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613A -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613A
KR20220169613A KR1020210079893A KR20210079893A KR20220169613A KR 20220169613 A KR20220169613 A KR 20220169613A KR 1020210079893 A KR1020210079893 A KR 1020210079893A KR 20210079893 A KR20210079893 A KR 20210079893A KR 20220169613 A KR20220169613 A KR 2022016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rtist
preferr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얼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얼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얼라이브
Priority to KR102021007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613A/ko
Publication of KR2022016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상기 서버가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LATFOR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콘텐츠와 여러 가지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화 및 음악과 같은 콘텐츠들은 제작자에 의해 생산된 후 특별한 사유 없이는 소멸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즉, 콘텐츠들의 수명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므로,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는 콘텐츠는 계속해서 누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다양한 분야와 나라의 콘텐츠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예컨대, 소비자들은 여러 나라의 노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플랫폼에서 노래의 제목, 가사, 가수 등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노래를 듣거나 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계속해서 생성되는 대량의 콘텐츠 내에서 소비자의 사전지식이 부족한 경우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탐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나, 종래의 외국 음악과 같이 소비자가 자주 경험하지 못했던 콘텐츠의 경우 소비자의 성향과 어울린다 하더라도 콘텐츠 제공 플랫폼에서 소비자가 해당 콘텐츠를 즐기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노래와 같은 콘텐츠는 디지털 파일로 저장되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소비자에게 제공되기 쉽지만, 공연의 경우 공연장에 아티스트와 팬들이 직접 참여하여 아티스트가 부르는 노래를 즐기는 방식이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특히, 아티스트 입장에서는 자신의 노래에 대한 수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공연장의 규모, 시간, 장소 등을 수월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팬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선호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아티스트의 공연이 성사될 수 있고, 아티스트의 공연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아티스트의 공연을 흥행시키기 위해 아티스트와 소비자를 직접적으로 매칭하는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선호도와 계속해서 대량 생산되는 콘텐츠의 트렌드 등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성향에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고, 소비자와 아티스트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공연의 흥행을 이끌어낼 수 있는 플랫폼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와 아티스트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일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도출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서버와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상기 서버가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상기 단말과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전송 받고,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은, 입출력 모듈,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입력 받고,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콘텐츠를 추천 및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호도에 적합한 아티스트, 음악 장르, 곡 등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콘텐츠를 플랫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을 통해, 팬들과 아티스트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아티스트의 공연의 수요, 음반 판매량 및 굿즈 판매량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공연의 티켓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랫폼 내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지급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아티스트의 굿즈 구매, 공연 티켓팅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이해되는 모든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말과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의 부가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수단”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 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또는 전기적으로 "간접적 연결 (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개체에 대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특정 개체에 대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구성 요소들의 순서나 관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통신 모듈”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을 필요로 하는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제어 및 처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은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 및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말(200)과 데이터베이스(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단말(20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에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SaaS (Softwa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또는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에서 동작 할 수 있는 서버 형태로 구축될 수 있고, 또는, 사설(private) 클라우드, 공용(public) 클라우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 시스템과 같은 형태로 구축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200)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말(200)에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200)은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과 같은 PC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 및 단말(200)과의 통신 연결을 통해 기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 및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는 유투브,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시스템일 수 있으며, 또는, 유투브,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시스템상의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콘텐츠 정보, 멜론과 같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업체의 노래 순위, 앨범 정보, 아티스트 정보, 뮤직비디오 등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별도로 구축된 공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축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콘텐츠 데이터, 아티스트 데이터, 사용자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사용자의 맞춤형 콘텐츠 정보, 사용자의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 등 본 실시예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통신 모듈(110)은 단말(200) 및/또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한다.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페이스, 콘텐츠 정보, 아티스트 정보, 사용자 개인 데이터, 사용자 선호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된 것으로서 다른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고, 명칭 그 자체에 따라 프로그램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단말(200)로 제공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거주지역 및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선호 장르, 선호 노래, 상품 구매내역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선호 콘텐츠 정보 추출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된 것으로 다른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고 명칭 그 자체로 인공지능 모델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콘텐츠 데이터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전체 검색 횟수 정보 및 전체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티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공연 관객 수 정보, 그리고,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영상 검색 횟수 정보 및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정보 추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단말(200)들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와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한 정보 및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각 아티스트의 SNS 상 구독자 수, 관련 영상에 대한 조회수, 검색수, 지난 공연 관객수 데이터, 지난 음반 판매량 데이터, 지난 굿즈 판매량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공연을 준비하고자 하는 특정 아티스트의 공연 수요, 특정 아티스트의 새로운 음반 판매량, 특정 아티스트의 굿즈 판매량 등을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의 SNS 상 구독자 수, 관련 영상에 대한 조회수, 검색수를 바탕으로 기 수집한 정보 및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예상되는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아티스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해당 아티스트의 음악 관련 산업 전체의 전반적인 수요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추정치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한 