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461A - Lig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Lig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461A
KR20220166461A KR1020210075222A KR20210075222A KR20220166461A KR 20220166461 A KR20220166461 A KR 20220166461A KR 1020210075222 A KR1020210075222 A KR 1020210075222A KR 20210075222 A KR20210075222 A KR 20210075222A KR 20220166461 A KR20220166461 A KR 20220166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arrel
umbilical
granuloma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7300B1 (en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21007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300B1/en
Publication of KR2022016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ation device for an umbilical granuloma,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which is to, when neoplasms grow and a granuloma is formed since an umbilical surface is not fully recovered after cutting an umbilical cord of a newborn, ligate the granuloma and cause granulomatous necrosis, that is, a ligation device capable of ligating an umbilical granuloma.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tool which is capable of, in the application of a method of tying an umbilical granuloma and causing necrosis of the umbilical granuloma in order to treat the neonatal umbilical granuloma, enabling an operator to easily and quickly tie and treat the umbilical granulom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and pain which may occur to a patient during a surgery or procedure in the treatment of a granuloma and reduce the time and costs for a treatment.

Description

배꼽 육아종 결찰건{Ligation apparatus}Umbilical granuloma ligation method {Lig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꼽 육아종 결찰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신생아의 탯줄을 자르고 난 뒤 배꼽면의 완전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신생물이 자라나서 육아종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결찰하여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 즉, 배꼽 육아종을 결찰시킬 수 있는 결찰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igation of umbilical granuloma. More specifically, after cutting the umbilical cord of the newborn, when the umbilical surface is not completely restored and the neoplasm grows and granuloma is formed, a device for necrotizing it by ligating it, that is, ligation capable of ligating the umbilical granuloma it's about the thing.

신생아의 탯줄은 출생 후 대략 1~2주를 지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탈락된다. 그리고 탯줄이 탈락한 이후 탯줄이 탈락한 자리에 배꼽면이 형성되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탯줄이 탈락한 이후 배꼽면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신생물이 자라나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배꼽 육아종, 제대폴립 또는 제대 육아종 등으로 부른다. The umbilical cord of a newborn is naturally eliminated after about 1 to 2 weeks after birth. And after the umbilical cord is detached, it is normal for the navel surface to form in the place where the umbilical cord is detached. However, after the umbilical cord is detached, the umbilical surface is not formed normally, and neoplasms grow and sometimes form a tumor as shown in FIG. 1, which is called an umbilical granuloma, an umbilical polyp, or an umbilical granuloma.

신생아에게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은 발생자리에 악취와 염증을 일으키며 심지어는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꼽 육아종이 생겼을 때는, 발생초기에 드레싱을 통하여 염증에 대한 관리를 하면서 질산은을 이용하여 약물적 소작을 시도하기도 한다. Umbilical granulomas occurring in newborns cause odor and inflammation at the site of occurrence, and even threaten the life of the newborn. Therefore, when umbilical granuloma occurs, pharmacological cauterization is attempted using silver nitrate while managing inflammation through a dressing at an early stage.

그런데, 배꼽 육아종의 크기가 커서 소작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실을 이용하여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킨 후 자연탈락을 유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육아종은 배꼽 속에 숨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숨어있는 육아종을 찾아서 시술하는 과정에서 아기가 심하게 울어 시술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신마취를 한 상태에서 수술장에서 전기적인 소작을 하거나 절제 수술을 해야 하는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However, in some cases, the size of the umbilical granuloma is so large that treatment using methods such as cauterization fails. In this case, the granuloma is necrotic by tying it with a thread and then inducing natural exfoliation. However, since granulomas are often hidden in the navel, in the process of finding and treating hidden granulomas, the baby cries so hard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erform the procedu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erform electrical cauterization or excisional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under general anesthesi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신생아의 제대 육아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제대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는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손쉽고 빠르게 묶어서 치료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육아종 치료에 있어 수술이나 시술 등의 과정에서 환자에게 발생 될 수 있는 위험과 통증을 저감시키고,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applying a method of ty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s in order to treat umbilical granulomas of newborns, by providing a tool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tied and treated, surgery in the treatment of granulomas Its purpose is to reduce the risk and pain that may occur to patients in the course of treatment or procedures, and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reat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앞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노리쇠 헤드의 위쪽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방아쇠;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축에 결합된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노리쇠를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총신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총신의 뒤쪽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bind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 generated in the navel of a newborn, comprising: a pistol-shaped main body having a handle and a barrel;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barrel; a bolt inserted into the cylinder to b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ength of the cylinder, and one end protruding forward of the barrel; a spring surrounding the bolt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 bolt head extending in a U-shape or L-shape at a portion of the bolt that protrudes forward of the barrel; A rod-shaped mounting rod fixed to the top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mounting hole into which a ligating thread can be inserted in the center; a trigger rotatably fixed around a rotation axis fixed to a point where the handle and the barrel meet, a lower portion of which can be pulled with a finger of a hand holding the handle,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bolt through a connecting shaft; When the lower side of the trigger is pulled, the upper side of the trigger coupled to the connecting shaft pushes the bolt and presses the spring, the support plate fitted to the bolt; a pusher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ixed to a rear edge of the barrel and having a ball and a push protrusion; and a press fram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barrel and having a groove thereon so that the ball can press and fix the ligature thread.

