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293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293A
KR20220165293A KR1020210073208A KR20210073208A KR20220165293A KR 20220165293 A KR20220165293 A KR 20220165293A KR 1020210073208 A KR1020210073208 A KR 1020210073208A KR 20210073208 A KR20210073208 A KR 20210073208A KR 20220165293 A KR20220165293 A KR 2022016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ccupied area
collision
expected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293A/en
Publication of KR2022016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2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4Tractor-trailers, i.e. combinations of a towing vehicle and one or more towed vehicles, e.g. caravans; Road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5Agricultural vehicles
    • B60W2300/152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1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2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4Direction of movement, e.g. backw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5Intention, e.g. lane change or imminen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65Data transmitted betwee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collis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comprises: an identification unit identifying lane change intention of the other vehicle inside a front adjacent lane to enter the lane of an own vehicle; an obtaining unit obtaining a posi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 estimation unit estimating a predicted occupation area of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position, the speed, the angl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respect to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predicted occupation area.

Description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Vehicle coll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 및 장치, 특히 길이가 긴 차량이 전방 인접 차로에서 자차량의 차로로 진입할 때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vehicle coll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l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vehicle collision by estimating an expected occupancy area when a long vehicle enters the host vehicle's lane from an adjacent lane ahead. .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주행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Driving Assist System; DAS)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주행보조시스템이란, 카메라, 레이더 등 센서가 인식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 제어, 제동, 가/감속 등 차량의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행하도록 보조하는 시스템이다.Development of a Driving Assist System (DAS) to ensure driver safety and provide driving convenience is accelerating. A driving assistance system is a system that assists a vehicle to drive safely and conveniently by performing vehicle control such as steering control, braking,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vehicle using sensor data recognized by sensors such as cameras and radars.

이러한 DAS의 하나로서,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타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과 타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여 차량과 타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 제어 장치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As one of these DASs, a collision control device that detects another vehicle running in front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vehicl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is applied to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충돌 제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과의 거리와 전방 차량의 상대 속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전방 차량과의 거리와 전방 차량의 상대 속도에 따라 차량과 전방 차량이 충돌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예상충돌시간(Time To Collision; TTC)가 일정 시간 이내이면 차량의 속도 또는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간 충돌을 사전에 방지한다.In general, a collision control apparatus obtains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to a vehicle in front and a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in front using a sensor mounted on a vehicle, and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 front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vehicle in front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in front. If the expected time to collision (TTC), which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collision, is within a certain time, a collision between vehicles is prevented in advance by controll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면, 충돌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 내로 타 차량이 진입할 때, 타 차량과의 TTC를 기준으로 차량의 속도 또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may set an area in front of the vehicle and, when another vehicle enters the set area, control the speed or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TC with the other vehicle.

하지만, 버스, 대형 트럭, 화물차 등 길이가 긴 타 차량이 인접 차로에서 자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는 경우, 진입 시작 시점과 진입 완료 시점 간 차이가 발생한다.However, when another long vehicle, such as a bus, large truck, or truck, enters the own vehicle's lane from an adjacent lane,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entry start point and the entry completion point.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차량은 방향을 조절하는 데 전륜을 이용하므로, 차로 변경 시 타 차량의 앞측이 뒷측보다 먼저 진입한다.Specifically, since most vehicles use the front wheels to control direction, the front side of another vehicle enters before the rear side when changing lanes.

특히, 타 차량의 앞뒤 길이가 길수록 타 차량의 앞측 진입 시점과 뒷측 진입 시점 간 차이가 크다.In particular, as the length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other vehicle is lon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try point of the front side and the entry point of the rear side of the other vehicle is greater.

예를 들면, 트랙터와 트레일러로 구성된 대형 차량은 차량의 본체가 승용차에 비해 길고 앞뒤가 구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랙터의 진입 시점과 트레일러의 진입 시점 간 차이가 크다.For example, since the body of a large vehicle composed of a tractor and a trailer is longer than a passenger ca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are distinguishe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entry point of the tractor and the entry point of the trailer.

