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419A -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419A
KR20220168419A KR1020210078132A KR20210078132A KR20220168419A KR 20220168419 A KR20220168419 A KR 20220168419A KR 1020210078132 A KR1020210078132 A KR 1020210078132A KR 20210078132 A KR20210078132 A KR 20210078132A KR 20220168419 A KR20220168419 A KR 2022016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yer
film
secondary battery
lead tab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호일
곽석환
김지상
나효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투비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투비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투비투
Priority to KR102021007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419A/en
Publication of KR2022016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4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7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is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that seals a gap between a battery case of a secondary battery and an electrode l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of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film comprises: a first skin layer that adheres to the electrode lead; an intermediate layer that is provided on on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kin layer; and a second skin layer that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layer, which faces the first skin layer, and adheres to the battery c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may be provided to have a greater surface area or greater adhesion than that of the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productivity and reduce production costs.

Description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adhes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 에너지저장장치(ESS)로도 주목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used as power sources, energy storage devices (ES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caused by conventional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 is also noted.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Typically, in terms of battery shape, there is a high demand for prismatic secondary batteries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with a thin thickness, and in terms of materials, they have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is high.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cathode/separator/cathode structure. Typically, a jelly structure in which long sheet-shaped cathodes and cathodes are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Roll (wound type) electrode assembly, a stack type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ut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predetermined unit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i-cells or full cells are stacked in one state and wound is exemplified.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ed or stacked/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small weight, and easy shape deformation. and its usage is gradually increasi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는, 음극과 양극이 분리막으로 분리 절연되어 있는 전극조립체(3), 전극조립체(3)의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탭들(4,5), 전극탭들(4,5)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6,7) 및 전극조립체(3)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are separated and insulated by a separator, electrode tabs 4 extending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3, 5), and a battery case 2 accommodating the electrode leads 6 and 7 and the electrode assembly 3 welded to the electrode tabs 4 and 5.

전극조립체(3)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탭들(4,5)은 전극조립체(3)의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6,7)는 각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전극탭들(4,5)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지케이스(2)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3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has a stacked or stacked/folded structure. The electrode tabs 4 and 5 exten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3, and the electrode leads 6 and 7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4 and 5 extending from each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For example, each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welding, and a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2.

또한, 전극리드(6,7)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와의 밀봉성(sealing performance)을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필름(8)이 부착되어 있다. 전지케이스(2)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n insulating film 8 having excellent insulating properties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s 6 and 7 to improve sealing performance with the battery case 2 and at the same time secure an electrical insulation state. The battery case 2 is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3, and has a pouch shape as a whole.

여기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는 상부캡(20)과 하부캔(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캡(20) 및 하부캔(30)은 CPP(Casting polypropylene Film; 무연신 PP)로 대표되는 열융착층(2b)/알루미늄 금속층(2c)/나일론으로 대표되는 보호층(2d)의 통상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캡(20) 및 하부캔(30)을 구성하는 시트의 열융착층이 열과 압력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전극조립체(3)를 수납할 수 있다. 상부캡(20)과 하부캔(30)을 통칭하여 전지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Here, the pouch-type battery case 2 may include an upper cap 20 and a lower can 30, and the upper cap 20 and the lower can 30 are made of CPP (Casting polypropylene Film; unstretched PP). It may be made of a typical three-layer structure of a representative heat sealing layer (2b)/aluminum metal layer (2c)/a protective layer (2d) represented by nylon. The electrode assembly 3 may be accommodated by being bonded to each other by heat and pressure to heat-seal layers of the sheets constituting the upper cap 20 and the lower can 30 . The upper cap 20 and the lower can 3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battery case.

한편, 절연필름(8)은 가열시 용융되어 전극리드(6,7)와 접착하는 부분, 가열시 형상을 유지하는 내열 부분, 전지케이스(2)의 열융착층(2b)과 접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열 부분과 전지케이스의 열융착층과 접착하는 부분을 하나의 층으로 형성한 2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film 8 has a portion that is melted when heated and adher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a heat-resistant portion that maintains its shape during heating, and a portion that adheres to the heat-sealing layer 2b of the battery case 2. It may have a three-layer structure including In some cases, it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a heat-resistant portion and a portion that adheres to the heat-sealing layer of the battery case are formed as one layer.

절연필름(8)이 3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전극리드와 절연필름 또는 전지케이스와 절연필름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연필름의 접착층에 추가적인 표면처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절연필름은 필름의 압출 또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 이후에 추가적인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생산 공정이 길어지고 생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When the insulating film 8 has a three-layer structure, additional surface treatment is required for the adhesive layer of the insulating film to improve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insulating film or between the battery case and the insulating film. Therefore, such an insulating film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production process is lengthen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by performing an additional surface treatment process after the film extrusion or lamination process.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한국등록특허 제10-0815605호(등록공고 2008.03.2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5605 (registration announcement 2008.03.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표면 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do not require an additional surface treatment process to improve adhes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3층 구조의 필름이 일괄 형성되는 과정 중에 접착면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an adhesive surface during a process in which a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s collectively formed by a co-extrusion proc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드탭 또는 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 표면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접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adhesion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area of a surface bonded to a lead tab or a battery cas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은, 이차전지의 전지케이스와,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의 양극 또는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리드 사이를 밀봉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으로, 상기 전극리드와 접착되는 제1 스킨층; 상기 제1 스킨층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스킨층과 마주 보는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between a battery case of a secondary battery and an electrode l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node or a cathode of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 film for a lead tab of a secondary battery to be sealed, comprising: a first skin layer bonded to the electrode lead; an intermediate lay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kin layer; A second skin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facing the first skin layer and adhered to the battery c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is It can be prepared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than one or a large adhesive force.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상기 전극리드 또는 상기 전지케이스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 및 접촉하지 않는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a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may be formed to have a su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lectrode lead or the battery case and a surface not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ase.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상기 전극리드 또는 상기 전지케이스와 마주 보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양각 및 음각이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may have concavo-convex or embossed or intaglio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electrode lead or the battery case.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의 표면적은 상기 양각의 면적, 상기 음각의 면적 및 상기 양각과 음각을 연결하는 부분의 면적을 모두 합한 면적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the surface area of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a large adhesive force is equal to the sum of the area of the embossed embossment, the area of the intaglio, and the area of the portion connecting the embossed and intaglio. can be formed to

상기 양각과 상기 음각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양각의 면적의 합은 상기 음각의 면적의 합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embossed and intaglios may be alternately formed, an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embossments may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intaglios.