본 발명은 또한,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뒤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총신의 앞쪽 상부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제1연결축을 통하여 제1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방아쇠; 일단이 상기 제1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방아쇠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연결축을 통하여 제2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브라켓; 상기 총신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3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상기 제2브라켓;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제1브라켓을 밀면서 전달하는 힘에 의하여 회동되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노리쇠를 뒤쪽으로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노리쇠 헤드의 뒤쪽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노리쇠 헤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device for bind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 generated in the navel of a newborn, comprising: a pistol-shaped main body having a handle and a barrel;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ck of the barrel; a bolt inserted into the cylinder to b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ength of the cylinder and having one end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rrel; a spring surrounding the bolt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 bolt head extending in a U-shape at a portion of the bol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rrel; a rod-shaped mounting ro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arrel and having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a ligating thread can be inserted at the center; It is rotatably fixed around a first rotating shaft fixed at the point where the handle and the barrel meet, the lower part can be pulled with the fingers of the hand holding the handle, and the upper part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haft. trigger coupled; the first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rigg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 second bracket rotatably fixed around a second rotation shaft fixed to the barrel,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olt through a third connection shaft; When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is pulled, the second bracket, which is rotated by the force transmitted while the upper part of the trigger pushes the first bracket, pushes the bolt backward and presses the spring. ; A pusher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ixed to the back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ball and a push protrusion; and a press fram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groove thereon so that the ball can press and fix the ligature thread.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누름쇠는, - 상기 회동축에 의하여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이며, -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 상기 누름돌기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 상기 누름돌기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를 고정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장착봉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pusher is fixed at the bottom by the pivot shaft, the push protrusion protrudes upward, and the ball protrudes laterally so that its end faces downward, It has an '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 the rotation shaft includes a spring that rotates the pus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ll presses the groove of the press frame, - when the press protrusion is pressed down, the press As the pusher rotates around the pivoting axis and the ball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pusher frame, the fixation to the ligature thread is released, - when the pusher is released, the pusher is restor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gu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ature can be fixed by the ball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press frame. And in addition to this,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ion tend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art of the mounting rod has an ellipsoid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fro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은, 배꼽 육아종 하단부에 결찰사의 올가미를 손쉽고 빠르게 씌워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꼽 육아종 치료에 있어 환자의 고통과 위험부담을 저감시키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igator to be easily and quickly covered and tied at the lower end of the umbilical granuloma, thereby reducing the patient's pain and risk burden and saving time and cost in the treatment of umbilical granuloma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do it.

도 1은 배꼽 육아종의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실시예들에 대한 외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이 작동될 때 방아쇠 및 노리쇠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아쇠 및 노리쇠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case of umbilical granuloma.
Figure 2 shows an external side view of embodiments of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mponents included inside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movement of the trigger and the bolt when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gu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5 to 7 show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components included insid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the movement of the trigger and the bol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gu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characteristics become clear,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mit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of.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Embodiments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Her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배꼽 육아종의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배꼽 육아종의 하단부를 손쉽게 결찰함으로써, 배꼽 육아종이 자연 괴사되어 탈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은 도 2와 같은 외관 측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옆에서 측면 내부의 모습이며, 도 3(b)는 정면에서 바라다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FIG. 1 shows a case of umbilical granuloma.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asily ligating the lower end of the umbilical granuloma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umbilical granuloma is naturally necrotic and elimin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nal appearance as shown in FIG. 2 .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inside. Figure 3 (a) is a side view from the inside, Figure 3 (b) shows a view from the front.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120)와 총신(110)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권총 모양으로 하게 되면, 시술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bind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s generated in the navel of newborns, which has a pistol-shaped main body 100 having a handle 120 and a barrel 110. desirable. When it is made into a pistol shape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hold and operate the handle with one hand.

