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397A -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397A
KR20220166397A KR1020210074928A KR20210074928A KR20220166397A KR 20220166397 A KR20220166397 A KR 20220166397A KR 1020210074928 A KR1020210074928 A KR 1020210074928A KR 20210074928 A KR20210074928 A KR 20210074928A KR 20220166397 A KR20220166397 A KR 2022016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water
additive
water purifier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9229B1 (en
Inventor
정진우
이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투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투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투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7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229B1/en
Priority to PCT/KR2022/005988 priority patent/WO2022231288A1/en
Publication of KR2022016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2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control of the amount of the mixture, i.e. after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3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 B67D1/003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the controls being based on the same metering technics
    • B67D1/0036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the controls being based on the same metering technics based on the timed opening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functional water purifier that comprises: a button input step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by an input button; a water filtration step in which water is filtered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a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and a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The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includes a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ed water to produce functional water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Description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Functional water purifier control method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물과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된 물과 그 유량에 맞춰 일정량의 비타민, 콜라겐, 미네랄 등의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여 편리하게 기능성 음료를 만들 수 있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apable of mixing water and functional additives, and more particularly, by mixing filtered water and a certain amount of functional additives such as vitamins, collagen, and minerals according to the flow rate to conveniently obtain functional functionalities.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apable of making a beverage.

일반적으로 정수기의 기능은 여과, 흡착, 이온교환, 살균기능 등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결합하여 물을 정수하는 것으로, 처리용량이나 원수공급방식 또는 정수원리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In general, the function of a water purifier is to purify water by combining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filtration, adsorption, ion exchange, and sterilization, and is classified according to treatment capacity, raw water supply method, or purification principle.

한편, 현대인들은 건강을 위해 비타민, 유산균, 콜라겐 등을 알약의 형태로 매일 섭취하며, 이에 따라 건강보조제의 종류를 늘릴수록 섭취하는 알약의 개수도 늘어나나, 최근 수돗물을 단순히 여과시켜 마실 수 있도록 정수하는 것 외에 미네랄 또는 비타민 등을 정수에 첨가하거나 이온수 등을 제공하는 기능성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dern people take vitamins, lactic acid bacteria, collagen, etc. in the form of pills every day for health, and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health supplements increases, the number of pills consumed increases. In addition to water purification, functional water purifiers that add minerals or vitamins to purified water or provide ionized water have been released.

정수기에서 기능성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정수에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여야 하며, 정수 유량값에 따라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양이 조절되어야 한다.In order to discharge functional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functional additives must be mixed with purified water, and the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s to be mixed must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urified water flow rate.

그러나, 종래의 기능액을 혼합하는 정수기에는 벤츄리유로를 형성하여 물과 기능액이 혼합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하나의 정수기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기능액을 교체 및 장착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기능성 첨가제의 농도 조절이 불가능하고, 관리가 어려우며 확장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that mix functional fluids have a very complex structure, such as forming a venturi flow path to mix water and functional fluid, and replacing and installing various functional fluid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one water purifier or There were problems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additives as needed, difficult to manage, and insufficient scalability.

KR10-2020-0106308 A (발명의 명칭: 기능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공개일자: 2020.09.14)KR10-2020-0106308 A (Title of invention: functional liquid mixing devic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 date: 2020.09.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첨가제를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를 교체 및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정 농도의 다양한 기능성 물을 만들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확장성이 우수한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replacing and installing cartridges containing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additives, various functional waters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that is simple and has excellent scalabilit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단계와, 물이 복수의 필터를 지나며 여과되는 물 여과 단계와,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기능성 물 제조 단계 및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기능성 물 출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물 제조 단계는,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input step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by an input button, a water filtration step in which water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and is filtered, and the filtration A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and a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wherein the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is to allow the functional additive to flow into the filtered water. Include an additive adjustment step.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는 상기 여과된 물의 유입 및 상기 기능성 첨가제의 유입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가 일정 시간동안 개폐됨으로써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여과된 물에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djusting of the functional additive, a plurality of valves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filtered water and the functional additive are opened and clo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may be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는 온도에 의해 제어되는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여과된 물에 유출되어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a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controlled by temperature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may flow out into the filtered water and be mixed.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는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여과된 물에 유출되어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the functional additive may be pressurized by a pressurizing device, so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may flow out into the filtered water and be mixed.

또한, 상기 물이 추가로 유입되고 출수됨으로써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이동한 배관이 세척되는 세척 물 출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shing water extraction step of washing the pipe through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has moved may be further included as the water is additionally introduced and discharged.

본 발명의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물과, 선택된 종류의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도록 기능성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to mix water with a selected type of functional additive.

둘째, 물에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여 소정 농도의 기능성 물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functional water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can be produced by mixing a certain amount of functional additives with water.

셋째, 복수의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기능성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with a simple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valves.

넷째,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온도에 의해 정밀하게 기능성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Fourth,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temperature using a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다섯째,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기능성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Fifth,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can be controlled with a simple structure using a pressure device.