상기 음각의 표면은 상기 양각의 표면에 대해서 0.1~10 ㎛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taglio surfac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0.1 to 10 μm lower than the embossed surface.

상기 양각 하나의 표면적은 25 ㎛2~10,000 ㎛2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rface area of one of the embossments may be 25 μm 2 to 10,000 μm 2 .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100mm2 의 평면 면적 내에 50~200개의 상기 양각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a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may be formed such that 50 to 200 embossments exist within a plane area of 100 mm 2 .

상기 제1 스킨층, 상기 중간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그의 공중합체 또는 터폴리머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kin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or the second skin layer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copolymers or terpolymers thereof or polyolefin resin.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한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킨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은 각각 용융된 후 공압출에 의해서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first skin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are melted and sequentially laminated by co-extrus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formed in a state of being formed.

상기 제1 스킨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은 동시에 티다이를 통과한 후 캐스팅 롤러에 의해서 냉각되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양각 및 음각의 무늬가 전사될 수 있다.The first skin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simultaneously pass through a T-die and are cooled by a casting roller so that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and intaglio patterns can be transferred.

상기 티다이의 토출구는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가운데 부분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of the T-Dye may have an edge portion larger than a centra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리드탭 또는 전지케이스와 필름 간의 접착력 또는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표면 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film for secondary battery lead tab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quire an additional surface treatment process to improve the adhesion or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lead tab or battery case and the film, so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3층 구조의 필름을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일괄 제조하는 과정 중에 필름 접착면의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을 형성하여 필름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n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by form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lm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vely manufacturing the three-layer film through a co-extrusion process.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공압출되는 필름을 냉각시키면서 필름의 표면에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요철 등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The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 not require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film while cooling the coextruded film.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필름의 표면에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을 형성하여 필름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름과 리드탭 또는 필름과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그 결과 접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n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by form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reby expanding the area where the film and the lead tab or the film and the battery case are bonded. and, as a result, adhes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압출 과정에서 필름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필름 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피접착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필름의 압출 이후에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The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e a method of forming a certain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film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surface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adherend, so that after extrusion of the film No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필름이 티다이(T-die)를 통하여 압출되는 과정에서 캐스팅 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이 압출 필름 표면으로 전사되면서 필름 표면에 일정한 패턴이 전사되어 냉각됨으로서 압출 필름의 표면 패턴에 의하여 필름의 전체적인 표면적이 증가하여 피접착물과 접착시 넓어진 표면적의 효과로 접착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e a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a casting roller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an extruded film while the film is extruded through a T-die, thereby transferring a certain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film. As it cools down, the overall surface area of the film is increased by the surface pattern of the extruded film,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improved by the effect of the widened surface area during adhesion with the adheren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리드탭 및 리드탭용 필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A-A 및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표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공압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의 캐스팅 롤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ad tab for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a film for a lead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utting lines AA and BB of FIG. 2 .
4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surface of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CC of FIG. 4 .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extrusion system for manufacturing a film for a lead tab according to FIG. 4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extrusion system according to Figure 6;
Figure 8 shows a part of the coextrusion system according to Figure 7;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sting roller of the co-extrusion system according to Figure 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itself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advis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And lik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like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된 리드탭 및 리드탭용 필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A-A 및 B-B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표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공압출 시스템의 개념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의 캐스팅 롤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ad tab and a film for a lead tab applied to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utting lines A-A and B-B of FIG. 2,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surface of a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xampl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C-C in FIG. 4,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extrusion system for manufacturing a film for a lead tab according to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extrusion system according to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extrus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and FIG. 9 is a view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asting roller of the coextrus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It is a drawing for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파우치 타입(pouch type)의 리튬이차전지를 예로써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use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a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이 적용되는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A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film 100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the same as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 , so a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은 이차전지(1)의 전지케이스(20,30)와, 이차전지(1)의 전극조립체(3)의 양극 또는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리드(6,7) 사이를 밀봉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 이하에서는 "리드탭용 필름"이라 함)이다. The 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of the secondary battery 1 and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3 of the secondary battery 1. It is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d tab film") that seals between the connected electrode leads 6 and 7.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전지케이스(20,30)와 전극리드(6,7) 사이에 마련되어 전극리드(6,7)를 전지케이스(20,30)에 접착 내지 밀봉시키는 부재로서, 절연성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2 and 3,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cases 20 and 30 and the electrode leads 6 and 7, and the electrode leads 6, As a member for bonding or sealing 7)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sulating film.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전극리드(6,7)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거나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리드(6,7)는 전극조립체(3)의 양극 및 음극에서 연장된 전극탭(4,5)에 연결되는 일단(6a,7a) 및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타단(6b,7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film 100 for a lead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hered to or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s 6 and 7 , respectively. Here, the electrode leads 6 and 7 have one ends 6a and 7a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4 and 5 extending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3 and the other ends 6b and 7b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can include

상기 리드탭용 필름(100)은 전극리드(6,7)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 또는 유격이 전혀 없도록 밀착 상태로 전극리드(6,7)에 접착되어야 한다.The lead tab film 100 should be adher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in a close contact state so that there is no gap or play between the electrode leads 6 and 7.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이차전지의 전지케이스(20,30)와,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3)의 양극 또는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리드(6,7) 사이를 밀봉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으로, 전극리드(6,7)와 접착되는 제1 스킨층(110); 상기 제1 스킨층(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되는 중간층(130); 상기 중간층(13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스킨층(110)과 마주 보는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지케이스(20,30)와 접착되는 제2 스킨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이 차례대로 적층된 3층 구조를 가지는 필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3 of the secondary battery. A first skin layer 110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as a film 100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that seals between the connected electrode leads 6 and 7; an intermediate layer 130 provided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 second skin layer 15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facing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bonded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may include. Therefore,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 first skin layer 110, an intermediate layer 130, and a second skin layer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can be provid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은 전극리드(6,7)와 접착하고, 제1 스킨층(110)의 위에 중간층(130)이 위치하며, 중간층(130)의 위에 제2 스킨층(150)이 위치하는 층상 구조를 가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스킨층(150)은 전지케이스(20,30)와 접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kin layer 110 is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and is placed on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is located, and has a 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located on the intermediate layer 130 .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bonded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