그리고 상기 총신(110)의 앞쪽 내부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130)의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110)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140)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1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barrel 110, and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130 is performed inside the cylinder 13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lt 140 that is inserted as possible and one end of which protrudes forward of the barrel 110.

또한, 상기 실린더(130) 안에는, 상기 노리쇠(140)를 둘러싸는 스프링(150)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노리쇠(140)가 상기 실린더(130) 안에서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상기 노리쇠(140)가 상기 총신(110)의 앞쪽으로 밀려가면, 상기 스프링(150)에 의하여 저지되는 힘을 받아서, 상기 노리쇠(140)가 뒤쪽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spring 150 surrounding the bolt 140 into the cylinder 130 . Accordingly, when the bolt 140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130, when the bolt 140 is pushed toward the front of the barrel 110, the spring 150 It is preferable to have a restoring force that the bolt 140 is restored to the rear by receiving the force blocked by the .

상기 노리쇠(140) 중 상기 총신(110)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ㄷ자 모양(도 2a) 또는 ㄴ자 모양(도 2b)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141)가 상기 노리쇠(140)에 일체가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리쇠 헤드(141)가 ㄷ자 모양인 경우에는, ㄷ자 모양의 위쪽 부분이 도 2(a)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총신(110)의 바깥 위쪽에 위치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bolt head 141 extending in a U-shape (FIG. 2A) or L-shape (FIG. 2B)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lt 140 at a portion of the bolt 140 protruding forward of the barrel 110 it is desirable to be In addition, when the bolt head 141 is shaped like a U,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of the U-shaped par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rrel 110 as shown in FIGS. 2(a) and 3 .

한편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위쪽에는 봉 형상의 장착봉(17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장착봉(170)은, 배꼽 육아종을 묶을 수 있는 실인 ‘결찰사(200)’의 한쪽에 매듭(220)을 이용하여 올가미(210)를 형성시킨 후 이를 장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장착봉(170)의 중심부에는 상기 결찰사(200)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17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봉(170)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ix a rod-shaped mounting rod 170 above the bolt head 141, and the mounting rod 170 is one side of the 'ligating thread 200', which is a thread capable of tying the umbilical granuloma. After forming the noose 210 using the knot 220, it is a component that can be mounted there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mounting hole 171 into which the ligating thread 200 can be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bar 17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ront part of the mounting bar 170 has an ellipsoidal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front.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총신(110)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고정쇠(121)에는 방아쇠(1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방아쇠(160)는 상기 고정쇠(121)에 고정되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120)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은 연결축(162)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14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igger 160 is coupled to the clamp 121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handle 120 and the barrel 110 meet. The trigger 160 is a rotational shaft fixed to the clamp 121 ( 161) to be rotatably fixed around the center,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160 to be able to pull the handle 120 with the fingers of the hand holding the handle, and the upper part of the trigger 160 to connect the connecting shaft 162 It is preferable to engage with the bolt 140 through.

또한, 상기 노리쇠(140) 중 상기 방아쇠(160)와 연결되는 쪽에는 지지판(179)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축(162)에 결합된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상기 노리쇠(140)를 밀면서 상기 지지판(179)도 밀게 되므로 상기 지지판(179)이 상기 스프링(150)을 누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 179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bolt 140 connected to the trigger 160 . Accordingly, when the lower side of the trigger 160 is pulled, the upper side of the trigger 160 coupled to the connecting shaft 162 pushes the bolt 140 and also pushes the support plate 179, so that the support plate 179 This spring 150 can be pressed.

