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866A -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866A
KR20220168866A KR1020210078880A KR20210078880A KR20220168866A KR 20220168866 A KR20220168866 A KR 20220168866A KR 1020210078880 A KR1020210078880 A KR 1020210078880A KR 20210078880 A KR20210078880 A KR 20210078880A KR 20220168866 A KR20220168866 A KR 2022016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holder
transfer
terminal
management service
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아
Original Assignee
권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아 filed Critical 권정아
Priority to KR102021007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866A/ko
Publication of KR2022016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전자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기 보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한 조회 또는 실시간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열람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주주명부 내 적어도 하나의 주주의 주주 단말로 지명채권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인 통지의무를 부과하는 부과부, 주주 단말에서 양수 단말로 비상장주식이 양도된 경우 주주 단말로부터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명의개서를 진행하는 명의개서부, 주주 단말로부터 양수 단말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주주명부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사용자 단말에서 주주명부를 요청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HAREHOLDER LIST MANAGEMENT SERVICE FOR PRIVATE COMPANY}
본 발명은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조회하고, 주식이 양도된 경우 채권양도통지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주주명부의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혁신적인 사업모형을 제시하며 등장한 스타트업 벤처기업과 중소 혁신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고, 혁신기업 중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기업은 유니콘 기업으로 분류되며 시장의 확장과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비상장 우량기업의 성장으로 비상장주식거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중소기업이 비상장주식거래를 통해 투자를 유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미국은 JOBS(Jumpstart Our Business Startups) Act를 시행하여 증권규제를 완화함으로써 비상장 주식거래를 활성화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KONEX와 스타트업 기업에 특화한 KSM을 운영하고 있고, 금융투자협회는 K-OTC와 K-OTC PRO를 운영하고 있다. K-OTC PRO는 미국의 쉐어스포스트와 NPM과 같이 전문투자자를 위한 전용 플랫폼을 별도로 설립하고, 통일규격증권 발행 및 예탁 지정 요건 폐지, 정기·수시공시 의무와 증권신고서 제출의무를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하면서 거래대상 기업의 참여 유인을 높이고 있다.
이때, 비상장주식을 등록, 관리 및 거래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1-0057642호(2021년05월21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1-0057641호(2021년05월21일 공개)에는, 비상장기업의 주주명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주주명부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주권미발행확인서의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주명부의 무결성을 블록체인에 저장된 해시값을 이용하여 파악한 후 무결성이 검증된 주주명부를 기초로 매도자의 주식보유를 확인하는 주식미발행확인서를 발행하는 구성과, 비상장기업으로부터 주주명부를 등록받고 투자자로부터 등록받은 비상장주식의 매도주문 또는 매도주문의 리스트를 표시하며, 매도주문 리스트 또는 매수주문 리스트에 표시된 매매항목에 대한 협상창을 제공하고, 협상창을 통해 수량 및 가격의 협의 내용이 입력되면, 비상장주식의 매매 계약서를 생성하고, 기 등록받은 주주명부를 기초로 매수자에게 주권미발행확인서를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은 일대일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비상장주식거래를 중개하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비상장주식거래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는 긍정적평가를 받고 있으나, 절차가 복잡하다는 점과 정보비대칭이 존재하는 문제도 있다. 특히, 주주명부 관리 신뢰성 문제와 그로 인한 정보비대칭 문제 또한 일반 투자자의 참여가 제한되는 요인이다. 비상장주식의 상당수가 포함되는 초기 기업은 실물증권을 발행하지 않고 주주명부 역시 기업이 자체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주주명부가 수기 또는 직원 PC에 개별적으로 저장되거나, 주식거래가 이뤄져도 주주명부에 곧바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일반 투자자가 거래정보를 찾기 힘들다. 이로 인해 발생한 정보비대칭은 일반 투자자가 비상장주식거래에 참여할 유인을 감소시킨다. 이에, 비상장주식의 주주명부를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실시간 변동사항을 반영 및 검색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상장주식의 주주명부를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실시간 변동사항을 반영 및 검색가능하도록 하고, 주주는 비상장주식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고 비상장회사는 주주에게 주식의 양도가 있을 경우 채권양도 통지의무를 부과할 수 있으며, 주권이 발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주주들의 불안한 심리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인 또는 법인의 공인인증서 또는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고, 비상장회사에서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주주명부를 관리하며, 주주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전자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기 보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한 조회 또는 실시간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열람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주주명부 내 적어도 하나의 주주의 주주 단말로 지명채권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인 통지의무를 부과하는 부과부, 주주 단말에서 양수 단말로 비상장주식이 양도된 경우 주주 단말로부터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명의개서를 진행하는 명의개서부, 주주 단말로부터 양수 단말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주주명부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사용자 단말에서 주주명부를 요청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비상장주식의 주주명부를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실시간 변동사항을 반영 및 검색가능하도록 하고, 주주는 비상장주식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고 비상장회사는 주주에게 주식의 양도가 있을 경우 통지의무를 부과할 수 있으며, 주권이 발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주주들의 불안한 심리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인 또는 법인의 공인인증서 또는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고, 비상장회사에서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주주명부를 관리하며, 주주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 및 관리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 및 관리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주주 단말(400),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주명부를 조회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주주 단말(400)의 주주일 수도 있고, 양수 단말(500)의 양수인일 수도 있고, 모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는 조회를 하는 자, 주주는 기 보유한 주식을 양도하는 자, 양수인은 주식을 양수하는 자로 역할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로부터 주주명부를 받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회를 하는 경우 그 결과를 제공해주는 서버일 수 있고, 주주 단말(400)에서 주식을 양도한 후 양도통지를 하는 경우 주주명부를 업데이트하고 명의개서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양수 단말(500)의 양수인을 새로운 주주로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법률 또는 정관에 주식양도의 제한이 존재한다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한 사항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재하고, 승인을 하지 않도록 하거나 비상장회사가 매입을 하는 절차 또는 제3자를 지정하는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식양도의 승인 조건 및 절차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저장하고, 주식이 양도되어 채권양도통지가 온 경우에는 자동으로 승인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관리 단말(600)에서 수동으로 승인을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주명부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세무서에 신고를 할 때 절차를 진행할 수임인을 중개해주는 서버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은,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식을 양도하고 채권양도통지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비상장회사로 전달하는 주주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은,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식을 양수받는 양수인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단말(600)은,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상장회사에서 주식양도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는 비상장회사의 관리자 단말일 수 있다. 정관에 주식양도의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관리 단말(600)은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정관 제한 사항을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부과부(320), 명의개서부(330), 업데이트부(340), 검색부(350), 승인관리부(360), 비공개부(370), 자동계산부(380), 신고관리부(390), 분산부(391), 자동승인부(393), 설정부(395) 및 배포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600)로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600)은,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주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양수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서 설명될 주식양도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서술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기본개념들은 도 2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주식양도>
주식의 양도란 법률행위에 의하여 주주권인 주식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의 양도에 의해 주주가 주주로서의 자격에서 회사에 대하여 가지는 모든 법률관계는 포괄적으로 양수인에게 이전된다. 즉, 자익권과 공익권 모두 포괄적으로 양수인에게 이전된다. 다만 이미 주주권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체화된 권리는 주식양도에 의하여 당연히 이전되는 것은 아니다.
