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801A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 Google Patent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801A
KR20220168801A KR1020210078743A KR20210078743A KR20220168801A KR 20220168801 A KR20220168801 A KR 20220168801A KR 1020210078743 A KR1020210078743 A KR 1020210078743A KR 20210078743 A KR20210078743 A KR 20210078743A KR 20220168801 A KR20220168801 A KR 20220168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go pin
housing
subject
respiratory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0296B1 (en
Inventor
장현호
Original Assignee
젠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296B1/en
Publication of KR2022016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by whole-body plethys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agnosing respiration using a pogo pin, which comprises: a housing; a pogo pin mounted on the housing to have one end protruding toward a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ward an in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one end is mov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inhalation of the subject and the one end is returned to an original position in exhalation of the subject; an elastic supporting plate having one end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to measure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which is caused by movement of the pogo pin; and an analyzer diagnosing the respir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a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Description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Respiratory diagnosis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pogo pin and a respiration measurement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포고 핀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을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포고 핀의 이동량에 의해 형상 변화된 탄성지지판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 신호를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easuring respiration of a subject using a pogo pin, and more particularly, by measuring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an elastic support plate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amount of movement of a pogo pin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piration, and generating the measurement signal It relates to 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pogo pin capable of diagnosing the respiratory rate and abnormal state of a subject through the test, and a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therefor.

일반적으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자 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센서들은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as interest in health has recently increased, research on health care using electronic devic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or example, sensors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can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user. In order for the user to check his or her condition, it is most important to continuously measure the biosignal. Do. In this regard, a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 user's exercise state or abnormal state is required, electronic devices that provide a function of checking a user's biosignal are being developed.

특히,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생체 신호 중 호흡수는 신체의 가장 기본적인 활력 정도를 파악하는 바이탈 사인 중 하나로서, 호흡률, 즉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mong the biosignals collected from the user, the respiratory rate is one of the vital signs that determine the most basic level of vitality of the body, and various methods are used to measure the respiratory rate, that is, the number of breaths per minute.

예를 들어, 피검체의 호흡률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폐활량측정법(spirometry),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의 방식이 존재한다.For example, methods of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or respiratory rate of a subject include spirometry and capnometry.

폐활량측정법(spirometry)은 폐활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폐에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측정하는 방식이고,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은 호흡에 따른 CO2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정확도는 비교적 높으나,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Spirometry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flow of air entering and leaving the lungs using a spirometry, and capnometry is a method of measuring CO2 according to respiration. Although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relatively high accuracy,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additional equipment is required and continuous monitoring is difficult.

또한, 청진센서만을 이용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만약 청진센서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측정할 때에는 호흡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별도로 장착해야지만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청진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초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respiratory rate using only the auscultation sensor, and if the respiration rate is measured using the auscultation sensor, a sensor for sensing respiration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but the structure of the stethoscope is complicated because the accuracy is increased. The downside is that the initial cost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포고 핀의 이동량에 의해 형상 변화된 탄성지지판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 신호를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measur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measures the respiratory rate and abnormality of the subject through the measurement sig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pogo pin capable of diagnosing the condition and a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for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과,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 시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 시 상기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하는 포고 핀(pogo pin)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포고 핀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탄성지지판(elastic supporting plate)과, 기 탄성지지판에 장착되고, 상기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판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및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을 진단하는 분석기(analyzer)를 포함할 수 있다.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a subject, one end protruding toward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 pogo pin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one e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during inhal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piration, and the one end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during exhalation, and one end of the housing An elastic supporting plat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nd a shape change of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attached to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by movement of the pogo pin It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nd an analyzer for diagnosing respir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본 실시예의 진단 장치는 상기 분석기의 진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기(transce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is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ransceiver providing a diagnosis result of the analyzer to a user terminal.

상기 압력센서는 다각형의 필름 타입 센서로서, 상기 탄성지지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is a polygonal film type sensor and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상기 포고 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방지편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방지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과 상기 제2 방지편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포고 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고 핀을 탄성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go pin is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and a first prevention piece for limiting the escape of the pogo pi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A second prevention piece that restricts the pogo pin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to make the pogo pin elastic. A spring for moving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하우징의 양 측에는 웨어러블 밴드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 (holder)가 형성될 수 있다.Holders for mounting wearable band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진단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하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icky patch or wearable fabric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and adheres the diagnosis device to a diagnosis site of the subject.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analyzer may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호흡 패턴을 판별할 수 있다.The analyzer may determine a breathing patter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본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른 측정 장치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과,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 시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 시 상기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하는 포고 핀(pogo pin)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포고 핀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탄성지지판(elastic supporting plate)과, 기 탄성지지판에 장착되고, 상기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판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및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분석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a subject, and one end protrudes toward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 pogo pin and one end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ne e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during inhalation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the one end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during expiration. , an elastic supporting plate whose other e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nd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and measuring a change in shape of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by movement of the pogo pin ( pressure sensor) and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to an analysis server.

상기 압력센서는 다각형의 필름 타입 센서로서, 상기 탄성지지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is a polygonal film type sensor and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상기 포고 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방지편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방지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과 상기 제2 방지편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포고 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고 핀을 탄성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go pin is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and a first prevention piece for limiting the escape of the pogo pi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A second prevention piece that restricts the pogo pin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to make the pogo pin elastic. A spring for moving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하우징의 양 측에는 웨어러블 밴드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holder)가 형성될 수 있다.Holders for mounting wearable band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진단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하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icky patch or wearable fabric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and adheres the diagnosis device to a diagnosis site of the subject.

