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010A -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010A
KR20220164010A KR1020227038223A KR20227038223A KR20220164010A KR 20220164010 A KR20220164010 A KR 20220164010A KR 1020227038223 A KR1020227038223 A KR 1020227038223A KR 20227038223 A KR20227038223 A KR 20227038223A KR 20220164010 A KR20220164010 A KR 2022016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s
mobile device
user
screen
sub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클라우디아 에이. 델라니
브후미카 치하브라
엘시에 디 라 가르자 빌라레알
매디슨 이. 웨일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6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0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정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환경 설정은 GPS에 의해 결정된 현재 위치, 현재 날짜 및 시간, 현재 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편리하게 활성화할 수 있도록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아이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해 활성화들의 양들 및/또는 길이들에 기초하여 세트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콘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인자만큼 확대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applications for a mobile device, wherein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set of applications, is described. The mobile device may identify a specific application that a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likely to activate based on specific environment settings. Preferences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determined by GPS, the current date and time, the current day of the week, and the like. The mobile device may display graphic elements (eg, icon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pplications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ctivate the identified applications. In some embodiments, the mobile device may sort individual applications of the set based on amounts and/or lengths of activations to identify those applications. The mobile device may enlarge the icons by a predetermined factor before displaying them on the screen.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조직화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 REFERENCES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20년 6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6/898,29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16/898,292, filed on June 10, 2020,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조직화(organizing)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mobile devices, and more specifically to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셀룰러 폰)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를 돕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사용자은 디폴트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없이 나타나는 어플리케이션의 디폴트 화면)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편리한 화면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이벤트 후, 예를 들어 운영 체제 업데이트 후, 새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후에 그의 디폴트 위치로 다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폴트 위치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찾기 위해 여러 화면들을 검색해야 할 수 있으며, 반복적이고 지루한 노력을 해야 하며, 이는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재배치하기 위해 시각적, 운동적 및/또는 기타 신체적 문제가 있는 사용자에게 특히 어려울 수 있는 작업이다.Mobile devices (eg, cellular phones) are widely deployed to assist users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A user may select an icon for a specific application on a convenient screen so as to easily access the applicat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a default location (eg, a default screen of an application that appears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However, the icon may be repositioned to its default location after certain events to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after an operating system update, after downloading a new application. This default location may require the user to search through multiple screens to find the icon, a repetitive and tedious effort, which may involve visual, kinematic and/or other physical challenges to relocate the selected application to the user's desired location. This can be a particularly difficult task for users with

도 1은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조직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조직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nvironments for coordinat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2 depicts an example screen of a mobile device supporting application orga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supporting application orga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4 and 5 are flow diagrams of a method of organizing applications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셀룰러 폰)는 다양한 비즈니스 및/또는 개인 설정에서 사용자를 지원하는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편재되어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아이콘들)로 표현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그래픽 요소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여러 화면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정 없이 나타나는 그들의 디폴트 위치들)에 걸쳐 분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화면들을 거쳐 활성화하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여러 아이콘들(예를 들어, 유용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그래픽 요소들)을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편리한 화면으로 이동시켜 아이콘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그들의 디폴트 위치에 특정 아이콘을 찾는 것이 직관적이지 않거나 간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각적 및/또는 신체적 문제가 있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화면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다.Mobile devices (eg, cellular phones) are ubiquitous in modern lifestyles supporting users in a variety of business and/or personal settings. Mobile devices typically include many applications represented by graphical elements (eg, icons) configured to activate corresponding applications when selected by a user. Since these graphical elements may be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creens of the mobile device (eg, their default locations where they appear without user intervention), the user must search through the screens for the particular application to activat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various icons (eg, graphic elements for useful applications) of useful applications and move them to one or more convenient screens so that the icons can be easily used. However, in some cases locating certain icons in their default locations may not be intuitive or straightforward, and navigating to screens convenient for users with visual and/or physical problems may be time consuming or inefficient, for example. .

더욱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이콘들의 집합 및 배열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이벤트 후-예를 들어, 운영 체제 업데이트가 수행된 후, 하나 이상의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및/또는 설치된 후에 손실(그렇지 않으면 방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상황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장에 있는지 집에 있는지, 현재 시간 및/또는 날짜가 무엇인지 등에 따라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보다 더 유용한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특정 환경 설정(예를 들어, 화요일 오전 직장, 토요일 오후 도서관 등) 및/또는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한 이력(또는 패턴)을 기초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아이콘들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조직화 및/또는 표시할 수 있다.Moreover, the user's preferred set and arrangement of icons may be lost (otherwise disturbed) after certain events to the mobile device - for example, after an operating system update is performed, after one or more new applications are downloaded and/or installed. can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 user may find certain applications more useful than others depending on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whether the user is at work or at home, what the current time and/or date is, and the like. As such, a set of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based on a specific environment setting for the mobile device (eg, work on Tuesday morning, library on Saturday afternoon, etc.) and/or a history (or pattern) of the user accessing certain applications over other applications. It would be advantageous for a user of a mobile device to be able to identify a subset of applications that the user is likely to activate from. The mobile device may then organize and/or display icons corresponding to the subset of applications on the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user activates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ocate the icons.