한편, 상기 총신(110)의 뒤쪽 모서리에는 누름쇠(18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총신(110)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며, 공이(182) 및 누름돌기(18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총신의 뒤쪽 상부에는 누름틀(19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틀(190)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결찰사(200)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19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pusher 180 at the rear edge of the barrel 110, and the pusher 180 is centered around a pivot 181 fixed to the rear edge of the barrel 110. It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to include a ball 182 and a pressing protrusion 183.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ix the press frame 190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barrel, and the press frame 190 has a groove 191 at the top so that the ball 182 can press and fix the ligature 200. ) is preferred.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회동축(18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183)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182)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81)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180)를 회전시키는 누름쇠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183)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180)가 상기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20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누름돌기(183)를 자유롭게 놓게 되면, 상기 누름쇠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180)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200)를 고정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lower side of the pusher 180 is rotatably fixed by the pivot shaft 181, the pusher 183 protrudes upward, and the ball 182 protrudes laterally so that its end is lowered. It is a shape facing toward, and it is preferable to make an '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addition, the pivot shaft 181 includes a pusher spring (not shown) for rotating the pusher 18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ll 182 presses the groove 191 of the pusher frame 190. It is desirable to do Accordingly, when the push protrusion 183 is pressed downward, the pusher 180 rotates about the pivot shaft 181 so that the ball 182 moves from the groove 191 of the push frame 190. While being spaced apart, the fixation to the ligature 200 is released, and when the press protrusion 183 is freely released, the press 180 is restored by the force of the press spring, and the ball 182 By adhering to the groove 191 of the press frame 190, it is possible to fix the ligature thread 200.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이 작동될 때 방아쇠 및 노리쇠의 움직임을 차례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은 한쪽 끝에 상기 올가미(210)가 형성된 상기 결찰사(200)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사(200)의 한쪽 끝에 올가미(210)가 형성되도록 매듭(220)을 만든 후, 상기 결찰사(200)의 다른 쪽 끝을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끼워 뒤로 잡아당겨서,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를 상기 누름틀(190)의 홈에 놓고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겼다 놓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는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결찰사(200)의 앞쪽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매듭(220)이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FIGS. 3 and 4 sequentially show movements of a trigger and a bolt when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gu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irst, FIG. 3 is a view in which the ligature 200 having the noose 210 formed at one end is attached to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fter making a knot 220 so that a noose 2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gating thread 200, the other end of the ligating thread 20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rod 170. By inserting it into the hole 171 and pulling it backward, the end of the ligating thread 200 is placed in the groove of the pressing frame 190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83 of the pressing key 180 is pulled back and then released. The end of the 200 is fixed by the press frame 190 and the ball 182 of the press 180, and the front noose 210 of the ligature 200 is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bar 170. Since the knot 220 is caught in the mounting hole 171 of the mounting bar 170, the noose 210 remains fixed to the front of the mounting bar 170. .

이 상태에서 상기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을 뒤로 잡아당기면, 상기 방아쇠(160)가 상기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에 연결된 상기 노리쇠(140)가 앞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봉(170)과 상기 누름틀(19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찰사(200)의 올가미(210)가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를 당길수록 상기 올가미(210)는 점점 오므라들어서 작아지게 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a), when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160 is pulled back, the trigger 160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161,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trigger 160 It moves forward, and accordingly, the bolt 140 connected to the trigger 160 is pushed forward.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bar 170 and the pressing frame 190 becomes farther. Therefore, since the noose 210 of the ligature 200 is pulled, the more the trigger 160 is pulled, the more the noose 210 shrinks and becomes smaller.

그리고, 상기 올가미(210)가 적절하게 당겨져서 오므라들은 상태에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겨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 사이에 눌려서 고정되어 있던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noose 210 is properly pulled and retracted, as shown in FIG. 4 (b),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183 of the pressing key 180 is pulled back and pressed, the pressing frame 190 The tip of the ligature thread 200, which was fixed by being pressed between the presser 180 and the ball 182, comes out. Also, when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the tip of the ligature thread 200 comes out of the mounting hole 171 of the mounting rod 17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의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배꼽 육아종을 결찰하여 괴사시키는 방법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을 이용하여 배꼽 육아종을 결찰하여 괴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 및 도 5(b)는 한쪽 끝에 상기 올가미(210)가 형성된 상기 결찰사(200)가 상기 결찰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환자의 복부(410)에 형성된 육아종(400)에 상기 올가미(210)를 씌우는 모습이다. 상기 육아종(400)에 상기 올가미(210)를 원활하게 씌우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겸자(300)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겸자(300)는 적정한 길이의 집게 모양으로서, 상기 육아종(400)의 상부를 찝어서 고정시켜 놓은 후, 상기 올가미(210)를 상기 겸자(300)에 끼워서 내리게 되면 상기 올가미(210)가 상기 육아종(400)의 하단부까지 내려오게 된다. A method of ligating and necrotizing an umbilical granuloma us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5 to 7 . Hereinafter, a method of ligating and necrotizing an umbilical granuloma using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ing tend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First, FIGS. 5(a) and 5(b) show a granuloma ( 400) is covered with the noose 210. In order to smoothly cover the snare 210 on the granuloma 400,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forceps 300 as shown in FIG. 5. The forceps 300 are in the shape of forceps with an appropriate length, and after pinching and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granuloma 400, when the noose 210 is inserted into the forceps 300 and lowered, the noose 210 removes the granuloma. It comes down to the lower end of 400.

