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444A - Vehicle cup holder - Google Patents

Vehicle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444A
KR20220165444A KR1020210074066A KR20210074066A KR20220165444A KR 20220165444 A KR20220165444 A KR 20220165444A KR 1020210074066 A KR1020210074066 A KR 1020210074066A KR 20210074066 A KR20210074066 A KR 20210074066A KR 20220165444 A KR20220165444 A KR 2022016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op
holder
vehicle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현탁
강신환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444A/en
Publication of KR2022016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holder main body having an inner space storing a cup; a floor unit provid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main body,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cup, and descended in the inner space when storing the cup; and a popup uni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main body, connected to the floor unit through a lifting device, and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when the floor unit is descended to support a side surface of the cup.

Description

차량 컵홀더{VEHICLE CUP HOLDER}Vehicle cup holder {VEHICLE CUP HOLDER}

본 발명은 차량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컵을 수납시 컵의 지지 높이를 유지하면서 컵홀더의 두께를 축소하기 위한 차량의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up holder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up holder while maintaining a supporting height of the cup when storing the cup in the vehicle.

운전자가 차량 운전시 운전자가 팔을 편안하게 위치할 수 있는 암레스트에 컵홀더를 배치하는데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량의 암레스트의 두께를 증대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 존재한다.Many technical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place a cup holder on an armrest where a driver can comfortably position his arm while driving a vehicle, a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armrest of a vehicle.

종래에, 암레스트에 배치된 컵홀더는 컵이 위치하는 경우 컵이 아래 방향으로만 수납될 수 있어 컵의 지지를 위하여 암레스트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형태로 제작되었다.Conventionally, a cup holder disposed on an armrest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armrest is increased to support the cup because the cup can be accommodated only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the cup is positioned.

이러한 종래의 차량 컵홀더는 차량의 암레스트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것이므로 부품이 많이 필요하며 구조도 복잡하여 원가가 많이 들며 편의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Since such a conventional vehicle cup holde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rmrest of the vehicle, many parts are required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resulting in high cost and reduced convenienc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2019-0130386 10-2019-0130386 AA

본 발명은 차량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컵을 수납시 컵의 지지 높이를 유지하면서 컵홀더의 두께를 축소하여 부품의 수를 줄이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편의성이 증가하는 차량의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up holder, which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cup holder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cup hol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simplifies the structure to reduce cost and increase convenience while storing the cup in the vehicle. It aims to prov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홀더본체; 홀더본체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컵의 하단을 지지하고, 컵의 수납시 내부공간에서 하강하는 바닥부; 홀더본체의 측면에 마련되며, 바닥부와 상승기구로 연결되고, 바닥부가 하강시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팝업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컵홀더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cup is accommodated;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up, and descending in the inner space when the cup is stored; Provided is a cup holder for a vehicle including a pop-up par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body,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by a lift mechanism, and supported by a side surface of a cup by being raised by the lift mechanism when the bottom part is lowered.

팝업부는 홀더본체의 측면 외부에 마련되며 홀더본체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op-up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of the holder body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holder body.

팝업부는 상승기구와 대각선 구조로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pop-up part is connected to the rising mechanism in a diagonal structure, and can be rai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side of the cup.

팝업부는 핀 구조를 통하여 바닥부 및 상승기구와 대각선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p-up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lifting mechanism in a diagonal structure through a pin structure.

홀더본체의 상단에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팝업부는 홀더본체의 측면 외측에 배치되고 팝업시 관통홀을 통해 플랜지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A flange extends from an upper end of the holder bod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and the pop-up unit is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holder body and may be exposed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during pop-up.

플랜지에는 관통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팝업하우징이 형성되고, 팝업하우징에 팝업부가 수납되며, 팝업하우징은 홀더본체를 마주하는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op-up housin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flange, a pop-up unit is accommodated in the pop-up housing, and an open portion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op-up housing facing the holder body.

