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589A -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589A
KR20220167589A KR1020210076743A KR20210076743A KR20220167589A KR 20220167589 A KR20220167589 A KR 20220167589A KR 1020210076743 A KR1020210076743 A KR 1020210076743A KR 20210076743 A KR20210076743 A KR 20210076743A KR 20220167589 A KR20220167589 A KR 2022016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upport
beverage container
electronic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성
김성산
김혜령
박이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589A/en
Publication of KR2022016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which includes a structure for easily and cleanly clean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a washing baske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and a washing frame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nd configured to hold a beverage container. The washing frame comprises: a first support disposed in the cleaning basket and including a support frame configured to support a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module; a second support disposed at least partially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cleaning module, and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a thir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fourth support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The third support and the fourth support may be configured to hold a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Description

음료 용기 세척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Beverage container wash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음료 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구조와 상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elate to a structure for cleaning a beverage container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tructure.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통상 예비세척, 본 세척, 헹굼, 건조단계를 거친다. 예비세척단계에서는 세제투입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본 세척과정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general, a dishwasher is a device that cleans dishes by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on them, and usually goes through pre-washing, main washing, rinsing, and drying steps. In the pre-washing step, washing water is sprayed without detergent input to remove dregs from the dishes, and in the main washing process, washing water is sprayed and detergent is injected by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dishes are cleaned.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식기를 담으며 세척조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식기바스켓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하며, 세척 모듈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식기를 세척한다.In general, a dishwasher includes a cabinet having a washing tank therein, a dish basket containing dishes and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tub, and a washing module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dish basket, and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module. washes the dishes

본 출원은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해주는 식기세척기와 관련된 기술 중에서 특히, 다양한 식기들 중 최근 환경 문제로 일회용 종이컵 혹은 플라스틱컵 사용을 지양하는 트렌드와 다양한 Tea/Coffee 브랜드들이 주도하는 브랜드 전용 컵의 패션 아이템화 트렌드와 맞물려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음료 용기 또는 텀블러(hand carry가 가능한 Tea/coffee 전용 컵)를 식기세척기에 안전하게 로딩(loading)하고 빠르게 세척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Among technologies related to dishwashers that automatically wash tableware, this application is concerned with the trend of avoiding the use of disposable paper cups or plastic cups due to recent environmental issues among various tableware, and fashion items for brand exclusive cups led by various Tea/Coffee brands. It is about technology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users by safely loading beverage containers or tumblers (hand-carryable tea/coffee cups), whose usage is increasing every year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into the dishwasher and washing them quickly.

기존의 식기를 자동 세척하는 전자 장치는 컵이나 젖병과 같은 종류에 대하여 세척을 위한 로딩이나 세척 방법 제공하고 있지만, 텀블러(핸드 캐리가 가능한 Tea/coffee 전용 컵)와 같은 음료 용기의 세척을 위하여 식기세척기 트레이에 로딩(loading)하거나 세척하기 위한 세척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특히, 텀블러는 필요할 때 핸드 캐리를 가능하도록 빠르게 세척하고 빠르게 건조하는 전용 기능이 필요하고, 보통 플라스틱이나 스틸 재질의 텀블러 내부에 Tea/coffee 등으로 착색되지 않도록 깊게 형성되는 텀블러 내부의 바닥면 부분 까지 세척이 필요하다. 그리고 뜨거운 Tea/Coffee 음료를 담기 위해서 대부분 스틸 재질의 텀블러를 선호하는데 스틸 재질은 세척 과정에서 타 식기들과 마찰이 있을 경우 미세 scratch나 마찰 등으로 스틸 재질에 손상이 될 수 있어 텀블러를 세척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세척 공간과 세척 모드가 필요하다.Existing electronic devices that automatically wash tableware provide a loading or washing method for washing types such as cups and baby bottles, but tablewa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tumblers (hand-carryable cups for tea/coffee) It does not have a washing mechanism for loading or washing the washer tray. In particular, the tumbler requires a dedicated function to quickly wash and quickly dry to enable hand carry when necessary, and the inside of the tumbler made of plastic or steel is deeply formed so that it is not colored with tea/coffee, etc. Needs washing. In addition, most of the tumblers made of steel are preferred to contain hot Tea/Coffee beverages. If the steel material has friction with other tableware during the washing process, it can damage the steel material due to fine scratches or friction. A distinct washing space and washing mode are required.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세척 모듈, 상기 세척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세척 바구니, 및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되며 음료 용기를 거치하도록 구성된 세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 모듈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음료 용기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지지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세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음료 용기의 한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4 지지부는 음료 용기의 뚜껑을 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a washing basket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and a washing frame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nd configured to hold a beverage container. And, the washing frame is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 first support portion including a support frame configur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module, at least partiall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washing module a second support disposed between and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a third support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and a fourth support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wherein the third support and the The fourth support may be configured to hold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세척 모듈, 상기 세척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세척 바구니, 및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된 실린더 형태의 세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세척 프레임의 일 단에, 상기 세척 모듈과 대면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을 포함하며, 음료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을 수용 또는 거치하도록 구성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a washing basket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and a cylindrical washing frame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The washing frame includes at least one first hole disposed to face the washing module at one end of the washing frame,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configured to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and a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configured to receive or stan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컵에 탈착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텀블러와 같은 음료 용기를 식기세척기에서 용이하고 깨끗하게 세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and cleanly cleaning a beverage container such as a tumbler having a lid that is detachable from a cup in a dishwash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용기와 함께 사용되는 부속품을 동시에 로딩하고 세척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everage container and an accessory used with it may be simultaneously loaded and cleane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용기의 외부와 내부 양면을 동시에 깨끗하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oth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cleaned and conveniently cleaned at the same ti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손상 없이 텀블러 전용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umbler-only cleaning may be performed without external damage.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 바구니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세척 바구니에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이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세척 바구니에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뚜껑 거치가 가능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뚜껑 거치가 가능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에서 A-A'를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 바구니의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음료 용기 세척 백을 B-B'로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출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음료 용기 뚜껑을 거치하기 위한 뚜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뚜껑 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baske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is installed in the washing basket of FIG.
Figure 3b is a plan view showing only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of Figure 3a.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is installed in the washing basket of FIG.
Figure 4b is a side view of Figure 4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capable of mounting a li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capable of mounting the lid of Figure 5a separated.
5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B.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rame portion of a washing baske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rame portion of FIG. 6 .
8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of FIG. 7 cut along line BB'.
9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d holder for holding a beverage container lid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d holder of Figure 9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용된 식기들을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세척하는 장치로서 도 1은 그러한 식기세척기들 중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을 위한 전자 장치(1)는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공간인 세척조(2)와 세척조(2) 저부에 마련되어 급수와 배수등의 기계적 작용을 수행하는 부하 구동부(5)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조(2)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세척 바구니(3)가 상하로 구분되어 포함될 수 있고, 각 세척 바구니(3)의 바로 아래에는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모듈(4)이 설치될 수 있다.In general, a dishwasher is a device for washing dishes accommodated therein by spraying washing water at high pressure, and FIG. 1 shows one embodiment of such dishwashers.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 for washing dishes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2, which is a space in which dishes are stored and washed, and the washing tub 2 performs mechanical actions such as water supply and drainage. It may be provided with a load driving unit 5 that performs. Inside the washing tank 2, washing baskets 3 for storing dishes may be divided up and down, and a washing module 4 for spraying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may be installed right below each washing basket 3. there is.