본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호흡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가 송신한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를 진단하는 분석기(analyzer)를 포함하는 진단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agnostic server including a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and an analyzer (analyzer) for diagnosing a subject based on a measurement signal transmitted by the measuring device.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analyzer may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호흡 패턴을 판별할 수 있다.The analyzer may determine a breathing patter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본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른 호흡 진단 방법은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과,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 시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 시 상기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하는 포고 핀(pogo pin)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포고 핀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탄성지지판(elastic supporting plate)과, 기 탄성지지판에 장착되고, 상기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판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및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분석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호흡 측정 장치의 측정 신호를 이용한 진단 서버의 호흡 진단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가 상기 호흡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분석기가 상기 수신된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 또는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spiratory diagnosis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through-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a subject, and the through-hole so that one end protrudes toward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is attached to a pogo pin, one end of which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during inhalation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during expiration and one e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elastic supporting plate, the other end of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nd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and measuring a change in shape of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by movement of the pogo pin. (pressure sensor) and a communicator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to the analysis server in the respiratory diagnosis method of the diagnostic server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the receiver is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It may include receiving and determining, by an analyzer, a respiration rate or a respiration patter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signal.

상기 압력센서는 다각형의 필름 타입 센서로서, 상기 탄성지지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is a polygonal film type sensor and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상기 포고 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방지편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방지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과 상기 제2 방지편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포고 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고 핀을 탄성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go pin is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and a first prevention piece for limiting the escape of the pogo pi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A second prevention piece that restricts the pogo pin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to make the pogo pin elastic. A spring for moving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포고 핀의 이동량에 의해 형상 변화된 탄성지지판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 신호를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 장치 및 측정 장치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is measured, and the respiratory rate and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can be diagnosed through the measurement signal. The device can be design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호흡수 측정 센서 없이 포고 핀과 압력센서만으로도 피검체의 호흡 수 및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단 장치 및 측정 장치의 설계 비용이 비교적 저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piratory rate and diagnosis of the subject can be diagnosed only with the pogo pin and the pressure sensor without a separat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sensor, the design cost of the diagnosis device and the measurement device can be relatively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진단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진단 장치의 포고 핀 부위를 나타낸 단면.
도 4는 도 2에 예시된 포고 핀의 이동에 따른 압력 센서의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호흡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증상에 따른 호흡의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장치와 점착 패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진단 장치와 점착 패치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단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람을 제외한 진단 서버의 호흡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agnostic device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go pin portion of the diagnostic device illustrated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de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illustrated in FIG. 2;
5 is a view showing a pattern of respiration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6 is a graph showing patterns of breathing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respiratory symptoms.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gnostic device and the adhesive patch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separated;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agnostic device shown in FIG. 7 and an adhesive patch are attach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iagnostic device shown in FIG. 8;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spiratory diagnosis system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respiration of a diagnosis server excluding hum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don'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MODUL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 specific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 is omitt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130)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spiratory diagnosis apparatus 10 using the pogo pin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130)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10)를 예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10 using a pogo pin 13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단 장치(10)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 (104)에 의해 포고 핀(130)이 피검체의 흉곽에 접촉하도록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고, 피검체가 호흡할 때 포고 핀(130)의 이동에 의한 탄성지지판(120)의 형상 변화를 압력센서(110)로 측정한다. 그리고 진단 장치(10)는 압력센서(110)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 패턴을 판별하여 호흡수를 산출하거나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진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diagnostic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is worn on the body of a test subject so that the pogo pin 130 contacts the chest of the test subject by a wearable band 104, and the test subject During breathing, the shape chang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due to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130 is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0. Further, the diagnostic device 10 determines a breathing patter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10 to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r diagnose an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예컨대, 피검체의 호흡은 흡기와 호기로 구분된다.For example, the subject's respiration is divided into inspiration and expiration.

흡기(Ins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Intercostal muscle)이 수축하여 늑골(Rib)이 들리고, 횡격막(Diaphragm) 역시 수축함에 따라 내려가 흉강(Thoracic cage)의 부피가 늘어난다. 반대로, 호기(Ex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이 이완하여 늑골이 내려가고, 횡격막도 이완하여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줄어든다.During inspiration, intercostal muscles contract to lift the ribs, and the diaphragm also contracts to decrease,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thoracic cage. Conversely, during expiration, the intercostal muscles relax and the ribs go down, and the diaphragm also relaxes and goes up, reducing the volume of the thoracic cavity.

본 발명에서 호흡은 흡기와 호기를 검출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좁은 의미로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 좁은 의미로 폐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호흡이라는 정의는 흡기와 호기를 포괄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흉곽 또는 폐의 팽창과 수축을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reathing can be defined in a broad sense that detects inspiration and expiration. Alternatively, it may refer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ibcage in a narrower sense,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ungs in a more narrow sense. That is, the definition of respi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meaning of inspiration and expiration as well as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hest or lungs.

본 실시예에서 진단 장치(10)에 연결되는 웨어러블 밴드(104)는 피검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밴드(104)의 양 끝단에는 버클(미도시), 스냅 단추(미도시) 또는 벨크로(미도시)와 같은 부재가 구비되어 웨어러블 밴드(104)착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웨어러블 밴드(104)은 신축성을 가지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피검체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earable band 104 connected to the diagnosis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and so as to be worn on the subject. Members such as buckles (not shown), snap buttons (not shown), or Velcro (not shown)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earable band 104 to facilitate putting on and taking off the wearable band 104 . The wearable band 104 is implemented to have elasticity or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subject.

이하에서 설명하는 피검체는 수술 중 사람에게 사용되는 각종 장비의 착용 및 부착이 어려운 동물일 수 있다.The subject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n animal that is difficult to wear and attach various equipment used for humans during surgery.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진단 장치(1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진단 장치의 포고 핀(130)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예시된 포고 핀(130)의 이동에 따른 압력 센서의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agnostic device 10 illustrated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go pin 130 of the diagnostic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and FIG. 4 is a pogo illustrated in FIG. 2 .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n 13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단 장치(10)는 하우징(100)(housing)과,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장착된 포고 핀(130)(pogo pin)과, 포고 핀(130) 및 하우징의 바닥면(102)에 연결되도록 장착된 탄성지지판(120)(elastic supporting plate)과, 압력센서(110) 및 분석기(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기(150)를 더 포함한다.2 to 4, the diagnostic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0, a pogo pin 13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a pogo pin. 130 and an elastic supporting plate 120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a pressure sensor 110 and an analyzer 140. And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or 150.

