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778A - 암호 화폐 거래를 위한 다중 서명 지갑에서 emv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암호 화폐 거래를 위한 다중 서명 지갑에서 emv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778A
KR20220164778A KR1020227038764A KR20227038764A KR20220164778A KR 20220164778 A KR20220164778 A KR 20220164778A KR 1020227038764 A KR1020227038764 A KR 1020227038764A KR 20227038764 A KR20227038764 A KR 20227038764A KR 20220164778 A KR20220164778 A KR 20220164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transaction
integrated circuit
payment card
digital sign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리나쓰 라비나탄
벤삼 조이슨
동하오 후앙
텍 용 탄
Original Assignee
마스터카드 아시아/퍼시픽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터카드 아시아/퍼시픽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스터카드 아시아/퍼시픽 프라이빗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04L9/325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using group based signatures, e.g. ring or threshold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은: 지불카드의 집적회로에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개인 키 및 거래 계좌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집적회로에 의해, POS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체인 거래는 미사용 거래 출력, 목적지 주소, 각 목적지 주소에 대한 암호 화폐 금액, 및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 집적회로에 의해, 제1 개인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거래를 디지털 서명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집적회로에 의해, 제1 디지털 서명 및 제2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POS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호 화폐 거래를 위한 다중 서명 지갑에서 EMV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이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급 금융 기관의 서명 및 지불 카드 자체를 활용하는 다중 서명 지갑을 통해 거래 자금이 조달되는 전통적인 POS(point of sale) 시스템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거래가 수행되는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암호 화폐의 처리를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많은 이점으로 인해 인기를 얻고 있다. 일부 이점은 수행되는 거래가 블록체인이 새로운 블록을 계속 추가할 때 변경될 수 없다는 불변성(immutability)을 포함하며, 이는 감사(auditing)를 돕고 사기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명확하고 변경할 수 없는 거래 기록을 제공한다. 다른 이점은 블록체인 자체가 공개되더라도 거래 당사자의 신원을 알 수 없는 익명성(anonymity)이다.
그러나, 현재 블록체인은 참여자들이 발신자 또는 수신자로서 블록체인 거래에 참여하기 위해 전자 지갑이 저장된 컴퓨팅 장치를 활용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장치는 많은 소비자가 사용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관련 암호 화폐의 채택 및 가용성을 제한하여 일부 잠재적 참가자를 낙담시킬 수 있으며, 이는 연쇄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은행에서 발급한 지불 카드를 사용하는데 익숙한 소비자들에게 낯선 프로세스는 일부 소비자가 거래에 암호 화폐를 채택하지 않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친숙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에서 암호 화폐 거래를 소비자에게 편안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이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의 지불 카드 처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거래에 자금을 조달하는데 다중 서명 지갑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중 서명 지갑은 집적회로 지불 카드 및 소비자에게 지불 카드를 발급한 발급 기관 모두의 서명을 필요로 한다. 거래는 POS에서 시작되고 승인 요청이 발급사에 도달할 때까지 전통적인 프로세스를 따르며, 이때 발급사는 전통적인 명목 화폐 대신 암호 화폐를 통해 지불하기 위해, 블록체인 거래에 디지털 서명을 하여 승인 응답과 함께 반환할 수 있다.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는 POS에 의해 집적회로 지불 카드로 송신되며, 그 다음 POS는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다중 서명 요구를 충족하는, 자체 디지털 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중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는 POS에 의해 가맹점의 매입사에 전달되며, 매입사는 처리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블록체인 거래를 제출한다. 이 결과는 친숙한 장비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친숙한 프로세스이지만, 이러한 장비에서 암호 화폐를 통해 거래 자금이 조달된다. 거래를 제출하기 위해 매입사를 사용한다는 것은 레거시 POS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최소한의 수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암호 화폐를 통한 지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에서 빠르고 쉽게 채택할 수 있다.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이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은: 지불 카드의 집적회로의 메모리에, 적어도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개인 키 및 거래 계좌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집적회로의 수신기에 의해, POS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체인 거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용 거래 출력,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각각에 대한 암호 화폐 금액, 및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 집적회로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개인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거래를 디지털 서명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집적회로의 송신기에 의해, 제1 디지털 서명 및 제2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POS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이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은: POS 장치; 및 집적회로를 갖는 지불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회로는 제1 암호화 키 쌍의 적어도 제1 개인 키 및 거래 계좌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POS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거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용 거래 출력,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각각에 대한 암호 화폐 금액, 및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수신기, 제1 개인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거래를 디지털 서명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제1 디지털 서명 및 제2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POS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 도면과 함께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가장 잘 이해된다. 도면에는 아래의 도면들이 포함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하이 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도 1의 시스템의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카드 및 POS 장치를 사용하여 암호 화폐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프로세스 흐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 적용 가능한 영역들은 아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반드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용어 해설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반 화폐의 모든 거래(transaction)에 대한 공개 장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는 블록체인 내의 블록의 일부로서 거래를 처리하고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블록이 완성되면, 그 블록은 블록체인에 추가되고 이에 따라 거래 기록이 업데이트된다. 많은 경우에, 블록체인은 시간 순에 따른 거래 장부일 수 있고,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순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구성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는 목적지 주소 및 화폐량을 포함할 수 있고, 블록체인은 특정 주소에 얼마나 많은 화폐가 귀속되는지 기록한다. 일부 경우에, 거래는 금융적이고 다른 것들은 비금융적이고 또는 소스 주소, 시간 스탬프 등과 같은 추가적인 또는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록체인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심지어 그것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탬퍼링(tampering) 및 변경(revision)에 대항하게 강화된 데이터 레코드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목록을 유지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필요가 있는 거래의 한 형태로서 거의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 증명 및/또는 그것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검증 기술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확인 및 검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주어진 거래에 관한 데이터는 거래 데이터에 추가된 거래의 직접적인 일부가 아닌 추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포함하는 것이 거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체인은 특수한 디지털 화폐, 가상 화폐, 법정 화폐(fiat currency) 또는 다른 유형의 화폐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지불 네트워크 - 주어진 기간 동안의 수천, 수백만, 심지어 수십억 건의 거래에 대해 현금 대체 수단을 사용하여 돈을 이체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지불 네트워크는 다양한 유형의 거래에 대한 돈의 이체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프로토콜 및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지불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거래는 제품 또는 서비스 구매, 신용 구매, 직불 거래, 자금 이체, 계좌 인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불 네트워크는 지불 카드, 신용장, 수표, 거래 계좌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현금 대체 수단을 통해 거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불 네트워크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의 예는 마스터카드(Mastercard®), 비자(VISA®), 디스커버(Discover®),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 페이팔(PayPal®) 등이 운영하는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불 네트워크"라는 용어의 사용은 엔티티로서의 지불 네트워크 및 지불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장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물리적 지불 네트워크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거래 계좌 - 당좌 예금 계좌, 저축 계좌, 신용 계좌, 가상 지불 계좌 등과 같이, 거래 자금을 조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금융 계좌. 거래 계좌는 개인, 가족, 회사, 기업, 정부 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지불 계좌와 연관된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엔티티일 수 있는 소비자와 연관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거래 계좌는 페이팔(PayPal®) 등에서 운영하는 계좌와 같은 가상 계좌일 수 있다.