정보 및 데이터에는 구글 트렌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는, 아티스트, 국가, 카테고리(웹, 뉴스, 유튜브, 이미지)별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집한 데이터의 아티스트, 국가, 카테고리별 주간 트렌드 점수, 월간 점수 등을 합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아티스트 기준으로 월별 및 개최국가 별 공연 실행 건수 합계, 월별 및 국가별 음반 판매량, 월별 및 국가별 굿즈 판매량 데이터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아티스트 기준, 트렌드, 공연 데이터의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국가별 GDP 수집 및 정규분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트렌드 점수 비율40%, 개최국가 공연 실행 수 비율 50%, 국가의 GDP(정규분포) 10%을 설정하여 아티스트의 예상되는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트렌드 점수 비율40%, 국가별 음반 판매량(또는 굿즈 판매량) 50%, 국가의 GDP(정규분포) 10%을 설정하여 아티스트의 예상되는 새로운 음반 판매량(또는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각각의 아티스트 정보 및 명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단말(200)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전송 받고, 선택된 노래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맞춤형 콘텐츠 정보는,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한 음원 정보, 아티스트 정보, 앨범 정보, 공연 정보, 관련 상품 정보 및 관련 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각각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단말(200)로부터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전송 받고,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콘텐츠 정보, 공연 정보, 커뮤니티 정보, 패션 정보, SNS 정보, 관련 상품 정보, 관련 뉴스 정보, 관련 인터뷰 정보 및 후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플랫폼 활동 내역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활동 입력 인터페이스를 단말(200)로 제공하고,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을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로 구매 가능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구매 인터페이스를 단말(200)로 제공하고, 단말(200)로부터 상품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에서 차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에 포함된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단말(200)로 제공하고, 단말(200)로부터 상기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상기 선택 입력에 따른 공연 티켓의 구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에도,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선호 곡, 선호 아티스트, 선호 패션, 선호 뮤직비디오, 상품 구매내역 등 다양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와, 콘텐츠의 장르, 인기 연령대, 인기 지역, 순위 등 콘텐츠 데이터와, 그리고, 아티스트의 영상 재생수, SNS 구독자수, 영상 조회수 등의 아티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 아티스트, 상품, 티켓, 패션, 뉴스, 인터뷰, 공연 하이라이트 영상. 아티스트와 소통 가능한 채널, 팬 커뮤니티와 같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입출력 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 및/또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정보 및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입출력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등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페이스, 콘텐츠 정보, 아티스트 정보, 사용자 개인 데이터, 사용자 선호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된 것으로서 다른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고, 명칭 그 자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에 의해 구동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거주지역 및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선호 장르, 선호 노래, 상품 구매내역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선호 콘텐츠 정보 추출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된 것으로 다른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고 명칭 그 자체로 인공지능 모델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콘텐츠 데이터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전체 검색 횟수 정보 및 전체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티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공연 관객 수 정보, 그리고,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영상 검색 횟수 정보 및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정보 추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를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와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한 정보 및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각 아티스트의 SNS 상 구독자 수, 관련 영상에 대한 조회수, 검색수 및 지난 공연 관객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공연을 준비하고자 하는 특정 아티스트의 공연 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특정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의 SNS 상 구독자 수, 관련 영상에 대한 조회수, 검색수를 바탕으로 기 수집한 정보 및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특정 아티스트의 예상되는 공연 관객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각각의 아티스트 정보 및 명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30)는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래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맞춤형 콘텐츠 정보는,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한 음원 정보, 아티스트 정보, 앨범 정보, 공연 정보, 관련 상품 정보 및 관련 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각각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30)는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티스트에 대한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콘텐츠 정보, 공연 정보, 커뮤니티 정보, 패션 정보, SNS 정보, 관련 상품 정보, 관련 뉴스 정보, 관련 인터뷰 정보 및 후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플랫폼 활동 내역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활동 입력 인터페이스를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하고, 활동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을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로 구매 가능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구매 인터페이스를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하고, 상품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에서 차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에 포함된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하고,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에 따른 공연 티켓의 구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술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상술한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상술한 활동 입력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410)는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입력 영역(4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도면에 도시된 성명, 생년월일, SNS 주소 외에도 이메일 주소 등 다양한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420))는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 입력 영역(42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도시된 노래의 명칭, 아티스트의 명칭 외에도 사용자의 선호 장르, 선호 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의 일 예(510)와 같이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는 분석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 제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선호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선호 노래, 선호 패션, 선호 장르, 선호 상품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활동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610)와 같이 활동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포인트 획득 활동을 입력하는 영역(6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포인트 획득 활동은 댓글 입력일 수 있고, 댓글의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이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이라 함)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의 부가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에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계들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30)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100)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설명과 함께 도 7및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S140) 및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상기 선택 입력에 따른 공연 티켓의 구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들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각 단계들은 동시에 또는 정해진 순서와 다른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상술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를 제외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는 서버가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단말로 제공하고,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거주지역 및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선호 장르, 선호 노래, 상품 구매내역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전체 검색 횟수 정보 및 전체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티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공연 