여섯째, 세척 물 출수에 의해 추가적인 배관 세척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이 간편한 이점도 있다.Six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use because additional pipe washing is not required by the washing water outle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호가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성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카트리지 모듈 및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cartridge module and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hould be similarly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저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나 이는 편의상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components. The upper part in the drawing is calle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n the drawing is called the lower part, but this is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components for convenience. In practice, the upper part can be called the low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may be termed the upper p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order to explain the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성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카트리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diagram showing a cartridge module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는 물에 혼합될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되는 입력버튼(1000), 물이 유입되는 외부입력관(2000), 상기 외부입력관(2000)에 구비되어 물을 유입하는 펌프(미도시), 상기 유입된 물이 이동하며 여과되는 복수의 필터(3000), 상기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는 카트리지 모듈(4000), 상기 필터(3000)와 연결되고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온수로 가열하는 가열관(5000), 상기 필터(3000)와 연결되고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냉수로 냉각하는 냉각관(6000), 상기 온수 또는 냉수 또는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7000) 및 상기 기능성 정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button 1000 for inputting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to be mixed with water, an external input pipe 2000 for introducing water, and the external input A pump (not shown) provided in the pipe 2000 to introduce water, a plurality of filters 3000 through which the inflowed water is moved and filtered, a cartridge module 4000 for mixing functional additives with the filtered water, the A heating pipe 5000 connected to the filter 3000 and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to heat water into hot water, a cooling pipe 6000 connected to the filter 3000 and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to cool water into cold water, It may include a water outlet 7000 through which hot water, cold water, or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입력버튼(1000)은 제1 기능성 물 버튼(1000), 제2 기능성 물 버튼(1000), 제3 기능성 물 버튼(1000), 정수 버튼(1000), 냉수 버튼(1000) 및 온수 버튼(10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버튼(1000)의 입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력버튼(1000)의 기능성 물 버튼(1000)의 개수는 후술하는 카트리지 모듈(4000)이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The input buttons 1000 include a first functional water button 1000, a second functional water button 1000, a third functional water button 1000, a purified water button 1000, a cold water button 1000, and a hot water button 1000. It may include, and a controller (not shown) described later may be controlled by an input of the input button 1000. At this time, the number of functional water buttons 1000 of the input button 1000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ypes of functional additives included in the cartridge module 4000 to be described later.

외부입력관(2000)은 정수기 외부의 물을 정수기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배관(2000)으로, 상기 외부입력관(2000)의 일단은 정수기의 외부에, 타단은 정수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수기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할 수 있다.The external input pipe 2000 is a pipe 2000 having a flow path for introducing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into the water purifier. One end of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purifier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side the water purifier.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water purifier may be connected.

펌프(미도시)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버튼(1000)을 누름과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며, 외부의 물을 상기 외부입력관(2000)을 통해 정수기 내부로 유입시키고, 후술하는 복수의 필터(3000) 및 카트리지 모듈(4000)을 지나 결과적으로 후술할 출수부(7000)를 통해 다시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을 만큼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동력을 가질 수 있다.A pump (not shown) is powered and op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1000, and flows external water into the water purifier through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and a plurality of filters described later ( 3000) and the cartridge module 4000, and consequently through a water outlet 700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have power maintained for a sufficient time to flow out to the outside again.

필터(3000)는 1차 필터(3000), 2차 필터(3000), 3차 필터(30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시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의 경우, 침전필터(3000), 선카본필터(3000), 멤브레인필터(3000) 및 후카본필터(3000)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수기의 필터 정수 방식에 맞는 필터 구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필터(3000)는 상기 외부입력관(20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시켜 배출할 수 있다.The filter 3000 may be composed of a first filter 3000, a second filter 3000, and a third filter 30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most commonly used in Korea, a sediment filter ( 3000), a pre-carbon filter 3000, a membrane filter 3000, and a post-carbon filter 30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 filter configuration suitable for a filter purifying method of a water purifier is preferably used. The plurality of filters 3000 may filter and discharge water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

카트리지 모듈(4000)은 상기 필터(3000)가 상기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측과 연결되며, 상기 여과된 물에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소정 농도의 기능성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은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100) 및 복수의 상기 카트리지(4100)가 도입되는 브라켓(4200)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4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어 기능성 첨가제를 수용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타민, 유산균, 미네랄, 오메가3, 아미노산, 콜라겐, 식이섬유, 전해질, 천연 추출물 및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4200)에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첨가제를 수용한 상기 카트리지(4100)가 두 개 이상 도입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4100)는 상기 브라켓(4200)에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첨가제를 수용한 카트리지(4100)로 교체 및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200)은 상기 카트리지(4100)가 하나 이상 도입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유출되어 이동하는 첨가제 유입관(4220), 상기 첨가제 유입관과 연결되되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는 이동배관(4230) 및 상기 카트리지(4100)로부터 상기 기능성 첨가제의 유출을 제어하는 첨가제 조절부(4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은 상기 카트리지(4100)와 연결되어, 유출되는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배관(4230)은 여과된 물이 유입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되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첨가제 조절부(4210)는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카트리지(4100)에서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에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첨가제를 수용한 상기 카트리지(4100)가 두 개 이상 도입되어 두 종류 이상의 기능성 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4100)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은 서로 다른 이동배관(4230)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물을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cartridge module 4000 is connected to a side through which the filter 3000 discharges the filtered water, and can discharge functional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by mixing a certain amount of functional additives with the filtered water. Referring to FIG. 3 , the cartridge module 4000 includes a cartridge 4100 accommodating the functional additive and a bracket 4200 into which the plurality of cartridges 4100 are introduced, and the cartridge 4100 is inside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to accommodate functional additives, and the functional additives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tamins, lactic acid bacteria, minerals, omega 3, amino acids, collagen, dietary fiber, electrolytes, natural extracts, and detergents. At this time, two or more cartridges 4100 accommodating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additiv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bracket 4200, and each of the cartridges 4100 may have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additives in the bracket 4200. It can be replaced and mounted with a cartridge 4100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The bracket 4200 is connected to an additive inlet pipe 4220 through which one or more cartridges 4100 are introduced, the cartridges are coupled, and the functional additive contained in the cartridge 4100 flows out and moves, and the additive inlet pipe. Doedoe may include a moving pipe 4230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moves and an additive control unit 4210 that controls outflow of the functional additive from the cartridge 4100 .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is connected to the cartridge 4100 to form a flow path for guiding the outflowing functional additive to the moving pipe 4230, and filtered water flows into the moving pipe 4230. It is mixed with the functional additive to form a moving passage, and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can allow the functional additive to flow from the cartridge 4100 to the moving pipe 4230 in a certain amount. At this time, two or more cartridges 4100 accommodating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additiv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rtridge module 4000 to generate two or more types of functional products, each connected to the cartridges 4100. Each of the additive inlet pipes 4220 is connected to different moving pipes 4230 to individually produce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water.

