드로 생성하고, 제2 메인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제2 메인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를 제2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메인 메시지와 그 답변 메시지는, 서로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판단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Cosine Similarity를 이용하여 양자(메인 메시지와 아래 메시지(답변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할 대상이 되는 메시지)의 거리를 구하고, 그 거리가 기준 값 이하일 경우에만 답변 메시지라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술한 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해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는 메뉴(이하, '태깅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태깅 메뉴를 통해서 메시지에 태깅될 해시 태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는 태깅 메뉴에 대하여는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르면, 단톡 방에서 송수신 되는 메시지들을 웹 사이트 상에서 볼 수 있고, 웹 사이트 상에서 댓글이나 게시물을 게재할 경우, 단톡 방에도 반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엔진이 구비된 사이트(예를 들면, 구글 검색 사이트, 네이버 검색 사이트 등과 같은 사이트)에서 잘 검색이 되도록 웹 페이지가 구성이 된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웹 페이지 구성하고 개시하는 단계에서의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이하,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하,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은 타이틀 태그를 포함하며, 타이틀 태그에는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 및/또는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틀 태그는 제1 연관 메시지들(또는 제2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태깅했던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타이틀 태그는 제1 연관 메시지들(또는 제2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메시지들 중에서 메인 메시지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은 메타 태그를 포함하며, 메타 태그의 키워드는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은 메타 태그를 포함하며, 메타 태그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은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된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 태그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은 제1 연관 메시지들(또는 제2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메타 태그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은 제1 연관 메시지들(또는 제2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메시지들 중에서 메인 메시지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메타 태그의 디스크립션은 사용자가 태깅했던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은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은 이미지 태그를 포함하며, 이미지 태그의 이미지 대안 텍스트 (alternate text, alt)는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태그의 이미지 대안 텍스트 (alternate text, alt)는 제1 연관 메시지들(또는 제2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이미지 태그의 이미지 대안 텍스트 (alternate text, alt)는 제1 연관 메시지들(또는 제2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메시지들 중에서 메인 메시지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상술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개시하는 단계(S105)는, 단톡 방에 표시된 해시 태그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와, 해시 태그가 선택되면, 쓰레드가 게시물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어떤 메시지('제1 메시지')에 해시 태그('제1 해시 태그')가 태깅되고, 제1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가 존재하면,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가 서로 연관 메시지가 되도록 연관시키는 동작과, 사용자가 제1 해시 태그에 대한 노트를 원할 경우, 제1해시 태그에 연결된 제1 메시지와 그 연관 메시지들('제2 메시지')을 노트 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노트 화면은, 예를 들면, 연관 메시지들 혹은 그 연관 메시지들로 만들어낸 쓰레드들의 목록 또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노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과 서비스 서버 장치(200), 및 웹 서버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이 S101와 S103를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 장치(200)가 S105를 수행하고, 웹 서버 장치(400)가 S107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채팅 메시지 앱이 S101과 S103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이 S101와 S103를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 장치(200)가 S105와 S107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서비스 서버 장치(200)에 웹 서버 장치(400)의 기능이 통합된 경우이다.
다른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이, S1O1, S103, 및 S107을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 장치(200) 또는 웹 서버 장치(400)가 S105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이, S1O1과 S103을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 장치(200) 또는 웹 서버 장치(400)가 S105와 S107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사용자 스마트 폰(100), 서비스 서버 장치(200), 및 웹 서버 장치(400)에 각각 구비되거나 동작적으로 연결된 기록 매체(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S101, S103, 및 S10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즉, 채팅 메시지 앱)이 스마트폰에 구비된 기록 매체 또는 스마트폰과 통신망을 통해서 동작적으로 연결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고, S105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서비스 서버 장치(200)에 구비된 기록 매체 또는 서비스 서버 장치(200)와 통신망을 통해서 동작적으로 연결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들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의 노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해시 태그 별로 메시지들을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채팅 메시지 앱에서 제공되는 단톡 방에서, 어떤 메시지('제1메시지')에 어떤 해시 태그('제1해시 태그')를 태깅 하는 단계(S201), 제1 메시지와 제1 해시 태그를 연관시킨 연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03), 제1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기재하는 단계(S205), 제1 메시지와 답변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들(제1연관 메시지들)로 연관 시킨 연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07) , 어떤 메시지('제2메시지')에 어떤 해시 태그('제2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S209), 제2 메시지와 제2해시 태그를 연관시킨 연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11), 단톡 방에서 메시지에 태깅된 제1 해시 태그를 선택하는 단계(S213), 연관 정보들을 참조하여 제1 해시 