<주식양도 자유의 원칙>
원칙적으로 주식회사는 인적회사와 달리 퇴사제도가 인정되지 않으므로 주주의 투하자본의 회수를 위하여 주식양도의 자유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법은 ‘주식은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다’는 규정(제335조①)을 두어 주식양도의 자유를 원칙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다만, 주식 양도의 자유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므로 입법정책에 의하여 법률로써 이를 제한할 필요가 있고, 소규모의 비상장주식회사의 경우에는 주주 상호간의 신뢰관계를 보호하여 자율적으로 정관의 규정으로 주식의 양도를 제한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자의 경영참여를 배제하는 길을 둠으로써 경영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정관으로 그 양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법은 법률 또는 정관에 의한 주식양도의 제한을 인정하고 있다.
<주식양도의 제한>
법률에 의한 제한은 주식양도의 금지까지 가능하나 정관에 의한 제한은 주식양도의 제한까지만 할 수 있고 금지까지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회사와 주주들 사이에서, 혹은 주주들 사이에서 회사의 설립일로부터 5년 동안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당사자 또는 제3자에게 매각·양도할 수 없다는 내용의 약정을 한 경우, 그 약정은 주식양도에 이사회의 승인을 얻도록 하는 등 그 양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립 후 5년간 일체 주식의 양도를 금지하는 내용으로 이를 정관으로 규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주주의 투하자본회수의 가능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으로서 무효이고, 회사와 주주들 사이에서 혹은 주주들 사이에서 약정하였다고 하더라도 무효이다.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의 제한>
주권발행 전의 주식양도란 회사성립 후, 신주의 납입기일 후의 권리주의 상태가 해소된 후의 주권이 발행되기 전의 주식양도로 원칙적으로 회사에 대하여는 그 효력이 없다(제335조③). 주권발행 전의 주식의 양도를 금하는 이유는 주식의 양도는 주권의 교부에 의하여야 하는데(제336조①) 주권발행 전에는 적절한 양도방법이 있을 수 없고 적절한 공시방법도 없어 주식의 거래안전을 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의 효력>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 6 월경과 전 회사에 대한 효력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절대무효이다. 따라서 회사가 승인하고 명의개서를 했더라도 무효이고, 양수인은 회사에 대해 주권의 발행·교부를 청구할 수 없고 회사가 양수인에게 주권을 발행하더라도 이는 주권으로서의 효력은 없다. 이러한 주식양수인이 주주총회를 개최하여 새로 대표이사를 선임했더라도 그 효력이 없고, 주주총회결의부존재의 사유가 된다. 한편 이러한 주식양수인은 주주총회결의의 무효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도 인정되지 않는다. 다만, 당사자사이의 효력은, 주권발행 전의 주식양도는 회사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는 그 효력이 없으나, 당사자사이에 서까지 그 효력이 부정되지는 않으므로 주권발행 전의 주식을 전전 양수한 원고가 회사에 대하여 원시주주를 대위하여 직접 원고에게 주권의 발행교부를 청구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원시주주들의 회사에 대한 주권발행 및 교부 청구권을 대위 행사하여 원시주주에의 주권발행 및 교부를 청구할 수 있다.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납입기일 후 6 개월이 경과하도록 회사가 주권을 발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주권 없이 주식을 양도할 수 있다(제335조③ 단서). 이는 장기간 주권을 발행하지 않는 회사의 주주에게 투하자본의 회수의 기회를 줌과 아울러 그주식을 양수받은 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회사가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납입기일 후 6개월이 경과하도록 회사가 주권을 발행하지 않았더라도 주식의 양도일 현재 주권이 발행된 상태라면 주권 없이는 주식을 양도하지 못한다.