가열관(5000)은 상기 필터(3000)와 연결되고,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며 온수로 가열될 수 있으며, 냉각관(6000)은 상기 필터(3000)와 연결되고,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며 냉수로 냉각될 수 있다.The heating pipe 5000 is connected to the filter 3000 and is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so that the filtered water can move and be heated as hot water, and the cooling pipe 6000 is connected to the filter 3000 and cooled. A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filtered water can be moved and cooled with cold water.

출수부(7000)는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의 두 개 이상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4100)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이동배관(4230)과 상기 가열관(5000) 및 냉각관(6000)과 연결되어, 그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된 물을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70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oving pipes 4230 connected to two or more cartridges 4100 of the cartridge module 4000, the heating pipe 5000, and the cooling pipe 6000, Water discharged from any one of them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제어부(미도시)는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버튼(1000)으로부터 명령을 받으면,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을 구동시켜 입력된 종류의 기능성 물이 소정 농도로 생성되어 상기 정수기 외부로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er and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button 1000, supplies power to the pump and simultaneously drives the cartridge module 4000 to generate the input type of functional water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입력 버튼(1000)으로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되면, 상기 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상기 외부입력관(2000)에 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이 상기 복수의 필터(3000)를 이동하며 여과되고, 상기 여과된 물이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로 유입되어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된 후, 상기 출수부(700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1000, the pump (not shown) operates to introduce water into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and the introduced wate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3000.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and be filtered, and the filter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rtridge module 4000, mixed with the functional additiv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70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버튼(도 1의 1000)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단계(S100), 물이 복수의 필터(도 1의 3000)를 지나며 여과되는 물 여과 단계(S200),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 및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기능성 물 출수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cludes a button input step (S100)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by an input button (1000 in FIG. 1), and a plurality of filters ( 3000 in FIG. 1) filtering the filtered water (S200), preparing functional water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S300), and extracting functional water in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S400) can include

입력 단계(S100)는 물에 혼합될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되는 단계로, 도 1의 제1 기능성 물 버튼(1000), 제2 기능성 물 버튼(1000) 및 제3 기능성 물 버튼(1000)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경우, 입력된 종류의 기능성 물이 생성되고, 온수 버튼(1000) 또는 냉수 버튼(1000)이 입력될 경우, 온수 또는 냉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input step (S100) is a step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to be mixed with water is input, among the first functional water button 1000, the second functional water button 1000, and the third functional water button 1000 of FIG. When either one is input, functional water of the input type is generated, and when the hot water button 1000 or the cold water button 1000 is input, hot water or cold water may be gener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6 .

물 여과 단계(S200)는 펌프가 구동되어 외부의 물이 도 1의 외부입력관(2000)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이 도 1의 복수의 필터(3000)를 지나며 여과되는 단계로, 상기 복수의 필터(3000)가 상기 외부입력관(2000)과 연결된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와 연결된 2차 필터 및 상기 2차 필터와 연결된 3차 필터를 포함할 경우, 상기 유입된 물은 상기 외부입력관에서 상기 1차 필터, 2차 필터 및 3차 필터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여과될 수 있다.The water filtration step (S200) is a step in which the pump is driven so that external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of FIG. 1, and the introduced water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3000 of FIG. 1 and is filtered. When the plurality of filters 3000 include a first filter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a second filter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and a third filter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the introduced water In the external input pipe, the first filter,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may be sequentially filtered.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는 상기 복수의 필터(3000)를 지나 여과된 물에 그 유량값을 고려하여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일정량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도 4, 도 13, 도 15의 S310, 도 6의 S310', 도 8의 S310'', 도 10의 S310''', 도 12의 S310'''')를 포함할 수 있다.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S300) is a step of mixing a certain amount of functional additives to the water filt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3000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valu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ed water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in FIGS. 4, 13, 15, S310' in FIG. 6, S310'' in FIG. 8, S310''' in FIG. 10, S310'''' in FIG. 12) may be included. there is.

기능성 물 출수단계(S400)는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도 1의 출수부(7000)를 통해 기능성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기설정된 유량의 기능성 물을 출수하면 자동으로 출수를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유량은 상기 물 여과 단계(S200)에서 상기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유량과 같을 수 있다.In the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S400),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unit 7000 of FIG. there is. The predetermined flow rate may be the same as the flow rate of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water filtration step (S200).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 중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3 to 12 , the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S300)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다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Agai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 조절부(4210)는 첨가제 유입관(4220)에 구비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4211) 및 이동배관(4230)에 구비되어 카트리지(4100)로부터 유출되는 기능성 첨가제를 보관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오른쪽을 입수측, 도면 상에서 왼쪽을 출수측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is provided in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provided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and the moving pipe 4230 to store functional additives flowing out from the cartridge 4100.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may be included.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is the inlet side, and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the outlet side.