바닥부는 홀더본체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홀더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can slide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바닥부는 홀더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되어 양 끝단에 도달한 경우 팝업부 및 상승기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bottom part slides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and reaches both ends, it may be fixed through the pop-up part,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interference fitting structure.

바닥부에 형성되며 외부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를 하강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formed on the bottom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art for lowering the bottom part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가압부는 바닥부에 돌출 구조로 형성되며 외부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가 하강하며 팝업부는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bottom part, and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he bottom part descends and the pop-up part can be raised by a lifting mechanism.

홀더본체는 복수 개가 배치되며 각 홀더본체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der bodies are dispos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flang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each holder body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 차량 컵홀더에 따르면 차량에 컵을 수납시 컵의 지지 높이를 유지하면서 컵홀더의 두께를 축소하여 부품의 수를 줄이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편의성이 증가하는 차량의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up holder is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cup hol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simplify the structure to reduce cost and increase convenience while storing the cup in the vehicle. can do.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컵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바닥부가 하강시 팝업부와 대각선 구조로 연결된 상승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바닥부가 하강시 팝업부가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바닥부가 팝업부 및 상승기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pop-up part in a diagonal structure when the bottom part descends.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p-up part is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and supports the side surface of the cup when the bottom part is lowered.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bottom part is fixed through the pop-up part and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interference fit structure.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컵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바닥부가 하강시 팝업부와 대각선 구조로 연결된 상승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바닥부가 하강시 팝업부가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바닥부가 팝업부 및 상승기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pop-up part in a diagonal structure when the bottom part descends.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p-up part is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and supports the side surface of the cup when the bottom part is lowered.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bottom part is fixed through the pop-up part and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interference fi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컵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컵홀더는 컵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홀더본체(10); 홀더본체(10)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컵의 하단을 지지하고, 컵의 수납시 내부공간에서 하강하는 바닥부(30); 홀더본체(10)의 측면에 마련되며, 바닥부(30)와 상승기구(40)로 연결되고, 바닥부(30)가 하강시 상승기구(40)에 의해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팝업부(20);를 포함하는 차량의 컵홀더를 구성한다.1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cup hold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body 10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cup is accommodated; a bottom portion 30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10,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up, and descending in the inner space when the cup is store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and when the bottom part 30 is lowered, the pop-up is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40 to support the side of the cup. It constitutes a cup holder of a vehicle including a; part 20.

본 발명의 경우 차량 내부에 배치된 컵홀더에 컵을 수납시 컵의 지지 높이를 유지하면서 컵홀더의 두께를 축소하여 부품의 수를 줄이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편의성이 증가하는 차량의 컵홀더를 제공하려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차량의 암레스트의 두께를 축소시켜 암레스트 내부에 컵홀더가 수납되는 공간을 줄여야 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up is stored in a cup holder disposed inside a vehicle, the thickness of the cup holder is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cup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simplify the structure to reduce cost and increase convenience. There is a characteristic to provide a holder. To this end, the thickness of the armrest of the vehicle must be reduced to reduce the space in which the cup hold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armrest.

차량에 컵의 수납은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팔을 편히 둘수 있는 암레스트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컵의 수납은 보통 암레스트에 배치된 컵홀더에서 이루어지며 운전자는 마시던 음료를 차량 주행 중에도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마시던 음료를 차량 주행 중 계속하여 마시는 경우 도로의 과속방지턱이나 비포장 도로와 같은 도로의 노면이 불규칙한 상황에서는 음료를 쏟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내부에서 주행 중에 컵을 편하게 위치하기 위하여 컵홀더의 두께는 충분한 두께가 요구된다.Storage of the cup in a vehicle is generally performed in an armrest where a driver can comfortably place an arm. Therefore, the storage of the cup is usually performed in the cup holder disposed on the armrest, and the driver can drink the drink while driving the vehicle. However, if the driver continues to drink the beverage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re is a risk of spilling the beverage under irregular road conditions such as speed bumps or unpaved roads.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cup holder is required to be sufficient for the driver to comfortably position the cup while driving inside the vehicle.