그리고,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파란색 원형 내부 참조) 상기 방아쇠(160)을 뒤로 당기면 상기 노리쇠(140)가 앞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올가미(210)를 조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올가미(210)는 상기 육아종(400)의 하단부를 꽉 조인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파란색 원형 내부 참조)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누르면 상기 결찰사(200)가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 사이에서 빠져나와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결찰건(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 6 (a) (refer to the inside of the blue circle), when the trigger 160 is pulled backward, the bolt 140 protrudes forward and tightens the snare 210. Accordingly, the snare 210 can tightly tighten the lower end of the granuloma 400 .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b) (refer to the inside of the blue circle),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183 of the pressing key 180 is pressed backward, the ligature 20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frame 190 and the pressing key. The ball of 180 comes out between 182 and becomes free. When the ligature gun 10 is pulled, the tip of the ligature 200 comes out of the mounting hole 171 of the mounting bar 170.

그 후,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사(200)를 단단히 묶어준 뒤, 도 7(b)에서 처럼 상기 겸자(300)를 제거해 주게 되면 결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놔두게 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육아종(400)의 상부(402)는 괴사되어 자연 탈락되고, 상기 육아종(400)의 하부(401)만 남아서 배꼽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fter that, as shown in FIG. 7(a), the ligature 200 is tightly tied, and then the forceps 300 are removed as shown in FIG. 7(b) to complete the ligation. If left in such a state for a long time, the upper part 402 of the granuloma 400 is necrotic and naturally eliminated over time, and only the lower part 401 of the granuloma 400 remains to form the navel surface It will be.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본적인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이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리쇠(140)가 앞쪽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올가미(210)를 조여주는 실시예이지만, 본 실시예는, 상기 노리쇠(140)가 뒤쪽으로 후퇴하면서 앞쪽에 있는 상기 올가미(210)를 조여주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또한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 이유로, 손잡이(120)와 총신(110)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1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FIGS. 8 and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9 has the same basic principle as the previous embodiment, but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bolt 140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nare 210 is tightened while moving forward, In this embodiment, the bolt 140 tightens the noose 210 in the front while retracting backward. 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This embodiment, 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s also a device for bind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 generated in the navel of a newborn, for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 pistol having a handle 120 and a barrel 1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body 100 of the shape.

그리고 상기 총신(100)의 뒤쪽 내부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30)의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110)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140)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1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ck of the barrel 100. Inside the cylinder 13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lt 140 inserted to be reciprocat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ylinder 130 and one end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rrel 110. Do.

또한, 상기 실린더(130) 안에는, 상기 노리쇠(140)를 둘러싸는 스프링(150)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노리쇠(140)가 상기 실린더(130) 안에서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상기 노리쇠(140)를 상기 총신(110)의 뒤쪽으로 밀면 상기 스프링(150)에 의하여 저지되는 힘을 받아서, 상기 노리쇠(140)가 앞쪽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spring 150 surrounding the bolt 140 into the cylinder 130 . Accordingly, when the bolt 140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130, when the bolt 140 is pushed toward the rear of the barrel 110, the spring 150 It is preferable to have a restoring force in which the bolt 140 is restored forward by receiving the restrained force.

상기 노리쇠(140) 중 상기 총신(110)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ㄷ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141)가 상기 노리쇠(140)에 일체가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리쇠 헤드(141)의 ㄷ자 모양의 위쪽은 상기 총신(110)의 뒤쪽 바깥 위에 위치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bolt head 141 extending in a U-shap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lt 140 at a portion of the bolt 140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rrel 1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shaped upper part of the bolt head 141 is positioned and coupled to the rear outside of the barrel 110.

한편 상기 총신(110)의 앞쪽 위에는 봉 형상의 장착봉(17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장착봉(170)은, 배꼽 육아종을 묶을 수 있는 실인 ‘결찰사(200)’의 한쪽에 매듭(220)을 이용하여 올가미(210)를 형성시킨 후 이를 장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장착봉(170)의 중심부에는 상기 결찰사(200)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17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봉(170)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ix a rod-shaped mounting rod 170 on the front side of the barrel 110, and the mounting rod 17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igature thread 200', which is a thread capable of tying an umbilical granuloma. It is a component that can be mounted after forming the noose 210 using the knot 2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mounting hole 171 into which the ligating thread 200 can be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bar 17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ront part of the mounting bar 170 has an ellipsoidal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front.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총신(110)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고정쇠(121)에는 방아쇠(1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방아쇠(160)는 상기 고정쇠(121)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120)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은 제1연결축(166)을 통하여 제1브라켓(163)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163)은, 일단이 상기 제1연결축(166)을 통하여 상기 방아쇠(160)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연결축(167)을 통하여 제2브라켓(164)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igger 160 is coupled to the fixing metal 121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handle 120 and the barrel 110 meet. It is rotatably fix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65,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160 is so that the handle 120 can be pulled with the fingers of the hand holding the grip, and the upper part of the trigger 160 is the first connecting shaft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63 through (166). In addition, the first bracket 163 has one end coupled to the trigger 160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haft 166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164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67.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em at one time.