이때, 충돌 제어 장치가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의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 차로의 타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앞측에 대한 TTC를 산정하고 타 차량의 앞측을 기준으로 회피 제어를 수행한다.At this time, when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nother vehicle enters an adjacent lane based on the lane of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calculates the TTC for the front side of the other vehicle and Perform avoidance control.

종래의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뒷측의 차로 진입 영역과 시점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타 차량의 뒷측 또는 측면에 의한 충돌을 온전히 회피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collision control apparatus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do not completely avoid a collision caused by the rear or side of another vehicle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 area and time point of entering the lane on the rear side of another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전방 인접 차로에서 주행 중인 차로로 진입하려는 타 차량의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점유 영역 및 예상 점유 시점을 추정함으로써, 타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과의 충돌을 미리 경고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 coll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estimates an expected occupancy area and an expected occupancy time point based on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bout to enter a driving lane from a forward adjacent lane, thereby discriminating against the side or rear of another vehicle. can warn or prevent a collision in adv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방 인접 차로 내 타 차량이 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위치, 상기 속도, 상기 각도 정보 및 상기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 of identifying a lane change intention for another vehicle to enter the vehicle's lane in a forward adjacent lane; obtaining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estimating an expected occupied area of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the speed, the angl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d outputting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predicted occupied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방 인접 차로 내 타 차량이 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위치, 상기 속도, 상기 각도 정보 및 상기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lane change intention of another vehicle entering the vehicle's lane in an adjacent lane ahead; a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 estimation unit estimating an expected occupied area of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the speed, the angl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warning of a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돌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전방 인접 차로에서 주행 중인 차로로 진입하려는 타 차량의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점유 영역 및 예상 점유 시점을 추정함으로써, 타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과의 충돌을 미리 경고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ll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stimate an expected occupancy area and an expected occupancy time based on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bout to enter a driving lane from a front adjacent lane, thereby estimating the side or rear of another vehicle. It has the effect of warning or preventing a collision in advanc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점유 영역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순서도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순서도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ollisio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A, 2B, 2C, and 2D ar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colli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an estimated occupi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ollisio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충돌 제어 장치(10)는 통신부(100), 센서부(110), 획득부(120), 식별부(130), 추정부(140), 조정부(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충돌 제어 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collision control device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0, a sensor unit 110, an acquisition unit 120, an identification unit 130, an estimation unit 140, an adjustment unit 150, an output It includes a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10 is mounted on a vehicle.

통신부(100)는 타 차량, 기지국, 노변 장치 등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other vehicles, base stations, and roadside devices.

통신부(100)는 타 차량으로부터 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차량에 관한 정보를 타 차량에게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nother vehicle from another vehicle or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o another vehicle.

타 차량에 관한 정보는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Information about another vehicle includes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타 차량에 관한 정보는 타 차량의 차폭(width), 윤거(tread), 헤딩각, 경로 이력, 예측 경로, 가속 정보, 차고, 제동 시스템 상태 및 지시등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 차량에 관한 정보는 버스, 트랙터, 견인차량, 화물 트럭 등 타 차량의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other vehicle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other vehicle's width, tread, heading angle, path history, predicted path,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height, braking system status, and indicator lamp status. The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ypes of other vehicles such as buses, tractors, towing vehicles, and cargo trucks.

통신부(100)는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CALM(Communication Access in Land Mobile), V2X(Vehicle-to-Everything),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 V2N(Vehicle-to-Network), C-V2X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0 includes a vehicular ad hoc network (VANET),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WAVE),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communication access in land mobile (CALM), vehicle-to-everything (V2X), V2V (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Vehicle-to-Vehicle (V2I), Vehicle-to-Infra (V2I), Vehicle-to-Network (V2N), and C-V2X may be used.

통신부(100)는 안테나와 구동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0 may be implemented with an antenna and a driving circuit.

