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586A -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586A
KR20220163586A KR1020210071899A KR20210071899A KR20220163586A KR 20220163586 A KR20220163586 A KR 20220163586A KR 1020210071899 A KR1020210071899 A KR 1020210071899A KR 20210071899 A KR20210071899 A KR 20210071899A KR 20220163586 A KR20220163586 A KR 20220163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lectric vehicle
control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3586A/en
Publication of KR2022016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5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keoff control method and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The electric vehicle may comprise: a first motor which drives a front wheel; a second motor which drives a rear wheel; a third motor, in takeoff control,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the takeoff control, connecting the first motor and the third moto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the takeoff control, connecting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Provided are the takeoff control method capable of sufficiently utilizing motor torqu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Description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Launch control method and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oscillation control method and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전기차의 고속 주행에 있어 파워 부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차의 전륜 및 후륜 각각에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전륜 및 후륜에 2 개의 모터가 적용될 경우, 차세의 불안정성에 의해 전륜 모터의 출력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power shortage phenomenon in high-speed driving of an electric vehicle, a motor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electric vehicle. However, when two motors are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the output of the front-wheel motors may not be fully utilized due to vehicle instability.

전기차의 모터 토크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scillation control method capable of fully utilizing the motor torque of an electric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기차는, 전륜을 구동하는 제1 모터, 후륜을 구동하는 제2 모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와 연결되는 제3 모터,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3 모터를 연결하는 제1 동력 전달 장치, 및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3 모터를 연결하는 제2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a first motor driving front wheels, a second motor driving rear wheels, a third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n starting control, in the starting control,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first motor and the third moto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in the start control may be included.

상기 전기차는, 상기 전기차의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히면, 상기 발진 제어에 진입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may enter the start control wh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of the electric vehicle are simultaneously stepped on.

상기 액셀 페달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혀 있는 동안,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토크를 회생 제어할 수 있다.While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third motor may regenerate and control torqu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상기 전기차는, 상기 제3 모터의 회생 제어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charged by regeneration control of the third motor.

상기 발진 제어 진입 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지 않으면, 상기 제3 모터의 토크는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할 수 있다. After entering the start control, if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the torque of the third motor may increase with a predetermined slope.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전기차의 브레이크 유압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the start control,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maintained constant.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른, 전륜을 구동하는 제1 모터, 후륜을 구동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발진 제어 방법은,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히는 단계, 제1 동력 전달 장치 및 제2 동력 전달 장치가,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힐 때, 상기 제1 모터, 상기 제2 모터, 및 상기 제3 모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토크를 회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지 않으면, 상기 제3 모터의 토크는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rt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first motor driving front wheels, a second motor driving rear wheels, and a third moto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 step in which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first motor,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Connecting, regenerating the torqu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by the third motor, and increasing the torque of the third motor at a predetermined slope when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can include

상기 발진 제어 방법은, 상기 제3 모터의 회생 제어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scillation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rging a battery by controlling regeneration of the third motor.

상기 발진 제어 방법은,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전기차의 브레이크 유압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rt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intaining a constant brak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start control.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전기차는, 제1 내지 제3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제3 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동력 전달 장치, 상기 제2 모터와 제3 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동력 전달 장치,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1 동력 전달 장치 및 상기 제2 동력 전달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를 모두 연결하는 동력 전달 제어부, 및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동력 전달 제어부에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알리는 발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ncludes first to third motors,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tor and the third motor,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2 power transmission unit, in the start control, control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to connect all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and detect the entry of the start control; An oscillation control unit notifying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entering the oscillation control may be included.

상기 발진 제어부는, 상기 전기차의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히면,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The start control unit may detect the entry of the start control wh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of the electric vehicle are simultaneously stepped on.

상기 전기차는, 상기 액셀 페달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혀 있는 동안, 상기 제3 모터가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토크를 회생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mo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third motors so that the third motor regenerates and controls the torqu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while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can include more.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발진 제어 진입 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지 않으면, 상기 제3 모터의 토크가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하도록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tor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hird motor so that the torque of the third motor increases with a predetermined slope when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after entering the start control.