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와 연관된 제1 연관 메시지들을 찾아, 제1 연관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단계(S215), 및 제1 연관 메시지들이 게시물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 및 공개하는 단계(S2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과 서비스 서버 장치(200), 및 웹 서버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이 S201, S205, S209, S213, 및 S215 단계를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 장치(200)가 S203, S207, 및 S211단계를 수행하고, 웹 서버 장치(400)가 S217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채팅 메시지 앱이 S201, S205, S209, S213, 및 S21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100)이 S201, S203, S205, S207, S209, S111, S213, 및 S215 단계를 수행하고, 웹 서버 장치(400)나 서비스 서버 장치(200)가 S217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서비스 서버 장치(200)가 S201, S203, S205, S207, S209, S111, S213, 및 S215 단계를 수행하고, 웹 서버 장치(400)가 S217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들, 즉, S201와 S209 단계는, 각각,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해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는 태깅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태깅 메뉴를 통해서 메시지에 태깅될 해시 태그를 입력받은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태깅 메뉴에 대하여는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제1 메시지와 제1 해시 태그를 연관시켜서 연관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S203)는 제1 메시지와 제1 해시 태그를 연관시킨 정보('연관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연관 정보는 메시지와 해시 태그를 연관시킨 것으로서, 예를 들면, 테이블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테이블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S217 단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S105의 동작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S213 단계는 단톡 방에서 제1 해시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이고, S215 단계는 제1 해시 태그에 태깅된 메시지와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톡 방에서 채팅 중인 메시지들이 도 5의 (a)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들 채팅 메시지에는 해시 태그가 포함된 것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해시 태그의 식별자는 '#'이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기호가 해시 태그의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의 (a)와 (b), 도 5의 (a)와 (c), 도 6의 (d)와 (f), 및 도 7의 (g)와 (h)는 채팅 메시지 앱이 제공하는 사용자 화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마우스의 단추를 해시 태그(예를 들면, #마케팅)에 놓고, 선택(클릭 버튼 또는 엔터키)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선택한 해시 태그와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b)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연관 메시지로 구성한 쓰레드들일 수 있고, 여기서의 표시 형식은 예시적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채팅 메시지 앱이 단톡 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단톡 방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에 해시 태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도 4의 (a)에서 해시 태그 '마케팅'을 선택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연관 정보를 참조하여 '마케팅'과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도 4의 (b)와 같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노트'라고 언급하고, 또한, 노트의 동작 결과가 표시된 화면(예를 들면, 도 4의 (b)는 노트가 제공하는 화면들 중에 하나의 화면)을 '노트'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구성요소 '노트'는 채팅 메시지 앱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해시 태그들을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 하단의 '노트'라는 메뉴가 선택되면, 채팅 메시지 앱은 도 5의 (c)와 같은 노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노트 화면은, 예를 들면, 메시지들에 태깅된 해시 태그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5의 (c)에 표시된 해시 태그들의 목록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선택된 해시 태그와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c)에서 '마케팅'이라는 해시 태그가 선택되면, 채팅 메시지 앱은 예를 들면 도 4의 (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해시태그를 태깅 하는 방법, 댓글 쓰는 방법, 해시 태그 정정 및 삭제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를 참조하여, 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톡 방에서 사용자가 메시지에 존재하는 단어를 해시 태그로서 선택(예를 들면, 마우스를 이용해서 '인공 지능'을 음영과 같은 것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우측 버튼을 클릭)(도 6의 (d)를 참조)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도 6의 (f)와 같은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도 6(f)의 메뉴(''태깅 메뉴')는 복사와 해시 태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태깅 메뉴에서, 사용자가 '해시 태그 입력'을 선택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메시지에 태깅한다. 도 8의 (j)를 참조하면, 해당 단어('인공지능')가 해시 태그로 태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예는, 사용자가 메시지에 존재하는 단어들을 해시 태그로 사용할 경우에 유용하다.
도 7의 (g)를 참조하여, 해시 태그를 태깅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 단톡 방에서 사용자가 해시 태그를 태깅(입력)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도 7의 (h)와 같은 메뉴('태깅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g)를 참조하면, 단톡 방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에 해시 태그를 태깅하고자 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선택한 상태에서, 태깅 메뉴를 호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에 마우스의 단추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태깅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도 7의 (h)의 태깅 메뉴는 메시지에 대한 답장, 전달, 공지, 복사, 삭제, 및 해시 태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태깅 메뉴에서, 사용자가 '해시 태그 입력'을 선택하면, 채팅 메시지 앱은 태그로서 입력할 단어를 입력하라는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그 메뉴를 통해서 해시 태그로 태깅할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태깅 메뉴'라고 함은, 해시 태그를 입력, 정정, 삭제할 수 있는 메뉴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도 6의 (f)와 도 7의 (h)와 (i)와 도 8의 (k)와 같은 메뉴들을 통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노트를 여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톡 방에 표시된 해시 태그들 중에서, 노트를 보고 싶은 해시 태그가 있으면, 그 해시 태그를 선택(예를 들면, 마우스의 단추를 메시지에 위치시키고 클릭 또는 엔터 키를 선택)함으로써 노트를 볼 수 있다.
