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771A -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771A
KR20220163771A KR1020210072348A KR20210072348A KR20220163771A KR 20220163771 A KR20220163771 A KR 20220163771A KR 1020210072348 A KR1020210072348 A KR 1020210072348A KR 20210072348 A KR20210072348 A KR 20210072348A KR 20220163771 A KR20220163771 A KR 2022016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index data
user
information
health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935B1 (ko
Inventor
한성호
최석진
안수정
송다정
서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리브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리브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리브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7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INTERFACE}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복부를 포함한 신체 국소부위의 지방 측정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건강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 및 생활 습관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의 비만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은 고혈압,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성인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직장에서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성인의 경우, 불균형한 자세와 운동 부족 등의 영향으로 인해 복부 내장 지방이 과다하여 발생하는 복부 비만에 해당하는 비율이 높다. 비만은 성인병뿐만 아니라 신진대사와 관련``한 질환들이 동시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주요 요인으로도 지목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사증후군에 해당하는 성인은 여러 가지 성인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갖는다. 미국의 경우, 전체 성인 인구의 약 30%가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해당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이와 같은 대사증후군 및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만이 되지 않도록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건강을 관리하는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건강 관리 장치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몸 전체의 체지방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다. 결국, 사용자 스스로 측정 결과에 따른 조치나 별도의 솔루션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강 관리 장치들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체지방을 수시로 측정하여 건강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복부 지방 측정 결과만으로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건강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도출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국소부위의 지방 측정 결과만으로도 생체 대사 관련 데이터, 운동 방법, 건강 관리 방법 등의 건강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건강 관리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누적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스케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이해되는 모든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블록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부가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 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구성 요소들의 순서나 관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지방 측정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지방 측정기(300)는 서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편의상 사용자 단말(200)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서버(100) 및 지방 측정기(300)와 연결되는 형태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0)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건강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건강 관련 정보들은 사용자들 각각의 복부와 같은 신체 국소부위의 지방 측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마다 상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지방 측정기(30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누적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 스케줄,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추후 예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련 이슈,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단 및 운동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 (100)는 SaaS (Softwa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또는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에서 동작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100)는 사설(private) 클라우드, 공용(public) 클라우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와 같은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건강 관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지방 측정기(300)로부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와 서버(100)로부터 건강 관련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자신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정보는 서버(100) 및 지방 측정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추천 식단, 추천 운동 영상, 추천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지방 측정기(300)로부터 전송되는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와,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필요 운동량 정보, 칼로리 섭취량 정보 등과 같은 건강 지수 데이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지방 측정기(300)는 복부와 같은 신체 국소부위의 지방을 측정하도록 소형화된 기기로서,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지방 측정기(300)를 통해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지방 측정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역시 지방 측정기(3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정보를 지방 측정기(300)에 입력하고 지방 측정기(300)를 이용하여 자신의 복부 지방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결과에 대한 모든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국소부위 및 복부 지방 측정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2589호(주파수 도메인 기반의 다파장 생체신호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0341호(기계 학습을 이용한 생체신호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100)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서버(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서버(100)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서버(100)는 컴퓨터, 클라우드 플랫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및 지방 측정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을 필요로 하는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를 제어 및 처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120)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메모리(120)의 일부 영역에 구축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건강 관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관련 정보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정보들을 통칭한다.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30)에 의해 수행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지방 측정기(300)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 및 건강 관련 정보들이 담긴 인터페이스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생성된 인터페이스 블록들을 통신 모듈(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와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등급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된 날짜와 상기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은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칼로리,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는 외부 기기로부터 프로세서(130)로 제공될 수 있다. 활동 칼로리 역시 외부 기기로부터 가져오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누적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지수 그래프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또는 월간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의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날짜 별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스케줄 및 알림 설정 여부 및 메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9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기 설정된 추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및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및 웨어러블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210)은 서버(100) 및 지방 측정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2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을 필요로 하는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한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30)는 데이터를 제어 및 처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40)는 서버(100) 및 지방 측정기(3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건강 관련 데이터와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관련 데이터와 정보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데이터 및 정보들을 통칭한다.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지방 측정기(300)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 및 건강 관련 정보들이 담긴 인터페이스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직접 획득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240)는 생성된 인터페이스 블록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230)에 의해 실행되는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된 날짜와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은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필요 운동량 정보, 활동 칼로리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는 외부 기기로부터 프로세서(230)로 제공될 수 있다. 활동 칼로리는 외부 기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제공하는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지수 그래프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또는 월간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의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날짜 별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스케줄 및 알림 설정 여부 및 메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상기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추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9 인터페이스 블록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블록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도 4 내지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9 인터페이스 블록들의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410)와 제2 예시(42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블록(410, 420)의 예시들은 각각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410, 420)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는 생체 건강 지수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410, 420)은 사용자의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지난 기록들을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A등급 내지 F등급의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허리 사이즈,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는 사용자의 피하 지방량, 내장 지방량, 복부 둘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앞서 설명한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510), 제2 예시(520) 및 제3 예시(5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510), 520, 530)은,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510), 520, 530)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510), 520, 530)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된 날짜와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510), 520, 530)에서, 예컨대, 1월 30일 사용자의 제1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된 경우 1월 30일에 해당하는 영역의 음영을 어둡게 처리하거나, 해당 영역에 체크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반면,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510), 520, 530) 에서, 예컨대, 1월 31일 사용자의 제1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경우 1월 31일에 해당하는 영역의 음영이 밝게 처리될 수 있다.