상기 전기차는, 상기 발진 제어부로부터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수신하고, 상기 전기차의 브레이크 유압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brake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start control entry from the start control unit and constantly controls brak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ctric vehicle.

전기차의 모터 토크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를 제공한다. Provided is an oscillation control method capable of fully utilizing the motor torque of an electric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일부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발진 제어에 관여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발진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발진 제어에 따라 모터1, 모터2, 및 모터3의 토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발진 능력을 종래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volved in starting control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art control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graph showing torques of motor 1, motor 2, and motor 3 according to oscillation control.
5 is a graph comparing the oscillation capabilit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the conventional one.

본 명세서는 전륜 모터 및 후륜 모터와 함께 중간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차에 관한 설명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3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정차발진 상황에서 최대 토크를 더욱 빠르게 활용하여 제로백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This specification is a description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intermediate motor together with a front wheel motor and a rear wheel moto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zero-back performance by utilizing maximum torque more quickly in a stop/start situation using three driving moto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or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기계적, 물리적, 전기적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mechanically, physically, or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pres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일부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1)는 3 개의 모터1-3(10, 20, 30) 및 두 개의 동력 전달 장치(41, 42)를 포함한다. 모터1(10)와 모터3(30) 사이에는 동력 전달 장치(41)가 위치하고, 발진 제어(Launch control) 시 모터1(10)과 모터3(30)은 동력 전달 장치(41)의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모터2(20)와 모터3(30) 사이에는 동력 전달 장치(42)가 위치하고, 발진 제어에서 모터2(20)와 모터3(30)은 동력 전달 장치(42)의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모터 사이의 연결은 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가 다른 모터에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력 전달 장치(41, 42)는 발진 제어가 아닌 정상 제어시에는 차단되어 있어, 모터1(10)와 모터3(30)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모터2(20)와 모터3(30)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electric vehicle 1 includes three motors 1-3 (10, 20, 30) and two power transmission units 41 and 42.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41 is located between the motor 1 (10) and the motor 3 (30), and the motor 1 (10) and the motor 3 (30) ar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41) during launch control.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42 is located between the motor 2 (20) and the motor 3 (30), and in the start control, the motor 2 (20) and the motor 3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42). .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tors means that the torque generated by one motor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motor.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s 41 and 42 are blocked during normal control rather than oscillation control, so motor 1 (10) and motor 3 (3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tor 2 (20) and motor 3 (30) may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동력 전달 장치(41) 및 동력 전달 장치(42)는 클러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11) 및 연결 부재(412)가 클러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 부재(421) 및 연결 부재(422)가 클러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의 연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41 and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42 may be implemented in a clutch method.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411 and the connecting member 412 may be connected in a clutch method, and the connecting member 421 and the connecting member 422 may be connected in a clutch method.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nection methods may be applied.

전기차(1)는 모터1(10)에 연결된 차축(71) 및 모터2(20)에 연결된 차축(72)를 더 포함하고, 차축(71)의 양단에는 전륜(61, 62)이 연결되어 있으며, 차축(72)의 양단에는 후륜(63, 64)이 연결되어 있다. 모터1(10)는 차축(71)을 통해 전륜(61, 62)를 구동하고, 모터2(20)는 차축(72)을 통해 후륜(63, 64)을 구동한다. The electric vehicle 1 further includes an axle 71 connected to motor 1 10 and an axle 72 connected to motor 2 20, and front wheels 61 and 6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xle 71, , Rear wheels 63 and 64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xle 72 . Motor 1 (10) drives the front wheels (61, 62) through an axle (71), and motor 2 (20) drives the rear wheels (63, 64) through an axle (72).

