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441A -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441A
KR20220166441A KR1020210075166A KR20210075166A KR20220166441A KR 20220166441 A KR20220166441 A KR 20220166441A KR 1020210075166 A KR1020210075166 A KR 1020210075166A KR 20210075166 A KR20210075166 A KR 20210075166A KR 20220166441 A KR20220166441 A KR 20220166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etainer
bearing
retainer memb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3648B1 (en
Inventor
장건우
Original Assignee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648B1/en
Publication of KR2022016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62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8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ball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1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4641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retainer member, a bearing retainer and a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wherein a rolling-element bearing capable of supporting a member rotating at high speed to be able to rotate can be assembled. The retainer memb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ring-shaped retainer member forming a circular space configured to pass a shaft member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may comprise: a plurality of insertion parts having a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part of a rolling element on one side to define part of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lling element and arranged at designed intervals; a plurality of first combination part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arranged at designed intervals; and combina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mbination parts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mbination protrusions may include: a circular protrusion head; and a protrusion neck extending between the protrusion head and the first combination part.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protrusion head to the first combination part can correspond to half the width of the first combination part.

Description

리테이너 부재, 베어링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회전체 베어링{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tating bearing having the same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체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회전체 베어링을 조립하기 위한 리테이너 부재, 베어링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회전체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bear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tainer member for assembling a rotary bearing capable of rotatably supporting a member rotating at high speed, a bearing retainer, and a rotary bearing having the same.

베어링이란 기계 장치에서 움직이는 부재를 서로에 대해 지지하여 구동력이 올바른 방향으로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일컫는다. 베어링은 예를 들어 회전하는 샤프트가 회전하지 않는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적용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Bearing refers to a structure for supporting moving members of a mechanical devic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ransmitting driving force in the right direction with minimal loss. Bearings can be used, for example, to minimize friction, applied where a rotating shaft is supported by another non-rotating member.

회전하는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의 베어링에는 슬라이딩 베어링 및 회전체 베어링 등이 포함되는데, 슬라이딩 베어링은 단지 마찰력이 적은 재료의 의존하는 것으로서 회전하는 샤프트가 금속 슬리브 등과 같이 큰 마찰력을 초래하지 않는 부재 내측에 지지된다. 여기서 샤프트와 베어링은 샤프트의 외주면의 면적 전체에 걸쳐 접촉하여 마찰력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샤프트에 고속의 회전이 요구되거나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 마찰력을 더 줄일 수 있는 회전체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Bearings used to support a rotating shaft include sliding bearings and rotary bearings. Sliding bearings rely only on materials with low frictional force, and the rotating shaft is placed inside a member that does not cause large frictional force, such as a metal sleeve. is supported on Here, the shaft and the bearing have a limit in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y contacting over the entire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herefore, when the shaft requires high-speed rotation or high durability, a rotating bearing that can further reduce the frictional force is used. .

회전체 베어링에서는 외측 링과 내측 링 사이에 볼, 롤러 등의 회전체를 배치하되, 외측 링과 내측 링 사이에 리테이너를 구비하여 회전체들이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리테이너는 하나의 리테이너 부재로 구성되어 회전체가 수용되는 공간들이 축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베어링 설치시 회전체가 개방된 부분을 통해 리테이너 부재에 삽입된다.In the rotary bearing, a rotating body such as a ball or roll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but a retainer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bodies. The re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one retainer member, and spaces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accommodated are open in on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otat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member through the open portion when installing the bearing.

한편, 회전체 베어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 부재에 관련된 것이어서 주로 회전 방향 및 방사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축방향으로도 다소 힘이 가해진다. 즉, 샤프트나 베어링에 축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는 차치하고도, 샤프트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회전체들이 함께 고속으로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한 부품의 변형, 부품의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해 회전체들은 다양한 각도로 외측 링, 내측 링 및 리테이너의 표면에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방향의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축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회전체는 리테이너의 개방된 부분에서 걸림 현상을 초래하여 베어링의 마찰을 증가시키거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tary bearing is related to a shaft member that rotates around a rotational axis, force is applied mainly in the rotational and radial directions, but also to some extent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apart from the case whe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haft or bearing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shaft rotates at high speed and the rotating bodies rotate together at high speed, deformation of parts due to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tolerance of parts, etc. They impinge on the surfaces of the outer ring, inner ring and retainer at various angles, and thus axial forces may be applied. When an axial force is applied, the rotating body may cause a jamming phenomenon in the open portion of the retainer, increasing friction of the bearing or causing mal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속 회전 및 외력으로 인해 축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리테이너 부재, 베어링 리테이너 및 회전체 베어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er member that can maintain integrity even in a situation where axial force is applied due to high-speed rotation and external force, a bearing retainer and a rotating bearing is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재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원형 공간을 형성하는 환형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로서, 일측에 회전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의 일부를 정의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삽입부;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결합돌기는, 원형 형상의 돌기헤드; 및 상기 돌기헤드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 연장되는 돌기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헤드의 원형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A retainer memb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nular retainer member forming a circular space configured to pass a shaf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a rotating body is formed on one side to A plurality of insertion parts arranged spaced apart at designed intervals and defining a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hol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esigned intervals;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rotruding head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protruding neck extending between the protruding hea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a distance from a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protruding hea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correspond to half of a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기넥이 상기 제1 결합부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돌기헤드의 지름과 같고 상기 돌기넥이 상기 돌기헤드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돌기헤드의 지름보다 작아 상기 결합돌기가 키홀(keyhole)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넥의 양측 변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에 대해 65~7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A retain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neck meets the first coupling part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head, and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neck meets the protruding hea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hea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A keyhole shape may be formed.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neck may form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respectively.

