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867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867A
KR20220167867A KR1020210077108A KR20210077108A KR20220167867A KR 20220167867 A KR20220167867 A KR 20220167867A KR 1020210077108 A KR1020210077108 A KR 1020210077108A KR 20210077108 A KR20210077108 A KR 20210077108A KR 20220167867 A KR20220167867 A KR 20220167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ar wall
dispenser
sidewal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현
최규관
김민섭
이항복
한성경
윤예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867A/en
Priority to PCT/KR2022/007555 priority patent/WO2022265255A1/en
Publication of KR2022016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8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dispenser provided to the door and collecting at least one between water or ice. The dispenser comprises: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connecting an upper wall and a lower wall; a dispenser housing having a rear wall which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rear wall when the rear wall is compressed to be move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refrigerator door, and cools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a refrigerating cycle. It is configured to keep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condition.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high quality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t devices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are being released.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1763호에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가 개시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1763, which is a prior document, discloses a structure for mounting a control lever of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선행문헌의 경우,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음료 또는 얼음의 외부취출을 위해 구비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펜서케이싱과,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함몰된 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한다.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in a dispenser provided on one side of a door of a refrigerator for external dispensing of beverages or ice, a dispenser casing formed recessed into the door to form the inner shape of the dispenser, and a recess in the dispenser casing 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and includes a control le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상기 조작레버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음료 또는 얼음을 받기 위한 컵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배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함몰된 면에 힌지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The control lev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a cup for receiving beverage or ice,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below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and hinged to the recessed surface of the dispenser casing.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접촉부의 상부를 눌러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The control lever presse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rotated about the first coupling portion as an axis.

그런데, 선행문헌의 조작레버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함몰된 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청소 과정에서 상기 조작레버가 장애물로 작용하여 청소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trol lever of the prior art protrudes while being coupled to the recessed surface of the dispenser casing, the control lever acts as an obstacle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dispenser casing, making cleaning difficult.

또한, 상기 조작레버의 크기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함몰된 면에 비하여 상당히 작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를 정확하게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control lever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recessed surface of the dispenser casing, since the control lever must be accurately pressed, the user's operation convenience is low.

또한, 조작레버를 정확하게 눌러야 하므로, 부피가 큰 용기의 경우, 조작레버를 누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lever must be accurately pressed, in the case of a container having a large volum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trol lever cannot be pressed.

본 실시 예는, 디스펜서 하우징의 청소성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leanability of the dispenser housing can be improved.

본 실시 예는, 돌출된 형태의 레버가 존재하지 않고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측벽이 조작면 역할을 하여 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a protruding lever does not exist and the rear wall of the dispenser housing serves as a manipulation surface, so that aesthetics can be improved.

본 실시 예는, 조작면을 가압할 수 있는 용기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size of a container capable of pressurizing an operating surface.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 중 하나 이상의 취출이 가능하기 위하한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dispenser provided on the door and capable of dispensing at least one of water and ice.

상기 디스펜서는, 상측벽과, 하측벽과,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을 연결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는 후측벽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후측벽이 가압되어 이동될 때 상기 후측벽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includes an upper wall, a lower wall, first and second sidewall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rear wall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Dispenser housing And,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and moved, 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rear wall.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상측벽에서 연장되며 물 또는 얼음의 통로가 내부에 위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include a discharge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wall and having a passage for water or ice located therein.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unit.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와의 수평 거리는 상기 후측벽의 하단부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와의 수평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and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may be greater tha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and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부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배출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discharge unit, and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may overlap with the discharg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 간의 거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에서 멀어질수록 줄어들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increases.

상기 후측벽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 각각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A length of the rear sidewall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lengths of each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벽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과, 상기 제 2 측벽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 및 상기 제 2 연장벽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벽이 가압되면, 상기 후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연장벽과 제 2 연장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housing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wall and a second extension wall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wall. The first extension wall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wall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wall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상기 후측벽이 가압되면 상기 후측벽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후측벽의 회전 중심은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the rear wall may rotate about a rotation center. A rotation center of the rear wall may be located closer to a lower end than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상기 후측벽의 회전 중심은, 상기 후측벽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 보다 상기 하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wall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lower end than a point at which a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is bisected.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측벽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be located behind the rear wall and higher than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측벽의 하단부 보다 상기 후측벽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be positioned closer to a point at which a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is bisected than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상기 상측벽은, 상기 후측벽이 가압될 때 상기 후측벽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wall may include a stopper that limits movement of the rear wall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 중 하나 이상의 취출이 가능하기 위하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측벽과, 하측벽과,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을 연결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후측벽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후측벽은,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연결되는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가동벽을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dispenser provided on the door and capable of dispensing at least one of water or ice, wherein the dispenser includes an upper wall, a lower wall, a first side wall connecting the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and a first side wall connecting the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A dispenser housing including two side walls and a rear wall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wherein the rear wall includes a fixed wall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fixed wall It may include a movable wall movable with respect to.

상기 가동벽의 후방에는 상기 가동벽이 가압되어 이동될 때 상기 가동벽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벽의 전면 면적은 상기 고정벽의 전면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The rear of the movable wall may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movement of the movable wall when the movable wall is moved by being pressed. A front area of the movable wall may be greater than a front area of the fixed wall.