전기차(1)는 전륜(61,62)에 결합된 브레이크(81, 82), 후륜(63, 64)에 결합된 브레이크(83, 84), 유압 실린더(80)를 더 포함하고, 유압 실린더(80)는 브레이크(81-84)에 브레이크 제어에 따른 유압을 공급한다. The electric vehicle 1 further includes brakes 81 and 82 coupled to front wheels 61 and 62, brakes 83 and 84 coupled to rear wheels 63 and 64, and a hydraulic cylinder 80, and a hydraulic cylinder ( 80) supplies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brake control to the brakes 81 to 84.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발진 제어에 관여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volved in starting control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발진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art control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는 발진 제어에 따라 모터1, 모터2, 및 모터3의 토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showing torques of motor 1, motor 2, and motor 3 according to oscillation contro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셀 페달 센서(111)는 엑셀 페달(91)에 연결되어, 엑셀 페달(91)이 운전자에 의해 밟히는 정도에 따른 엑셀 페달 감지 신호(APS)를 생성한다. 브레이크 페달 센서(112)는 브레이크 페달(92)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92)이 운전자에 의해 밟히는 정도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감지 신호(BPS)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 2 , the accelerator pedal sensor 111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pedal 91 and generates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ignal AP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accelerator pedal 91 is pressed by the driver. The brake pedal sensor 112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92 and generates a brake pedal detection signal BP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brake pedal 92 is depressed by the driver.

발진 제어부(113)는 발진 제어 사용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 발진 제어부(113)는 엑셀 페달 감지 신호(APS) 및 브레이크 페달 감지 신호(BPS)를 입력 받아 발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발진 제어부(113)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기계/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발진 제어(launch control)가 필요한 조건임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1)의 AVN 인터페이스의 인지부가 활성된 후, 액셀 페달(91) 및 브레이크 페달(92)가 동시에 밟히면, 발진 제어부(113)는 이를 감지하여 발진 제어에 진입한다. 구체적으로, 발진 제어기(113)는 액셀 페달 감지 신호(APS)가 소정의 임계 값(a%) 이상이고, 브레이크 페달 감지 신호(BPS)가 소정의 임계 값(b%) 이상인지 판단한다(S2). S2 판단 결과 “예”이면, 발진 제어부(113)는 발진 제어에 진입한다. 도 4의 그래프에서 시점 T0이 발진 제어 진입 시점이다.The oscillation control unit 113 may detect an oscillation control use input (S1). The oscillation control unit 113 may detect an oscillation operation by receiving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ignal (APS) and a brake pedal detection signal (BPS). The launch control unit 113 may recognize that launch control is a necessary condition through a mechanical/electrica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For example, after the recognition unit of the AVN interface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activated, when the accelerator pedal 91 and the brake pedal 92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start control unit 113 detects this and enters start control. Specifically, the oscillation controller 113 determines whether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ignal AP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and the brake pedal detection signal BP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 (S2 ). If the result of S2 determination is “Yes”, the oscillation control unit 113 enters oscillation control. In the graph of FIG. 4 , time T0 is the entry point for oscillation control.

S2 판단 결과 “아니오”이면, S2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진입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f it is “No” as a result of S2 determin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epeat step S2 to monitor entry.

발진 제어기(113)는 발진 제어 진입에 동기되어 동력 전달 제어부(114)에 신호(PCS)를 전송하여 발진 제어 진입을 알린다. 동력 전달 제어부(114)는 신호(PCS)를 수신하면, 동력 전달 장치(41, 42)에 동력 연결을 지시하는 동력 신호(PS)를 전송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41, 42)는 동력 신호(PS)에 따라 동작하여 연결된다(S3). 그러면, 모터1(10), 모터2(20), 및 모터3(30)는 직접적으로 모두 연결된다. 이를 “직결 상태”라 한다.The oscillation controller 113 is synchronized with the entry into the oscillation control and transmits a signal PCS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4 to notify the entry of the oscillation control. Upon receiving the signal PCS,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may transmit a power signal PS instructing power connection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s 41 and 42 .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s 41 and 42 operate according to the power signal PS and are connected (S3). Then, motor 1 (10), motor 2 (20), and motor 3 (30) are all directly connected. This is referred to as “direct connection”.