리테이너 부재는,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교호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음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는 인접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부는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폭을 갖고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부재가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retain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ortion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s and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s;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 and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can be located in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ortions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same width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retainer member is left-right symmetrical.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위의 리테이너 부재 2개가 결합되어 형성된 베어링 리테이너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aring retainer formed by combining the above two retainer memb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 베어링으로서, 환형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 외측 레이스가 형성된 외측 링; 상기 외측 링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설계된 간격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리테이너;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외측 레이스 및 내측 레이스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회전체;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 내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내측 레이스가 형성된 내측 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는 제1 리테이너 부재와 제2 리테이너 부재가 복수의 결합돌기와 복수의 결합홈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리테이너 부재와 상기 제2 리테이너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회전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의 일부를 정의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삽입부;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는, 원형 형상의 돌기헤드; 및 상기 돌기헤드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 연장되는 돌기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헤드의 원형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A rotary bear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bearing for rotatably supporting a shaft member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comprising: an outer ring having an annular shape and having an outer rac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earing retainer disposed inside the outer r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penetrating in a radial direction at designed interval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and formed to contact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It may include an inner ring disposed inside the bearing retainer and having the inner ra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irst retainer member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are coupled by engagement of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It may be formed, at least one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otating body is formed on one side to define a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body, A plurality of insertion parts disposed spaced apart at designed interval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esigned intervals;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rotruding head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protruding neck extending between the protruding hea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a distance from a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protruding hea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correspond to half of a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re 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에서는, 상기 회전체가 원기둥 형상을 가진 롤러일 수 있고, 상기 외측 레이스와 상기 내측 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깊이로 함몰된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양측에 상기 제1 깊이보다 큰 제2 깊이로 함몰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rotat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may be a roll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t least one of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includes a tread recessed to a first depth; and grooves recessed to a second depth greater than the first depth on both sides of the trea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er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의 응력이 리테이너 부재 전체에 걸쳐 분산되도록 하여 리테이너 부재 사이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은 이유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ded release of engagement between retainer members by distributing 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over the entire retainer me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리테이너가 서로 동일한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 리테이너의 제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ing of the bearing retainer can be simplified by allowing the bearing retainer to be composed of retainer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가 올바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efects by maintain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otating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의 외측 링, 베어링 리테이너 및 내측 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의 외측 링, 베어링 리테이너 및 내측 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bea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ry bea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uter ring, a bearing retainer, and an inner ring of a rotary bea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tain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bea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body bea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uter ring, a bearing retainer, and an inner ring of a rotary bea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er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10)의 외측 링(150), 베어링 리테이너(100) 및 내측 링(17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bearing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ry bearing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er ring 150, the bearing retainer 100, and the inner ring 170 of the rotary bearing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tainer member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10)은 크게 외측 링(150), 베어링 리테이너(100), 회전체(140) 및 내측 링(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더 잘 보이도록 외측 링(150)을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1 to 4, the rotating body bearing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n outer ring 150, a bearing retainer 100, a rotating body 140, and an inner ring 170 can do. In Figure 1, the outer ring 150 is represented by dotted lines to better see the remaining components.

외측 링(150)은 환형 형상을 가진 부재로서, 환형 형상의 내주면에는 외측 레이스(16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레이스(160)는 레이스(race), 즉 회전체(140)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부분으로서, 외측 링(150) 내주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소정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외측 링(150)의 재질로는 낮은 마찰력을 제공하고 내구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또는 PEEK(Polyether ether ketone)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outer ring 150 is a member having an annular shape, and an outer race 160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shape. The outer race 160 is a race, that is, a part where the rotating body 140 contacts and moves, and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compared to the res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150. As the material of the outer ring 150, a material that provides low frictional force and has high durability may be used.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y be used.

베어링 리테이너(100)는 외측 링(150)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환형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수용공간(130)을 포함한다. 수용공간(130)의 형상은 해당 위치에서 회전체(140)가 베어링 리테이너(100)의 외면에서 갖는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베어링 리테이너(100)는 2개의 리테이너 부재(101, 10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earing retainer 100 is a member disposed inside the outer ring 150 and has an annular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30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body 14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retainer 10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depicted in FIGS. 1 and 3 , the bearing retainer 1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wo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

회전체(140)는 베어링 리테이너(100)의 수용공간(130)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외측 링(150)과 내측 링(170) 사이를 매개하는 부재이다. 회전체(140)에는 낮은 마찰력과 특히 높은 내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회전체(140)는 예를 들어 PEEK 또는 ZrO2 함유 세라믹 등의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40 is a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30 of the bearing retainer 100 and mediates between the outer ring 150 and the inner ring 170 . Low frictional force and particularly high durability may be required for the rotating body 140 . The rotating body 140 may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such as PEEK or ceramic containing ZrO2.

도 1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40)가 구체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체 베어링(10)은 볼 베어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회전체(140)가 구체 형상을 가지므로 수용공간(13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140)는 구체 형상을 가져 외측 링(150)과 내측 링(170) 각각에 대해 점접촉을 하므로 부품 사이에 매우 낮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As confirmed in FIG. 1 ,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140 may have a spherical shape, and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bearing 10 may be regarded as corresponding to a ball bearing. Since the rotating body 140 has a spherical shape, the accommodating space 1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ince the rotating body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spherical shape and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ring 150 and the inner ring 170, respectively, it can provide very low frictional force between parts.

