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716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716A
KR20220167716A KR1020210077049A KR20210077049A KR20220167716A KR 20220167716 A KR20220167716 A KR 20220167716A KR 1020210077049 A KR1020210077049 A KR 1020210077049A KR 20210077049 A KR20210077049 A KR 20210077049A KR 20220167716 A KR20220167716 A KR 2022016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dule
lens unit
light
light source
distribu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민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716A/en
Publication of KR2022016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7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which comprises: a first lamp module including a first lens unit which forms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a first light source unit; a second lamp module including a second lens unit which forms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a third lamp module including a third lens unit which forms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a third light source unit.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have the same horizontal focus and vertical focus, and the third lens unit has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focuses. In addition, an area of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ly, optical efficiency can be optimized and competitiveness can be secured through design differentiation.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Vehicle lamp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 효율이 향상되고 디자인 차별화가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with improved optical efficiency and design differentiation.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된다.In general, vehicl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헤드라이트 또는 전조등) 및 포그 램프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headlamps (headlights or headlights) and fog lamps mainly for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brake lamps, side markers, etc. for signal functions are provided, And, these vehicle lamps are regulated by law for their installation standards and standard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fully exercised.

차량용 램프 중에서,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헤드램프의 디자인의 차별화도 중요시되고 있다.Among vehicle lamps, headlamps that form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to ensure a driver's forward vision during night driving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Recently, the differentiation of the design of headlamps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그러나, 기존에는 단초점을 갖는 비구면 렌즈를 적용하여 배광패턴을 형성하므로, 헤드램프 및 배광패턴의 배열과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에 의해 헤드램프의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past, since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formed by applying an aspheric lens having a single vis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arrangements and sizes of the headlamp and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reby limiting the design of the headlamp.

또한 비구면 렌즈로 적용 시에 사이즈를 축소하는 경우 특정 높이 이하에서는 낮은 광학 효율로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디자인을 차별화하면서 동시에 광학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헤드램프의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when the size is reduced when applied as an aspheric le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erformance is limited due to low optical efficiency below a specific heigh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headlamp technology capable of optimizing optical efficiency while differentiating the desig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배광 패턴에 따라 단위 램프모듈로 분리하고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의 크기와 개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광학 효율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디자인 차별화로 인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eparates the unit lamp modules according to each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varies the size and number of each unit lamp module, thereby optimizing the optical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iating the desig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secures competitiveness due to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의 사이즈를 최소하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함과 동시에, 수평방향 초점과 수직방향 초점이 상이한 제3 렌즈부를 구비함으로써 광각을 형성하면서 공차를 확보하여 램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various designs by minimizing the size of each unit lamp modul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third lens unit having different focal point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cal point in a vertical direction to secure tolerance while forming a wide angle to ensure lamp performa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improves the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배광 패턴 간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키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minimizes a sense of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patter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1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1 램프모듈과,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2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2 램프모듈과, 제3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3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3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3 램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렌즈부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3 배광패턴의 면적은 상기 제2 배광패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배광패턴의 면적은 상기 제1 배광패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module including a first lens unit for form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irradiated from a first light source unit, and light irradia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unit. A second lamp module having a second lens unit forming two light distribution patterns and a third lamp module having a third lens unit forming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wherein the first The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have the same horizontal focal point and vertical focal point, and the third lens unit has a horizontal focal point and a vertical focal point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area of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상기 제1 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초점과 상기 제1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1 초점거리라 하고, 상기 제2 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초점과 상기 제2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2 초점거리라 할 때, 상기 제1 초점거리는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 distance between a first focal point formed by the first lens unit and the first lens unit is referred to as a first focal length, and a distance between a second focal point formed by the second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When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focal length, the first focal length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상기 제3 렌즈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수평 초점과 상기 제3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3 수평 초점거리라 하고, 상기 제3 렌즈부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수직 초점과 상기 제3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3 수직 초점거리라 할 때, 상기 제2 렌즈부와 상기 제3 렌즈부는, 상기 제3 수평 초점거리가 상기 제2 초점거리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a third horizontal focal point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hird lens unit and the third lens unit is referred to as a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and a third vertical focal poin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third lens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lens unit and the third lens unit is referred to as a third vertical focal length, the second lens unit and the third lens unit have a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equal to the second focal length or the second focal length. It may be provided to be formed shorter than the distance.

상기 제1 광원부는 제1 기판에 배치되는 제1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제2 기판에 배치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광원부는 제3 기판에 배치되는 제3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는, 상기 제1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 및 상기 제2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on a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third light source disposed on a third substrate. Including,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third light sourc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source.

상기 제2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는, 상기 제1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 size of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larger than a size of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source.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1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1 초점에 집광시키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2 초점에 집광시키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상기 제3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3 수평 초점과 상기 제3 수직 초점에 집광시키는 제3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 및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reflector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to the first focal point, and the second lamp module condens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o the second focal point. And a second reflector for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to the third horizontal focus and the third vertical focus, wherein the third lamp module includes a third reflector, The size of the slope may be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 size of a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may be larger than a size of a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의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a curva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urvature in a vertical direction of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are the same.

상기 제3 렌즈부는 상기 제3 수평 초점거리가 상기 제3 수직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lens unit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is shorter than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상기 제3 수평 초점거리가 상기 제3 수직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3 렌즈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의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lens unit may have a horizontal curvature and a vertical curvatu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is shorter than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1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2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상기 제3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3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쉴드부는 상기 제3 수직 초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shield portion provid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lamp module is provid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The third lamp module includes a third shield portion provid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third reflector, and the third shield portion corresponds to the third vertical focus. position can be placed.

