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116A -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116A
KR20220164116A KR1020210072207A KR20210072207A KR20220164116A KR 20220164116 A KR20220164116 A KR 20220164116A KR 1020210072207 A KR1020210072207 A KR 1020210072207A KR 20210072207 A KR20210072207 A KR 20210072207A KR 20220164116 A KR20220164116 A KR 2022016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development
management serv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택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Priority to KR102021007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116A/en
Publication of KR2022016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1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linked with develo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a smart food tagging system may comprise: a management server (S) which is accessible to a network (W)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ores information; a user device (A)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W)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an implant management server (S); a tag (B) attached to a food container and wirelessly providing unique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A); and a manager device (C) which is accessible to the network (W)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implant management server (S). Therefore, the expiration date of food for the infants is efficiently managed.

Description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본 발명은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현대인들의 생활이 점차 바빠지고 생활 전반이 분업화됨에 따라, 가정에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밀키트나 완전 조리된 간편식들이 지속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As the lives of modern people become increasingly busy and the overall life is divided, it is a reality that meal kits or fully cooked convenience foods that can be easily eaten at home are continuously in the spotlight.

이러한 식품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영유아들의 이유식이나 간식들도 데워서 바로 먹일 수 있게 간편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간편식을 넘어선 건강식 개념으로 많이 출시되고 있다.As these foods become common, baby food and snack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also sold in a simple form that can be heated and fed immediately, and recently, many have been released as a healthy food concept beyond convenience food.

이유식의 경우 대부분 가열되어 조리가 완료된 후 포장되어 출하되기 때문에 가열 조리되지 않은 식재료들에 비해 유통기한이 짧을 수밖에 없다.In the case of baby food, since most of them are packaged and shipped after being heated and cooked, the expiration date is inevitably shorter than that of non-heated and cooked ingredients.

따라서,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이유식들은 냉동된 상태로 유통되며, 가정에서도 이를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먹을 때마다 꺼내 데워서 먹이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most of the baby food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distributed in a frozen state, and it is common to store it in a freezer at home and then take it out and heat it up every time you eat it.

그러나, 냉동실의 경우 문을 자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이유식과 같은 식품을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보관했다가 취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reezer, since the door is not often opened, food such as baby food is stored for an excessively long time before being eaten.

냉동 상태에서도 곰팡이 및 세균이 충분히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으며, 성인들이 섭취하는 경우에도 건강에 심각한 위해가 될 수 있다.Since mold and bacteria can sufficiently propagate even in a frozen state, this can be fatal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weak immunity, and can be a serious health hazard even when consumed by adults.

한편, 육아를 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부모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으로, 동연령(또는 월령) 아이들에 비해 그들 아이의 식품 섭취량과 발육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학습능력 발달상태는 정상적인지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raising children, most parents are most curious about their children's food intake and development compared to children of the same age (or month), and whether their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is normal.

또한, 현재 아이의 발육 상태와 학습 발달상태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부모들은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편들은 일반적으로 지인 사이에서만 노하우로만 전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parents are making many efforts to raise the current developmental state and learning development state of their child to a higher level.