내측 링(170)은 베어링 리테이너(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환형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내측 레이스(18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레이스(180)는 회전체(140)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부분으로서, 내측 링(170)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소정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내측 링(150)의 재질로는 마찬가지로 낮은 마찰력을 제공하고 내구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또는 PEEK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ner ring 170 is a member disposed inside the bearing retainer 100 and has an annular shape, and an inner race 180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inner race 180 is a part that the rotating body 140 contacts and moves, and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compared to the re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ng 170 . As the material of the inner ring 150, a material similarly providing low frictional force and strong durability may be used, and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such as PEEK may be used.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체(140)의 지름은 외측 링(150)과 내측 링(170)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다만, 회전체(140)는 외측 레이스(160)와 내측 레이스(180)로 인해 확장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14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ring 150 and the inner ring 170. However, the rotating body 140 may be inserted into an expanded space due to the outer race 160 and the inner race 180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체(140)가 구체인 경우, 외측 레이스(160)는 도 2 및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측 레이스(160)의 원호 형상의 곡률반경은 회전체(140)의 반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외측 레이스(160)의 곡률반경이 회전체(140)의 반경과 가까울수록 외측 레이스(160)의 제한에 의해 회전체(140)가 올바른 위치를 유지하는 효과는 커질 수 있고, 반면에 외측 레이스(160)의 곡률반경이 회전체(140)의 반경보다 클수록 회전체(140)와 외측 링(150) 사이의 마찰력은 작아질 수 있다.When the rotating body 140 is a spher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race 16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its cross section forms an arc shape as depicted in FIGS. 2 and 3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arc shape of the outer race 16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ng body 140 .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race 160 is closer to the radius of the rotating body 140,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otating body 140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outer race 160 may increase, whereas the outer race (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16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rotating body 140,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ting body 140 and the outer ring 150 may be reduced.

마찬가지로, 내측 레이스(180)도 도 2 및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 레이스(180)의 원호 형상의 곡률반경은 회전체(140)의 반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내측 레이스(180)의 곡률반경이 회전체(140)의 반경과 가까울수록 내측 레이스(180)의 제한에 의해 회전체(140)가 올바른 위치를 유지하는 효과는 커질 수 있고, 반면에 내측 레이스(180)의 곡률반경이 회전체(140)의 반경보다 클수록 회전체(140)와 외측 링(150) 사이의 마찰력은 작아질 수 있다.Similarly, the inner race 180 may also be curved to form an arcuate cross section as depicted in FIGS. 2 and 3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arc shape of the inner race 18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ng body 140 .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ner race 180 is closer to the radius of the rotating body 140,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otating body 140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inner race 180 may increase, while the inner race (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18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rotating body 140,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ting body 140 and the outer ring 150 may be reduced.

물론, 외측 레이스(160)와 내측 레이스(180) 중 어느 하나만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회전체(140)가 구체 형상을 가진 경우라도 외측 레이스(160)와 내측 레이스(180) 모두 다각형 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Of course, only one of the outer race 160 and the inner race 180 may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even when the rotating body 140 has a spherical shape, the outer race 160 and the inner race 180 All can be configured with polygonal grooves.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리테이너(100) 및 이를 구성하는 리테이너 부재(101, 102)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earing re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constituting the bearing re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리테이너(100)는 2개의 리테이너 부재(101, 10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체(140)가 외측 링(150)과 내측 링(170) 사이에(구체적으로는 외측 레이스(160)와 내측 레이스(18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체(140)를 사이에 두고 회전체(140)의 양측으로부터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을 결합하여 회전체 베어링(1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earing retainer 1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wo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together.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body 140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150 and the inner ring 170 (specifically, between the outer race 160 and the inner race 180), the rotating body 140 Assembly of the rotary bearing 10 may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from both sides of the rotary body 140 interposed therebetween.

리테이너 부재(101, 102)는 원활한 조립을 위해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to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light elastic deformation for smooth assembly, and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may be used.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너 부재(101)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 어느 것에든 적용이 가능하다.1 to 3,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may have the sam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embodiments not shown, the first retainer member ( 1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may have different shapes.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retainer member 101 can be applied to either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or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101)는 삽입부(105), 제1 결합부(110), 결합돌기(112), 제2 결합부(120) 및 결합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환형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101)는 삽입부(105), 제1 결합부(110), 삽입부(105), 제2 결합부(120)의 순서로 삽입부(105)와 결합부(110, 120)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 사이사이에 삽입부(105)가 위치할 수 있다. 환형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101)는 내부에 원형 공간을 형성하고, 이 원형 공간은 조립시 내측 링(170)이 배치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3 and 4, the retainer member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05, a first coupling portion 110, a coupling protrusion 112,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20. ) And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122). In particular, the annular retainer member 101 includes the insertion portion 105 and the coupling portion in the order of the insertion portion 105,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the insertion portion 10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 110 and 12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insertion part 10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The annular retainer member 101 forms a circular space therein, and this circular space corresponds to a space in which the inner ring 170 is disposed during assembly.