지불 카드 - 연관된 거래 계좌를 통해 금융 거래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가맹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거래 계좌와 연관된 카드 또는 데이터. 지불 카드는 신용 카드, 직불 카드, 충전 카드, 가치 저장 카드, 선불 카드, 플리트 카드(fleet card), 가상 지불 번호, 가상 카드 번호, 통제된 지불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불 카드는 가맹점에게 제시될 수 있는 물리적 카드일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와 같은 통신 장치에 저장된) 연관된 거래 계좌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지불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연관된 거래 계좌에 의해 자금이 조달되는 거래의 처리를 위한 지불 카드로 간주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일부 경우에, 수표도 지불 카드로 간주될 수 있다.
가맹점(merchant) - 소비자 또는 다른 가맹점과 같은 다른 엔티티가 구매할 제품(예컨대, 상품 및/또는 서비스)을 제공하는 엔티티. 가맹점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소비자, 소매업자, 도매업자, 제조자, 또는 구매할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엔티티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가맹점은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특수 지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다른 경우, 가맹점은 제공된 제품에 대한 임의의 특수 지식을 가지지 않거나 또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거래에 관련된 엔티티는 가맹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가맹점"은 가맹점 엔티티의 장치 또는 장비를 지칭할 수 있다.
발급사(issuer) - 수익자(beneficiary)를 위해 신용장 또는 신용 한도(letter or line of credit)를 설정(예컨대, 개설)하고, 신용장 또는 신용 한도에 지정된 금액에 대해 수익자가 발행한 어음(draft)을 인정하는 엔티티. 많은 경우에, 발급사는 신용 한도를 개설할 권한이 있는 은행 또는 기타 금융 기관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수익자에게 신용 한도를 연장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가 발급사로 간주될 수 있다. 발급사가 개설한 신용 한도는 지불 계좌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지불 카드를 사용하여 수익자에게 어음 발행될 수 있다. 발급사는 또한 직불 계좌, 선불 계좌, 전자 지갑 계좌, 저축 계좌, 당좌 예금 등과 같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수 있는 추가 유형의 지불 계좌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직불 카드, 선불 카드,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카드, 전자 지갑, 수표 등과 같은 그러한 계좌에 액세스 및/또는 계좌를 이용하기 위한 물리적 또는 비물리적 수단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매입사(acquirer) - 가맹점을 대신하여 지불 카드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엔티티. 매입사는 가맹점을 대신하여 지불 카드 거래를 처리할 권한을 부여 받은 은행 또는 기타 금융 기관일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매입사는 수익자로서 역할을 하는 가맹점과의 신용 한도를 개설할 수 있다. 발급사에 의해 제공된 신용 한도의 수익자일 수 있는 소비자가 지불 카드를 통해 매입사가 대리하는 가맹점과 거래하는 경우에 매입사는 발급사와 자금을 교환할 수 있다.
지불 거래 - 돈 또는 다른 금전적 이익이 한 엔티티에서 다른 엔티티로 교환되는 두 엔티티 간의 거래. 지불 거래는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부채 상환 또는 재정적 이익의 임의의 다른 교환을 위한 자금 이체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지불 거래는 신용 카드 거래와 같은, 지불 카드 및/또는 지불 계좌를 통해 자금이 조달되는 거래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지불 거래는 발급사, 지불 네트워크 및 매입사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불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승인(authorization), 일괄 처리(batching), 클리어링(clearing), 결제(settlement) 및 자금 조달(fund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은 소비자가 가맹점에게 지불 세부정보를 제공하는 것, 가맹점으로부터 그들의 매입사에게 거래 세부정보(예컨대, 지불 세부정보 포함)를 제출하는 것, 거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된 소비자의 지불 계좌의 발급사를 통해 지불 세부정보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괄 처리는 승인된 거래를 매입사에게 배포하기 위해 다른 승인된 거래들와 함께 한 배치(batch)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클리어링은 일괄 처리된 거래들을 처리를 위해 매입사로부터 지불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는 발급사의 수익자와 관련된 거래를 위한 지불 네트워크에 의한 발급사의 인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발급사는 지불 네트워크를 통해 매입사에게 지불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발급사는 매입사에게 직접 지불할 수 있다. 자금 조달은 클리어링 및 결제된 지불 거래에 대해 매입사가 가맹점에게 지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단계들의 순서 및/또는 분류가 지불 거래 처리의 일부로서 수행된다는 것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POS(Point of Sale) - 거래 데이터, 지불 데이터 및/또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및/또는 지불을 위한 다른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예컨대, 소비자, 직원 등)와의 상호 작용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 또는 컴퓨팅 시스템. POS는 방문 판매점("brick and mortar" store)과 같이, 거래의 일 부분으로서 고객이 방문하는 물리적 위치에 있는 물리적 장치(예컨대, 금전 등록기, 키오스크, 데스크톱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고,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통신을 수신하는 온라인 소매업체와 같은, 전자 상거래 환경에서 가상일 수 있다. POS가 가상일 수 있는 경우에, 거래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컴퓨팅 장치 또는 거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적용 가능한 경우 POS로 간주될 수 있다.