상기 제1 쉴드부와, 상기 제2 쉴드부 및 상기 제3 쉴드부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ield unit, the second shield unit, and the third shield unit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 각각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lamp modules. It can be.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의 위치는,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위치 및 상기 제2 램프모듈의 위치보다 상기 차량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third lamp module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lamp modul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lamp module. It may be provided closer to the edge of the vehicle than the location.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의 높이는, 상기 제1 램프모듈의 높이 및 상기 제2 램프모듈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height of the third lamp module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lamp module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lamp module. It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a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각각의 배광 패턴에 따라 단위 램프모듈로 분리하고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의 크기와 개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광학 효율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디자인 차별화로 인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into unit lamp modules according to each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varying the size and number of each unit lamp module, optical efficiency is optimized and competitiveness due to design differentiation is achieved.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작은 정육면체(small cube) 형상의 복수의 단위 램프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동시에 수평방향 초점과 수직방향 초점이 상이한 제3 렌즈부를 구비함으로써 광각을 형성하고 공차를 확보함으로써 램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various designs by having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in the shape of a small cube, and at the same time, by including a third lens unit having different focal point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cal point in a vertical direction, a wide-angle lens un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amp by forming and securing a toler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에 구비된 구성요소의 크기와 형상 등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서로 다른 배광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배광 패턴 간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patterns by designing the size and shape of components included in each unit lamp module in various ways, and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sense of difference between light distribution patter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제1 램프모듈과 제2 램프모듈 및 제3 램프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와 이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된 제1 렌즈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제1 렌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렌즈부와 이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제3 렌즈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3 렌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차량에 설치한 일 례로서, 제1 램프모듈과 제2 램프모듈 및 제3 램프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차량에 설치한 다른 례로서, 제1 램프모듈과 제2 램프모듈 및 제3 램프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에 의한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의 (a)와 도 9의 (b) 및 도 9의 (c)가 통합된 배광패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light paths formed by a first lamp module, a second lamp module, and a third lamp modul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lens unit and a light path formed by the first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lens unit shown in FIG. 3 viewed from the top, and FIG. 4(b) is a side view of the first lens unit viewed from the sid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d lens unit and a light path formed by the third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plan view of the third lens unit shown in FIG. 5 viewed from the top, and FIG. 6(b) is a side view of the third lens unit viewed from the side.
FIG. 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first lamp module, a second lamp module, and a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as an example of install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8 is another example of install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and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first lamp module, a second lamp module, and a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9(a) is a view show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view show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which FIGS. 9(a), 9(b), and 9(c) are integ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제1 램프모듈과 제2 램프모듈 및 제3 램프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와 이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된 제1 렌즈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제1 렌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렌즈부와 이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제3 렌즈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3 렌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amp module and a second lamp A view showing a light path formed by a module and a third lamp module,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lens unit and a light path formed there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 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lens unit shown in FIG. 3 viewed from the top, FIG. 4(b) is a side view of the first lens unit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5 is a third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path formed by this, FIG. 6(a) is a plan view of the third lens unit shown in FIG. 5 as viewed from the top, and FIG. 6(b) is a side view of the third lens unit viewed from the side. to b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차량에 설치한 일 례로서, 제1 램프모듈과 제2 램프모듈 및 제3 램프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차량에 설치한 다른 례로서, 제1 램프모듈과 제2 램프모듈 및 제3 램프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에 의한 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의 (a)와 도 9의 (b) 및 도 9의 (c)가 통합된 배광패턴이다. 7 is an example of install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and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first lamp module, a second lamp module, and a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FIG. is another example of install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and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FIG. 9 ( 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c)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and FIG. 9 (b) and (c) of FIG. 9 are integrated light distribution patterns.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10)는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조명 기능(예를 들어, 헤드 램프, 포그 램프)을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신호 기능(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0)의 용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의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에 장착되는 차량의 헤드 램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헤드 램프 중 로우빔용 헤드 램프에 사용될 수 있다.1 to 10, a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module 100, a second lamp module 200, and a third lamp module 100. A lamp module 300 is included.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lighting functions (eg, head lamps, fog lamps) or signal functions (eg,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brake lamps, side markers). ) Can be used for the purpos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use of the vehicle lamp 10. For example,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headlamp of a vehicle mount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may be used as a low beam headlamp among headlamps.

제1 램프모듈(100)은 제1 광원부(110) 및 제1 광원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1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 렌즈부(140)를 구비하고, 제2 램프모듈(200)은 제2 광원부(210) 및 제2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2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부(2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3 램프모듈(300)은 제3 광원부(310) 및 제3 광원부(310)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3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3 렌즈부(340)를 구비한다. The first lamp module 10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110 and a first lens unit 140 that forms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second lamp module 200 )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and a second lens unit 240 that forms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 The third lamp module 300 includes a third light source unit 310 and a third lens unit 340 that forms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

또한 제1 렌즈부(140) 및 제2 렌즈부(240)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3 렌즈부(340)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unit 240 have the same horizontal focal point and vertical focal point, and the third lens unit 340 has a horizontal focal point and a vertical focal point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구체적으로 제1 램프모듈(100)은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램프모듈(100)은 제1 광원부(110)와 제1 반사부(120)와 제1 쉴드부(130) 및 제1 렌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lamp module 10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or more, and each first lamp module 10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110, a first reflection unit 120, and a first shield unit ( 130) and the first lens unit 140.