또한, 상기 제2브라켓(164)은, 상기 총신(110)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16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그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167)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163)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3연결축(169)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14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상기 제1브라켓(163)을 밀면서 앞쪽으로 전달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2브라켓(164)의 아래쪽을 앞으로 밀게 되며, 상기 제2브라켓(164)의 아래쪽이 앞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제2브라켓(164)은 상기 제2회전축(16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164)의 위쪽은 상기 노리쇠(140)를 뒤쪽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제2브라켓(164)이 상기 노리쇠(140)를 뒤로 후퇴시키면서 상기 지지판(179)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150)을 눌러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bracket 164 is rotatably fixed arou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68 fixed to the barrel 110, and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164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67. 1 is coupled to the bracket 163, and the other e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bolt 140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shaft 169. Accordingly, when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160 is pulled, the trigger 160 ) pushe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racket 164 forward by the force transmitted forward while pushing the first bracket 163, and whe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racket 164 is pushed forward, The second bracket 164 rotates arou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68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racket 164 pushes the bolt 140 backward, so that the second bracket 164 is attached to the bolt. While retracting the 140 backward, the support plate 179 is pressed, and thus the spring 150 is pressed.

한편,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뒤쪽에는 누름쇠(18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며, 공이(182) 및 누름돌기(18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뒤쪽 상부에는 누름틀(19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틀(190)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결찰사(200)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19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pusher 180 at the rear of the bolt head 141, and the pusher 180 is centered around a rotation shaft 181 fixed to the rear edge of the bolt head 141. It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to include a ball 182 and a pressing protrusion 183.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ix the press frame 190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bolt head 141, and the press frame 190 has an upper part so that the ball 182 can press and fix the ligature thread 200. It is preferable to have a groove 191 in.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회동축(18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183)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182)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81)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180)를 회전시키는 누름쇠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183)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180)가 상기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20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누름돌기(183)를 자유롭게 놓게 되면, 상기 누름쇠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180)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200)를 고정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lower part of the pusher 180 is rotatably fixed by the pivot shaft 181, the pusher 183 protrudes upward, and the ball 182 protrudes laterally so that its end is lowered. It is a shape facing toward, and it is preferable to make an '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addition, the pivot shaft 181 includes a pusher spring (not shown) for rotating the pusher 18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ll 182 presses the groove 191 of the pusher frame 190 it is desirable Accordingly, when the push protrusion 183 is pressed downward, the pusher 180 rotates about the pivot shaft 181 so that the ball 182 moves from the groove 191 of the push frame 190. While being spaced apart, the fixation to the ligature 200 is released, and when the press protrusion 183 is freely released, the press 180 is restored by the force of the press spring, and the ball 182 By adhering to the groove 191 of the press frame 190, it is possible to fix the ligature thread 200.

도 8 및 도 9에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찰건(10)이 작동될 때 상기 방아쇠(160) 및 상기 노리쇠(140)의 움직임이 서로 비교될 수 있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는데, 먼저, 도 8은 한쪽 끝에 상기 올가미(210)가 형성된 상기 결찰사(200)가 상기 결찰건(1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사(200)의 한쪽 끝에 올가미(210)가 형성되도록 매듭(220)을 만든 후, 상기 결찰사(200)의 다른 쪽 끝을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끼워 뒤로 잡아당겨서 그 끄트머리를 상기 누름틀(190)의 홈에 놓고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겼다 놓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뒤쪽 끄트머리는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결찰사(200)의 앞쪽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매듭(220)이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8 and 9 show a picture in which the movements of the trigger 160 and the bolt 140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when the ligature gun 10 is operated in this embodiment. First, FIG. 8 is a state in which the ligature 200 having the noose 210 formed at one end is mounted on the ligature gun 10. As shown in FIG. 8, after making a knot 220 so that a noose 2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gating thread 200, the other end of the ligating thread 20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rod 170.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183 of the presser 180 is pulled back by inserting it into the hole 171 and pulling it back, placing its end in the groove of the pressing frame 190, then pulling back and releasing the pressing protrusion 183 of the presser 180, the rear end of the ligature thread 200 The press frame 190 and the press 180 are fixed by the ball 182, and the front noose 210 of the ligature 2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mounting rod 170, Since the knot 220 is caught in the mounting hole 171 of the mounting bar 170, the noose 210 is maintained in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bar 170.