즉,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단톡 방에서 해시 태그를 선택하면, 노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노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시 태그에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과, 이 연관 메시지들로 만들어낸 쓰레드들의 목록 또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웹 사이트로 접속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톡 방에 표시된 해시 태그들 중에서, 웹 사이트를 보고 싶은 해시 태그가 있으면, 그 해시 태그를 선택(예를 들면, 마우스의 단추를 메시지에 위치시키고 클릭 또는 엔터키를 선택함)함으로써 웹 사이트를 볼 수 있다.
즉,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단톡 방에서 해시 태그를 선택하면, 연관 메시지들 로부터 생성된 쓰레드가 게시물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형태로 나타난 웹 사이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본 웹 사이트 화면에는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표시하지 않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른 웹 페이지는, '마케팅'이라는 주제에 대한 게시물이 표시된 부분(예를 들면 도 9의 (a))과, '마케팅'과 연관된 연관 메시지들을 표시한 부분(예를 들면 도 9의 (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마케팅'이라는 해시 태그에 대응된 게시물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게시물을 선택하면, 도 9의 (b)와 같이 연관 메시지들이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댓글을 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은 댓글을 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댓글은, 예를 들면, 도 9와 같은 게시판에서 써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댓글을 쓰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장치나 웹 서버 장치(400)에 의해 개시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에 제3자의 단말기가 접속하는 단계, 제3자 단말기(300)가 웹 페이지에서 게시물(이하, '제1 게시물')에 대하여 댓글(이하, '제1 댓글')을 쓰는 단계, 서버 장치나 웹 서버 장치(400)가 제1 댓글을 제1 게시물에 대한 쓰레드('제1 쓰레드')에 반영하는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댓글을 쓰는 단계는, 제3자가 쓴 제1 댓글을 스마트폰(100)의 단톡 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나 웹 서버 장치(400)는 웹 페이지에서 제3자가 제1 댓글을 쓰면, 스마트폰(100)의 채팅 메시지 앱에게 알리고, 채팅 메시지 앱은 제1 댓글을 단톡 방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댓글을 쓰는 단계는, 단톡 방에서 제1 댓글에 대한 답변 메시지('답변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서버 장치나 웹 서버 장치(400)에 의해 상기 답변 메시지를 제1 쓰레드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톡 방에 입력되는 메시지들(예컨대 각각의 메인 메시지 및 각 메인 메시지의 답변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에 대해 특정 해시 태그를 기준으로 연관 메시지들을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로 생성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 구글이나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으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예컨대 단톡 방을 개설한 사람(이하 '개설자'라 함)이나 단톡방에 각각의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자가 자신의 단톡방이나 메시지가 외부 검색엔진으로 검색되는 것을 꺼려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톡방이나 이 단톡방에 쓰여진 게시글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단톡방 개설자가 단톡 방을 개설할 때 해당 단톡 방을 공개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단톡 방을 비공개하기로 설정한 경우 해당 단톡 방에 쓰여지는 모든 메시지는 비공개가 되는 것으로 기본 설정되며, 따라서 메시지 작성자가 특정 단어에 해시 태그를 설정하더라도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단톡 방 레벨의 기본 설정에도 불구하고 개별 메시지마다 메시지 작성자가 개별 메시지마다 공개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메시지 작성자가 개별 메시지를 작성할 때마다 메시지의 공개 여부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메시지를 입력하여 단톡 방에 메시지를 올린 직후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공개/비공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고 그 외에 다른 공지의 방식으로 공개/비공개 선택권을 개별 메시지 작성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공개 단톡방으로 설정되었으나 일부 사용자들이 자신의 메시지들을 공개로 설정한 경우, 단톡방 사용자가 어느 특정 단어에 대한 해시 태그를 선택하면 공개로 설정된 메시지들 중에서 해당 해시 태그에 연관된 메시지들이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로 생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톡 방에 게시되는 개별 메시지에 메시지 작성자가 아닌 제3자가 이모지(emoji: 그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톡방 사용자들은 타인이 작성한 메시지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이모지로서 해당 메시지에 덧붙일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어느 메시지에 대해 (해당 메시지의 작성자가 아닌) 제1 사용자가 제1 이모지를 입력한 이후 (해당 메시지의 작성자가 아닌) 제2 사용자가 동일한 제1 이모지를 입력하면 제1 이모지의 뒤에 해당 이모지를 선택한 사람의 숫자 "2"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사용자가 제1 이모지와 다른 제2 이모지를 입력하는 경우 제1 이모지와 제2 이모지가 각각 해당 메시지에 표시된다. 따라서 이 기능을 통해 특정 메시지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이 어떤 공통의 반응을 가장 많이 나타내는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사용가능한 전체 이모지에 대해 각각 인기도, 중요도 등의 기준을 미리 매칭시켜 설정하고 이러한 매칭 정보를 서비스 서버 장치(200) 및/또는 웹 서버 장치(400)에 저장해 둘 수 있고, 따라서 개별 메시지마다 다양한 이모지들 및 각 이모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 숫자가 붙는 동안 서비스 서버 장치(200) 또는 웹 서버 장치(400)는 예컨대 인기도 기준에서 어떤 메시지가 가장 인기가 있는지 또는 중요도 기준으로 어떤 메시지가 가장 중요한가 등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메시지의 순위를 실시간으로 매길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어느 특정 시점에 어느 특정 해시 태그에 연관된 메시지들을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로 생성할 때, 해당 시점까지의 인기도, 중요도 등 소정 기준에 따라 메시지 표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는 시간 순서대로 메시지를 표시하지만 가장 상단에는 인기도, 중요도 등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소정 개수의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인기도, 중요도 등 다수의 기준 중 어느 기준으로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예컨대 해시 태그를 선택하여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해시 태그와 기준에 따라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사용자 스마트폰