센서부(110)는 차량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The sensor unit 110 collects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driving around the vehicle.

센서부(110)는 센서의 유형에 따라 통신부(100)가 수집하는 타 차량에 관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collect the same information as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type of sensor.

센서부(110)는 주로 카메라를 이용하지만,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초음파(ultrasonic) 센서를 이용하여 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inly uses a camera, but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using a radar, lidar, or ultrasonic sensor.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영상을 수집하거나, 레이더를 이용하여 타 차량의 위치와 속도 등을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collect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using a camera or may collect the position and speed of another vehicle using a radar.

센서부(110)는 차량의 제어를 위해, 휠 스피드(wheel speed) 센서,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레벨 감지 센서, 조향각(steering angle) 센서, 요레이트(yaw rate)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중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할 수 있다. For vehicle control, 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wheel speed sensor, an accelerator level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 yaw rate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One or more may be used.

획득부(120)는 통신부(100) 또는 센서부(110)를 통해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한다. 나아가, 획득부(120)는 통신부(100) 또는 센서부(110)를 통해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acquisition unit 120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speed, angle, and length of another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0 or the sensor unit 110 . Furthermore, the acquisition unit 120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0 or the sensor unit 110 .

일 예로써, 타 차량의 위치 및 속도는 차량과의 상대적 거리 및 상대적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osition and speed of another vehicle may include a relative distance and relative speed to the vehicle.

다른 예로써, 타 차량의 위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거리 및 수평 거리를 포함하고, 타 차량의 속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other vehicle may include a vertical distance and a horizontal distance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of the other vehicle may include a longitudinal speed and a lateral speed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각도 정보는 타 차량의 방향, 전륜 조향각 및 스티어링 휠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angl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direction of another vehicle,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a steering wheel angle.

길이 정보는 타 차량의 측면 길이 정보로써, 차량의 전장(length) 및 휠베이스(wheel-bas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length information is side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vehicle's overall length and wheel-base.

타 차량이 트랙터와 트레일러로 구성된 경우, 길이 정보는 트랙터의 길이 및 트레일러의 길이를 포함한다. 타 차량이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인 경우, 길이 정보는 견인차량과 피견인 차량의 길이를 포함한다.When another vehicle is composed of a tractor and a trailer, the length information includes the length of the tractor and the length of the trailer. When another vehicle is a towing vehicle that tows a towed vehicle, the length information includes the length of the towed vehicle and the towed vehicle.

식별부(130)는 전방 인접 차로 내 타 차량이 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한다.The identification unit 130 identifies the intention of another vehicle entering the lane of the vehicle in the forward adjacent lane to change the la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별부(130)는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에 기초하여 타 차량의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unit 130 identifies the other vehicle's lane change intention based o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식별부(130)는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이 기 설정된 각보다 커지거나, 전륜 조향각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타 차량에게 차로 변경 의도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130 may identify that the other vehicle has an intention to change lanes whe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angle 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예를 들면, 전방 좌측 차로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이 오른쪽을 향하는 경우, 식별부(130)는 타 차량이 차로 변경 의도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s of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front left lane turns to the right, the identification unit 130 may identify that the other vehicle has an intention to change lanes.

반대로, 전방 우측 차로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이 왼쪽을 향하는 경우, 식별부(130)는 타 차량이 차로 변경 의도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s of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front right lane is toward the left, the identification unit 130 may identify that the other vehicle has an intention to change lanes.

식별부(130)는 전륜 조향각 외에도 타 차량의 방향 또는 스티어링 휠 각도를 이용하여 타 차량의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he identification unit 130 may identify another vehicle's lane change intention by using the direction or steering wheel angle of the other vehicle.