도 3에 도시된 리드탭용 필름(100)의 경우, 필름(100)의 최하면과 최상면이 각각 접착면이 된다.In the case of the lead tab film 100 shown in FIG. 3 , the lowermost and uppermost surfaces of the film 100 serve as adhesive surfaces, respectively.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스킨층(110)의 표면(하면)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상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거나 큰 접착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스킨층(110)의 표면(하면)은 제1 스킨층(110)의 다른 표면(중간층과 접착되는 상면)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스킨층(150)의 표면(상면)은 제2 스킨층(150)의 다른 표면(중간층과 접착되는 하면)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or greater adhesive strength than the other one. It can be. That is, either one of th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may have a larger surface area than the other or may be formed to have greater adhesive strength. In some cases, th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is formed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than the other surface (top surface bonded to the middle layer)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The surface (top surface) of )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than the other surface (bottom surface bonded to the intermediate layer)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

참고로, 도 3에는 제1 스킨층(110)의 표면(하면)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상면)의 표면적이 넓게 형성된다는 것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For reference, FIG. 3 does not specifically show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formed to be w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전극리드(6,7) 또는 전지케이스(20,30)와 접촉하는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접착력을 키우고 접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area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eads 6 and 7 or the battery cases 20 and 3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and improve the adhesive performance by widening th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전극리드(6,7) 또는 전지케이스(20,30)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 및 접촉하지 않는 표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among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the electrode lead 6 or 7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su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ttery cases 20 and 30 and a surface not in contact with th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전극리드(6,7) 또는 전지케이스(20,30)와 접착되는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05)의 표면은 전체가 전극리드(6,7) 또는 전지케이스(20,30)와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접착되지 않는 부분도 존재하기 때문에 더 큰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05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or the battery cases 20 and 30. The entire surface is not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or the battery cases 20 and 30, but may have greater adhesive strength because there are portions that are not directly adhered t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전극리드(6,7) 또는 전지케이스(20,30)와 마주 보는 표면 즉, 접착되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양각 및 음각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among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the electrode lead 6, 7) Alternatively,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surfaces facing the battery cases 20 and 30, that is, surfaces to be bonded, or embossed and intaglios may be formed.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의 표면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리드탭용 필름(100) 중 제2 스킨층(150)의 표면 즉, 전지케이스(20,30)과 접착되는 표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에는 동일한 모양으로 반복되는 요철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거나, 양각과 음각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X자 모양의 음각(P4)이 다수개 형성되고 음각 사이에는 마름모 형태의 양각(P3)이 형성되어 있다.4 shows the surface of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FIG. 4 shows th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of the lead tab film 100, that is, the surface bonded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on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repeated in the same shape or embossed and engraved patterns are repeatedly forme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X-shaped intaglios P4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 diamond-shaped embossed angle P3 is formed between the intaglios.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양각과 음각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양각(P3) 부분만 전지케이스(20,30)와 접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on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when irregularities are formed or embossed and intaglios are formed, only the embossed (P3) portion and the battery cases 20 and 30 are formed. will be glued

한편, 도 4에 도시된 표면의 모양은 제1 스킨층(110)의 표면 즉, 전극리드(6,7)와 접착되는 표면(접착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각(P3) 부분만 전극리드(6,7)와 접착하게 된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surface shown in FIG. 4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that is,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In this case, only the embossed portion P3 is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6 and 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에는 요철 또는 양각(P3)과 음각(P4)을 포함하는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uch,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among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has irregularities or embossments (P3 ) and a pattern including the intaglio P4 may be repeatedly formed.

여기서,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에 형성된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을 포함하는 패턴의 모양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마름모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만 있다면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 모양은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양각과 음각의 패턴 모양은 격자 무늬에만 한정되지 않고, 도트(Dot), 라인(Line), 대쉬 도트(dash-dot_ 등의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hape of the pattern includ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formed on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not limited to the rhombic shape as shown in FIG. 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can be increased, any pattern shape of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is possible. For example, embossed and engraved patterns are not limited to grid pattern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such as dots, lines, and dash-dots.

상기에서,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에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을 포함하는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과 표면적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patterns includ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are repeatedly formed on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large adhesive strength among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glio pattern and the surface area will be explained.

도 5는 도 4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표면이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이라고 하면, 그 단면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4; If the surface shown in FIG. 4 is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its cross-sectional view is a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맨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스킨층(110), 맨 위에 위치하는 제2 스킨층(150) 및 제1 스킨층(110)과 제2 스킨층(15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kin layer 110 positioned at the bottom, a second skin layer 150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first skin layer It may include an intermediate layer 130 positioned between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음각면(S2), 음각면(S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양각면(S1), 음각면(S2)과 양각면(S1)을 연결하는 연결면(S3,S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각면(S2)은 도 4의 음각(P4)에 대응하고, 양각면(S1)은 도 4의 양각(P3)에 대응하며, 연결면(S3,S4)은 도 4의 양각(P3)과 음각(P4)의 경계부위에 대응한다.As shown in FIG. 5,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has an intaglio surface (S2) formed recessed from the surface, an embossed surface (S1)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taglio surface (S2), and an intaglio surface (S2) and the embossed surface (S1) connecting surfaces (S3, S4) may be formed. Here, the intaglio surface (S2) corresponds to the intaglio (P4) of FIG. 4, the embossed surface (S1) corresponds to the embossed (P3) in FIG. ) and the intaglio (P4).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 접착면)의 표면적은 양각면(S1)의 면적, 음각면(S2)의 면적 및 양각면(S1)과 음각면(S2)을 연결하는 연결면(S3,S4)의 면적을 모두 합한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표면의 표면적은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의 표면적 보다 클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표면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면(S3,S4)에 해당하는 면적을 더 가지기 때문에 표면적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이 형성되어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스킨층은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큰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왜냐하면,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으로 인해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전지케이스 또는 전극리드와 접착되는 면적도 그 만큼 커지게 되어 접착력이 커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adhesive surface bonded to the battery case) is the area of the embossed surface S1, the area of the intaglio surface S2, and the area of the embossed surface S1 and the intaglio. It may be formed equal to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onnecting surfaces S3 and S4 connecting the surfaces S2. Therefore,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on which the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is formed is inevitably great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on which the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is not formed. Because the surface on which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s are formed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urfaces S3 and S4 shown in FIG. 5, the surface area is inevitably larger. As such, a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due to unevenness or embossing and intaglio in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has high adhesive strength due to the large surface area. Because the surface area increases due to irregularities or embossments and intaglios, the area bonded to the battery case or the electrode lead increases correspondingly, resulting in increased adhesion.