상기 가동벽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고정벽의 좌우 방향 길이의 비율은 0.8 이상이고, 상기 가동벽의 높이에 대한 상기 고정벽의 높이의 비율은 0.8 이상일 수 있다. A ratio of a horizontal length of the fixed wall to a horizontal length of the movable wall may be 0.8 or more, and a ratio of a height of the fixed wall to a height of the movable wall may be 0.8 or more.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상측벽에서 연장되며 물 또는 얼음의 통로가 내부에 위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벽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include a discharge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wall and having a passage for water or ice located therein. An upper end of the movable wall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unit.

상기 가동벽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A length of the movable wall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lengths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in the left-right direction.

본 실시 예의 경우, 디스펜서 하우징이 조작부 역할을 하는 후측벽을 포함하고, 후측벽이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미감이 향상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청소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dispenser housing includes a rear wall serving as a control unit, and the rear wall forms a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Accordingly, aesthetics of the dispenser housing may be improved, and cleanability of the dispenser housing may be improved.

또한, 후측벽 전체가 조작부 역할을 하므로, 조작면을 가압할 수 있는 컵이나 용기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rear wall serves as a manipulation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a cup or container capable of pressing the manipulation surface can be increased.

또한, 후측벽의 중앙부 보다 낮은 위치에 회전 중심과 감지부가 위치되므로, 상기 후측벽의 조작을 감지부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sensing unit are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wal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nsing unit can accurately detect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디스펜서에서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 예의 라이팅 모듈과 살균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의 배출관의 개구 측에 설치된 살균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블럭도.
도 7은 디스펜서 하우징에서 후측벽이 미조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디스펜서 하우징에서 후측벽이 조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dispenser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3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in the dispenser of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module and a sterilization module of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of the dispenser housing is not manipulat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is manipulated in the dispenser housing;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9-9 in Figure 7;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10-10 of FIG. 8;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11-11 of FIG. 9;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12-12 of FIG. 10;
13 is a front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디스펜서에서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dispenser provided in a refrigerator door,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of the dispenser of FIG. 2 .

도 4는 본 실시 예의 라이팅 모듈과 살균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배출관의 개구 측에 설치된 살균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블럭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module and a steriliz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6 ,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abinet 10 having a storage space and a refrigerator door 20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측의 제1공간(11)과 하측의 제2공간(1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20)도 상기 제1공간(11)을 개폐하는 제1도어(21)와 상기 제2공간(12)을 개폐하는 제2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space is not limited, but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first space 11 and a lower second space 12, and the refrigerator door 20 also opens and closes the first space 11. It may include one door 21 and a second door 22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12 .

상기 제1공간(11)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공간(12)은 냉동실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좌우로 구분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단일의 공간일 수 있고, 단일의 냉장고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space 11 may b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econd space 12 may be a freezing compartment or vice versa.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torage space includes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lternatively, the storage space may be a single space, and a single refrigerator door ma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 중 하나 이상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또는 단일의 냉장고 도어(20)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may be a rotation type door. Alternatively, the single refrigerator door 20 may be a rotation type door.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제1도어(21)가 좌우로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wo first doors 21 are disposed left and righ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1도어(21)는, 힌지 장치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door 2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10 by a hinge device.

두 개의 제1도어(21) 중 어느 하나는 디스펜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례로 좌측의 제1도어(21)에 디스펜서(100)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Any one of the two first doors 21 may include the dispenser 100 . The dispenser 100 may dispense water and/or ice. 1 shows that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in the first door 21 on the left side as an example.

상기 디스펜서(100)는, 디스펜서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은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컵이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22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10 . A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may be recessed backward to form a space 220 in which a cup or container may be placed.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은, 상측벽(220)과, 하측벽(230)과, 상기 하측벽(230)과 상측벽(220)을 연결하는 양측벽(240, 250)과, 후측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housing 110 includes an upper wall 220, a lower wall 230, side walls 240 and 250 connecting the lower wall 230 and the upper wall 220, and a rear wall 210 ) may be included.

상기 상측벽(220)과, 하측벽(230)과, 양측벽(240, 550) 및 상기 후측벽(210)이 상기 공간(200)을 정의한다. The upper wall 220 , the lower wall 230 , the side walls 240 and 550 , and the rear wall 210 define the space 200 .

상기 하측벽(230)은 컵이나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측벽(210)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측벽(210)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후측벽(210)의 전면이 조작면 역할을 한다. The lower wall 230 may support a cup or container. The rear wall 210 may be movably dispos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0 . In this embodiment, the rear wall 210 serves as a control unit manipulated by a user to input a water or ice extraction command. 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wall 210 serves as a manipulation surface.

상기 후측벽(2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면임을 알 수 있도록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A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ide wall 210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at it is a manipulation surface.

상기 디스펜서(100)는 물 및/또는 얼음이 통과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제 1 바디(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30)는, 상기 공간(200)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water and/or ice passes. 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ody 130 . The first body 130 may be disposed in a form protruding into the space 200 .

상기 제 1 바디(130)는 일례로 상기 상측벽(22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후측벽(210) 및 양측벽(240, 250)과 이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body 130 is disposed in a form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22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210 and the side walls 240 and 250 .

상기 제 1 바디(130)는 디스플레이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바디(130)는, 버튼(133, 134, 135) 들이 구비되는 라운드부(131)와, 상기 라운드부(131)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라운드부(131)가 디스플레이부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30 may serve as a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first body 130 includes a round portion 131 provided with buttons 133, 134, and 135, and a straight portion 132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131. can do. In practice, the round part 131 may serve as a display part.

상기 라운드부(131)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ound part 131 may be located behind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

상기 버튼(133, 134, 135)들은 상기 라운드부(131)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buttons 133 , 134 , and 135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und portion 131 .