식기 세척의 수행시에는 부하 구동부(5)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펌프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급수관을 통하여 각 세척 모듈(4)로 공급하고, 각 세척 모듈(4)은 회전하며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식기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When dish washing is performed,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load driver 5 to each washing module 4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each washing module 4 rotates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at high pressure to the dishes. of washing can be performed.

식기 세척을 위한 전자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 for dish washing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2는 본 출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 바구니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baske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는 세척 바구니(200),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 및 세척 모듈(230)(예: 도 1 의 세척 모듈(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라 함은,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의 텀블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텀블러는 상단의 입구(개구, opening)보다 바닥의 크기(예: 지름)가 작도록 구성된 음료 용기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includes a washing basket 200, a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and a washing module 230 (eg, the washing module of FIG. 1 ( 4)) may be included. In one embodiment, the term 'beverage container' may include, for example, a tumbler made of metal or polymer. The tumbler may represent a beverage container configured such that the size (eg diameter) of the bottom is smaller than the inlet (opening) of the top.

도 2의 세척 바구니(200)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 바구니(3)의 다른 예시일 수 있다. 도 2의 세척 모듈(230)은 도 1의 세척 모듈(4)의 다른 예시일 수 있다.The washing basket 200 of FIG. 2 may be another example of the washing basket 3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 The cleaning module 230 of FIG. 2 may be another example of the cleaning module 4 of FIG. 1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바구니(200)는 프레임 부분(210) 및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바구니(200)의 하단부에는 세척조(예: 도 1의 세척조(2))의 내부 이동이나 외부 인출이 용이하도록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washing basket 200 may include a frame portion 210 and a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 Rollers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basket 200 to facilitate internal movement or external withdrawal of the washing tub (eg, the washing tub 2 of FIG. 1 ).

프레임 부분(210)은 식기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분(210b)과 지지 부분(210b)의 테두리에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식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 부분(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분(210b)에는 그릇, 컵, 및 음료 용기(240)와 같은 식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The frame part 210 may include a support part 210b configured to facilitate loading of dishes and a side part 210a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support part 210b to prevent the dishes from being separated. . Dishes such as bowls, cups, and beverage containers 24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210b.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음료 용기(2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세척 바구니(200)에서 일정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모듈로부터 세척수가 곧바로 분사되는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프레임 부분(210)에 적어도 일부분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의 일부분은 측면 부분(210a)에 적어도 일부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용기(240)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에 음료 용기(240)의 입구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may be installed in a certain area in the washing basket 200. For example, it can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washing water is sprayed directly from the washing module.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may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210.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may b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10a. To clean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may be fixed to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in a downward facing stat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이 설치되는 구역에 집중 세척을 위한 세척 모듈인 집중 세척 모듈(260)이 포함될 수 있다. 집중 세척 모듈(260)은 전자 장치 중심부의 메인 세척 모듈(도 1의 세척 모듈(5))만으로 세정하기 어려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집중 세척 모듈(260)은 지정된 영역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중 세척 모듈(260)은 좁은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컵, 음료 용기와 같이 좁고 깊은 형태의 식기를 세척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집중 세척 모듈(260)은 세척 모듈(230) 구석들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 intensive washing module 260, which is a washing module for intensive washing, may be included in an area where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is installed.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260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difficult to clean only with the main cleaning module (cleaning module 5 in FIG. 1 ) in the cent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260 may b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o a designated area.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2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disposed in a narrow area, and may be useful for washing narrow and deep dishware such as cups and beverage containers.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260 may b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leaning module 230 .

도 3a는 도 2의 세척 바구니에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이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의 세척 바구니에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is installed in the washing basket of FIG. Figure 3b is a view showing only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of Figure 3a.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is installed in the washing basket of FIG. Figure 4b is a side view of Figure 4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는 세척 바구니(예: 도 2의 세척 바구니(200)),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a)(예: 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 및 세척 모듈(예: 도 1 의 세척 모듈(4) 및 도 2의 세척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includes a washing basket (eg, the washing basket 200 of FIG. 2), a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a (eg,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2) A container cleaning frame 220), and a cleaning module (eg, the cleaning module 4 of FIG. 1 and the cleaning module 230 of FIG. 2).

