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772A -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 Google Patents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772A
KR20220168772A KR1020210078677A KR20210078677A KR20220168772A KR 20220168772 A KR20220168772 A KR 20220168772A KR 1020210078677 A KR1020210078677 A KR 1020210078677A KR 20210078677 A KR20210078677 A KR 20210078677A KR 20220168772 A KR20220168772 A KR 2022016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length
tongs
vary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6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9452B1 (en
Inventor
박성환
김로아
석승민
안정식
전태우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452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786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452B1/en
Publication of KR2022016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made of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47G25/441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 A47G25/442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 A47G25/443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comprising shoulder support arms or members being concurrently adjustable, e.g. by a rack and pinion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tool for changing the length of a hanger that can ensure length compatibility for clothes of various sizes for one hanger by allowing the length of a hanger to be variabl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art that allows a hanger to be attached and detached by simply inserting and withdrawing the hanger; and a shoulder width adjustment part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to make a suppor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width of a clothes. Through the movable characteristic of the shoulder width adjustment part, an extended length portion can be freely made on the support part that performs a hanger function, thereby ensuring compatibility with the clothes size of the hanger.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is configured to allow the hanger to be attached and detached by simply inserting and withdrawing the hanger, thereby improving ease of use and operation.

Description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의 치수나 종류에 대응하여 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기 위한 길이가 더 마련되도록 하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in which a length for hanging clothes is further provided on the hanger corresponding to the size or type of the clothes.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철사 등 얇은 막대형 구조로 제작되는 기존의 옷걸이는 보관시 두께가 얇고, 그 무게가 가벼워서 가정은 물론, 대형 의류 판매점이나 세탁소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In general, existing hangers made of a thin rod-like structure such as wire have a thin thickness and light weight when stored, so they are most widely used in large clothing stores or laundries as well as at home.

그러나, 의류의 경우 다양한 치수로 출시되고 있고, 또한 같은 치수라 하더라도 셔츠, 코트 등과 같이 그 종류에 따라 어깨 부분의 길이가 다소 상이하게 출시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lothes, they are released in various sizes, and even in the same size, the length of the shoulder portion may b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such as a shirt or a coat.

이와 같이 치수나 용도가 다른 의류에 대응하여 이를 거치하기 위한 옷걸이 또한 대응되는 길이를 지닌 것이 사용되어야 하나, 이를 다종류로 구비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경제적 지출이 소요된다.In this way, a hanger having a corresponding length should also be used to hang it in correspondence with clothes having different sizes or uses, but unnecessary economic expenditure is requir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hangers.

또한, 의류의 어깨부분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옷걸이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길이 차이에 대응되는 만큼 의류에는 구김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옷감이 상하거나 미관이 떨어지는 등 각종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hanger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clothing is used, wrinkles may occur in the clothing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length, resulting in various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fabric or deterioration in aesthetics.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옷걸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옷걸이에 대하여 다양한 치수의 의류들에 대한 길이 호환성을 확보시킬 수 있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s part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d for changing the length of a hanger that can secure the compatibility of the length of clothes of various sizes with respect to one hanger by allowing the length of the hanger to be varied. The purpose.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는, 옷걸이의 어깨 받침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수납구간과, 상기 옷걸이의 어깨 받침이 상기 수납구간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수납구간을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입구간과, 상기 옷걸이가 상기 수납구간에 수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옷걸이의 고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고리 노출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써 의류의 어깨폭에 대응되는 받침 길이를 조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rest of the hanger, a storage section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inside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anger The storage sec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shoulder rest of the shoulder rest is drawn in and out of the storage section, and the entrance and exit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of the hanger is expose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hang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ring exposure section and at least one shoulder width adjusting unit that creates a suppor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width of clothing by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받침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 홈을 포함하고, 상기 어깨폭 조절부는, 상기 받침부를 내측에 감싸는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홈에 체결되어 상기 길이조절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includes at least one length adjustment groove including at least one slide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houlder width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slide body that surrounds the support portion on the inside and , I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lide body and is fastened to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uide protrusion movable along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또한, 상기 길이조절 홈은, 하부 방향을 향해 상기 슬라이드 홈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는 위치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adjusting groove is formed branching from the slide groove toward the lower direc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two position fixing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또한, 상기 받침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집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ngs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supporting portion.