삽입부(105)는 일측에 회전체(140)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131)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홈(131)은 회전체(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30)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수용공간(13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삽입부(105)는 리테이너 부재(101)의 일측에 원호 형상의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1)의 크기가 반드시 수용공간(130)의 절반(즉, 반원)에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테이너 부재(101)가 대응하는 다른 리테이너 부재(102)와 결합할 때 2개의 홈(131)이 연결되어 수용공간(130)의 온전한 원형을 형성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105 is a part in which a groove 1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otating body 14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groove 131 is a part of the receiving space 130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body 140. some can be defined. That is, when the accommodating space 13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3 , an arcuate groove 1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iner member 101 in the insertion portion 105 . The size of the groove 131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half (ie, a semicircle) of the receiving space 130, but when the retainer member 101 engages with the corresponding other retainer member 102, the two grooves 131 ) may be connected to form a complete circle of the receiving space 130.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삽입부(105)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1 결합부(110)는 결합돌기(112)가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하고, 제2 결합부(120)는 결합홈(122)이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교호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결합부(110)가 삽입부(105)를 개재하여 연속으로 배치되고 이어서 복수 개의 제2 결합부(120)가 삽입부(105)를 개재하여 연속으로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베어링 리테이너(100)에서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 하나의 리테이너 부재(101)에는 제1 결합부(110) 없이 제2 결합부(120)만이 삽입부(105)를 개재하여 연속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리테이너 부재(101)에는 제2 결합부(120) 없이 제1 결합부(110)만이 삽입부(105)를 개재하여 연속으로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리테이너(100)가 동일한 형상을 가진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 및 제2 리테이너 부재(101, 102) 각각에서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가 교호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parts 105 .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112 is formed,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122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110 are continuously disposed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105 and then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ortions 120 are continuously disposed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105. It is also possible,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have different shapes in the bearing retainer 100, one retainer member 101 has the first coupling part 110 without the first 2. Only the coupling part 120 is continuously arranged with the insertion part 105 interposed therebetween, and only the first coupling part 110 without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in the other retainer member 101 connects the insertion part 105.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continuously with interpos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aring retainer 100 is composed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having the same shape,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the firs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are alternately disposed.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 각각은 그 사이사이에 삽입부(105)가 배치되므로 그 사이사이에 수용공간(130)의 일부를 정의하는 홈(131)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결합돌기(112)와 결합홈(122)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폭을 갖고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 부재(101)가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하며, 제1 및 제2 리테이너 부재(101, 102)가 동일한 형상을 갖더라도 제1 리테이너 부재(101)를 제2 리테이너 부재(102)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 차이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리테이너 부재(101, 102) 각각의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가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has a groove 131 defining a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between them since the insertion portion 105 is disposed therebetween. you can also see The first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except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12 and the coupling groove 122 are formed. That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may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same width and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This causes the retainer member 101 to be left-right symmetrical, and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have the same shape,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is slightly biased relative to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By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at an angle differe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제1 결합부(110)에는 일측에 결합돌기(11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12)는 제1 결합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0)와 결합돌기(112)는 좌우대층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10) 및 결합돌기(112) 각각은 좌우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돌기(112)도 제1 결합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 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protrude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form left and right layers. That is, each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have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also be positioned in the middle relative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

제2 결합부(120)에는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제2 결합부(120)는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결합홈(122)은 상기 편평한 표면에 결합돌기(112)와 대응하는 음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0)와 결합홈(122)은 좌우대층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groove 122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the coupling groove 122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2 on the flat surfac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and the coupling groove 122 may be formed to form left and right layers.

제1 리테이너 부재(1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102)가 서로 결합되어 베어링 리테이너(100)를 형성할 때, 제1 리테이너 부재(101)의 결합돌기(112)는 제2 리테이너 부재(102)의 결합홈(122)에 삽입되고 제2 리테이너 부재(102)의 결합돌기(112)는 제1 리테이너 부재(101)의 결합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bearing retainer 100, the engaging protrusion 112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is attached to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The coupling protrusion 112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102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101 .

결합돌기(112)는 키홀(keyhole)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결합돌기(112)는 돌기헤드(114)와 돌기넥(116)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돌기헤드(114)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기넥(116)은 돌기헤드(114)와 제1 결합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결합돌기(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122) 역시 돌기헤드(114)에 대응하는 원형홈(124)과 돌기넥(116)에 대응하는 중간홈(126)이 키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form a keyhole shape.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include a protruding head 114 and a protruding neck 116, the protruding head 114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protruding neck 116 may have a protruding head 114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0 may be connected. The coupling groove 12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2 also has a circular groove 124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ad 114 and an intermediate groove 126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neck 116 to form a keyhole shape. can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체로 원형 형상을 가진 돌기헤드(114)는 그 중심이 제1 결합부(110)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돌기헤드(114)의 원형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제1 결합부(110)까지의 거리는 제1 결합부(110)의 폭의 대략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테이너 부재(101, 102) 각 부분의 폭이라 함은 축방향으로의 치수를 지칭하는 것이고, 리테이너 부재(101, 102) 각 부분의 길이라 함은 원주 방향으로의 치수를 지칭하는 것이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head 114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0 .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protruding head 114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may correspond to approximately half of the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 In this specification, the width of each portion of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refers to a dimens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each portion of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refers to a dim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돌기헤드(114)의 중심이 제1 결합부(110)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므로, 결합돌기(112)가 결합홈(122)에 삽입되면 결합돌기(112)가 대응 리테이너 부재(102)의 제2 결합부(12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리테이너 부재(101, 102)에 가해지는 응력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는 응력이 어느 작은 부분에 집중되어 결합의 취약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리테이너 부재(101, 102)의 전부가 효과적으로 힘을 부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head 114 corresponds to half the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 the coupling protrusion 112 extends to the corresponding retainer member 102. 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and stress applied to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Thi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small portion and causing a weak link, and allowing all of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to effectively bear the force.