도 3a 내지 도 4b의 프레임 부분(210),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도 2의 프레임 부분(210),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상단 세척 프레임(220a) 및 하단 세척 프레임(도 5a의 2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210 and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to 4B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the same as the frame portion 210 and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of FIG. 2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of FIG. 2 may be composed of an upper washing frame 220a and a lower washing frame (220b in FIG. 5a).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세척 바구니(200)에서 일정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모듈(230)로부터 세척수가 곧바로 분사되는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세척수가 집중 분사되는 집중 세척 모듈 주변에 이격 배치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 및/또는 상단 세척 프레임은 집중 세척 모듈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washing frame 220a may be installed in a certain area in the washing basket 200 .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washing water is directly sprayed from the washing module 230 . Referring to FIG. 3A , the washing water may be spaced apart around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intensively sprayed. In one embodiment,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and/or the top washing frame may be arrang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프레임 부분(210)에 적어도 일부분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의 일부분은 측면 부분(210a)에 적어도 일부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washing frame 220a may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the frame part 210 . A portion of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may b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10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측면 부분(210a)과 적어도 일부분 결합되는 연결 부분(310), 음료 용기(240)를 보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320),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320)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 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분(320)과 거치 부분(330)이 조합되어 음료 용기와 같은 세척물의 일부분을 지지하되, 보호 부분(320)은 음료 용기의 외부 표면(외주면)을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includes a side portion 210a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ion 310 coupled at least partially, at least one protection portion 320 for protecting the beverage container 240, and at least one A mounting part 330 for fixing the protection part 320 may be included. The protection portion 320 and the mounting portion 330 are combin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washing object, such as a beverage container, but the protection portion 320 protects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from damage such as scratche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부분(330)은 음료 용기(24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일반적인 음료 용기의 형태인 원형인 경우로 설명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 부분(330)은 내부에 홀(h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을 통하여 음료 용기(240)를 거치할 수 있다. 음료 용기(240)에 대한 홀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32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portion 3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 In this application, it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a circular shape of a general beverage contai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Mounting portion 330 may include a hole therein, and the beverage container 240 may be mounted through the ho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ective portion 320 to enhance the holding ability for the beverage container 24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320)은 거치 부분(3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320)은 연결된 하나일 수 있으며, 도 3b를 참고할 때 복수개의 보호 부분(320)이 존재할 경우 서로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거치 부분(33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320)은 부드러운 재질인 탄성 부재(예: 고무 또는 실리콘)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 부분(320)의 재질이 부드럽게 형성됨에 따라 음료 용기(240)의 외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부분(320)의 재질이 부드럽게 형성됨에 따라 음료 용기(240)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하여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protection part 32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330 . At least one protection part 320 may be connected, and referring to FIG. 3B , when a plurality of protection parts 320 exist, they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esignated interval and disposed on the mounting part 33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rotective portion 32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eg, rubber or silicon) that is a soft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portion 320 is formed softly, external damage to the beverage container 240 can be prevented. As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portion 320 is formed softly, it can be fix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r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분(310)은 거치 부분(330)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분(310)은 프레임 부분(210)의 측면 부분(210a)과 적어도 일부분 결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연결 부분은 고리 형태 또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세척 바구니의 측면 부분(210a)에 결속 될 수 있다. 예컨대,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세척 바구니(200)의 측면 부분(210a) 어디에도 결속 또는 장착 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부분(310)은 측면 부분(210a)의 정해진 구역에 고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서, 장착 위치에 따라, 상부 프레임은 Y축 방향에서 집중 세척 모듈과 직접 마주보게 배치되거나, 집중 세척 모듈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부분(210a)에 결합된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음료 용기 세척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연결 부분(310)이 고정된 상태로 거치 부분(330)이 Y축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 바구니(200)에서 음료 용기(240)가 지지되는 지지 부분(210b)에 음료 용기(240)가 아닌 다른 그릇 및 컵을 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nection portion 31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mounting portion 330 . The connecting portion 310 may be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the side portion 210a of the frame portion 210 . 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or wire shape and bound to the side portion 210a of the washing basket. For example,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may be bound or mounted anywhere on the side part 210a of the washing basket 200. As a result, the connection part 310 is not fixe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ide part 210a and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s needed. In one embodiment, depending on the mounting position, the upper frame may be disposed directly facing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in the Y-axis direction, or may be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coupled to the side portion (210a), when not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the connection portion 310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330 is lifted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fix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unt other bowls and cups other than the beverage container 240 to the support portion 210b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240 is supported in the washing basket 200.

도 5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뚜껑 거치가 가능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뚜껑 거치가 가능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에서 A-A'를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capable of mounting a li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capable of mounting the lid of Figure 5a separated. 5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B.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는 세척 바구니(예: 도 2의 세척 바구니(200)),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예: 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 및 세척 모듈(예: 도 1 의 세척 모듈(4) 및 도 2, 도 3a의 세척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5A to 5C,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includes a washing basket (eg, the washing basket 200 of FIG. 2), a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eg, the beverage container 200 of FIG. 2). vessel washing frame 220,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3B, 4A and 4B), and washing modules (eg, washing module 4 of FIG. 1 and washing module of FIGS. 2 and 3A) (230)).