또한, 상기 집게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방으로 구비되고 길이 변형 가능하며 길이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1 포스트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변형 가능한 제 2 포스트와, 상기 제 2 포스트의 말단에 구비되며 집게 구조로 형성되는 집게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ngs, a first post provided below the supporting portion, length-deformable, and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and a second post provided in a direction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post and length-deformable, the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pos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ongs body formed in a tongs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는 옷걸이가 단순히 삽입 및 인출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써 의류의 어깨폭에 대응되는 받침 길이를 조성하는 어깨폭 조절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어깨폭 조절부의 이동 특성을 통해 옷걸이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받침부에 연장 길이 부분이 자유로이 더 조성될 수 있게 되어 옷걸이의 의류 치수에 대한 호환성이 자유로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The aid for chang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that allows the hanger to be attached and detached by simply inserting and withdrawing, and shoulder width adjustment that creates a suppor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width of clothing by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rough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houlder width adjustment unit, an extension length portion can be further formed freely on the support part that performs the hanger function, so that the compatibility of the hanger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size is freely secur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는 옷걸이가 단순히 삽입 및 인출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사용 및 조작상의 용이성 또한 증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anger is simply inserted and detached, ease of use and oper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this.

또한, 별도의 집게부가 더 포함됨에 따라 하나의 옷걸이에 하의 등 타종류 또는 여벌의 의류들 또한 집게 방식으로 간편하게 더 거치될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의류에 대한 운반 용이성 향상,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공간 절약 등 다양한 이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separate tongs are further included, other types of clothes such as bottoms or extra clothes can be easily held on one hanger in a tongs method, improving the ease of carrying a plurality of clothes and space for holding clothes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sav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깨폭 조절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어깨폭 조절부의 이동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집게부의 길이 가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shown in FIG. 1 .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ulder width adjuster shown in Figure 2;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vement process of the shoulder width adjuster shown in FIG. 1 .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varying the length of the tongs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singular expressions in this specification will also includ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hang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hang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1000)는 프레임(100), 어깨폭 조절부(200) 및 집게부(300)를 포함한다.1 to 3, the assisting tool 1000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shoulder width adjusting unit 200, and a clamp unit 300.

상기 프레임(100)은 옷걸이(10)가 그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받침부(110)와, 수납구간(120)과, 출입구간(130)과, 고리 노출구간(140)과, 길이조절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00 is formed so that the hanger 10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inside, and the support part 110, the storage section 120, the entrance and exit section 130, the ring exposure section 140 and , It may include a length adjustment groove (150).

상기 받침부(110)는 옷걸이(10)의 어깨 받침(11)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받침부(110)의 곡률, 길이 등은 시판되는 옷걸이(10)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규격화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10 is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oulder rest 11 of the hanger 10, and at this time, the curvature and length of the supporting part 110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er 10 It can be standardized in various ways.

또한, 상기 받침부(110)의 상부면에는 상의의 어깨 부분 등과 같이 다양한 의류가 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110)는 일종의 옷걸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various clothes, such as the shoulder portion of a top,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in this way, the supporting portion 110 performs a kind of hanger function.

또한, 상기 받침부(110)는 코트 등 겉옷류와 같이 어깨 부분이 비교적 볼륨감 있게 처리된 의류의 어깨 부분 내측면에 충분히 면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 또는 두께를 지닐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or thickness so that it can sufficiently surface-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houlder portion of clothing having a relatively voluminous shoulder portion, such as outerwear such as a coat.