따라서, 빅데이터와 AI가 활성화되는 4차 산업 시대에 발맞춰 육아 정보 역시 다수의 신뢰성이 높은 누적적, 통계적 자료들에 기초하여 제공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곧 육아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Therefore, in line with the 4th industrial era in which big data and AI are activated, there is a need for child care information to be provided based on a large number of highly reliable cumulative and statistical data, which is a positive factor tha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child care information. effect can be invok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영유아 취식용 식품의 유통기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efficiently manage the shelf life of food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기를 이용한 태깅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목적이 있다.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niently manage the expiration date through a tagging system using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체발달 및 학습발달에 최적화된 육아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of providing childcare information optimized for physical development and learning development based on big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이용자 기기; 및 상기 다수의 이용자 기기에 의해 태킹되는 태그 모듈;을 이용하며, 영유아용 식품에 사용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식품명과 제조일을 포함하며 상기 태그 모듈과 연동되는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식품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취식 정보를 포함하는 수정된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정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단계;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이용자들이 제공한 상기 발달 정보가 나열되고, 상기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이용자들의 상기 식품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로, 상기 추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nagement server; and a plurality of user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a tag module tagged by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used for food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user device sends the name of the food and the date of manufacture to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food information that includes and interworks with the tag module; storing the food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modified food information including meal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updating the food information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modified by the management server; sending developm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management server, after listing the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ed by users, selecting users whose degree of develop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k, and then extrac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oo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s; and transmit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user devic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모듈은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구비되거나, 식품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탈착되는 밴드에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ag module may be provided in a container for storing food or may be provided in a band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ood container.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모듈 하나의 고유 코드에는 다수 개의 용기에 담긴 식품 정보가 연동 가능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food information contained in a plurality of containers may be linked to a unique code of one tag modul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모듈은 상기 이용자 기기에 의해 무선 태그되는 NFC 태그칩;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ag module may include an NFC tag chip wirelessly tagged by the user devic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키, 몸무게, 운동량, 심박수, 혈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 발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evelopment information may includ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ge or month, height, weight, amount of exercise,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암기력 지수, 이해력 지수, 언어 능력 지수, 공간 지각 능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발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evelopment information may include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ge or month, memorization ability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spatial perception ability index.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는 선별된 이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소정기간 동안 소정량 또는 소정횟수 이상 섭취하는 메뉴나 제품명이거나, 소정기간 동안 특정 메뉴나 특정 제품의 섭취량 또는 섭취횟수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the names of menus or products consum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at least some of the selected users, or the intake amount or frequency of intake of a specific menu or specific product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hav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는 이용자들이 제공한 발달 정보를 나열하여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하는 상위 랭크 이용자 솔팅 단계; 선별된 이용자들이 제공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나 제품명, 또는 특정 메뉴나 특정 제품의 섭취량 또는 섭취횟수를 포함하는 추천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기초 정보 중 상위 랭크를 선정하는 노이즈 제거 및 추천 정보 선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ep of extrac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es a high-rank user salting step of listing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ed by users and selecting users whose degree of develop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k; Extracting recommendation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menu or product name, or intake amount or frequency of intake of a specific menu or specific product,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lected users; and a noise removal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higher rank among the recommendation base informa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 랭크의 범위는 상기 이용자 기기를 통해서 또는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 기기를 통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rank range may be adjustable through the user device or a manager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가 진행되면 수행되며,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로 정보 제공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t is performed whe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velopment information progresses, and the step of transferring rewa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us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영유아 취식용 식품의 유통기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managing the shelf life of food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기를 이용한 태깅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veniently managing the expiration date through a tagging system using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체발달 및 학습발달에 최적화된 육아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hildcare information optimized for physical development and learning development based on big data.

도 1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상기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중 보관하는 식품 정보를 등록하고 서버를 통해 관리하는 플로우와, 이용자가 입력한 신체 발달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중 보관하는 식품 정보를 등록하고 서버를 통해 관리하는 플로우와, 이용자가 입력한 학습 발달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중 보관하는 식품 정보를 등록하고 서버를 통해 관리하는 플로우와, 이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추천 정보를 추출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이용자 기기에 제공되는 식품 정보 등록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이용자 기기에 제공되는 신체 발달 정보 입력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이용자 기기에 제공되는 신체 발달을 위한 추천 정보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이용자 기기에 제공되는 학습 발달 정보 입력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이용자 기기에 제공되는 학습 발달을 위한 추천 정보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a system implementing a smart food tacking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flow of registering stored food information and managing it through a server and a flow of providing recommended information based on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by a user among methods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will be.
4 shows a flow of registering stored food information and managing it through a server and a flow of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by a user among methods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will be.
FIG. 5 shows a flow of registering stored food information and managing it through a server and a flow of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on a user's field of interest, among methods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6 shows a flow of extrac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7 illustrates a food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provided to the user device.
8 illustrates a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page provided to a user device.
9 illustrates a page of recommended information for physical development provided to a user device.
10 shows a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page provided to the user device.
11 illustrates a page of recommended information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provided to a user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implementing a health car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a smart food tag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품 태킹 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는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a smart food tag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 가능하며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S),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임플란트 관리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용자 기기(A), 식품 용기에 부착되며 무선으로 상기 이용자 기기(A)에 고유 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B)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임플란트 관리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자 기기(C)를 포함할 수 있다.A management server (S) accessible to the network (W)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oring information, accessible to the network (W)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implant management server (S) A user device (A), a tag (B) attached to a food container and wirelessly providing unique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A), and a network (W) accessibl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mplant management server (S) and a manager device (C)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여기서, 이용자란 육아를 하는 부모 또는 보모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 기기를 통해 육아가 섭취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나 발달 정보가 입력될 수 다.Here, the user may be a parent or a nanny who raises children, and information on food consumed by the child or developmental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또한, 관리자란 상기 관리 서버(S)를 관리하는 주체로, 다양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에 업로드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is a subject who manages the management server (S), and may be a subject who uploads vario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S).