위와 같은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결합돌기(112)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결합부(110, 120)의 어느 부분도 과도하게 작은 크기를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결합부(110, 120)의 폭이 약 5mm로 설정되는 경우, 돌기헤드(114)의 지름을 약 3mm로 설정하면, 제1 및 제2 결합부(110, 120)의 모든 부분이 최소 1mm 이상의 길이 또는 폭을 갖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above advantages, any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0 and 120 including the coupling protrusion 112 may not have an excessively small size.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0 and 120 is set to about 5 mm and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head 114 is set to about 3 m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0, 120) may have a length or width of at least 1 mm.

돌기넥(116)은 돌기헤드(114)와 제1 결합부(110)를 연결하되, 돌기넥(116)이 돌기헤드(114)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돌기넥(116)이 제1 결합부(110)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돌기넥(116)이 제1 결합부(110)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돌기헤드(114)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넥(116)의 양측 변(117)은 각각 제1 결합부(110)의 일면에 대해 65~7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The protruding neck 116 connects the protruding head 114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0, but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neck 116 meets the protruding head 114 is such that the protruding neck 116 is the first coupling part. It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part where it meets (110). A length of a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neck 116 meet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diameter of the protruding head 114 . In this case, both sides 117 of the protruding neck 116 may each form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0 .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리테이너 부재(101)가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 결합돌기(112)를 결합홈(122) 내부로 압입하여 리테이너 부재(101, 102)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합돌기(112)를 결합홈(122) 내부로 압입할 때 결합돌기(112)는 중간홈(126)을 거쳐 원형홈(12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구성은 결합돌기(112)가 결합홈(122)에 삽입하는 과정에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결합돌기(112)가 결합홈(122)에 삽입된 후에는 쉽게 이탈하지 않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As the retainer member 101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light elastic deformation has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coupling protrusion 112 into the coupling groove 122 to couple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to each other. it becomes possible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2 is press-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 the coupling protrusion 112 can be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24 via the intermediate groove 126, and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12 After the coupling protrusion 1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 while ensuring that excessive force is not required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into the coupling groove 122, the coupling protrusion 112 is not easily separated, so that a strong coupling can be maintained.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101), 베어링 리테이너(100) 및 회전체 베어링(10)에서는 회전체 베어링(10)에 구동력, 원심력 또는 외력으로 인해 축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결합된 리테이너 부재들(101, 102)이 이를 부재 전체에 걸쳐 분산시켜 결합이 해제되거나 회전체(140)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retainer member 101, the bearing retainer 100, and the rotary bearing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axi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ry bearing 10 due to a driving force, a centrifugal force, or an external force. Even if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y can be dispersed over the entire member to prevent the coupling from being released or the rotating body 140 from moving out of the correct position.

회전체 베어링(10)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160, 170)의 구조는 회전체(140)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즉, 외측 및 내측 레이스(160, 170)가 굴곡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구체 형상의 회전체(140)가 중앙에서 벗어날수록 외측 및 내측 레이스(160, 170)는 회전체(140)에 접촉하는 각도가 경사지게 되어 회전체(140)를 다시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회전체 베어링(10)뿐만 아니라 회전체 베어링(10)이 적용되는 구동모터 등의 장비 전체의 불량 방지 및 내구성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The structures of the outer and inner races 160 and 170 of the rotational body bearing 10 may help prevent the rotational body 140 from moving out of the correct position. That is, as the outer and inner races 160 and 170 are formed in a curved arc shape, the outer and inner races 160 and 170 move toward the rotor 140 as the spherical rotating body 140 deviate from the center. The angle of contact is inclined so that the rotating body 140 can be moved back to the cen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defects and increase durability of not only the rotary bearing 10 but also the entire equipment such as a drive motor to which the rotary bearing 10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리테이너(100)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리테이너 부재들(101, 102)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aring retainer 100 can be formed by combining the retainer members 101 and 102 molded into the same shape, manufacturing can be simplified and cost can be saved. can do.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20)을 설명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10)의 특징들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2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Hereinafter, the rotating bearing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eatures of the rotary bearing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also applicable to the rotary bearing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20)의 외측 링(250), 베어링 리테이너(200) 및 내측 링(27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2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bearing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ry bearing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er ring 250, the bearing retainer 200, and the inner ring 270 of the rotary bearing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er member 20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베어링(20)은 크게 외측 링(250), 베어링 리테이너(200), 회전체(240) 및 내측 링(2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더 잘 보이도록 외측 링(250)을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5 to 8, the rotating bearing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n outer ring 250, a bearing retainer 200, a rotating body 240, and an inner ring 270 can do. In FIG. 5 , the outer ring 250 is represented by dotted lines so that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more visible.

외측 링(250)은 환형 형상을 가진 부재로서, 환형 형상의 내주면에는 외측 레이스(26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링(250)의 재질로는 낮은 마찰력을 제공하고 내구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또는 PEEK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outer ring 250 is a member having an annular shape, and an outer race 260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shape. As the material of the outer ring 250, a material that provides low frictional force and has high durability may be used, and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such as PEEK may be used.