이와 관련하여, 본 기술의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환경 설정(예를 들어, 사용자의 환경)을 결정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환경 설정은 현재 지리적 위치(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합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에 의해 결정된 위치), 현재 날짜 및/또는 시간, 현재 요일(예를 들어,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된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직장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직장을 포함하는 제1 영역(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1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직장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들에 액세스하는 빈도들(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들의 양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는 기간들(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유지된 활성화들의 길이들), 또는 둘 모두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정렬할 수 있다.In this rega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facilitate a mobile device to determine an environment setting in which the mobile device operates (eg, a user's environment). These preferences may includ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eg, location determ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oupled with a mobile device), current date and/or time, current day of the week (eg, Monday through Sunday), or Combinations of these may be included. The mobile device may identify a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from the set of applications residing on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environment setting.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may identify a calendar application, email application, etc. based on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at work. In some cases, the mobile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at work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first area that includes the user's workplace (eg, a first reference lo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In some cases, the mobile device identifies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as the frequencies with which the applications are accessed (eg, amounts of activations by the user over a predetermined duration), the length of time the user uses the applications. (eg, lengths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or both.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 상에, 그것이 식별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의 제1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화면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확대된 아이콘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1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미리 결정된 인자만큼 확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예를 들어, 확대, 수정)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아이콘이 표시된 후 확대되는 줌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인자는 사용자의 입력 및/또는 제1 화면에 맞도록 확대된 아이콘들의 양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가능성이 없다고 결정한 어플리케이션들의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화면(예를 들어, 제2 화면, 제3 화면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then display, on a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 first group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it has identified. The first screen may correspond to a screen displayed when the user activates the mobile device. In some cases, the mobile device may enlarge at least one icon of the first group by a predetermined factor before displaying the enlarged icon on the first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enlarged icon. 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the user with a zoom function that enlarges the icon after it is displayed if the user selects to resize (eg, enlarge, modify) the icon. This predetermined factor may be based on user input and/or the amount of icons enlarged to fit the primary screen. In some cases, the mobile device may move one or more icons of applications that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are unlikely to be activated by a user to another screen (eg, a second screen, a third screen, etc.) of the mobile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환경 설정의 변화-예를 들어, GPS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직장을 떠나 헬스 클럽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헬스 클럽을 포함하는 제2 영역(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2 기준 위치)에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2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가 제2 영역에 있었을 때 사용자가 활성화했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헬스 클럽에 접근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기초로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운동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 달리기 어플리케이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콘들의 제1 그룹 대신에 사용자를 위해 제1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의 제2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아이콘들의 제1 그룹들을 제2 화면으로 이동).In some embodiments, a mobile device may recognize a user leaving work and accessing a health club based on a change in environment settings—eg, GPS.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second area that includes a health club (eg, a second reference lo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can identify a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from the set of applications. In some cases, the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may include applications that the user may have activated when the user was in the second area.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can provide one or more applications that the user is likely to activate based on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accessing a health club - for example, an exercise application, an application that plays the user's favorite music, a running application. etc. can be identified. The mobile device may then display a second group of icons corresponding to a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on the first screen for the user instead of the first group of icons (eg, displaying the first groups of icons). Go to the second screen).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조하는 알고리즘 및/또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상이한 환경 설정들을 기반으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는 사용자 패턴을 학습하는 알고리즘 및/또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인공 지능(AI), 머신 러닝 및/또는 신경망을 활용한 딥 러닝 등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음성 커맨드-예를 들어 "나는 체육관에 갈 것이다. 내 체육관 앱을 보여줘"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제1 화면에 배열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환경 설정들 및/또는 그 변경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및/또는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표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mobile device may include an algorithm and/or component that assists the mobile device in identifying applications that a user is likely to activate (eg, learning a user pattern of using different applications based on different environment settings). algorithms and/or processors that perform the algorithms). These algorithms may b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machine learning and/or deep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In some embodiments, the mobile device may arrange and display icons of applications preferred by the user on the first screen in response to a user's voice command, for example, "I'm going to the gym. Show me my gym app." . In some embodiments, a user may disable identification of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and/or display of an icon of an identified application based on determining various environment settings and/or changes thereof.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 설정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화면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어플리케이션 조직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가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Various environment settings for organizing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are illustrated in FIG. 1 . An exemplary screen of a mobile device displaying icons of specific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obile device supporting application organization is provided with reference to FIG. 3 .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rganizing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1은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애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 설정을 도시하는 개략도(100)이다. 개략도(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여러 지리적 영역들(115)(개별적으로 115a 내지 115c로 식별됨)을 포함한다. 개별 영역들(115)은 대응하는 기준 위치들(120)(120a 내지 120c로도 개별적으로 식별됨) 뿐만 아니라 반경 거리들(125)(125a 내지 125c로도 개별적으로 식별됨)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100 illustrating various configuration settings for coordinating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Schematic diagram 100 depicts a user's mobile device 110 and several geographic areas 115 (individually denoted 115a-115c) in which a mobile device 110 (eg, a user of mobile device 110) may be located. identified). The individual regions 115 may include corresponding reference locations 120 (also individually identified as 120a to 120c) as well as radial distances 125 (also individually identified as 125a to 125c).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를 저장(또는 설치)할 수 있다. 세트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은 개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요소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요소를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다. 개별 그래픽 요소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화면 상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차지하는 대략 동일한 크기(예를 들어, 디폴트 크기)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제1 화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들을 갖는 다중 화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또는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관련 정보, 예를 들어 특히 사용자가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얼마나 자주 활성화(예를 들어, 액세스)하는지(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의 활성화 수량, 사용 빈도), 사용자가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는 기간(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지 관리하는 활성화 기간), 사용자가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 그러한 활성화의 날짜와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user may store (or install) a set of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 110 . Individual applications of the set may individually correspond to graphical elements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the individual applications. These graphic elements may be referred to as icons. Individual graphic elements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size (eg, a default size) occupying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of mobile device 110 . The mobile device 1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multiple screens having one or more icons including a first screen that appears when a user activates the mobile device 110 . Mobile device 110 may als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relat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s and/or set of applications, such as, among other things, how often the user activates (eg, accesses) individual applications (eg, schedules quantity of activations over a period of time, frequency of use), length of time a user uses individual applications (eg, period of activations that a user maintains), location of mobile device 110 when a user activates individual applications, such activ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monitor and store the date and time of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그의 현재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GPS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들을 저장할 수 있다. 기준 위치들은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들(예를 들어, 식료품점, 쇼핑몰, 도서관, 헬스클럽 등) 및/또는 사용자가 장기간 머무르는 경향이 있는 장소들(예를 들어, 집, 직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기준 위치들을 기준으로 자신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거리 추정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리적 영역들(115) 중 하나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자신의 현재 위치와 기준 위치(120a)(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 사이의 거리가 반경 거리(125a)보다 작다고 추정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영역(115a)에 있다고-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현재 위치와 기준 위치(120b)(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장) 사이의 거리가 반경 거리(125b)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영역(115b)에 있다고-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장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Mobile device 110 may be coupled with GPS to determine its current geographic location. A user may also store one or more reference locations on mobile device 110 . Reference locations include places the user visits frequently (eg, grocery store, shopping mall, library, gym, etc.) and/or places the user tends to stay for long periods of time (eg, home, work, etc.) can do.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110 may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its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reference locations. Further, mobile device 110 can determine whether mobile device 110 (eg, user) is within one of geographic areas 115 based on the distance estimate. For example, if the mobile device 110 estim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its current location and the reference location 120a (eg, the user's home) is smaller than the radial distance 125a, the mobile device ( 110 is in area 115a—eg, the user is at home. Similarly, mobile device 110 indicates that mobile device 110 is in area 115b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reference location 120b (eg, the user's workplace) is less than radial distance 125b. - For example, it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at work.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동작하는 환경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환경 설정은 GPS에 의해 결정된 현재 지리적 위치(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기준 위치들에 대한 영역들), 현재 날짜 및 시간(예를 들어, 2020년 1월 30일 오후 8시), 현재 요일(예를 들어, 목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예를 들어, 설치되거나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특정 환경 설정-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2020년 1월 30일 목요일 오후 8시에 영역(115a)(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 또는 사용자 집 근처)에 있음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공되는(제1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편리하게 액세스(또는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제1 화면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셋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110 can determine the environment settings in which the mobile device 110 operates. Preferences include th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determined by GPS (and/or areas for reference locations stored in the mobile device 110), the current date and time (eg, January 30, 2020 at 8pm), It may include the current day of the week (eg, Thursday),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mobile device 110 may determine, from a set of applications resident on the mobile device (eg, installed or stored), a particular environment setting—eg, mobile device 110 is configured on Thursday, January 30, 2020. A subset of applications may be identified based on determining that 8:00 PM is in area 115a (eg, at or near the user's home). Then, the mobile device 110 displays icons of a subset of applications on the first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ccess (or activate) one or more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mobile device 110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can display them.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활성화의 양,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활성화의 길이, 또는 둘 모두에 기초하여 세트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속시간-예를 들어, 지난 주, 월, 분기, 연도 등 동안 사용자가 활성화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은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한 사용자의 이력(history)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결정할 수 있는 지속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mobile device 110 may classify the individual applications in the set based on the amount of activation made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the length of activation maintained by the user, or both. In some cases, the predetermined duration is based on input provided to mobile device 110 by a user. That is, the mobile device 110 may identify applications activated by the user during the duration designated by the user, for example, last week, month, quarter, year, and the like. In other cases, the predetermined duration may relate to a duration that mobile device 110 may determine is appropriate for use, for example based on a user's history of activating applications.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할 때 활성화들의 길이들과 비교할 때 활성화들의 양들에 상이한 가중치(weight)를 할당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활성화들의 길이들로부터 유휴 기간(idle time period)들을 제외할 수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에 어플리케이션을 유휴 상태로 남겨둔 기간을 제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먼저 활성화들의 양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한 다음 활성화들의 길이들에 따라 분류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분류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현재 지리적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 기준 위치(120a))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 중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특정 영역(예를 들어, 영역(115a) 내)에 있을 때 활성화된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오후 7시에서 오후 9시 사이에 활성화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시간 윈도우를 사용(예를 들어,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2시간 윈도우)하여 현재 시간 및/또는 요일(예를 들어, 오후 8시 및/또는 목요일)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전에 활성화한 시간과 비교하는 것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mobile device 110 may assign different weights to amounts of activations when compared to lengths of activations when classifying individual applications. In some cases, mobile device 110 may exclude idle time periods from lengths of activations—eg, a period in which a user leaves an application idle after activating the application. hav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mobile device 110 may first sort applications according to amounts of activations and then according to lengths of activations, or vice versa. Moreover, the mobile device 110 may select a specific area (eg, an area (eg, an area ( 115a) may prioritize certain applications that are active when in).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mobile device 110 may use, for example, a window of time (eg, 2 Prioritize one or more applications from among a set of applications based on comparing the current time and/or day of the week (e.g., 8:00 PM and/or Thursday) with a time window) to the time at which the user previously activated the application. can get angry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포함할 특정 양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의 수량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는 네 개(4), 여섯 개(6), 여덟 개(8) 또는 원하는 수량과 같은 수량을 지정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단일 화면(예를 들어, 제1 화면) 내에서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들의 최대 수량에 기초하여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제1 화면 상에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아이콘들)의 그룹을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그룹의 각 그래픽 요소는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특정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다양한 환경 설정에 기초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categorizing the individual applications, mobile device 110 may select a particular amount of applications to include in the subset of applications. In some cases, the quantity of applications in the subset may be determined by user input—eg, the user may specify a quantity such as four (4), six (6), eight (8), or a desired quantity. can be specified. In another case, the mobile device 110 may determine the quantity based on the maximum quantity of icons that may be displayed within a single screen (eg, the first screen). Then, the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a group of graphic elements (eg, icons) corresponding to the subset of applications on the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10, where a group of Each graphical element allows access to one of a subset of applications. As described herein, mobile device 110 identifies a subset of applications based on a particular environment setting. Accordingly, the subset of applications may include different applications based on various environmental settings of the mobile device 110 .