상기 네트워크(W)에는 상기 이용자 기기(A(1)~ A(n))와 상기 관리자 기기(C)가 필요에 따라 다수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user devices A(1) to A(n) and the manager device C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W as needed.

여기서, 상기 기기는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evice may mean that it includes an integral unit including a device that enables transmiss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즉, 인터넷에 통해 접속하기 위한 기기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t corresponds to a device for accessing through the Internet, and broadly includes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nd mouse for inputting various data, output devices such as a monitor and print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such as a modem or LAN, microprocessor or graphic card, and the like. It can be composed of the same processing device and a storage device loaded with various programs that operate or control them.

이러한 일 예로, 개인 통신 기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기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기기, 개인 정보 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기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이 있다.As an example of this,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personal digital cellular devices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devices, personal information devic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smart phones, telematic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and/or portable Internet terminals, personal computers, and notebook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별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individual components for realiz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recommending a meal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관리 서버(S)는 이용자 기기(A)와 관리자 기기(B)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91), 상기 이용자 기기(A)로부터 전달받은 식품 정보를 저장하는 식품 정보 저장부(92), 식품 정보를 전달받은 이용자에 의해 육성되는 자제의 개인정보 및 발달 정보를 저장하는 발달 정보 저장부(93), 연산부(94) 및, 이용자 기기(A)와 관리자 기기(B)에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S)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91)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A) and the manager device (B), and a food information storage unit (92)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A). ,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93, the calculation unit 94, and the user device A and the manager device B, which store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development information of children nurtured by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food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95 that does.

상기 연산부(94)는 발달 정보를 분석하고 후술할 추천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이다.The calculation unit 94 is a component that analyzes development information and extracts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의 플로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a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기기(A)에서 상기 관리 서버(S)로 이용자(영유아의 부모 또는 보모) 및 그 영유아의 개인 정보가 전송되는 개인 정보 등록 단계(S10)와, 상기 이용자 기기(A)를 통해 상기 태그 모듈(T)이 태깅되고 식품명과 제조일과 식품용량과 개수와 주요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모듈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parent or nanny of infants) and the infant from the user device (A) to the management server (S). In the step of registering personal information (S10), the tag module (T) is tagged through the user device (A), and includes food name, manufacturing date, food quantity, number, and main ingredients, and includes unique information of the tag module It may include inputting food information (S11).

이후, 상기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기기(A)에서 상기 관리 서버(S)로 식품명과 상기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S12)와,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상기 관리자 기기(C)로 상기 식품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S13) 및, 상기 관리 서버(S)에 상기 식품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method for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with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food name and the food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A) to the management server (S) (S12), and in the management server (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food information to the manager device (C) (S13) and storing the food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S) (S14).

다음으로, 상기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기기(A)를 통해 상기 저장된 식품이 취식되거나 소비되는 정보가 입력되는 식품 정보 수정 단계(S15)와, 상기 이용자 기기(A)에서 상기 관리 서버(S)로 취식 정보를 포함하는 수정된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S16),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수정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단계(S17),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A)로 상기 업데이트된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S18) 및,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A)로 저장된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을 포함하는 정보가 전달되는 기한 알림 단계(S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es a food information modification step (S15) of inputt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stored food is eaten or consumed through the user device (A), and the user device (A). ) in which modified food information including ea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S) (S16), and the food information is updated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modified in the management server (S) (S17) , Sending the updated food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S) to the user device (A) (S18), and expiration date or consumption of food stored in the user device (A) from the management server (S) A deadline notification step (S19) in which information including the deadline is transmitted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업데이트된 식품 정보에는 이용자의 자제가 취식한 식품의 양 및, 취식 횟수, 취식 주기, 메뉴 및 취식량 증가 추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dated foo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mount of food eaten by the user himself, the frequency of eating, the eating cycle, the menu, and trends in eating amount.