도 5a 내지 도 5c의 프레임 부분(210),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도 2의 프레임 부분(210),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 및 도 3a 내지 도 4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상단 세척 프레임(220a) 및 하단 세척 프레임(2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210 of FIGS. 5A to 5C and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are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portion 210 of FIG. 2,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and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to 4B. and may be part or all the s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of FIG. 2 may be composed of an upper washing frame 220a and a lower washing frame 220b.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240) 및 뚜껑(250)을 거치하기 위해서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도 2 내지 도 4b에서 설명된 상단 세척 프레임(220a)에 하단 세척 프레임(220b)가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하단 세척 프레임(220b)은 상단 세척 프레임(220a)과 세척 모듈(예: 도 1의 세척 모듈(4), 도 2의 집중 세척 모듈(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order to mount the beverage container 240 and the lid 250,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in FIG. 2) is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described in FIGS. 2 to 4B. )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lower washing frame 220b. The lower washing frame 220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and a washing module (eg, the washing module 4 of FIG. 1 or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260 of FIG. 2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 세척 프레임(220b)은 음료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5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대(540)는 음료 용기(240)의 중단을 홀딩하기 위한 상단 세척 프레임(220a)과는 달리 음료 용기 입구 부분(또는 개구부)이 세척 바구니의 지지 부분(210b)에 닿지 않도록 견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지지대(540)는 음료 용기 내부로 세척 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 지지대(540) 중심부의 제1 홀(540a)이 존재하고, 제1 홀(540a)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홀(540b)이 제1 홀(540a)과 이격배치되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홀(540b)은 제1 홀과는 별도의 경로로 세척수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하부 지지대(540)에 닿는 음료 용기의 입구 부분을 세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홀(540b)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제2 홀들은 서로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척 모듈(23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제1 홀(54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홀(540b)을 통하여 음료 용기(240) 내부로 분사되어 음료 용기(240)를 세척할 수 있다. 제1 홀(540a)의 직경은 음료 용기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lower washing frame 220b may include a lower support 540 for supporting a beverage container. Unlike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for holding the middl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the lower support 540 is used to pull the beverage container inlet (or opening)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support portion 210b of the washing basket. can be used The lower support 540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in the center so that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Referring to FIG. 5B, there is a first hole 540a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pport 540,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540b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e 540a around the first hole 540a. and can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 at least one second hole 540b allows washing water to pass through a path separate from the first hole, thereby making it easy to clean the inlet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54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 least one second hole 540b, each of the second ho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esignated interval.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module 230 may be spray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240 through the first hole 540a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540b to wash the beverage container 240.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e 540a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은 일단에 뚜껑을 거치하기 위한 상단 뚜껑 지지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뚜껑 지지대(510)는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의 거치 부분(330)과 적어도 일부분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단 뚜껑 지지대(510)는 거치 부분(330)과 각각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 뚜껑(250)의 크기에 따라 상단 뚜껑 지지대(510)는 거치 부분(330)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료 용기 뚜껑(250)의 크기가 큰 경우 거치 부분(330)은 고정된 채로 상단 뚜껑 지지대(510)만 Y축 (+)방향으로 꺾일 수 있다. 하단 세척 프레임(220b)은 일단에 뚜껑을 거치하기 위한 하단 뚜껑 지지대(5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뚜껑 지지대(520)는 하부 지지대(540)와 적어도 일부분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may include an upper lid support 510 for holding a lid at one end. The upper lid support 510 may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330 of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The upper lid support 510 may be separately controlled from the mounting part 330 . Therefo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the upper lid support 510 can move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330.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is large, the mounting portion 330 may be bent in the Y-axis (+) direction while only the upper lid support 510 is fixed. The lower washing frame 220b may include a lower lid support 520 for holding a lid at one end. The lower lid support 520 may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540 .

도 5c를 참고하면, 상단 뚜껑 지지대(510)와 하단 뚜껑 지지대(520)는 음료 용기 뚜껑(250)을 지지하기 위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뚜껑 지지대(5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홈(560), 하단 뚜껑 지지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570)이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홈(56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홈(570)은 뚜껑(250)의 안쪽 면이 아래쪽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뚜껑(250)이 뚜껑 지지대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홈(56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홈(570)보다 Z축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홈(56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홈(570)의 형태도 뚜껑(2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뚜껑의 기울기에 맞게 비스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홈(56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홈(57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어 뚜껑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홈(57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홈(560)보다 더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560)이 제2 홈(570)보다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되어 상단 뚜껑 지지대(510)는 하단 뚜껑 지지대(520)보다 뚜껑(250)을 더 견고하게 지지 또는 고정함으로써 세척수 수압에 의해 뚜껑(250)이 상/하단 뚜껑 지지대(510, 5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c, the upper lid support 510 and the lower lid support 520 may include a groove for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At least one first groove 560 may be included in the upper lid support 510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570 may be included in the lower lid support. The at least one first groove 560 and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570 tilt the lid 250 in the Z-axis direction relative to the lid support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50 faces downward. It can be formed so that it can be mounted.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first groove 56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 direction of the Z axis more than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570 .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t least one first groove 560 and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570 may also be formed in an oblique shape to match the inclination of the lid so that the lid 250 can be fixed. The at least one first groove 560 and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570 may be formed in plural and suppor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lid.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570 may be formed to a shallower depth than the at least one first groove 560 . For example, since the first groove 560 is formed at a deeper depth than the second groove 570, the upper lid support 510 supports or fixes the lid 250 more firmly than the lower lid support 520,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wash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d 2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lower lid supporters 510 and 520 by water pressure.

도 6은 본 출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 바구니의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rame portion of a washing baske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rame portion of FIG. 6 .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는 프레임 부분(예: 도 2의 프레임 부분(210), 도 3a 내지 도 5c의 프레임 부분(210a, 210b)), 및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 includes a frame part (eg, the frame part 210 of FIG. 2 , and the frame parts 210a and 210b of FIGS. 3A to 5C ). )), and a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61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부분(210)은 식기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분(210b)과 지지 부분(210b)의 테두리에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식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 부분(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분(210b)에는 그릇, 컵, 및 음료 용기와 같은 식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rame portion 210 extend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portion 210b configured to facilitate loading of dishes and the side portion 210a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dishes. ) may be included. Utensils such as bowls, cups, and beverage containers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210b.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기둥 또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안쪽이 비어 있는 원기둥 형태의 실린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음료 용기의 구조를 고려하여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잇다.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부드럽고 열과 습기에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위쪽 끝단에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을 통하여 음료 용기 세척 백 (610) 내부에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 뚜껑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음료 용기(240)가 삽입되기에 충분하도록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configured in a column or cylinder shape. Referring to FIG. 6 , i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an empty in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llar with an empty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6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 and resistant to heat and moisture.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The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610 may include a hole at the upper end.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container lid may be dispos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610 through the hole. The hole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sufficient for the beverage container 240 to be insert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세척 바구니(200)에서 일정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중 세척 모듈(도 2의 집중 세척 모듈(250))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세척 바구니에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지지 부분(210b)에 얹히듯이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음료 용기 세척 백(610) 내부에 음료 용기(240)의 입구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installed in a certain area in the washing basket 200. For example, it may be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250 in FIG. 2 ).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disposed as if it rests on the support portion 210b. To clean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fixed with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facing down.