도 4와 도 5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에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제1 스킨층(110)의 표면(전극리드와 접착되는 접착면)에도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4 and 5 show the case where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but the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dhesive surface bonded to the electrode leads) is also concavo-convex. Alternatively,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may be repeatedly forme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각(P3)과 음각(P4)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전체 양각(P3)의 면적의 합은 전체 음각(P4)의 면적의 합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표면 즉,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이 전지케이스와 접착된다고 할 때, 양각(P3) 부분은 전체가 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 반면에 음각(P4) 부분은 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 부분도 있고 접착되지 않는 부분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양각(P3)의 전체 면적이 음각(P4)의 전체 면적 보다 작게 되면 양각과 음각이 형성되더라도 접착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접착력을 향상을 위해서는 양각(P3)의 전체 면적이 음각(P4)의 전체 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embossed (P3) and the negative (P4) are form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he sum of the areas of all the embossed (P3) can be formed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reas of all the negative (P4) there is. When the surface shown in FIG. 4, that is,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bonded to the battery case, the embossed (P3) portion is entirely bonded to the battery case, while the intaglio (P4) portion There may be parts that are bonded to the silver battery case and parts that are not bonded. However, if the total area of the embossed (P3) is small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intaglio (P4), even if the embossed and intaglio are formed, it is impossible to expect an improvement in adhesive strength.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area of the embossed (P3)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intaglio (P4).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요철 중 음각(P4) 부분은 전지케이스에 접착되는 부분도 있고 접착되지 않는 부분도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음각(P4) 부분의 깊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cave-convex (P4) part of the unevenness shown in FIG. 4 may have a part adhered to the battery case and a part not adhered to the battery case, which may be determined by the depth of the concave-convex (P4) part.

도 5를 참조하면, 음각면(S2)은 양각면(S1) 보다 일정 깊이(D) 만큼 낮은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데, 음각면(S2)의 함몰 깊이(D)에 의해 음각면(S2)이 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intaglio surface (S2) is located at a lower point by a certain depth (D) than the embossed surface (S1), the intaglio surface (S2) by the depression depth (D) of the intaglio surface (S2)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adheres to the battery case.

본 발명자들은 양각면(S1)에 대한 음각면(S2)의 함몰 깊이(D)가 어느 정도인 경우에 음각면(S2)의 많은 부분이 접착에 기여하게 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반복 테스트를 해 보았다. 그 결과, 요철의 깊이 즉, 음각면(S2)의 함몰 깊이(D)는 바람직하게는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인 경우에 음각면(S2)의 많은 부분이 접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peatedly tested to determine whether a large portion of the intaglio surface S2 contributes to adhesion when the depression depth D of the intaglio surface S2 with respect to the embossed surface S1 is. As a result, the depth of the irregularities, that is, the depression depth (D) of the intaglio surface (S2) is preferably 0.1 to 10 μm, more preferably 0.2 to 5 μm,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to 1 μm. It was confirmed that many parts of (S2) were adhered.

만약, 음각면(S2)의 함몰 깊이(D)가 0.1㎛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적 상승의 효과가 무효화 되어 접착력의 상향을 가져올 수 없으며, 음각면(S2)의 함몰 깊이(D)가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드탭용 필름(100)의 열융착과정에서 보이드(Void)가 발생하여 리드탭용 필름(100)의 결함을 야기 할 수 있다.If the depression depth (D) of the intaglio surface (S2) is less than 0.1 μm,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is nullified and the adhesive force cannot be increased, and the depression depth (D) of the intaglio surface (S2) exceeds 10 μm. In this case, voids may be generated during the thermal fusion process of the lead tab film 100, causing defects in the lead tab film 100.

따라서, 음각(P4)의 표면은 양각(P3)의 표면에 대해서 0.1~10㎛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intaglio P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0.1 to 10 μm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embossed engraving P3.

한편, 상기에서 양각(P3)의 전체 면적의 합이 음각(P4)의 전체 면적의 합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는데, 양각(P3)의 개별 크기 내지 면적이 접착력에 영향을 주거나 생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total areas of the embossments P3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otal areas of the intaglios P4, but the individual size or area of the embossments P3 affects adhesive strength or productivity. can give

도 4를 참조하면, 개별적인 양각(P3)은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된다. 여기서, 양각(P3) 하나의 크기(면적)는 바람직하게는 25 ㎛2~10,000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2 ~ 5,000 ㎛2,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2 ~ 2,500 ㎛2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each embossed mark P3 is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Here, the size (area) of one embossing (P3) may be preferably 25 μm 2 to 10,000 μm 2 , more preferably 100 μm 2 to 5,000 μm 2 , and more preferably 400 μm 2 to 2,500 μm 2 .

만약, 양각(P3) 하나의 크기(면적)가 10,000 ㎛2 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에 양각 및 음각 패턴 형성에 의한 표면적 증가 효과가 낮게 된다. 또한, 양각(P3) 하나의 크기(면적)가 25 ㎛2 보다 작은 경우에는 리드탭용 필름(100)의 표면에 양각과 음각의 패턴을 균일하게 전사시키기 어렵게 된다.If the size (area) of one embossing (P3) is greater than 10,000 μm 2 ,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by forming embossed and engraved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low do. In addition, when the size (area) of one embossment P3 is smaller than 25 μm 2 ,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transfer the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to the surface of the lead tab film 100 .

따라서, 양각(P3) 하나의 표면적은 25 ㎛2~10,000 ㎛2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area of one of the embossments P3 is 25 μm 2 to 10,000 μm 2 .

한편, 본 발명자들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단위 면적 내에 형성되어 있는 양각(P3)의 개수가 몇 개인 경우에 접착 성능이 우수한지 확인하기 위한 반복 테스트를 해 보았다. 여기서, 단위 면적은 100 mm2(가로 10mm×세로 10mm)로 정의한다. 그 결과, 100 mm2 내에 위치한 양각(P3)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5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 repeated test to check whether the adhesive performance is excellent in the case of how many embossments P3 are formed in the unit area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saw. Here, the unit area is defined as 100 mm 2 (width 10 mm × length 10 mm). As a result, the number of reliefs P3 located within 100 mm 2 may be preferably 50, more preferably 100, and still more preferably 200.

