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661A -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661A
KR20220167661A KR1020210076931A KR20210076931A KR20220167661A KR 20220167661 A KR20220167661 A KR 20220167661A KR 1020210076931 A KR1020210076931 A KR 1020210076931A KR 20210076931 A KR20210076931 A KR 20210076931A KR 20220167661 A KR20220167661 A KR 2022016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beverage
slip
main bod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688B1 (ko
Inventor
정동원
Original Assignee
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원 filed Critical 정동원
Priority to KR102021007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6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25Serving trays with thumb holes, handles or the like positioned below the tray facilitating carrying the tray with on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는,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식음료를 거치할 수 있는 식음료거치부가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로 형성되고, 양측에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컵거치부가 만입홈 구조 또는 관통공 구조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고, 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며, 하단에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가 장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핸들링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Non-Slip Tray For Holding Food And Beverage}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핸들링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쟁반의 구성을 살펴보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두 그릇 등을 받쳐들 수 있도록 평면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쟁반(10)의 가장자리부가 상부로 돌출되거나, 경사지게 절곡되어 평면에 놓인 그릇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쟁반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손쉽게 파지될 수 있는 핸들 구조(11)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쟁반(10)을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경질합성수지재로 된 쟁반(도 1의 (a)의 경우)은 바닥면이 미끄러워 바닥면에 그릇 등을 올려놓고 운반 중 부주의로 쟁반을 약간 기울이게 되면 그릇이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그릇에 담긴 내용물이 엎질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쟁반본체에 마찰력이 큰 미끄럼방지 패드를 부착하거나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쟁반 바닥면이 미끄럽지 않은 미끄럼 방지 쟁반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 쟁반의 상부 바닥면은 미끄럼 방지라는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다양한 문양이 디자인 되어 있는 전사지 등을 부착하기에 부적절한 문제가 있고, 전사지를 상부 바닥면에 부착해도 사용함에 따라 전사지가 일부 벗겨져서 이물질 등이 그 사이에 끼여 오염이 발생하는 등 미관상,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885호 (등록일자: 2003년11월2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핸들링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는,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식음료를 거치할 수 있는 식음료거치부가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로 형성되고, 양측에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컵거치부가 관통공 구조 또는 만입홈 구조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고, 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며, 하단에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가 장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음료거치부는, 본체부의 정중앙부에 직사각형 구조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이고, 상기 컵거치부는, 식음료거치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관통공 구조 또는 만입홈 구조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음료거치부는, 본체부의 중앙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부는, 식음료거치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만입홈 구조로서,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부는, 식음료거치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관통공 구조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관통공의 내경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 및 관통공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부는, 컵거치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할 수 있는 튜브 구조의 내경변경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내경변경부재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내경변경부재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경변경부재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부는, 관통공 구조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튜브 구조의 높이변경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높이변경부재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높이변경부재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변경부재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테두리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테두리돌기부와 본체부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의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는 구조의 흡입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테두리돌기부를 따라 형성되고,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물질 저장탱크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유동로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펌핑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유동로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의 이물질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및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저장부에 전달하는 태양광전지패널;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무선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되거나 태양광전지패널에 의해 충전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펌핑부재에 제공하는 전력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지지부 및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핸들링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트레이를 아래에서 손으로 받쳐 운반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아래에서 위로 손을 받쳐 트레이를 지지하는 형태로 식음료를 운반하기 때문에, 트레이 운반 시 트레이를 들어 올리는 형식의 기존 트레이보다 적은 힘이 들며 밀착된 그립감으로 안정감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인, 여성, 어린이에게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비교적 값싼 제작비로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플라스틱 트레이를 단순히 뒤집은 상태에서 관통공 또는 만입홈을 제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재료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은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식음료거치부 및 컵거치부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식음료거치부와 컵거치부를 본체부로부터 탈거하여 손쉽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한 후 손쉽게 살균 및 소독 처리 할 수 있어, 본체부 전체를 살균 및 소독 처리하지 않아도 되며, 결과적으로 세척, 소독 과정에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손쉽게 유지 관리 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경변경부재 및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컵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컵거치부에 거치하고자 하는 컵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컵거치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어, 거치되는 컵의 외주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높이변경부재 및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컵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컵거치부에 거치하고자 하는 