그리고, 상기 수납구간(120)은 상기 받침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내측에 중공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구조의 폭 또한 시판되는 옷걸이(10)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규격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section 120 is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on the inn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width of this hollow structure is also variously standardized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er 10 can

그리고, 상기 출입구간(130)은 상기 수납구간(120)을 외부로 연통하도록 받침부(110)의 하부를 개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And, the entrance space 13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is open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section 120 to the outside.

또한, 상술한 출입구간(130)과 수납구간(120)이 구성됨으로써, 옷걸이(10)는 받침부(110)와 간편하게 결합 및 결합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above-described entrance and exit section 130 and the storage section 120, the hanger 10 can be easily coupled and uncoupled from the support portion 110.

상세하게는,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00)과 옷걸이(10)가 상하로 배치되면서도 옷걸이(10)의 그 어깨 받침(11) 부분이 상기 출입구간(130)과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first, referring to FIG. 2, while the frame 100 and the hanger 10 are arranged vertically, the shoulder rest 11 portion of the hanger 10 may be provided to face the entrance 130. .

다음으로, 도 2에서 도 1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옷걸이(10)와 상기 프레임(100)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호 근접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the order of FIG. 2 to FIG. 1, at least one of the hanger 10 and the frame 100 may be moved so as to approach each other.

이때, 옷걸이(10)의 어깨 받침(11)이 출입구간(130)을 통해 상기 받침부(110)의 내측, 즉 상기 수납구간(12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어깨 받침(11)은 상기 수납구간(120)의 테두리면과 면접촉 하게 되어, 받침부(110)는 중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옷걸이(1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houlder rest 11 of the hanger 10 can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110, that is, the inside of the storage section 120, through the entrance space 130, and the shoulder rest 11 By coming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rim surface of the storage section 120, the supporting portion 110 can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with the hanger 10 by gravity.

덧붙여, 상술한 과정들이 역순 수행됨으로써 옷걸이(10)는 프레임(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ger 10 can be withdrawn from the frame 100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in reverse order.

그리고, 옷걸이(10)가 상기 수납구간(120)에 수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고리 노출구간(140)은 상기 받침부(110)에서 옷걸이(10)의 고리(12) 대응 위치, 즉 고리(12)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based on the case where the hanger 1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ection 120, the hook exposure section 140 i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12 of the hanger 10 in the support part 110, that is, the hook ( 12)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이에 따라, 받침부(110)와 옷걸이(10)가 상호 결합하는 과정 중 고리(12)와 마주하는 받침부(110)의 내측 구간에는 상기 고리(12)의 이동을 간섭하는 매체가 부존재하게 되어, 받침부(110)와 옷걸이(10)간 결합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공간 간섭 방지되고, 또한 고리(12)가 독립적으로 외부 노출 가능함에 따라 고리(12)의 고유 기능 또한 그대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re is no mediu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ring 12 in the inner section of the support part 110 facing the ring 12 during the process of mutually coupling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hanger 10. , Spatial interference that may occur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hanger 10 is prevented, and as the ring 12 can be independen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unique function of the ring 12 can also be implemented as it is. .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 홈(150)은 슬라이드 홈(151) 및 위치 고정홈(152)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 홈(150)은 받침부(110)의 길이축 일단과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50 includes a slide groove 151 and a position fixing groove 152, and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50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part 110 .

또한,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길이조절 홈(150)이 받침부(110)의 정면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받침부(110)의 배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배후면에 형성된 길이조절 홈(150)은 정면에 형성된 것과 대칭되는 구조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mentioned,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50 is shown as being formed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but may also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which is not shown, and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50 formed on the surface may have a structure and position symmetrical to tha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상기 슬라이드 홈(151)은 상기 받침부(110)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구조로 형성된다.The slide groove 151 is formed in a cutout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

그리고, 상기 위치 고정홈(152)은 하부 방향을 향해 상기 슬라이드 홈(151)으로부터 분기되어 절개 구조로 형성된다.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2 is branched from the slide groove 151 toward the lower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cutout structure.