첨가제 조절 밸브(4211)는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된 물의 유량값을 고려하여 상기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기능성 첨가제가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may allow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4100 to flow into the moving pipe 4230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value of filtered water flowing from the filter 3000 of FIG. 1 .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은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유입되는 동안 상기 여과된 물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를 보관하는 복수의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배관(4230) 중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과 연결되는 유입관 연결부(미도시)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첨가제 저장 밸브(4212) 및 제2 첨가제 저장 밸브(4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은 상기 유입관 연결부의 출수측에 설치되는 제1 첨가제 저장 밸브 및 입수측에 설치되는 제2 첨가제 저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첨가제 저장 밸브(4212) 및 제2 첨가제 저장 밸브(4212)는 볼 밸브 또는 게이트 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배관(4230)에서 유량차단이 가능한 밸브(42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alves fo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is not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while the functional additive flows into the moving pipe 4230, and the moving pipe ( 4230) may include a first additive storage valve 4212 and a second additive storage valve 42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pipe connec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Specifically, the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may include a first additive storage valve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inlet pipe connection and a second additive storage valve installed on the inlet side. At this time, the first additive storage valve 4212 and the second additive storage valve 4212 may be a ball valve or a gate valv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 valve capable of blocking the flow rate in the moving pipe 4230 ( 4212) is preferr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S310)는 상술한 도 3의 제1 첨가제 저장 밸브(4212) 및 제2 첨가제 저장 밸브(4212)가 폐쇄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폐쇄 단계(S311), 상술한 도 3의 첨가제 조절 밸브(4211)가 개방되어 도 3의 이동배관(4230)으로 유출되는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에 보관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에 일정량 보관된 후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더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4211)가 폐쇄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 및 상기 폐쇄된 제1 첨가제 저장 밸브(4212) 및 제2 첨가제 저장 밸브(4212)가 개방되고 도 1의 필터(30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개방 단계(S31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is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closing step (S311) in which the first additive storage valve 4212 and the second additive storage valve 4212 of FIG. 3 are closed. ,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S312) in which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of FIG. 3 is opened and the functional additive flowing out to the moving pipe 4230 of FIG. 3 is stored in the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After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stored in the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an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of closing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is not leaked further and storing the closed first additive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opening step (S315) in which the valve 4212 and the second additive storage valve 4212 are opened and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3000 of FIG. 1 is introduced and mix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can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가 지속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유입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첨가제 유입관(4220) 또는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4211)에 유량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유입되는 양을 인식해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입될 수 있다.The flow of the functional additive into the moving pipe 4230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duration of the opening of the additive control valve ( S312 ). In addition, a flow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of FIG. 3 or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to recognize the inflow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and the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is performed. By doing so,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can flow into the moving pipe 4230.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for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 조절부(4210')는 첨가제 유입관(4220)에 구비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미도시) 및 이동배관(4230)에 구비되어 카트리지(4100)로부터 유출되는 기능성 첨가제를 보관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면 상의 오른쪽을 입수측, 도면 상의 왼쪽을 출수측으로 한다.As shown in FIG. 5,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includes an additive control valve (not shown) provided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and a functional additive provided in the moving pipe 4230 and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4100. It may include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to store the. At this time, the right side on the drawing is the water inlet side, and the left side on the drawing is the water outlet side.

첨가제 조절 밸브(미도시)는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된 물의 유량값을 고려하여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기능성 첨가제가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An additive control valve (not shown) may allow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contained in the cartridge 4100 to flow into the moving pipe 4230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value of filtered water flowing from the filter 3000 of FIG. 1 .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은 상기 이동배관(4230) 중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과 연결되는 유입관 연결부(미도시)에 설치되되,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과 연결되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배관(4230)을 기준으로 개방 시에는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도면 상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이동하고, 폐쇄 시에는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할 수 없도록 유동 단면이 "유(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U)단면 회전 밸브(4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U)단면 회전 밸브(4212')는 상기 이동배관(4230)을 기준으로 폐쇄 시에 소정의 공간이 생겨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유(U)단면 회전 밸브(4212')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항상 보관되도록 하고 상기 유(U)단면 회전 밸브(4212')가 상기 이동배관(4230)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양을 조절할 경우, 상기 첨가제 조절부(4210')는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 상의 실선 화살표는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유출되어 상기 유(U)단면 회전 밸브(4212')에 보관되었다가 상기 여과된 물과 혼합돼 상기 이동배관(4230)을 이동하는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다.The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is installed at an inlet pipe connecti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among the moving pipes 4230, and the upper part connected to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is open. When the moving pipe 4230 is opened, the water filtered from the filter 3000 of FIG. 1 flows in and moves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rrow on the drawing, and when closed, the filtered water flows so that it cannot move. A U-section rotary valve 4212'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may be included. Here, when the U-section rotary valve 4212' is closed based on the moving pipe 4230, a predetermined space is created to store the functional additive, and the U-section rotary valve 4212 ')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is always stored and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by controlling the opening time of the U section rotary valve 4212' based on the moving pipe 4230 When adjusting the amount,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may not include the additive control valve. Solid line arrows in the figure indicate the overall flow of the functional additive flowing out, being stored in the oil (U) section rotary valve 4212', and mixing with the filtered water to move through the moving pipe 423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S310')는 상술한 도 5의 유(U)단면 회전 밸브(4212')가 도 5의 이동배관(4230)을 기준으로 폐쇄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폐쇄 단계(S311'), 상술한 첨가제 조절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유출되는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유(U)단면 회전 밸브(4212')에 보관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더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가 폐쇄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 및 상기 폐쇄된 유(U)단면 회전 밸브(4212')가 상기 이동배관(4230)을 기준으로 개방되고 도 1의 필터(30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개방 단계(S31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is an additive storage valv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U section rotation valve 4212' of FIG. 5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pipe 4230 of FIG. A module closing step (S311'), an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in which the above-described additive control valve is opened and the functional additive flowing out to the moving pipe 4230 is stored in the U-section rotary valve 4212' (S312 '), an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in which the additive control valve is closed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is not further discharged, and the closed U section rotary valve 4212' moves the moving pipe 4230.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opening step ( S315 ′) in which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3000 of FIG. 1 is introduced and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may be included.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 조절부(4210'')는 이동배관(4230)에 구비되고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된 물의 유량값을 고려하여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기능성 첨가제가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를 상기 여과된 물과 섞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면 상의 오른쪽을 입수측, 도면 상의 왼쪽을 출수측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is provided in the moving pipe 4230 and functions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4100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value of the filtered water flowing in from the filter 3000 of FIG.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capable of allowing a certain amount of the additive to flow into the moving pipe 4230 and simultaneously storing the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so as not to be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right side on the drawing is the water inlet side, and the left side on the drawing is the water outlet side.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4212'')은 상기 이동배관(4230) 중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과 연결되는 유입관 연결부(4231)에 구비되되,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 측과 상기 유입관 연결부(4231)의 양측 중 둘 이상을 포함하여 개방되도록 "티(T)"자 형상의 유로가 구비된 티(T)타입 3방향 볼 밸브(4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T)타입 3방향 볼 밸브(4212'')가 상기 이동배관(4230)의 입수측을 폐쇄하되,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 측과 상기 이동배관(4230)의 출수측을 개방하여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T)타입 3방향 볼 밸브(4212'')가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 측을 폐쇄하되, 상기 이동배관(4230)의 양측을 개방할 수 있다.The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4212'' is provided in the inlet pipe connection part 4231 connected to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of the moving pipe 4230, and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side and the inlet pipe connection part A T-type three-way ball valve 4212″ having a “T”-shaped flow path so as to be opened by including two or more of both sides of the 4231 may be included. As shown in (a) of FIG. 7, the tee (T) type three-way ball valve 4212'' closes the inlet side of the moving pipe 4230, but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side and By opening the water outlet side of the moving pipe 4230, the functional additive contained in the cartridge 4100 can be rotated so that it flows out to the moving pipe, and as shown in (b) of FIG. 7, the tee ( A T) type 3-way ball valve 4212″ may close the side of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but open both sides of the moving pipe 423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S310'')는 상술한 도 7의 티(T)타입 3방향 볼 밸브(4212'')가 도 7의 (a)와 같이 상술한 유입관 연결부(4231)의 입수측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기능성 첨가제가 상술한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출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폐쇄 단계(S311'') 및 상기 티(T)타입 3방향 볼 밸브(4212'')가 도 7의 (b)와 같이 상술한 첨가제 유입관(422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된 여과된 물이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되는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개방 단계(S31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the above-described T-type three-way ball valve 4212″ of FIG. 7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s shown in (a) of FIG.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closing step (S311'')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functional additive is discharged into the above-described moving pipe 4230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4231 and the T-type three-way ball valve As shown in FIG. It may include an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opening step (S315″).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제어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상의 오른쪽을 입수측, 도면 상의 왼쪽을 출수측으로 한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The right side on the drawing is the inlet side, and the left side on the drawing is the outlet sid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 조절부(4210''')는 첨가제 유입관(4220)에 구비되고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된 물의 유량값을 고려하여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기능성 첨가제가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입되도록 하는 첨가제 조절 밸브(421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is provided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and flows into the cartridge 4100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value of the filtered water flowing in from the filter 3000 of FIG. An additive control valve 4211' allowing a certain amount of the received functional additive to flow into the moving pipe 4230 may be included.