지불 레일 - 지불 네트워크와, 주어진 기간 동안의 수천, 수백만, 심지어 수십억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지불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된 다른 엔티티 간의 지불 거래 처리 및 거래 메시지 및 다른 유사한 데이터의 통신에 사용되는 지불 네트워크와 연관된 인프라구조. 지불 레일은 지불 네트워크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지불 네트워크와 금융 기관, 게이트웨이 프로세서 등과 같은 다른 관련 엔터티 간의 상호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지불 레일은 또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예컨대, 지불 레일을 포함하는 통신 하드웨어 및 장치의 특수 프로그래밍을 통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불 레일은 거래 메시지의 라우팅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거래 메시지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지불 레일을 통해 전자적으로 송신되는 특수한 포맷의 데이터 메시지일 수 있다.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도 1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사용하여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100) 및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거래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100)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발급된 지불 카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EMV 표준을 준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전자 지불 거래에 자금을 제공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거래 계좌를 발행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소비자(106)는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발급된 거래 계좌를 가질 수 있다. 거래 계좌의 발급의 일부로서, 발급 금융 기관(104)은 소비자(106)에게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발급할 수 있으며, 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는 거래 계좌를 통해 자금을 조달 받아야 하는 전자 지불 거래를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거래 계좌에 대한 계좌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거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지불 계좌 번호 또는 거래 계좌 번호, 만료 날짜, 이름, 보안 코드, 애플리케이션 암호, 애플리케이션 거래 카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소비자(106)는 도 1에 도시된 지불 네트워크(112)와 같은 지불 카드 처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처리되는 전통적인 지불 거래에서의 명목 화폐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자 지불 거래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암호 화폐를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의 사용을 통해 처리되고 보유될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14)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16)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블록체인 노드(116)는 블록체인 데이터 값 생성, 제안된 블록체인 거래의 검증, 디지털 서명의 검증, 새로운 블록 생성, 새로운 블록의 검증, 및 블록체인 사본의 유지 관리를 포함한, 블록체인의 처리 및 관리와 관련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예컨대, 도 5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 것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블록체인은 적어도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분산 원장일 수 있다. 각각의 블록은 적어도 블록 헤더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 헤더는 적어도 타임스탬프, 블록 참조 값 및 데이터 참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블록 헤더가 생성된 시간일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방법(예컨대, UNIX 타임스탬프, 데이트타임(DateTime) 등)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블록 참조 값은 블록체인에서 이전 블록(예컨대, 타임스탬프 기반)을 참조하는 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록 헤더 내의 블록 참조 값은 각각의 블록 이전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블록의 블록 헤더에 대한 참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블록 참조 값은 가장 최근에 추가된 블록의 블록 헤더의 해싱을 통해 생성된 해시 값일 수 있다. 데이터 참조 값은 유사하게 블록 헤더를 포함하는 블록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에 대한 참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참조 값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의 해싱을 통해 생성된 해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참조 값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을 사용하여 생성된 머클 트리(Merkle tree)의 루트(root)일 수 있다.
각 블록 헤더 내의 블록 참조 값 및 데이터 참조 값을 사용하는 것은 블록체인을 변경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데이터 값에 대한 임의의 수정 시도는 해당 블록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참조 값의 생성을 요구할 것이므로, 후속 블록의 블록 참조 값이 새로 생성되어야 하고, 또한 모든 후속 블록 내의 새로운 블록 참조 값의 생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변경이 영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추가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의 모든 단일 노드에서 수행되고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계산 및 통신의 제한으로 인해, 이러한 수정은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블록체인을 변경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록체인은 2개의 서로 다른 블록체인 지갑 사이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거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 지갑은 블록체인 거래에 대한 지불인에 의한 승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암호화 키 쌍의 개인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디지털 서명은 암호화 키 쌍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블록체인 지갑"이라는 용어는 특히 개인 키를 지칭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블록체인 지갑"이라는 용어는 블록체인 거래에 사용하기 위한 개인 키를 저장하는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 발급 금융 기관(104), POS 장치(108), 매입 금융 기관(110)를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컴퓨팅 장치는 각각의 암호화 키 쌍에 대한 자체 개인 키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관된 블록체인과의 거래에 사용하기 위한 블록체인 지갑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텔레비전,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 이식형 컴퓨팅 장치 등과 같은, 블록체인 지갑을 저장하고 활용하기에 적합한 모든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각각의 블록체인 데이터 값은 적용 가능한 경우 블록체인 거래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체인 거래는 적어도 발신자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화폐의 발신자(예컨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디지털 서명, 수신자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화폐 수신자(예컨대, POS 장치(108))의 블록체인 주소, 및 이체되는 블록체인 화폐 금액 또는 저장된 다른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블록체인 거래에서, 거래는 또한 블록체인 화폐가 현재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의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주소(예컨대, 디지털 서명이 이러한 화폐에 대한 그들의 접근 권한을 증명하는 곳), 뿐만 아니라 발신자가 보유해야 하는 임의의 변경사항에 대해 발신자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미래의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암호 화폐가 송신된 주소는 각 주소가 이전 블록체인 거래의 출력을 캡처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출력" 주소라고 지칭되며, 해당 화폐가 아직 사용되지 않은 이전 거래의 주소로 화폐가 송신됨으로 인해 "미사용 거래"이라고도 지칭된다. 일부 경우에, 블록체인 거래는 한 엔티티가 거래를 검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발신자의 공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거래의 전통적인 처리를 위해, 이러한 데이터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의 블록체인 노드(116)에 제공될 수 있다. 노드는 발신자의 지갑의 암호화 키 쌍 내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디지털 서명을 검증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미사용 거래가 아직 사용되지 않았으며 발신자의 지갑과 연관된 주소로 송신된) 자금에 대한 발신자의 접근 권한도 검증할 수 있고, 거래의 "확인(confirmation)"으로 알려진 프로세스 후, 블록체인 거래를 새 블록에 포함시킨다. 새로운 블록은 블록체인에 추가되고 전통적인 블록체인 구현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14) 내의 모든 블록체인 노드(116)로 배포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의 다른 노드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값이 블록체인 거래와 관련 없을 수 있지만, 그 대신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블록체인 데이터 값은 여전히 디지털 서명의 유효성 검사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반할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소비자(106)는 블록체인 상에서 암호 화폐 거래를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발급받을 수 있다. 다중 서명 지갑은 블록체인 지갑에 의해 자금을 조달할 블록체인 거래에 대해 복수의 디지털 서명을 수집하고 검증해야 하는 블록체인 지갑일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제1 암호화 키 쌍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발급 금융 기관(104)은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제2 암호화 키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지갑으로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 및 발급 금융 기관(104)은 모두 그들 각각의 암호화 키 쌍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그들의 디지털 서명을 제공해야 한다.