하우징(100)은 진단 장치(1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방향이 개방되고, 내부에 분석기(140) 및 통신기(150)와 같은 전자장치가 장착된 PCB 기판(141)이 실장된다. PCB 기판(141)에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 또는 공급된 전원을 축전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케이스(103)에 의해 개방된 면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케이스(103)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케이스(10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using 10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diagnostic device 10, is open in one direction, and has a PCB board 141 mounted with electronic devices such as the analyzer 140 and the communicator 150 mounted therein. The PCB substrate 141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modul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or a battery (not shown) for accumulating the supplied power. A surface of the housing 100 opened by the case 103 may be sealed.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103 without the case 103 being provided separately.

하우징(100)은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102)에 관통홀(105)이 형성된다. 관통홀(105)은 포고 핀(130)이 장착되기 위한 것이다. 관통홀(105)은 바닥면(102)의 중심 또는 바닥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위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 바닥면(102)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 through hole 105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in contact with the object under test. The through hole 105 is for mounting the pogo pin 13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5 may be formed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02 or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02, and in this embodiment, they are formed at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explain with an example.

하우징(100)의 외측 양단에는 웨어러블 밴드(104)가 체결되기 위한 홀더(101)(holder)가 형성된다. 홀더(101)는 웨어러블 밴드(104)가 통과되어 묶일 수 있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거나, 웨어러블 밴드(104)가 걸어질 수 있는 고리(미도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101)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Holders 101 to which the wearable band 104 is fastened are formed at both outer ends of the housing 100 . The holder 101 may have a fastening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wearable band 104 passes and can be tied, or may be formed in a ring (not shown) shape through which the wearable band 104 can be hung. The shape of the holder 101 is not limited to any one.

포고 핀(130)은 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관통홀(105)에 장착된다. 포고 핀(130)은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흉곽의 팽창) 시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흉곽의 수축) 시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포고 핀(130)의 일단이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포고 핀(130)의 타단도 일단과 동일한 이동량으로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pogo pin 130 is formed in a pin shape and is mounted in the through hole 105 so that one end protrudes toward the object to be inspected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One end of the pogo pin 130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during inspiration (expansion of the chest)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one end moves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during expiration (contraction of the chest). At this time, when one end of the pogo pin 130 mov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130 is also mov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by the same amount of movement as the one end.

포고 핀(130)은 제1 방지편(131), 제2 방지편(132) 및 스프링(133)을 더 포함한다.The pogo pin 130 further includes a first prevention piece 131 , a second prevention piece 132 and a spring 133 .

제1 방지편(131)은 관통홀(105)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고,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하우징(100)의 바닥면(102)과 인접한 위치에 포고 핀(13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 방지편(131)은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The first prevention piece 131 has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hole 105, and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ogo pin 130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130 at a position adjacent to . The first prevention piece 131 restricts the pogo pin 130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outward from the housing 100 .

제2 방지편(132)은 관통홀(105)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고,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하우징(100)의 바닥면(102)과 인접한 위치에 포고 핀(13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 방지편(132)은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포고 핀(130)은 제1 방지편(131) 및 제2 방지편(132)의 사이 간격만큼 관통홀(105)을 따라 이동한다.The second prevention piece 132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hrough-hole 105, and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ogo pin 1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housing 100.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130 at a position adjacent to . The second prevention piece 132 prevents the pogo pin 130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 That is, the pogo pin 130 moves along the through hole 105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vention pieces 131 and 132 .

스프링(133)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2) 외측과 제2 방지편(132) 사이에 대응하는 포고 핀(130)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스프링(133)은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이동될 때 제2 방지편(132)에 눌려 압축되고, 팽창되면서 포고 핀(13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The spring 133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130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132 . When the pogo pin 130 is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e spring 133 is pressed and compressed by the second prevention piece 132, and expands to restore the pogo pin 130 to its original position.

예를 들면, 피검체의 흡기 시 흉곽이 팽창되면, 포고 핀(130)은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이동되고 이때 스프링(133)은 압축된다. 그리고 피검체의 호기 시 흉곽이 수축되면, 포고 핀(130)은 스프링(133)의 팽창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For example, when the chest of the test subject expands during inhalation, the pogo pin 130 is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pring 133 is compressed at this time. When the chest is contracted during exhalation of the subject, the pogo pin 1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xpansion of the spring 133 .

탄성지지판(12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이 하우징(100)의 바닥면(102)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타단이 포고 핀(130)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포고 핀(130)의 이동에 따라 외형의 변형이 발생된다.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e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130 so that the pogo pin As the 130 moves, the external shape is deformed.

탄성지지판(120)은 제1 면(121), 제2 면(122) 및 제3 면(123)을 갖고, 각각의 면은 이웃하는 면과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연결된다.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has a first surface 121, a second surface 122 and a third surface 123, and each surface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surface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예컨대, 제1 면(121)은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포고 핀(130)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3 면(123)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2)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2 면(122)은 제1 면(121)과 제3 면(123)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면(121)의 높이와 제3 면(123)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제2 면(122)은 경사진다.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21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pogo pin 130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third surface 123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Connected. And the second surface 122 connects the first surface 121 and the third surface 123. And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surface 121 and the height of the third surface 123 are different, the second surface 122 is inclined.