제1 광원부(110)는 발광 가능한 다양한 소자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0)는 제1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라 함)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may use various light-emitting elements or devices. 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and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제1 광원부(110)는 제1 광원이 장착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은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이 제1 렌즈부(140)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제1 광원으로서 LED는 PCB 상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Also,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light source is mounted. The first substrat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vided with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lens unit 140 . Here, the first substrate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s the first light source, one or a plurality of LEDs may be provided on the PCB and generate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can

제1 반사부(120)는 제1 광원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켜서 제1 렌즈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초점(F1)에 집광시킬 수 있다. 제1 쉴드부(130)는 제1 광원부(110)와 제1 렌즈부(14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반사부(120)에서 반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쉴드부(130)의 단부는 제1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한하여 배광패턴에 컷오프라인(cut-off line)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reflector 120 may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and focus the light to the first focus point F1 formed by the first lens unit 140 . The first shield unit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first lens unit 140 and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120 . An end of the first shield unit 130 may be provided to limi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so as to form a cut-off line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제1 렌즈부(140)는 제1 광원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1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부(140)는 제1 쉴드부(130)의 출사측에 배치되어 제1 쉴드부(130)를 거친 광을 투사시켜서 제1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AX1은 제1 렌즈부(140)에 의한 광축이다.The first lens unit 140 may form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 Specifically, the first lens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emitting side of the first shield unit 130 and project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hield unit 130 to form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1 and 2 , AX1 is an optical axis by the first lens unit 140 .

여기서 제1 렌즈부(140)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단일 초점을 형성한다(도 2 및 도 3 참조). Here, the first lens unit 140 forms a single focal point by having the same horizontal focal point and vertical focal point (see FIGS. 2 and 3 ).

구체적으로 제1 렌즈부(140)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40a) 즉 제1 광원부(110)를 향하는 방향의 면의 수평 방향의 곡률(도 4의 (a) 참조)과 수직 방향의 곡률(도 4의 (b) 참조)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렌즈부(140)는 비구면(Aspherical Surface)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렌즈부(140)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수평 방향 초점의 위치와 수직 방향의 초점의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lens unit 140 has a horizontal curvature (refer to FIG. 4(a) ) and a vertical curvature of an incident surface 140a on which light is incident, that is, a surface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 (See FIG. 4(b)) may be formed in the same way. For example, the first lens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n aspherical surface lens. As such, the first lens unit 140 is design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the focal p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ocal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the same.

한편 제2 램프모듈(200)은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광원부(210)와 제2 반사부(220)와 제2 쉴드부(230) 및 제2 렌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lamp module 200 may be provided in one or two or mor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the second reflector 220, the second shield unit 230, and the second lens unit 240 are provided. can include

제2 광원부(210)는 발광 가능한 다양한 소자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원부(210)는 제2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라 함)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may use various light-emitting elements or devices.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may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제2 광원부(210)는 제2 광원이 장착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은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이 제2 렌즈부(240)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제2 광원으로 LED는 PCB 상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Also,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on which the second light source is mounted. The second substrat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provided with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lens unit 240 . Here, the second substrate may b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as the second light source, one or a plurality of LEDs may be provided on the PCB and generate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can

제2 반사부(220)는 제2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켜서 제2 렌즈부(24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초점(F2)에 집광시킬 수 있다. 제2 쉴드부(230)는 제2 광원부(210)와 제2 렌즈부(24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반사부(220)에서 반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쉴드부(230)의 단부는 제2 광원부(2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한하여 배광패턴에 컷오프라인(cut-off line)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reflector 220 may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and focus the light to the second focal point F2 formed by the second lens unit 240 . The second shield uni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ens unit 240 and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or 220 . An end of the second shield unit 230 may be provided to limit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so as to form a cut-off line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제2 렌즈부(240)는 제2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2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AX2는 제2 렌즈부(240)에 의한 광축이다.The second lens unit 240 may form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 1 and 2, AX2 is an optical axis by the second lens unit 240.

구체적으로 제2 렌즈부(240)는 제2 쉴드부(230)의 출사측에 배치되어 제2 쉴드부(230)를 거친 광을 투사시켜서 제2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광패턴의 형상은 제1 배광패턴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lens unit 240 may be disposed on the emitting side of the second shield unit 230 and project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shield unit 230 to form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Here, the shape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여기서 제2 렌즈부(240)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단일 초점을 형성한다. Here, the second lens unit 240 forms a single focal point by having the same focal p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ocal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2 렌즈부(240)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즉 제2 광원부(210)를 향하는 방향의 면의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렌즈부(240)는 비구면(Aspherical Surface)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렌즈부(240)는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동일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수평 방향 초점의 위치와 수직 방향의 초점의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lens unit 240 may have the same curva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urvature in a vertical direction of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that is, a surface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 For example, the second lens unit 240 may be provided with an aspherical surface lens. As such, the second lens unit 240 is designed such that the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urva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the sam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the same.

제3 램프모듈(300)은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3 광원부(310)와 제3 반사부(320)와 제3 쉴드부(330) 및 제3 렌즈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and include a third light source unit 310, a third reflector 320, a third shield unit 330, and a third lens unit 340. can do.

제3 광원부(310)는 발광 가능한 다양한 소자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광원부(310)는 제3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라 함)로 제공될 수 있다.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may use various light-emitting elements or devices. For example,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may include a third light source, and the third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제3 광원부(310)는 제3 광원이 장착되는 제3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은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이 제3 렌즈부(340)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제3 광원으로 LED는 PCB 상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Also,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may include a third substrate on which the third light source is mounted. The third substrat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vided with one surface facing the third lens unit 340 . Here, the third substrate may b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as the third light source, one or a plurality of LEDs may be provided on the PCB and generate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can

예를 들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제3 기판은 동일한 가상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제1 기판을 연장한 가상의 평면 상에 제2 기판과 제3 기판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제3 기판은 모두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을 배열하기 위해 소요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substrat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irtual plane (see FIG. 2). Specifically,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substrate may all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by disposing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substrate on an imaginary plane extending the first substrate. Accordingly, the volume required to arrange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can be minimized.