소비자(106)가 전자 지불 거래에 참여하기를 원할 때, 그들은 지불을 위해 자신의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가맹점의 POS 장치(108)에 제시할 수 있다. POS 장치(108)는 예컨대 근거리 통신, POS 장치(108) 내의 접점들과 집적회로 사이의 물리적 연결 등을 통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로부터 계정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POS 장치(108)는 지불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계좌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을 사용하여 계좌 데이터 및 추가 거래 데이터를 매입 금융 기관(110)에 송신할 수 있다. 추가 거래 데이터는 거래 시간, 거래 날짜, 가맹점 식별자, 화폐 금액, POS 식별자, 로열티 데이터, 제안 데이터, 보상 데이터 등과 같이 전자 결제 거래의 처리에 사용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이 암호 화폐를 통한 지불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전자 지불 거래는 전통적인 방법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매입 금융 기관(110)은 승인 요청을 (예컨대, 지불 계좌 번호를 통해 식별되는) 발급 금융 기관(104)으로 전달할 수 있는, 그것의 지불 레일을 사용하여 지불 네트워크(112)에 거래에 대한 승인 요청을 제출할 수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예를 들어, 지불 계좌 번호와 관련된 거래 계좌에 대한 거래 금액 및 가용 잔액 또는 신용 한도에 기초하여) 거래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고,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전달하기 위해 지불 네트워크(112)에 승인 응답을 반환한다. 매입 금융 기관(110)은 지불 거래의 승인 또는 거부에 관해 POS 장치(108)에 통지를 제공하고, 가맹점 및 소비자(106)는 이에 따라 거래를 종료한다.
가맹점이 암호 화폐를 통한 지불을 수락하면, 소비자(106)는 예컨대 가맹점에게 표시할 수 있다. POS 장치(108)는 암호 화폐가 전자 지불 거래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될 것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POS 장치의 사용자(예를 들어, 가맹점의 직원) 또는 소비자(106)에 의해 예컨대 POS 장치(108)의 입력 장치, 별도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진 스마트폰), 또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 상의 물리적 스위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제출된 거래 데이터는 암호 화폐가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가맹점은 복수 개의 상이한 암호 화폐를 수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암호 화폐는 자신의 고유한 화폐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OS 장치(108)는 전통적인 거래 계좌를 사용하여 명목 화폐를 통해 자금을 조달받는 전자 지불 거래에 사용되는 디폴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대안으로서 암호 화폐를 통해 지불이 이루어질 때 실행될 수 있는 대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내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매입 금융 기관(110)은 POS 장치(108)로부터 거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지정된 암호 화폐를 통해 지불을 받아야 함을 나타내는 화폐 코드(예컨대, 대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매입 금융 기관(110)은 거래에 대한 승인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승인 요청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ISO 8583 또는 ISO 20022 표준과 같은, 금융 거래 메시지 교환을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표준에 따라 포맷팅된 특수 형식의 데이터 메시지인 거래 메시지일 수 있다. 승인 요청은 승인 요청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 지시자를 포함하는 거래 메시지일 수 있다. 승인 요청은 소비자(106)가 암호 화폐를 사용하여 거래에 대해 지불해야 함을 나타내는 화폐 코드를 포함하여, POS 장치(108)로부터 수신된 계좌 데이터 및 다른 거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 요청은 매입 금융 기관(110)에 의해 그것과 연관된 지불 레일을 사용하여 지불 네트워크(112)에 제출될 수 있다. 지불 네트워크(112)는 임의의 처리 기능(예를 들어, 사기 점수 매김(fraud scoring), 계좌 매핑 등)을 수행하고 승인 요청을 지불 레일을 통해 발급 금융 기관(104)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지불 계좌 번호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불 계좌 번호의 일부는 거래 메시지의 라우팅을 위해 발급 금융 기관(104)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은행 식별 번호일 수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승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승인 요청 내의 적절한 데이터 요소에 저장된 화폐 코드에 기초하여 거래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암호 화폐가 사용될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승인 요청 내의 적절한 데이터 요소에 저장된 지불 계좌 번호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거래 계좌에 대한 계좌 프로파일을 식별하고 소비자의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제2 암호화 키 쌍의 개인 키를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 발급 금융 기관(104)은 개인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디지털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급 금융 기관(104)은 블록체인 거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POS 장치(108) 또는 매입 금융 기관(110)은 암호 화폐 거래에 대한 지불을 받는데 사용할 블록체인 지갑의 목적지 주소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적용 가능한 경우 POS 장치(108) 또는 매입 금융 기관(110)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예컨대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암호화 키 쌍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이러한 주소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승인 요청 내의 거래 금액과 동일한 암호 화폐 금액이 적용 가능한 경우 POS 장치(108), 매입 금융 기관(110) 또는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소비자의 계좌 프로파일 내의 적절한 미사용 거래 출력을 식별하고, 미사용 거래 출력(들), 목적지 주소(예컨대, 가맹점에 대한 주소 및 미사용 거래 출력에 대한 금액이 가맹점에 지불되어야 할 암호 화폐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거래에 대한 변경사항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지와 같은 임의의 추가 주소), 및 각 목적지 주소로 송신될 암호 화폐 금액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발급 금융 기관(104)은 블록체인 거래에 직접 디지털 서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거래는 아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다른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발급 금융 기관(104)은 전자 지불 거래에 대한 승인 응답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승인 응답은 거래 메시지가 승인 응답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 표시자를 포함하는 포맷화된 거래 메시지(예컨대, 적용 가능한 경우 블록체인 거래와 같은 다른 블록체인 데이터)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요소는 적용 가능한 표준(들)에서 사적 용도로 보존될 수 있다.
승인 응답은 그것과 연관된 지불 레일을 사용하여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지불 네트워크(112)에 제출될 수 있다. 지불 네트워크(112)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추가 처리를 수행하고 승인 응답을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매입 금융 기관(110)은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한 거래 승인을 나타내는 승인 응답 또는 그것과 연관된 통지 메시지 뿐만 아니라 발행자의 전자 서명을 POS 장치(108)로 송신할 수 있다.