탄성지지판(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4에서처럼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이동되면 포고 핀(130)의 단부가 탄성지지판(120)의 제1 면(121)을 밀어 올린다. 이때, 탄성지지판(120)의 제3 면(123)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2)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2 면(122)에 외형 변형 및 스트레스가 발생된다. 그리고 포고 핀(13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 탄성지지판(1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면(121) 및 제2 면(122)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when the pogo pin 130 is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push up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surface 123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housing 100, external deformation and stress are generated on the second surface 122. When the pogo pin 1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surface 121 and the second surface 122 are also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

압력센서(110)(strain gage)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고 탄성지지판(120)의 일면에 부착되어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포고 핀(130)의 이동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 탄성지지판(120)의 변위량 및 스트레스를 측정한다.The pressure sensor 110 (strain gage) is formed in a polygonal or circular film type and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the shape of which is de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130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piration. Measure the amount of displacement and stress of (120).

본 실시예에서 압력센서(110)는 절대 압력(absolute pressure)센서, 게이지 압력(gauge pressure)센서, 차압(differential pressure)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10 may include any one of an absolute pressure sensor, a gauge pressure sensor, and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본 실시예에서 압력센서(110)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가 채택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종류의 압력센서가 채택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a strain gauge is used as the pressure sensor 110, but other types of pressure sensors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 채택된 스트레인게이지는 구조체의 변형되는 상태와 그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체 표면에 부착하는 게이지다. 압력센서(110)는 압력(또는 스트레스)이 가해지면 내부 분극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압전체 등을 이용하여 외부 힘이 가해져 변형이 되면 전기저항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한다.The strain gauge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s a gauge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structure in order to measure the state and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The pressure sensor 110 uses a piezoelectric material whos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due to internal polarization when pressure (or stress) is applied, and generates a signal using the principle that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deformed.

분석기(140)는 포고 핀(130)의 이동에 의한 탄성지지판(120)의 변위량(형상 변화)을 측정한 압력센서(110)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을 진단한다. 여기서 피검체의 호흡을 진단한다 함은 피검체의 호흡수 및 이상 상태(예를 들면, 폐 질환)를 진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analyzer 140 diagnoses the subject's respir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10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change in shap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130. Here, diagnosing the subject's breathing means diagnosing the subject's respiratory rate and abnormal condition (eg, lung disease).

예컨대, 피검체의 호흡에 의한 흉곽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면 포고 핀(130)의 이동에 의한 탄성지지판(120)에 외형의 변형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피검체의 흉곽이 팽창되면 포고 핀(130)이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여 탄성지지판(120)을 밀어 올리고, 피검체의 흉곽이 수축되면 포고 핀(13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탄성지지판(120)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For example, when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thorax due to respiration of the test subject occur, deforma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occurs due to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130 . For example, when the chest of the test subject is inflated, the pogo pin 130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pushes up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and when the chest of the test subject is contracted, the pogo pin 130 is originally While being restored to the position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is also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압력센서(110)는 이러한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탄성지지판(120)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분석기(140)는 압력센서(110)의 측정 신호에서 특정 주기를 갖는 호흡의 패턴을 판별한다. 그리고 분석기(140)는 그 패턴을 분석하여 피검체의 호흡수의 산출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한다.The pressure sensor 110 measur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120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the analyzer 140 determines a breathing pattern having a specific cycle from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10. Then, the analyzer 140 analyzes the pattern to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and diagnose abnormal conditions.

본 발명에서 폐의 ‘이상 상태’라 함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of the lungs may be defined in advance by various criteria.

일 예로, 폐에 체액이 차서 발생하는 폐부종의 경우, 폐에 소정 기준 이상의 체액이 차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므로 그 이전에 전조 증상을 미리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ulmonary edema caused by fluid filling in the lungs, when the lungs are filled with fluid above a predetermined standard, an irreversible serious situation occurs, so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precursor symptoms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분석기(140)는 호흡주기(호흡수)가 정상상태의 20%를 초과하는 것으로 계산되면, 돌이키기 어려운 심각 상태의 전조 단계로 간주하여 ‘이상 상태’로 판단하거나 심각한 ‘폐부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호흡주기(호흡수)에 대한 비교 판단 대상으로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정보(정상 상태의 호흡주기 또는 호흡수)가 이용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analyz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at the respiratory cycl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of the normal state, it is regarded as a prognostic stage of an irreversible serious state and judged as an 'abnormal state' or severe 'pulmonary edema'. can judge here. Pre-stored information (respiratory cycle or respiratory rate in a normal state) of the subject may be used as an object for comparison and determination of the respiratory cycle (respiratory rate).

즉, 피검체가 반려동물일 경우, 반려동물의 종, 암/수, 나이 및 몸무게 등에 따라 정상적인 호흡주기에 대한 구축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st subject is a companion animal, construction data on a normal respiratory cycle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species, male/female, age and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만약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호흡주기가 없는 경우에는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평균 호흡주기가 이용될 수 있다.If there is no pre-stored respiratory period for the subject, an average respiratory perio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the subject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 분석기(140)는 압력센서(110)의 측정 신호와 다른 측정 신호를 고려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거나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nalyzer 140 may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or diagnose an abnorm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a measurement signal different from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10 .

예컨대, 분석기(140)에는 청진 센서(미도시)도 실장될 수 있다. 진단 장치(10)에 실장된 청진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와 압력센서(110)의 측정 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거나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는 심음 신호 및 호흡 신호를 포함하며, 이러한 생체 신호와 압력센서(110)의 측정 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a stethoscope sensor (not shown) may also be mounted on the analyzer 140 .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may be calculated or an abnormal state may be diagnosed by considering both the biosignal measured through the auscultation sensor (not shown) mounted in the diagnosis device 10 and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10 . Here, the biosignal includes a heart sound signal and a respiration signal, and diagnosis accuracy can be increased by considering both the biosignal and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10 .

통신기(150)는 분석기(140)에서 진단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라 함은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정보를 진료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노트북, 단말기, 태블릿PC, 진단 서버 및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or 150 transmits information diagnosed by the analyzer 140 to the outside. Here, the external may include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a tablet PC, a diagnosis server, and a smart phone through which a practitioner can check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agnosis device 10 .