200: 서비스 서버 장치
300: 제3자 단말기
400: 웹 서버 장치

Claims (8)

  1. 단톡 방에서 서로 송수신되는 채팅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주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들(이하, '연관 메시지들')을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쓰레드가 게시물로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는 해시태그가 태깅 되어 있는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상기 해시태그가 태깅된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인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웹 페이지는 아래 i), ii), iii), iv), 및 v)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i)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타이틀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틀 태그에는 상기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ii)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메타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태그의 키워드가 상기 해시 태그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iii)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메타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태그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이 상기 연관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된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iv)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의 URL이 상기 해시 태그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v) 구성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이 이미지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태그의 이미지 대안 텍스트 (alternate text, alt)가 상기 연관 메시지들에 포함된 문장과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톡 방에서 상기 해시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연관 메시지들 로부터 생성된 쓰레드가 게시물로 포함된 게시판 형태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톡 방에서 상기 해시 태그가 선택되면, 노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메시지들 혹은 그 연관 메시지들로 만들어 낸 쓰레드들의 목록 또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노트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톡 방에서, 상기 해시 태그가 태깅된 메시지 - 이하 '메인 메시지' - 의 아래에 위치하는 메시지들 - 이하, '아래 메시지들' - 이 존재할 경우, 상기 아래 메시지들이 상기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메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메시지로 1개의 쓰레드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메인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답변 메시지를 1개의 쓰레드로 생성하는 단계인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판에 포함된 상기 쓰레드에 대하여 댓글이 쓰여진 경우, 상기 단톡 방에 상기 댓글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KR1020210094983A 2021-06-22 2021-07-20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703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32 2021-06-22
KR20210080932 2021-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321A true KR20220170321A (ko) 2022-12-29

Family

ID=8453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83A KR20220170321A (ko) 2021-06-22 2021-07-20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3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6830A1 (en) Data loss prevention system for cloud security based on document discourse analysis
US11790009B2 (en) Knowledge operating system
US10552218B2 (en) Dynamic context of tasks
US80691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on a network
Oussalah et al. A software architecture for Twitter collection, search and geolocation services
US10481960B2 (en) Ingress and egress of data using callback notifications
US2021014954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Blank Online research methods and social theory
US20160342665A1 (en) Interactive command line for content creation
US9069862B1 (en) Object-based relationship search using a plurality of sub-queries
KR20060132946A (ko)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벤트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파일기반의 캡처 컴포넌트
US94075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topics in an electronic textual conversation
CN115668193A (zh) 在通信群组中的计算机资源的隐私保护复合视图
US8954894B2 (en) Gesture-initiated symbol entry
EP3610376B1 (en) Automatic context passing between applications
CN108027825B (zh) 在企业中暴露外部内容
US10853430B1 (en) Automated agent search engine
US10534780B2 (en) Single unified ranker
US11558471B1 (en) Multimedia content differentiation
US20180196866A1 (en) Topic nodes
KR100851434B1 (ko) 메타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70321A (ko)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3914A (ko)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3915A (ko)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7349126B (zh) 一种基于大数据的实时信息网络日志分析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