일부 실시예에서,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양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미리 결정된 양과 다를 때(예를 들어, 더 적거나 더 많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서브세트에 포함할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해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반경 거리, 시간 윈도우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어플리케이션의 서브세트에 포함(또는 제외)할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amount of the applications in the subset differs (eg, is less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at the mobile device 110 is configured to identify, the mobile device 110 determines the mobile device 110 . ) may change one or more parameters utilized to identify applications to include in the subset—eg, radial distance, time window, and the like. Changing the parameters may be useful for identifying additional applications (or removing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110 to include (or exclude) from a subset of applications.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예를 들어, 제1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4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기준 위치(120a)로부터 제1 반경 거리를 사용하여 3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기준 위치(120a)로부터 반경 거리를 제1 반경 거리보다 큰 제2 반경 거리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반경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예를 들어, 기준 위치로부터 더 넓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제2 반경 거리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포함할 더 많은 양의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4개 이상)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식별하도록 구성된 미리 결정된 양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해 시간 윈도우를 변경(예를 들어, 증가)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제1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포함할 미리 결정된 수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식별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경 거리(및/또는 시간 윈도우)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110 is configured to identify four or more applications, for example, to display on a first screen, the mobile device 110 uses the first radial distance from the reference location 120a. Three applications can be identified. As such, the mobile device 110 may increase the radial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120a to a second radial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radial distance. By increasing the radial distance (eg, by using the second radial distance to cover a larger area from the reference location), the mobile device 110 has a greater amount of applications to include in the subset of applications (eg, For example, 4 or more) can be identifie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mobile device 110 may change (eg, increase) the time window to identify more applications to satisfy a predetermined amount that mobile device 110 is configured to identify. Similarly, mobile device 110 may, for example, use an application identified by mobile device 110 to satisfy a predetermined quantity that mobile device 110 will include in a subset of applications for display on a first screen. The radial distance (and/or time window) may be reduced to reduce the quantity of s.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특정 환경 설정 하에서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알고리즘 및/또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또는 컴포넌트)은 인공 지능, 머신 러닝 및/또는 신경망을 활용한 딥 러닝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또는 컴포넌트)은 상이한 환경 설정들을 기반으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예를 들어, 활성화, 액세스)하는 사용자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알고리즘은 성공률(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화면에 표시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가 활성화) 및/또는 실패율(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화면에 표시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의 활성화를 사용자가 생략),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화면에 표시할 서브세트에 포함할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및/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우선순위들)-예를 들어, 반경 거리, 시간 윈도우, 활성화 빈도, 활성화 길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특정 영역에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 활성화 시간 및/또는 요일 등을 추적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mobile device 110 includes algorithms and/or components (eg, processors) that facilitate mobile device 110 to identify applications that a user is likely to activate under certain environmental settings. can do. Such algorithms (or components) may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or deep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For example, an algorithm (or component) may learn user patterns of using (eg, activating, accessing) different applications based on different environment setting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algorithm may determine a success rate (eg, the user activates specific applications that the mobile device 110 displays on the first screen) and/or a failure rate (eg, the mobile device 110 displays the first screen). activation of specific application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user), as well as parameters used to identify applications to be included in the subset that the mobile device 110 will display on the first screen (and/or identifying specific applications) priorities used to determine)—eg, radial distance, time window, activation frequency, activation length, whether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when the mobile device 110 is in a specific area, activation time and/or day of the week, etc. can be traced