통신기(150)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통신기(150)는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기(150)는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or 150 us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WSN), Wireless LAN or WLAN (Wireless LAN or Wi-Fi) and UWB (Ultra Wideband), 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r low-power wide area (LPW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In particular, the communicator 150 may support broadcasting-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by supporting a Bluetooth-based BLE beacon protocol. In addition, the communicator 150 may support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2G, 3G, 4G, and 5G,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may be

본 실시예에서 통신기(150)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진단 장치(10)에는 진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the communicator 150 is not provided, the diagnosis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screen (not shown) for outputting diagnosis results.

도 5는 본 실시예의 압력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호흡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of respiration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0 of this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압력센서(110)에서 측정된 신호는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특정 주기를 갖는 패턴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signal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0 has a pattern having a specific cycle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piration.

예컨대, 도 5의 (A)구역에서처럼 측정 신호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면 흉곽의 수축 및 팽창이 규칙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기(140)는 피검체가 정상적인 호흡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분석기(140)는 그 패턴의 주기를 카운팅하여 피검체의 호흡을 산출한다.For example, if the measurement signal has a regular pattern as shown in area (A) of FIG. 5,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chest are determined to be regular, and the analyzer 140 considers that the subject is breathing normally. In addition, the analyzer 140 calculates the subject's breathing by counting the period of the pattern.

분석기(140)는 도 5의 (B)구역에서처럼 측정 신호가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면 폐의 이상 상태(예를 들면, 폐질환)가 발생된 것으로 진단한다.The analyzer 140 diagnoses that an abnormal state of the lungs (eg, lung disease) has occurred when the measurement signal has an irregular pattern as shown in area (B) of FIG. 5 .

분석기(140)는 측정 신호의 패턴을 미리 정의된 다양한 폐질환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구체적인 폐질환 이름을 판단해 낼 수도 있다.The analyzer 140 may determine a specific lung disease name by comparing the pattern of the measurement signal with various predefined lung disease patterns.

도 6은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증상에 따른 호흡의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breathing pattern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respiratory symptoms.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정상 호흡(eupnea) 빈 호흡 또는 다호흡(tachypnea), 호흡완서(bradypnea), 무호흡(apnea), 체인스토크 호흡(cheyne stokes), 비오 호흡(biots), 빈사 상태의 호흡(agonal), 얕은 호흡(shallow), 과호흡(hyperpnea), 쿠스멀 징후(kussmauls) 및 한수(sighing) 등의 파형은 다르게 도출된다.Referring to FIG. 6, normal breathing (eupnea), tachypnea, bradypnea, apnea, cheyne stokes, biots, and moribund breathing. Waveforms such as agonal, shallow, hyperpnea, kussmauls and sighing are derived differently.

따라서, 분석기(140)는 피검체로부터 측정된 호흡의 파형에 근거하여 호흡기 증상별 파형과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유사도 이상의 파형이 존재하면 해당 호흡기 증상의 폐질환 종류를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analyzer 140 compares the similarity with the waveform for each respiratory symptom based on the respiratory waveform measured from the subject, and when a waveform with a predetermined similarity or higher exists, the type of lung disease of the corresponding respiratory symptom can be specifically determin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진단 장치(10)에서 피검체의 신체에 부착되는 방식이 변형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the diagnosis device 10 of the first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body of a subject is modified.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진단 장치(20)는 제1 실시예의 진단 장치(10) 중 홀더(101)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diagnostic device 2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agnostic device 1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holder 101,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7은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장치(20)와 점착 패치(24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진단 장치(20)와 점착 패치(240)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단 장치(2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gnostic device 20 and the adhesive patch 240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8 is a state in which the diagnostic device 20 and the adhesive patch 240 shown in FIG. 7 are attached. ,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agnosis device 20 shown in FIG. 8 .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피검체의 접촉면(바닥면)과 반대하는 상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점착 패치(240)가 용이하게 장착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housing 2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its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top opposite to the contact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under test. This is for the adhesive patch 240 to be easily mounted.

하우징(200)에는 피검체의 접촉면 부위의 둘레에 편 형태로 돌출된 외주 편(201)이 형성된다.An outer circumferential piece 201 protruding in the form of a piece is formed arou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n the housing 200 .

점착 패치(240)(sticky patch)는 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진단 장치(20)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검체에 접착된다.The adhesive patch 240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200 and adheres to the subject in a state in which the diagnosis device 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agnosis site of the subject.

점착 패치(240)는 하우징(2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200) 및 외주 편(201)의 전체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adhesive patch 24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a part of the housing 200 is exposed, and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entir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iece 201 .

예컨대, 점착 패치(240)의 일부는 외주 편(201)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되고, 나머지 부위는 피검체의 신체에 부착된다. 점착 패치(240)는 피검체의 진단 부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피검체의 의류 표면에 부착되어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adhesive patch 240 is attach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iece 201,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subject. The adhesive patch 24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of the subject for diagnosis o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bject's clothing.

본 실시예에서, 외주 편(201) 및 외주편(201)과 접촉하는 점착 패치(240)의 일부는 상호 자성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한 점착 패치(240)로부터 하우징(200)을 용이하게 탈락 시키고, 새로운 점착 패치(240)를 이용하여 하우징(200)을 다른 피검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piece 201 and a part of the adhesive patch 240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iece 201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housing 2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used adhesive patch 240 and the housing 20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other subject using the new adhesive patch 240 .

뿐만 아니라, 점착 패치(240)는 진단 부위에 대응하는 의류의 특정 위치에서 의류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200)은 점착 패치(24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점착 패치(240)가 의류와 일체로 형성되면 피검체가 의류를 착용하기만 하더라도 진단 장치(20)가 피검체의 호흡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진단 장치(20)는 피검체의 일상 생활에서도 피검체의 호흡을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tch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thing at a specific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site, and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adhesive patch 240 . If the adhesive patch 2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thing, the diagnostic device 20 can measure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even if the subject wears the clothing. That is, the diagnosis apparatus 20 can diagnose the subject's breathing even in the subject's daily life.