추정부(140)는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한다.The estimator 140 estimates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posi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예상 점유 영역은 타 차량이 일정 시간 후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The expected occupancy area means an area expected to be occupied by another vehicle after a certain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 차량이 트랙터(tractor)와 트레일러(trailer)를 포함하는 차량인 경우, 예상 점유 영역은 기본적으로 트레일러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포함하고, 트랙터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ther vehicle is a vehicle including a tractor and a trailer,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ically includes the expected occupied area by the trailer, and the expected occupied area by the tractor may further include.

다른 예로써, 타 차량이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인 경우, 기본적으로 피견인 차량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포함하고, 견인차량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nother vehicle is a towing vehicle that tows a towed vehicle, it basically includes an area expected to be occupied by the towed vehicl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rea expected to be occupied by the towed vehicle.

타 차량의 앞측이 전방 차로로 먼저 진입하고 타 차량의 뒷측이 늦게 진입하는 것을 고려하여, 추정부(140)는 타 차량의 뒷측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front side of the other vehicle enters the front lane first and the rear side of the other vehicle enters the lane late, the estimator 140 may estimate the expected occupied area by the rear side of the other vehicle.

추정부(140)는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타 차량이 예상 점유 영역을 점유하는 예상 점유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The estimator 140 may estimate an expected occupancy time when another vehicle occupies the expected occupancy area based on the posi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정부(140)는 단위 시간별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or 140 may estimate an expected occupied area for each unit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정부(140)는 타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타 차량의 위치,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or 140 may estimate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without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other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추정부(140)는 타 차량의 유형에 따라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or 140 may estimate the expected occupied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another vehicle.

조정부(150)는 타 차량의 속도 또는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한다.The adjustment unit 150 adjusts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ed on the speed of another vehicle or weath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부(150)는 타 차량의 차로 변경 속도가 빠를수록 예상 점유 영역을 넓히고, 타 차량의 차로 변경 속도가 느릴수록 예상 점유 영역을 좁힐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widen the expected occupancy area as the lane change speed of the other vehicle increases, and narrow the expected occupancy area as the lane change speed of the other vehicle decreases.

타 차량의 속도가 빠를수록 안전 거리 또는 예상 충돌 시간(Time To Collision; TTC)를 여유롭게 확보하기 위해, 조정부(150)는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한다.The controller 150 adjusts the expected occupied area to secure a safe distance or expected Time To Collision (TTC) more leisurely as the speed of another vehicle increases.

예를 들면, 조정부(150)는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 방향으로 타 차량의 횡방향 속도가 높을수록 예상 점유 영역의 폭을 넓힐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widen the width of the expected occupied area as the lateral speed of another vehicle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다른 예로써, 조정부(150)는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에 진입하는 타 차량의 종방향 속도가 높을수록 타 예상 점유 영역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reduce the length of the expected occupied area as the longitudinal speed of another vehicle entering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상 상황이 비, 눈, 안개, 황사와 같은 악천후 상황인 경우, 조정부(150)는 예상 점유 영역을 넓힐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ther conditions are bad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snow, fog, and yellow dust, the adjustment unit 150 may widen the expected occupied area.

기상 상황이 좋지 않을수록 타 차량에 관한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조정부(150)는 예상 점유 영역을 넓혀 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Since information on other vehicles may be inaccurate as the weather conditions deteriorate, the controller 150 may increase the expected occupancy area to promote vehicle safety.

출력부(160)는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차량의 탑승자, 탑승자의 단말, 타 차량 또는 주변 차량에게 출력한다.The output unit 160 outputs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another vehicle to the occupant of the vehicle, the terminal of the occupant, other vehicles, or surrounding vehicles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구체적으로, 출력부(160)는 차량과 예상 점유 영역 간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거나, 차량과 예상 점유 영역 간 TTC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output unit 160 outputs a collision risk warning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pected occupied area is smaller than a preset distance or when the TTC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pected occupied area is smaller than a preset value.

출력부(160)는 통신부(100)를 통해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주변 차랑과 공유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60 may share an area expected to be occupied by another vehicle with a neighboring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0 .