그러나 차량의 암레스트에 컵홀더를 배치하여 암레스트 내부 공간에 컵홀더가 수납된다면 필수불가결적으로 암레스트의 길이는 컵홀더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더 길어야 하며 그에 따라 차량의 컵홀더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며 컵홀더의 구조도 더욱 복잡하게 된다. 부품의 수가 증가하거나 컵홀더의 구조가 더 복잡하게 되면 차량을 제조하는데에 원가가 더욱 증가하여 결국 차량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암레스트를 제조하는데에 공정이 복잡하여 결국 차량의 암레스트를 제조하는 공정이 느리게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의 암레스트에 불필요한 공간이 할애되게 되어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 또는 품질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성능 및 품질의 향상, 중량을 감소시키고 부품의 수 감소를 통한 차량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공정을 단순화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주행 중 마시던 음료가 흐르지 않도록 안정성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차량의 효율성도 담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However, if the cup holder is placed on the armrest of the vehicle and the cup holder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rmrest, the length of the armrest must inevitabl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up hold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parts constituting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As the number of is increased, the structure of the cup holder becomes more complicated. As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or the structure of the cup holder becomes more complicated, manufacturing costs of the vehicle further increas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rmrest of the vehicle is complicated,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rmrest of the vehicle is slow. In addition, unnecessary space is allocated to the armrest of the vehicle, resulting in waste of overall performance or quality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for improving vehicle performance and quality, reducing weight, reducing vehicle manufacturing costs through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simplifying processes. That 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while maintaining stability so that the drink that the driver drinks while driving does not flow.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에 컵을 수납시 컵의 지지 높이를 유지하면서 컵홀더의 두께를 축소하여 부품의 수를 줄이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편의성이 증가하는 차량의 컵홀더를 제공하여 주행 중 마시던 음료가 흐르지 않도록 안정성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차량의 효율성도 확보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holder for a vehicle that reduces the number of parts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up holder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cup when storing the cup in the vehicle, reduces cost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ncreases convenience. It maintains the stability so that the drink you drink during the flow does not flow, and at the same time secures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홀더본체(10)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팔을 편하게 둘 수 있는 암레스트에 컵이 위치하며, 홀더본체(10)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바닥부(30)는 컵이 위치하는 경우 그 하단을 지지한다. 또한 컵이 컵홀더에 수납된 경우 바닥부(30)는 컵홀더의 내부공간에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컵이 컵홀더에 수납된 경우 바닥부(30)가 하강하면서 홀더본체(10)의 측면에 마련된 팝업부(20)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상승기구(40)에 의해 상승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holder body 10, the cup is located on an armrest where the driver can comfortably place his or her arm in the vehicle, and the bottom part 30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10 is the lower end when the cup is located. support Also, when the cup is stored in the cup holder, the bottom portion 30 descends in the inner space of the cup holder. When the cup is stored in the cup holder, the pop-up part 2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rises while the bottom part 30 descends, which is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40.

컵이 위치하는 공간인 암레스트에 배치된 홀더본체(10)는 컵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운전자가 마시던 음료를 주행 중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리고 홀더본체(10)는 컵이 수납되는 경우 바닥부(30)가 하강할 수 있도록 바닥부(30)를 하단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홀더본체(10)는 팝업부(20)가 측면 외부에 마련될 수 있도록 팝업부(2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부(30)는 컵이 수납되는 경우 컵이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 컵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기구(40)는 팝업부(20)가 상승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바닥부(30)와 연결되어 바닥부(30)가 홀더본체(10)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컵이 위치하는 경우 바닥부(30)는 하강하며 상승기구(40)가 상승함에 따라 바닥부(30)와 상승기구(40)와 연결된 팝업부(20)가 홀더본체(10)의 측면에서 상승하여 컵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The holder body 10 disposed on the armrest, which is a space in which a cup is located, is a space in which a cup can be located, and a space in which a beverage that a driver drinks can be placed while driving. In addition, the holder body 10 serves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30 from the bottom so that the bottom portion 30 can descend when the cup is stored, and the holder body 10 has the pop-up portion 20 outside the side surface. It serves to support the pop-up part 20 from the side so that it can be provided in. The bottom part 30 is formed in a flat structur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up so that the cup can be stably accommodated when the cup is stored.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serves to assist the pop-up part 20 to rise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to assist the bottom part 30 to slide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10. do. In addition, when the cup is positioned, the bottom part 30 descends, and as the lifting mechanism 40 rises, the pop-up part 20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moves from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It rises to support the side of the cup.