다만, 주권 없이 한 양도라도 당사자사이에서는 물론 회사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주권 발행 전의 주식양도가 인정되더라도 주권 발행 전의 주식의 양도의 경우에는 주권이 없는 관계로 주권의 교부에 의하여 주식을 양수한 자가 누리는 적법성의 추정은 인정되지 않는다(제336조②). 따라서 주권 발행 전에 주식양도가 있었다는 사실은 이를 주장하는 양수인이 이를 입증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양수인은 주식양수의 사실을 입증하여 회사에 대하여 명의개서와 주권발행·교부를 청구할 수 있다. 즉,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 6월이 경과하도록 회사가 주권을 발행하지 아니한 경우에 당사자 사이의 의사표시만으로 주식을 양수한 사람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양도인의 협력을 받을 필요 없이 단독으로 자신이 주식을 양수한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그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
<양도방법>
이 경우 주식양도는 지명채권양도에 관한 일반원칙에 따라 당사자의 의사표시만으로 효력이 발생한다. 즉, 주식양수인은 주주명부상의 명의개서와 관계없이 회사의 주주가 된다. 다만 양수인이 회사에 대하여 권리행사를 하기 위해서는 명의개서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법 제337조 제1항의 주주명부상의 명의개서는 주식양수인이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주주의 권리를 행사하기 위한 대항요건에 지나지 아니한다.
<대항력>
주권 발행 전의 주식의 양도는 지명채권양도방법인 당사자의 의사표시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양수인이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대항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양도인의 회사에 대한 통지 또는 회사의 승낙을 요하며(민법 제450조①), 2중 양수인 등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통지 또는 승낙이 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하여 이루어 져야 한다(민법 제450조②)는 것이 통설·판례이다. 확정일자를 받은 통지 또는 승낙의 서면은 원본이 아닌 사본이라도 대항력에는 그 차이가 없다. 한편 이중양도 등으로 양립할 수 없는 권리를 주장하는 자 사이의 우열은 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한 양도통지가 회사에 도달한 일시 또는 확정일자 있는 승낙의 일시 선후에 의한다.
주권발행 전의 주식양도라도 회사 성립 후 6월경과 후에 이루어진 때에는 회사에 대하여 효력이 있으므로 그 주식양수인은 주주명부상의 명의개서와 관계없이 회사의 주주가 되고, 그 후 그 주식양도 사실을 통지받은 회사가 그 주식에 관하여 주주가 아닌 제3자에게 주주명부상의 명의개서를 하고 그에게 주권을 발행했더라도 그 제3자가 주주가 되고 주식양수인이 주주권을 상실한다고 볼 수 없고, 상법 제355조의 주권발행은 상법 제356조의 형식을 구비한 문서를 작성하여 이를 주주에게 교부하는 것을 말하고 위 문서가 주주에게 교부된 때에 비로소 주권으로서의 효력이 발생하므로 회사가 주주권을 표창하는 문서를 작성하여 이를 주주가 아닌 제3자에게 교부했더라도 위 문서는 아직 회사의 주권으로서의 효력을 가지지 못한다.
<정관에 의한 제한>
소규모의 비상장주식회사의 경우에는 주주 상호간의 신뢰관계를 보호하여 자율적으로 정관의 규정으로 주식의 양도를 제한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자의 경영참여를 배제하는 길을 둠으로써 경영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정관으로 그 양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 경우에 퇴사제도가 인정되지 않는 주식회사의 주주의 투하자금의 회수를 위한 주주의 이익보호를 위한 규정도 아울러 필요하다. 이에 상법은 자세한 규정을 두고 있다.
회사는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발행하는 주식의 양도에 관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받도록 할 수 있다(제335조① 단서). 정관에 의한 주식양도제한 사항은 주식청약서·주권·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청약서, 채권, 사채원부, 신주인수권증권에 기재하여야 하고, 등기에 의하여 공시하여야 한다. 등기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제37조). 정관에 의한 양도 제한은 특정승계인 주식의 양도에만 적용되므로 상속이나 합병 등 포괄승계에는 그 적용이 없다. 또한 양도가 아닌 입질·양도담보의 경우에도 적용이 없다. 다만 경락의 경우에는 경락으로 주식을 취득한 자가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정관의 규정에 반하여 이사회의 승인이 없이 한 주식의 양도는 회사에 대하여 효력이 없다(제335조②). 그러나 당사자사이에서는 유효하다. 당사자사이에서 주식양도가 유효하더라도 회사에 대해 효력이 없으므로, 회사는 양수인에게 권리행사를 하게 할 수 없다
<양도승인의 절차>
양도인의 주식양도의 승인청구를 해야하는데, ① 양도승인의 청구는, 주식의 양도에 관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경우에는 주식을 양도하고자 하는 주주는 회사에 대하여 양도의 상대방 및 양도하고자 하는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양도의 승인을 청구할 수 있다(제335조의2①). 서면에 의하지 아니한 청구는 효력이 없다. ② 승인여부의 통지는, 회사는 승인청구가 있는 날로부터 1월 이내에 주주에게 승인여부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제335조의2②). 회사가 이 기간 내에 주주에게 거부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때에는 주식의 양도에 관하여 이사회의 승인이 있는 것으로 본다(제335조의2③). 양도승인거부통지를 받은 주주는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20일내에 회사에 대하여 양도 상대방의 지정 또는 그 주식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제335조의2④). 주식양도에 관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경우에 주식을 취득한 자(양수인)도 회사에 대하여 그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그 주식취득의 승인청구를 할 수 있다(제335조의7①). 주식양수인이 주식취득의 승인을 청구한 경우에도 주식양도인의 승인청구와 동일한 절차에 의한다(제337조의7②).