발진 제어기(113)는 발진 제어 진입에 동기되어 브레이크 제어부(115)에 신호(BCS)를 전송하여 발진 제어 진입을 알린다. 브레이크 제어부(115)는 신호(BCS)를 수신하면, 브레이크 유압 제어 정지를 지시하는 브레이크 제어 신호(BS)를 유압 실린더(80)에 전송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80)는 브레이크 제어 신호(BS)에 따라 브레이크 유압 제어를 정지한다(S4). 그러면, 브레이크(81-84)에 가해지는 유압이 일정하므로, 전륜(61, 62) 및 후륜(71, 72)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oscillation controller 113 is synchronized with the oscillation control entry and transmits a signal BCS to the brake control section 115 to inform the oscillation control entry. Upon receiving the signal BCS, the brake control unit 115 may transmit a brake control signal BS instructing to stop controlling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80 . The hydraulic cylinder 80 stops controlling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brake control signal BS (S4). Then, since th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brakes 81 to 84 is constant,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front wheels 61 and 62 and the rear wheels 71 and 72 can be kept constant.

발진 제어기(113)는 발진 제어 진입에 동기되어 모터 제어부(116)에 발진 제어 진입을 알리는 신호(MCS1)를 전송하여 발진 제어 진입을 알린다. 모터 제어부(116)는 신호(MCS1)를 수신하면, 모터1(10) 및 모터2(20)의 토크의 합이 소정의 양의 토크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MS1, MS2)를 생성하고, 모터3(30)를 소정의 음의 토크로 회생 제어하기 위한 신호(MS3)를 생성하며, 신호들(MS1-MS3)을 모터1-모터3(10, 20, 30)에 전송한다(S5). 모터 제어부(116)는 모터1(10), 모터2(20), 및 모터3(30) 각각의 토크를 지시하는 토크 감지 신호(TS1, TS2, TS3)를 모터1(10), 모터2(20), 및 모터3(30) 각각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oscillation controller 113 is synchronized with the entry into the oscillation control and transmits a signal MCS1 informing the motor controller 116 of the entry into the oscillation control to inform the entry of the oscillation control. Upon receiving the signal MCS1, the motor control unit 116 generates signals MS1 and MS2 for controlling the sum of the torques of the motor 1 10 and the motor 2 20 to a predetermined amount of torque, and A signal MS3 for regenerating control 3 (30) with a predetermined negative torque is generated, and the signals (MS1-MS3) are transmitted to motor 1-motor 3 (10, 20, 30) (S5). The motor controller 116 transmits torque detection signals TS1, TS2, and TS3 indicating torques of the motor 1 (10), the motor 2 (20), and the motor 3 (30) to the motor 1 (10) and the motor 2 ( 20), and motor 3 (30).

예를 들어, 소정의 양의 토크는 6000Nm로 두 모터1(10) 및 모터2(20)의 최대 토크의 합일 수 있고, 소정의 음의 토크는 -6000Nm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 제어 진입 시, 동력 전달 장치(41, 42)가 연결되어, 모터1-모터3(10, 20, 30)가 모두 연결되는 직결 상태가 되고, 모터1(10) 및 모터2(20)는 발진에 필요한 최대 토크로 동작하고, 모터3(30)는 모터1(10) 및 모터2(20)로부터 제공되는 토크를 회생 제어함으로써, 전기차(1)의 정차조건을 만들 수 있다. 회생 제어에 따라, 전력변환부(93)는 모터3(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95)를 충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positive torque may be 6000 Nm, which is the sum of the maximum torques of the two motors 1 10 and 2 20, and the predetermined negative torque may be -6000 Nm. That is, when starting control is en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s 41 and 42 are connected, and the motor 1 and motor 3 (10, 20, and 30) are all connected to a direct connection state, and the motor 1 (10) And motor 2 (20) operates with the maximum torque required for oscillation, and motor 3 (30) regenerates the torque provided from motor 1 (10) and motor 2 (20) to control the stopping condition of electric vehicle (1).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control, the power converter 93 can charge the battery 95 by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otor 3 30 .