만약 상승기구(40)와 연결된 팝업부(20)가 없다면 운전자가 음료가 들어있는 컵을 수납하는 경우에 컵을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길이가 짧아서 음료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흔들리는 경우에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흘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승기구(40)를 통하여 팝업부(20)가 상승하게 되고, 팝업부(20)가 상승함에 따라 음료가 들어있는 컵이 컵홀더에 수납되어있는 경우에도 종래의 차량 컵홀더의 컵의 세로 방향 길이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주행 중 컵의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부품수의 감소를 통한 원가 절감 및 공정을 단순화하도록 하는 것이다.If there is no pop-up unit 20 connected to the lift mechanism 40, when the driver receives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the length of supporting the cup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 so the beverage shakes as the vehicle drives. This can cause spillage or spillage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pop-up part 20 rises through the lifting mechanism 40, and as the pop-up part 20 rises, even when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stored in the cup holder, the conventional vehic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eep the length of the cup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up holder as it is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cup is maintained while driving and at the same time, cost reduction and process simplification through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팝업부(20)는 홀더본체(10)의 측면 외부에 마련되며 홀더본체(1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op-up part 2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

팝업부(20)는 컵홀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컵홀더의 내부공간의 연장선에 따라 팝업부(20)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팝업부(20)는 컵이 수납된 경우 홀더본체(10)의 측면에서 컵을 지지하할 수 있도록 홀더본체(10)의 측면을 감싸야 한다. 종래 컵홀더는 팝업식 컵홀더로서 암레스트에 배치되기 때문에 컵홀더의 부품도 많으며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팝업부(20)를 통하여 컵이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여 차량의 암레스트 외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컵홀더의 부품을 줄일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The pop-up part 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up holder, but the pop-up part 20 should be formed along the extension line of the inner space of the cup holder in order to support the contents of the cup from spilling. Therefore, the pop-up unit 20 should surround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so as to support and lower the cup from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0 when the cup is stored. Since the conventional cup holder is a pop-up type cup holder and is placed on an armrest, the cup holder has many parts and a complicated structure, so the cup rises upward through the pop-up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ists outside the armrest of the vehicle. Therefore, the parts of the cup holder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도 2는 바닥부(30)가 하강시 팝업부(20)와 대각선구조(100)로 연결된 상승기구(4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40 connected to the pop-up part 20 in a diagonal structure 100 when the bottom part 30 descends.

도 2를 참조하면, 팝업부(20)는 상승기구(40)와 대각선구조(100)로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p-up unit 2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echanism 40 through a diagonal structure 100 and is vertically raised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cup.

팝업부(20)는 바닥부(30)와 상승기구(40)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승기구(40)가 회전하면서 바닥부(30)가 하강하며 팝업부(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기구(40)가 회전하면서 바닥부(30)가 하강하는 동시에 팝업부(20)가 상승하기 위하여는 대각선구조(100)로 연결되어야 상승기구(40)는 회전, 바닥부(30)는 하강, 팝업부(20)는 상승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컵홀더의 바닥부(30)를 누르면 상승기구(40)는 회전하면서 바닥부(30)는 내부공간에서 아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팝업부(20)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야 운전자가 주행 중 컵을 컵홀더에 수납하는 경우에도 컵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pop-up part 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As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the bottom part 30 descends and the pop-up part 20 rises. In order for the pop-up part 20 to rise at the same time as the bottom part 30 descends while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it must be connected in a diagonal structure 100 so that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and the bottom part 30 descends. , the pop-up unit 20 may be operated to rise. When the user presses the bottom part 30 of the cup holder,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and the bottom part 30 descends downward in the inner space. At this time, the pop-up unit 20 should rise vertically to support the side of the cup even when the driver puts the cup in the cup holder while driving.