상기 S19단계는 실시간, 주기적, 기한 만료 소정 기간 전 수행될 수 있으며, 기한이 지난 후에도 일정 기간 이상 식품이 폐기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또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S19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periodically, or before a predetermined period of expiration, and may also be performed when food discard information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after the expiration date.

상술한 구성을 통해, 이용자가 이유식과 같은 영유아 식품을 신선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더불어 취식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건강 상태를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ser can freshly manage food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such as baby food, and can obtain data for estimating health conditions by monitoring the amount eat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은 연령 또는 월령, 키, 몸무게, 운동량, 심박수, 혈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 발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includes the steps of inputting physical development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ge or month's age, height, weight, amount of exercise,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S21). may further include.

이후, 상기 이용자 기기(A)에서 상기 관리 서버(S)로 상기 신체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S22) 및,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A)로 정보 제공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S23)가 더 진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tep (S22) of transmitting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A) to the management server (S), and rewa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S) to the user device (A) The delivery step (S23) may further proceed.

이는 식품 정보를 통해 영유아의 취식 정보를 획득하고 이후 영유아의 발달 정보를 추가 획득함으로써 둘의 상관관계를 추론할 수 있으며, 리워드는 이러한 데이터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유인이 될 수 있다.This can infer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by acquiring eating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food information and additionally acquiring developmental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after, and rewards can be an incentive to easily receive such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이용자들이 제공한 발달 정보가 나열되고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이용자들의 상기 식품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S24) 및, 상기 관리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A)로 상기 추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S25)가 더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lists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provided by users in the management server (S), selects users whose degree of develop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k, and then selects Extrac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oo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s (S24) and transmit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S) to the user device (A) (S25) may further proceed.

상기 추천 정보는 선별된 이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소정기간 동안 소정량 또는 소정횟수 이상 섭취하는 메뉴나 제품명이거나, 소정기간 동안 특정 메뉴나 특정 제품의 섭취량 또는 섭취횟수일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the names of menus or products that at least some of the selected users consume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the intake amount or frequency of intake of a specific menu or specific product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예를 들어, 신체 발달 중 키가 상위 20%이내인 영유아가 선별되고, 20%이내의 영유아의 식품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섭취하는 메뉴나 제품명 또는, 일주일 동안 특정 메뉴(ex, 소고기죽)의 섭취횟수나 섭취량 등이 추출되어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infants whose height is within the top 20% during physical development are selected, and food inform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within 20% of the infants and toddlers is selected, and the menu or product name that is consumed the most or a specific menu (ex, beef porridge) for a week is selected. The number of intakes or the amount of intake may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이용자가 제공한 빅데이터에 기반한 본 과정을 통해, 이용자들은 신체 발달에 보다 도움이 되는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based on the big data provided by users, users can organize a diet more conducive to physical development.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으로,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FIG. 4 is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recommending meal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void repetitive explana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자 기기(A)에서 상기 관리 서버(S)로 상기 학습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S32)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암기력 지수, 이해력 지수, 언어 능력 지수, 공간 지각 능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tep (S32) of transmitting the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A) to the management server (S) may proceed, and the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s age or month, memoriz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 a language proficiency index, and a spatial perception ability index.

이후, 추천 정보 추출 단계(S34)에서는 높은 학습 능력을 가진 상위권 영유아의 식품 정보가 가공되고 추출되어, 추천 정보 제공 단계(S35)를 통해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제공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34), the food information of high-ranking infants and toddlers with high learning ability may be processed and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device (A) through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5).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이다.Next, FIG. 5 is a method of providing an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자 기기(A)에서 입력되는 관심 분야 선택 단계(S41)와, 선택된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S)로 전달되는 단계 및, 관심 분야 추천 정보가 추출(S44)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selecting the field of interest input from the user device (A) (S41),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field of interest to the management server (S), and the extraction of recommended field of interest information ( S44) may be included.