만약, 100 mm2 내에 위치한 양각(P3)의 개수가 50개 미만인 경우에는 양각(P3)의 면적이 넓어져서 열 융착시 수지의 갭 필링(Gap-filling)이 어려워져 접착면에 보이드(Void)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00 mm2 내에 위치한 양각(P3)의 개수가 20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음각(P4)의 선폭이 가늘어져 패턴 형성시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embossed points (P3) located within 100 mm 2 is less than 50, the area of the embossed points (P3) becomes wider, making gap-filling of the resin difficult during thermal fusion, resulting in voids on the adhesive surface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embossed points P3 located within 100 mm 2 exceeds 200, the line width of the intaglio P4 becomes thin, which may cause defects in pattern formation.

따라서,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100mm2 의 평면 면적 내에 50~200개의 양각(P3)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mong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50 to 200 embossed points P3 exist within a plane area of 100 mm 2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또는 제2 스킨층(150)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그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터폴리머(Ter-polymer),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copolymers thereof, or It may be formed of a polymer (Ter-polymer) or polyolefin resi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의 표면(접착면)에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접착면적을 넓히고 그로 인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을 한꺼번에 공압출하는 과정에서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form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on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It is possible to widen the bonding area and thereby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and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concavo-convex or embossed and intaglio patterns is not required. In the process of co-extruding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t once, irregularities or embossed and engraved patterns may be formed.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은 각각 용융된 후 공압출(Co-extrusion)에 의해서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로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100)은 3층의 공압출방식으로 제조되며, 원료 투입, 용융 및 혼련, 캐스팅(Casting) 과정을 거쳐서 제조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100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100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first skin layer 110, an intermediate layer 130 and After each of the two skin layers 150 is melted,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skin layers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by co-extrusion. That is, the film 100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 three-layer co-extrusion method, and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inputting raw materials, melting and kneading, and casting.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압출 시스템(2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압출 시스템(2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의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210), 호퍼(210)에 투입된 재료가 용융되어 이송되는 실린더(220), 용융된 재료를 얇게 토출하여 필름 형상을 만드는 티다이(230), 티다이(230)를 통해 토출되는 얇은 형태의 재료를 냉각시키고 소정의 두께로 성형하는 캐스팅 롤러(251,252), 캐스팅 롤러(251,252)를 통과한 필름(100)을 연신된 상태로 또는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하는 각종 롤러들(253,254,255,256,257,258)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이 완료된 필름(100)은 와인딩 롤러(259)에 최종적으로 감기게 된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extrusion system 200 for manufacturing a film 100 for a lead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coextrusion system 200 includes a hopper 210 into which the materials of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put, and the materials put into the hopper 210. Cylinder 220 melted and transported, T-die 230 that thinly discharges the molten material to form a film, and casting cools the thin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T-die 230 and forms it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may include various rollers 253, 254, 255, 256, 257, and 258 that transport the film 100 passing through the rollers 251 and 252 and the casting rollers 251 and 252 in a stretched state or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maintained. The formed film 100 is finally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259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이 한꺼번에 공압출되면서 3층 구조의 리드탭용 필름(100)을 제조하게 되는데,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의 재료는 따로 분리되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공압출 시스템(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킨층(110)의 원재료가 투입 및 용융 이송되는 제1 호퍼(211) 및 제1 실린더(221), 중간층(130)의 원재료가 투입 및 용융 이송되는 제2 호퍼(212) 및 제1 실린더(222), 제2 스킨층(150)의 원재료가 투입 및 용융 이송되는 제3 호퍼(213) 및 제3 실린더(22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simultaneously co-extruded, and the lead tab film 100 has a three-layer structur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materials of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must be supplied separately. Therefore, in the co-extrusion system 200 used to manufacture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raw materials of the first hopper 211, the first cylinder 221, and the second hopper 212, the first cylinder 222,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into which the raw materials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are put and melted and transferred. It may include a third hopper 213 and a third cylinder 223 that are put in and melted and transported.

원료 투입 과정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을 형성하는 각각의 원료가 제1 내지 제3 호퍼(211,212,213) 내에 투입되는 과정이다. 이때 투입되는 원재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그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터폴리머(Ter-polymer)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w material input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raw materials forming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input into the first to third hoppers 211, 212, and 213. At this time, the input raw material may include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its copolymer or ter-polymer or polyolefin resin.

한편, 여기서, 제1 스킨층(110)은 가열 용융된 상태에 금속의 전극리드(6,7)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고, 제2 스킨층(150)은 가열 용융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20,30)의 열융착층(2b)과 밀착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here, the first skin layer 11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dhere to the surfaces of the metal electrode leads 6 and 7 in a heated and melted state,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in a heated and melted state. In the battery case (20, 30) can be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ermally fused layer (2b).

또한, 중간층(130)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중간층(130)이 내열성이 나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 스킨층(110) 및 제2 스킨층(150)을 접착하기 위해 가열할 때 중간층(130)이 녹아서 전지케이스(20,30)가 전극리드(6,7)와 접촉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층(130)은 가열시에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층의 기능도 해야 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layer 1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f the middle layer 130 is made of a material with poor heat resistance, when heating to bond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the middle layer 130 melts and the battery case 20, 30) may contact the electrode leads 6 and 7. This will cause a short circuit. Therefore, the intermediate layer 130 should also function as a heat-resistant layer capable of maintaining its shape even when heated.

제1 내지 제3 호퍼(211,212,213)에 투입된 원재료는 각각 제1 내지 제3 실린더(221,222,223) 내에서 용융된 후 티다이(230, T-Die)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실린더(221,222,223)를 통과하는 과정인 용융 및 혼련 과정이다.Raw materials put into the first to third hoppers 211 , 212 , and 213 may be melted in the first to third cylinders 221 , 222 , and 223 , respectively, and then transported toward the T-Die 230 . Here, it is a melting and kneading process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cylinders 221 , 222 , and 223 .

용융 및 혼련 과정은 제1 내지 제3 호퍼(211,212,213) 내로 투입된 원료가 제1 내지 제3 실린더(221,222,223) 내부로 유입되어 용융 및 혼련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때 제1 내지 제3 실린더(221,222,223)의 내부온도는 제1구간~제4구간으로 진행될수록 높게 된다. The melting and kneading process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raw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first to third hoppers 211, 212, and 213 are introduced into the first to third cylinders 221, 222, and 223 to be melted and knead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is higher as it progresses from the first section to the fourth section.