제어부(170)는 통신부(100), 센서부(110), 획득부(120), 식별부(130), 추정부(140), 조정부(150) 및 출력부(1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의 속도 및 조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00, the sensor unit 110, the acquisition unit 120, the identification unit 130, the estimation unit 140, the adjustment unit 150, and the output unit 160, and , control the speed and steer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70)는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타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vehicle to avoid a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충돌 제어 장치(10)는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거나 충돌 회피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타 차량의 앞측과 뒷측의 차로 진입 시점 차이로 인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llision control apparatus 10 may prevent a collision due to a difference in entry time points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of another vehicle by outputting a collision risk warning or performing collision avoidance control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another vehicle.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2A, 2B, 2C, and 2D ar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colli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차량(200), 타 차량(210), 전륜 조향각(212), 예상 점유 영역(220), 제2 타 차량(230) 및 제2 예상 점유 영역(240)이 도시되어 있다. 충돌 제어 장치는 차량(200)에 탑재된 것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2A, 2B, 2C, and 2D, a vehicle 200, another vehicle 210,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212, an expected occupancy area 220, a second other vehicle 230, and a second expected An occupied area 240 is shown.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200 .

도 2a를 참조하면, 타 차량(210)이 차량(200)의 전방 우측 차로에서 주행 중이다.Referring to FIG. 2A , another vehicle 210 is driving in the right lane in front of the vehicle 200 .

차량(200)은 전방 우측 차로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210)의 전륜 조향각(212)이 왼쪽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차량(200)은 타 차량(210)이 차량(200)의 주행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가 있는 것으로 식별한다.Since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212 of another vehicle 210 driving in the front right lane of the vehicle 200 is directed to the left, the vehicle 200 is trying to enter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200 when the other vehicle 210 is driving. It is identified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hange the lane.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200)은 타 차량(210)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2B , the vehicle 200 acquires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210 .

도 2c를 참조하면, 차량(200)은 타 차량(210)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점유 영역(220)을 추정한다.Referring to FIG. 2C , the vehicle 200 estimates an expected occupied area 220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speed, angle, and length of another vehicle 210 .

이때, 차량(200)은 각도 정보로써, 타 차량(210)의 방향, 전륜 조향각 및 스티어링 휠 각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200 may use one or more of the direction of the other vehicle 210,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as angle information.

타 차량(210)의 앞측이 차량(200)의 차로에 먼저 진입하더라도, 타 차량(210)의 뒷측은 아직 차량(200)의 차로에 진입하지 못한 상태이다.Even if the front side of the other vehicle 210 enters the lane of the vehicle 200 first, the rear side of the other vehicle 210 has not yet entered the lane of the vehicle 200 .

종래의 충돌 제어 장치는 차량(200)의 차로에 진입한 타 차량(210)의 앞측을 기준으로 충돌 제어를 수행하므로, 타 차량(210)의 뒷측 또는 측면에 의한 충돌을 회피하기 어렵다. 특히, 타 차량(210)의 앞뒤 길이가 길수록 뒷측 또는 측면에 의해 충돌할 확률이 높다.Since the conventional collision control apparatus performs collision control based on the front side of another vehicle 210 entering the lane of the vehicle 200, it is difficult to avoid a collision caused by the rear side or side of the other vehicle 210. In particular, the longer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another vehicle 210,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by the rear or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0)은 타 차량(210)의 뒷측 또는 측면에 의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예상 점유 영역(220)을 추정한다.The vehic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the expected occupied area 220 in order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rear or side of another vehicle 210 .

이후, 차량(200)은 예상 점유 영역(220)에 기초하여 타 차량(210)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거나 충돌 회피 제어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vehicle 200 outputs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another vehicle 210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220 or performs collision avoidance control.

차량(200)은 예상 점유 영역(220)을 이용함으로써 타 차량(210)의 뒷측 또는 측면에 의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hicle 200 can prevent a collision caused by the rear or side of another vehicle 210 by using the expected occupied area 220 .