첨가제 조절 밸브(4211')는 첨가제 유입관(4220)에 설치되되, 특정 온도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1 특정 온도에 이르면 상기 스프링이 수축하며 개방되고, 제2 특정 온도에 이르면 상기 스프링이 팽창되며 폐쇄되는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4200) 내부에 가열장치(미도시) 또는 냉각장치(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에 가열장치(미도시) 또는 냉각장치(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를 상기 제1 특정 온도 또는 제2 특정 온도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 제2 특정 온도에 이르러 상기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팽창되어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이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9의 (b)에서 제1 특정 온도에 이르러 상기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이 개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가 가열 시 개방되고, 냉각 시 폐쇄된다면 상기 제1 특정 온도는 상기 제2 특정 온도에 비해 고온이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가 냉각 시 개방되고, 가열 시 폐쇄된다면 상기 제1 특정 온도는 상기 제2 특정 온도에 비해 저온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수축 또는 팽창하는 동안 상기 여과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배관(4230)의 입수측에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is installed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and includes a spring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that expands or contracts according to a specific temperature, and when the first specific temperature is reached, the spring contracts and opens, A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that expands and closes the spring when a second specific temperature is reached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by providing a heating device (not shown) or a cooling device (not shown) inside the bracket 4200, or by providing a heating device (not shown) or a cooling device (not shown)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may reach the first specific temperature or the second specific temperature. In (a) of FIG. 9,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of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is expanded when the second specific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is closed. In (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of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is contracted when the first specific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is opened. Here, if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is open when heated and closed when cooled, the first specific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specific temperature, and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If is open during cooling and closed during heating, the first specific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specific temperature. In addition, a valve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inflow side of the moving pipe 4230 so that the filtered water does not flow in while the spring contracts or expands.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S310''')는 상술한 도 9의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가 제1 특정 온도에 이르러 개방되어 도 9의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기능성 첨가제가 상술한 이동배관(4230)으로 유출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 및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에 일정량 유출된 후 상기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4211')가 제2 특정 온도에 이르러 폐쇄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는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동안 유량차단을 위해 상술한 이동배관(도 9의 4230)의 입수측에 구비된 밸브(미도시)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 이후, 상기 이동배관(4230)의 입수측에 구비된 밸브가 개방되어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S320).As shown in FIG. 10, in the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of FIG. 9 is opened when the first specific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 cartridge 4100 of FIG.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S312″)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accommodated flows out to the above-described moving pipe 4230, and after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flows out to the moving pipe 4230,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4211 ') may include an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in which the second specific temperature is reached and closed. The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S312″) may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valve (not shown) provided on the inflow side of the above-described moving pipe (4230 in FIG. 9) to block the flow rate for the certain period of time may be closed. After the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the valve provided on the water inlet side of the moving pipe 4230 is opened, and the water filtered from the filter 3000 of FIG. 1 is introduced and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t can be (S320).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첨가제 조절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상의 오른쪽을 입수측, 도면 상의 왼쪽을 출수측으로 한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additive control unit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The right side on the drawing is the inlet side, and the left side on the drawing is the outlet sid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4100')는 기능성 첨가제가 수용되는 기능성 첨가제 수용부(4110) 및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분사되는 노즐부(4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 수용부(4110)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가압하여 분사할 수 있는 가압장치(4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 조절부(4210'''')는 첨가제 유입관(4220)에 설치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4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의 제형이 페이스트일 경우, 점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가압장치(4111)에 의해 가압되어야 이동배관(4230)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4120)가 미세할 경우,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421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4111)는 기능성 첨가제를 가압하여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 및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 기체 또는 액체가 주입되는 백이거나 피스톤 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 수용부(4110) 내부에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가압하여 상기 노즐부(4120)를 통해 분사할 수 있는 가압수단이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4111)는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된 물의 유량값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분사되도록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장치(4111)가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가압하는 동안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4211'')는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4211)가 개방되어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분사되는 동안,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상기 여과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배관(4230)의 입수측에 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cartridge 4100' may include a functional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4110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accommodated and a nozzle portion 4120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sprayed, and the functional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 4110) may include a pressurizing device 4111 capable of pressurizing and spraying the functional additive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additive control unit 4210'''' may include an additive control valve 4211'' installed in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When the formulation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a paste, since it has a high viscosity, it must be pressurized by the press device 4111 so that it can be sprayed into the moving pipe 4230. In addition, when the nozzle unit 4120 is fine,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may be omitted. The pressurization device 4111 is a device for pressurizing the functional additive and injecting it into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and the moving pipe 4230, and may be a bag into which gas or liquid is injected or a piston device, but is limited thereto However, any pressurizing means that can pressurize the functional additive inside the functional additive accommodating part 4110 and inject it through the nozzle part 4120 may be used. The pressurization device 4111 may pressurize the functional additive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is injected in a certain amount into the moving pipe 4230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value of filtered water flowing in from the filter 3000 of FIG. While the device 4111 pressurizes the functional additive,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 may be opened. As in the above-described fourth embodiment, while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is opened and the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injected into the moving pipe 4230, the filtered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4230. A valv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water inlet side of the moving pipe 4230 so as to prevent i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S310'''')는 상술한 도 11의 첨가제 조절 밸브(4211'')가 개방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 기능성 첨가제가 상술한 이동배관(4230)으로 유출되도록 상술한 도 11의 가압장치(4111)로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가압되는 첨가제 가압 단계(S314) 및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일정량 유출된 후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4211'')가 폐쇄되는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S312''') 및 첨가제 가압 단계(S314)는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동안 도 1의 필터(30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된 물의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의 유량차단을 위해 상기 이동배관(4230)의 입수측에 구비된 밸브(미도시)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S313''') 이후, 상기 여과된 물이 상기 이동배관(4230)으로 유입되어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S320).As shown in FIG. 12, the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is the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S312''') in which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of FIG. 11 is opened, the functional additive Additive pressurization step (S314) of pressurizing the functional additive with the pressurizing device 4111 of FIG. 11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flows out to the above-described moving pipe 4230, and after the functional additive flows out in a certain amount to the moving pipe 4230 An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of closing the additive control valve 4211'' may be included. The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S312''') and the additive pressurization step (S314) may be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and the filtered water flowing from the filter 3000 of FIG. ) A valve (not shown)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moving pipe 4230 may be closed to block the flow rate. After the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3'''), the filter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4230 and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S320).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버튼(도 1의 1000)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단계(S100), 물이 복수의 필터(도 1의 3000)를 지나며 여과되는 물 여과 단계(S200),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 및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기능성 물 출수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이 추가로 유입되고 출수됨으로써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이동한 배관이 세척되는 세척 물 출수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includes a button input step (S100)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by an input button (1000 in FIG. 1), and water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3000 in FIG. 1). It may include a filtering step (S200) of filtered water passing through, a functional water preparation step (S300)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and a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S400) in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A washing water extraction step (S500) of washing the pipe through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has moved may be further included as the water is additionally introduced and discharged.