그리고, 상기 어깨폭 조절부(200)는 상기 길이조절 홈(1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의류의 어깨폭에 대응되는 받침 길이를 가변시킨다.In addition, the shoulder width adjusting unit 200 slides along the length adjusting groove 150 to change the length of th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width of the clothing as a whole.

그리고, 상기 집게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별도로 구비되는 일종의 집게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에는 여벌의 의류가 상기 집게 구조에 의해 별도로 더 거치될 수 있다.Also, the tongs 300 include a kind of tongs structure separately provided to the frame 100, and accordingly, extra clothes can be separately held on the frame 100 by the tongs structure.

상기 어깨폭 조절부(200)와 상기 집게부(300)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shoulder width adjusting unit 200 and the tongs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깨폭 조절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ulder width adjuster shown in Figure 2;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어깨폭 조절부의 이동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nd, Figures 5a and 5b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ving process of the shoulder width adjuster shown in Figure 1.

도 4, 도 5a 및 도 5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어깨폭 조절부(200)는 슬라이드 바디(210)와, 가이드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5A and 5B , the shoulder width adjuster 200 may include a slide body 210 and a guide protrusion 220.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는 그 내측에 받침부(110)의 외면 테두리 중 일부 길이 구간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110)의 길이축 일단과 타단에 각기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The slide body 2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length s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portion 110 on the inside thereof, and may b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portion 110, respectively. .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20)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 내측에 받침부(110)가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220)는 상기 길이조절 홈(150)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rotrusion 220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slide body 210, an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lide body 210, the guide protrusion 220 i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50.

이에 따라, 먼저 도 5a를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220)가 슬라이드 홈(151) 중 임의의 위치 어느 곳에 구비되든 상기 가이드 돌기(220)는 슬라이드 홈(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first, as shown in FIG. 5A , regardless of whether the guide protrusion 220 is provided at any position among the slide grooves 151, the guide protrusion 220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151. there will be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 돌기(22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와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 또한 받침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Also,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220 , the slide body 210 coupled with the guide protrusion 220 is also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

이때,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가 받침부(110)의 길이축 외측으로 이동될수록 받침부(110)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에 의한 길이 연장 부분이 더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slide body 21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portion 110, the length extension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by the slide body 210 is further increased.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거치하고자 하는 의류의 어깨폭과 받침부(110)의 길이차에 대응되는 만큼 상기 슬라이드 바디(210)를 이동시킴으로써, 거치하고자 하는 의류의 어깨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지닌 옷걸이 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a user, by moving the slide body 210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oulder width of the clothes to be mounted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110, a hanger structur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width of the clothes to be mounted can be obtained. be able to provide

또한, 도 5a에서 도 5b의 순으로 참조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 돌기(220)의 이동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슬라이드 바디(210)의 위치가 결정된 다음에는 가이드 돌기(220)가 해당 슬라이드 바디(2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152)으로 이동될 수 있다.5A to 5B, after the user's intended position of the slide body 210 is determin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220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220 moves the corresponding slide body It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2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210).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홈(152)은 하방, 즉 중력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가이드 돌기(220)가 어느 위치 고정홈(152)에 진입된 다음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20)는 중력에 의해 해당 위치 고정홈(152)의 말단부 내측 테두리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2 is formed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fter the guide protrusion 220 enters a certain position fixing groove 152, the guide protrusion 22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eated state on the inner rim of the distal end of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2 by gravity.

또한, 이때, 상기 길이조절 홈(150)은 상기 슬라이드 홈(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조절 홈(150)의 개수 증가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바디(210)가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지점이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grooves 15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151, and the slide body 210 is position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ength adjustment grooves 150. The number of points that can be fixed increases.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집게부의 길이 가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상기 집게부(30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nd, Figures 6a and 6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ariable length of the tongs shown in Figure 1, the tongs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hereto.