다만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제3 기판의 배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용되는 차량의 구조에 따라 기판과 광원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substrat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arrangement of the substrate and the light sour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o be applied (see FIGS. 7 and 8 ).

또한, 제1 광원과 제2 광원 및 제3 광원의 종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례로 레이저 다이오드, 벌브, 할로겐, 제논(HID) 등 다양한 광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s of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third light sourc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various types of light such as laser diode, bulb, halogen, and xenon (HID) may be used as an example.

제3 반사부(320)는 제3 광원부(31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켜서 제3 렌즈부(340)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초점(F3)에 집광시킬 수 있다. 제3 쉴드부(330)는 제3 광원부(310)와 제3 렌즈부(340) 사이에 배치되고 제3 반사부(320)에서 반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쉴드부(330)의 단부는 제3 광원부(3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한하여 배광패턴에 컷오프라인(cut-off line)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third reflector 320 may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and focus the light to a third focal point F3 formed by the third lens unit 340 . The third shield unit 3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and the third lens unit 340 and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third reflector 320 . An end of the third shield unit 330 may be provided to limit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so as to form a cut-off line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제3 렌즈부(340)는 제3 광원부(310)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3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AX3은 제3 렌즈부(340)에 의한 광축이다. The third lens unit 340 may form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 In FIGS. 1 and 2 , AX3 is an optical axis by the third lens unit 340 .

구체적으로 제3 렌즈부(340)는 제3 쉴드부(330)의 출사측에 배치되어 제3 쉴드부(330)를 거친 광을 투사시켜서 제3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ird lens unit 340 may be disposed on the emitting side of the third shield unit 330 and project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shield unit 330 to form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쉴드부(130)의 출사측 둘레는 제1 초점(F1)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쉴드부(230)의 출사측 둘레는 제2 초점(F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쉴드부(330)의 출사측 둘레는 제3 수직 초점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지 제3 광원부(110, 210, 3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수직 방향으로의 진행을 일부 제한하여 제1 내지 제3 배광패턴에 각각 컷오프라인(cut-off line)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3 수평 초점(F31)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위한 초점이므로, 제3 쉴드부(330)는 제3 수직 초점(F32)에 배치됨으로써 컷오프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emission side of the first shield unit 13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ocal point F1,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emission side of the second shield unit 23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focal point F1. It can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F2). In addition, the circumference of the emission side of the third shield unit 33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vertical focal point. As a result, the vertical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units 110, 210, and 310 is partially restricted so that cut-off lines ar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s, respectively. there is. In particular, since the third horizontal focal point F31 is a focal point for a patter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hird shield unit 330 is disposed at the third vertical focal point F32 so that a cut-off line can be formed.

제3 배광패턴은 상기한 제1 배광패턴 및 제2 배광패턴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배광패턴일 수 있다.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광패턴의 특성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제1 배광패턴과 제2 배광패턴 및 제3 배광패턴의 배광 특성 및 투사된 패턴이미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각각의 램프모듈에 구비된 렌즈부와 반사부 및 쉴드부의 특성 및 형상의 차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s means that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projected pattern images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may be implemented by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shapes of the lens unit, the reflection unit, and the shield unit provided in each lamp module.

예를 들어 제1 배광패턴은 전방의 중앙 영역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원거리 배광패턴(Hot Zone Spot)일 수 있다. 또한 제3 배광패턴은 전방의 주변 영역의 시야 확보 및 선회시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배광패턴(Wide Zone)일 수 있다. 제2 배광패턴은 제1 배광패턴(Hot Zone Spot)과 제3 배광패턴(Wide Zone) 사이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광패턴(Hot Zone Spread)으로서, 제1 배광패턴보다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확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long-distance light distribution pattern (Hot Zone Spot) for securing a field of view in the center area of the front. In addition,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de Zone) for securing a field of view of the front peripheral area and securing visibility when turning.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a hot zone spread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ot Zone Spot) and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de Zone), and secure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can be designed to

여기서 제3 렌즈부(340)는 제3 수평 초점(F31)과 제3 수직 초점(F3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2 및 도 5 참조).Here, the third lens unit 3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point F31 and the third vertical focal point F32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ee FIGS. 2 and 5 ).

예를 들어 제3 렌즈부(340)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340a)의 수평 방향의 곡률(도 6의 (a) 참조)과 수직 방향의 곡률(도 6의 (b) 참조)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렌즈부(340)는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초점의 위치와 수직 방향의 초점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렌즈부(340)는 애너모픽 렌즈(Anamorphic Lens)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lens unit 340 has a horizontal curvature (see FIG. 6(a)) and a vertical curvature (see FIG. 6(b)) of the incident surface 340a on which light is incident. may be formed differently. In this way, the third lens unit 340 is designed so that the curva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urva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third lens unit 340 may be provided as an anamorphic len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배광 특성 및 이미지에 따라 분리되어 설계된 복수의 단위 램프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용 램프(10)의 광학 효율이 최적화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As such,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separately designed according to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mages, so that the optical efficiency of the vehicle lamp 10 can be opt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 각각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provided in one or a plurality.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램프모듈(100)은 2개, 제2 램프모듈(200)은 1개, 제3 램프모듈(300)은 3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의 배열과 개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10)는 일 방향을 따라 제1 램프모듈(100),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의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first lamp modules 100, on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ree third lamp modules 300 may be provided.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arranged in a line. However,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and numb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in the vehicle lamp 10, a first lamp module 100, a second lamp module 200, and a third lamp module 300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one direction. It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은 요구되는 조건과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배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 램프모듈의 다양한 배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별화된 디자인의 로우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unit lamp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and arrangement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low beam structure with a differentiated design by enabling various arrangements of unit lamp modules.