POS 장치(108)는 POS 장치(108)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 사이의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발행자의 디지털 서명을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전자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자신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자신의 디지털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먼저 발행자의 암호화 키 쌍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발행자의 디지털 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발행 시 제공될 수 있고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공개 키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예컨대 잠재적인 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발행자의 디지털 서명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제2 디지털 서명의 생성을 차단하고 지불 거래의 처리를 중지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블록체인 거래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POS 장치(108)는 발행자의 디지털 서명과 함께 목적지 주소 및 임의의 다른 블록체인 거래 데이터를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제1 암호화 키 쌍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디지털 서명될 수 있는, 예컨대 미사용 거래 출력 및 암호 화폐 금액과 같은, 수신된 블록체인 데이터 및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블랙체인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매입 금융 기관(110) 또는 POS 장치(108)는 블록체인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미사용 거래 출력은 (예를 들어, 승인 응답에서)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승인 요청이 제출되기 전의 지불 계좌 번호 또는 제2 디지털 서명을 갖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가 그것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면, 디지털 서명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와 POS 장치(108) 사이에 설정된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POS 장치(108)로 송신될 수 있다. 그 다음, POS 장치(108)는 2개의 디지털 서명 및 다른 블록체인 데이터를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을 사용하여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매입 금융 기관(110)은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의 블록체인 노드(116)에 이중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제출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6)는 예컨대, 적절한 공개 키를 사용하여 두 디지털 서명을 모두 검증하고, 미사용 거래 출력이 다중 서명 지갑과 연관되어 있고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송신되고 있는 암호 화폐 금액(들)은 미사용 거래 출력으로 이전에 송신된 금액에 의해 커버됨을 확인함으로써, 블록체인 거래를 확인(confirm)할 수 있다. 확인된 블록체인 거래는 새로운 블록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이 새로운 블록은 블록체인 노드(116)(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의 다른 블록체인 노드(116))에 의해 생성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116)에 의해 확인된 후, 종래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에 추가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노드(116)는 블록체인 거래의 수신 확인, 확인 및/또는 블록체인에의 추가를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은 매입 금융 기관(110)이 POS 장치(108) 및/또는 발급 금융 기관(104)에 통지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거래는 암호 화폐를 통한 소비자(106)로부터 가맹점으로의 지불을 초래할 수 있으며, 거래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사용하여 POS 장치(108)에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방법 및 시스템은 소비자(106)에게 친숙한 대상인,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친숙한 프로세스로 활용하여 암호 화폐를 사용하여 전자 지불 거래에 대해 지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소비자(106)는 그들의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를 전통적인 명목 화폐 기반 거래에서와 마찬가지로 POS 장치(108)에 제시할 수 있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배울 필요 없이 암호 화폐를 사용하여 지불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POS 장치(108)는 예컨대 암호 화폐에 사용되는 새로운 화폐 코드를 단순히 추가함으로써, 최소한의 수정을 통해 블록체인 거래를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다중 서명 지갑을 사용함으로써, 발급 금융 기관(104)은 여전히 거래에 대해 감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소비자(106)가 그들의 명목 화폐 거래 계좌로 이미 이용할 수 있었던 가치 있는 서비스를 소비자(1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는 소비자(106) 및 POS 장치(108)에 대한 최소한의 개입(intrusion)으로 전통적인 처리 방법에 통합되어, 소비자(106)가 친숙한 환경에서 암호 화폐 지불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집적회로 지불 카드
도 2는 시스템(100)의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모든 가능한 구성을 빠짐없이 철저하게 기술한 것은 아닐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컴퓨터 시스템(500)도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적절한 구성일 수 있다.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수신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2)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수신 장치(202)는 무선 주파수, 근거리 통신망, 무선 통신망, 셀룰러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을 통해 발급 금융 기관(104), POS 장치(108), 및 다른 시스템 및 엔티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202)는 복수의 장치(예컨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각각의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장치(202)는 전자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는 데이터 신호 상에 중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인코딩되고, 수신 장치(202)에 의한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통해 디코딩, 파싱, 판독 또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수신 장치(202)는 데이터 신호에 중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파싱하기 위한 파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2)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것을 본 명세서 설명된 방법 및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에 대해 사용 가능한 입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파서 프로그램(parser program)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2)는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전자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신호는 계좌 데이터, 미사용 거래 출력, 암호 화폐 금액, 공개 키,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른 데이터와 중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함께 인코딩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2)는 계좌 데이터, 발행자 디지털 서명, 블록체인 거래 또는 다른 블록체인 데이터, 거래 데이터 등에 대한 거래 요청과 중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함께 인코딩될 수 있는, POS 장치(108)에 의해 전자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통신 모듈(20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은 본 명세서에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모듈, 엔진, 데이터베이스, 메모리, 및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은 하나 이상의 통신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 내부의 통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04)은 버스, 컨택트 핀 커넥터(contact pin connector), 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04)은 또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내부 컴포넌트와 외부적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외부 컴포넌트 사이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또한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논의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장치는 질의 모듈(214), 생성 모듈(216), 검증 모듈(218) 등과 같은, 처리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복수의 엔진 및/또는 모듈을 포함하고 및/또는 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출력을 제공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출력 및 다양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200)은 계좌 데이터베이스(206)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데이터베이스(206)는 적절한 데이터 저장 포맷 및 스키마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계좌 프로파일(208)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좌 데이터베이스(206)는 그 안에 저장된 구조화된 데이터 세트의 저장, 식별, 수정, 업데이트, 액세스 등을 위해 구조화된 질의 언어(structured query language)를 사용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각각의 