팝업부(20)는 핀 구조를 통하여 바닥부(30) 및 상승기구(40)와 대각선구조(100)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p-up part 2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in a diagonal structure 100 through a pin structure.

팝업부(20)는 바닥부(30) 및 상승기구(40)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바닥부(30)가 하강시 상승기구(40)가 회전하며 팝업부(20)가 상승하게 된다. 팝업부(20)가 상승하는 경우 어느 시점에서는 고정되어야 컵을 세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팝업부(20)는 바닥부(30) 및 상승기구(40)와 특정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이 되어야 컵을 지지할 수 있으며 컵을 컵홀더에 위치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바닥부(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팝업부(20)는 핀 구조를 통하여 바닥부(30) 및 상승기구(40)와 연결되며, 대각선구조(100)로서 상승기구(40)는 회전, 바닥부(30)는 하강, 팝업부(20)는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The pop-up part 20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so that when the bottom part 30 descends,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and the pop-up part 20 rises. When the pop-up part 20 rises, it must be fixed at some point in order to support the c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pop-up part 20 can support the cup only when it is manufactured in a form that can be fix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at a specific part, and even when the cup is not placed in the cup holder, the bottom part ( 30)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To do so, the pop-up part 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through a pin structure, and as a diagonal structure 100,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the bottom part 30 descends, and the pop-up Part 20 may cause it to perform an ascending operation.

홀더본체(10)의 상단에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팝업부(20)는 홀더본체(10)의 측면 외측에 배치되고 팝업시 관통홀을 통해 플랜지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A flange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body 10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can

홀더본체(10)의 상단에 컵홀더와 암레스트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팝업부(20)가 관통홀을 통하여 노출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부분에 있는 관통홀에서 바닥부(30)가 하강하는 경우 상승기구(40)가 회전함에 따라 팝업부(20)가 플랜지의 상방으로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팝업부(20)가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일체형 차량 컵홀더를 구성하여 이루게 되는 것이다. While serving to fix the cup holder and the armrest to the top of the holder body 10, the pop-up part 20 can b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when the bottom part 30 descends in the through hole at the part where the flange is extended, the pop-up part 20 vertically rises upward of the flange as the lifting mechanism 40 rotates. This is achieved by forming an integrated vehicle cup holder 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op-up unit 20 can be accommodated by extending the flange.

플랜지에는 관통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팝업하우징이 형성되고, 팝업하우징에 팝업부(20)가 수납되며, 팝업하우징은 홀더본체(10)를 마주하는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op-up housin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flange, the pop-up part 20 is accommodated in the pop-up housing, and an open part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op-up housing facing the holder body 10 .

팝업하우징은 관통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공간이며 컵홀더에 컵이 위치하는 경우 바닥부(30)가 하강하며 상승기구(40)를 통하여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팝업부(20)가 상승하게 된다. 팝업하우징은 팝업부(20)만 수납될 수 있으며 팝업부(20)가 상승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팝업부(20)는 홀더본체(10)에서 연장 현성된 플랜지와 어긋남이 없이 평평한 상태로 존재한다. 팝업부(2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팝업하우징으로부터 상승기구(40)를 통하여 상승한 팝업부(20)를 통하여 컵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pop-up housing is a space extending downward through a through hole, and when a cup is placed in the cup holder, the bottom part 30 descends and the pop-up part 20 supporting the side of the cup rises through the lifting mechanism 40. do. The pop-up housing can accommodate only the pop-up part 20, and in a state where the pop-up part 20 does not rise, the pop-up part 20 exists in a flat state without deviation from the flange extended from the holder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pop-up part 20 is elevated, the cup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pop-up part 20 that has risen from the pop-up housing through the lifting mechanism 40 .