상기 버튼(133, 134, 135)들은 제1버튼 내지 제3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uttons 133, 134, and 135 may include first to third buttons.

상기 제1버튼(133)은, 물이 취출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물 선택 버튼이다. 상기 제2버튼(134) 및 제3버튼(135)은 얼음이 취출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얼음 선택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제2버튼(134) 및 제3버튼(135)은 얼음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The first button 133 is a water selection button selected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water can be taken out.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are ice selection buttons that are selected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ice can be dispensed. Also,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are buttons for selecting the type of ice.

상기 제2버튼(134)은, 일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버튼이고, 상기 제3버튼(135)은 조각 얼음(분쇄된 얼음)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일반 얼음은 도시되지 않은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 그 자체를 의미하고, 조각 얼음은 일반 얼음이 블레이드에 의해서 분쇄된 상태의 얼음을 의미한다. The second button 134 is a button for selecting regular ice, and the third button 135 is a button for selecting crushed ice. Normal ice refers to ice itself generated by an ice maker (not shown), and crushed ice refers to ice in a state in which normal ice is pulverized by a blad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2버튼(134)과 상기 제3버튼(135) 사이에 상기 제1버튼(13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버튼(133)이 버튼들 중에서 중앙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쉽게 상기 제1버튼(133)을 인식 및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not limited, the first button 1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When the first button 133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utton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and manipulate the first button 133 .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버튼(133, 134, 135) 들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고, 조작된 버튼(133, 134, 135)에 대응하여 광을 조사하는 감지 어셈블리(미도시)(또는 발광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detects button manipulation of the buttons 133, 134, and 135, and emits light in response to the manipulated buttons 133, 134, and 135. A sensing assembly (not shown) (or a light emitting assembly) ) may further include.

상기 감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바디(13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 어셈블리는 상기 라운드부(131)의 후측에서 상기 라운드부(131)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ing assembly may be disposed within an area formed by the first body 130 . For example, the sensing assembly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ound part 131 from the rear side of the round part 131 .

상기 감지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133, 134, 135)의 기구적인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버튼(133, 134, 135)의 터치 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133, 134, 135)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sensing assembly may include a switch that detects mechanical manipulation of the buttons 133, 134, and 135 or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buttons 133, 134, and 135 are touched. can In this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s of sensors for detecting manipulations of the buttons 133, 134, and 135.

상기 감지 어셈블리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발광 소자 내지 제3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nsing assembly may includ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evices.

상기 제1버튼(133)이 선택되면, 상기 제1발광 소자에서 제1버튼(133) 또는 제1버튼(133)의 주변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버튼(134)이 선택되면, 상기 제2발광 소자에서 제2버튼(134) 또는 제2버튼(134)의 주변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3버튼(135)이 선택되면, 상기 제3발광 소자에서 제3버튼(135) 또는 제3버튼(135)의 주변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button 133 is selected, light may be 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to the first button 133 or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button 133 . When the second button 134 is selected, light may be 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second button 134 or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utton 134 . When the third button 135 is selected, light may be radia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third button 135 or to the periphery of the third button 135 .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제 1 바디(130)의 하측에 위치되는 투과 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member 550 positioned below the first body 130 .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투과 부재(55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140 positioned below the penetrating member 550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바디(130) 및 상기 제 2 바디(140)는 상기 공간(200)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므로, 이들을 통칭하여 돌출 부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부재(550)는, 상기 돌출 부재의 둘레(원주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are disposed protruding into the space 200, they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otruding members. The lighting member 550 may be arranged to be rounded along the circumference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member.

상기 제 2 바디(140)는 상기 투과 부재(5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30)의 하단과 상기 제 2 바디(140)의 상단은 이격되며 상기 제 1 바디(130)의 하단 및 상기 제 2 바디(140)의 상단 사이에 상기 투과 부재(55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140 may support the transmission member 550 .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140 are spaced apart, and the transmission member 55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140. Some may be located.

상기 투과 부재(550)는, 후술할 라이팅 모듈(500)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상기 투과 부재(550)에서 투과되는 광을 확인할 수 있다. The transmissive member 550 is a portion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transmitted. A user may check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550 .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바디(130)와 상기 제 2 바디(140)의 경계 부위에 상기 투과 부재(550)가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제 1 바디(130)와 상기 제 2 바디(140)의 경계 부위에서 투과되는 광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ransmission member 550 is position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the user can easily connect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 14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ransmitted light at the boundary.

상기 제 2 바디(140)의 반경은, 상기 제 1 바디(130)의 라운드부(132)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40)의 중심은 상기 라운드부(132)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바디(140)와 상기 제 1 바디(130)가 단차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바디(130)와 상기 제 2 바디(140) 사이의 투과 부재(550)에 광이 투과되는 경우, 광의 인식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A radius of the second body 140 may be smaller than a radius of the round portion 132 of the first body 130 . The center of the second body 140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round part 132 .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body 140 and the first body 130 are disposed in a stepped shape,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missive member 550 between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When this is transmitted, the recognizability of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제 2 바디(140)의 내측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배출 포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 포트(150)는 상기 제 2 바디(14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 포트(150)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컵이나 용기를 쉽게 상기 배출 포트(150)와 정렬시킬 수 있다. A discharge port 150 for discharging w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140 . The discharge port 15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second body 140 .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discharge port 150 and can easily align a cup or container with the discharge port 150 .