베어링 리테이너(200)는 외측 링(250)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환형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수용공간(230)을 포함한다. 수용공간(230)의 형상은 해당 위치에서 회전체(240)가 베어링 리테이너(200)의 외면에서 갖는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베어링 리테이너(200)는 2개의 리테이너 부재(201, 20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earing retainer 200 is a member disposed inside the outer ring 250, has an annular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23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space 2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body 24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retainer 20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depicted in FIGS. 5 and 7 , the bearing retainer 2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wo retainer members 201 and 202 .

회전체(240)는 베어링 리테이너(200)의 수용공간(230)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외측 링(250)과 내측 링(270) 사이를 매개하는 부재이다. 회전체(240)에는 낮은 마찰력과 특히 높은 내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회전체(240)는 예를 들어 PEEK 등의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240 is a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30 of the bearing retainer 200 and mediates between the outer ring 250 and the inner ring 270 . Low frictional force and particularly high durability may be required for the rotating body 240 . The rotating body 240 may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such as PEEK, for example.

도 5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회전체(240)가 원기둥 혹은 원통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체 베어링(20)은 롤러 베어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회전체(240)가 원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수용공간(23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240)는 원기둥 형상을 가져 외측 링(250)과 내측 링(270) 각각에 대해 선접촉을 하므로 부품 사이에 매우 낮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As confirmed in FIG. 5 ,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240 may have a cylindrical or cylindrical shape, and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bearing 20 may be regarded as corresponding to a roller bearing. Since the rotating body 24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accommodating space 230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Since the rotating body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makes line contact with the outer ring 250 and the inner ring 270, respectively, it can provide very low frictional force between parts.

내측 링(270)은 베어링 리테이너(2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환형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내측 레이스(28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레이스(280)는 회전체(240)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부분으로서, 내측 링(270)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소정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내측 링(250)의 재질로는 마찬가지로 낮은 마찰력을 제공하고 내구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또는 PEEK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ner ring 270 is a member disposed inside the bearing retainer 200 and has an annular shape, and an inner race 280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inner race 280 is a part that the rotating body 240 contacts and moves, and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compared to the re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ng 270 . As the material of the inner ring 250, a material similarly providing low frictional force and strong durability may be used, and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such as PEEK may be used.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체(240)의 지름은 외측 링(250)과 내측 링(270)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다만, 회전체(240)는 외측 레이스(260)와 내측 레이스(280)로 인해 확장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24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ring 250 and the inner ring 270 . However, the rotating body 240 may be inserted into an expanded space due to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

본 실시예에서 외측 링(250)에 형성된 외측 레이스(260)는 트레드(262)와 그루브(26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262)는 제1 깊이로 함몰된 부분이고, 그루브(264)는 트레드(262)의 양측에서 상기 제1 깊이보다 큰 제2 깊이로 함몰된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내측 링(270)에 형성된 내측 레이스(280)도 트레드(282)와 그루브(284)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race 260 formed on the outer ring 250 may include a tread 262 and a groove 264 . The tread 262 is a portion recessed to a first depth, and the groove 264 is a portion recessed at both sides of the tread 262 to a second depth greater than the first depth. Similarly, inner race 280 formed on inner ring 270 may also include tread 282 and groove 284 .

트레드(262, 282) 양측에 그루브(264, 284)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회전체(240)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져 회전체(240)가 외측 레이스(260) 및 내측 레이스(280)의 측벽을 가압하게 되면 이 부분이 변형되는 동시에 외측 레이스(260) 및 내측 레이스(280)의 내면(즉, 환형 형상의 홈의 내주면)이 함께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회전체(240)를 더욱 편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마찰을 증가시키거나 걸림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트레드(262, 282) 양측에 그루브(264, 284)가 구비됨에 따라, 회전체(240)가 외측 레이스(260) 및 내측 레이스(280)의 측벽을 가압하더라도 트레드(262, 282) 표면에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회전체(240)는 외측 레이스(260) 및 내측 레이스(280) 측벽의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다시 중앙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외측 레이스(260)와 내측 레이스(280) 중 어느 하나만이 그루브(264, 284)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질 수 있다.When the grooves 264 and 284 are no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eads 262 and 282, an axi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240 so that the rotating body 240 moves between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When the side wall is pressed, this part is de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nnular groove) can be deformed together, which makes the rotating body 240 more eccentric. It may increase friction or cause jamming by pressing in the direction of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grooves 264 and 284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eads 262 and 282, even if the rotating body 240 presses the sidewalls of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the tread ( 262 and 282 do not undergo deformation, and the rotating body 240 can move back to the centr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idewalls of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 Even when only one of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includes the grooves 264 and 284, the above effect can be obtained to some extent.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리테이너(200) 및 이를 구성하는 리테이너 부재(201, 202)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earing retai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tainer members 201 and 202 constituting the bearing retai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리테이너(200)는 2개의 리테이너 부재(201, 20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체(240)가 외측 링(250)과 내측 링(270) 사이에(구체적으로는 외측 레이스(260)와 내측 레이스(28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체(240)를 사이에 두고 회전체(240)의 양측으로부터 제1 리테이너 부재(2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202)을 결합하여 회전체 베어링(2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earing retainer 2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wo retainer members 201 and 202 together.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240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250 and the inner ring 270 (specifically, between the outer race 260 and the inner race 280), the rotating body 240 Assembly of the rotary bearing 20 may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first retainer member 2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202 from both sides of the rotary body 240 interposed therebetween.

리테이너 부재(201, 202)는 원활한 조립을 위해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retainer members 201 and 202 to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light elastic deformation for smooth assembly, and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y be used.