도 2d를 참조하면, 제2 타 차량(230)이 차량(200)의 전방 좌측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D , another second vehicle 230 is driving in the left lane in front of the vehicle 200 .

차량(200)은 제2 타 차량(230)의 전륜 조향각에 따라 차량(200)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한다.The vehicle 200 identifies the intention to change the lane to enter the lane of the vehicle 200 according to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second other vehicle 230 .

여기서, 제2 타 차량(230)은 앞측에 트랙터와 뒷측에 트레일러로 구성된 대형 차량이다.Here, the second other vehicle 230 is a large vehicle composed of a tractor at the front and a trailer at the rear.

제2 타 차량(230)은 트랙터와 트레일러로 구분되므로, 차로 변경 시 목적 차로에 트랙터가 먼저 진입하고 트레일러가 뒤늦게 진입한다.Since the second other vehicle 230 is divided into a tractor and a trailer, when changing lanes, the tractor enters the destination lane first and the trailer enters later.

제2 타 차량(230)은 단순히 길이가 긴 타 차량(210)과 달리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구분되어 있으므로, 차로 변경 시점 차이가 타 차량(210)에 비해 크다.Unlike the other vehicle 210 that is simply long, the second vehicle 230 is divided into a tractor and a trailer, so the difference in lane change tim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vehicle 210 .

따라서, 차량(200)은 제2 타 차량(230)의 트레일러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제2 타 차량(230)의 제2 예상 점유 영역(240)으로서 추정한다.Therefore, the vehicle 200 estimates the expected occupied area by the trailer of the second other vehicle 230 as the second expected occupied area 240 of the second other vehicle 230 .

차량(200)은 트레일러에 의한 제2 예상 점유 영역(240)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거나 충돌 회피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2 타 차량(230)의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진입 시점 차이로 인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hicle 200 outputs a collision risk warning or performs collision avoidance control based on the second expected occupied area 240 by the trailer, so that the vehicle 200 collides due to the difference in entry point of the tractor and trailer of the second other vehicle 230. can prevent

즉, 차량(200)은 트레일러의 뒷측 또는 측면에 의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200 can prevent a collision caused by the rear or side of the trailer.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점유 영역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an estimated occupi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차량(300), 타 차량(310) 및 예상 점유 영역(320)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 a vehicle 300 , another vehicle 310 , and an expected occupied area 320 are show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300)은 타 차량(310)의 속도에 기초하여 타 차량(310)의 예상 점유 영역(320)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300 may adjust the expected occupied area 320 of the other vehicle 310 based on the speed of the other vehicle 310 .

타 차량(310)이 차량(300)의 차로에 진입하는 속도가 빠를수록 예상 점유 영역(320)을 넓힐 수 있다.As the speed at which another vehicle 310 enters the lane of the vehicle 300 increases, the expected occupancy area 320 may be widened.

예를 들어, 전방 우측 차로에서 주행 중인 타 차량(310)의 차량(300)의 차로로 진입하기 위한 횡속도가 빠를수록 예상 점유 영역(320)의 좌측변을 확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lateral speed for entering the lane of the vehicle 300 of the other vehicle 310 driving in the front right lane increases, the left side of the expected occupancy area 320 may be expanded.

다른 예로써, 타 차량(310)의 종속도에 기초하여 예상 점유 영역(3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ength of the expected occupancy area 320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degree of dependence of other vehicles 310 .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300)은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타 차량(310)의 예상 점유 영역(320)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300 may adjust the expected occupied area 320 of another vehicle 310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차량(300)은 기상 상황이 비, 눈, 안개, 황사와 같은 악천후 상황인 경우, 예상 점유 영역을 넓힐 수 있다.The vehicle 300 may expand the expected occupancy area when the weather conditions are bad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snow, fog, and yellow dust.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순서도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충돌 제어 장치는 전방 인접 차로 내 타 차량이 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한다(S400).Referring to FIG. 4 , the collision control apparatus identifies the intention of another vehicle to change lanes to enter the vehicle's lane in an adjacent lane in front (S400).