컵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컵거치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어, 거치되는 컵의 외주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테두리돌기부를 특정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이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안에만 머물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외부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청결하게 카페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흡입구, 유동로, 펌핑부재, 이물질 저장탱크, 태양광전지패널 및 전력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손쉽게 수거할 수 있어,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외부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청결하게 카페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미끄럼 방지 쟁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내경변경부재가 내경방향으로 길이가 변경된 모습을 나타내는 C-C'선 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D'선 절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높이변경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변경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4의 E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지지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핸들링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100)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6 내지 도 8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100)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서로 다른 구성은 컵거치부(112)의 구조가 서로 다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의 컵거치부(112)의 구조는 관통공 구조(112a)이고, 제2실시예의 컵거치부(112)의 구조는 만입홈 구조(112b)이다. 이외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식음료를 거치할 수 있는 식음료거치부(111)가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로 형성되고, 양측에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컵거치부(112)가 관통공 구조 또는 만입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음료거치부(111)는, 본체부(110)의 정중앙부에 직사각형 구조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컵거치부(112)는, 식음료거치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관통공 구조(112a) 또는 만입홈 구조(112b)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식음료거치부(111)는, 본체부(110)의 중앙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컵거치부(112) 역시, 식음료거치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만입홈 구조로서, 본체부(110)의 양측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음료거치부(111) 및 컵거치부(112)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식음료거치부(111)와 컵거치부(112)를 본체부(110)로부터 탈거하여 손쉽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한 후 손쉽게 살균 및 소독 처리 할 수 있어, 본체부(110) 전체를 살균 및 소독 처리하지 않아도 되며, 결과적으로 세척, 소독 과정에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손쉽게 유지 관리 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양단부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며, 하단에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12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30)는, 지지부(120)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내경변경부재(113a)가 장착된 컵거치부(112)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및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컵거치부(112)는, 식음료거치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관통공 구조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관통공의 내경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거치부(112)는 특정 구조의 내경변경부재(113a) 및 펌핑부재(11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내경변경부재(113a)는, 컵거치부(11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할 수 있는 튜브 구조일 수 있다. 펌핑부재(115)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내경변경부재(113a)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내경변경부재(113a)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내경변경부재(113a)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13c)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경변경부재(113a) 및 펌핑부재(115)를 포함하는 컵거치부(112)를 구비함으로써, 컵거치부(112)에 거치하고자 하는 컵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컵거치부(112)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어, 거치되는 컵의 외주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높이변경부재(114a)가 장착된 컵거치부(112)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및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컵거치부(112)는, 식음료거치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관통공 구조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관통공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거치부(112)는 특정 구조의 높이변경부재(114a) 및 펌핑부재(11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높이변경부재(114a)는, 관통공 구조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튜브 구조일 수 있다. 펌핑부재(115)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높이변경부재(114a)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높이변경부재(114a)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높이변경부재(114a)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14c)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높이변경부재(114a) 및 펌핑부재(115)를 포함하는 컵거치부(112)를 구비함으로써, 컵거치부(112)에 거치하고자 하는 컵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컵거치부(112)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어, 거치되는 컵의 외주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는 도 4의 E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도 3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100)는, 특정 구조의 테두리돌기부(14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돌기부(141)는,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테두리돌기부(141)를 특정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이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안에만 머물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외부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청결하게 카페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흡입구(142), 유동로(143), 펌핑부재(115), 이물질 저장탱크(144), 태양광전지패널(145) 및 전력저장부(146)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구(142)는 테두리돌기부(141)와 본체부(110)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다.
유동로(143)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테두리돌기부(141)를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흡입구(142)로부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물질 저장탱크(144)로 유동시킬 수 있다.
펌핑부재(115)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유동로(143)와 흡입구(142)를 통해 공기를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저장탱크(144)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유동로(143)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태양광전지패널(145)은, 본체부(110)의 상부면 및 지지부(12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저장부(14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저장부(146)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무선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되거나 태양광전지패널(145)에 의해 충전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펌핑부재(115)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흡입구(142), 유동로(143), 펌핑부재(115), 이물질 저장탱크(144), 태양광전지패널(145) 및 전력저장부(146)를 구비함으로써,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손쉽게 수거할 수 있어,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외부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청결하게 카페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100)는, 1인용, 2인용, 4인용 및 컵 전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페나 패스트푸드 음식점에는 1인이나 2인의 손님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인원수에 맞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카페의 경우, 음료만 주문하는 손님이 다수 있다. 이때, 도 1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전용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황에 맞는 트레이를 제공할 시, 운반의 편의성 및 테이블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식음료