종래에는 발진 제어에서, 브레이크 유압으로 차량을 정차시키고, 모터는 발진 시 낼 수 있는 최대 토크로 미리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브레이크 유압에 한계가 있어 차량을 정차상태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면, 발진 제어에서 모터가 낼 수 있는 최대 토크에도 한계가 있다. 즉, 발진 능력에 한계가 존재한다. Conventionally, in start control, the vehicle is stopped with brake hydraulic pressure, and the motor is operating in advance with the maximum torque that can be generated when starting. However, there is a limit to maintaining the vehicle in a stopped state due to a limit in brake hydraulic pressure. Then, there is a limit to the maximum torque that the motor can produce in the start control. That is, there is a limit to the oscillation capability.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 유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3 개의 모터 중 하나(모터3)를 회생 제동에 이용함으로써, 나머지 두 개의 모터(모터1 및 모터2)를 최대 토크로 제어할 수 있다. Unlik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is maintained constant, and one of the three motors (motor 3) is used for regenerative braking, so that the remaining two motors (motor 1 and motor 2) can be controlled with maximum torque.

발진 제어기(113)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 신호(BPS)가 0%인지 판단한다(S6).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는지가 발진 제어기(113)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The oscillation controller 113 determines whether the brake pedal detection signal BPS is 0% (S6). That is, whether the driver has released the brake pedal is monitored by the launch controller 113 .

S6 판단 결과, 브레이크 페달 감지 신호(BPS)가 0%이며, 발진 제어기(113)는 발진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MCS2)를 모터 제어부(116)에 전송한다. 모터 제어부(116)는 신호(MCS2)에 따라 모터2(20)의 토크를 최대 기울기로 증가시키는 신호(MS3)를 생성하여 모터3(30)에 전송한다(S7). 도 4의 그래프에서 시점 T1이 발진 시작 시점이다.As a result of determining S6, the brake pedal detection signal BPS is 0%, and the oscillation controller 113 transmits a signal MCS2 instructing the start of oscillation to the motor controller 116. The motor controller 116 generates a signal MS3 for increasing the torque of the motor 2 20 with the maximum slope according to the signal MCS2 and transmits the signal MS3 to the motor 3 30 (S7). In the graph of FIG. 4 , time T1 is an oscillation start time.

모터 제어부(116)는 모터3(30)의 토크가 최대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8). The motor control unit 116 determines whether the torque of the motor 3 (30) has reached the maximum value (S8).

S8의 판단 결과, 모터3(30)의 토크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모터 제어부(116)는 정상 제어를 수행한다(S9). 정상 제어란 발진 제어가 종료된 이후의 모터 제어 동작을 의미한다. 정상 제어 조건에서, 브레이크 유압은 브레이크 페달에 따라 제어된다. 도 4의 그래프에서 시점 T2가 모터3(30)의 토크가 최대치에 도달한 시점이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8, when the torque of the motor 3 (30) reaches the maximum value, the motor controller 116 performs normal control (S9). Normal control means a motor control operation after the oscillation control is finished. Under normal control conditions,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brake pedal. In the graph of FIG. 4 , time T2 is the time when the torque of motor 3 (30) reaches its maximum value.

S8의 판단 결과, 모터3(30)의 토크가 최대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모터 제어부(116)는 최대 기울기로 모터3(30)의 토크를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MS3)를 유지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8, if the torque of the motor 3 (30) has not reached the maximum value, the motor control unit 116 maintains the control signal (MS3) for increasing the torque of the motor 3 (30) with the maximum slope.

이와 같이, 발진 대기 상태인 경우에도, 모터3(30)를 통해 모터1(10) 및 모터3(30)의 토크 에너지를 회수하고, 기존 브레이크 유압 조건 대비 모터1-모터3(10, 20, 30)으로부터 출력되는 토크의 변화 속도가 월등히 빠르므로 발진 능력이 개선된다. In this way, even in the start standby state, the torque energy of the motor 1 (10) and the motor 3 (30) is recovered through the motor 3 (30), and the motor 1-motor 3 (10, 20, Since the speed of change of the torque output from 30) is much faster, the oscillation capability is improv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발진 능력을 종래와 비교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comparing the oscillation capabilit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the conventional one.

도 5에 도시된 종래 차량에서의 발진 시 브레이크 유압 상승 기울기는 2200Nm/s이다. 도 5의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에서의 발진 제어 시 모터의 토크는 브레이크 유압 이하로 제어된다. In the conventional vehicle shown in FIG. 5,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rise gradient upon starting is 2200 Nm/s. As indicated by the thick solid line in FIG. 5 , the torque of the motor is controlled below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during start control in a conventional vehicle.