또한, 알고리즘(또는 컴포넌트)은 성공률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환경 설정들에서 상이한 매개변수들 및/또는 우선순위들이 더(또는 덜) 유용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또는 컴포넌트)은 특정 영역에 대한 성공률을 높이는 데 시간 윈도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는 것보다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높은 성공률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반경 거리, 사용할 반경 거리를 변경할 때 사용할 증분 거리 등)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알고리즘(또는 프로세서)은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포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더 지능적인 식별을 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도울 수 있다.Also, an algorithm (or component) may determine that different parameters and/or priorities may be more (or less) useful in different environment settings to improve the success rate. For example, an algorithm (or component) may use information related to geographic location (e.g., a high-success application) rather than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s usage patterns based on a time window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for a particular area. You may decide that it is efficient to utilize a radial distance to use for identification, an incremental distance to use when changing the radial distance to use, etc.). In this way, an algorithm (or processor) may be used to make a more intelligent identification of applications that mobile device 110 may include in a subset of applications for display on the primary screen by mobile device 110. Device 110 can be assisted.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환경 설정들의 하나 이상의 변경들-예를 들어, 하루 중 시간이 오후 6시에서 오전 8시로 변경, 사용자가 퇴근을 알리는 GPS(예를 들어, 기준 위치 120b) 및/또는 식료품점(예를 들어, 기준 위치(120c))에 접근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제1 화면이 새로운 환경 설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환경 설정들의 변경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다른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mobile device 110 may perform one or more changes in environmental settings—eg, time of day change from 6:00 PM to 8:00 AM, GPS alerting user to leave work (eg, reference location 120b ) and/or access to a grocery store (eg, reference location 120c). The mobile device 110 may identify a different subset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change in environment settings such that the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subset of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new environment setting. can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GPS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위치에 있거나 이에 접근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는 그의/그녀의 작업장(예를 들어, 기준 위치(120b) 또는 기준 위치(120b)의 부근)에 접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로부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를 식별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제1 기준 위치(예를 들어, 기준 위치(120b), 사용자의 작업장)로부터 제1 반경 거리(예를 들어, 반경 거리(125b)) 내의 제1 영역(예를 들어, 영역(115b))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제1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는 현재 시간(예를 들어, 오전 8시)을 포함하는 제1 시간 윈도우(예를 들어, 한(1) 시간 윈도우) 내에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다.As an example, the mobile device 110 may determine based on GPS that the mobile device 110 is in or approaching a first location—eg, a user of the mobile device 110 is at his/her workplace (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to approach the reference position 120b or near the reference position 120b. Mobile device 110 can identify a first set of applications from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on mobile device 110 , where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allows mobile device 110 to identify a first set of applications stored on mobile device 110 . in a first area (eg, area 115b) within a first radial distance (eg, radial distance 125b) from one reference position (eg, reference position 120b, the user's workplace) when activated by the user. Additionally, mobile device 110 can identify a first subset of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where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is a first window of time that includes the current time (eg, 8:00 AM). was activated by the user within (eg, one (1) time window).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활성화들의 양들(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활성화들의 길이들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직장에서 회의를 관리하기 위한 비즈니스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urther, mobile device 110 may determine based on amounts of activations performed by the user (eg,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in some cases) and/or lengths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applications may be selected from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eg, a business email application for managing meetings at work, a calendar application, etc.). Thereafter, the mobile device 110 displays at least one graphic element (eg, icons for an email application and/or a calendar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application on the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can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GPS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2 위치에 있거나 이에 접근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식료품점에 있거나 접근한다고(예를 들어, 기준 위치(120c) 또는 기준 위치(120c)의 부근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를 식별할 수 있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제2 기준 위치(예를 들어, 기준 위치(120c), 식료품점)로부터 제2 반경 거리(예를 들어, 반경 거리(125c)) 내의 제2 영역(예를 들어, 영역(115c))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제2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는 현재 시간(예를 들어, 오후 6시)을 포함하는 제2 시간 윈도우(예를 들어, 두 (2)시간 윈도우) 내에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다.Mobile device 110 may then determine based on the GPS that mobile device 110 is at or approaching a second location—eg, that a user of mobile device 110 is at or approaching a grocery store. (eg, in the vicinity of the reference position 120c or the reference position 120c). Mobile device 110 can identify a second set of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re the second set of applications allows mobile device 110 to identify a second reference location stored on mobile device 110 (eg, a reference location). (120c), activated by the user when in a second area (eg, area 115c) within a second radial distance (eg, radial distance 125c) from a grocery store. Additionally, mobile device 110 can identify a second subset of the second set of applications, where the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includes a second time window that includes the current time (eg, 6:00 PM). (e.g., within a two (2) hour window).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행한 활성화들의 양들 및/또는 사용자가 유지하는 활성화들의 길이들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쿠폰 어플리케이션, 식료품 쇼핑 목록을 위한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쿠폰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직장(예를 들어, 영역(115b))에 있을 때 제1 화면이 표시하는 데 사용된 그래픽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제2 화면으로 이동했을 수 있다.Mobile device 110 may also select one or more applications (eg, coupons) from the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lengths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and/or amounts of activations perform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pplication, a notepad application for grocery shopping lists). Thereafter, the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one or more graphic elements (eg, icons for a coupon application and/or a memo pad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r more applications on the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 In this regard, the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one or more of the graphic elements used to be displayed by the first screen when the user is at his or her workplace (eg, area 115b). ) may have moved to the second screen.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제1 화면이 상이한 환경 설정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환경 설정들의 변경들(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일하러 온 다음 저녁에 퇴근 후 식료품점에 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In this way, mobile device 110 allows changes in environment settings (e.g., when a user changes) such that a first screen of mobile device 110 can display icons of different subsets of applications related to different environment settings. (come to work in the morning and then to the grocery store after work in the evening) to identify different subsets of applications.

전술한 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예를 들어,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GPS 위치, 그 후 사용자가 GPS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있을 때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했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특정 시간 윈도우 내에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했는지 여부 등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시퀀스(예를 들어, 우선순위 방식)의 특정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도록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파라미터가 제1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들을 정제(또는 식별)하기 위해 상이한 시퀀스(예를 들어, 상이한 우선순위 방식)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에 관계없이 활성화들의 빈도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상이한 환경 설정들에서 다를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는 성공률에 기초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는 것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아이콘, 제1 화면 상에 표시할 그래픽 요소)을 식별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된 AI 알고리즘 및/또는 AI 컴포넌트를 활용할 수 있다.In the foregoing examples, the mobile device 110 determines, for example, first the GPS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110, then whether or not the user activated the application when the user is in an area that includes the GPS location, and the user at a specific time. While it has been described to identify applications based on specific parameters in a specific sequence (e.g., in a priority manner) by using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has been activated within a window, etc., in other embodiments, additional and/or alternative parameters may be provided. It can be used in different sequences (eg, different priority schemes) to refine (or identify) applications to display on one screen. For example, mobile device 110 may classify a plurality of distinct applications based on frequencies of activations regardless of the current location of mobile device 110 . Thereafter, the mobile device 110 may select applications from a list of classified application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110 .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110 determines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various applications, for example, based on the success rate that the mobile device 110 accumulates over time, which may be different in different environmental settings. Based on learning patterns, one may utilize the AI algorithms and/or AI components described above to identify applications (eg, icons, graphical elements to display on the first screen).

도 2는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조직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예시적인 화면들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화면들(205, 210a, 210b, 215)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제1 화면, 즉,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2 illustrates example screens of a mobile device 110 supporting application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Exemplary screens 205, 210a, 210b, and 215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at is,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user activates the mobile device 110. .

화면(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그래픽 요소들(220)(220a 내지 220f로서 개별적으로 식별됨)의 그룹을 표시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래픽 요소들(2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환경 설정을 기초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식별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특정 환경 설정,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2020년 1월 30일 목요일 오후 8시에 영역(115a)(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6개의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APP1 내지 APP6)을 식별할 수 있다.Screen 205 shows that mobile device 110 can display a group of graphical elements 220 (individually identified as 220a-220f). Graphical elements 220 are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corresponding applications identified by mobile device 110 from a set of applications stored on mobile device 110 based on the preferenc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For example, mobile device 110 may set a specific environment setting, eg, mobile device 110 is at area 115a (eg, the user's home) on Thursday, January 30, 2020 at 8:00 PM. Based on this, six applications (eg, APP1 to APP6) may be identified.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미리 결정된 위치들에 그래픽 요소들(220을 위치시키며-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근무일 저녁(예를 들어, 목요일)에 집에 있을 때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제1 아이콘(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220a))을 화면(205)의 상단 좌측 코너를 향해 위치시킨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식별한 6개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6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6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가장 낮은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제6 아이콘(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220f))을 화면(205)의 우측 하단 코너를 향해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이러한 위치지정은 사용자가 제공한 입력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그래픽 요소들(220)는 디폴트 크기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obile device 110 positions the graphic elements 220 at predetermined locations—eg, the mobile device 110 allows the firs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con to be displayed by the user in the evening (on a work day). Position a first icon (eg, graphical element 220a) towards the top left corner of screen 205 if it determines that this is the application the user is most likely to activate when at home on Thursday, for example. Similarly, when the mobile device 110 determines that the sixth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ixth icon among the six applications identified by the mobile device 110 is the application with the lowest possibility of being activated by the user, the sixth icon (e.g., graphic element 220f)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lower right corner of screen 205. In some cases, this positioning may be based on user-provided input. In some cases, Graphical elements 220 may be of a default size.