또한 예를 들어 단위 램프모듈인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 각각은, 작은 가상의 정육면체(small cube) 형상 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한 다양한 배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배광 패턴에 따라 단위 램프모듈로 분리하여 설계함으로써 가능한 설계사양이다. In addition,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which are unit lamp modules, are provided in a small virtual cube shape, Arrays can be made possible. This is a design specification that can be designed by separating and designing unit lamp modules according to each light distribution pattern.

예를 들어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본 높이와 폭이 10mm 내지 20mm인 가상의 정육면체 내에 구비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높이와 폭이 약 15mm 인 가상의 정육면체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 각각의 크기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provided in a virtual cube having a height and a width of 10 mm to 20 mm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provided in an imaginary cube having a height and a width of about 15 mm. However,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modified to various size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이와 같이 각각의 배광 패턴에 따라 단위 램프모듈로 분리하고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의 크기와 개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광학 효율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디자인 차별화로 인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dividing into unit lamp modules according to each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varying the size and number of each unit lamp module, optical efficiency can be optimized and competitiveness due to design differentiation can be secured.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렌즈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초점(F1)과 제1 렌즈부(140) 사이의 거리를 제1 초점거리라 하고, 제2 렌즈부(24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초점(F2)과 제2 렌즈부(240) 사이의 거리를 제2 초점거리라 할 때, 제1 초점거리는 제2 초점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ocal point F1 formed by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first lens unit 140 is referred to as a first focal length, and the second len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ocal length F2 formed by the unit 240 and the second lens unit 240 is referred to as a second focal length, the first focal length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예를 들어 제1 초점거리는 약 35mm 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제2 초점거리는 15mm 이상 35mm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초점거리와 제2 초점거리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ocal length may be designed to be about 35 mm or more, and the second focal length may be formed in a range of 15 mm or more to 35 mm or less. However, the first focal length and the second focal length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이에 의해 제1 렌즈부(140)는 좌우 방향의 폭은 상대적으로 좁지만 높은 광도를 갖는 제1 배광패턴(Hot Zone Spot)을 구현할 수 있고(도 9의 (a) 참조), 제2 렌즈부(240)는 제1 배광패턴과 제3 배광패턴 사이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키도록 제1 배광패턴보다 넓은 범위의 배광패턴인 제2 배광패턴(Hot Zone Spread)을 형성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다만 제1 초점거리와 제2 초점거리의 관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초점거리와 제2 초점거리는 동일하게 하고,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220)와,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조절하여 제1 배광패턴과 제2 배광패턴의 광도와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first lens unit 140 can realize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ot Zone Spot)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but high luminous intensity (see FIG. 9 (a)), and the second lens unit 240 may form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Hot Zone Spread), which i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a wider range tha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to minimize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FIG. 9). see b)).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ocal length and the second focal length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first focal length and the second focal length are the same, and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In addition, the luminous intensity and range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

한편 제3 렌즈부(34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수평 초점(F31)과 제3 렌즈부(340) 사이의 거리를 제3 수평 초점거리(fh)라 하고, 제3 렌즈부(34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수직 초점(F32)과 제3 렌즈부(340) 사이의 거리를 제3 수직 초점거리(fv)라 할 때, 제2 렌즈부(240)와 제3 렌즈부(340)는, 제3 수평 초점거리(fh)가 제2 초점거리와 동일하거나 제2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focal point F31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hird lens unit 340 and the third lens unit 340 is referred to as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and the third lens unit ( 34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vertical focal point F3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rd lens unit 340 is referred to as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fv, the second lens unit 240 and the third The lens unit 340 may have a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이에 의해 제3 렌즈부(340)에 의한 제3 배광패턴은 제2 렌즈부(240)에 의한 제2 배광패턴보다 수평 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제3 배광패턴(Wide Zone)에 의해 전방의 주변 영역에 대한 시인성 및 선회시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third lens unit 340 can form a light pattern that spreads wid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second lens unit 240 . Accordingly, the driver can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surrounding area in front and the visibility during turning by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de Zone).

구체적으로 제3 렌즈부(340)는 제3 수평 초점거리(fh)를 제2 초점거리와 동일하거나 짧게 설계하여 이미지 배율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작은 사이즈의 렌즈를 사용하면서도 광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배광패턴은 수평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패턴이 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ird lens unit 340 is designed to have a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to increase image magnification, thereby forming a wide angle while using a small-sized lens. Accordingly,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pattern that spreads wid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제1 렌즈부(140)와 제2 렌즈부(240)와 제3 렌즈부(340)의 초점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각 렌즈부에 의한 배광패턴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3 배광패턴의 면적은 제2 배광패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배광패턴의 면적은 제1 배광패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focal lengths of the first lens unit 140, the second lens unit 240, and the third lens unit 340, the area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each lens unit can be adjusted. That is, the area of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제1 배광패턴과 제2 배광패턴 및 제3 배광패턴의 면적을 포함한 배광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하는 요소에는, 상기한 초점거리 이외에도 각각의 램프모듈의 반사부와 광원부 및 쉴드부의 특성 및 형상의 차이에 의해서도 구현할 수 있다. Factors that make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cluding the areas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clud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and shapes of the reflector, light source, and shield of each lamp module in addition to the focal length described above.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예를 들어 제1 반사부(120)와, 제2 반사부(220) 및 제3 반사부(320)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10)와 제2 광원부(210) 및 제3 광원부(310)에 구비된 각 광원의 발광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쉴드부(130)와, 제2 쉴드부(230) 및 제3 쉴드부(330)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배광패턴과 제2 배광패턴 및 제3 배광패턴의 배광 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reflector 120, the second reflector 220, and the third reflector 320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Also, light emitting surfaces of respective light sources provided i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10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lso, the first shield unit 130, the second shield unit 230, and the third shield unit 330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Accordingly,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have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는 제1 기판에 배치되는 제1 광원을 포함하고, 제2 광원부(210)는 제2 기판에 배치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제3 광원부는 제3 기판에 배치되는 제3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는, 제1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 및 제2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on a second substrate, and a third light source unit A third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third substrate may be included. Here,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third light source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source.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가 클수록 배광패턴은 넓은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제3 램프모듈(300)에 의한 제3 배광패턴은 제1 램프모듈(100)에 의한 제1 배광패턴 및 제2 램프모듈(200())에 의한 제2 배광패턴에 비해 넓게 퍼지는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As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source increases,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can form a wider area. Therefore, when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third lamp module 300 is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first lamp module 100. A light pattern that spreads wider tha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econd lamp module 200( ) can be formed.