만약, 승인거부를 할 경우, ① 양도인의 양도상대방의 지정청구가 있다면, 즉 주주가 양도의 상대방을 지정하여 줄 것을 청구한 경우에는 이사회는 이를 지정하고, 그 청구가 있은 날부터 2주간 내에 주주 및 지정된 상대방에게 서면으로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제335조의3①). 이 기간 내에 상대방 지정통지를 하지 않은 경우, 주식양도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이 있는 것으로 본다(제335조의3②). ② 회사에 대한 주식의 매수청구, 즉 회사가 주식양도의 승인을 거부한 경우에 회사에 대하여 양도주주나 주식의 양수인은 회사에 대하여 그 주식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회사는 매수청구 기간이 종료하는 날로부터 2월내에 그 주식을 매수하여야 한다(제335조의6). 매도가액의 결정은 당사자 간의 협의에 의하고, 매수청구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내에 협의가 되지 않을 경우에 당사자 중 일방은 법원에 매수가액결정을 청구할 수 있고, 이 경우 법원은 제반사정을 참작하여 공정한 가액으로 이를 산정하여야 한다(제335조의6, 제374조의2④⑤).
정리하면, 비상장회사의 주식 양도는, 즉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 6월이 경과한 후에는 주권 없이도 주식을 양도할 수 있으나(제335조②), 그 양도방법에 대해서는 상법에 규정이 없으므로 민법의 일반원칙에 따른 지명채권양도방법에 따라 당사자 간의 의사표시의 합치만으로 양도할 수 있고 당사자 뿐만 아니라 회사에 대하여도 그 효력이 있다. 다만, 이를 회사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양도에 관하여 양도인이 회사에 이를 통지하거나 회사의 승낙을 받아야 하고, 제3자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한 통지 또는 승낙이 있어야 한다(민법 제450조).
<명의개서>
명의개서란, 주식의 이전으로 주주의 교체가 있는 경우에 그 취득자의 인적사항을 주주명부에 기재하는 것을 명의개서라 한다. 주식이전의 대항요건인데, 주식의 양도는 주권의 교부만으로 효력이 발생하나, 취득자의 성명과 주소를 주주명부에 기재하지 아니하면 회사에 대항하지 못한다(제337조①). 양도뿐만 아니라 상속·합병 등에 의해 주식을 취득한 경우에도 이를 주주명부에 기재하지 아니하면 회사에 대하여 주주로서 권리행사를 하지 못한다. 명의개서의 절차에서, 청구권자는, 주권소지인이 단독으로 주권을 제시하여 회사에 대하여 청구할 수 있다. 주식을 양수받은 자는 교부받은 주권을 제시하여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주권을 점유한 자는 적법한 소지인으로 추정되기 때문에(제336조②), 회사는 명의개서를 청구한 자가 무권리자라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면 명의개서를 거절하지 못한다. 상속·합병 등에 의해 주식을 양수한 자나 주권발행 전에 주식을 양수한 자는 주권제시 필요 없이 이러한 양수 사실을 입증하여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고 이 경우 회사는 명의개서를 하여야 한다. 주권을 점유한 자는 적법한 소지인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회사는 주권소지자에 대한 형식적적인 자격만을 심사할 의무만 있고 주식양도의 진위 기타 청구자의 실질적 권리를 조사할 의무가 없다. 따라서 회사가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 없이 명의개서를 한 때에는 청구자가 무권리자라도 면책된다. 회사는 주주명부폐쇄기간 중에는 명의개서를 거부하여야 한다.
주식양수인이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때(명의개서미필주주)에는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판례), 신주발행이나 이익배당 등의 경우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게 된다. 다만 회사가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주식취득자를 주주임을 인정하는 것은 관계없다는 것이 통설과 판례이다. 회사가 부당하게 명의개서를 거부한 때 주식양수인은 명의개서여부에 관계없이 주주로서의 권리행사가 가능하고, 명의개서 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회사는 명의개서 청구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고, 회사의 이사 등은 일정한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
상술한 기본개념을 기반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전자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기 보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한 조회 또는 실시간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열람할 수 있다. 주주명부열람권은 자신이 주식을 보유한 회사의 주주명부를 볼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상법 396조 2항에는 '주주 및 회사채권자는 영업시간 내에는 언제든지 주주명부의 열람 ㆍ등사를 청구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장부터 익명화 또는 가명화를 사용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주민등록번호를 지우는 등 개인정보보호법을 건드리지 않는 수준에서 주주명부를 공개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실제로는, 상법의 규정과 다르게 회사 측이 먼저 공개하지 않은 주주명단을 보려면 법원에서 가처분 신청을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만큼 회사 측의 거부반응이 심해서 회사가 주주명부열람을 거부할 때 소송을 거치지 않고서는 열람할 수 없는 상황이다. 증권의 명의개서를 대리하는 한국예탁결제원은 "회사가 거부할 경우 현실적으로 가처분신청을 해 판결을 받아와야 해당 회사의 주주명부를 공개할 수 있다"면서 "그렇지 않을 때는 자신이 보유한 주식만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또, 회사가 거부를 하지 않더라도 상법 396조 2항에는 "영업시간 내"로 시간적 제약을 걸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직장을 다니거나 회사에 근무하는 일반인은 이를 열람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수집하되, 개인정보보호법에 충돌될 사항에 대해서는 익명화 또는 가명화 처리하면서 수집을 하거나, 익명화 또는 가명화되지 않은 주주명부를 데이터베이스화하되, 이를 제공할 때에는 익명화 또는 가명화처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부과부(320)는, 주주명부 내 적어도 하나의 주주의 주주 단말(400)로 지명채권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인 통지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채권(주식)을 블록체인에 등록하여 채권 발행, 유통, 거래 과정을 공개하여 투명한 거래가 가능하고, 주주 단말(400)에서 별도로 입력을 하지 않아도 통지가 자동화될 수 있다. 즉, 채권 양도 및 이서에 다양한 정보가 바로 업데이트 되고 그 정보는 각 블록에 저장되어 당사자들이 블록에 있는 정보를 바로 무결하다고 판단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채권의 채무불이행이 발생하면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기존 증명서 등 기업 채무불이행에 대한 서류 후선업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금액이 해당 블록에 저장된 채권소유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명의개서부(330)는, 주주 단말(400)에서 양수 단말(500)로 비상장주식이 양도된 경우 주주 단말(400)로부터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명의개서를 진행할 수 있다. 명의개서는 대부분 상장사의 경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증권예탁원과 금융위원회에 명의개서대행업무 등록을 한 주식회사만이 명의개서대행업무를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명의개서대행회사는 유가증권의 배당·이자 및 상환금의 지급을 대행하는 업무와 증권의 발행을 대행하는 업무를 영위할 수 있으며, 현재 증권예탁원과 하나은행, 국민은행이 명의개서대행업무를 하고 있다. 