화면(210a)은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1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그룹의 그래픽 요소들(220)을 미리 결정된 인자만큼 확대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일부 경우에,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225)(225a 내지 225f로도 개별적으로 식별됨)이 디폴트 크기-예를 들어,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식별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그래픽 요소의 디폴트 크기, 디폴트 크기로 화면(205)에 표시된 그래픽 요소(220)의 크기보다 크기가 더 크다. 일부 경우에, 미리 결정된 인자는 제1 화면에 맞는 그룹의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의 양-예를 들어, 화면(2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6개의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225)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미리 결정된 인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공한 입력에 기초할 수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력이 약하고 그래픽 요소들이 디폴트 크기보다 큰 크기로 표시되기를 원할 수 있다.The screen 210a shows that the mobile device 110 can enlarge the group of graphic elements 220 by a predetermined factor before displaying them on the first screen. In some cases, the enlarged graphical elements 225 (also individually identified as 225a through 225f) are set to a default size—eg, the default size of a graphical element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that has not been identified as being likely to be activated by a user. , which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raphic element 220 displayed on the screen 205 as a default size. In some cases, the predetermined factor may be based on the amount of enlarged graphic elements of the group that fit on the first screen - for example, six enlarged graphic elements 225 as shown on screen 210a. have. In some cases, the predetermined factor may be based on input provid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eg, the user may have low eyesight and may want graphical elements to be displayed at a larger than default size.

화면(210a)은 화면(205)의 그래픽 요소들(220)과 비교하여 모든 그래픽 요소들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요소(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220a))를 확대하고, 확대된 그래픽 요소(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225a))를 제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화면 상에 크기가 상이한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부 그래픽 요소들은 디폴트 크기로 표시되는 반면,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은 디폴트 크기보다 큰 크기로 표시된다. 또한,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의 크기가 화면(205)에 표시된 모든 그래픽 요소들의 디폴트 크기에 맞지 않을 수 있는 경우 화면(210a)은 화면(205)의 그래픽 요소들과 다른 양의 그래픽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210a)은 네 개(4)의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들(225a 내지 225d)) 또는 2개의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들(225a 및 225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할 가능성에 기초하여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을 사용하여 표시할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Although all graphic elements of the screen 210a are enlarged compared to the graphic elements 220 of the screen 205, the present technology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110 enlarges at least one graphic element (eg, graphic element 220a), and displays the enlarged graphic element (eg, graphic element 225a) on a first screen.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graphic elements of different sizes on the screen—eg, some graphic elements are displayed at a default size, while one or more graphic elements are displayed at a size larger than the default size. .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enlarged graphic elements may not fit the default size of all graphic elements displayed on the screen 205, the screen 210a may include a different amount of graphic elements from those of the screen 205. have. For example, screen 210a may include four (4) enlarged graphic elements (eg, graphic elements 225a to 225d) or two enlarged graphic elements (eg, graphic elements 225a through 225d). (225a and 225b)). In such a case, the mobile device 110 may select applications to display using the enlarged graphic elements based on the likelihood that the user will activate the applications.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표시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화면(205)에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220a 내지 220f)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줌 기능(zoom feature)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210b)은 사용자가 이러한 줌 기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정(예를 들어, 확대)한 후의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래픽 요소들(230a 내지 230c)을 각각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요소들(220a 내지 220c)의 디폴트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230) 중 일부는 그래픽 요소(225a)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230a)는 사용자가 확대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인자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그래픽 요소(225a)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화면(2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230)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별 그래픽 요소들을 다르게 사용자 정의하기로 결정한 경우 서로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화면(210b)은 원래 디폴트 크기로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수량(예를 들어, 화면(205) 상의 6개의 그래픽 요소들(220a 내지 220f))과 다른 수량의 그래픽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그래픽 요소들(220d 내지 220f)을 다른 화면(예를 들어, 제2 화면, 제3 화면 등)으로 이동시켜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230)을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a zoom feature to allow the user to resize one or more of the displayed graphical elements—eg, graphical elements 220a to 220f displayed on screen 205. have. For example, the screen 210b may display a screen after the user selectively adjusts (eg, enlarges) the size of one or more graphic elements using the zoom func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enlarge the default size of the graphic elements 220a to 220c to create the graphic elements 230a to 230c, respectively. In some cases, some of the enlarged graphic elements 230 may be the same size as graphic element 225a—eg, graphic element 230a that the user decides to use a predetermined factor to enlarge. In this case, it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graphic element 225a. As shown in screen 210b, the enlarged graphic elements 230 may have different sizes, for example if the user decides to customize the individual graphic elements differently. In addition, the screen 210b may include a different number of graphic elements than the number of graphic elements originally displayed in the default size (eg, the six graphic elements 220a to 220f on the screen 205).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the enlarged graphic elements 230 by moving the graphic elements 220d to 220f to another screen (eg, a second screen, a third screen, etc.) have.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미리 결정하고 저장한 이벤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가족 및/또는 친구의 생일, 기념일 또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식별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서 이러한 미리 결정된 이벤트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벤트 트리거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환경 설정의 현재 날짜와 이벤트의 날짜를 비교하여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205)의 그래픽 요소들(220)은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220d))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mobile device 110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one or more applications based on events previously determined and stored in mobile device 110 by a user. Such predetermined events may include family and/or friends' birthdays, anniversaries, or events important to the user. Further, mobile device 110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se predetermined events ("event triggered applications") in the subset of applications that mobile device 110 has identified based on preferences. . In some cases, mobile device 110 may compare the date of the event with the current date of the environment setting to identify applications triggered by the event. Accordingly, graphical elements 220 of screen 205 may include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eg, graphical element 220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s).

화면(215)은 특정 기준이 충족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결혼 기념일이 현재 날짜로부터 1주일 남았을 때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용자 배우자의 즐겨찾는 상점을 포함하는 쇼핑 어플리케이션(240))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제1 화면에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예를 들어, 화면(205)에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220))을 표시한 후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것과 관련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220d))를 하이라이트 및/또는 확대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확인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용자 배우자의 즐겨찾는 상점을 포함하는 쇼핑 어플리케이션(240))을 시작할 수 있다.Screen 215 shows that mobile device 110 can launch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when certain criteria are met. For example, mobile device 110 may launch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eg, shopping application 240 including the user's spouse's favorite stores) when the user's wedding anniversary is one week away from the current date. have. In some cases, mobile device 110 determines whether to start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after displaying a group of graphical elements (eg, graphical elements 220 displayed on screen 205) on a first screen. You can prompt the user.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110 may display a message related to activating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In other examples, mobile device 110 may highlight and/or enlarge a graphical element (eg, graphical element 220d) corresponding to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Mobile device 110 then triggers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e.g., shopping application 240 including the user's spouse's favorite stores) based on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to launch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 can be started.