본 실시예에서 점착 패치(240)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tch 240 may be formed of a wearable fabric material.

본 실시예에서 점착 패치(240)는 하우징(200)의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진단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점착 패치(240)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0)을 가로지르도록 하우징(200)에 부착되고, 양 단이 피검체의 신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tch 240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adhere the diagnostic device to the diagnostic site of the subject while covering a part of the housing 200 . For example, the adhesive patch 240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and attached to the housing 200 so as to cross the housing 200, and both ends may be attached to the body of the test subject.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는 측정 장치(30)의 압력센서(330)가 탄성지지판(320)의 외형 변형만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통신기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relates to a technique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330 of the measuring device 30 measures only the external deformation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320 and provides the measured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or.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30)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장치(10, 20)에서 분석기(140)만 제외된다.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30)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장치(10, 20)에서 분석기(140)를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들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measuring device 30 of the third embodiment, only the analyzer 140 is excluded from the diagnosis devices 10 and 20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Since the measurement device 30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ll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analyzer 140 of the diagnosis devices 10 and 20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130)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30 using the pogo pin 1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30)는 통신기(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measuring device 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or 340 .

통신기(340)는 측정 장치(30)의 압력센서(330)에서 측정된 신호를 실시간으로 외부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or 340 transmits the signal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330 of the measuring device 30 to the outside in real time.

여기서 외부라 함은 압력센서(330)의 측정 신호를 통해 호흡수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노트북, 단말기, 태블릿PC, 진단 서버 및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utside may include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a tablet PC, a diagnosis server, and a smart phone in which a program capable of diagnosing respiratory rate and abnormal conditions through a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330 is installed.

통신기(340)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통신기(340)는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or 340 us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WSN), Wireless LAN or WLAN (Wireless LAN or Wi-Fi) and UWB (Ultra Wideband), 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r low-power wide area (LPW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In particular, the communicator 340 may support broadcasting-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by supporting a Bluetooth-based BLE beacon protocol.

또한, 통신기(340)은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or 340 uses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2G, 3G, 4G, and 5G,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an also support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4 실시예는 측정 장치(40)에서 측정된 신호를 분석 서버(41)로 제공하고, 분석 서버(41)에서 실시간으로 피검체의 호흡수 산출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이다.The fourth embodiment is a system for providing a signal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40 to the analysis server 41, and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of a subject and diagnosing abnormal conditions in the analysis server 41 in real time.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4 실시예의 측정 장치(40)는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3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measuring device 40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the same as the measuring device 30 of the third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spiratory diagnosis system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측정 장치(40)와 측정 장치(40)에 구비된 압력센서(430)의 측정 신호를 수신받는 분석 서버(41)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system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easuring device 40 and an analysis server 41 receiving measurement signals from a pressure sensor 430 provided in the measuring device 40 .

분석 서버(41)는 측정 장치(40)와 무선 통신하여 실시간으로 압력센서(430)의 측정 신호를 제공받는다.The analysis server 41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easuring device 40 to receive a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430 in real time.

분석 서버(41)와 측정 장치(40)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The analysis server 41 and the measuring device 40 us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Wireless Sensor Network (WSN). ), WLAN (Wireless LAN or Wifi) and UWB (Ultra Wideband), etc., or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LPWA, Low Power Wide Area)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long-distance communication.

분석 서버(41)와 측정 장치(40)는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 서버(41)와 측정 장치(40)는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The analysis server 41 and the measuring device 40 may support information transmission of a broadcasting method by supporting a Bluetooth-based BLE beacon protocol. In addition, the analysis server 41 and the measuring device 40 are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2G, 3G, 4G, and 5G,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he.

뿐만 아니라, 분석 서버(41)와 측정 장치(40)는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분석 서버(41)와 측정 장치(40)가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될 경우, USB 통신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server 41 and the measuring device 4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hen the analysis server 41 and the measuring device 40 are wired through a cable, the USB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supported.

분석 서버(41)는 분석기(42)를 통해 압력센서(430)의 측정 신호에서 호흡의 패턴을 판별하고, 호흡의 패턴에서 피검체의 호흡수 산출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한다. 분석기(42)가 피검체의 호흡수 산출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하는 방식은 제1 실시예의 분석기(140)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한다.The analysis server 41 determines a respiration pattern from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430 through the analyzer 42, and calculates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and diagnoses abnormal conditions from the respiration pattern. The analyzer 42 uses the same method as the analyzer 140 of the first embodiment for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and diagnosing abnormal conditions.

본 실시예에서 분석기(42)는 호흡수의 산출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노트북, 단말기, 태블릿PC, 진단 서버 및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nalyzer 42 may include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a tablet PC, a diagnosis server, and a smart phone in which a program capable of calculating respiratory rates and diagnosing abnormal conditions is installed.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1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람을 제외한 진단 서버의 호흡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respiration of a diagnosis server excluding hum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피검체는 수술 중 사람에게 사용되는 각종 장비의 착용 및 부착이 어려운 동물일 수 있다.The subject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n animal that is difficult to wear and attach various equipment used for humans during surgery.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측정 장치는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measurement device described below is the same as the measurement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호흡 진단 방법은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및 호흡수 또는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 the respiration diagnosis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S100) and determining a respiration rate or a respiration pattern (S200).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수신기가, 측정 장치로부터 피검체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탄성지지판의 외형 변형에 대한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In the step of receiving the measurement signal (S100), the receiver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for external deformation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generated when the subject breathes from the measurement device.