또한 제2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는, 제1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램프모듈(200)에 의한 제2 배광패턴은 제1 램프모듈(100)에 의한 제1 배광패턴에 비해 넓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source. Accordingly,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second lamp module 200 can form a wider area tha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first lamp module 100 .

한편 제1 반사부(120)와 제2 반사부(220) 및 제3 반사부(320)는 각각의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면인 반사면을 포함하고, 제3 반사부(320)의 반사면의 크기는ㄴ 제1 반사부(120)의 반사면의 크기 및 제2 반사부(22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reflector 120, the second reflector 220, and the third reflector 320 each include a reflective surface that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third reflector 320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may be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unit 120 and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unit 220 .

예를 들어 제3 반사부(320)의 반사면의 너비(폭, w3)와 높이(h3)는, 제1 반사부(120)의 반사면의 너비(폭, w1)와 높이(h1) 및 제2 반사부(220)의 반사면의 너비(폭, w2)와 높이(h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For example, the width (width, w3) and height (h3)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third reflector 320 are the width (width, w1) and height (h1) and height (h1)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120. It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idth, w2) and height (h2)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220 (see FIGS. 7 and 8).

이 경우 제3 반사부(320)에 의한 제3 배광패턴은 제1 반사부(120)에 의한 제1 배광패턴 및 제2 반사부(220)에 의한 제2 배광패턴보다 넓게 퍼지는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제3 배광패턴(Wide Zone)에 의해 전방의 주변 영역에 대한 시인성 및 선회시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third reflector 320 forms a light pattern that spreads wider tha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second reflector 220. can do. Accordingly, the driver can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surrounding area in front and the visibility during turning by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de Zone).

또한 제2 반사부(220)의 반사면의 크기는 제1 반사부(12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부(220)의 반사면의 너비(폭, w2)와 높이(h2)는, 제1 반사부(120)의 반사면의 너비(폭, w1)와 높이(h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22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eflector 120 . Specifically, the width (width, w2) and height (h2)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220 are larger than the width (width, w1) and height (h1)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120. can be formed

이에 의해 제2 반사부(220)에 의한 제2 배광패턴은 제1 반사부(120)에 의한 제1 배광패턴보다 넓게 퍼지는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second reflector 220 can form a light pattern that spreads wider tha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first reflector 120 .

또한 제1 쉴드부(130)와, 제2 쉴드부(230) 및 제3 쉴드부(330)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배광패턴과, 제2 배광패턴 및 제3 배광패턴의 면적과 광도 등을 보다 세밀하게 설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hield unit 130, the second shield unit 230, and the third shield unit 330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Accordingly, the area and luminous intensity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can be designed in more detai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램프모듈에 구비된 광원부와 반사부 및 쉴드부의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배광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배광 패턴 별로 서로 다른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light source unit, the reflector unit, and the shield unit provided in each lamp module are formed differently, thereby forming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patterns and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different feeling of difference for each light distribution pattern. ca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렌즈부(340)는 제3 수평 초점(F31)과 제3 수직 초점(F3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렌즈부(340)는 제3 수평 초점거리(fh)가 제3 수직 초점거리(fv)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lens unit 34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point F31 and the third vertical focal point F32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third lens unit 34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is shorter than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fv.

예를 들어 제3 수평 초점거리(fh)는 약 10mm 이하로 구비될 수 있고, 제3 수직 초점거리(fv)는 약 30mm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렌즈부(340)는 애너모픽 렌즈(Anamorphic Lens) 방식으로 제3 수평 초점거리(fh)와 제3 수직 초점거리(fv)가 상이하게 설계됨으로써 광이 수평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는 제3 배광패턴(Wide Zone)을 형성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For example,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0 mm, and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fv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30 mm.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lens unit 340 is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and third vertical focal length (fv) in an anamorphic lens method, so that light can spread wid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de Zone) can be formed (see (b) of FIG. 9).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렌즈부(340)는 제3 수평 초점거리(fh)가 제3 수직 초점거리(fv)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340a)의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렌즈부(340)는 수평 방향의 곡률(도 6의 (a) 참조)이 수직 방향의 곡률(도 6의 (b) 참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third lens unit 3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is shorter than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fv, so that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incident surface 340a on which light is incident is formed. The curvature in the direction and the curva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curvature of the third lens unit 3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ee FIG. 6(a) )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FIG. 6(b) ).

