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413A -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413A
KR20220169413A KR1020220072271A KR20220072271A KR20220169413A KR 20220169413 A KR20220169413 A KR 20220169413A KR 1020220072271 A KR1020220072271 A KR 1020220072271A KR 20220072271 A KR20220072271 A KR 20220072271A KR 20220169413 A KR20220169413 A KR 2022016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pper
administra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홍
남기달
김지영
김윤재
고동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6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5Amines having sulfur, e.g. thiurams (>N—C(S)—S—C(S)—N< and >N—C(S)—S—S—C(S)—N<), Sulfinylamines (—N=SO), Sulfonylamines (—N=S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30Coppe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타이람 단일 투여 요법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욱 우수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바람직하게는 삼중음성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mbination therap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iram and copper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삼중음성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ER-, PR-, HER2-) 환자는 전체 유방암 환자의 10~15 %를 차지하고, 호르몬 수용체 (ER (estrogen receptor), PR (progesterone receptor)) 및 HER2 단백질이 결여되어 있어, 호르몬 치료법이나 HER2 표적치료제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현재 삼중음성유방암의 표준치료는 일반적인 세포독성항암제(Taxene계 또는 Anthracycline계)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확립된 표적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다른 아형은 유방암에 비해 치료 전략이 다양하지 못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수술이나 항암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에서 2~3년 이내에 재발이 나타나고, 폐, 간, 뇌 및 뼈 등의 타 기관으로 전이가 쉽게 유발되어 환자의 생존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3기(stage-III)로 진단받은 환자의 5년 이내 생존율(5-years overall survival)은 55 % 이하이며, 이미 암전이가 진행된 환자(advanced-stage)는 5 년 이내 생존율이 30 % 이하로 매우 낮다. 이들 환자의 대부분은 궁극적으로 수년 내에 모두 사망에 이르게 되는 매우 심각한 질병이다.
타이람(Thiram)은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유기 이황화물(disulfide)로서, 농약으로 널리 이용되는 물질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주로 살균제, 항균제, 및 항진균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뇌종양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타이람과 구리를 병용하는 경우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타이람과 구리를 병용 투여하는 경우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람(thiram)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람(thiram); 및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타이람(thiram); 및 구리의 몰농도비가 1:2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1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타이람과 구리가 혼합된 혼합제 형태이거나, 타이람과 구리가 각각 제제화되어 동시 또는 순차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구리는 구리 글루코네이트, 산화구리, 탄산구리, 염화구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암은 유방암, 피부암, 자궁암, 식도암, 위암, 뇌 종양, 결장암, 직장암, 대장암, 폐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외음부암, 신장암, 혈액암, 췌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후두암, 두경부암, 갑상선암, 간암, 방광암, 골육종, 림프종, 백혈병, 흉선암, 요도암, 및 기관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방암,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중음성유방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개체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가축, 인간 등의 포유류라면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타이람 단일 투여 요법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욱 우수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바람직하게는 삼중음성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타이람(1 μM); 구리 글루코네이트(1 μM); 또는 타이람과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병용 처리(1 μM)한 경우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타이람; 또는 타이람과 구리를 병용 처리한 경우 농도에 따른 세포생존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타이람; 및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리”는 구리염과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Cu2+에 관한 것이나, Cu+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리염은 제약상 허용되는 음이온, 예컨대 글루코네이트(gluconate), 옥사이드(oxide, 산화구리), 카르보네이트(carbonate, 탄산구리), 클로라이드(chloride, 염화구리), 하이드록사이드(hydroxide), 술페이트(sulfat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암의 발생, 확산 또는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병용 투여"는 치료요법의 개별성분들을 동시,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하는 방식으로 이룰 수 있다. 2이상의 약물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거나, 또는 일정한 또는 정해지지 않은 간격으로 교대로 투여하는 등의 방법으로 병용 치료 효과를 얻는 것으로, 병용치료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예를 들어 반응정도, 반응 속도, 질병 진행까지의 기간 또는 생존 기간을 통해 측정된 효능이 병용치료법의 성분 중 하나 또는 나머지를 통상적인 용량으로 투약하여 얻을 수 있는 효능 보다 치료학적으로 우수하면서 상승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실현하는데 필요하거나 또는 충분한 양으로 해당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양의 결정은 대상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양으로서, 다른 독성을 야기하지 않는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료되는 질병 또는 병태, 투여되는 조성물의 형태, 피험체의 크기, 또는 질병 또는 병태의 심각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기술자라면 과도한 실험을 동반하지 않고 개별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따라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상기 암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암은 피부암, 유방암, 자궁암, 식도암, 위암, 뇌 종양, 결장암, 직장암, 대장암, 폐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외음부암, 신장암, 혈액암, 췌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후두암, 두경부암, 갑상선암, 간암, 방광암, 골육종, 림프종, 혈액암, 흉선암, 요도암, 또는 기관지암 등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유방암,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중음성유방암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가축, 인간 등의 포유류라면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서스펜션, 시럽 및 웨이퍼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와 활탁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와 같은 보조제와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으로 또는 정맥 내, 피하, 비강 내 또는 복강 내 등과 같은 비경구적으로 사람과 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설하 적용도 포함한다. 비경구적 투여는 피하주사, 근육 내 주사 및 정맥 주사와 같은 주사법 및 점적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 (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1회 투여시 100 μg내지 3,000 mg의 유효용량으로 하루에 수차례 반복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의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 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두 가지의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된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해 공지된 다른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서 세포생존율 측정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세포주인 MDA-MB-231 (1x 104 cells / wells (confluency ≥ 30 %), 및 BT549 (1.5 x 105 cells / wells (confluency ≥ 30 %)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주들을 각각 10 % fetal bovine serum (FBS), streptomycin-penicillin (100 U/mL) 및 Fungizone (0.625 ㎍/mL)을 함유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에서 5 % CO2, 37 ℃ 환경으로 배양하였다.