12: 컵
100: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110: 본체부
111: 식음료거치부
112: 컵거치부
112a: 관통공 구조의 컵거치부
112b: 만입홈 구조의 컵거치부
113a: 내경변경부재
113b: 탄성부재
113c: 미끄럼 방지돌기
114a: 높이변경부재
114b: 탄성부재
114c: 미끄럼 방지돌기
115: 펌핑부재
115a: 공기유동배관
120: 지지부
121: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
130: 손잡이부
141: 테두리돌기부
142: 흡입구
143: 유동로
144: 이물질 저장탱크
145: 태양광전지패널
146: 전력저장부
147: 스위치

Claims (5)

  1.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식음료를 거치할 수 있는 식음료거치부(111)가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로 형성되고, 양측에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컵거치부(112)가 관통공 구조 또는 만입홈 구조로 형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고, 본체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며, 하단에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121)가 장착되는 지지부(120); 및
    상기 지지부(120)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식음료거치부(111)는, 본체부(110)의 정중앙부에 직사각형 구조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 구조이고,
    상기 컵거치부(112)는, 식음료거치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관통공 구조(112a) 또는 만입홈 구조(112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음료거치부(111)는, 본체부(110)의 중앙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컵거치부(112)는, 식음료거치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만입홈 구조로서, 본체부(110)의 양측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부(112)는,
    컵거치부(11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할 수 있는 튜브 구조의 내경변경부재(113a);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내경변경부재(113a)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내경변경부재(113a)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재(115);
    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변경부재(113a)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13c)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거치부(112)는,
    관통공 구조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튜브 구조의 높이변경부재(114a);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높이변경부재(114a)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높이변경부재(114a)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재(115);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변경부재(114a)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14c)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평면상 직사각 판상형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테두리돌기부(141);
    상기 테두리돌기부(141)와 본체부(110)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떨어지거나 흘려지는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는 구조의 흡입구(142);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테두리돌기부(141)를 따라 형성되고, 흡입구(142)로부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물질 저장탱크(144)로 유동시키는 유동로(143);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유동로(143)와 흡입구(142)를 통해 공기를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펌핑부재(115);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유동로(143)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의 이물질 저장탱크(144);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 및 지지부(12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저장부(146)에 전달하는 태양광전지패널(145);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무선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되거나 태양광전지패널(145)에 의해 충전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펌핑부재(115)에 제공하는 전력저장부(14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KR1020210076931A 2021-06-14 2021-06-14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KR10265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31A KR102652688B1 (ko) 2021-06-14 2021-06-14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31A KR102652688B1 (ko) 2021-06-14 2021-06-14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61A true KR20220167661A (ko) 2022-12-21
KR102652688B1 KR102652688B1 (ko) 2024-03-28

Family

ID=8453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31A KR102652688B1 (ko) 2021-06-14 2021-06-14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6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85Y1 (ko) 2003-07-30 2003-12-06 조경래 미끄럼 방지 쟁반
JP3193380U (ja) * 2014-06-30 2014-10-02 トクヱ 篠崎 滑落防止機能を有するトレイ
KR20170115364A (ko) * 2016-04-07 2017-10-17 신동문 식판
JP2018158649A (ja) * 2017-03-23 2018-10-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287A (en) * 1992-03-05 1995-02-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rece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85Y1 (ko) 2003-07-30 2003-12-06 조경래 미끄럼 방지 쟁반
JP3193380U (ja) * 2014-06-30 2014-10-02 トクヱ 篠崎 滑落防止機能を有するトレイ
KR20170115364A (ko) * 2016-04-07 2017-10-17 신동문 식판
JP2018158649A (ja) * 2017-03-23 2018-10-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688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089B2 (en) Suction plate or bowl holder
ES2902221T3 (es) Vajilla y tapete con superficie de contacto autosellante integrada
AU2002336590B2 (en) Removable tray insert and tray set
US20140367392A1 (en) Dual purpose plate with removable beverage container
WO2007030178A1 (en) Kit for assembling a one-handed support for a plate and a beverage container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TW201542140A (zh) 特殊人士適用的餐具
US6622885B1 (en) Arm mounted transporting tray for food containers
US20080110903A1 (en) Water shedding designs for receptacle bottoms
KR20220167661A (ko) 미끄럼 방지 식음료 고정 트레이
US20170354282A1 (en) Elevated Coaster
US9888794B2 (en)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GB2367233A (en)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drink
US20080223882A1 (en) Easy pass pitcher
KR20100111577A (ko) 살균 및 자정기능을 갖는 컵세트
US20120228188A1 (en) Food Tray With Non-Slip Inserts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US1299120A (en) Holder for sanitary or single-service cups or other receptacles.
US20220061560A1 (en) Dish with Recessed Top Rim Section
ES2382943T3 (es) Contenedor para envasar y transportar productos de frutas y hortalizas
CN220778035U (zh) 一种儿童碗
CN212165526U (zh) 一种可旋转的公用餐具搁放装置
GB2581829A (en) Apparatus for holding food and drink in one hand
CN211544472U (zh) 一种具有蛋糕托的便携式杯盖
CN220917783U (zh) 便于收纳的奶瓶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