세척 물 출수 단계(S500)는 상기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 또는 기능성 물 출수단계(S400)에서 기능성 물을 생성하거나 출수할 때 도 3의 이동배관(4230) 또는 도 1의 출수부(7000)에 상기 기능성 물의 잔여물이 남아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수기의 다음 작동에서 이전에 생성된 상기 기능성 물과 새로 생성될 기능성 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지 않은 일정량의 물만을 상기 기능성 물과 같은 경로로 출수하는 단계로, 상기 기능성 물 출수단계(S400) 이후에 물이 추가적으로 유입되어 도 3의 카트리지 모듈(4000)을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의 혼합 없이 이동하고 출수됨으로써 상기 기능성 물이 이동한 배관(4230)이 세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로 유입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첨가제 유입관(도 3, 도 5, 도 7, 도 9 및 도 11의 4220)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이 세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도 3의 4100)를 포함할 경우, 세정제를 제외한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된 기능성 물의 배출(S400) 이후에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가 상기 추가로 유입된 물에 상기 세정제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물이 이동한 배관(4230)이 세척될 수 있다(S500).In the washing water extraction step (S500), when functional water is produced or extracted in the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S300) or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S400), the moving pipe 4230 of FIG. 3 or the water outlet 7000 of FIG. 1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residuals of the functional water remain in the water purifier, in order to prevent mixing of the previously produced functional water and newly generated functional water in the next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only a certain amount of water without a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unctional water. In the step of exiting water through the same path as water, water is additionally introduced after the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S400), and the cartridge module 4000 of FIG. 3 is moved without mixing with the functional additive, and the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One tubing 4230 may be flushed. At this time,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in FIGS. 3, 5, 7, 9, and 11)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closed so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does not flow into the additionally introduced water. In addition, when the cartridge module 4000 includes a cartridge (4100 in FIG. 3 ) accommodating the detergent, after discharging the functional water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except the detergent is mixed (S400), the cartridge module 4000 The pipe 4230 through which the functional water has moved can be washed by discharging the cleaning agent into the additionally introduced water (S500).