96 well plate에 24 시간동안 상기 세포를 부착시킨 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타이람(1 μM); 구리 글루코네이트(copper(II) gluconate, CuGL, 1 μM); 또는 타이람과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1:1 비율로 각각 (1 μM)을 동시에 24 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MTS(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로 4 시간 동안 발색한 뒤, Spectramax Plus384 microplate analyz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타이람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타이람과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병용하여 처리한 경우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서 농도에 따른 세포생존율 측정
실시예 1과 같이 배양한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MDA-MB-231과 BT549에 타이람 단독; 또는 타이람과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1:1 비율로 각각의 조성물을 0, 0.1, 0.25, 0.5, 1, 5 μM의 다양한 농도로 동시에 24 시간동안 처리한 후, MTS assay 기법을 통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지 않고 일정한 수치를 유지했으나, 타이람과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병용 처리한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이는 타이람과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병용 투여하는 경우 암세포, 특히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의 사멸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타이람(thiram); 및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타이람(thiram); 및 구리의 몰농도비가 1:2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타이람과 구리가 혼합된 혼합제 형태이거나, 타이람과 구리가 각각 제제화되어 동시 또는 순차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는 구리 글루코네이트, 산화구리, 탄산구리, 염화구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피부암, 자궁암, 식도암, 위암, 뇌 종양, 결장암, 직장암, 대장암, 폐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외음부암, 신장암, 혈액암, 췌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후두암, 두경부암, 갑상선암, 간암, 방광암, 골육종, 림프종, 백혈병, 흉선암, 요도암, 및 기관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삼중음성유방암인,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72271A 2021-06-18 2022-06-14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KR20220169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9411 2021-06-18
KR1020210079411 2021-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413A true KR20220169413A (ko) 2022-12-27

Family

ID=8456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71A KR20220169413A (ko) 2021-06-18 2022-06-14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393B1 (ko) 2023-03-22 2024-04-29 (주)퓨쳐드 골프장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393B1 (ko) 2023-03-22 2024-04-29 (주)퓨쳐드 골프장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7472A1 (en) Method for treating colorectal cancer
JP5020227B2 (ja) 癌療法性粘膜炎の治療および予防のためのベンズアミジン誘導体
US20060183784A1 (en) Human growth hormone antagonists
CA2870138A1 (en) Glufosfamide combination therapies for cancer
US10736902B2 (en) Method of treating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JP2011520846A (ja) 多発性骨髄腫の治療
CA2703044C (en) Methods of using (+)-1,4-dihydro-7-[(3s,4s)-3-methoxy-4-(methylamino)-1-pyrrolidinyl]-4-oxo-1-(2-thiazolyl)-1,8-naphthyridine-3-carboxylic acid in combination therapy
JP2021525284A (ja) 2,3,5−置換されたチオフェン化合物の乳癌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途
KR20220169413A (ko) 타이람과 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US20120053559A1 (en)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with Epothilone Derivatives and Radiation
AU2007260145A1 (en) Use of thymosin alpha 1 for preparing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stage IV malignant melanoma
WO2019032769A1 (en) POLYTHERAPIES COMPRISING HDAC INHIBITORS AND TUBULIN INHIBITORS
RU2314807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ая терапия, включающая использование замещенных акрилоилпроизводных дистамицина и лучевой терапии
US11324752B2 (en) Imeglimi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Hiramatsu et al. Growth‐inhibitory Effects of N, N‐Diethyl‐2‐[4‐(phenylmethyl) phenoxy]‐ethanamine‐HCl Combined with Cisplatin on Human Ovarian Cancer Cells Inoculated into Nude Mice
US20030139430A1 (en) Use of organic compounds
TW201100072A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eptic shock
WO2016123733A1 (zh) 绿原酸在制备治疗卵黄囊瘤的药物中的用途
AU2008200555A1 (en)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with epothilone derivatives and radiation
AU2002345678A1 (en) Human growth hormone antagon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