이때, 명의개서대리인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담당자에게 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40)는, 주주 단말(400)로부터 양수 단말(500)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주주명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후술할 블록체인의 경우 라이트 노드에는 주주명부를 업데이트하고, 명의개서가 진행되기 이전까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검색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주주명부를 요청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부(350)는, 주주명부 폐쇄기간이 존재할 때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승인관리부(360)는, 주주 단말(400)로부터 양수 단말(500)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채권양도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600)로 채권양도통지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600)에서 채권양도통지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명의개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공개부(370)는, 주주명부 내 주주의 성명과 주소, 주민등록번호, 각 주주가 가진 주식의 종류와 수, 각 주주가 가진 주식의 비율 및 각 주식의 취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를 비공개로 설정하거나 각 데이터의 일부를 비공개로 설정하는 열람 포맷을 제공할 수 있다. 주주명부의 공개청구의 소에서 판례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위배되지 않는 한 허용을 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비공개부(370)는 가명화 처리(Pseudonymizatoin)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비공개부(370),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가명화 처리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Distinguishability)하도록 설정하고, 가명화 처리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고, 시스템 상 원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익명화 처리(Anyonymisation)인 데이터 마스킹이 적용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가명화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즉 익명화 기술(데이터 마스킹)이 가명화 조건까지 충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마스킹으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Distinguishability)하도록 설정되어야 하고, 마스킹으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도 복원되지 않는 동적 데이터 마스킹을 적용하고, 서비스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가명화 처리는, 휴리스틱 가명화, 암호화 및 교환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명화 처리는, 총계 처리(Aggregation), 데이터 삭제(Data Reduction), 데이터 범주화(Data Suppression), 및 데이터 마스킹(Data Mask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과 함께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가명화 처리(Pseudonymizatoin)를 수행한 후,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정량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프라이버시 모델을 구동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모델의 구동 결과,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되지 못한 경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피드백을 요청하고,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된 경우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버시 모델은, k-익명성(anonymity), l-다양성(diversity), 및 t-근접성(closeness)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식별화된 데이터가 재식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Differential Privacy Model)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는, k-익명성과 l-다양성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C. Dwork가 제안한 모형으로, 단순한 숫자의 변화가 아니라 레코드들 자체의 확률적 변형을 통해 식별 가능성을 제한하는 접근법이다.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은 ① 어떤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집합에서 차분적인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획득한 결과와 ② 그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집합에서 얻은 결과가 구별되지 못하게 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이 목표의 달성을 위해 정확하게 계산된 양의 노이즈를 통계 기록에 넣어서 개인의 식별성을 없애는 방법을 이용한다. 민감한 정보의 보호를 위해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은 체계적으로 무작위 수치를 넣게 되고 이 무작위 수치는 일종의 노이즈 역할을 한다. 이 노이즈의 삽입을 통해 어떤 데이터셋에 특정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익명화 기법들은 공격자가 사전지식을 갖고 있을 때 최소성 공격(Minimality Attack)에 취약하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차분 프라이버시는 공격자의 사전 지식과 관계없이 각 개인의 정보를 확률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레코드(Record) 값이 하나만 차이 나는 두 이웃 데이터베이스 D1, D2를 입력으로 하는 질의 결과가 S이고, 임의의 함수 A가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할 때, 함수 A가 ε -차분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고 정의한다.
Figure pat00001
이러한 차분 프라이버시의 정의를 만족하는 여러 기법들 중 숫자 데이터에 널리 쓰이는 라플라스 기법(Laplace Mechanism)은 라플라스 분포를 통해 난수를 생성하여 기존 데이터에 더하는 방식이다. 라플라스 분포의 식은 이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라플라스 기법에서는 μ=0, b=△f/ε의 라플라스 분포를 사용하며 이때, △f는 두 이웃 데이터베이스 D1과 D2에 대한 질의 결과의 최대 차이이다.
다음, 차분 프라이버시 k-평균 알고리즘(이하, EUGkM)에 대해 설명한다. 차분 프라이버시를 만족하는 K-평균 알고리즘을 히스토그램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데이터를 여러 개의 격자(Grid)로 나눈 뒤 각 격자 내에 있는 데이터 포인트 개수를 히스토그램으로 만든다. 그 뒤에 각 격자 내 포인트 개수에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고, 각 격자의 중심점을 이용해 K-평균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각 클러스터의 중심점을 계산할 때는 각 격자가 갖고 있는 포인트 개수에 비례한 가중치를 두어 계산한다. EUGkM 알고리즘의 정보 보호 수준 ε과 총 데이터 개수 N, 데이터 차원 d를 이용해 최적의 격자 개수 m을 계산하는 식은, 이하 수학식 3과 같고, θ는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주는 값이다.
Figure pat00003
EUGkM 알고리즘에서 각 격자 내에서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은 격자 간에 주고받는 영향이 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이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여 히스토그램을 만드는 과정을 하둡 맵리듀스를 이용해 분산병렬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재식별화가 불가하도록 역추적을 방지하는 방법은, 2 개의 맵리듀스 페이즈(Phase)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페이즈에서는 병렬적으로 차분 프라이버시가 적용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두 번째 페이즈에서 히스토그램의 각 격자를 데이터 포인트로 생각하고 K-평균 클러스터링을 병렬적으로 실행한다.