이 상태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을 뒤로 잡아당기면, 상기 방아쇠(160)가 상기 제1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에 연결된 상기 제1브라켓(163) 및 상기 제2브라켓(164)를 차례대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노리쇠(140)가 뒤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장착봉(170)과 상기 누름틀(19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찰사(200)의 올가미(210)가 당겨져서 오므라들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를 당길 수록 상기 올가미(210)는 오므라들어서 점점 작아지게 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9, when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160 is pulled back, the trigger 160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al shaft 165, so the upper part of the trigger 160 is forward. Accordingly, since the first bracket 163 and the second bracket 164 connected to the trigger 160 are sequentially moved, the bolt 140 is pushed backward.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bar 170 and the pressing frame 190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noose 210 of the ligation thread 200 is pulled and closed, so the more the trigger 160 is pulled, the more The noose 210 shrinks and becomes smaller and smaller.

그리고, 상기 올가미(210)가 적절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겨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 사이에 눌려서 고정되어 있던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배꼽 육아종을 결찰하여 괴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앞서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ush protrusion 183 of the push key 180 is pulled back and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noose 210 is properly pulled, the push frame 190 and the ball 182 of the push key 180 The tip of the ligature thread 200, which was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m, comes out. Also, when the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tend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the tip of the ligature thread 200 comes out of the mounting hole 171 of the mounting rod 170. A method of ligation and necrosis of an umbilical granuloma using this operating principl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so it will be omitted.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결찰건
100 본체
110 총신 111 노리쇠 인출구
120 손잡이 121 고정쇠
130 실린더 140 노리쇠
141 노리쇠 헤드 150 스프링
160 방아쇠 161 회전축
162 연결축 163 제1브라켓
164 제2브라켓 165 제1회전축
166 제1연결축 167 제2연결축
168 제2회전축 169 제3연결축
170 장착봉 171 장착구멍
179 지지판 180 누름쇠
181 회동축 182 공이
183 누름돌기
190 누름틀 191 홈
200 결찰사
210 올가미 220 매듭
300 겸자
400 육아종
401 육아종 하부 402 육아종 상부
410 복부
10 ligation cases
100 body
110 barrel 111 bolt outlet
120 handle 121 clamp
130 cylinder 140 bolt
141 bolt head 150 spring
160 trigger 161 pivot
162 Connection shaft 163 1st bracket
164 2nd bracket 165 1st rotating shaft
166 1st connecting shaft 167 2nd connecting shaft
168 2nd rotary shaft 169 3rd connecting shaft
170 mounting rod 171 mounting hole
179 support plate 180 pusher
181 pivot 182 ball
183 press
190 Presser 191 Home
200 ligature
210 Lasso 220 Knot
300 forceps
400 Granuloma
401 lower granuloma 402 upper granuloma
410 abdomen