도 6에는 앞서 설명한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610) 및 제2 예시(6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610, 620)은 사용자 단말에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610, 620)은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610, 620)은, 사용자의 내장 지방 레벨이 건강 구간에 해당하는지 위험 구간에 해당하는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과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내장 지방 레벨(VIS-Fat Level) 및 피하 지방 레벨(SQ-Fat Level)은 각각 1 내지 10 레벨 구간 중 어느 하나의 레벨 구간 구분될 수 있다.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방 레벨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지방 레벨 지수는 1% 내지 100% 중 특정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610, 620)은 사용자의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지난 기록들을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610, 620)은 사용자의 이전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와 현재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차이를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앞서 설명한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710), 제2 예시(720), 제3 예시(730), 제4 예시(740) 및 제5 예시(7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710, 720, 730, 740, 750)은, 사용자 단말에 순서대로 제공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710, 720, 730, 740, 750)에서 BMR(Basal Metabolic Rate)은 기초대사율을 나타내고, TMR(Total Metabolic Rate)는 BMR에 운동 및 기타 활동을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를 더한 것을 나타낸다,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710, 720, 730, 740, 750)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710, 720, 730, 740, 750)은 사용자의 활동 칼로리, 기초 대사율 정보(Basal Metabolic Rate), 필요 운동량 정보(Activity)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Calorie intake)에 대한 이전 기록들을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710, 720, 730, 740, 750)은 사용자의 이전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의 차이를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인터페이스 블록($03)은 사용자의 운동 달성량과 달성 목표 등에 대한 정보를 막대그래프 등의 형태로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앞서 설명한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810), 제2 예시(820), 제3 예시(830), 제4 예시(840) 및 제5 예시(8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810, 820, 830, 840, 850)은, 상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810, 820, 830, 840, 850)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가 확대되어 표시되거나 선택된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810, 820, 830, 840, 850)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 또는 영상과 관련된 제품의 구매 사이트가 표시되거나, 제품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는 앞서 설명한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910) 및 제2 예시(9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910, 920)은, 사용자 단말에 순서대로 제공될 수 있다.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910, 920)은,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표시하는 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와 상기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을 포함한다.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910, 920)은 상기 건강 지수 그래프는 누적 기록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별로 표시한 그래프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910, 920)은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월간 별로 표시한 그래프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건강 지수 그래프에서, 사용자의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 및 기록되지 않은 날짜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건강 지수 그래프는 막대형 그래프, 선형 그래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는 앞서 설명한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제1 예시(1010), 제2 예시(1020) 및 제3 예시(10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010, 1020, 1030)은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각 데이터는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010, 1020, 1030)은 수정 가능한 형태의 사용자의 키와 허리 사이즈 데이터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40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010, 1020, 1030)은 날짜 별로 기록된 사용자의 키 데이터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40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010, 1020, 1030)은 날짜 별로 기록된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 데이터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40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010, 1020, 1030)은 사용자의 이전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의 차이를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010, 1020, 1030)은 사용자의 목표 데이터, 목표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의 차이를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는 앞서 설명한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의 제1 예시(1110) 및 제2 예시(11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8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110, 1120)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스케줄 및 알림 설정 여부 및 메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8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110, 1120)은,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오후 9시마다 사용자의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등급을 산출한다는 내용의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8인터페이스 블록의 예시들(1110, 1120)은, 알림 설정 여부 버튼 표시 부분을 더 포함하여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알림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도록 표시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는 앞서 설명한 제9 인터페이스 블록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9 인터페이스 블록(409)은 기 설정된 추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술한 제5 인터페이스 블록(도 7의 404)을 통해 상기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입력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제9 인터페이스 블록(409)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앞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터페이스 블록 외에도 사용자의 신체 정보 입력을 위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블록, 사용자의 개인 정보 입력을 위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블록 등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부가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1),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2),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3), 그리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은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 칼로리 및 섭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된 날짜와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5) 및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제공하는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지수 그래프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또는 월간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의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날짜 별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측정 스케쥴 및 알림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S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추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9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9 인터페이스 블록에 대한 상세 설명과 그 예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9 인터페이스 블록을 표시하는 단계들(S11, S12, S13, S14, S15, S16, S17, S18, S19)의 순서는 반드시 위와 같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의 실행 순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두 단계 이상이 동시에 수행되는 형태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인터페이스 블록과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이 함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210: 통신 모듈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240: 디스플레이