첫 번째, 히스토그램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맵퍼(Mapper)는 전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에 대해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구한 격자 수로 나눈다. 그 뒤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가 속한 격자 위치를 구하고 여러 개의 격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파티션(Partition)으로 묶어서 리듀서(Reducer)로 보낸다. 이때 데이터 포인트를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 파티션의 경우는 더미(Dummy) 격자 하나만 전송하도록 한다. DPHist-MR.reduce 함수에서는 각 파티션의 데이터 영역 내에 모든 격자들이 포함하는 데이터 개수에 대해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고 격자의 중심점을 구해 내보낸다. 이때, 점의 개수가 0인 격자의 경우는 맵퍼로부터 전송받지 않고 리듀스 함수 내에서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분산병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과정에서, K-평균 클러스터링은 각 격자의 중심점을 하나의 데이터로 간주하고 클러스터링을 진행한다. 맵리듀스를 활용한 K-평균 클러스터링에서 맵(Map)에서는 각각의 점에 대해 가까운 클러스터 중심점을 계산하고 리듀스에서는 각 클러스터에 대해 새로운 중심점을 계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노이즈 삽입만을 수행하기 위해 차분 프라이버시를 만족하는 히스토그램을 만들고, K-평균 클러스터링을 수행했을 때의 문제점, 즉 히스토그램의 크기가 커질 때 한 대의 머신에서 처리하기 위해 긴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히스토그램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즉 노이즈를 다량 삽입하여 공격이 불가한 데이터 보호를 만들더라도, 병렬적으로 노이즈를 삽입함으로써 대량의 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차분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히스토그램을 만들 수 있다.
자동계산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식변동이 발생할 시, 증감된 주식수만 입력되면 주식변동이 발생한 비상장회사의 주주의 주식수 및 주식비율이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
신고관리부(390)는, 주주 단말(400)에서 양수 단말(500)로 주식을 양도한 경우, 주주 단말(400)로 주식양수도계약서 및 양도자 주식 취득계약서를 포함한 양도세신고 및 증권거래세 신고를 위한 준비서류를 요청하고, 주주 단말(400)로부터 준비서류가 수집되면 기 등록된 세무 단말로 신고 요청을 한 후 결과를 주주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분산부(391)는, 주주명부를 기 구축된 블록체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분산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일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기본 전제는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이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는 서로 신뢰하는 구성원들이 합의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고 협조하여 분산화 된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또한 컨소시엄은 네트워크 목표에 부합하면서 신뢰할 수 있고 법적책임을 질 수 있는 조직들로만 구성된다. 승인되고 주체가 분명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환경(Trusted Environment)이기 때문에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에 내재하던 근본적인 한계에 얽매이지 않고 비즈니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신뢰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인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의 신뢰성, 효율성, 가용성, 무결성, 기밀성을 준수할 수 있다. 조직은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처리속도를 극대화하고 즉각적인 결재가 필요로 한 비즈니스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지나친 에너지 소모가 필요한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승인된 이해 관계자들 한해서만 트랜잭션 세부 내역이 공개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나 기밀성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5가지의 비즈니스 요구사항 외에도,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조직의 목표를 효과성과 준거성을 갖추고 달성할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는 조직의 블록체인 활용 전략과 정책이 조직 목표와 연계되고 이해 관계자들에게 가치가 전달되도록 구성원들이 분산화 되고 협조하여 거버넌스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요구사항의 준수, 전략과 정책을 평가, 효과적으로 네트워크가 운영되도록 지시하고 감독하는 거버넌스는 신뢰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구성원들 간의 합의와 투표를 통해 운영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 가장 적합할 수 있다.
IT 거버넌스란 이사회와 경영진의 책임 하에서 수행되는 기업 거버넌스의 일부로 IT가 조직의 전략과 목표를 유지하고 확장할 수 있게 하는 리더십, 조직구조, 프로세스를 뜻한다. 국제표준 ISO/IEC 38500:2015에서는 IT 거버넌스를 최고 경영진에 의해 IT의 현재와 미래의 활용이 지시(Directed)되고 통제(Controlled)되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최고 경영진은 현재와 미래의 IT 활용을 평가하고, IT 사용이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도록 전략과 정책을 통해 지시하며, 정책준수와 전략과 비교하여 성과를 모니터링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공공 데이터나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와 같은 경우에는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고 공유하되, 그 속도가 느려지지 않도록 풀노드가 아닌 라이트 노드에 저장하고, 개인정보와 생체정보가 포함되며 하이재킹(Hijacking)되지 말아야 할 데이터는 프라이빗 체인의 풀노드에 저장하며, 인증으로 생성된 초기생성키는 사용자가 보관하도록 하되, 이를 분실하거나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신뢰기관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 복구 및 재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각 정보를 풀노드-라이트 노드로 이원화화고, 각 블록체인도 그 쓰임에 따라 융복합하되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승인부(393)는, 주주 단말(400)로부터 양수 단말(500)로 주식이 양도될 때,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상장회사의 관리 단말(600)에서 승인을 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자동승인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자동승인부(393)는, 거래 프로세스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스마트계약은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일종인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알고리즘 계약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당사자가 설정하거나 합의로 설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설정부(395)는, 주주 단말(400)의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600)에서 승인 이벤트가 발생되면, 명의개서를 하기 이전에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블록체인의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에 저장하고, 명의개서가 완료된 후 주주명부를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부(395)는, 기 설정된 속도가 보장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에,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보관부(320)는, 엑세스 시간이나 속도가 짧고 빨라야 하는 데이터는 라이트 노드에 저장하고, 그 외의 개인정보나 인증정보와 같은 속도가 느려도 기밀성을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는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라이트 노드는 블록체인에 참여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로,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개별 거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풀노드처럼 모든 블록 정보의 원본을 가지고 있지는 않고 일종의 요약본, 즉 블록헤더에 있는 중요한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100GB 저장 공간을 가진 폰이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모바일 지갑은 라이트 노드로 사용된다. 