여기서, 제 1구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 2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2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200℃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제 2구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2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2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 210℃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구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 2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이상 2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 220℃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제4 구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 이상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2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이상 230℃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ection may be preferably determined to be 140°C or more and 220°C or less, more preferably 150°C or more and 210°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60°C or more and 200°C or les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ection may be preferably determined to be 150°C or more and 230°C or less, more preferably 160°C or more and 220°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70°C or more and 210°C or less.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section may be preferably determined to be 180°C or more and 240°C or less, more preferably 190°C or more and 230°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80°C or more and 220°C or less. The temperature of the fourth section may be preferably determined to be 190°C or more and 250°C or less, more preferably 200°C or more and 240°C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10°C or more and 230°C or less.

선행하는 실린더 구간의 내부온도가 후행하는 실린더 구간의 내부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용융 수지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수지가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고 선행구간에서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내부온도가 140℃ 이하인 경우에는 수지가 용융되지 않아서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온도가 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의 열화로 인하여 리드탭용 필름(100)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심할 경우 수지의 열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eceding cylinder section is higher tha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ucceeding cylinder section, the flowability of the molten resin is lowered and the resin cannot move within the cylinder and may become stagnant in the preceding section. 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ylinder is 140 ° C or lower, the resin may not be melted and may not move inside the cylinder, 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250 ° C,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ead tab film 100 are deteriorated due to deterioration of the resin. or, in severe cases,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resin may occur.

도 8을 참조하면, 제1 실린더(221) 내지 제3 실린더(223)의 토출구는 공통적으로 티다이(230)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discharge ports of the first cylinder 221 to the third cylinder 223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T die 230 .

캐스팅(Casting) 과정은 제1 내지 제3 실린더(221,222,223)를 통과한 용융 수지가 티다이(T-die, 230)를 통과한 후 토출되어 캐스팅 롤러(Casting Roller, 251,252)에 의하여 필름화되는 과정을 통칭하며, 리드탭용 필름(100)의 두께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The cast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molten resi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cylinders 221, 222, and 223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a T-die 230 and formed into a film by a casting roller 251 and 252. It is collectively called, and is an important step in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lead tab film 100.

그런데, 용융 수지가 티다이(230)를 통과한 후 캐스팅 롤러(251,252)에 의하여 냉각되는 과정에서 용융 수지의 네킹(necking)이 발생하여 리드탭용 필름(100)의 가장자리(Edge) 부분의 두께가 가운데 부분에 비하여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티다이(230)의 토출구(231)의 크기 내지 폭은 중앙부 대비 가장자리(Edge) 부분을 크게(두껍게) 설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티다이(230)의 토출구(231)는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가운데 부분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molten resin by the casting rollers 251 and 252 after passing through the T-die 230, necking of the molten resin occurs, and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of the lead tab film 100 is reduced. A phenomenon that is smaller than the middle part may occur.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size or width of the discharge port 231 of the T-die 230 should be set larger (thicker) in the edge portion compared to the center portion. As such,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edge portion of the outlet 231 of the T-die 230 is larger than that of the center portion.

한편, 리드탭용 필름(100)이 티다이(230)를 통과한 후 토출되어 캐스팅 롤러(251,252)에 의하여 냉각되어 최종적으로 필름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캐스팅 롤러(251,25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P1,P2)에 따라 리드탭용 필름(100)의 표면에 패턴(P3,P4)이 전사되어 리드탭용 필름(100)의 표면적이 증가하게 된다.Meanwhile, the lead tab film 100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T-die 230 and cooled by the casting rollers 251 and 252 to finally form a film. In this process, i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ting rollers 251 and 252. The patterns P3 and P4 are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the patterns P1 and P2,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lead tab film 100 increases.