또는 상기 배출 포트(150)의 하면은 상기 제 2 바디(140)의 하면과 동일한 높에 위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50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0 .

상기 배출 포트(150)에는 후술할 물 배관(430)의 배출관(432)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432)을 통하여 물이 실제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 포트(150)는 상기 배출관(43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 discharge pipe 432 of a water pipe 4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150 . That is, water is actu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432 , and the discharge port 150 may serve to protect the discharge pipe 432 .

상기 디스펜서(100)는,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아이스 슈트(ice chute)(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ice chute (not shown)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본 실시 예에서 물의 통로 및 얼음의 통로는 상기 제 1 바디(130) 및 제 2 바디(14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assage of water and the passage of ic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

이때, 상기 배출관(132)은 상기 얼음 배출구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132)은 상기 얼음 배출구 보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charge pipe 132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ice outlet. That is, the discharge pipe 132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opening 200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than the ice discharge port.

상기 디스펜서(100)는, 라이팅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module 500 .

상기 라이팅 모듈(500)은, 라이팅 유닛(510)과, 상기 투과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ing module 500 may include a lighting unit 510 and the transmissive member 550 .

상기 라이팅 유닛(510)은, 라이팅 피씨비(511)와, 상기 라이팅 피씨비(511)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부(514, 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부(514, 516) 중 하나 이상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투과 부재(550)를 투과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510 may include a lighting PCB 511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514 and 516 installed in the lighting PCB 511 .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514 and 516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550 .

상기 투과 부재(550)가 상기 제 2 바디(140)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발광하는 경우, 일정 부분에서 광이 투과되는 경우에 비하여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transparent member 550 emits light entire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140, aesthetics may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a certain portion.

상기 투과 부재(550)는,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member 550 may include a round portion. The round part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ice chute.

복수의 발광부(514, 516)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1 발광부(514)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2 발광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514 and 5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units 514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emitting units 516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발광부(514)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은 상기 제 2 발광부(516)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과 다를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제 1 발광부(514)는 BLUE LED일 수 있고, 복수의 제 2 발광부(516)는 WHITE LED일 수 있다. A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4 may be different from a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516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units 514 may be BLUE LED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emitting units 516 may be WHITE LEDs.

상기 살균 모듈(400)은, 상기 물 배관(430)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물 배관(430) 내의 유로 및 유로를 지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may irradiate the water pipe 430 with ultraviolet rays to sterilize the passage in the water pipe 430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상기 살균 모듈(400)은, 자외선 발생부(422)가 설치되는 피씨비(420)와, 상기 피씨비(420)를 수용하는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 PCB 420 in which an ultraviolet ray generator 422 is installed, and a housing 410 accommodating the PCB 420 .

상기 물 배관(430)에는 개구(434)가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 발생부(422)가 상기 개구(434)와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410)이 상기 물 배관(430)과 결합될 수 있다. An opening 434 is provided in the water pipe 430 , and the housing 410 may be coupled to the water pipe 430 so that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422 is aligned with the opening 434 .

상기 자외선 발생부(422)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상기 물 배관(430)의 단부에 위치되는 배출관(432)까지 도달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generator 422 may reach the discharge pipe 432 located at the end of the water pipe 430 .

상기 개구(434)에는 상기 자외선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440)는 광의 투과를 허용하면서 물이 상기 자외선 발생부(442)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440)의 둘레에는 실링 부재(43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434)에 의해서 물이 상기 자외선 발생부(442) 및 피씨비(42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 transmission part 440 capable of transmitting the ultraviolet rays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434 . The transmission part 440 may restrict the flow of water toward the UV generating part 442 while permitting the transmission of light. A sealing member 434 may be coupled to the perimeter of the transmission part 440 . Wate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toward the UV generator 442 and the PCB 420 by the sealing member 434 .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전체적인 제어 또는 일부 구성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50 for overall control or control of some components.

상기 컨트롤러(50)는 적어도 상기 살균 모듈(400) 및 상기 라이팅 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may control at least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and the lighting module 500 .

상기 냉장고(1)는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52 capable of detecting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감지부(52)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발광부(514) 및 상기 제 2 발광부(516)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4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516 to be turned off when the sensing unit 52 does not detect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can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감지부(52)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발광부(514) 및 상기 제 2 발광부(516) 중 어느 하나가 온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발광부(516)가 온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may turn on any on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4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516 when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is detected by the sensing part 52. there is.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516 may be turned on.

그러면, 상기 투과 부재(550)에서 상기 제 2 발광부(516)에서 조사된 광의 투과되어, 사용자는 제1색상의 광을 확인할 수 있다. T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516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550, and the user can check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상기 제 2 발광부(516)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발광부(516)의 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단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516 is turned on, the light intensity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516 may be maintained constant or may be reduced in stages.

상기 감지부(52)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의 감지와 무관하게, 상기 살균 모듈(400)이 작동하면 상기 제 1 발광부(514) 및 상기 제 2 발광부(516) 중 다른 하나가 온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발광부(514)가 온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detection of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by the detector 52, when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operates, the other on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4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516 is activated. can be made to come on. For example,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4 may be turned on.

그러면, 상기 투과 부재(550)에서 상기 제 1 발광부(514)에서 조사된 광의 투과되어, 사용자는 제2색상의 광을 확인할 수 있다. T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4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550, and the user can check the light of the second color.