도 8은 도 7의 음료 용기 세척 백을 B-B'로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출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음료 용기 뚜껑을 거치하기 위한 뚜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뚜껑 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of FIG. 7 cut along line BB'. 9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d holder for holding a beverage container lid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d holder of Figure 9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세척 바구니(200)에서 세척 수가 분사되는 일정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집중 세척 모듈(830)(도 2의 집중 세척 모듈(250))과 직접 마주보게 배치되거나, 집중 세척 모듈(830)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지지 부분(210b)에 얹히듯이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음료 용기 세척 백(610) 내부에 음료 용기(240)의 입구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installed in a certain area wher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washing basket 200 . For example, the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610 is disposed directly facing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830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250 of FIG. 2 ) or is inclined in the Y-axis direction relative to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830. direction can be placed.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disposed as if it rests on the support portion 210b. To clean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may be fixed with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facing dow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는 음료 용기 세척 백(예: 도 6 내지 도 8의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 may include a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eg, the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610 of FIGS. 6 to 8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은 음료 용기(240)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백 구조(800), 음료 용기(240)를 지지하고 세척 모듈(에: 도 1의 세척모듈(4) 또는 집중 세척 모듈(830))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구조(810) 및 백 구조(800)의 내부에서 음료 용기(240)위에 거치되며 음료 용기 뚜껑(250)을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뚜껑 홀더(8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백 구조(800)는 기둥 또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원기둥 형태의 실린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음료 용기의 구조나 형상을 고려하여 사각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잇다. 백 구조(800)는 부드럽고 열과 습기에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백 구조(800)는 중심부에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을 통하여 백 구조(800) 내부에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 뚜껑이 배치 또는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음료 용기(240) 및/또는 뚜껑 홀더(820)가 삽입되기에 충분하도록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has a bag structure 800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240 to surround it, supports the beverage container 240 and the washing module (e.g.: washing module 4 of FIG. 1). ) or intensive cleaning module 830) and is mounted on the beverage container 240 inside the support structure 810 and the bag structure 800 disposed to face the lid holder for accommodating or mounting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82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ag structure 800 may be configured in a column or cylinder shape. Referring to FIG. 8 , i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in the form of a cylin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in a form such as a square column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bag structure 8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 and resistant to heat and moisture.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silicon. The bag structure 800 may include a hole in the center.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container lid may be disposed or accommodated inside the bag structure 800 through the hole. The hole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sufficient to allow the beverage container 240 and/or the lid holder 820 to be insert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810)는 중심에 제3 홀(8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홀(8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홀(8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8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홀(850)을 통하여 세척 수가 분사되어 음료 용기(240)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4 홀(850)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제4 홀(850)들 각각은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810)는 음료 용기(240)가 거치된 경우 이탈하지 않도록 테두리에 얕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upport structure 810 may include a third hole 840 at the cent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fourth hole 850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third hole 840 . there is.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third hole 840 and at least one fourth hole 850 to was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 least one fourth hole 850 , each of the fourth holes 850 may be disposed at designated intervals. Support structure 810 may include a shallow groove on the rim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240 does not come off when mounted.

도 8을 참고하면, 백 구조(800)안에 음료 용기(240)가 거치되고 백 구조(800)가 음료 용기(240)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세척 수의 물살이 백 구조(800) 안쪽으로 가두어져 음료 용기(240)의 내부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240)의 외부도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everage container 240 is placed in the bag structure 800 and the bag structure 8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everage container 240, so that the stream of washing water is trapped inside the bag structure 800 It may be easy to clea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 홀더(820)는 안착 구조(940), 이음 구조(930), 돌출 구조(910), 홀 구조(92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홀더(820)는 음료 용기(240)위에 얹히듯 거치될 수 있다. 뚜껑 홀더(820)는 세척 바구니(3) 위쪽에 위치한 중단 세척 모듈(예: 도 1의 위에 있는 세척 모듈(4))로부터 분사되는 세척 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lid holder 820 may include a seating structure 940 , a joint structure 930 , a protruding structure 910 , and a hole structure 920 . The lid holder 820 may be mounted as if it were placed on the beverage container 240. The lid holder 820 can be cleaned by using washing water sprayed from an intermediate washing module located above the washing basket 3 (eg, the washing module 4 shown in FIG. 1 ).

도 9a를 참고할 때, 뚜껑 홀더(820)는 음료 용기 뚜껑(250)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인 안착 구조(9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구조(940)에는 음료 용기 뚜껑(250)이 기울어지게 거치될 수 있도록 돌출 구조(9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구조(910)는 안착 구조(94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구조(910)는 Y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구조(910)는 음료 용기 뚜껑(2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부분이 둥근 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구조(910)위로 음료 용기 뚜껑(250)이 경사지게 거치됨으로써 음료 용기 뚜껑(250)위에 고인 세척 수가 흘러 나갈 수 있다. 뚜껑 홀더(820)는 안착 구조(940)에 고이는 세척 수의 배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 구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 구조(920)는 안착 구조(94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착 구조(940)의 중심 부에 형성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930) 가운데 부분에 홀 구조(92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a, the lid holder 820 may include a seating structure 940, which is a space capable of holding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A protruding structure 910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structure 940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can be til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structure 91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structure 940 . The protruding structure 910 may be formed in the Y-axis (+) direction. The protruding structure 910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with a round end to prevent damage to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As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is slanted over the protruding structure 910, the washing water accumulated on the beverage container lid 250 can flow out. The lid holder 820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structure 920 for drainage of washing water accumulated in the seating structure 940 . At least one hole structure 920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seating structure 940 , or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ating structure 940 , although not shown. For example, a hole structure 92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930 .