참고로 데스크톱 컴퓨터의 지갑은 풀노드로 사용된다. 라이트 노드는 모든 블록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새로운 거래 정보를 수신받았을 경우 이 거래가 정상적인지 검증할 수 없다. 반대로 풀노드의 경우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컬에 있는 블록 정보를 조회하여 검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노드는 개별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SPV(Simple Payment Verify, 단순 지불 검증)를 사용한다. SPV는 라이트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하기 위해 풀노드에게 블록정보를 요청하여 머클트리를 통해 이 거래가 검증된 거래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한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라고 한다.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있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 머클트리만 가지고 있으면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라고 부른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모든 노드는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로 나뉜다. 풀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노드에 의존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해 접속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예로 들면, 풀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풀노드의 장점은, 예를 들어, 트랜잭션에 대한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자체 노드에서 전송데이터가 발송되기 때문에 이 전송이 어디에서 생성된 것인지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라이트 노드는 전송데이터가 중앙서버를 통해 나가기 때문에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완전한 보안이 아니라고 해서 해킹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노출될 수 있는 정보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이 됐는지에 대한 정보가 서버에 남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반해 풀노드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됐는지 알지 못한다. 임의의 노드에서 코인 전송을 다른 PC에 전달하는 경우 임의의 브로드캐스트를 받은 PC는 이 전송이 내가 보낸 것인지 혹은 다른 것을 전달한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풀노드는 개인키의 쉬운 입출력이 가능하다. 풀노드 Bitcoin Core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종이지갑을 만드는 경우 개인키의 추출이 필요한데 다른 라이트 노드 지갑에 비해 개인키의 추출 및 입력이 간단하다.
반대로 라이트 노드의 장점은 사용이 쉽다는 것인데, 자체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주주명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설치부터 사용까지의 시간이 얼마 안 걸리며 사용이 간편하다. 풀노드의 경우 블록 데이터가 140GB에 이르기 때문에 이 블록을 모두 받아오는데 2일에서 7일까지 걸릴 수 있다. 또, 라이트 노드는 복구가 간편하다. 시드(Seed) 방식을 이용하여 주소를 관리하기 때문에 지갑 복구가 간편하다. 12/18/24개의 영어 단어를 잘 적어두면 혹시라도 지갑이 분실되어도 이 단어를 이용해 지갑 복구가 가능하다. 반대로 풀노드는 PC 명령어 사용에 어느정도 능숙해야 지갑 손실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블록체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하고 초기생성키(Key)를 시스템을 이루는 각 개별 주체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인증 데이터 및 개인정보 데이터는 개인 전자지갑 포맷으로 저장되고, 초기생성키 값으로 열람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폐 전자지갑은 핫월렛(Hot Wallet)과 콜드월렛(Cold Wallet)으로 나눌 수 있다. 핫월렛은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암호화폐 전자지갑이며 항상 온라인 상태로 존재한다. 콜드월렛은 암호화폐 지갑이 사용되는 순간에만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평소에는 오프라인 상태로 존재한다. 오프라인 상태로 암호화폐를 저장해 네트워크 해킹을 막아 보안성을 높인 암호화폐 하드웨어 지갑을 말한다. 핫월렛은 스마트폰 앱이나 PC로 접속가능한 것이고 콜드월렛은 USB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나 개인키를 인쇄한 종이 등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형태의 것인데, 콜드월렛은 안전하지만 보관 및 휴대의 부담이 있다. 콜드월렛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라야 한다. 안전한 오프라인 환경에서 개인 키 생성, 개인 키 백업 만들기와 백업 키를 다른 장소에 보관, 하드웨어 월렛을 도난당했을 때 실제 암호화폐를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월렛 암호화 등의 원칙을 포함한다.
이때, 소프트웨어 키(초기생성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멀티팩터(Multi-Factor) 인증, 즉 개인 키와 추가적인 인증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고, 다중 서명(Multi-Signature), 즉 n 개의 개인 키 중에서 m 개(m<=n)의 서명이 있어야 인증이 가능한 구조로 네트워크 사용자를 보호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초기생성키는 멀티팩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이 이후 기술되는 힌트일 수 있다. 이때, 개인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보관부(320)는 라이트 노드에 사진 등과 같은 개인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개인만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봇(Bot)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봇은, 웹 매크로(Macro) 봇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크로 프로그램은 단순/반복적 작업을 자동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통상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키보드 및 마우스 입력값, 입력순서 등의 작업을 사전에 입력하여 자동적,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단순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사용된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반복적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 자체는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하여 필요하고, 아울러 매크로 프로그램은 허용된 명령을 자동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지갑 포맷은, ERC(Ethereum Requests for Comment)-20 Token을 지원할 수 있다. ERC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토큰의 표준규약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에서는 다양한 디앱(DApp,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이 디앱들은 각각 이더리움 기반의 서로 다른 토큰들을 발행하고 있다. ERC는 디앱 토큰을 개발하면서 준수하자고 합의한 개발자들의 기술표준 같은 것이다. 토큰 발행 시 지켜야 할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ERC-20의 장점은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aract)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토큰 거래에 특정한 계약조건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범용성 높은 블록체인 활용이 가능해진다. 이 전자지갑은 지갑을 여는 역할을 하는 개인 키(Private Key)를 보관하는 키스토어(Keystore)를 포함할 수 있다.