구체적으로,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획득하고,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에 기초하여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한다.Specifically,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acquires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and identifies the intention to change lanes based o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한다(S402).The collision control device obtain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speed, angle, and length of another vehicle (S402).

각도 정보는 타 차량의 방향, 전륜 조향각 및 스티어링 휠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길이 정보는 타 차량의 측면 길이 정보로써, 차량의 전장 및 휠베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angl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direction of another vehicle,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a steering wheel angle. The length information is side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vehicle's overall length and wheelbase.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한다(S404).The collision control device estimates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S404).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S406).The collision control device may adjust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another vehicle (S406).

구체적으로,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속도 또는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한다. Specifically,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adjusts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ed on the speed of another vehicle or weather information.

충돌 제어 장치는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한다(S408).The collision control device outputs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S408).

충돌 제어 장치는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타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차량을 제어하거나,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과 공유한다(S410).The collision control device controls the vehicle to avoid a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or shares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another vehicle with neighboring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S410).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순서도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충돌 제어 장치는 통신이나 센서를 통해 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S500).Referring to FIG. 5 ,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acquires information about another vehicle through communication or a sensor (S500).

타 차량에 관한 정보는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타 차량에 관한 정보는 버스, 트랙터, 견인차량, 화물 트럭 등 타 차량의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another vehicle includes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ypes of other vehicles such as buses, tractors, towing vehicles, and cargo trucks.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타 차량의 차로 변경 의도를 판단한다(S502).The collis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other vehicle's lane change intention based on the angle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S502).

만약, 타 차량이 차로 변경 의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충돌 제어 장치는 차량의 주행패턴을 유지한다(S50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vehicle has no intention of changing lanes,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maintains the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S504).

타 차량이 차로 변경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의 길이 정보를 식별한다(S506).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vehicle has an intention to change lanes,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identifies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S506).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이 트레일러를 포함하는지 유무를 판단한다(S508).The collis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nother vehicle includes a trailer (S508).

즉,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이 트랙터와 트레일러로 구성된 대형 차량이거나, 다른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other vehicle is a large vehicle composed of a tractor and a trailer or a towing vehicle that tows another vehicle to be towed.

만약, 타 차량이 트레일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충돌 제어 장치는 타 차량 전체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한다(S512).If the other vehicle does not include a trailer,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estimates an area expected to be occupied by all other vehicles (S512).

반대로, 타 차량이 트레일러를 포함하는 경우, 충돌 제어 장치는 트레일러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한다(S510).Conversely, when another vehicle includes a trailer,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estimates an area expected to be occupied by the trailer (S510).

충돌 제어 장치는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기상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예상 점유 영역에 반영한다(S514).The collision control device acquires weather information and reflects weights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to the expected occupied area (S514).

충돌 제어 장치는 기상 상황이 좋지 않을수록 예상 점유 영역을 확장한다.The collision control system expands the expected occupancy area in adverse weather conditions.

충돌 제어 장치는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한다(S516).The collision control device outputs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S516).

도 4 및 도 5에서는 과정 S400 내지 과정 S410, 과정 S500 내지 과정 S516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400 내지 과정 S410, 과정 S500 내지 과정 S516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 및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 and 5 describe that steps S400 to S410 and steps S500 to S516 are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change and execute the order described in FIGS. 4 and 5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rocess S400 to process Since one or more processes of S410, process S500 to process S516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IGS. 4 and 5 are not limited to a time-series sequence.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shown in FIGS. 4 and 5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thes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non-transitory media such as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and execute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논리 회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집적 회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 장치의 제어를 통해 본 명세서에 기술 된 각각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특정 논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에 의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획득부, 식별부, 추정부, 조정부, 출력부 및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such as a memory, a processor, a logic circuit, a look-up table, and the like. These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execute each of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through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by a program or part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specific logical function and is execu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r be implemented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etc. that perform each function. In additio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struction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in one or more memories. That is, the acquisition unit, the identification unit, the estimation unit, the adjustment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command and at least one processor executing the command.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100: 통신부 110: 센서부
120: 획득부 130: 식별부
140: 추정부 150: 조정부
160: 출력부 170: 제어부
100: communication unit 110: sensor unit
120: acquisition unit 130: identification unit
140: estimation unit 150: adjustment unit
160: output unit 170: control unit