도 9b를 참고할 때, 뚜껑 홀더(820)는 음료 용기(240)위에 안착될 때 물살에 흔들려 한쪽으로 쏠리거나 백 구조(800)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930)는 부드럽고 마찰력이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및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음 구조(930)는 백 구조의 내부에서 뒤집어진 음료 용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백 구조의 내부에서 음료 용기는 입구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음료 용기의 바닥 부분(예: 밑면)이 위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백 구조의 내부에서 이음 구조는 음료 용기(240) 밑면에 안착되어 음료 용기(240) 외부에 손상 없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930)가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음 구조(930)들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 the lid holder 820 may includ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930 so that when seated on the beverage container 240, it is shaken by the current and is tilted to one side or is not separated from the bag structure 800. .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9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 and has strong frictional force.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rubber and silicone. The joint structure 93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inverted beverage container inside the bag structure. Inside the bag structure, the beverage container may be disposed with the inlet portion facing down, and the bottom portion (eg,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may be disposed facing upward. For example, the joint structure in the inside of the bag structure may be seated on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and connected without damage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240. When there are two or mor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930, each of the joint structures 930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식기 세척기 또는 세척을 위한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vices of various typ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hwasher or a household appliance for clea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like or related elem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item or a plurality of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the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at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ary"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a given component from othe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may be used to refer to a given component in another aspect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A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mentioned, it means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is interchangeable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al blocks, parts, or circuits. can be used as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structed component or a minimal unit of components or a portion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bject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entities may be separately disposed in other components. there i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foremention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a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c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ac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actions may be added.