배포부(397)는, 사용자 단말(100), 주주 단말(400) 및 양수 단말(500)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주주명부를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b)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주주명부를 조회하는 경우, 익명화 또는 가명화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c)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식양도시 채권양도 통지의무를 각 주주 단말(400)로 안내하고, 주주 단말(400)에서 주식양도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비상장회사의 관리 단말(6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정관에 양도제한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3자를 지정하거나 회사가 매입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주명부의 변경이 있는 경우 이를 즉시 주주명부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익명화로 마스킹 처리를 할 수 있고, 관리 단말(600)은 웹 페이지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주주명부를 조회, 열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에서 변경할 권한은 없고 조회만 가능하다. (c)와 같이 주주명부가 확정되면 이를 블록을 생성 또는 분기시켜 분산저장할 수 있고, (d) 주식양도의 승인 조건이나 대항요건인 통지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자동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S5100).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주주명부 내 적어도 하나의 주주의 주주 단말로 지명채권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인 통지의무를 부과하고(S5200), 주주 단말에서 양수 단말로 비상장주식이 양도된 경우 주주 단말로부터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명의개서를 진행한다(S5300).
또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주주 단말로부터 양수 단말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주주명부를 업데이트 하고(S5400), 사용자 단말에서 주주명부를 요청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출력하도록 제공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전자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기 보유한 비상장주식에 대한 조회 또는 실시간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열람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주명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주주명부 내 적어도 하나의 주주의 주주 단말로 지명채권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인 통지의무를 부과하는 부과부, 상기 주주 단말에서 양수 단말로 비상장주식이 양도된 경우 상기 주주 단말로부터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명의개서를 진행하는 명의개서부, 상기 주주 단말로부터 양수 단말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주주명부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주주명부를 요청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주주명부를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주주 단말로부터 양수 단말로의 주식양도에 대한 채권양도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로 상기 채권양도통지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에서 채권양도통지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상기 명의개서를 진행하도록 하는 승인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주주명부 내 주주의 성명과 주소, 주민등록번호, 각 주주가 가진 주식의 종류와 수, 각 주주가 가진 주식의 비율 및 각 주식의 취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를 비공개로 설정하거나 각 데이터의 일부를 비공개로 설정하는 열람 포맷을 제공하는 비공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상장회사의 주식변동이 발생할 시, 증감된 주식수만 입력되면 주식변동이 발생한 비상장회사의 주주의 주식수 및 주식비율이 자동으로 계산되는 자동계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주주 단말에서 상기 양수 단말로 주식을 양도한 경우, 상기 주주 단말로 주식양수도계약서 및 양도자 주식 취득계약서를 포함한 양도세신고 및 증권거래세 신고를 위한 준비서류를 요청하고, 상기 주주 단말로부터 준비서류가 수집되면 기 등록된 세무 단말로 신고 요청을 한 후 결과를 상기 주주 단말로 전송하는 신고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주주명부를 기 구축된 블록체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분산저장하는 분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주주 단말로부터 양수 단말로 주식이 양도될 때,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비상장회사의 관리 단말에서 승인을 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자동승인처리되도록 하는 자동승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주주 단말의 채권양도통지 이벤트가 발생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에서 승인 이벤트가 발생되면, 명의개서를 하기 이전에 업데이트된 상기 주주명부를 상기 블록체인의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에 저장하고, 상기 명의개서가 완료된 후 상기 주주명부를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주주 단말 및 양수 단말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배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78880A 2021-06-17 2021-06-17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68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80A KR20220168866A (ko) 2021-06-17 2021-06-17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80A KR20220168866A (ko) 2021-06-17 2021-06-17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66A true KR20220168866A (ko) 2022-12-26

Family

ID=8454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80A KR20220168866A (ko) 2021-06-17 2021-06-17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119B1 (ko) * 2023-06-12 2023-09-18 주식회사 쿵월드 블록체인 메인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dao 방식으로 운영되는 플랫폼의 dao 방식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119B1 (ko) * 2023-06-12 2023-09-18 주식회사 쿵월드 블록체인 메인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dao 방식으로 운영되는 플랫폼의 dao 방식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271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provenance for distributed transaction databases
US2021004283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liance Aware Tokenization and Control of Asset Value
Peters et al. Understanding modern banking ledgers through blockchain technologies: Future of transaction processing and smart contracts on the internet of money
Surujnath Off the chain: A guide to blockchain derivatives markets and the implications on systemic risk
Duy et al. A survey 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Blockchain technology adoption for revolutionary innovation
US10607285B2 (en) System for managing serializability of resource transfers in a process data network
KR102022453B1 (ko) 채권자산 기반 암호화화폐 발행을 이용한 채권 회수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118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ier Information Management
Kasatkin The legal content of a white paper for an ICO (initial coins offering)
US20220284508A1 (en) A distributed computing architecture with settlement mechanism to enable traceability of credit tokenization, disbursement and repayment
KR20220168866A (ko) 비상장회사를 위한 주주명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Bhardwaj et 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in various domains
Lokshina et al. Revisiting state-of-the-art applications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analysis of unresolved issues and potential development
Fawcett Bitcoin regulations and investigations: A proposal for US policies
Teichmann et al. The token and blockchain economy: Risks, opportunities, and implication
Niroli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Banking and Financial Sector in India
Walia et al. Foundation of the Digital Global Economy
Kaal et al. Blockchain innovation in private investment funds-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Van Hijfte et al. Blockchain and industry use cases
Alza Jr Blockchain & CCPA
Mario Lavizzari et al. The development of digital identity in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From an element that enables digital transactions to a new strategic asset for business
US20220391987A1 (en) Blockchain-based insurance claims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Mik et al. Blockchain and tax administration: A critical assessment
Wong Blockchain
Swani The Blockchain Revolution: Analyz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