도 3은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조직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310)의 블록도(300)이다.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일 예이거나 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 뿐만 아니라 세트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주변 회로(315), 화면(320), 및 메모리(3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GPS(34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인공 지능(AI) 컴포넌트(33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300 of a mobile device 310 supporting application orga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Mobile device 310 may be an example of or include aspects of mobile device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The mobile device 310 may store graphic elements corresponding to a set of applications as well as individual applications in the set. The mobile device 310 may include a peripheral circuit 315 , a screen 320 , and a memory 325 . Also, mobile device 310 may be coupled with GPS 340 . In some embodiments, mobile device 310 includ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mponent 330 .

화면(320)은 모바일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면(320)은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들을 갖는 복수의 화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320)은 콘텐츠들의 표시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면(320)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10)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제1 화면, 및 대안적으로 다른 화면(예를 들어, 제2 화면, 제3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화면들(205, 210a, 210b, 215)은 화면(320)이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예시적인 화면들일 수 있다.Screen 3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tasks related to interfacing with a user of mobile device 310 . The screen 32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plurality of screens having various contents for the user. Also, the screen 3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based on the display of contents. In some embodiments, screen 320 may display a first screen that appears when a user activates mobile device 310 and, alternatively, another screen (eg, a second screen, a third screen, etc.) have. The screens 205, 210a, 210b, and 21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exemplary screens that the screen 320 may display at once.

주변 회로(315)는 모바일 디바이스(310)가 동작하는 환경 설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경 설정은 모바일 디바이스(310)(예를 들어, GPS(340)에 의해 결정된 모바일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현재 지리적 위치, 현재 날짜 및 시간, 현재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315)는 모바일 디바이스(310) 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10)에 설치되거나 저장됨),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더욱이, 주변 회로(315)는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예를 들어, 아이콘들)의 그룹을 제1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그룹의 각 그래픽 요소는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Peripheral circuitry 315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environment settings in which mobile device 310 operates. Preference settings may include th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of mobile device 310 (eg, the user of mobile device 310 as determined by GPS 340 ), the current date and time, the current day of the week, or a combination thereof. . Peripheral circuitry 315 can be configured from a set of applications residing on mobile device 310 (eg, installed or stored on mobile device 310 ), to preference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Based on this, a subset of the applications of the set can be identified. Moreover, the peripheral circuitry 315 can display a group of graphic elements (eg, icons) corresponding to the subset of applications on the first screen, where each graphic element in the group is a subset of the application. Allow access to one of them.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회로(315)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화면 상에 그룹의 제1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인자만큼 그룹의 제1 그래픽 요소를 확대할 수 있다. 이 인자는 일부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변 회로(315)는 제1 화면에 맞도록 확대된 아이콘들의 양 등과 같은 제1 화면에 표시할 콘텐츠들의 다양한 양태들에 기초하여 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peripheral circuitry 315 may enlarge the first graphical element of the group by a predetermined factor before displaying the first graphical element of the group on the first scree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have. This argument can in some cases be based on user input.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peripheral circuitry 315 can determine the factor based on various aspects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such as the amount of icons enlarged to fit the first screen.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회로(315)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와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 예를 들어, 특히 사용자가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얼마나 자주 활성화(예를 들어, 액세스)하는지(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의 활성화 수량), 사용자가 개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기간(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활성화 길이), 사용자가 개별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 그러한 활성화의 날짜와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315)는 메모리(325)에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회로(315)가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유용한 정보, 예를 들어 다양한 기준 위치들(예를 들어, 기준 위치들(120a 내지 120c)),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이벤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주변 회로(315)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하고 및/또는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메모리(325)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메모리(325)는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특정 파라미터들(및/또는 매개변수들 사이의 우선순위)과 관련된 성공(및/또는 실패) 비율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peripheral circuitry 315 may include a user's activity associated with a set of applications, e.g., in particular how often the user activates (e.g., accesses) individual applications (e.g., over a period of time). quantity of activations), how long a user uses an individual application (eg, length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location of mobile device 110 when the user activates an individual application, and the date and time of such activation. can do. Additionally, peripheral circuitry 315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activity in memory 325 as well as other useful information for peripheral circuitry 315 to identify a subset of applications, such as various reference locations. (For example, the reference locations 120a to 120c), events important to a user capable of activating a specific application, and the like may be stored. Peripheral circuitry 315 utilizes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325 when identifying a subset of applications based on environment settings and/or launching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can In some cases, memory 325 includes data related to success (and/or failure) rates associated with particular parameters (and/or priorities among parameters) that enhance a subset of applications and/or success rates. can do.

AI 컴포넌트(330)는 상이한 환경 설정들 하에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I 컴포넌트(330)는 머신 러닝 방식에 기초할 수 있고 및/또는 딥 러닝 컴포넌트(예를 들어, 신경망을 이용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I 컴포넌트(330)는 주변 회로(315)가 특정 환경 설정 하에서 사용자가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경우에, AI 컴포넌트(330)는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할 반경 거리(및/또는 시간 윈도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AI 컴포넌트(330)는 성공률(및/또는 실패율)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검색하여 주변 회로(315)가 주변 회로(315)가 제1 화면 상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포함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교육적 및/또는 지능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I 컴포넌트(330)는, 주변 회로(315)와 함께, 사용자의 음성 명령-예를 들어 "나는 체육관에 갈 것이다. 내 체육관 앱을 보여줘"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즐겨찾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제1 화면에 배열하고 표시할 수 있다.AI component 330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an algorithm to learn patterns of users using different application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settings. The AI component 330 may be based on a machine learning approach and/or may include a deep learning component (eg, a processor using a neural network), and the like. AI component 330 can help peripheral circuitry 315 identify applications that a user is likely to activate under certain environmental settings. In some cases, AI component 330 can determine a radial distance (and/or time window) to use to identify the subset of applications. In some cases, AI component 330 may store and/or retrieve data related to success rates (and/or failure rates) so that peripheral circuitry 315 sets a subset of applications for peripheral circuitry 315 to display on the first screen. can assist in making educational and/or intelligent decisions about which applications to include in In some embodiments, AI component 330, along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configures the user's favorite applications in response to the user's voice command - eg "I'm going to the gym. Show me my gym app". Icons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도 4는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400)이다. 흐름도(4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 모바일 디바이스(310))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이거나 그 방법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4 is a flow diagram 400 illustrating a method of organizing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Flow diagram 400 is an example of a method that a mobile device (e.g., mobile device 110, mobile device 310) may perform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or illustrates aspects of the method. can include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환경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박스(410)).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410)의 결정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n environment setting in which the mobile device operates (box 41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decision function of box 410 may b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박스(415)).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415)의 식별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identifying a subset of the applications of the set based on preferences from the set of applications resident on the mobile device (box 415).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of box 415 may b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