이상, 본 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docu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세척 모듈(예: 도 1의 세척 모듈(4)), 상기 세척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세척 바구니(예: 도 1의 세척 바구니(3), 도 2의 세척 바구니(200) 또는 프레임 부분(210)), 및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되며 음료 용기(예: 도 2 내지 도 5c의 음료 용기(240))를 거치하도록 구성된 세척 프레임(예: 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 모듈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음료 용기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예: 도 3a 내지 도 5b의 거치 부분(330))을 포함하는 제 1 지지부(예: 도 3a 내지 도 5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세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음료 용기의 한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하단 세척 프레임(220b) 또는 하부 지지대(540)),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상단 뚜껑 지지대(510)), 및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하단 뚜껑 지지대(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4 지지부는 음료 용기의 뚜껑(예: 도 5a 내지 도 5c의 뚜껑(250))을 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eg, the washing module 4 of FIG. 1 ),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A washing basket (eg, washing basket 3 in FIG. 1 , washing basket 200 or frame part 210 in FIG. 2 ), and a beverage container (eg, washing basket 200 or frame part 210 in FIGS. 2 to 5C )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It includes a washing frame configured to hold a beverage container 240) (eg,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of FIG. 2 ), and the washing frame is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module. A first support (eg, top washing frame 220a in FIGS. 3A to 5B ) comprising a support frame (eg, mounting portion 330 in FIGS. 3A to 5B ) configured to support a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at least partially A second support (for example, the lower washing frame 220b or lower support 540 of FIGS. 5A to 5C)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washing module and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A thir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eg, upper lid support 510 of FIGS. 5A to 5C ) and a fourth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eg, lower lid support portion of FIGS. 5A to 5C ( 520)), the third support part and the fourth support part may be configured to hold a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eg, the lid 250 of FIGS. 5A to 5C).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부(예: 도 3a 내지 도 5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는 상기 음료 용기(예: 도 2 내지 도 5c의 음료 용기(24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예: 도 3a 내지 도 5b의 보호 부분(32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은 부재가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support portion (eg,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to 5B)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eg, the beverage container 240 of FIGS. 2 to 5C). It includes at least one protective portion configured (eg, the protective portion 320 of FIGS. 3A to 5B ), and the member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portion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보호 부분(예: 도 3a 내지 도 5b의 보호 부분(320))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lurality of the protective parts (eg, the protective parts 320 of FIGS. 3A to 5B ) may be arranged at designated interv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하단 세척 프레임(220b) 또는 하부 지지대(540))는 중심부에 제 1 홀(예: 도 5b의 제 1 홀(540a)) 및 상기 제 1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예: 도 5b의 제 2 홀(540b))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support part (eg, the lower washing frame 220b or the lower support 540 of FIGS. 5A to 5C) has a first hole (eg, the first hole 540a of FIG. 5B ) in the center. )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eg, the second hole 540b of FIG. 5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제 2 홀들이 예: 도 5b의 제 2 홀(540b))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eg, the second hole 540b of FIG. 5B) may be arranged at designated interv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상단 뚜껑 지지대(510))는 하단 부에 제 1 홈(예: 도 5a 및 도 5c의 제 1 홈(5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하단 뚜껑 지지대(520))는 상단 부에 제 2 홈(예: 도 5a 및 도 5c의 제 2 홈(57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예: 도 5a 내지 도 5c의 뚜껑(25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support part (eg, the upper lid support 510 of FIGS. 5A to 5C) has a first groove (eg, the first groove 560 of FIGS. 5A and 5C) at a lower end. The fourth support part (eg, the lower lid support 520 of FIGS. 5A to 5C) includes a second groove (eg, the second groove 570 of FIGS. 5A and 5C) at the upper end,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eg, the lid 250 of FIGS. 5A to 5C).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홈(예: 도 5a 및 도 5c의 제 1 홈(560))과 상기 제 1 지지부(예: 도 3a 내지 도 5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의 거리는 상기 제 2 홈(예: 도 5a 및 도 5c의 제 2 홈(570))과 상기 제 2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하단 세척 프레임(220b) 또는 하부 지지대(540))의 거리보다 더 짧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지지부 또는 상기 제 2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예: 도 5a 내지 도 5c의 뚜껑(250))을 경사지게 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ove (eg, the first groove 560 of FIGS. 5A and 5C ) and the first support part (eg,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and 5B )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oove (eg, the second groove 570 in FIGS. 5A and 5C) and the second support (eg, the lower washing frame 220b or the lower support 540 in FIGS. 5A to 5C). By being configured short,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will be configured to tilt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eg, the lid 250 of FIGS. 5A to 5C)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or the second support. ca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지지부(예: 도 5a 내지 도 5c의 상단 뚜껑 지지대(510))는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예: 도 5a 내지 도 5c의 뚜껑(2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예: 도 3a 내지 도 5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support portion (eg, the upper lid support 510 of FIGS. 5A to 5C) 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d (eg, the lid 250 of FIGS. 5A to 5C)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art (eg,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to 5B).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부(예: 도 3a 내지 도 5b의 상단 세척 프레임(220a))는 상기 세척 바구니(예: 도 1의 세척 바구니(3), 도 2, 도 3a, 도 4a 및 도 4b의 측면 부분(210a))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리 형으로 구성되는 연결 부분(예: 도 3a 내지 도 5b의 연결 부분(31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support part (eg, the upper washing frame 220a of FIGS. 3A to 5B) is the washing basket (eg, the washing basket 3 of FIG. 1, 2, 3A, and 4A). and a connecting portion (eg, the connecting portion 310 of FIGS. 3A to 5B) configured in a ring shap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210a of FIG. 4B.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 모듈(예: 도 1의 세척 모듈(4))은 지정된 영역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집중 세척 모듈(예: 도 2의 집중 세척 모듈(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예: 도 2의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220))은 상기 집중 세척 모듈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washing module (eg, the washing module 4 of FIG. 1 ) further includes an intensive washing module (eg,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260 of FIG. 2 )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o a designated area, , The washing frame (eg,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 of FIG. 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세척 모듈(예: 도 1의 세척 모듈(4)), 상기 세척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세척 바구니(예: 도 1의 세척 바구니(3), 도 2의 세척 바구니(200) 또는 프레임 부분(210)), 및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된 실린더 형태의 세척 프레임(예: 도 6 내지 도 8의 음료 용기 세척 백(61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세척 프레임의 일 단에, 상기 세척 모듈과 대면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예: 도 8의 제3 홀(840))을 포함하며, 음료 용기(예: 도 8의 음료 용기(2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1 지지부(예: 도 8의 지지 구조(810))를 포함하고, 및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예: 도 8의 음료 용기의 뚜껑(250))을 수용 또는 거치하도록 구성된 제 2 지지부(예: 도 8 내지 도 9b의 뚜껑 홀더(8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 of FIG.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eg, the washing module 4 of FIG. 1 ),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disposed washing basket (eg, washing basket 3 in FIG. 1, washing basket 200 or frame portion 210 in FIG. 2), and a cylindrical washing frame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eg, FIGS. 6 to 6).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of FIG. 8), wherein the washing frame includes at least one first hole (eg, the third hole of FIG. 8 ) disposed to face the washing module at one end of the washing frame. hole 840), a first support (eg, support structure 810 of FIG. 8 ) configured to receive a beverage container (eg, beverage container 240 of FIG. 8 ), and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eg, the lid holder 820 of FIGS. 8 to 9B) configured to accommodate or mount the lid (eg, the lid 250 of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8).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부(예: 도 8의 지지 구조(810))는 상기 제 1 홀(예: 도 8의 제3 홀(8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예: 도 8의 제4 홀(85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support part (eg, the support structure 810 of FIG. 8 )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hol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eg, the third hole 840 of FIG. 8 ). A hole (eg, the fourth hole 850 of FIG. 8 ) may be includ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제 2 홀(예: 도 8의 제4 홀(850))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lurality of second holes (eg, the fourth holes 850 of FIG. 8 ) may be arranged at designated interv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지지부(예: 도 8 내지 도 9b의 뚜껑 홀더(820))는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예: 도 8의 음료 용기의 뚜껑(250))이 거치되는 안착 구조(예: 도 8 및 도 9a의 안착 구조(94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구조는 상기 안착 구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 구조(예: 도 8 및 도 9a의 돌출 구조(91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support (eg, the lid holder 820 of FIGS. 8 to 9B) is a s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eg, the lid 250 of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8) is mounted. (eg, the seating structure 940 of FIGS. 8 and 9A), and the seating structure is a protruding structure (eg, the protruding structure 910 of FIGS. 8 and 9A)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may be includ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지지부(예: 도 8 내지 도 9b의 뚜껑 홀더(820))는 상기 안착 구조(예: 도 8 및 도 9a의 안착 구조(940))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홀(예: 도 8 내지 도 9b의 홀 구조(92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support part (eg, the lid holder 820 of FIGS. 8 to 9B) is attached to the seating structure (eg, the seating structure 940 of FIGS. 8 and 9A) at least one third A hole (eg, the hole structure 920 of FIGS. 8 to 9B) may be includ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지지부(예: 도 8 내지 도 9b의 뚜껑 홀더(820))는 상기 돌출 구조(예: 도 8 및 도 9a의 돌출 구조(910))가 위치하는 제 1 면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예: 도 8 및 도 9b의 이음 구조(9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세척 프레임(예: 도 6 내지 도 8의 음료 용기 세척 백(610) 또는 도 8의 백 구조(800))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를 통해 상기 음료 용기(예: 도 8의 음료 용기(240))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support portion (eg, the lid holder 820 of FIGS. 8 to 9B) is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protruding structure (eg, the protruding structure 910 of FIGS. 8 and 9A) is located. and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eg, the joint structure 930 of FIGS. 8 and 9B)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shing frame (eg,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of FIGS. 6 to 8). 610 or the bag structure 800 of FIG. 8) through th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eg, may be configured to be seated in the beverage container 240 of FIG. 8).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예: 도 8 및 도 9b의 이음 구조(930))의 부재는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ember of th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eg, the joint structure 930 of FIGS. 8 and 9B )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이음 구조들(예: 도 8 및 도 9b의 이음 구조(930))은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eg, the joint structure 930 of FIGS. 8 and 9B ) may be arranged at designated interv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 프레임(예: 도 6 내지 도 8의 음료 용기 세척 백(610) 또는 도 8의 백 구조(800))의 부재는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ember of the washing frame (eg, the beverage container washing bag 610 of FIGS. 6 to 8 or the bag structure 800 of FIG. 8)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 모듈(예: 도 1의 세척 모듈(4))은 지정된 영역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집중 세척 모듈(예: 도 8의 집중 세척 모듈(8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예: 도 8의 지지 구조(810))는 상기 집중 세척 모듈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washing module (eg, the washing module 4 of FIG. 1 ) further includes an intensive washing module (eg,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830 of FIG. 8 )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o a designated area, , the first support part (eg, the support structure 810 of FIG. 8 )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1: 전자 장치 2: 세척조 4: 세척 모듈 5: 부하 구동부
3, 200: 세척 바구니
210: 프레임 부분
210a: 측면 부분
210b: 지지 부분
220: 음료 용기 세척 프레임
220a: 상단 세척 프레임
220b: 하단 세척 프레임
240: 음료 용기 250: 음료 용기의 뚜껑
310: 연결 부분 320: 보호 부분 330: 거치 부분
510: 상단 뚜껑 지지대
520: 하단 뚜껑 지지대
540: 하부 지지대
540a: 제1 홀 540b: 제2 홀
560: 제1 홈 570: 제2 홈
610: 음료 용기 세척 백
800: 백 구조
810: 지지 구조
820: 뚜껑 홀더
260, 830: 집중 세척 모듈
840: 제3 홀 850: 제4 홀
910: 돌출 구조
920: 홀 구조
930: 이음 구조
940: 안착 구조
DESCRIPTION OF SYMBOLS 1: electronic device 2: washing tank 4: washing module 5: load driving unit
3, 200: washing basket
210: frame part
210a: side part
210b: support part
220: beverage container washing frame
220a: upper washing frame
220b: lower washing frame
240: beverage container 250: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310: connection part 320: protection part 330: mounting part
510: top lid support
520: lower lid support
540: lower support
540a: first hole 540b: second hole
560: first groove 570: second groove
610: beverage container cleaning bag
800: bag structure
810: support structure
820: lid holder
260, 830: intensive cleaning module
840: 3rd hole 850: 4th hole
910: extruded structure
920: Hall structure
930: joint structure
940: seating structure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세척 모듈,
상기 세척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세척 바구니, 및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되며 음료 용기를 거치하도록 구성된 세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 모듈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음료 용기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지지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세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음료 용기의 한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4 지지부는 음료 용기의 뚜껑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A washing baske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and
A washing frame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nd configured to hold a beverage container;
The washing frame,
A first support portion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and including a support frame configur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module;
a second support disposed at least partially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washing module and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a beverage container;
A third support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and
And a fourth support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The third support part and the fourth support part are configured to hold a lid of a beverag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분은 부재가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rotective portion configured to contac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member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portion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보호 부분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protection portions are disposed at designated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중심부에 제 1 홀 및 상기 제 1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hole at a central portion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2 홀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4,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holes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하단 부에 제 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지지부는 상단 부에 제 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support includes a first groove at a lower end,
The fourth support part includes a second groove at the upper end,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configured to fix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1 지지부의 거리는 상기 제 2 홈과 상기 제 2 지지부의 거리보다 더 짧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지지부 또는 상기 제 2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을 경사지게 거치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first support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so that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or the second support.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tilt a lid of a beverag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uppor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세척 바구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리 형으로 구성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figured in a ring shape to be attachable to or detachable from the washing bas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은 지정된 영역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집중 세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집중 세척 모듈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module further includes an intensive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o a designated area;
The washing frame is disposed to face the intensive washing module.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세척 모듈,
상기 세척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세척 바구니, 및
상기 세척 바구니에 배치된 실린더 형태의 세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은,
상기 세척 프레임의 일 단에, 상기 세척 모듈과 대면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을 포함하며, 음료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을 수용 또는 거치하도록 구성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A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A washing baske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module, and
And a washing frame in the form of a cylinder disposed in the washing basket,
The washing frame,
At one end of the washing frame, a first support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hole disposed facing the washing module and configured to receive a beverage container,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econd support configured to accommodate or hold a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hol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2 홀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holes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음료 용기의 뚜껑이 거치되는 안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구조는 상기 안착 구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s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mounted,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ating structure includes a protruding structure spaced apart from a center of the seating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안착 구조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t least one third hole in the seating structur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돌출 구조가 위치하는 제 1 면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세척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를 통해 상기 음료 용기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protruding structure is located,
Th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support is secured to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inside the washing fram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음 구조의 부재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member of th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음 구조들은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disposed at designated interval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프레임의 부재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ember of the washing frame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은 지정된 영역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집중 세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집중 세척 모듈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washing module further includes an intensive washing modul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o a designated area;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support is disposed to face the intensive cleaning module.
KR1020210076743A 2021-06-14 2021-06-14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202201675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43A KR20220167589A (en) 2021-06-14 2021-06-14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43A KR20220167589A (en) 2021-06-14 2021-06-14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89A true KR20220167589A (en) 2022-12-21