바닥부(30)는 홀더본체(10)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홀더본체(10)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bottom part 3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10 and can slide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10 .

바닥부(30)는 홀더본체(10)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음료가 들은 컵을 컵홀더에 내려놓았을 때 컵을 지지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에 마련된 컵홀더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팝업부(20)는 상승기구(40)와 대각선구조(100)로 연결되며 상승기구(40) 또한 바닥부(30)와 대각선구조(100)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승기구(40)가 회전하면서 바닥부(30)는 홀더본체(10)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다. 바닥부(30)와 팝업부(20)는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하며 상승기구(40)는 회전운동을 한다. 따라서 바닥부(30)가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하는 경우에 바닥부(30)는 팝업부(20)와 상승기구(40)와 연결된 부분이 미끄러지듯 슬라이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e bottom part 30 should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10 to support the cup when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put down on the cup holder, and efficiently use the inner space of the cup holder provided on the armrest. can be used The pop-up part 2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echanism 40 through the diagonal structure 100, and since the rising mechanism 40 is also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30 through the diagonal structure 100, the lifting mechanism 40 through this structure While rotating, the bottom part 30 can slide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10 . The bottom part 30 and the pop-up part 20 move up or down,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performs a rotational motion. Therefore, when the bottom part 30 moves up or down, the part connected to the pop-up part 2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of the bottom part 30 slides like a slide.

도 4는 바닥부(30)가 팝업부(20) 및 상승기구(40)와 억지끼움구조(200)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at the bottom part 30 is fixed through the pop-up part 2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and the interference fitting structure 200.

도 4를 참조하면, 바닥부(30)는 홀더본체(10)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되어 양 끝단에 도달한 경우 팝업부(20) 및 상승기구(40)와 억지끼움구조(200)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ottom part 30 slides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10 and reaches both ends through the pop-up part 2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and the interference fitting structure 200. can be fixed

바닥부(30)는 팝업부(20)와 상승기구(40)와 연결된 부분이 미끄러지듯 슬라이딩하여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하는 경우 결국 양 끝단에 도달하게 된다. 바닥부(30)가 홀더본체(10)의 상부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컵홀더에 컵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컵홀더 내부공간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상부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바닥부(30)가 홀더본체(10)의 하부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컵홀더에 컵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컵이 수납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하부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바닥부(30)가 양 끝단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일정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에 홀더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30)가 고정되거나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억지끼움구조(200)를 통하여 바닥부(30)가 고정되거나 또는 해제된다.The bottom portion 30 eventually reaches both ends whe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pop-up portion 2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slides and moves up or down. When the bottom part 30 reaches the top of the holder body 10, it is a case where the cup is not located in the cup hold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ix the upper part so that dust does not accumu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cup holder. In addition, when the bottom part 30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body 10, when a cup is placed in the cup holder, it is necessary to fix the lower part similarly so that the cup can be accommodated. Therefore, when the bottom portion 30 reaches both ends, the bottom portion 30 locat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holder body 10 is fixed or released when the user presses with a certain force by hand. Through the fitting structure 200, the bottom part 30 is fixed or released.