도 6a 및 도 6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집게부(300)는 제 1 포스트(310)와, 제 2 포스트(320)와, 집게바디(330)를 포함한다.Further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the tongs 300 include a first post 310 , a second post 320 , and a tongs body 330 .

상기 제 1 포스트(310)는 상기 받침부(110)의 하방으로 구비되며, 길이 변형 가능하면서도 길이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first post 310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be rotatable around a longitudinal axis while being deformable in length.

그리고, 상기 제 2 포스트(320)는 상기 제 1 포스트(310)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변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ost 320 is provided in a direction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post 310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deformable structure.

그리고, 상기 집게바디(330)는 상기 제 2 포스트(320)의 말단에 구비되며 집게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이에 여벌의 의류가 집게 방식으로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g body 3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post 320 and is formed in a tongs structure, so that extra clothes can be held therein in a tongs manner.

이때, 상술한 제 1 포스트(310)의 회전 특성을 통해, 이에 연결된 상기 집게바디(330) 또한 상기 제 1 포스트(310)의 길이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상기 집게바디(330)에 거치되는 의류의 다양한 거치 상태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rough the ro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post 310 described above, the clamp body 330 connected thereto can also rotate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irst post 310, so through this, the clamp body 330 ), it is possible to secure various degrees of freedom in the mounting state of the clothing.

또한, 상기 각 포스트(310, 320)가 길이 변형될 수 있다는 특징을 통해, 상기 집게바디(330)에 거치되는 의류의 거치 상태 자유도가 더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feature that each of the posts 310 and 320 can be deformed in length,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clothes being held on the tong body 330 can be further secured.

이와 같은 제 1 포스트(310)의 회전 조작 또는 각 포스트(310, 320)의 길이 가변 조작은 상기 집게바디(330)에 거치하고자 하는 의류의 종류, 크기, 받침부(110)에 거치된 의류와의 배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uch a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irst post 310 or variable length operation of each post 310, 320 determines the type and size of the clothes to be mounted on the tong body 330, the clothes mounted on the support part 110, and It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rrangement of

보다 상세하게는, 집게부(300)에 거치될 의류의 종류로는 상의 뿐만 아니라 바지, 치마, 속옷 등과 같은 하의 종류도 포함될 수 있고, 양말, 장갑, 손수건 등과 같은 보조 의류 내지 패션 용구 등 다양한 물품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 사용자의 활용 방식에 따라 상기 집게부(300)는 다양한 물품들이 거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ype of clothing to be held on the tongs 300 may include not only tops but also bottoms such as pants, skirts, and underwear, and various items such as auxiliary clothing such as socks, gloves, handkerchiefs, and fashion items. may be included, and other various items may be placed in the tongs 300 according to the user's utilization method.

또한, 집게부(300)에 거치될 의류의 크기는 해당 의류의 종류, 아동이나 성인 등 의류 착용자의 연령대, 마른 체형이나 비만 체형 등과 같은 의류 착용자의 체형, 의류 착용자의 신장 외 각종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clothing to be held on the tongs 300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lothing, the age of the clothing wearer such as a child or adult, the body type of the clothing wearer such as skinny or obese, and various factors other than the clothing wearer's height. may exist.

그리고, 사용자는 이러한 요인들에 대응하여 각 포스트(310, 320)의 길이 가변 또는 제 1 포스트(310)의 회전 조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자신이 희망하는 의류들의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arrange clothes desired by the user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varying the length of each post 310 and 320 or manipulat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post 310 in response to these factors.