Family

ID=8453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43A KR20220167589A (en) 2021-06-14 2021-06-14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5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642B2 (en) Dish basket for a dish washer
KR101054186B1 (en) Rack structure of dishwasher
US20060243681A1 (en) Basket for dishwashers
RU2568394C2 (en) Dishwasher
KR20050105711A (en) A rack structure of dish washer
KR20060135617A (en) Crockery basket comprising height-adjustable racks
KR20080027732A (en) Dish washer
KR101366287B1 (en)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KR20220167589A (en) Structure for washing beverage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240081607A1 (en) Washing apparatus
EP3302211B1 (en) Bottle washing accessory for use on the article rack of a dishwasher
JP4012704B2 (en) Container for storing tableware and cooking utensils
KR20220108537A (en) Washing Aparatus
KR960013162B1 (en) Cup holder apparatus in washing or rinsing machine for crockery
KR101037224B1 (en) Detergent vessel
JP4012703B2 (en) Dishwasher
KR101366286B1 (en) Dishwasher
JPH0833604A (en) Dish washer
KR20140002175U (en) Versatile dishwasher
KR100234112B1 (en) Dishwasher
KR200386307Y1 (en) Rack of dish washer
KR101138886B1 (en) Dish washer
KR20090024004A (en) Dishwasher
JP2001286429A (en) Dish washer
KR20060095354A (en) Dishwa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