300: 지방 측정기

Claims (18)

  1.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칼로리 및 섭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건강 지수 데이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제공하는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날짜 별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측정 스케쥴 및 알림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된 날짜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지수 그래프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또는 월간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의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칼로리 및 섭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 2건강 지수 데이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누적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날짜 별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의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측정 스케쥴 및 알림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지수 데이터의 산출된 날짜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지수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지수 그래프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또는 월간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의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6.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등급이 산출되는 제1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 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국소부위 지방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내장 지방 레벨 및 피하 지방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사용자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칼로리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건강 지수 데이터, 기초 대사율 정보, 필요 운동량 정보 및 칼로리 섭취량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추천 식단 및 추천 운동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5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기간별로 나타내는 건강 지수 그래프를 제공하는 제6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고, 날짜 별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허리 사이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7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측정 스케쥴 및 알림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8 인터페이스 블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 및 제2건강 지수 데이터의 산출된 날짜와 상기 제1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블록은, 상기 내장 지방 레벨을 포함한 전체 지방에 대하여 지방레벨에 대한 단계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건강 지수 그래프는,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을 주간 또는 월간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가 산출되지 않은 날짜의 상기 제2 건강 지수 데이터의 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사용자 단말.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10072348A 2021-06-03 2021-06-03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9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48A KR102598935B1 (ko) 2021-06-03 2021-06-03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48A KR102598935B1 (ko) 2021-06-03 2021-06-03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771A true KR20220163771A (ko) 2022-12-12
KR102598935B1 KR102598935B1 (ko) 2023-11-07

Family

ID=8439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48A KR102598935B1 (ko) 2021-06-03 2021-06-03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338B1 (ko) * 2015-10-22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101667393B1 (ko) 2010-08-18 2016-10-19 주식회사 인바디 카메라를 구비한 체성분 분석장치
KR20180063481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체지방을 측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2020166323A (ja) * 2019-03-28 2020-10-08 株式会社タニタ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93B1 (ko) 2010-08-18 2016-10-19 주식회사 인바디 카메라를 구비한 체성분 분석장치
KR101633338B1 (ko) * 2015-10-22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80063481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체지방을 측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2020166323A (ja) * 2019-03-28 2020-10-08 株式会社タニタ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35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48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record keeping
US20140236025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System
JP5853533B2 (ja) 体重管理装置
US20120302843A1 (en) Health management support device, health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health management support program
US20100256047A1 (en) Analyte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WO2019031346A1 (ja) 評価依頼プログラム、評価依頼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KR102124249B1 (ko)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CN105205340A (zh) 用于糖尿病管理的被分析物测试方法和装置
US20150134344A1 (en) Personal Health Data Gathering for Incentive and Insurance Rating Purposes
JP2011523478A (ja) 検体測定及び管理デバイス、並びに関連方法
CN112074911A (zh) 用药管理装置、用药管理方法及用药管理程序
WO2013136611A1 (ja) 生体情報表示方法、生体情報表示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2380368B1 (ko) 헬스케어 스마트기기와 ai를 이용하여 비식별 건강데이터를 가치화하는 건강관리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7077711A (zh) 特性评价装置、特性评价系统、特性评价方法和特性评价程序
CN112041935A (zh) 用药管理装置、用药管理方法及用药管理程序
JPH09103413A (ja) 健康管理支援装置
JP6617316B2 (ja) 健康関連情報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180361A (ja) 生体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117839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161384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WO2015107860A1 (ja)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CN112890785A (zh) 利用非接触影像式生理检测技术的健康管理系统
US20190108918A1 (en) Remote diagnostic aid system, remote diagnostic aid server, and remote diagnostic aid method
JP7322450B2 (ja) 服薬支援情報提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63771A (ko) 건강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