계좌 프로파일(208)은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가 전자 지불 거래에 자금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거래 계좌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구조화된 데이터 세트일 수 있고, 이에 기초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프로파일(208)은 명목 기반 거래 계좌에 대한 지불 계좌 번호, 뿐만 아니라 해당 거래 계좌에 대해 개시된 거래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암호 화폐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암호화 키 쌍에 대한 개인 키 및 미사용 거래 출력, 암호 화폐 금액, 발급 금융 기관의 암호화 키 쌍의 공개 키, 애플리케이션 거래 카운터, 애플리케이션 암호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추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메모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공개 및 개인 키, 대칭 키 등과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의해 사용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12)는 적절한 데이터 포맷팅 방법 및 스키마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일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212)는 예를 들어, 암호화 키 및 알고리즘, 통신 프로토콜 및 표준, 데이터 포맷팅 표준 및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의한 사용에 적합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12)는 그 안에 저장된 구조화된 데이터 세트의 저장, 식별, 수정, 업데이트, 액세스 등을 위해 구조화된 질의 언어를 활용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예를 들어 암호화 키, 계좌 프로파일(208), 화폐 변환 데이터, 표준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서명 생성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질의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 모듈(214)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질의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질의 모듈(214)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 또는 질의 스트링을 수신할 수 있고, 그것에 기초하여 그 안에 저장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메모리(212)와 같은 지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질의 스트링을 실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질의 모듈(214)은 식별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적절한 엔진 또는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질의 모듈(214)은 예를 들어 전자 지불 거래를 위해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의 사용을 위한 계좌 프로파일(208)을 식별하기 위해 계좌 데이터베이스(206)에 대한 질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생성 모듈(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모듈(216)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성 모듈(216)은 입력으로서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이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를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 모듈(216)은 블록체인 거래, 디지털 서명,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검증 모듈(218)을 포함할 수 있다. 검증 모듈(21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의 일부로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증 모듈(218)은 검증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명령을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고, 요청 받은 대로 검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증의 결과를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다른 모듈 또는 엔진에 출력할 수 있다. 검증 모듈(218)은 예를 들어 암호화 키 쌍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고, 거래 금액 및 화폐 변환 데이터 등을 사용하여 암호 화폐 금액을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는 송신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장치(22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송신 장치(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 근거리 통신망, 무선 통신망,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주파수, 인터넷 등을 통해 발급 금융 기관(104), POS 장치(108), 및 다른 엔티티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장치(220)는 복수의 장치(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각각의 송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장치(220)는 수신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파싱(parse)될 수 있는 중첩된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신호를 전자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송신 장치(220)는 송신에 적합한 데이터 신호로 데이터를 중첩, 인코딩 또는 포맷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장치(220)는 공개 키에 대한 요청, 거래 데이터에 대한 요청, 수행된 지불 거래에 대한 거래 데이터, 미사용 거래 출력, 암호 화폐 금액 등과 중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함께 인코딩될 수 있는, 데이터 신호를 발급 금융 기관(104)에 전자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220)는 지불 계좌 번호 및 다른 거래 데이터, 디지털 서명, 블록체인 데이터, 및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데이터와 중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함께 인코딩될 수 있는 데이터 신호를 POS 장치(108)에 전자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통적인 지불 시스템을 사용한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 프로세스
도 3a 및 3b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통해 자금이 조달되는 전통적인 지불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시되는 지불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단계(302)에서, POS 장치(108)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을 사용하여 그것과 함께 설정된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전자 지불 거래를 위한 거래 데이터를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에 전자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거래 데이터는 예를 들어 거래 금액, 거래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수신 장치(202)는 거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06)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질의 모듈(214)은 그 안에 저장된 전자 지불 거래 및 지불 계좌 번호 및 임의의 다른 계좌 데이터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될 거래 계좌와 관련하여 그 안에 저장된 계좌 프로파일(208)을 식별하기 위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계좌 데이터베이스(206)에 대한 질의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송신 장치(220)는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지불 계좌 번호 및 다른 거래 데이터를 POS 장치(108)에 전자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POS 장치(108)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로부터 계좌 데이터 및 지불 계좌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12)에서, POS 장치(108)는 처리를 위해 전자 지불 거래를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제출할 수 있다. 전자 지불 거래는 지불 계좌 번호 및 지불 계좌 데이터, 암호 화폐를 통한 지불이 필요하다는 표시, 및 거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 데이터는 거래 시간, 거래 날짜, 가맹점 식별자, 수신 거래 계좌 식별자, 화폐 코드 등과 같은, 지불 거래 처리에 필요한 임의의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14)에서, 매입 금융 기관(110)은 전자 지불 거래를 위한 거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16)에서, 매입 금융 기관(110)은 그것과 연관된 지불 레일을 사용하여 지불 네트워크(112)로 송신될 수 있는 지불 거래에 대한 승인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승인 요청은 지불 계좌 번호 및 전자 지불 거래에 대한 지불을 위해 암호 화폐가 사용될 것임을 나타내는 화폐 코드를 포함하는 거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 요청은 또한 지불 거래에 대한 지불을 받는데 사용되는 블록체인 지갑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매입 금융 기관(110) 또는 POS 장치(108)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예를 들어, 단계(312)에서 송신됨) 목적지 블록체인 주소를 포함할 수 있는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 요청은 지불 네트워크(112)에 의해 발급 금융 기관(104)으로 전달될 수 있고, 지불 네트워크(112)에 의해 매입 금융 기관(110)으로 전달되고 단계(318)에서 수신되는, 승인 응답으로서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응답될 수 있다. 승인 응답은 거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전자 지불 거래 승인을 나타내는 응답 코드 및 소비자의 블록체인 지갑에 대한 발급 금융 기관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블록체인 거래에 대한 전자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승인 응답은 전체 블록체인 거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미사용 거래 출력(들) 및 임의의 다른 목적지 주소는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해 추가되었을 수 있다.