게다가, 상술한 제 1 포스트(3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전술한 프레임(100)과 옷걸이(10)간 탈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pace interference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between the aforementioned frame 100 and the hanger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al manipulation of the first post 310 can be prevented.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우측에 구비된 집게바디(330)와는 반대로 좌측에 구비된 집게바디(330)는 받침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의 집게바디(330)는 제 2 포스트(320)를 매개로 하여 링크된 상기 제 1 포스트(31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 것이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 the tongs body 330 provided on the left side, as opposed to the tongs body 330 provided on the right side, is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tongs body 330 on the left side It is rotated about the first post 310 linked via the second post 320 as an axis.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10) 양 말단의 모든 집게바디(330)가 상기 받침부(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옷걸이(10)가 받침부(110)의 하방으로 진입함에 있어 집게바디(330)에 의한 공간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2, when all the tong bodies 330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are rot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the hanger 10 is the supporting portion 110 When entering the lower part of the tongs body 330 does not receive spatial interference.

또한, 프레임(100)과 옷걸이(10)간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제 1 포스트(310)가 회전함으로써 집게바디(330)는 프레임(100)의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hanger 10 is completed, the first post 310 rotates so that the tong body 330 can be rotated toward the inner center of the frame 100.

이에 따라, 상기 집게바디(330)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옷걸이(10)의 하부측에 일종의 걸림턱과 같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100)으로부터의 옷걸이(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ong body 3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ger 10 coupled to the frame 100 like a kind of locking jaw, through which the detachment of the hanger 10 from the frame 100 is prevented. can be prevented

아울러, 상술한 걸림턱 기능을 위한 집게부(300)의 회전 조작은 상기 집게부(300)에 거치될 여벌의 의류 유무, 여벌의 의류의 치수나 종류, 여벌의 의류의 배치 등과 무관하게 행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al manipulation of the tongs 300 for the above-described latching jaw func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tra clothing to be held on the tongs 300, the size or type of extra clothing, and the arrangement of extra clothing. there is.

덧붙여, 도 6a 및 도 6b 등에는 상기 각 포스트(310, 320)가 일종의 텔레스코프 실린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길이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각 포스트(310, 320)의 길이 가변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FIGS. 6A and 6B show that each of the posts 310 and 320 is formed in a structure such as a kind of telescopic cylinder so that the length can be modifi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explanation and each post 310 and 320 )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for implementing the variable length.

그리고, 도 1을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1000)는 고리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 the assisting tool 1000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hanger may further include a ring member 400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리부재(400)는 일종의 고리 구조로 형성되고 고리 노출구간(140) 측 받침부(110)의 돌출 상부 구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양단이 상기 받침부(1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리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ing member 400 is formed in a kind of ring structure and may be provided in the protruding upper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on the side of the ring exposure section 140, both ends of which are on the support portion 110 By combining, the ring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이러한 별도의 고리 구조 내측이 못과 같은 돌출부에 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받침부(110) 전체가 못 등에 매달린 형태로 거치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상기 받침부(110)에 대한 별도의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The inside of this separate ring structure can be mounted on a protrusion such as a nail, and thus the entire supporting portion 110 can be mounted in a hanging form, such as a nail, through which separate storage for the supporting portion 110 gender can be improved.

게다가, 상기 고리부재(400)는 적어도 어느 한 단부가 받침부(110)로부터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빨랫줄 등과 같이 양 단이 구속된 대상에도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t least one end of the ring member 400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110, it can be mounted on an object whose both ends are constrained, such as a clotheslin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리부재(400)의 어느 한 단부가 받침부(110)로부터 분리된 후 고리부재(400)가 빨랫줄 등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음으로, 받침부(110)로부터 분리된 고리부재(400)의 자유단이 다시 받침부(110)에 결합됨으로써 고리부재(400)의 내측에 빨랫줄 등이 수용된 채 받침부(110) 전체가 빨랫줄 등에 매달린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fter either end of the ring member 40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110, the ring member 40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 clothesline, etc., and then, from the supporting portion 110 As the free end of the separated r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110 again, the entire supporting portion 110 can be fixed in position while hanging on the clothesline, etc. while the clothesline or the like is accommodated inside the ring member 40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d for changing the length of a coat hanger, and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will also extend to equivalent embodiments that may exist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claims.