일반적으로 렌즈는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상의 이미지가 배율이 커지고, 같은 초점거리인 경우 초점으로부터 먼거리를 지나가는 광선(Ray)에 의해 광각이 형성될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렌즈의 크기가 크게 되면 광각의 형성이 가능하지만, 렌즈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면 초점 거리로부터 먼거리를 지나가는 광선은 렌즈로 입사되지 않기 때문에, 작은 사이즈의 렌즈는 광각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general, the shorter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the larger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In the case of the same focal length, a wide angle may be formed by a ray passing a long distance from the focal point. According to this principle, if the size of the lens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orm a wide angle.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3 렌즈부(340)의 제3 수평 초점거리(fh)를 짧게 하여 배율이 커지도록 설계함으로써 광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초점거리를 매우 짧게 설계하는 경우 공차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제3 렌즈부(340)의 제3 수평 초점거리(fh)는 짧게 하는 대신 제3 수직 초점거리(fv)를 길게 함으로써 공차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wide angle by shortening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of the third lens unit 340 and designing the magnification to increase. In addition, since a design with a very short focal length may be sensitive to tolerance,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h) of the third lens unit 340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fv) instead of shortening the tolerance. can make i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은 정육면체(small cube) 형상의 복수의 단위 램프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동시에 수평방향 초점과 수직방향 초점이 상이한 제3 렌즈부(340)를 구비함으로써 광각을 형성하고 공차를 확보함으로써 램프의 성능 및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various designs by providing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in the shape of a small cube,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lens unit 340 having different focal poin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manufacturability of the lamp by forming a wide angle and securing a toleranc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의 배열 순서 및 위치는 적용되는 차량 및 차량용 램프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rder and location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lamp.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램프모듈(300)의 위치는, 제1 램프모듈(100)의 위치 및 제2 램프모듈(200)의 위치보다 차량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모듈(200)의 위치는 제1 램프모듈(100)의 위치보다 차량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미설명 부호인 410번은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갈수로 차량의 가장자리에 인접해진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Also, the location of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provided closer to the edge of the vehicle than the location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lamp module 200 . Also, the position of the second lamp module 20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edge of the vehicle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 In FIG. 7 , reference numeral 410, which is a non-explained code, may be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7, it is adjacent to the edge of the vehicle as it goes to the right.

이에 의해 제1 램프모듈(100) 및 제2 램프모듈(200)이 제3 램프모듈(300)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모듈(100)이 제2 램프모듈(200)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배광패턴, 제2 배광패턴, 제1 배광패턴 순으로 갈수록 높은 광도를 가져서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배열되는 경우 차량용 램프의 원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lamp module 100 and the second lamp module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rather than the third lamp module 300 . Also, the first lamp module 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an the second lamp module 200 .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e higher luminous intensities in the order of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so that long-distance vision can be secured, and thus, when arranged as described above, long-distance performance of the vehicle lamp can be improved.

또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램프모듈(100)과, 제2 램프모듈(200) 및 제3 램프모듈(300)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램프모듈(300)의 높이는, 제1 램프모듈(100)의 높이 및 제2 램프모듈(200)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모듈(200)의 높이는 제1 램프모듈(100)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미설명 부호인 420번은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at is, the first lamp module 100, the second lamp module 200, and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lso, the height of the third lamp module 30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lamp module 200 . Also, the height of the second lamp module 200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lamp module 100 . In FIG. 8, reference numeral 420, which is a non-explained code, may be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1 램프모듈(100) 및 제2 램프모듈(200)이 제3 램프모듈(300)보다 차량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모듈(100)이 제2 램프모듈(200)보다 차량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배광패턴, 제2 배광패턴, 제1 배광패턴 순으로 갈수록 높은 광도를 가져서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배열되는 경우, 차량용 램프의 원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Due to this arrangement, the first lamp module 100 and the second lamp module 20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third lamp module 300 in the vehicle. Also, the first lamp module 10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lamp module 200 in the vehicle. Since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e higher luminous intensities in order, long-distance vision can be secured, and thus, when arranged as described above, long-distance performance of the vehicle lamp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각각의 배광 패턴에 따라 단위 램프모듈로 분리하고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의 크기와 개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광학 효율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디자인 차별화로 인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into unit lamp modules according to each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varying the size and number of each unit lamp module, optical efficiency is optimized and competitiveness due to design differentiation is achieved.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작은 정육면체(small cube) 형상의 복수의 단위 램프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동시에 수평방향 초점과 수직방향 초점이 상이한 제3 렌즈부를 구비함으로써 광각을 형성하고 공차를 확보함으로써 램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various designs by having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in the shape of a small cube, and at the same time, by including a third lens unit having different focal point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cal point in a vertical direction, a wide-angle lens un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amp by forming and securing a toler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램프모듈에 구비된 구성요소의 크기와 형상 등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서로 다른 배광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배광 패턴 간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patterns by designing the size and shape of components included in each unit lamp module in various ways, and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sense of difference between light distribution patterns.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용 램프 100: 제1 램프모듈
110: 제1 광원부 120: 제1 반사부
130: 제1 쉴드부 140: 제1 렌즈부
200: 제2 램프모듈 210: 제2 광원부
220: 제2 반사부 230: 제2 쉴드부
240: 제2 렌즈부 300: 제3 램프모듈
310: 제3 광원부 320: 제3 반사부
330: 제3 쉴드부 340: 제3 렌즈부
410, 420: 아우터렌즈
w1: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의 너비
h1: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의 높이
w2: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의 너비
h2: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의 높이
w3: 제3 반사부의 반사면의 너비
h3: 제3 반사부의 반사면의 높이
F1: 제1 초점
F2: 제2 초점
F3: 제3 초점
F31: 제3 수평 초점
F32: 제3 수직 초점
fh: 제3 수평 초점거리
fv: 제3 수직 초점거리
Ax1: 제1 광축
Ax2: 제2 광축
Ax3: 제3 광축
10: vehicle lamp 100: first lamp module
110: first light source unit 120: first reflection unit
130: first shield unit 140: first lens unit
200: second lamp module 210: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second reflection part 230: second shield part
240: second lens unit 300: third lamp module
310: third light source unit 320: third reflection unit
330: third shield unit 340: third lens unit
410, 420: outer lens
w1: Width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unit
h1: height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unit
w2: width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h2: height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unit
w3: width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third reflector
h3: height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third reflective unit
F1: first focus
F2: Second focus
F3: 3rd focus
F31: 3rd horizontal focus
F32: 3rd vertical focus
fh: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fv: 3rd vertical focal length
Ax1: first optical axis
Ax2: 2nd optical axis
Ax3: 3rd optical axis