상기 투과 부재(550)에서 투과되는 광의 색상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살균 모듈(400)이 작동하는 살균 모드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By checking the color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550,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sterilization mode in which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operates is being perform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선택 또는 선택 해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살균 모드는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mode may be manually selected or deselected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sterilization mod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상기 살균 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살균 모듈(400)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발광부(514)를 온시킬 수 있다. When the sterilization mode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selected, the controller 50 may operate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and turn o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4 .

상기 살균 모드가 수동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살균 모드가 해제(일반 모드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살균 모듈이 계속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발광부(214)는 일정 시간 온된 후에 오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발광부(514)의 온 시간은 오프 시간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발광부(514)의 온 및 오프는 상기 살균 모드가 수동으로 해제되기 전까지 반복될 수 있다. When the sterilization mode is manually selected,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continue to operate until the sterilization mode is released (converted to the normal mode). In this cas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214 may be turned off after being turned 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on tim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4 may be shorter than the off time. Turning on and off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4 may be repeated until the sterilization mode is manually released.

다른 예로, 상기 살균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살균 모듈(400)은 기준 시간 동안 작동한 후에 장지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terilization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the sterilization module 400 may be installed after operating for a standard time.

이때, 상기 제 1 발광부(514)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발광부(514)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 짧은 제1시간 동안 작동한 후에 오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4 may maintain an on state for the reference time. Alternatively,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4 may be turned off after operating for a short first time during the reference time.

상기 제 1 발광부(514)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발광부(514)의 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단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4 is turned on, the light intensity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514 may be maintained constant or may be gradually reduced.

상기 살균 모드는 일정 시간 간격 또는 물의 취출량이 기준량에 도달할 때마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mod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whenever the water extraction amount reaches a reference amount.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물이 유동하는 배관 및 물이 취출되는 배출관의 유로의 살균이 가능하므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flow path of the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s and the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water is taken out, hygiene can be improved.

또한, 살균 모드가 수행되는 중에는 특정 색상의 광이 투과 부재를 통해 투과되므로, 물이 취출되는 유로가 살균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light of a specific color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while the sterilization mode is being performed,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is being sterilized.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투과 부재에서 투과되는 색상의 구분에 의해서 디스펜서가 일반 모드(비살균 모드)인지 살균 모드인지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dispenser is in a normal mode (non-sterilization mode) or a sterilization mode by classifying the color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투과 부재가 라운드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투과 부재에서 투과되는 광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transmissive member is disposed in a rounded shape, the user can check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ve member regardless of the user's position.

이하에서는 디스펜서 하우징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hous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디스펜서 하우징에서 후측벽이 미조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디스펜서 하우징에서 후측벽이 조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of the dispenser housing is not manipulated,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of the dispenser housing is manipulated.

도 9는 도 7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9-9 in FIG. 7,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10-10 in FIG.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11-11 in FIG. 9,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12-12 in FIG.

도 2,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벽(220)과, 하측벽(230)과, 상기 하측벽(230)과 상측벽(220)을 연결하는 양측벽(240, 250)과, 후측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2, 7 to 12, the dispenser housing 11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wall 220, the lower wall 230, the lower wall 230 and the upper wall 220 It may include side walls 240 and 250 and a rear wall 210 connecting the .

상기 후측벽(210)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하면서 조작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후측벽(210)을 조작(가압하거나 푸시)할 수 있다. The rear wall 210 may serve as a control unit while form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 That is, the user may manipulate (press or push) the rear wall 210 to take out water or ice.

상기 후측벽(210)이 가압되거나 푸시될 때 상기 후측벽(210)은 회전 동작할 수 있다. When the rear wall 210 is pressed or pushed, the rear wall 210 may rotate.

상기 후측벽(210)이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후측벽(210)이 미조작된 상태 또는 상기 후측벽(210)으로 외력(F)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는 상기 하측벽(23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210 ( 210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ll 230 .

다만,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와 상기 하측벽(230)의 상면 사이에 갭이 줄어들도록,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는 상기 하측벽(230)의 상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However,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ll 230,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ide wall 230. may be located adjacently.

일례로,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와 상기 하측벽(230)의 상면 사이의 갭은, 상기 후측벽(210)의 두께 및 상기 하측벽(230)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ll 23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wall 230 .

상기 후측벽(210)이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후측벽(210)이 미조작된 상태 또는 상기 후측벽(210)으로 외력(F)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상측벽(220)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와 상기 상측벽(220)의 하면 사이에 갭이 줄어들도록,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상측벽(220)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210 ( 210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0 . However,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0,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0. may be located adjacently.

일례로,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와 상기 하측벽(230)의 상면 사이의 갭은, 상기 후측벽(210)의 두께 및 상기 하측벽(230)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ll 23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wall 230 .

상기 후측벽(210) 자체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의 높이(2H) 보다 길 수 있다. A vertical length of the rear wall 210 itself may be longer than a height 2H of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

상기 후측벽(210)의 수직 방향 높이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의 높이(2H)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A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21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a height 2H of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

따라서, 상기 후측벽(210)의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30 및 상기 제 2 바디(1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측벽(210)과 상기 개구(201) 사이에 상기 제 1 바디(130) 및 상기 제 2 바디(140)가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art of the rear wall 210 may be located behind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That is, between the rear wall 210 and the opening 201, the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may be positioned.

상기 후측벽(210)은 상기 제 1 바디(130) 및 상기 제 2 바디(140)와 이격될 수 있다. The rear wall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

상기 후측벽(210)은 상기 하측벽(230)에 대해서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The rear wall 210 may be vertica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wall 230 .

일례로 도 9에서는 상기 후측벽(210)은 상측으로 갈수록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9 , the rear wall 210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toward the upper side.