도 5 내지 7에서와 같이 제1 리테이너 부재(2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20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리테이너 부재(2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202)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너 부재(201)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제1 리테이너 부재(201)와 제2 리테이너 부재(202) 어느 것에든 적용이 가능하다.5 to 7, the first retainer member 2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202 may have the sam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embodiments not shown, the first retainer member ( 201)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202 may have different shapes.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retainer member 201 can be applied to either the first retainer member 201 or the second retainer member 202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201)는 삽입부(205), 제1 결합부(210), 결합돌기(212), 제2 결합부(220) 및 결합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환형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201)는 삽입부(205), 제1 결합부(210), 삽입부(205), 제2 결합부(220)의 순서로 삽입부(205)와 결합부(210, 220)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 사이사이에 삽입부(205)가 위치할 수 있다. 환형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201)는 내부에 원형 공간을 형성하고, 이 원형 공간은 조립시 내측 링(270)이 배치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7 and 8, the retainer member 2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05, a first coupling portion 210, a coupling protrusion 212,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20. ) and a coupling groove 222 may be included. In particular, the annular retainer member 201 includes the insertion portion 205 and the coupling portion in the order of the insertion portion 205,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the insertion portion 20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 210 and 22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insertion part 20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 The annular retainer member 201 forms a circular space therein, and this circular space corresponds to a space in which the inner ring 270 is disposed during assembly.

삽입부(205)는 일측에 회전체(240)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231)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홈(231)은 회전체(2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30)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수용공간(23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삽입부(205)는 리테이너 부재(201)의 일측에 사각형 형상의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홈(231)의 크기가 반드시 수용공간(230)의 절반에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테이너 부재(201)가 대응하는 다른 리테이너 부재(202)와 결합할 때 2개의 홈(231)이 연결되어 수용공간(230)의 온전한 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205 is a part in which a groove 2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otating body 24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groove 231 is a part of the receiving space 230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body 240. some can be defined. That is, when the accommodating space 2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7 , the insert 205 may have a rectangular groove 231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iner member 201 . The size of the groove 231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half of the accommodating space 230, but when the retainer member 201 is coupled with the corresponding other retainer member 202, the two grooves 231 are connected and accommodated It can form a full rectangle of space 23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201)의 제1 및 제2 결합부(210, 220), 결합돌기(212), 결합홈(222), 돌기헤드(214), 돌기넥(216) 및 그 양측 변(217), 원형홈(224), 및 중간홈(226)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101)와 관련하여 제공된 설명과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10 and 220, the coupling protrusion 212, the coupling groove 222, the protrusion head 214, and the protrusion neck 216 of the retainer member 2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descriptions of both sides 217, circular grooves 224, and intermediate grooves 226 are similar to those provided in relation to the retainer member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201), 베어링 리테이너(200) 및 회전체 베어링(20)에서는 회전체 베어링(20)에 구동력, 원심력 또는 외력으로 인해 축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결합된 리테이너 부재들(201, 202)이 이를 부재 전체에 걸쳐 분산시켜 결합이 해제되거나 회전체(240)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retainer member 201, the bearing retainer 200, and the rotary bearing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axi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ry bearing 20 due to a driving force, a centrifugal force, or an external force. Even if the retainer members 201 and 2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y may be dispersed over the entire member to prevent the coupling from being released or the rotating body 240 from moving out of the correct position.

회전체 베어링(20)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260, 270)의 구조는 회전체(240)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즉, 외측 및 내측 레이스(260, 270)가 트레드(262, 282) 양측에 그루브(264, 284)를 포함함에 따라,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240)가 중앙에서 벗어나 외측 및 내측 레이스(260, 270)의 측벽을 가압하더라도 트레드(262, 282) 부분이 함께 변형되는 것을 방지되며, 외측 및 내측 레이스(260, 270)의 측벽의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240)가 다시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회전체 베어링(20)뿐만 아니라 회전체 베어링(20)이 적용되는 구동모터 등의 장비 전체의 불량 방지 및 내구성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The structures of the outer and inner races 260 and 270 of the rotating body bearing 20 may help prevent the rotating body 240 from being out of the correct position. That is, as the outer and inner races 260 and 270 include the grooves 264 and 284 on both sides of the treads 262 and 282, the cylindrical rotating body 240 is out of the center and the outer and inner races 260, 270), the treads 262 and 282 ar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together, and the rotating body 240 can move back to the cent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idewalls of the outer and inner races 260 and 270. there is.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defects and increase durability of not only the rotary bearing 20 but also the entire equipment such as a drive motor to which the rotary bearing 20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리테이너(200)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리테이너 부재들(201, 202)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aring retainer 200 can be formed by combining the retainer members 201 and 202 molded into the same shape, manufacturing can be simplified and cost can be saved. can d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0, 20: 회전체 베어링 100, 200: 베어링 리테이너
101, 102, 201, 202: 리테이너 부재 105, 205: 삽입부
112, 212: 결합돌기 122, 222: 결합홈
150, 250: 외측 링 170, 270: 내측 링
10, 20: rotating bearing 100, 200: bearing retainer
101, 102, 201, 202: retainer member 105, 205: insertion portion
112, 212: coupling protrusion 122, 222: coupling groove
150, 250: outer ring 170, 270: inner ring