이는 상기 신체 발달 정보나 학습 발달 정보 외에도, 면역/질병/패션 등 다양한 관심 정보가 선택되고 그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various information of interest, such as immunity/disease/fashion, to be selected in addition to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or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o be provided with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refor.

도 6은 상기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S14, S24, S34)의 세부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 detailed flow of the steps S14, S24, and S34 of extrac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상기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S14, S24, S34)는 이용자들이 제공한 발달 정보(or 관심 정보)를 나열하여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하는 상위 랭크 이용자 솔팅 단계(K1), 선별된 이용자들이 제공한 정보(식품)에 기초하여 메뉴나 제품명 또는 특정 메뉴나 특정 제품의 섭취량 또는 섭취횟수를 포함하는 추천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K2) 및, 상기 추천 기초 정보 중 상위 랭크를 선정하는 노이즈 제거 및 추천 정보 선정 단계(K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xtrac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S14, S24, S34) is a high-rank user salting step (K1) of listing development information (or interest information) provided by users to select users whose degree of develop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k; Based on the information (food) provided by the selected users, extracting basic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a menu or product or the amount or frequency of intake of a specific menu or specific product (K2), and the upper rank among the basic recommendation information A step of removing noise and selecting recommended information (K3) may be included.

상기 K3에서는 상위 3개 또는 5개의 또는 선택된 개수의 추천 정보만 추출하여 하위에 랭크된 노이즈 정보들이 제거될 수 있다.In the K3, only the top 3 or 5 pieces of recommendation information or the selected number of pieces of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nd noise information ranked at the bottom may be removed.

또한, 상기 상위 랭크의 범위는 상기 이용자 기기를 통해서 또는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 기기를 통해 조정 가능(예를 들어, 10%에서 20%로 변경)할 수 있어, 이용자와 관리자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추천 정보가 추출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nge of the upper rank can be adjusted (eg, changed from 10% to 20%) through the user device or through an administrator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user and the administrator can You can choose to extra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도 7은 식품 정보 입력 단계(S11)에 의해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제공되는 식품 정보 등록 페이지(11)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 food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11 provided to the user device A by the food information input step S11.

구체적으로, 식품 정보 등록 페이지(11)에는 식품명 입력 영역(111), 입력된 식품의 주재료가 입력되는 주재료 영역(112), 제조일이 입력되는 제조일 영역(113), 용기 1개 또는 패키지 1개당 용량이 입력되는 용량 영역(114), 용기 또는 패키지 개수가 입력되는 수량 영역(115) 및, 입력된 식품 정보를 전송하는 등록란과 전송하지 않는 취소란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결정 영역(116)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od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11 includes a food name input area 111, a main ingredient area 112 where the main ingredient of the input food is input, a manufacturing date area 113 where the manufacturing date is input, and the capacity per container or per package. The input capacity area 114, the quantity area 115 where the number of containers or packages is input, and the decision area 116 provided so that a registration column for transmitting the input food information and a cancellation column for not transmitting the entered food information can be selected. They may be arranged in a partitioned manner from each other.

다음으로, 도 8은 신체 발달 정보 입력 단계(S21)에 의해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제공되는 신체 발달 정보 입력 페이지(12)를 도시한 것이다.Next, FIG. 8 shows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page 12 provided to the user device A by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step S21.

상기 신체 발달 정보 입력 페이지(12)에는 월령 또는 연령을 입력하는 영역(121), 키 입력 영역(122), 몸무게 입력 영역(123), 운동량 영역(124), 심박수 영역(125) 및, 입력된 정보를 전송하는 등록란과 전송하지 않는 취소란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결정 영역(127)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page 12 includes an area for inputting age or age 121, a key input area 122, a weight input area 123, an amount of exercise area 124, a heart rate area 125, and input The decision area 127 provided so that a registration colum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 cancellation column for not transmitting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상기 운동량 영역(124)에는 하루 평균 이동량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운동량 영역(124)과 심박수 영역(125)에 입력되는 정보는 이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되고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An average daily movement amount may be input to the exercise amount area 124, and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exercise amount area 124 and heart rate area 125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or measured and automatically input through a wearable device It could be.