즉,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 간의 거리(D1)는,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 간의 거리(D2) 보다 작다. That i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is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dispenser housing 11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openings 201 of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제 2 바디(140)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n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For example,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40 .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제 1 바디(13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제 2 바디(14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는 상기 제 1 바디(130)(또는 제 2 바디(1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30, and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body 140. there is.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body 130 (or the second body 140)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상단부(210b) 보다 하단부(210b)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rear wall 21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lower end 210b than the upper end 210b.

즉,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개구(201)의 높이(또는 상기 후측벽(210)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center of rotation C1 of the rear wall 210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a point at which the height of the opening 201 (or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210) is bisected.

또한,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후측벽(210)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 보다 상기 하단부(210a)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Also, the center of rotation C1 of the rear wall 21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lower end 210a than a point at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210 is bisected.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컵이나 용기로 상기 후측벽(210)의 전면(210c)의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후측벽(210)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 보다 상기 하단부(210a)에 더 가깝게 위치되면, 상기 후측벽(210)의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감지부(52)가 상기 후측벽(210)의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In general, a user may press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210c of the rear wall 210 with a cup or container. When the center of rotation C1 of the rear wall 210 is located closer to the lower end 210a than the point at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210 is halved, the rear wall 210 can be easily rotated. It is possible, and the sensing unit 52 can accurate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rear wall 210 .

상기 회전 중심(C1)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 후 하단부(210a)와 상기 개구(201)와 거리(D3)는,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 전 하단부(210a)와 상기 개구(201)와 거리(D1) 보다 작다. By the arrangement of the rotation center C1, the distance D3 between the lower end 210a after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opening 201 is less than the lower end 210a before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and smaller than the opening 201 and the distance D1.

반면,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 후 상단부(210b)와 상기 개구(201)와 거리(D4)는,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 전 상단부(210b)와 상기 개구(201)와 거리(D2) 보다 크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D4 between the upper end 210b and the opening 201 after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is the distance D4 between the upper end 210b and the opening 201 before manipulation of the rear wall 210 ( D2) is greater than

상기 상측벽(220)의 하면에는 상기 후측벽(210)이 조작되는 과정에서 상단부(210a)의 간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경사면(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24)은 상기 개구(201)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An inclined surface 224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0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s 210a while the rear wall 210 is manipulated. The inclined surface 224 may be inclined downward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201 increases.

상기 상측벽(220)의 단부에는 상기 후측벽(210)이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22)가 구비될 수 있다. A stopper 222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upper wall 220 to limit rotation of the rear wall 210 when the rear wall 2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스토퍼(222)는 일례로 상기 상측벽(22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측벽(210)의 상단부(210b)와 접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opper 222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220 and may contact the upper end 210b of the rear wall 210 .

상기 후측벽(210)의 후면에는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14)는 상기 후측벽(210)에 결합되고,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 회전 중심이 위치될 수 있다. A hinge part 214 for enabling rotation of the rear wall 210 may be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rear wall 210 . The hinge part 214 is coupled to the rear wall 210, a part may protrude rearward, and a rotation center may be located at the protruding part.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힌지부(214)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280)에 상기 힌지부(214)가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후측벽(210)이 상기 회전 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hinge coupling portion 280 to which the hinge portion 214 is coupled. As the hinge part 214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280, the rear wall 21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C1.

상기 후측벽(210)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후측벽(210)이 대기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디스펜서(100)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 중심(C1)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배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rear wall 210 is positioned in a standby state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wall 2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pres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wall 210 forwar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center of rotation C1.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coil spring, a torsion spring, or a plate spring.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 중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disposed to surround the center of rotation.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 중심(C1)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배면을 당길 수 있다. Alterna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pull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wall 21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otation center C1.

상기 감지부(52)는 상기 후측벽(21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감지부(52)는 상기 힌지부(21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2)는 상기 후측벽(210)의 조작 시 온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부(52)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sensing unit 5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wall 210 , and the sensing unit 52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hinge unit 214 . The sensing unit 52 may be a micro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rear wall 210 is manipulated, but in this embodiment, the type of the sensing unit 52 is not limited.

상기 감지부(52)는, 상기 후측벽(210)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후측벽(210)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부(52)는,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 보다 상기 후측벽(210)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후측벽(210)의 전면(210c)의 중앙부를 가압할 때, 상기 감지부(52)가 상기 후측벽(210)의 가압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52 may be located close to a point where the center of rotation C1 of the rear wall 210 bisects the height of the rear wall 210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52 may be located closer to a point at which the height of the rear wall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vided into two halves than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210c of the rear wall 210 is pressed, the sensing unit 52 can accurately detect the pressing of the rear wall 210 .

이러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후측벽(210)이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하므로, 상기 후측벽(210)이 돌출된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면서 조작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미감이 향상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청소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걸레 등으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을 청소할 때 상기 후측벽(210)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ear wall 210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the rear wall 210 does not protrude and serves as a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aesthetics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may be improved, and the cleaning properties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may be improved. That is, when cleaning the dispenser housing 110 with a rag or the like, the rear wall 210 can be easily cleaned.

상기 양측벽(240, 250)은, 제 1 측벽(240)과 제 2 측벽(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240)과 제 2 측벽(250)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ide walls 240 and 250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240 and a second side wall 250 . The first sidewall 240 and the second sidewall 250 may be disposed in an inclined state.