도 7을 참조하면, 티다이(230)에서 토출된 용융 수지는 제1 및 제2 캐스팅 롤러(251,25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각됨과 동시에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캐스팅 롤러(251)는 냉각, 이송 및 필름의 두께 유지 기능을 하는 반면에, 제2 캐스팅 롤러(252)는 냉각, 이송, 필름의 두께 유지 기능에 더해서 필름의 표면에 패턴을 전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 the molten resin discharged from the T-die 230 may be cooled and transported simultaneously while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ting rollers 251 and 252 . Here, the first casting roller 251 functions to cool, transport and maintain the thickness of the film, while the second casting roller 252 transfers the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film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of cooling, transport and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function to d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2 캐스팅 롤러(252)의 표면 일부와 접촉한 상태로 이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냉각과 패턴 전사가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이 동시에 티다이(230)를 통과한 후 캐스팅 롤러(251,252)에 의해서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양각 및 음각의 패턴(무늬)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lead tab film 100 is transferr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ting roller 252, and in this process, cooling and pattern transfer occur. In this way,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pass through the T-die 230 at the same time, By the casting rollers 251 and 252,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or embossed and engraved patterns may be form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압출 시스템(200)의 캐스팅 롤러(251,252) 중 리드탭용 필름(100)과 일정 부분 접촉되는 제2 캐스팅 롤러(252)의 표면에는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접착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또는 양각과 음각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P1,P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티다이(230)에서 토출된 리드탭용 필름(100)이 제1 및 제2 캐스팅 롤러(251,252)를 통과하는 동안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제2 캐스팅 롤러(252)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또는 양각(P1) 및 음각(P2)의 무늬가 전사될 수 있다. 즉, 제2 캐스팅 롤러(252)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또는 양각(P1) 및 음각(P2)의 무늬가 그대로 전사(transfer printing)되어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찍히게 된다.9, among the casting rollers 251 and 252 of the co-extrusion system 200 used for manufacturing the film 100 for a lead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art of the casting roller 251 and 252 is in contact with the film 100 for a lead tab. 2 On the surface of the casting roller 252, the same pattern (P1 , P2) is formed. Therefore, while the lead tab film 100 discharged from the T-die 230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sting rollers 251 and 252,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ting roller 252, patter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ting roller 252, such as irregularities or reliefs P1 and intaglios P2, may be transferred. That is,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ting roller 252 or the pattern of the embossed (P1) and intaglio (P2) is transferred as it is, an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kin layer 110 or the second skin layer 150. It is imprinted on at least one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또는 제2 스킨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캐스팅 롤러(252)에 의해서 냉각되면서 요철 또는 양각 및 음각의 무늬가 전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uneven or embossed edges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is cooled by the casting roller 252. and intaglio patterns can be transferr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압출 시스템(200)은 한 쌍의 캐스팅 롤러 대신 리드탭용 필름(100)에 패턴을 전사할 수 있는 1개의 캐스팅 롤러(252)만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extrusion system 200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casting capable of transferring a pattern to the lead tab film 100 instead of a pair of casting rollers. It may also include only roller 252 .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공압출 시스템(200)에 의해서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이 각각 필름 형태로 제조된 후에 제1 스킨층(110)을 중간층(130)의 일면에 접착하고 제2 스킨층(150)을 중간층(130)의 타면에 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이 3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의 순서로 층상 구조를 이루지만 이웃하는 층 사이에 별도의 결합구조(접착구조)가 존재하지는 않는다.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by the coextrusion system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formed. That is, after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each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lm, the first skin layer 110 is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have a three-layer structure by forming the layer 150 integrally or collectively instead of attaching i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iddle layer 130. will achieve Therefore, the lead tab film 100 forms a layered structure in the order of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but has a separate bonding structure (adhesive structure) between adjacent layers. does not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을 일체로 공압출(Co-Extrusion)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 각각을 필름의 형태로 제조한 후 각 필름을 부착 또는 열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공압출 시스템(200)을 이용함으로써 제1 스킨층(110), 중간층(130) 및 제2 스킨층(150)이 적층된 필름이 일체로 한꺼번에 제조될 수 있다.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integrally co-extruding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 That is,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no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films and then attached or thermally bonded to each other, but using the co-extrusion system 200. By doing so, a film in which the first skin layer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re laminated can be integrally manufactured at onc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제1 스킨층(110)과 중간층(130) 사이, 중간층(130)과 제2 스킨층(150) 사이에 별도의 접착성분 또는 접착층이나 접착구조가 존재하지 않고, 전지케이스(20,30) 및 전극리드(6,7)에 리드탭용 필름(100)을 접착하기 위해 가열한 상태에서 가압해도 리드탭용 필름(100)에서 층간 분리(박리)가 일어나지도 않고 끝단에서 각 층이 밀려 나오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 adhesive components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middle layer 130 and between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Alternatively, even if there is no adhesive layer or adhesive structure and the lead tab film 100 is pressed in a heated state in order to adhere to the battery cases 20 and 30 and the electrode leads 6 and 7, the lead tab film 100 is interlayered. Separation (peeling) does not occur, and there is no problem that each layer is extruded from the end.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의 박리강도에 대한 비교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 comparative experiment on the peel strength of 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비교예 1(1) Comparative Example 1

공압출을 통하여 중간층, 제1 스킨층, 제2 스킨층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을 제조하였다. 중간층의 두께는 70 ㎛,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기 35 ㎛ 및 45 ㎛로 구성되며 압출 후 필름의 표면에 그 어떠한 표면처리도 진행하지 않았다. A polypropylene film having an intermediate layer, a first skin layer, and a second skin layer was prepared through co-extrusion.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was 70 μm,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were composed of 35 μm and 45 μm, respectively, and no surfac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after extrusion.

BET(비표면적 측정기, Quantachrome inst.사의 Autosorb-iQ/MP 모델)를 통하여, 80℃, 3hr동안 전처리를 진행한 후 필름의 표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필름의 비표면적은 72.36 m2/g으로 나타났다. 이 필름을 폭 5mm, 길이 5 cm 로 절단 한 후, 전극리드와 185℃의 열과 30kgf의 압력을 5초 동안 부여하여 열융착하였다. 이후, 상기 열 접착된 각 시편에 대하여, UTM(SHIMADZU사의 AGS-500NX 모델)을 사용하여 200mm/min의 속도로 전극리드와 실링 필름 간의 열 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된 필름의 접착강도는 3 N/10mm로 나타났다.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was measured after pretreatment at 80°C for 3 hr using a BET (specific surface area measuring instrument, Autosorb-iQ/MP model from Quantachrome inst.), and the measure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lm was 72.36 m 2 /g. appear. After cutting this film into a width of 5 mm and a length of 5 cm, it was heat-sealed with electrode leads by applying heat of 185° C. and pressure of 30 kgf for 5 seconds. Then, for each of the thermally bonded specimens, the thermal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sealing film was measured at a speed of 200 mm/min using UTM (SHIMADZU's AGS-500NX model), and the adhesion of the film measured in this way The strength was found to be 3 N/10 mm.

(2) 비교예 2(2) Comparative Example 2

제1 스킨층이 산무수물로 표면처리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필름을 사용하였다. The same film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except that the first skin layer was surface-treated with an acid anhydride.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71.57 m2/g이며, 접착강도는 15 N/mm로 나타났다.The specific surface area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71.57 m 2 /g, and the adhesive strength was 15 N/mm.

(3) 비교예 3(3) Comparative Example 3

압출 후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필름을 사용하였다. After extrusion, the same film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except that the surface of the film was subjected to corona discharge treatment.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 필름의 비표면적은 74.57 m2/g이며, 접착강도는 17 N/mm로 나타났다.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lm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74.57 m 2 /g, and the adhesive strength was 17 N/mm.

(4) 실시예(4)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 시스템(200)을 사용하여 중간층(130), 제1 스킨층(110) 및 제2 스킨층(150)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리드탭용 필름(100)을 제조하였다. 제조시 캐스팅 롤러(252)의 표면에 형성된 격자무늬 패턴이 리드탭용 필름(100)의 표면에 그대로 전사되는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중간층(130), 제1 스킨층(110) 및 제2 스킨층(150)의 두께는 각각 70 ㎛, 35 ㎛ 및 45 ㎛로 구성된 리드탭용 필름(100)을 제조하였으며, 제조 후 리드탭용 필름(100)에 그 어떠한 표면처리도 진행하지 않았다. A polypropylene lead tab film 100 having an intermediate layer 130, a first skin layer 110, and a second skin layer 150 was manufactured using the coextrus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manufacturing, the lattic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ting roller 252 wa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lead tab film 100 as it was. The thickness of the middle layer 130, the first skin layer 110, and the second skin layer 150 was prepared for a lead tab film 100 composed of 70 μm, 35 μm, and 45 μm, respectively. 100) did not proceed with any surface treatment.