단계(320)에서, 매입 금융 기관(110)은 POS 장치(108)를 사용하여 제1 디지털 서명을 갖는 블록체인 거래 뿐만 아니라 예컨대 거래 식별자, 응답 코드, 발급 금융 기관(104)에 의한 거래 승인 표시 등과 같은, 지불 거래의 추가 처리에 필요한 임의의 다른 데이터를 제출할 수 있다. 단계(322)에서, POS 장치(108)는 블록체인 거래 및 제1 디지털 서명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324)에서, POS 장치(108)는 블록체인 거래 및 제1 디지털 서명을 설정된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로 전자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26)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수신 장치(202)는 POS 장치(108)로부터 블록체인 거래 및 제1 디지털 서명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328)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검증 모듈(218)은 예를 들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메모리(212) 또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계좌 데이터베이스(206) 내의 계좌 프로파일(208)에 저장될 수 있는, 발급 금융 기관의 암호화 키 쌍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1 디지털 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생성 모듈(216)은, 예컨대 메모리(212) 또는 계좌 프로파일(208)에 저장될 수 있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의 암호화 키 쌍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32)에서,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송신 장치(220)는 두 디지털 서명을 모두 포함하는 블록체인 거래를 설정된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POS 장치(108)로 전자적으로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34)에서, POS 장치(108)는 블록체인 거래 및 그것의 두 디지털 서명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단계(336)에서, POS 장치(108)는 단계(338)에서 수신을 위해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을 사용하여 두 번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매입 금융 기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매입 금융 기관(1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14) 내의 블록체인 노드(116)에 두 디지털 서명을 모두 포함하는 블록체인 거래를 제출할 수 있다. 블록체인 거래는 소비자(106)의 다중-서명 지갑으로부터 가맹점의 블록체인 지갑으로의 전자 지불 거래를 위한 암호 화폐의 이체를 유효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 노드(116)에 의한 확인(confirmation) 및 생성, 확인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14)의 블록체인에 추가될 수 있는 새로운 블록에의 포함을 위해 미확인 거래 풀에 추가될 수 있다.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방법
도 4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이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402)에서, 적어도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개인 키 및 거래 계좌 번호가 집적회로 지불 카드(예를 들어,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의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212))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404)에서, 블록체인 거래는 POS 장치(예를 들어, POS 장치(108))로부터 집적회로 지불 카드의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 장치(2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블록체인 거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용 거래 출력,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각각에 대한 암호 화폐 금액, 및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디지털 서명을 포함한다. 단계(406)에서, 블록체인 거래는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기 위해 제1 개인 키를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생성 모듈(216))에 의해 디지털 서명될 수 있다. 단계(408)에서, 제1 디지털 서명 및 제2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는 집적회로 지불 카드의 송신기(예를 들어, 송신 장치(220))에 의해 POS 장치로 전자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매입 금융 기관(예를 들어, 매입 금융 기관(110))에 의해, POS 장치로부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 및 매입 금융 기관에 의해,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예컨대, 블록체인 네트워크(114)) 내의 블록체인 노드(예컨대, 블록체인 노드(116))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또한: 집적회로의 수신기에 의해, POS 장치로부터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집적회로의 송신기에 의해,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기 전에 거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적어도 거래 계좌 번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집적회로의 메모리는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공개 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의 송신은 제1 공개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또한 POS 장치에 의해, 제1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추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매입 금융 기관에 의해, 제1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또한 블록체인 거래에 디지털 서명하기 전에, 집적회로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1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공개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그 일부가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집적회로 지불 카드(102), 발급 금융 기관(104), POS 장치(108), 매입 금융 기관(110), 및 블록체인 노드(116)는 하드웨어,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500)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는 도 3a, 3b 및 4의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모듈 및 컴포넌트를 구현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로직은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로 구성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처리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어 특정 목적의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장치(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어레이,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회로 등)가 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멀티코어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분산된 기능들과 링크되거나 클러스터링된 컴퓨터, 뿐만 아니라 사실상 임의의 장치에 내장될 수 있는 퍼베이시브 또는 미니어처 컴퓨터(pervasive or miniature compu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 구성과 함께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장치 및 메모리는 전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논의된 프로세서 장치 또는 디바이스는 단일 프로세서,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사용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18),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2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12)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유형의 매체(tangible media)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500)과 관련지어 설명된다. 이 설명을 읽은 후, 다른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컴퓨터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오퍼레이션들이 순차적 프로세스로 설명될 수 있지만, 오퍼레이션 중 일부는 실제로 병렬로, 동시에 및/또는 분산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프로세서 머신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로컬로 또는 원격으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오퍼레이션들의 순서는 개시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재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서 장치(504)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특수 목적 또는 범용 프로세서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 장치(504)는 버스, 메시지 큐, 네트워크, 멀티코어 메시지 전달 스킴 등과 같은 통신 인프라구조(506)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와이파이(WiFi)), 이동 통신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인터넷, 광섬유, 동축 케이블, 적외선, 무선 주파수(RF)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유형 및 구성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또한 메인 메모리(508)(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등)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보조 메모리(5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 메모리(5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12) 및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제거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514)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18)에 기록하고 및/또는 그것으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18)는 제거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514)에 의해 판독되고 기록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514)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범용 직렬 버스 포트인 경우,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18)는 각각 플로피 디스크 또는 휴대용 플래시 드라이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18)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조 메모리(510)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이 컴퓨터 시스템(500) 내로 로딩될 수 있게 해주는 대안의 수단, 예를 들어,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22) 및 인터페이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의 예는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인터페이스(예컨대,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발견됨),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칩(예컨대, EEPROM, PROM 등) 및 관련 소켓, 및 다른 제거 가능한 저장 장치(522) 및 인터페이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예컨대, 메인 메모리(508) 및/또는 보조 메모리(510))에 저장된 데이터는 광학 저장 장치(예컨대, 콤팩트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 또는 자기 테이프 저장소(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화된 질의 언어(SQL) 데이터베이스,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객체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구성 및 저장 유형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24)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인터페이스(524)는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통신 포트, PCMCIA 슬롯 및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24)를 통해 송신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신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통신 경로(526)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통신 경로는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선,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휴대폰 링크, 무선 주파수 링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502)는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00)과 외부 디스플레이(530) 사이에서 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502)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VI), 비디오 그래픽 어레이(VG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30)는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정전식 터치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TFT)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502)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사용 가능한 매체는 메모리 반도체(예를 들어, DRAM 등)일 수 있는 메인 메모리(508) 및 보조 메모리(510)와 같은 메모리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5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컴퓨터 제어 로직)은 메인 메모리(508) 및/또는 보조 메모리(5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인터페이스(524)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500)이 본 명세서에 논의된 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 장치(504)가 본 명세서에 논의된,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컨트롤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고 제거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514), 인터페이스(520),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12),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524)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장치(504)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 또는 엔진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 예컨대 메인 메모리(508) 또는 보조 메모리(5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기 전에 프로세서 장치(504)에 의해(예를 들어, 컴파일 모듈 또는 엔진에 의해) 컴파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 장치(504)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임의의 추가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의한 실행을 위해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코드와 같은 하위 레벨 언어로 번역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일 수 있다. 컴파일 프로세스는 어휘 분석, 전처리, 파싱, 의미 분석, 구문 지향 번역, 코드 생성, 코드 최적화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시스템(500)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하위 레벨 언어로 프로그램 코드를 번역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술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로 인해 컴퓨터 시스템(500)이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고유하게 프로그래밍된 특별하게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500)이 된다는 것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과 일치하는 기술들은 여러 특징 중에서도 특히,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은 제한이 아니라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빠짐없이 철저하게 기술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지 않는다.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고, 또는 폭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Claims (16)