일례로, 상기 제 1 측벽(240)과 제 2 측벽(250)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수평 방향 거리)이 줄어들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idewall 240 and the second sidewall 25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distanc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increases.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후측벽(210)의 좌우 방향 길이(L1)는 상기 제 1 측벽(240) 및 제 2 측벽(250) 각각의 좌우 방향 길이(L2) 보다 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left-right length L1 of the rear side wall 210 may be greater than the left-right length L2 of each of the first side wall 240 and the second side wall 250 .

상기 후측벽(210)의 좌우 방향 길이(L1)는 상기 상기 제 1 측벽(240) 및 제 2 측벽(250) 각각의 좌우 방향 길이(L2)의 합 보다는 작을 수 있다. The left-right direction length L1 of the rear side wall 210 may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left-right direction lengths L2 of each of the first side wall 240 and the second side wall 250 .

상기 후측벽(210)의 좌우 방향 길이(L2)는 상기 후측벽(210)의 하단부(210a)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 간의 거리(D1)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The horizontal length L2 of the rear wall 21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ower end 210a of the rear wall 210 and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또한, 상기 제 1 측벽(240)과 제 2 측벽(250)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개구(201)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sidewall 240 and the second sidewall 250 may be inclined away from the opening 201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한편, 상기 후측벽(210)이 푸시되거나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210)과 상기 각 측벽(240, 250)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은 연장벽(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enser housing 110 has an extension wall ( 27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연장벽(27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1 연장벽(271) 및 제 2 연장벽(27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nsion wall 27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271 and a second extension wall 27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1 연장벽(271) 및 제 2 연장벽(27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벽(210)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2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연장벽(271) 및 제 2 연장벽(27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wall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272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210 is pres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wall 2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wall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272 .

상기 제 1 연장벽(271) 및 제 2 연장벽(272)은 상기 각 측벽(240, 250)과 별도의 벽으로서 상기 각 측벽(240, 250)의 후단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각 측벽(240, 25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측벽(240, 250)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wall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272 are separate walls from the respective side walls 240 and 250 and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respective side walls 240 and 250, or each side wall 240 , 250) and may extend from the respective side walls 240 and 250.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벽(271)은, 상기 제 1 측벽(240)의 후단부에서 상기 개구(201)와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벽(272)은 상기 제 2 측벽(250)의 후단부에서 상기 개구(201)와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wall 271 extends away from the opening 201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wall 240,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272 extends away from the second side wall 250. ) may extend away from the opening 201 at the rear end.

따라서, 상기 감지부(52)는 상기 제 1 연장벽(271) 및 제 2 연장벽(272)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52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wall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272 .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13 is a front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후측벽이 고정벽과 가동벽을 포함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 rear wall includes a fixed wall and a movable wall.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디스펜서(100a)는, 디스펜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0)은 상측벽(220), 하측벽(230), 양측벽(240, 250) 및 후측벽(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dispenser 100a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110 . The dispenser housing 110 includes an upper wall 220 , a lower wall 230 , side walls 240 and 250 , and a rear wall 300 .

상기 후측벽(300)은, 상기 상측벽(220), 하측벽(230), 양측벽(240, 250)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벽(302)과, 상기 고정벽(302)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벽(3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wall 300 moves relative to the fixed wall 302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wall 220, the lower wall 230, and both side walls 240 and 250, and the fixed wall 302. A possible movable wall 310 may be included.

상기 가동벽(310)은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조작부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벽(310)의 조작 전에 상기 가동벽(310)의 전면은 상기 고정벽(302)의 전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ovable wall 310 serves as a control unit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Before the movable wall 310 is manipulated,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wall 310 may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wall 302 .

상기 고정벽(302)은 상기 가동벽(31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xed wall 302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ovable wall 310 .

상기 가동벽(310)의 전면 면적은 상기 고정벽(302)의 전면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A front area of the movable wall 310 may be larger than a front area of the fixed wall 302 .

상기 고정벽(302)의 좌우 방향 길이(L3)는 상기 가동벽(310)의 좌우 방향 길이 (L4) 보다 길다. 상기 가동벽(310)의 좌우 방향 길이(L4)에 대한 상기 고정벽(302)의 좌우 방향 길이(D3)의 비율은 0.8 이상일 수 있다. The horizontal length L3 of the fixed wall 302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L4 of the movable wall 310 . A ratio of the length D3 of the fixed wall 302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 the length L4 of the movable wall 3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0.8 or more.

상기 고정벽(302)의 높이(H1)는 상기 가동벽(310)의 높이(H2) 보다 크다. 상기 가동벽(310)의 높이(H2)에 대한 상기 고정벽(302)의 높이(H1)의 비율은 0.8 이상일 수 있다. The height H1 of the fixed wall 302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movable wall 310 . A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fixed wall 302 to the height H2 of the movable wall 310 may be 0.8 or more.

따라서, 상기 가동벽(310)이 상기 후측벽(300)의 대부분의 외관을 형성한다. Thus, the movable wall 310 forms most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rear wall 300 .

상기 가동벽(310)의 좌우 방향 길이(L4)는 상기 각 측벽(240, 250)의 수평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A horizontal length L4 of the movable wall 310 may be longer than a horizontal length of each of the side walls 240 and 250 .

상기 가동벽(310)의 일부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 1 바디(130)와 제 2 바디(140)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가동벽(31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바디(130)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movable wall 310 is located behind the first body 130 and the second body 140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 upper end of the movable wall 31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30 .