1000 :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
100 : 프레임
110 : 받침부
120 : 수납구간
130 : 출입구간
140 : 고리 노출구간
150 : 길이조절 홈
151 : 슬라이드 홈
152 : 위치 고정홈
200 : 어깨폭 조절부
210 : 슬라이드 바디
220 : 가이드 돌기
300 : 집게부
310 : 제 1 포스트
320 : 제 2 포스트
330 : 집게바디
400 : 고리부재
1000: Auxiliary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frame
110: supporting part
120: storage section
130: between entrances and exits
140: ring exposure section
150: length adjustment groove
151: slide groove
152: position fixing groove
200: shoulder width adjustment unit
210: slide body
220: guide protrusion
300: tongs
310: first post
320: second post
330: claw body
400: ring member

Claims (5)

옷걸이의 어깨 받침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수납구간과, 상기 옷걸이의 어깨 받침이 상기 수납구간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수납구간을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입구간과, 상기 옷걸이가 상기 수납구간에 수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옷걸이의 고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고리 노출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써 의류의 어깨폭에 대응되는 받침 길이를 조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
A support part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rest of the hanger, a storage section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inside the support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and a shoulder rest of the hanger so that the hanger is drawn in and out of the storage section A frame that communicates the storage section with the outside and includes an entrance and exit sec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a ring exposure section for exposing the hook of the hanger to the outside based on a case where the hang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ection; and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houlder width adjusting unit for creating a suppor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width of clothing by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받침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 홈을 포함하고,
상기 어깨폭 조절부는,
상기 받침부를 내측에 감싸는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홈에 체결되어 상기 길이조절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t least one length adjustment groove including at least one slide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shoulder width adjustment unit,
An auxiliary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lide body surrounding the support portion to the inside,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inside the slide body and fastened to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to be movable along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홈은,
하부 방향을 향해 상기 슬라이드 홈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는 위치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2,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An assisting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osition fixing grooves formed branching from the slide groov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t least two of which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집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1,
Auxiliary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ngs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suppo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방으로 구비되고 길이 변형 가능하며 길이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1 포스트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변형 가능한 제 2 포스트와, 상기 제 2 포스트의 말단에 구비되며 집게 구조로 형성되는 집게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길이 가변용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4,
The tongs,
A first post provided below the supporting portion, length-deformable, and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and a second post provided in a direction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post and length-deformable, and at the end of the second post Auxiliary tool for varying the length of a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ongs body formed in a tongs structure.
KR1020210078677A 2021-06-17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KR102669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677A KR102669452B1 (en) 2021-06-17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677A KR102669452B1 (en) 2021-06-17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72A true KR20220168772A (en) 2022-12-26
KR102669452B1 KR102669452B1 (en) 2024-05-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30944A1 (en) One-touch foldable clothes hanger
US6065652A (en) Adjustable clothing hanger
US20210127877A1 (en) Clothes hanger
KR20220168772A (en)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US5950882A (en) Hanging garment dryer
KR102669452B1 (en) Tool for changing length of hanger
US20050023310A1 (en) Hanger
US6978904B1 (en) Garment supporting stand
KR20180136173A (en) Foldable hanger
JP6820665B2 (en) Linked hanger
KR200354714Y1 (en) Laundry drying hanger
KR102079746B1 (en) Multifunctional hanger type drying rack
KR20110004673U (en) Clothes hanger
KR101793484B1 (en) Manifold rack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KR102445695B1 (en) Drying rack with hangers
KR200170069Y1 (en) A multipurpose coat hanger
JPH0984681A (en) Hanger for hanging clothing
US20180338630A1 (en) Clothes Hangers Having User-Adjustable Shoulder Portions
JPH08252162A (en) Folding hanger
JP3243452U (en) Linking member for lifting support for garment bottom and lifting support for garment bottom
JP3117296U (en) Clothes drying equipment
CN210611805U (en) Clothes hanger for clothing
KR102238713B1 (en) Foldedcoat hanger with automatic motion button
KR200215002Y1 (en) A clothes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