Claims (15)

제1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1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1 램프모듈;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2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2 램프모듈; 및
제3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제3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3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3 램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렌즈부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3 배광패턴의 면적은 상기 제2 배광패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배광패턴의 면적은 상기 제1 배광패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 first lamp module having a first lens unit for form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 second lamp module having a second lens unit for form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A third lamp module having a third lens unit for forming a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have the same horizontal focal point and vertical focal point, and the third lens unit has a horizontal focal point and a vertical focal point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 area of the thir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an area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초점과 상기 제1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1 초점거리라 하고, 상기 제2 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초점과 상기 제2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2 초점거리라 할 때, 상기 제1 초점거리는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A distance between a first focal point formed by the first lens unit and the first lens unit is referred to as a first focal length, and a distance between a second focal point formed by the second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When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focal length, the first focal length is a vehicle lamp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수평 초점과 상기 제3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3 수평 초점거리라 하고, 상기 제3 렌즈부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수직 초점과 상기 제3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제3 수직 초점거리라 할 때,
상기 제2 렌즈부와 상기 제3 렌즈부는, 상기 제3 수평 초점거리가 상기 제2 초점거리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2,
A distance between a third horizontal focal point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hird lens unit and the third lens unit is referred to as a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and a third vertical focal poin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third lens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lens unit and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The second lens unit and the third lens unit are provided such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는 제1 기판에 배치되는 제1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제2 기판에 배치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광원부는 제3 기판에 배치되는 제3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는, 상기 제1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 및 상기 제2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on a second substrate,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third light source disposed on a third substrate. including,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third light sourc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sou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는, 상기 제1 광원의 발광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4,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ight sourc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sour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1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1 초점에 집광시키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2 초점에 집광시키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상기 제3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3 수평 초점과 상기 제3 수직 초점에 집광시키는 제3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 및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reflector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to the first focal point, and the second lamp module condens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o the second focal point. And a second reflector for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to the third horizontal focus and the third vertical focus.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third reflector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iz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6,
A vehicle lamp in which a size of a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is larger than a size of a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의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re formed such that a curva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urvature in a vertical direction of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are the s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부는 상기 제3 수평 초점거리가 상기 제3 수직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The vehicle lamp of claim 3 , wherein the third lens unit has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shorter than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평 초점거리가 상기 제3 수직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3 렌즈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의 수평 방향의 곡률과 수직 방향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3,
The third lens unit has a horizontal curvature and a vertical curvature of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so that the third horizontal focal length is shorter than the third vertical focal leng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1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2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상기 제3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3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쉴드부는 상기 제3 수직 초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shield portion provid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lamp module is provid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And a second shield portion, wherein the third lamp module includes a third shield portion provid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third reflector,
The third shield part is a vehicle lamp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vertical focal poi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부와, 상기 제2 쉴드부 및 상기 제3 쉴드부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1,
The vehicle lamp wherein the first shield part, the second shield part, and the third shield part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 각각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is provided as one or a plurality of vehicle lamp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의 위치는,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위치 및 상기 제2 램프모듈의 위치보다 상기 차량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location of the third lamp module is provided closer to the edge of the vehicle than the location of the first lamp module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lamp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상기 제2 램프모듈 및 상기 제3 램프모듈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램프모듈의 높이는, 상기 제1 램프모듈의 높이 및 상기 제2 램프모듈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lamp module, the second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e height of the third lamp modul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lamp module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lamp module.
KR1020210077049A 2021-06-14 2021-06-14 Lamp for vehicle KR202201677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49A KR20220167716A (en) 2021-06-14 2021-06-14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49A KR20220167716A (en) 2021-06-14 2021-06-14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716A true KR20220167716A (en) 2022-12-21

Family

ID=8453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049A KR20220167716A (en) 2021-06-14 2021-06-14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7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5528A (en) * 2024-02-02 2024-03-12 浙江嘀视科技有限公司 Lighting module, car light and vehicle with improved light spot yellow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5528A (en) * 2024-02-02 2024-03-12 浙江嘀视科技有限公司 Lighting module, car light and vehicle with improved light spot yellowing
CN117685528B (en) * 2024-02-02 2024-04-16 浙江嘀视科技有限公司 Lighting module, car light and vehicle with improved light spot yellow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2682B1 (en) Vehicle lamp and vehicle lighting system
KR100986778B1 (en) Vehicular lamp unit
JP5352263B2 (en) Vehicle lighting
US7824086B2 (en) Lamp unit for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EP2620697B1 (en) Vehicle lighting unit with projection lens and led
KR20210053024A (en) Lamp for vehicle
JP2003317513A (en) Light source unit
TW202023857A (en) Headlight device and bending headlight module thereof
GB2400166A (en) Headlamp for vehicles
JP5874901B2 (en) Vehicle lamp unit
CN114688494A (en) Vehicle lamp
KR20220167716A (en) Lamp for vehicle
JP6937121B2 (en) Lamp
KR102454229B1 (en) Lamp for vehicle
JP2010205558A (en) Vehicular headlamp
KR20200034476A (en) lamp for vehicle
JP6048773B2 (en) Vehicle lamp unit
KR102597013B1 (en) Lamp for vehicle
CN220851864U (en) Lamp for vehicle
WO2023189597A1 (en) Vehicle lamp
US20240151376A1 (en) Vehicle lamp
WO2023074545A1 (en) Vehicle lamp
JP2008091349A (en) Light source unit and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20240039871A (en) Lamp for vehicle
KR20240039872A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