상기와 같은 단계는, 기능성 물 출수(S400) 이후에 세척 물을 배출함으로써(S500) 상기 기능성 물이 이동한 배관(도 3의 4230)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관(4230)의 추가적인 세척이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In the above step, by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fter the functional water discharge (S400) (S500), the pipe (4230 in FIG. 3) through which the functional water has moved can be washed, so that the pipe 4230 can be additionally washed. There are benefits you don't need.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as follows.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의 (a)를 통해 기능성 온수가 생성되는 흐름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5의 (b)를 통해 기능성 냉수가 생성되는 흐름도를 확인할 수 있다.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rough (a) of FIG. 15 a flow chart of generating functional hot water, and a flow chart of generating functional cold water can be confirmed through (b) of FIG. 15 .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는 물에 혼합될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되는 입력버튼(미도시), 물이 유입되는 외부입력관(2000), 상기 외부입력관(2000)에 구비되어 물을 유입하는 펌프(미도시), 상기 유입된 물이 이동하며 여과되는 필터부(3000), 상기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는 카트리지 모듈(4000''),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7000) 및 상기 기능성 정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은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수용되는 카트리지(4100) 및 상기 카트리지(4100)가 복수 개 도입되는 브라켓(42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4200'')은 상기 카트리지(4100)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첨가제 유입관(4220), 상기 필터부(3000)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는 이동배관(4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배관(4230')은 상기 출수부(7000)와 연결된 측에 가열장치가 구비된 가열이동배관(4232)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각이동배관(42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이동배관(4232)과 냉각이동배관(4233)은 각각 상기 출수부(7000)와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물을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button (not shown) inputting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to be mixed with water, an external input pipe 2000 through which water flows, A pump (not shown) provided in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to introduce water, a filter unit 3000 through which the inflowed water moves and is filtered, and a cartridge module 4000″ which mixes functional additives with the filtered water ), a water outlet 7000 through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nd the cartridge module 40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unctional additive. It may be composed of a cartridge 4100 and a bracket 4200″ into which a plurality of cartridges 4100 are introduced, and the bracket 4200″ allows the functional additive contained in the cartridge 4100 to flow and move. It may include an additive inlet pipe 4220 and a moving pipe 4230'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3000 and moving the filtered water. In addition, the moving pipe 4230' may include a heating moving pipe 4232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and a cooling moving pipe 4233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7000. The heating movement pipe 4232 and the cooling movement pipe 4233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7000 to discharge the functional water.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버튼(도 1의 1000)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단계(S100'), 물이 필터부(도 14의 3000)를 지나며 여과되는 물 여과 단계(S200),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 S300'') 및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기능성 물 출수단계(S400', S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cludes a button input step (S100')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by an input button (1000 in FIG. 1), and water is added to the filter unit. (3000 in FIG. 14) filtering the filtered water (S200), preparing functional water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S300', S300''), and functional water in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A water extraction step (S400', S400'') may be included.

입력 단계(S100', S100'')에서 물에 혼합될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와 상기 물과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된 기능성 물이 가열되도록 명령이 입력되거나(S100'), 상기 기능성 물이 냉각되도록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100'').In the input steps (S100', S100''), a command is input to heat the functional water mixed with the functional additive and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to be mixed with the water (S100') or to cool the functional water. It can be input (S100'').

기능성 물 제조 단계(S300', S300'')는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일정량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S310)와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술한 도 14의 가열이동배관(4232)을 이동하며 가열되는(S330) 기능성 물 가열 단계(S320) 또는 상술한 도 14의 냉각이동배관(4233)을 이동하며 냉각되는(S330) 기능성 물 냉각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s (S300', S300'') include the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0) of allowing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to flow into the filtered water and the heating and moving pipe 4232 of FIG. It may include a functional water heating step (S320) that is heated while moving (S330) or a functional water cooling step (S330) that is cooled while moving (S330) the cooling moving pipe 4233 of FIG. 14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여과된 물이 상기 이동배관(4230)을 이동할 때, 상기 첨가제 유입관(4220)이 차단되어 있으면, 상기 여과된 물은 상기 기능성 첨가제와의 혼합 없이 가열 또는 냉각 될 수 있어 상기 기능성 정수기는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ltered water moves through the moving pipe 4230 and the additive inlet pipe 4220 is blocked, the filtered water can be heated or cooled without mixing with the functional additive, and thus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can dispense hot or cold water.

이 경우, 상기 기능성 정수기의 배관의 개수가 줄어 관리가 용이하며,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pipes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is reduced to facilitate management, and the size of the cartridge module 4000'' can be reduced.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는 물에 혼합될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되는 입력버튼(미도시), 물이 유입되는 외부입력관(2000), 상기 외부입력관(2000)에 구비되어 물을 유입하는 펌프(미도시), 상기 유입된 물이 이동하며 여과되는 필터부(3000), 상기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는 카트리지 모듈(4000''),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7000) 및 상기 기능성 정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 모듈(4000')은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수용되는 카트리지(4100) 및 상기 카트리지(4100)가 복수 개 도입되는 브라켓(42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4200')은 상기 필터부(3000)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는 이동배관(4230), 상기 필터부(3000)와 연결되고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며 가열되는 가열관(4240) 및 상기 필터부(3000)와 연결되고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된 물이 이동하며 냉각되는 냉각관(4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배관(4230), 상기 가열관(4240) 및 냉각관(4250)은 각각 상기 출수부(7000)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button (not shown) inputting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to be mixed with water, an external input pipe 2000 through which water flows, A pump (not shown) provided in the external input pipe 2000 to introduce water, a filter unit 3000 through which the inflowed water moves and is filtered, and a cartridge module 4000″ which mixes functional additives with the filtered water ), a water outlet 7000 through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nd the cartridge module 4000' is a cartridge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accommodated. 4100 and a bracket 4200' into which a plurality of cartridges 4100 are introduced, and the bracket 4200'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3000 to move the filtered water through a moving pipe. 4230,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3000 and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to move and heat the filtered water; and a heating pipe 4240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3000 and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to remove the filtered water. A cooling pipe 4250 through which water moves and is cooled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moving pipe 4230, the heating pipe 4240, and the cooling pipe 425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7000, respectively.