1: 냉장고 10: 캐비닛
20: 냉장고 도어 52: 감지부
100: 디스펜서 110: 디스펜서 하우징
200: 공간 201: 개구
210: 후측벽 220: 상측벽
230: 하측벽 240: 제 1 측벽
250: 제 2 측벽 270: 연장벽
1: refrigerator 10: cabinet
20: refrigerator door 52: detection unit
100: dispenser 110: dispenser housing
200: space 201: opening
210: rear wall 220: upper wall
230: lower side wall 240: first side wall
250: second side wall 270: extension wall

Claims (15)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 중 하나 이상의 취출이 가능하기 위하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측벽과, 하측벽과,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을 연결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는 후측벽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후측벽이 가압되어 이동될 때 상기 후측벽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It is provided on the door and includes a dispenser for dispensing at least one of water or ice,
The dispenser,
A dispenser housing including an upper wall, a lower wall, first sidewalls and second sidewall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rear wall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of the rear wall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and mo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상측벽에서 연장되며 물 또는 얼음의 통로가 내부에 위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enser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wall and having a passage for water or ice located therein;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is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와의 수평 거리는 상기 후측벽의 하단부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와의 수평 거리 보다 큰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of claim 1, wherei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and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is greater tha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and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부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배출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is located behind the discharge part,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is disposed to overlap the discharge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 간의 거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에서 멀어질수록 줄어들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측벽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 각각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긴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is arranged to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increases,
The left-right length of the rear wall is longer than the left-right length of each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벽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과, 상기 제 2 측벽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벽 및 상기 제 2 연장벽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후측벽이 가압되면, 상기 후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연장벽과 제 2 연장벽 사이에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enser housing includes a first extension wall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wall and a second extension wall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wall,
The first extension wall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wall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wall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이 가압되면 상기 후측벽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후측벽의 회전 중심은 상기 후측벽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the rear wall rotates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r wall is located closer to the lower end than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의 회전 중심은, 상기 후측벽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 보다 상기 하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7,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wall is located closer to the lower end than a point at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is bisec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측벽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7,
The detector is located behind the rear wall and is located higher than the center of rot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측벽의 하단부 보다 상기 후측벽의 수직 방향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9,
The detector is located closer to a point at which a vertical height of the rear wall is bisected than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벽은, 상기 후측벽이 가압될 때 상기 후측벽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7,
The upper wall includes a stopper that limits movement of the rear wall when the rear wall is pressed.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 중 하나 이상의 취출이 가능하기 위하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측벽과, 하측벽과,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을 연결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후측벽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후측벽은,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연결되는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가동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벽의 후방에는 상기 가동벽이 가압되어 이동될 때 상기 가동벽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벽의 전면 면적은 상기 고정벽의 전면 면적 보다 큰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It is provided on the door and includes a dispenser for dispensing at least one of water or ice,
The dispenser,
A dispenser housing including an upper wall, a lower wall, first sidewalls and second sidewall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rear wall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The rear side wall includes a fixed wall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 movable wall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wall,
A sensor is included at the rear of the movable wall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wall when the movable wall is pressed and moved,
A front area of the movable wall is larger than a front area of the fixed wal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고정벽의 좌우 방향 길이의 비율은 0.8 이상이고,
상기 가동벽의 높이에 대한 상기 고정벽의 높이의 비율은 0.8 이상인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ratio of the left-right length of the fixed wall to the left-right length of the movable wall is 0.8 or more,
The refrig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fixed wall to the height of the movable wall is 0.8 or mor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상측벽에서 연장되며 물 또는 얼음의 통로가 내부에 위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벽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dispenser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wall and having a passage for water or ice located therein;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wall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ischarge pa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긴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left-right length of the movable wall is longer than the left-right lengths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KR1020210077108A 2021-06-15 2021-06-15 Refrigerator KR2022016786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108A KR20220167867A (en) 2021-06-15 2021-06-15 Refrigerator
PCT/KR2022/007555 WO2022265255A1 (en) 2021-06-15 2022-05-2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108A KR20220167867A (en) 2021-06-15 2021-06-15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867A true KR20220167867A (en) 2022-12-22

Family

ID=8452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108A KR20220167867A (en) 2021-06-15 2021-06-1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7867A (en)
WO (1) WO2022265255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63B1 (en) * 2006-01-25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operational lever in refrigerator
KR20090036721A (en) * 2007-10-10 2009-04-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ispenser structure for refrigerator
DE102007062001A1 (en) * 2007-12-21 2009-06-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Output unit of a refrigeration device, refrig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 output unit
US8881951B2 (en) * 2010-05-06 2014-11-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488406B2 (en) * 2015-01-16 2016-11-0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dispenser and method of illuminating th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255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993B1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U2010230080B2 (en) Refrigerator
US8769981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KR102218018B1 (en) Refrigerator
US20120168458A1 (en) Sensor system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US20160137480A1 (en) Select fill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dispensers
US7677053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dispenser
KR20050007194A (en) Refrigerator and automated liquid dispenser therefor
KR20150113574A (en) Refrigerator and col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U2019291593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ice dispenser defining a liquid outlet
KR20110088937A (en) Refrigerator
KR20220167867A (en) Refrigerator
US20100044391A1 (en) Ice dispenser having a safety apparatus
US9739518B2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enser assembly
KR20010074381A (en) Automatic door openn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or
EP4276393A1 (en) Refrigerator
US11725871B2 (en) Appliance with presence detection system
KR102560062B1 (en) dispenser device
KR101671479B1 (en) Dispenser structure for refriger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dispenser
KR102573583B1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