수신기는 측정장치의 통신기와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기와 수신기는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er connects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measurement device wit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nd Wireless Sensor Network (WLA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AN or Wifi and UWB (Ultra Wideband)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Low Power Wide Area (LPWA). In particular,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broadcasting-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by supporting the Bluetooth-based BLE beacon protocol. In addition, the communicator and receiver transmit data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2G, 3G, 4G, and 5G,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an send and receive.

본 실시예에서 통신기와 수신기는 케이블을 통한 유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or and the receiver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wired manner through a cable.

호흡수 또는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단계(S200)의 분석기는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탄성지지판의 변위량을 측정한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호흡 패턴을 판별하고, 그 호흡 패턴을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 및 이상 상태(예를 들면, 폐 질환)를 진단한다. The analyzer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breathing rate or breathing pattern (S200) determines the breathing patter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by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and determines the breathing pattern through the breathing pattern. Respiratory rate and abnormal conditions (eg lung disease) are diagnosed.

예컨대, 피검체의 호흡에 의한 흉곽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면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해 탄성지지판에도 외형의 변형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피검체의 흉곽이 팽창되면 포고 핀이 탄성지지판을 밀어올리고, 피검체의 흉곽이 수축되면 포고 핀 및 탄성지지판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For example, when the chest is contracted or expanded due to respiration of the test subject, the shap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is also deform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For example, when the chest of the test subject expands, the pogo pin pushes up the elastic support plate, and when the chest of the test subject contracts, the pogo pin and the elastic support plate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s.

압력센서는 이러한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탄성지지판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분석기는 수신받은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에서 특정 주기를 갖는 호흡의 패턴을 판별한다. 그리고 분석기는 그 패턴을 분석하여 피검체의 호흡수의 산출 및 이상 상태를 진단한다.The pressure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by the movement of the pogo pin, and the analyzer determines a breathing pattern having a specific cycle from the received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Then, the analyzer analyzes the pattern to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and diagnose abnormal conditions.

본 발명에서 폐의 ‘이상 상태’라 함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of the lungs may be defined in advance by various criteria.

일 예로, 폐에 체액이 차서 발생하는 폐부종의 경우, 폐에 소정 기준 이상의 체액이 차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므로 그 이전에 전조 증상을 미리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ulmonary edema caused by fluid filling in the lungs, when the lungs are filled with fluid above a predetermined standard, an irreversible serious situation occurs, so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precursor symptoms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분석기는 호흡주기(호흡수)가 정상상태의 20%를 초과하는 것으로 계산되면, 돌이키기 어려운 심각 상태의 전조 단계로 간주하여 ‘이상 상태’로 판단하거나 심각한 ‘폐부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호흡주기(호흡수)에 대한 비교판단 대상으로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정보(정상 상태의 호흡주기 또는 호흡수)가 이용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analy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at the respiratory cycl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of the normal state, it can be regarded as a precursor to an irreversible serious condition and judged as an 'abnormal condition' or serious 'pulmonary edema'. there is. here. Pre-stored information (respiratory cycle or respiratory rate in a normal state) of the subject may be used as a comparative judgment target for the respiratory cycle (respiratory rate).

즉, 피검체가 반려동물일 경우, 반려동물의 종, 암/수, 나이 및 몸무게 등에 따라 정상적인 호흡주기에 대한 구축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st subject is a companion animal, construction data on a normal respiratory cycle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species, male/female, age and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만약,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호흡주기가 없는 경우에는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평균 호흡주기가 이용될 수 있다.If there is no previously stored respiratory cycle for the subject, an average respiratory cycle for a predetermined time of the subject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 분석기는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와 다른 측정 신호를 고려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거나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nalyzer may calculate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or diagnose an abnormal condition by considering a measurement signal different from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예컨대, 분석기에는 청진 센서(미도시)도 실장될 수 있다. 진단 장치에 실장된 청진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와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거나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는 심음 신호 및 호흡 신호를 포함하며, 이러한 생체 신호와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a stethoscope sensor (not shown) may also be mounted on the analyzer.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may be calculated or an abnormal state may be diagnos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vital signal measured through an auscultation sensor (not shown) mounted in the diagnosis device and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Here, the bio-signal includes a heart sound signal and a respiration signal, and diagnostic accuracy can be increased by considering both the bio-signal and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10: 진단 장치
100: 하우징
101: 홀더
102: 바닥면
110: 압력센서
120: 탄성지지판
130: 포고 핀
131: 제1 방지편
132: 제2 방지편
133: 스프링
140: 분석기
150: 통신기
10: diagnostic device
100: housing
101: holder
102: bottom surface
110: pressure sensor
120: elastic support plate
130: pogo pin
131: 1st part of prevention
132: 2nd block
133: spring
140: analyzer
150: communicator