따라서, 상술한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와 도 16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정수기는, 가열장치가 구비된 가열관(5000, 4240) 또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각관(6000, 4250)을 포함하여 도 2의 버튼입력단계(S100)에서 도 1의 온수 버튼(1000) 또는 냉수 버튼(1000)이 입력되면,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FIG. , 4250), when the hot water button 1000 or the cold water button 1000 of FIG. 1 is input in the button input step S100 of FIG. 2, hot or cold water can be gener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subject matt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1000': 입력버튼
2000: 외부입력관
3000: 필터
4000, 4000', 4000'': 카트리지 모듈
4100: 카트리지
4110: 기능성 첨가제 수용부
4111: 가압장치
4120: 노즐부
4200, 4200', 4200'': 브라켓
4210, 4210', 4210'', 4210''', 4210'''': 첨가제 조절부
4211, 4211', 4211'': 첨가제 조절 밸브
4212, 4212', 4212'':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4220: 첨가제 유입관
4230, 4230': 이동배관
4231: 유입관 연결부
4232: 가열이동배관
4233: 냉각이동배관
4240: 가열관
4250: 냉각관
5000: 가열관
6000: 냉각관
7000: 출수부
S100, S100', S100'': 버튼 입력 단계
S200: 물 여과 단계
S300, S300', S300'': 기능성 물 제조 단계
S310, S310', S310'', S310''',S310'''':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
S311, S311', S311'':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폐쇄 단계
S312, S312', S312'', S312''': 첨가제 조절 밸브 개방 단계
S313, S313', S313'', S313''': 첨가제 조절 밸브 폐쇄 단계
S314: 첨가제 가압 단계
S315, S315', S315'': 첨가제 저장 밸브 모듈 개방 단계
S320: 기능성 물 가열 단계
S330: 기능성 물 냉각 단계
S400, S400', S400'': 기능성 물 출수 단계
S500: 세척 물 출수 단계
1000, 1000': Input button
2000: external input pipe
3000: filter
4000, 4000', 4000'': cartridge module
4100: cartridge
4110: functional additive receiving unit
4111: Pressurization device
4120: nozzle unit
4200, 4200', 4200'': Bracket
4210, 4210', 4210'', 4210''', 4210'''': additive control unit
4211, 4211', 4211'': additive control valve
4212, 4212', 4212'': Additive Reservoir Valve Module
4220: additive inlet pipe
4230, 4230': moving pipe
4231: inlet pipe connection
4232: heating transfer pipe
4233: Cooling transfer piping
4240: heating tube
4250: cooling pipe
5000: heating tube
6000: cooling pipe
7000: exit part
S100, S100', S100'': Button input step
S200: water filtration step
S300, S300', S300'': Functional water manufacturing step
S310, S310', S310'', S310''', S310'''': Functional additive control step
S311, S311', S311'':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closing step
S312, S312', S312'', S312''': Additive control valve opening step
S313, S313', S313'', S313''': additive control valve closing step
S314: Additive Pressing Step
S315, S315', S315'': Additive storage valve module opening step
S320: functional water heating step
S330: functional water cooling step
S400, S400', S400'':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S500: washing water discharge step

Claims (5)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가 입력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단계;
물이 복수의 필터를 지나며 여과되는 물 여과 단계;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혼합되는 기능성 물 제조 단계; 및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출수되는 기능성 물 출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물 제조 단계는,
상기 여과된 물에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일정량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
A button input step in which the type of functional additive is input by an input button;
a water filtration step in which water is filtered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Preparing functional water in which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and
Including; functional water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is discharged,
The functional water production step,
A control method for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ed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는,
상기 여과된 물의 유입 및 상기 기능성 첨가제의 유입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가 일정 시간동안 개폐됨으로써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여과된 물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by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valves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filtered water and the inflow of the functional additi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는,
온도에 의해 제어되는 형상기억합금 농도조절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여과된 물에 유출되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hape memory alloy concentration control valve controlled by temperature is opened and close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flows out and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 조절 단계는,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일정량의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여과된 물에 유출되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functional additive,
A control method of a functional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additive is pressurized by a pressurizing device so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unctional additive flows out and is mixed with the filtered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추가로 유입되고 출수됨으로써 상기 혼합된 기능성 물이 이동한 배관이 세척되는 세척 물 출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al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washing water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water is additionally introduc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pipe through which the mixed functional water has moved is washed.
KR1020210074928A 2021-04-29 2021-06-09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KR102509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28A KR102509229B1 (en) 2021-06-09 2021-06-09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PCT/KR2022/005988 WO2022231288A1 (en) 2021-04-29 2022-04-27 Water purifier for functional wa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28A KR102509229B1 (en) 2021-06-09 2021-06-09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397A true KR20220166397A (en) 2022-12-19
KR102509229B1 KR102509229B1 (en) 2023-03-15

Family

ID=8453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928A KR102509229B1 (en) 2021-04-29 2021-06-09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2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69A (en) * 2002-03-11 2003-09-16 Yuuki Shokai:Kk Functional water generator
JP2005046723A (en) * 2003-07-28 2005-02-24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Water quality control device
KR100727676B1 (en) * 2006-02-10 2007-06-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unctional water purifier for dosing a functional element
KR101367169B1 (en) * 2012-11-16 2014-0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Water purifier valve
KR20200106308A (en) 2019-03-04 2020-09-14 코웨이 주식회사 Functional liquid mix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69A (en) * 2002-03-11 2003-09-16 Yuuki Shokai:Kk Functional water generator
JP2005046723A (en) * 2003-07-28 2005-02-24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Water quality control device
KR100727676B1 (en) * 2006-02-10 2007-06-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unctional water purifier for dosing a functional element
KR101367169B1 (en) * 2012-11-16 2014-0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Water purifier valve
KR20200106308A (en) 2019-03-04 2020-09-14 코웨이 주식회사 Functional liquid mix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229B1 (en)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49988A1 (en) Membrane filtration process with internal recycles
EP1785151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KR20170067579A (en)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2509229B1 (en) Control method of the functional water purifier
KR10149287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MX2014002451A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2332233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1293233B1 (en) Water purifier
KR20160142445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capable of offering beverage
KR102509195B1 (en) Functional water purifier
JP2011125863A (en) Method for disinfecting nanofiltration membrane by hot water
KR101305329B1 (en) Water purifier
KR101645182B1 (en) Water purifier
KR102288070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CN210176649U (en) Sanitary direct-drink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14005527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13101736B (en) Water treatment device
US201902181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s
KR102312010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1305330B1 (en) Water purifier
KR20140071834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CN113511749A (en) Filter sterilization system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101331842B1 (en) Sterilizing method for water tank of water purifier and sterilizing water purifier applied thereof
KR20210039065A (en) Water purifier
KR20220166543A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