바닥부(30)에 형성되며 외부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30)를 하강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30 and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that lowers the bottom portion 30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단순히 컵이 바닥부(3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컵의 압력이 억지끼움구조(200)로 고정된 바닥부(30)와 팝업부(20) 및 상승기구(40)를 해제할 수 없다. 따라서 가압부에서 컵의 하단이 눌린 경우 컵의 압력이 바닥부(30)와 팝업부(20) 및 상승기구(40)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컵이 바닥부(30)에 위치하였다고 인지할 수 있다. 가압부가 컵의 하단의 압력으로 인하여 눌린 경우에는 내부의 센서를 통하여 컵이 위치하였다고 인지하여 바닥부(30)를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컵홀더에서 컵이 위치하지 않는다면 가압부에서 컵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인지하여 바닥부(30)를 상승시키게 된다. When the cup is simply positioned on the bottom portion 30, the pressure of the cup cannot release the bottom portion 30, the pop-up portion 2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fixed by the interference fitting structure 200. Therefore, when the lower end of the cup is pressed by the pressing part,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cup cannot release the bottom part 30, the pop-up part 20, and the lifting mechanism 40,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up is located at the bottom part 30. can When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lower end of the cup, the bottom part 30 is lowered by recognizing that the cup is located through an internal sensor. In addition, if the cup is not located in the cup holder, the pressing unit recognizes that the cup is not located and raises the bottom part 30 .

도 3은 바닥부(30)가 하강시 팝업부(20)가 상승기구(40)에 의해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p-up part 20 is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40 and supports the side surface of the cup when the bottom part 30 is lowered.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는 바닥부(30)에 돌출 구조로 형성되며 외부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30)가 하강하며 팝업부(20)는 상승기구(40)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bottom portion 30 , and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he bottom portion 30 descends and the pop-up portion 20 may be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40 .

가압부가 컵의 압력이 컵이 바닥부(30)에 위치하였다고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가압부가 돌출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컵의 형상에 따라 컵이 바닥부(30)에 위치하면 컵을 인지할 수 있다. 컵이 바닥부(30)에 위치한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컵의 하단부가 돌출 구조를 누르게 된다. 이때 돌출 구조의 형상을 가지는 가압부에 배치된 센서를 배치하고 가압부에 배치된 센서를 통하여 컵이 바닥부(30)에 위치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로 감지하여 컵홀더의 바닥부(30)는 하강하고 팝업부(20)는 상승기구(40)에 상승되어 컵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It is sufficient if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art is formed enough to recognize that the cup is located on the bottom part 30 . Whe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the cup can be recognized when the cup is positioned on the bottom portion 3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p. When the cup is located on the bottom portion 30,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naturally presses against the protruding structur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up is located on the bottom part 30 through a sensor disposed in the pressing part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and disposed in the pressing part. Accordingly, the bottom part 30 of the cup holder descends by sensing with the sensor, and the pop-up part 20 rises on the lifting mechanism 40 to support the cup.

홀더본체(10)는 복수 개가 배치되며 각 홀더본체(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der bodies 10 are dispos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flang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each holder body 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차량에 컵홀더는 일반적으로 한 개가 배치되지 않고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복수 개가 배치된다. 앞좌석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 뿐만 아니라 뒷좌석에도 차량 컵홀더가 복수 개 배치되어 여러명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홀더본체(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서로 연결하여 홀더본체(10)는 하나처럼 기능할 수 있다. 홀더본체(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의 연결은 플랜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복수 개의 홀더본체(1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not one cup holder is disposed in a vehicle, but a plurality of cup holders ar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a driver and a passenger.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passenger in the front seat, a plurality of vehicle cup holders are placed in the back seat, so the convenience of several people can be considered. Accordingly, the holder bodies 10 may function as one by connecting the flanges extending from the top of each holder body 10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of the flang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body 10 can connect a plurality of holder bodies 10 while reducing space to a minimum by 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홀더본체
20 : 팝업부
30 : 바닥부
40 : 상승기구
100 : 대각선구조
200 : 억지끼움구조
10: holder body
20: pop-up part
30: bottom
40: rising mechanism
100: diagonal structure
200: interference fit structure

Claims (11)