Claims (8)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재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원형 공간을 형성하는 환형 형상의 리테이너 부재로서,
일측에 회전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의 일부를 정의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삽입부;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원형 형상의 돌기헤드; 및
상기 돌기헤드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 연장되는 돌기넥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헤드의 원형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부재.
An annularly shaped retainer member defining a circular space configured to pass an axially extending shaft member,
A plurality of insertion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esigned intervals and defining a portion of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body by forming a groove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otating body;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esigned intervals; and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a circular protruding head; and
And a protruding neck extending between the protruding head and the first coupling part,
A retain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protruding hea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corresponds to half of the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넥이 상기 제1 결합부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돌기헤드의 지름과 같고 상기 돌기넥이 상기 돌기헤드와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돌기헤드의 지름보다 작아 상기 결합돌기가 키홀(keyhole) 형상을 이루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부가 이루는 형상은 좌우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neck meets the first coupling part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head, and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neck meets the protruding hea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hea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forms a keyhole. shap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middle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shapes form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form left-right symmetr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넥의 양측 변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에 대해 65~75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부재.
According to claim 2,
The retain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neck form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교호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음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인접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ortion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s and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s;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The retainer memb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부는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폭을 갖고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부재가 좌우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부재.
According to claim 4,
The retain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ortions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same width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retainer member is symmetrical.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테이너 부재 2개가 결합되어 형성된 베어링 리테이너.
A bearing retainer formed by combining two retainer member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 베어링으로서,
환형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 외측 레이스가 형성된 외측 링;
상기 외측 링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설계된 간격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리테이너;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외측 레이스 및 내측 레이스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회전체;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 내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내측 레이스가 형성된 내측 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는 제1 리테이너 부재와 제2 리테이너 부재가 복수의 결합돌기와 복수의 결합홈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리테이너 부재와 상기 제2 리테이너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회전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의 일부를 정의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삽입부;
일측에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설계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원형 형상의 돌기헤드; 및
상기 돌기헤드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 연장되는 돌기넥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헤드의 원형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베어링.
As a rotating bearing for rotatably supporting a shaf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 outer ring having an annular shape and an outer rac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earing retainer disposed inside the outer r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penetrating in a radial direction at designed interval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and formed to contact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Including an inner ring disposed inside the bearing retainer and having the inner ra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earing retainer is formed by coupling a first retainer member and a second retainer member by engagement of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A plurality of insertion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esigned intervals and defining a portion of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body by forming a groove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otating body;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includ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esigned intervals; and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a circular protruding head; and
And a protruding neck extending between the protruding head and the first coupling part,
The rotational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protruding hea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corresponds to half the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 롤러이고,
상기 외측 레이스와 상기 내측 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깊이로 함몰된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양측에 상기 제1 깊이보다 큰 제2 깊이로 함몰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베어링.
According to claim 7,
The rotating body is a roll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t least one of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a tread recessed to a first depth; and
Rotating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ove recessed to a second depth greater than the first depth on both sides of the tread.
KR1020210075166A 2021-06-10 2021-06-10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KR102613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66A KR102613648B1 (en) 2021-06-10 2021-06-10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66A KR102613648B1 (en) 2021-06-10 2021-06-10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41A true KR20220166441A (en) 2022-12-19
KR102613648B1 KR102613648B1 (en) 2023-12-14

Family

ID=845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166A KR102613648B1 (en) 2021-06-10 2021-06-10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64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113A (en) * 1984-04-04 1986-12-02 Skf (U.K.) Limited Cage for a radial ball bearing
JP2007040383A (en) * 2005-08-02 2007-02-15 Nsk Ltd Cage for ball bearing, and ball bearing
KR20170071191A (en) * 2015-12-15 2017-06-23 (주)지우텍 Single-row cylindrical roller bearing with hous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113A (en) * 1984-04-04 1986-12-02 Skf (U.K.) Limited Cage for a radial ball bearing
JP2007040383A (en) * 2005-08-02 2007-02-15 Nsk Ltd Cage for ball bearing, and ball bearing
KR20170071191A (en) * 2015-12-15 2017-06-23 (주)지우텍 Single-row cylindrical roller bearing with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648B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3878A (en) Cage for spherical roller bearing
GB2152170A (en) Split ring
KR101953941B1 (en) Cross roller bearing
US9011016B2 (en) Rolling bearing cage, rolling bearing and electric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4060892A (en) Longitudinal direction moving unit with braking roller
KR102038710B1 (en) Rolling bearing cage, rolling bearing and electric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JPS6098216A (en) Revolution supporter with bearing having angle of contact
US8591121B2 (en) Rolling bearing cage and assembly
US9638254B2 (en) Rolling bearing
KR20220166441A (en) Retainer member, bearing retainer and rolling-element bearing having the same
US9897151B2 (en) One-way clutch
JPH0728225U (en) Linear bearing for heavy loads
WO2022059281A1 (en) Self-aligning roller bearing retainer
JP2009097616A (en) Rolling bearing device
JP7186580B2 (en) slewing bearing
WO2020166687A1 (en) Multi-row thrust ball bearing
JP2801153B2 (en) Rotary friction device
US8920039B2 (en) Tandem rolling bearings with open cage
KR1021408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lubricating rolling bearing elements
JP2006183718A (en) Rolling bearing
JP2009174669A (en) Self-alignment roller bearing
JP6724608B2 (en) Jigs for assembling rolling bearings and mating cages
JP6565217B2 (en) Sliding constant velocity joint
JP2006144815A (en) Roller bearing
WO2020116661A1 (en) Tripod-type sliding constant velocity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