도 9는 신체 발달 정보를 통해 추출된 추천 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추천 정보 제공 단계(S25)에 따라,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제공되는 신체 발달을 위한 추천 정보 페이지(13)를 도시한 것이다.FIG. 9 shows a recommended information page 13 for physical development provided to the user device A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5 in which recommended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s provided.

상기 신체 발달을 위한 추천 정보 페이지(13)에는 랭킹에 따라 순차 나열된 식품 사진 영역(131)과, 상기 식품 사진 영역(131)에 나열된 식품에 대한 식품 정보가 나열된 식품 정보 영역(13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commended information page 13 for physical development is divided into a food photo area 131 sequentially listed according to ranking and a food information area 132 listing food information on foods listed in the food photo area 131. and can be placed.

상기 식품 정보 영역(132)에는 메뉴, 제품명, 평균 섭취 횟수, 평균 섭취량, 제조사, 주재료 등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od information area 132 may provide a menu, product name, average intake frequency, average intake amount, manufacturer, main ingredient, and the like.

다음으로, 도 10은 상기 학습 발달 정보 입력 단계(S31)에 의해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제공되는 신체 학습 정보 입력 페이지(14)를 도시한 것이다.Next, FIG. 10 shows the physical learning information input page 14 provided to the user device A by the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step S31.

상기 학습 발달 정보 입력 페이지(14)에는 월령 또는 연령을 입력하는 영역(141), 암기력 지수 입력 영역(142), 이해력 지수 입력 영역(143), 언어능력 지수 입력 영역(144), 공간 지각 능력 입력 영역(145) 및, 입력된 정보를 전송하는 등록란과 전송하지 않는 취소란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결정 영역(146)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nput page 14 includes an area for inputting age or age 141, a memorization index input area 142, a comprehension index input area 143, a language ability index input area 144, and a space perception ability input. The area 145 and the decision area 146 provided so that a registration column for transmitting input information and a cancellation column for not transmitting input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도 11은 학습 발달 정보를 통해 추출된 추천 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추천 정보 제공 단계(S35)에 따라, 상기 이용자 기기(A)에 제공되는 학습 발달을 위한 추천 정보 페이지(15)를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recommendation information page 15 for learning development provided to the user device A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5 in which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s provided.

마찬가지로, 상기 학습 발달을 위한 추천 정보 페이지(15)에는 랭킹에 따라 순차 나열된 식품 사진 영역(151)과, 상기 식품 사진 영역(151)에 나열된 식품에 대한 식품 정보가 나열된 식품 정보 영역(15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Similarly, the recommended information page 15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includes a food photo area 151 sequentially listed according to ranking and a food information area 152 listing food information on foods listed in the food photo area 151. They may be arranged in a partitioned manner from each other.

상기 식품 정보 영역(152)에는 메뉴, 제품명, 평균 섭취 횟수, 평균 섭취량, 제조사, 주재료 등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od information area 152 may provide a menu, product name, average intake frequency, average intake amount, manufacturer, main ingredient,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Even effect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additionally have other effects, and derive new effects that cannot be seen in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can do.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forms, and if implemented including the configura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이용자 기기 A 태그 모듈 B
관리자 기기 C 네트워크 N
관리 서버 S
User Device A Tag Module B
Administrator Device C Network N
management server S