방법은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그룹의 각각의 그래픽 요소는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박스(420)).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420)의 표시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 및/또는 화면(320)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on a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 group of graphical elemen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in the subset, wherein each graphical element in the group grants access to one of the applications in the subset. Allow (box 42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display function of box 420 is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nd/or screen 32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It can be.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화면 상에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표시하는 것은 제1 화면 상에 표시하기 전에 그룹의 제1 그래픽 요소를 미리 결정된 인자만큼 확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대된 제1 그래픽 요소는 세트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2 그래픽 요소의 제2 크기보다 큰 제1 크기를 포함하고,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인자는 제1 화면 내에 맞는 그룹의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의 수량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인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한다.In some embodiments, displaying the group of graphical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includes enlarging the first graphical element of the group by a predetermined factor before displaying on the first screen. In some embodiments, the enlarged first graphical element comprises a first size greater than a second size of a second graphical element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an application of the set, and wherein the identified subset of applications includes the application. It doesn't work. In some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factor is based on the quantity of enlarged graphical elements of the group that fit within the first screen. In some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factor is based on input provid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환경 설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합된 GPS에 의해 결정된 현재 지리적 위치, 현재 날짜 및 시간, 현재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활성화들의 양들,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활성화들의 길이들, 또는 모두에 다에 기초하여 세트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preferences include a current geographic location determined by GPS coupled with the mobile device, a current date and time, a current day of the week, or a combination thereof. In some embodiments, identifying a subset of applications is an individual application in the set based on amounts of activations made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lengths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or both. It includes classifying them. In some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duration is based on input provided by the user.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화면 상에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표시하는 것은 세트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요소를 제1 화면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화면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화면 상에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표시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에 그룹의 그래픽 요소들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presenting the group of graphical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includes moving a graphical element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the set of applications from the first screen to a second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ubset of applications does not include the applic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creen corresponds to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user of the mobile device activates the mobile device. In some embodiments, displaying the group of graphical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includes positioning the group of graphical elements in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on an input provid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서브세트는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화면에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표시한 후 사용자에게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는 단계 및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확인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것은 확인을 수신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launching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 predetermined event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where the subset of applications includes event-triggered applications.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includes displaying a group of graphical elements on a first screen and then prompting a user whether to start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and receiving a confirmation from the user to start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wherein starting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is based on receiving the confirmation.

도 5는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조직화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500)이다. 흐름도(500)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 모바일 디바이스(310))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일 예이거나 그 방법의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5 is a flow diagram 500 illustrating a method of organizing a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Flow diagram 500 is an example of a method or aspect of a method that a mobile device (e.g., mobile device 110, mobile device 310) may perform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may include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복수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은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액세스를 개별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요소들에 대응한다(박스(510)).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510)의 제공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 및/또는 메모리(32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stor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where the plurality of individual applications correspond to graphical elements configured to individually allow access to the individual applications (box 51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provisioning function of box 510 is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nd/or memory 32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It can be.

방법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박스(515)).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515)의 표시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a firs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based o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ox 515).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display function of box 515 may b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1 기준 위치로부터 제1 반경 거리 내의 제1 영역에 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제1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위치를 포함한다(박스(520)).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520)의 식별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comprises identifying a first set of applicati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first area within a first radial distance from a first reference lo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ctivat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the first area includes the firs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box 52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of box 520 may b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

방법은 제1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는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제1 시간 윈도우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다(박스(525)).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525)의 식별 기능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identifying a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of the first set, wherein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has been activated by the user within a first window of time that includes the current time (box 525). ).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of box 525 may b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방법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활성화들의 양들,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활성화들의 길이들, 또는 둘 모두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박스(530)).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530)의 선택 기능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selecting one or more applications from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based on amounts of activations made by the user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lengths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or both (box (53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selection function of box 530 may b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 상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박스 535).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박스(535)의 표시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주변 회로(315) 및/또는 화면(320)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al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r more applications on a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box 535).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display function of box 535 is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in some cases with peripheral circuitry 315 and/or screen 32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It can be.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기준 위치로부터 제2 반경 거리 내의 제2 영역에 있을 때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가 제1 미리 결정된 양보다 작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양을 포함할 때, 제2 반경 거리는 제1 반경 거리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가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제2 시간 윈도우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가 제1 미리 결정된 수량보다 적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수량을 포함하는 경우, 큰 제2 시간 윈도우는 제1 시간 윈도우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GPS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2 기준 위치로부터 제2 반경 거리 내의 제2 영역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제2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second se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 second set of applications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second area within a second radial distance from the first reference location. When it has been activated by the user and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includes a first amount of application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amount, the second radial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first radial distance.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of the first set, wherein the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is activated by the user within a second window of time that includes the current time. and, if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includes a first quantity of application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quantity, the larger second time window is greater than the first time window.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second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based on GPS, and identifying a second set of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 second set of applications has been activated by the user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second area within a second radial distance from a second reference lo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the second area including a second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위에서 설명된 방법은 가능한 구현예를 설명하고 동작 및 단계가 재배열되거나 달리 수정될 수 있고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둘 이상의 방법으로부터의 실시예가 결합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thods described above illustrate possible implementations and that the actions and steps may be rearranged or otherwise modified and that other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lso, embodiments from two or more methods may be combined.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시 및 구현예는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기능을 구현하는 피쳐는 또한 기능의 일부가 다른 물리적 위치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위치에 물리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executed by a processor, firmware, or any combination thereof. Other examples and implement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and appended claims. Features implementing functionality may also be physically located in various locations, including being distributed such that portions of the functionality are implemented in different physical locations.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항목 목록(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과 같은 문구가 앞에 오는 항목 목록)에서 사용된 "또는"은 포함된 목록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목록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 및 B 및 C)를 의미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에 기초한"이라는 문구는 폐쇄된 조건 세트에 대한 참조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조건 A에 기초한"으로 설명된 예시적인 단계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조건 A 및 조건 B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한"이라는 문구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이라는 문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he claims, "or" as used in a list of items preceded by a phrase such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indicates an included list, e.g. For example, a list of at least one of A, B, or C means A or B or C or AB or AC or BC or ABC (i.e., A and B and C). Also, as used herein, the phrase "based on" is not to be construed as a reference to a closed set of conditions. For example, example steps described as “based on condition A” could be based on both condition A and condition B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ther words, the phrase “based on” a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s the phrase “based at least in part on”.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전술한 설명에서, 본 기술의 실시예에 대한 철저하고 가능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논의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특정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기술의 다른 양태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메모리 시스템 및 디바이스와 자주 연관된 잘 알려진 구조 또는 동작은 도시되지 않거나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더하여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이 본 기술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erein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Rather,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discussed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and capable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However, on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without one or more specific detail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or operations often associated with memory systems and devices are not shown or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other aspects of the technology. In genera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oth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may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20)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가 동작하는 환경 설정(environmental setting)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상기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subset)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graphical element)들의 그룹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각각의 그래픽 요소는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 대한 액세스(access)를 허용하는, 방법.
in the method,
determining environmental settings in which a mobile device operates;
identifying, from the set of applications resident on the mobile device, a subset of the applications of the set bas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and
and displaying a group of graphic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s of the subset on a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each graphic element of the group is one of the applications of the subset. A method, allowing access to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상기 제1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상기 그룹의 제1 그래픽 요소를 미리 결정된 인자만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displaying the group of graphic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comprises:
and enlarging a first graphic element of the group by a predetermined factor before displaying on the first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된 제1 그래픽 요소는 상기 세트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2 그래픽 요소의 제2 크기보다 큰 제1 크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larged first graphical element comprises a first size greater than a second size of a second graphical element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the set of applications, the identified subset of applications A method that does not include the appl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인자는 상기 제1 화면 내에 들어맞는 상기 그룹의 확대된 그래픽 요소들의 양에 기초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factor is based on an amount of enlarged graphical elements of the group that fit within the first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인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factor is based on input provid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합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에 의해 결정된 현재 지리적 위치, 현재 날짜 및 시간, 현재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environment settings include a current geographic location determ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ssociated with the mobile device, a current date and time, a current day of the week,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활성화들의 양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활성화들의 길이들, 또는 둘 모두에 기초하여 상기 세트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identifying a subset of applications comprises:
categorizing individual applications in the set based on amounts of activations made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lengths of the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or bo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determined duration is based on input provid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상기 제1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세트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요소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제2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displaying the group of graphic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comprises:
moving a graphical element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the set of applications from the first screen to a second screen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identified subset of applications does not include the applica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 대응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screen corresponds to a screen displayed when a user of the mobile device activates the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트리거된(event-triggered)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는 상기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arting an event-triggered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 predetermined event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subset of applications includes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표시한 후, 상기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팅(prompting)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트리거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것은 상기 확인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prompting a user whether to start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after displaying the group of graphic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to start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wherein starting the event-triggered application is based on receiving the confi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상기 제1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들에 상기 그룹의 상기 그래픽 요소들을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displaying the group of graphic elements on the first screen comprises:
positioning the graphical elements of the group at predetermined locations based on input provid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개별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요소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함-;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1 기준 위치로부터 제1 반경 거리 내의 제1 영역에 있을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위치를 포함함-;
상기 제1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서브세트는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제1 시간 윈도우(time window)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음-;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활성화들의 양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활성화들의 길이들, 또는 둘 모두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서브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stor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wherein individual applicati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ndividually correspond to graphic elements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the individual applications;
determining a firs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based o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dentifying a first set of applicati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rein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is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first area within a first radial distance from a first reference lo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ctivated by a user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first area includes a firs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identifying a first subset of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wherein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has been activated by the user within a first time window that includes a current time;
selecting one or more applications from the first subset of applications based on amounts of activations made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lengths of activations maintained by the user, or both; and
and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r more applications on a firs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기준 위치로부터 제2 반경 거리 내의 제2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세트가 미리 결정된 양보다 적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양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반경 거리는 상기 제1 반경 거리보다 큰,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Further comprising identifying a second set of applicati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 second set of applications being determined by the user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a second area within a second radial distance from the first reference location. and wherein the second radial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first radial distance if the first set of applications includes a first amount of applications tha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서브세트는 상기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제2 시간 윈도우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서브세트가 미리 결정된 양보다 적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제1 양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시간 윈도우는 상기 제1 시간 윈도우보다 큰,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further comprising identifying a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of the first set, wherein the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was activated by the user within a second window of time that includes the current time, and wherein the second subset of applications wherein the second time window is greater than the first time window if the first subset includes a first amount of applications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GPS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제2 세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2 기준 위치로부터 제2 반경 거리 내의 제2 영역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determining a second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GP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identifying a second set of applicati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rein the second set of applications is located in a second region within a second radial distance from a second reference lo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by the mobile device. when activated by a user, the second region comprises a second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장치에 있어서,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화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화면; 및
주변 회로로서: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장치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세트로부터 상기 환경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하고; 및
상기 서브세트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의 그룹을 상기 제1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상기 주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각각의 그래픽 요소는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장치.
In the device,
a screen configured to display a plurality of screens including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and
As a peripheral circuit:
determine the environment settings in which the device operates;
identify a subset of applications from the set of applications resident on the device bas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and
and the peripheral circuit,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first screen a group of graphical elemen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in the subset, each graphical element in the group having access to one of the applications in the subset. device that allow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상기 그룹의 제1 그래픽 요소를 미리 결정된 인자만큼 확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eripheral circuitry:
and before displaying on the first screen, enlarge the first graphic element of the group by a predetermined fact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상기 장치와 결합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에 의해 결정된 현재 지리적 위치, 현재 날짜 및 시간, 현재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19. The device of claim 18, wherein the environment settings include a current geographic location determ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ssociated with the device, a current date and time, a current day of the week,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20227038223A 2020-06-10 2021-05-18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2022016401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98,292 US11546458B2 (en) 2020-06-10 2020-06-10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US16/898,292 2020-06-10
PCT/US2021/032907 WO2021252150A1 (en) 2020-06-10 2021-05-18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010A true KR20220164010A (en) 2022-12-12