Claims (4)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앞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노리쇠 헤드의 위쪽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방아쇠;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축에 결합된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노리쇠를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총신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총신의 뒤쪽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As a device for bind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s generated in the navel of newborns,
a pistol-shaped body with a handle and barrel;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barrel;
a bolt inserted into the cylinder to b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ength of the cylinder, and one end protruding forward of the barrel;
a spring surrounding the bolt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 bolt head extending in a U-shape or L-shape at a portion of the bolt that protrudes forward of the barrel;
A rod-shaped mounting rod fixed to the top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mounting hole into which a ligating thread can be inserted in the center;
a trigger rotatably fixed around a rotation axis fixed to a point where the handle and the barrel meet, a lower portion of which can be pulled with a finger of a hand holding the handle,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bolt through a connecting shaft;
When the lower side of the trigger is pulled, the upper side of the trigger coupled to the connecting shaft pushes the bolt and presses the spring, the support plate fitted to the bolt;
a pusher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ixed to a rear edge of the barrel and having a ball and a push protrusion; and
An umbilical granuloma ligating gu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 frame fixed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barrel and having a groove on the upper part so that the ball can press and fix the ligature thread.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뒤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총신의 앞쪽 상부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제1연결축을 통하여 제1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방아쇠;
일단이 상기 제1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방아쇠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연결축을 통하여 제2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브라켓;
상기 총신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3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상기 제2브라켓;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제1브라켓을 밀면서 전달하는 힘에 의하여 회동되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노리쇠를 뒤쪽으로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노리쇠 헤드의 뒤쪽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노리쇠 헤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As a device for binding and necrotizing umbilical granulomas generated in the navel of newborns,
a pistol-shaped body with a handle and barrel;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ck of the barrel;
a bolt inserted into the cylinder to b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ength of the cylinder and having one end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rrel;
a spring surrounding the bolt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 bolt head extending in a U-shape at a portion of the bol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rrel;
a rod-shaped mounting ro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arrel and having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a ligating thread can be inserted at the center;
It is rotatably fixed around a first rotating shaft fixed at the point where the handle and the barrel meet, the lower part can be pulled with the fingers of the hand holding the handle, and the upper part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haft. trigger coupled;
the first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rigg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 second bracket rotatably fixed around a second rotation shaft fixed to the barrel,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olt through a third connection shaft;
When the lower part of the trigger is pulled, the second bracket, which is rotated by the force transmitted while the upper part of the trigger pushes the first bracket, pushes the bolt backward and presses the spring. ;
A pusher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ixed to the back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ball and a push protrusion; and
An umbilical granuloma ligature gun comprising a; press fram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groove on the top so that the ball can press and fix the ligature threa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쇠는,
- 상기 회동축에 의하여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이며,
-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 상기 누름돌기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 상기 누름돌기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를 고정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ush key,
- The bottom is fixed by the pivot shaft, the push protrusion protrudes upward, and the ball protrudes sideways so that its end points downward, so that the side view is 'r' shape,
- The pivot shaft includes a spring for rotating the pus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ll presses the groove of the push frame,
-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is pressed down, the pressing member rotates around the rotational shaft so that the ball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pressing frame and the fixation to the ligature is released,
- When the press protrusion is released, the press is restor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and the ball sticks to the groove of the press frame so that the ligature can be fix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봉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ront part of the mounting rod is an umbilical granuloma ligation tend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lipsoid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front
KR1020210075222A 2021-06-10 2021-06-10 Ligation apparatus KR102527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22A KR102527300B1 (en) 2021-06-10 2021-06-10 Lig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22A KR102527300B1 (en) 2021-06-10 2021-06-10 Lig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61A true KR20220166461A (en) 2022-12-19
KR102527300B1 KR102527300B1 (en) 2023-04-27

Family

ID=8453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222A KR102527300B1 (en) 2021-06-10 2021-06-10 Lig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3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138A (en) * 1970-08-17 1972-08-29 Robert K Jarvik Repeating ligature gun
US20030050650A1 (en) * 2000-03-27 2003-03-13 Field Frederic P.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KR20180137503A (en) * 2016-04-15 2018-12-27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Devices for implanting medical devices
KR20210000286U (en) * 2019-02-14 2021-02-03 허난 투오렌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Reusable anal rectal lig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138A (en) * 1970-08-17 1972-08-29 Robert K Jarvik Repeating ligature gun
US20030050650A1 (en) * 2000-03-27 2003-03-13 Field Frederic P.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KR20180137503A (en) * 2016-04-15 2018-12-27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Devices for implanting medical devices
KR20210000286U (en) * 2019-02-14 2021-02-03 허난 투오렌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Reusable anal rectal lig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300B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7680A (en) Sutu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endoscopic procedures
US5957936A (en) Instrument assemblies for performing anatomical tissue ligation
US5336229A (en) Dual ligating and dividing apparatus
US5921993A (en) Methods of endoscopic tubal ligation
US5851209A (en) Bone cerclage tool
US20160317155A1 (en) Atrial-appendage ligation treatment tool and atrial-appendage ligation system
US5261917A (en) Suture tying forceps with a plurality of suture holders and method of tying a suture
US6921408B2 (en) Apparatus for sewing tissue and method of use
JP48554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US8512362B2 (en) Endoscopic ligation
US200301874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object from a body
CA2288189A1 (en) Suturing instrument with multiple rotatably mounted offset needle holder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8500506A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AU5026596A (en) Needl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suturing tissue
WO2015176361A1 (en) Hemostatic clip
TW201822720A (en) System and method for suture trimming
JPH0767457B2 (en) Surgical suture instrument
JP6305763B2 (en) Suture threader with release mechanism
US11045186B2 (en) Endoscopic suturing needle loader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60030036A1 (en) Endoscopic Suturing Needle Loader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23126438A (en)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retraction
KR102527300B1 (en) Ligation apparatus
US20040236349A1 (en) Cervical tenaculum
US3426757A (en) Ligating hemostat for applying a noose with a locking disc
KR102446312B1 (en) Ligating device to dissect linear stalk of polyp or tube-lik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