BET(비표면적 측정기, Quantachrome inst.사의 Autosorb-iQ/MP 모델)를 통하여, 80℃, 3hr동안 전처리를 진행한 후 필름의 표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필름의 비표면적은 92.83 m2/g 으로 나타났다. 이 필름을 폭 5mm, 길이 5 cm 로 절단 한 후, 전극리드와 185℃의 열과 30kgf의 압력을 5초 동안 부여하여 열융착하였다. 이후, 상기 열 접착된 각 시편에 대하여, UTM(SHIMADZU사의 AGS-500NX 모델)을 사용하여 200 mm/min의 속도로 전극리드와 리드탭용 필름 간의 열 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된 필름의 접착강도는 23 N/10mm로 나타났다.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was measured after pretreatment at 80°C for 3 hr using a BET (specific surface area measuring instrument, Autosorb-iQ/MP model from Quantachrome inst.), and the measure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lm was 92.83 m 2 /g. appear. After cutting this film into a width of 5 mm and a length of 5 cm, it was heat-sealed with electrode leads by applying heat of 185° C. and pressure of 30 kgf for 5 seconds. Then, for each of the thermally bonded specimens, the thermal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lead tab film was measured at a speed of 200 mm/min using UTM (SHIMADZU's AGS-500NX model), and the film measured in this way. The adhesive strength of was 23 N/10m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용 필름(100)은 상기 비교예 대비 약 30% 향상된 비표면적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극리드와의 박리강도는 40% 이상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The lead tab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fic surface area improv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as a result, the peel strength with the electrode lead increased by 40% or mo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파우치형 이차전지 3: 전극조립체
6,7: 전극리드 20,30: 전지케이스
100: 리드탭용 필름 110: 제1 스킨층
130: 중간층 150: 제2 스킨층
200: 공압출 시스템 230: 티다이
252: 캐스팅 롤러
1: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3: electrode assembly
6,7: electrode lead 20,30: battery case
100: lead tab film 110: first skin layer
130: middle layer 150: second skin layer
200: co-extrusion system 230: T-die
252: casting roller

Claims (12)

이차전지의 전지케이스와,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의 양극 또는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리드 사이를 밀봉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으로,
상기 전극리드와 접착되는 제1 스킨층;
상기 제1 스킨층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상기 제1 스킨층과 마주 보는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지케이스와 접착되는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that seals between a battery case of a secondary battery and an electrode l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node or a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 first skin layer bonded to the electrode lead;
an intermediate lay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kin layer;
A second skin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facing the first skin layer and adhered to the battery case,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or greater adhesive strength than the other ski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상기 전극리드 또는 상기 전지케이스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 및 접촉하지 않는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has a su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lectrode lead or the battery case and a surface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lead tab film, characterized in that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상기 전극리드 또는 상기 전지케이스와 마주 보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양각 및 음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2,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among the first skin layer or the second skin layer has irregularitie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electrode lead or the battery case, or embossed and intaglio formed therein. Film for lead tab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의 표면적은 상기 양각의 면적, 상기 음각의 면적 및 상기 양각과 음각을 연결하는 부분의 면적을 모두 합한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3,
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the surface area of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a large adhesive force is equal to the sum of the area of the relief, the area of the intaglio, and the area of the portion connecting the embossment and the intaglio.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과 상기 음각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양각의 면적의 합은 상기 음각의 면적의 합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4,
The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ed and intaglios are alternately formed, an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embossments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intaglio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의 표면은 상기 양각의 표면에 대해서 0.1~10 ㎛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5,
The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glio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0.1 to 10 μm lower than the embossed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하나의 표면적은 25 ㎛2~10,000 ㎛2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6,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area of one of the embossed edges is formed to be 25 μm 2 to 10,000 μm 2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넓은 표면적 또는 큰 접착력을 가지는 스킨층은 100mm2 의 평면 면적 내에 50~200개의 상기 양각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claim 7,
Among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the skin lay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or high adhesive strength is formed so that 50 to 200 embossments exist within a plane area of 100 mm 2 . Film for lead tabs for secondary batterie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상기 중간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그의 공중합체 또는 터폴리머,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first skin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or the second skin layer is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copolymers or terpolymers thereof, or polyolefin resin.
제9항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킨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은 각각 용융된 후 공압출에 의해서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m for a lead tab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9,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kin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are formed in a laminated state in order by co-extrusion after melting,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은 동시에 티다이를 통과한 후 캐스팅 롤러에 의해서 냉각되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양각 및 음각의 무늬가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skin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simultaneously pass through a T-die and are cooled by a casting roller so that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second skin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glio pattern is transferr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티다이의 토출구는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가운데 부분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 for a secondary battery lead tab,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of the T-die is formed with a width of an edge portion larger than a width of a central portion.
KR1020210078132A 2021-06-16 2021-06-16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168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132A KR20220168419A (en) 2021-06-16 2021-06-16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132A KR20220168419A (en) 2021-06-16 2021-06-16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419A true KR20220168419A (en) 2022-12-23

Family

ID=8453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132A KR20220168419A (en) 2021-06-16 2021-06-16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41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05B1 (en) 2002-02-18 2008-03-20 바프렉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extruded multilayer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05B1 (en) 2002-02-18 2008-03-20 바프렉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extruded multilayer fil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1763A1 (e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402134B2 (en) Multilaye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07702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60942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102488346B1 (en) Battery pack
JP6006104B2 (en) Tab lead manufacturing method
KR101624386B1 (en) Method of fix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US10847779B2 (en) Film-covered battery production method and film-covered battery
WO2010047079A1 (en) Multilaye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CN109792072A (en) For manufacturing the method and electrode unit that are used for the electrode unit of battery cell
KR20150037314A (en) Method of fix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KR20180057847A (en) Apparatus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same
JP2000223108A (en) Layered battery
KR102645030B1 (en)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KR20220168419A (en) Film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10060B1 (en) Stack and folding-typ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329322B2 (en) Battery module
US9786886B2 (en) Nonaqueous battery
KR102562394B1 (en) Electrode lead film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lead having the same
JP701090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element
KR101340011B1 (en)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60020343A (en) Stack and folding-type asymmetric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40056411A (en) Stack and fording type electrode assembly with thickness supplement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20170667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acked battery and stacked batteries
WO2019054620A1 (en)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