  1.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지불 카드의 집적회로의 메모리에, 적어도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개인 키 및 거래 계좌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집적회로의 수신기에 의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체인 거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용 거래(unspent transaction) 출력,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각각에 대한 암호 화폐 금액 및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집적회로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디지털 서명하여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집적회로의 송신기에 의해, 상기 제1 디지털 서명 및 상기 제2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상기 POS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매입 금융 기관에 의해, 상기 POS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입 금융 기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공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의 송신은 상기 제1 공개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OS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매입 금융 기관에 의해, 상기 제1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거래에 디지털 서명하기 전에 상기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암호화 키 쌍의 상기 제2 공개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수신기에 의해, 상기 POS 장치부터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송신기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거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적어도 거래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9.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POS 장치; 및
    집적회로를 갖는 지불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회로는:
    적어도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개인 키 및 거래 계좌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POS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블록체인 거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용 거래 출력,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하나 이상의 목적지 주소 각각에 대한 암호 화폐 금액, 및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1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수신기,
    제2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개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거래에 디지털 서명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디지털 서명 및 상기 제2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상기 POS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매입 금융 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입 금융 기관은
    상기 POS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를 상기 블록체인 노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암호화 키 쌍의 제1 공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된 블록체인 거래의 상기 송신은 상기 제1 공개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OS 장치는 상기 제1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매입 금융 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디지털 서명하기 전에 상기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공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암호화 키 쌍의 제2 공개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수신기는 상기 POS 장치로부터 거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송신기는 상기 블록체인 거래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거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응답은 적어도 거래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명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하여 집적회로 지불 카드를 통해 암호 화폐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227038764A 2020-04-06 2021-03-09 암호 화폐 거래를 위한 다중 서명 지갑에서 emv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4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40,566 US20210312431A1 (en) 2020-04-06 2020-04-06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n emv card in a multi-signature wallet for cryptocurrency transactions
US16/840,566 2020-04-06
PCT/SG2021/050120 WO2021206626A1 (en) 2020-04-06 2021-03-09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n emv card in a multi-signature wallet for cryptocurrency transa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778A true KR20220164778A (ko) 2022-12-13

Family

ID=7792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764A KR20220164778A (ko) 2020-04-06 2021-03-09 암호 화폐 거래를 위한 다중 서명 지갑에서 emv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12431A1 (ko)
EP (1) EP4133686A4 (ko)
JP (1) JP2023521707A (ko)
KR (1) KR20220164778A (ko)
CN (1) CN115428396A (ko)
WO (1) WO2021206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9757B2 (en) * 2014-05-19 2019-11-26 OX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virtual currency related services
WO2022081921A1 (en) * 2020-10-14 2022-04-21 Blockchains, Inc. Multisignature key custody, key customization, and privacy service
CN114066451A (zh) * 2021-11-16 2022-02-18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管理资金交易的方法和系统、电子设备
WO2024072915A1 (en) * 2022-09-29 2024-04-04 Thirdwayv, Inc. Native cryptocurrency pay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9021A1 (en) * 2002-10-07 2004-07-1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data access and management on a secure token
WO2015183497A1 (en) * 2014-05-06 2015-12-03 Case Wallet, Inc. Cryptocurrency virtual wallet system and method
CN104021473A (zh) * 2014-05-30 2014-09-03 刘劲彤 一种可视金融卡的安全支付方法
US11687885B2 (en) * 2015-02-27 2023-06-2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ransaction signing utilizing asymmetric cryptography
US20180240107A1 (en) * 2015-03-27 2018-08-23 Black Gold Co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11270299B2 (en) * 2015-12-07 2022-03-0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thods and systems of using a cryptocurrency system to manage payments and payment alternatives
US11354658B2 (en) * 2016-02-11 2022-06-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offline blockchain exchanges
US10333705B2 (en) * 2016-04-30 2019-06-25 Civic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ttestation of information using a centralized or distributed ledger
US20180189781A1 (en) * 2017-01-05 2018-07-05 The Toronto-Dominion Bank Real-time approval and execution of data exchanges between computing systems
US10762481B2 (en) * 2017-03-21 2020-09-01 The Toronto-Dominion Bank Secure offline approval of initiated data exchanges
BE1025438B1 (nl) * 2017-07-27 2019-02-27 Sofitto Nv Werkwijze voor het authenticeren van een financiële transactie in een blockchain‐gebaseerde cryptocurrency, smartcard en blockchain‐authenticatieinfrastructuur
US11227284B2 (en) * 2017-12-13 2022-01-1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nsumer-initiated transactions using encrypted tokens
US20200027084A1 (en) * 2018-07-23 2020-01-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Hybrid Payment Authorization
TW202011312A (zh) * 2018-09-06 2020-03-16 思偉達創新科技股份有限公司 區塊鏈交易的認證伺服器及認證方法
US10621579B2 (en) * 2018-09-06 2020-04-14 Intercontinental Exchange Holdings, Inc. Multi-signature verification network
CN111325546A (zh) * 2018-12-13 2020-06-23 北京果仁宝软件技术有限责任公司 基于硬件钱包的区块链交易系统及方法
WO2020154576A1 (en) * 2019-01-24 2020-07-30 Sensoriant, Inc. Cryptographic transactions supporting real world requirements
US11348081B2 (en) * 2019-05-15 2022-05-31 Flowency, LLC. Method of executing conventional purchase transactions using cryptocurrency
CN110166237A (zh) * 2019-05-31 2019-08-23 杭州时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密钥分发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3686A4 (en) 2024-01-10
JP2023521707A (ja) 2023-05-25
WO2021206626A1 (en) 2021-10-14
CN115428396A (zh) 2022-12-02
US20210312431A1 (en) 2021-10-07
EP4133686A1 (en)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8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hargebacks on a distributed ledger system
US107696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use and validation of electronic entitlement certificates
US11308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account check processing via blockchain
KR20220154242A (ko) 완전한 암호화 감사 가능성을 통한 거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115870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t acceptance of cryptocurrency via payment rails
US202103124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n emv card in a multi-signature wallet for cryptocurrency transactions
US202303427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node within a blockchain
US117633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urrency-agnostic real-time settlement
US202400206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igital tokens to and from a physical card
US20210295279A1 (en) Method and system to manage dispute resolution via digital asset network
KR20240007757A (ko) 판매 시점에서 개인 정보 보호 지향 출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104068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t acceptance of cryptocurrency via payment rails
US20230196345A1 (en) Method and system of integrating blockchain technology with existing computer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