관객 수 정보, 그리고,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영상 검색 횟수 정보 및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서버가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는 서버가 (b) 단계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일 예에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각각의 아티스트 정보 및 명칭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각각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는, 서버가 단말로부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전송 받고, 선택된 노래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콘텐츠 정보는, 선택된 노래에 대한 음원 정보, 아티스트 정보, 앨범 정보, 공연 정보, 관련 상품 정보 및 관련 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이 때, 제2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는 서버가 단말로부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전송 받고,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는,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콘텐츠 정보, 공연 정보, 커뮤니티 정보, 패션 정보, SNS 정보, 관련 상품 정보, 관련 뉴스 정보, 관련 인터뷰 정보 및 후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S140)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와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상기 선택 입력에 따른 공연 티켓의 구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50)는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에 포함된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5 인터페이스를 단말로 제공하고, 단말로부터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선택 입력에 따른 공연 티켓의 구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서버가 플랫폼 활동 내역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인터페이스를 단말로 제공하고,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을 전송 받아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에 부여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로 구매 가능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단말로 제공하고, 단말로부터 상품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에서 차감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서버와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상기 (b) 단계에 따라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거주지역 및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선호 장르, 선호 노래, 상품 구매내역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전체 검색 횟수 정보 및 전체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공연 관객 수 정보,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영상 검색 횟수 정보 및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와 상기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각각의 아티스트 정보 및 명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전송 받고, 선택된 노래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콘텐츠 정보는,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한 음원 정보, 아티스트 정보, 앨범 정보, 공연 정보, 관련 상품 정보 및 관련 뉴스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각각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티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전송 받고,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아티스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한 콘텐츠 정보, 공연 정보, 커뮤니티 정보, 패션 정보, SNS 정보, 관련 상품 정보, 관련 뉴스 정보, 관련 인터뷰 정보 및 후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플랫폼 활동 내역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을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역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로 구매 가능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품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에서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에 포함된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5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아티스트의 공연 티켓 선택 입력을 전송 받아 상기 선택 입력에 따른 공연 티켓의 구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방법.
  14.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전송 받고,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거주지역 및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선호 장르, 선호 노래, 상품 구매내역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전체 검색 횟수 정보 및 전체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티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공연 관객 수 정보,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영상 검색 횟수 정보 및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와 상기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17.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입출력 모듈;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 영역 및 선호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입력 받고,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및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거주지역 및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아티스트, 선호 장르, 선호 노래, 상품 구매내역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래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전체 검색 횟수 정보 및 전체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티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에 대한 지역별 순위 정보, 나이별 순위 정보, 성별에 따른 순위 정보, 공연 관객 수 정보,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영상 검색 횟수 정보 및 재생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선호 데이터,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와 상기 아티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아티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에 대한 예상 공연 관객 수의 추정치, 예상 음반 판매량의 추정치 및 예상 굿즈 판매량의 추정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단말.
KR1020210079893A 2021-06-21 2021-06-21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893A KR20220169613A (ko) 2021-06-21 2021-06-21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893A KR20220169613A (ko) 2021-06-21 2021-06-21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613A true KR20220169613A (ko) 2022-12-28

Family

ID=8453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893A KR20220169613A (ko) 2021-06-21 2021-06-21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6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354B2 (en) Override of automatically shared meta-data of media
CN111680221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91679B2 (en) Generating media recommendations based upon beats per minute
US9235853B2 (en)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al entities to a user
US895483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ccess to products and services
JP6192714B2 (ja) 自然言語処理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034970A1 (en) User-generated quick recommendations in a media recommendation system
WO2013059906A1 (en)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using interdomain profile-based inferences
US20130094702A1 (en) Arrangements Involving Social Graph Data and Image Processing
US20160055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ccess to products and services
US86308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and monitoring assessment of, original content creators and the original content thereof
US20140297655A1 (en) Content Presentation Based on Social Recommendations
WO2009002999A2 (en) Presenting content to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based on contextual and behaviorial data relating to a portion of a mobile content
WO2008027924A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y of music within a social network
US201600551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ccess to products and services
US11799931B2 (en) Providing related content using a proxy media content item
JP6827305B2 (ja) 選択装置、選択方法および選択プログラム
KR102141245B1 (ko) 콘텐츠 창작자와 후원자 매칭을 통한 온라인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방법
US8725795B1 (en) Content segment optimization techniques
US904333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ccess to products and services
US20170262869A1 (en) Measuring social media impact for brands
US20160092852A1 (en) Allocation and distribution of payment for podcast services
KR20220169613A (ko)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750167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5356485B2 (ja) コンテンツを媒介としたユーザ属性情報拡張装置、ユーザ属性情報拡張方法及びユーザ属性情報拡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