Claims (9)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이용자 기기; 및 상기 다수의 이용자 기기에 의해 태킹되는 태그 모듈;을 이용하며, 영유아용 식품에 사용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식품명과 제조일을 포함하며 상기 태그 모듈과 연동되는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식품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취식 정보를 포함하는 수정된 식품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정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단계;
상기 이용자 기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이용자들이 제공한 상기 발달 정보가 나열되고, 상기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이용자들의 상기 식품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로, 상기 추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정보의 범위는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 기기를 통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 management server; and a plurality of user devices that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a tag module tagged by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in the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linked to developmental information used for food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ransmitting, from the user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food information including a food name and a manufacturing date and interlocking with the tag module;
storing the food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modified food information including meal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updating the food information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modified by the management server;
sending developm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management server, after listing the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ed by users, selecting users whose degree of develop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k, and then extrac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oo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s; and
Transmit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user device;
The range of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can be adjusted through an administrator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모듈은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구비되거나, 식품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탈착되는 밴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ag module
It is provided in a container for storing food or is provided in a band that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food container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모듈 하나의 고유 코드에는 다수 개의 용기에 담긴 식품 정보가 연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unique code of one tag module can be linked with food information contained in a plurality of containers.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모듈은
상기 이용자 기기에 의해 무선 태그되는 NFC 태그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tag module
Including; NFC tag chip wirelessly tagged by the user device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키, 몸무게, 운동량, 심박수, 혈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 발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velopment information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ge or monthly age, height, weight, amount of exercise,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는
연령 또는 월령, 암기력 지수, 이해력 지수, 언어 능력 지수, 공간 지각 능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발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learning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ge or month age, memoriz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spatial perception ability index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는
선별된 이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소정기간 동안 소정량 또는 소정횟수 이상 섭취하는 메뉴나 제품명이거나, 소정기간 동안 특정 메뉴나 특정 제품의 섭취량 또는 섭취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and 6,
The above recommended information
At least some of the selected users
The name of a menu or product consum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the intake amount or frequency of intake of a specific menu or specific produc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추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는
이용자들이 제공한 발달 정보를 나열하여 발달 정도가 소정의 순위 내에 있는 이용자들을 선별하는 상위 랭크 이용자 솔팅 단계;
선별된 이용자들이 제공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나 제품명, 또는 특정 메뉴나 특정 제품의 섭취량 또는 섭취횟수를 포함하는 추천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기초 정보 중 상위 랭크를 선정하는 노이즈 제거 및 추천 정보 선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age in which recommend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is
A high-rank user salting step of listing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ed by users and selecting users whose development degre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k;
Extracting recommendation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menu or product name, or intake amount or frequency of intake of a specific menu or specific product,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lected users; and
Noise removal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higher rank among the recommendation basic information; including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가 진행되면 수행되며,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기기로 정보 제공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정보와 연계된 영유아 식단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t is performed whe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velopment information proceeds, and the step of transferring rewa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user device; further comprising
Method for providing infant meal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evelopme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72207A 2021-06-03 2021-06-03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KR202201641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07A KR20220164116A (en) 2021-06-03 2021-06-03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07A KR20220164116A (en) 2021-06-03 2021-06-03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116A true KR20220164116A (en) 2022-12-13

Family

ID=8443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207A KR20220164116A (en) 2021-06-03 2021-06-03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11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6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c adjustment of nutritional intake
US10083475B1 (en) SimpleNutrition nutritional management system
Cosper et al. Food choices of women. Personal, attitudinal, and motivational factors.
CN106161591A (en) A kind of Cloud Server, intelligent refrigerator and di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220230730A1 (en) Recip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ackson et al. Junk food consumption and child nutrition. Nutritional anthropological analysis
KR20130102239A (en) Healthy food menu extraction and providing system
Anderson A survey of food recommenders
KR102004438B1 (e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based on collecting user’s health habit information
Evans et al. Social-psychologic perspective in motivating changes in eating behavior.
Prasetyo et al. Foodbot: A goal-oriented just-in-time healthy eating interventions chatbot
M. Silva et al. Investigating preferred food description practices in digital food journaling
CN106202855A (en) It is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providing qualitative data to collect
KR102267507B1 (en) A smart food tagging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220164116A (en) A A method of providing a meal recommendation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linked with developmental information
KR20230010147A (en) A Method of providing meal information sharing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et management function
JP2002032487A (en) Diet assistance system
CN106777888A (en) The accurat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of a kind of user's growth data
KR20220060681A (en) A Baby food container management band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using the same
KR20210052123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food information service and server using the same
Mazhaeva et al. Some aspects of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child nutrition in a number of regions Russia.
Díaz-Hellín et al. NFC as a childhood obesity treatment tool
KR20230000159U (en) Smart food tag for sticker-type baby food management
KR20230000156U (en) Smart food tag for band-type baby food management
KR20230000157U (en) Smart food tag for cap-type baby foo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