Claims (16)

전방 인접 차로 내 타 차량이 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위치, 상기 속도, 상기 각도 정보 및 상기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제어 방법.
identifying an intention of another vehicle entering the lane of the vehicle in an adjacent lane ahead;
obtaining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estimating an expected occupied area of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the speed, the angl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d
Outputting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Collision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정보는,
상기 타 차량의 방향, 전륜 조향각 및 스티어링 휠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ngle information is
Collis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of the other vehicle,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is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ed on the speed of the other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weather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Adjusting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Collis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전륜 조향각에 기초하여 상기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intention to change the lane,
obtaining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and
Identifying the intention to change the lane based o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Collis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ntrolling the vehicle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Collis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을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과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haring the expected occupied area of the other vehicle with neighboring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Collis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차량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포함하는 차량인 경우,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은 상기 트레일러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충돌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other vehicle is a vehicle including a tractor and a trailer, the expected occupied area includes an expected occupied area by the trailer.
전방 인접 차로 내 타 차량이 차량의 차로로 진입하려는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타 차량의 위치, 속도, 각도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위치, 상기 속도, 상기 각도 정보 및 상기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의 예상 점유 영역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제어 장치.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lane change intention of another vehicle in an adjacent lane in front to enter the vehicle's lane;
a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speed, angl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 estimation unit estimating an expected occupied area of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the speed, the angl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llision risk warning with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Collision control device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정보는,
상기 타 차량의 방향, 전륜 조향각 및 스티어링 휠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angle information is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of the other vehicle,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a steering wheel ang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ed on the speed of the other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통신을 통해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충돌 제어 장치는,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을 조정하는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acquisition unit acquires weather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expected occupied area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Collision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타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획득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전륜 조향각에 기초하여 상기 차로 변경 의도를 식별하는 것인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acquisition unit obtains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identifies the intention to change the lane based o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other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점유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based on the expected occupied area
Collision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타 차량의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을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과 공유하는 것인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output unit,
The collision control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redicted occupied area of the other vehicle is shared with neighboring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 차량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포함하는 차량인 경우, 상기 예상 점유 영역은 상기 트레일러에 의한 예상 점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충돌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nd when the other vehicle is a vehicle including a tractor and a trailer, the expected occupied area includes an expected occupied area by the trailer.
KR1020210073208A 2021-06-07 2021-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KR202201652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08A KR20220165293A (en) 2021-06-07 2021-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08A KR20220165293A (en) 2021-06-07 2021-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293A true KR20220165293A (en) 2022-12-15

Family

ID=8443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208A KR20220165293A (en) 2021-06-07 2021-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2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807B2 (en) Vehicular control system with collision avoidance
US105932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tooning of vehicles
US10220820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056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Vehicle Path Planning Technical Field
US11472433B2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229599B2 (en) Vehicle lane changing
US11938924B2 (en) Driving assistanc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driving assistance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08569282B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US20220219684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1679762B2 (en) Active rear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nd method
US20200324762A1 (en) Transportation vehicle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CN112208533A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1627211B (en) Method for determining priority of reception process of cooperative sensor shared object
KR20200095976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CN109843679B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33123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16279341A (en) Safety brak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1652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lision of Vehicle
KR20210124586A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KR102607947B1 (en) 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vehicle braking
CN111746534A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system,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medium
JP7220386B2 (en) Vehicle and control device
US11314257B2 (en) Autonomous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with unattached load detection
WO2023053906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230339461A1 (en) System for driver assistance and method for driver as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