Claims (18)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 시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 시 상기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하는 포고 핀(pogo pin);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포고 핀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탄성지지판(elastic supporting plate);
상기 탄성지지판에 장착되고, 상기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판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및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을 진단하는 분석기(analyzer)
를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 housing having through-holes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est subject;
It is mounted in the through-hole so that one end protrudes toward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one e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the e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during exhalation. a pogo pin that moves into position;
an elastic supporting plate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plate and measuring a shape chang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by movement of the pogo pin; and
An analyzer for diagnosing the subject's respir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의 진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기를 더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or for providing a diagnosis result of the analyzer to a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방지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방지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과 상기 제2 방지편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포고 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고 핀을 탄성 이동시키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go pin,
a first prevention piece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to limit the pogo pin from escap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a second prevention piece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to restrict the pogo pin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to elastically move the pogo pin.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에는 웨어러블 밴드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가 더 형성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is further formed a holder for mounting a wearable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진단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하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더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further comprising a sticky patch or wearable fabric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to bring the diagnosis devi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agnosis site of the su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alyzer is 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for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alyzer is a respiratory diagnosis device using a pogo pin for determining a breathing patter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 시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 시 상기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하는 포고 핀(pogo pin);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포고 핀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탄성지지판(elastic supporting plate);
상기 탄성지지판에 장착되고, 상기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판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및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분석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기
를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
a housing having through-holes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est subject;
It is mounted in the through-hole so that one end protrudes toward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one e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subject, and the e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during exhalation. a pogo pin that moves into position;
an elastic supporting plate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plate and measuring a shape change of the elastic support plate by movement of the pogo pin; and
Communicator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to the analysis server
Respiration measurement device using a pogo pin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방지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방지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과 상기 제2 방지편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포고 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고 핀을 탄성 이동시키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ogo pin,
a first prevention piece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to limit the pogo pin from escap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a second prevention piece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to restrict the pogo pin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to elastically move the pogo pin.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a pogo pin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에는 웨어러블 밴드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가 더 형성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a pogo pin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is further formed a holder for mounting a wearable ba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진단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하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더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Respiration measurement device using a pogo pin further comprising a sticky patch or wearable fabric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to bring the diagnostic devi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agnostic site of the subjec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analyzer,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using a pogo pin for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analyzer is a breathing measuring device using a pogo pin for determining a breathing patter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제8항의 호흡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가 송신한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를 진단하는 분석기를 포함하는 진단 서버
를 포함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시스템.
The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of claim 8; and
a diagnosis server comprising an analyzer for diagnosing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transmitted by the measurement device;
Respiratory diagnosis system using a pogo pin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를 산출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4,
The analyzer is a respiratory diagnosis system using a pogo pin for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4,
The analyzer is a respiratory diagnosis system using a pogo pin for determining a breathing pattern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피검체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과, 일단이 피검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흡기 시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기 시 상기 일단이 원 위치로 이동하는 포고 핀(pogo pin)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포고 핀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탄성지지판(elastic supporting plate)과, 상기 탄성지지판에 장착되고, 상기 포고 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판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및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분석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기를 포함하는 호흡 측정 장치의 측정 신호를 이용한 진단 서버의 호흡 진단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가 상기 호흡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분석기가 상기 수신된 측정 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호흡수 또는 호흡 패턴을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람을 제외한 진단 서버의 호흡 진단 방법.
A housing having a through-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ject, and mounted in the through-hole so that one end protrudes toward the subject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when breathing in according to the subject's breathing A pogo pin, one end of which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one end of which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during exhalation, one e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go pin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and measuring a change in shape of the elastic supporting plate by movement of the pogo pin, and a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In the respiratory diagnosis method of the diagnostic server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respiratory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or for transmitting to the analysis server,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from the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by the receiver; and
Determining, by an analyzer, the respiratory rate or breathing patter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signal
Respiratory diagnosis method of the diagnosis server excluding people includ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방지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핀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방지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과 상기 제2 방지편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포고 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고 핀을 탄성 이동시키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사람을 제외한 진단 서버의 호흡 진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The pogo pin,
a first prevention piece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to limit the pogo pin from escap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a second prevention piece formed o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to restrict the pogo pin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go pi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prevention piece to elastically move the pogo pin.
Respiratory diagnosis method of the diagnosis server excluding people further comprising.
KR1020210078743A 2021-06-17 2021-06-17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KR102550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43A KR102550296B1 (en) 2021-06-17 2021-06-17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43A KR102550296B1 (en) 2021-06-17 2021-06-17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01A true KR20220168801A (en) 2022-12-26
KR102550296B1 KR102550296B1 (en) 2023-07-03

Family

ID=8454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743A KR102550296B1 (en) 2021-06-17 2021-06-17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2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6774A (en) * 2023-07-21 2023-08-22 苏州恒瑞迦俐生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Respiratory Pressure Monitor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en)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Pet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190011591A (en) * 2017-07-25 2019-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KR20200144550A (en) 2018-03-20 2020-12-29 그래프웨어 테크놀로지스 인크. Replaceable sensor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en)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Pet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190011591A (en) * 2017-07-25 2019-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KR20200144550A (en) 2018-03-20 2020-12-29 그래프웨어 테크놀로지스 인크. Replaceable sensor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6774A (en) * 2023-07-21 2023-08-22 苏州恒瑞迦俐生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Respiratory Pressur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296B1 (en)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ubjects in potential physiological distress
US20180325460A1 (en) Multivariate Residual-Based Health Index for Human Health Monitoring
US9687195B2 (en) Life sign detection and health state assessment system
US7828742B2 (en) Method and system of monitoring respiratory signal by radio
WO20220266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spiration of an individual
WO2017183039A1 (en) Body motion monitor
CN107529991A (en) For the heart of detection object and/or the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respiratory disorder
JP2008503268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physiological monitoring
US20120059283A1 (en) System for evaluating infant movement
KR102550296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KR20220167666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diaphragm,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Whitlock et al. A-spiro: Towards continuous respiration monitoring
Tan et al.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for pervasive health monitoring within smart environments
Angelucci et al. The Medical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in respiratory medicine
US20160206224A1 (en) Ecg electrode snap connector and associated methods
KR102597397B1 (en) Device and system for measuring cardiopulmonary dysfunction
KR102642248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ory rate using heart sound, and heart sound measurring device therefor
KR102597398B1 (en) Device and system for measuring cardiopulmonary dysfunction
KR102596603B1 (en) Wearable sensing device and health diagnosis system using same
Faetti et al. A comparative evaluation of different techniques for ambulatory monitoring of respiratory rate
WO2024106544A1 (en) Respiration count measurement device, respiration count measurement method, program, and system
WO20090912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essure within a living body
Koltermann APOLLO 2.0: NON-INTRUSIVE VITAL SIGN MONITORING WITH WEARABLE TECHNOLOGY
WO2024013714A1 (en) A wearable finger ring device with multiple biomarkers and method thereof
CN117651525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ctive auscultation and detection of acoustic signals and/or acoustic wave energy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