Family

ID=7882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223A KR20220164010A (en) 2020-06-10 2021-05-18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46458B2 (en)
KR (1) KR20220164010A (en)
CN (1) CN115462060B (en)
WO (1) WO202125215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109B1 (en) * 2019-11-20 2021-08-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mart device management via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privacy preferences
US11546458B2 (en) * 2020-06-10 2023-01-03 Micron Technology, Inc.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933B2 (en) * 2004-03-17 2010-11-09 Leapfrog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a device employing written graphical elements
KR101346931B1 (en) 2007-01-19 201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Using Same
US9083791B2 (en) * 2009-01-22 2015-07-14 Yahoo ! Inc. Web-hosted framework for mobile applications
KR101889838B1 (en) * 2011-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20213A (en) 2011-08-19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72049B2 (en) * 2011-09-22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nd configurable user interface
KR101233955B1 (en) * 2012-05-17 2013-02-15 권오형 Device and method for user-centric configuration of icon in main screen
CN103853606B (en) * 2012-11-29 2018-05-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Switch the method and apparatus of application program
US11748782B2 (en) * 2012-12-28 2023-09-05 Henry Peter Badenhop Mobile billboard structure and platform for smartphone APP messaging system interface
KR101829114B1 (en) * 2013-01-25 2018-03-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Adaptive observation of behavioral features on a mobile device
EP2979159A4 (en) * 2013-03-29 2016-11-09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djustable timeline user interface
KR20160032565A (en) 2014-09-16 201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07111444A (en) * 2014-09-18 2017-08-29 核果移动有限公司 For the client user interface interactive with contact point
US10048837B2 (en) * 2016-02-16 2018-08-14 Google Llc Target selection on a small form factor display
US10146581B2 (en) * 2017-01-13 2018-12-04 Salesforce.Com, Inc. Dynamically configuring a process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onitored by a mobile device
JP2018170605A (en) * 2017-03-29 2018-11-01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07194235B (en) * 2017-04-28 2019-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laun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1694486B (en) * 2017-05-16 2023-08-22 苹果公司 Apparatus,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1546458B2 (en) * 2020-06-10 2023-01-03 Micron Technology, Inc.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92225A1 (en) 2021-12-16
US11863699B2 (en) 2024-01-02
US20230134712A1 (en) 2023-05-04
CN115462060A (en) 2022-12-09
CN115462060B (en) 2024-01-26
US11546458B2 (en) 2023-01-03
WO2021252150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5962B2 (en) Home screen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
RU2749794C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on of repeat performance of previous task based on context of mobile apparatus
US11863699B2 (en) Organizing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1233955B1 (en) Device and method for user-centric configuration of icon in main screen
US201302193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pplication program folders in electronic device
JP6348538B2 (en) Dynamic and configurable user interface
RU2564448C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US8805417B2 (en) Dynamic contact list display
US7933632B2 (en) Tile spac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80374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indicators on an electronic device
US103724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idle screen
US201302683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20120204131A1 (en) Enhanced application launcher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KR20050094405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US200800598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Calendar Views on Small Displays
CN116547640B (en)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7496355B2 (en) Customis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50302054A1 (en) Process for identifying contacts likely to be needed based on user communication habits
JP71651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act recommendations
JP20171206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1233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8180774A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program
WO2008000686A1 (en) Pictorial al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