컵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홀더본체;
홀더본체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컵의 하단을 지지하고, 컵의 수납시 내부공간에서 하강하는 바닥부;
홀더본체의 측면에 마련되며, 바닥부와 상승기구로 연결되고, 바닥부가 하강시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팝업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컵홀더.
A holder body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cup is stored;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up, and descending in the inner space when the cup is stored;
A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pop-up par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holder body, connected to a bottom part by a lifting mechanism, and supported by a side surface of a cup by being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when the bottom part is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팝업부는 홀더본체의 측면 외부에 마련되며 홀더본체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p-up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has a shap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팝업부는 상승기구와 대각선구조로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p-up part is connected to the rising mechanism in a diagonal structure and is rai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side of the cup.
청구항 3에 있어서,
팝업부는 핀 구조를 통하여 바닥부 및 상승기구와 대각선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3,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p-up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nd the lifting mechanism in a diagonal structure through a pin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본체의 상단에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팝업부는 홀더본체의 측면 외측에 배치되고 팝업시 관통홀을 통해 플랜지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flange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bod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and the pop-up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is exposed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during pop-up.
청구항 5에 있어서,
플랜지에는 관통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팝업하우징이 형성되고, 팝업하우징에 팝업부가 수납되며, 팝업하우징은 홀더본체를 마주하는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5,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op-up housin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flange, a pop-up unit is accommodated in the pop-up housing, and an opening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op-up housing facing the hold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부는 홀더본체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홀더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slides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
바닥부는 홀더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슬라이딩되어 양 끝단에 도달한 경우 팝업부 및 상승기구와 억지끼움구조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7,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art slides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and is fixed through the pop-up part and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interference fit structure when reaching both ends.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부에 형성되며 외부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를 하강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lowering the bottom portion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청구항 9에 있어서,
가압부는 바닥부에 돌출 구조로 형성되며 외부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가 하강하며 팝업부는 상승기구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9,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bottom portion, the bottom portion is lowered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and the pop-up portion is raised by the lifting mechanism.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본체는 복수 개가 배치되며 각 홀더본체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der bodies are dispos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flang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holder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KR1020210074066A 2021-06-08 2021-06-08 Vehicle cup holder KR202201654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66A KR20220165444A (en) 2021-06-08 2021-06-08 Vehicle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66A KR20220165444A (en) 2021-06-08 2021-06-08 Vehicle cup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44A true KR20220165444A (en) 2022-12-15

Family

ID=8443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66A KR20220165444A (en) 2021-06-08 2021-06-08 Vehicle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4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2818A (en) * 2023-09-07 2023-10-13 宁波舜宇精工股份有限公司 Lifting cup stand of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86A (en) 2018-05-14 2019-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and refrige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86A (en) 2018-05-14 2019-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and refrig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2818A (en) * 2023-09-07 2023-10-13 宁波舜宇精工股份有限公司 Lifting cup stand of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6193101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drinking straw
KR20220165444A (en) Vehicle cup holder
CN104057856B (en) Lifting type back seat handrail and there is its vehicle
AU689321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drinking straw
JP3806383B2 (en) Champagne glass holder
CN112677854A (en) Lifting mechanism and cup stand for vehicle
KR20050053405A (en) Device for holding a cup for center consol of vehicles
CN217863845U (en) Stable armrest cup holder
CN207291882U (en) A kind of mobile phone for vehicle base device and there is its vehicle
KR100324390B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KR20020026712A (en) Cup holder device of console box for automobile
KR20030024989A (en) Cup holder of an automobile
KR102634023B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EP1744313A3 (en) Disc apparatus
KR100259959B1 (en) Cup holder assembly
CN214492661U (en) Lifting mechanism and cup stand for vehicle
KR100514407B1 (en) Arm Rest for a Vehicle
CN117068051B (en) Cargo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utomobile trunk
CN216545886U (en) Automobile armrest box capable of serving as headrest
JPH0635787Y2 (en) Container holder
CN212579697U (en) Foldable layer board of car back seat
CN210437745U (en) Gift packaging box
CN210161990U (en) Storing box, door interior plaque and car
CN214607235U (en) Lifting type cup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