이와 달리, 본 발명은 모터2의 회생 제동을 이용하여, 발진 시에 브레이크 유압 이상으로 모터의 토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의 토크 상승 기울기는 4000Nm/s이다. Unlik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regenerative braking of motor 2, torque of the motor can be used more than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when starting. As shown in FIG. 5, the slope of the torque increase of Motor 2 is 4000 Nm/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als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range

1: 전기차
10, 20, 30: 모터1-3
41, 42: 동력 전달 장치
1: EV
10, 20, 30: motor 1-3
41, 42: power transmission device

Claims (14)

전륜을 구동하는 제1 모터;
후륜을 구동하는 제2 모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와 연결되는 제3 모터;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3 모터를 연결하는 제1 동력 전달 장치; 및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3 모터를 연결하는 제2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A first motor that drives the front wheels;
a second motor that drives the rear wheels;
In oscillation control, a third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n the start control,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first motor and the third motor; and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in the start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히면, 상기 발진 제어에 진입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of the electric vehicle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electric vehicle enters the start contr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 페달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혀 있는 동안,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토크를 회생 제어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2,
While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third motor regenerates and controls torques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터의 회생 제어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charged by regeneration control of the third mo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제어 진입 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지 않으면, 상기 제3 모터의 토크는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3,
After entering the start control, if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the torque of the third motor increases with a predetermined sl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전기차의 브레이크 유압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art control, the electric vehicle's brake hydraulic pressure is maintained constant.
전륜을 구동하는 제1 모터, 후륜을 구동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발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히는 단계;
제1 동력 전달 장치 및 제2 동력 전달 장치가,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힐 때, 상기 제1 모터, 상기 제2 모터, 및 상기 제3 모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토크를 회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지 않으면, 상기 제3 모터의 토크는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진 제어 방법.
A starting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first motor driving front wheels, a second motor driving rear wheels, and a third moto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depressing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t the same time;
connecting the first motor,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regenerating, by the third motor, torques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and increasing the torque of the third motor at a predetermined slope when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터의 회생 제어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진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by the regeneration control of the third motor, the oscillation control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전기차의 브레이크 유압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진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the start control, the start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maintaining a constant brak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ctric vehicle.
제1 내지 제3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제3 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동력 전달 장치;
상기 제2 모터와 제3 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동력 전달 장치;
발진 제어에서, 상기 제1 동력 전달 장치 및 상기 제2 동력 전달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를 모두 연결하는 동력 전달 제어부; 및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동력 전달 제어부에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알리는 발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first to third motors;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tor and the third motor;
a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motor and the third motor;
In starting control,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connect all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and
And an oscillation control unit that detects the entry of the oscillation control and informs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of the entry of the oscillation contro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제어부는,
상기 전기차의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히면,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감지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10,
The oscillation control unit,
Wh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of the electric vehicle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the start control entry is sens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 페달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밟혀 있는 동안, 상기 제3 모터가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토크를 회생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mo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third motors so that the third motor regenerates the torqu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while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electric ca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발진 제어 진입 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지 않으면, 상기 제3 모터의 토크가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하도록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12,
The motor control unit,
If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after entering the start control, the electric vehicle controls the third motor so that the torque of the third motor increases with a predetermined slo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제어부로부터 상기 발진 제어 진입을 수신하고, 상기 전기차의 브레이크 유압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According to claim 10,
The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brake control unit receiving the start control entry from the start control unit and constantly controlling brak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ctric vehicle.



KR1020210071899A 2021-06-03 2021-06-03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KR20220163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899A KR20220163586A (en) 2021-06-03 2021-06-03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899A KR20220163586A (en) 2021-06-03 2021-06-03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586A true KR20220163586A (en) 2022-12-12

Family

ID=8439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899A KR20220163586A (en) 2021-06-03 2021-06-03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5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205B2 (en) Braking control apparatus
US8116927B2 (en) Dynamic traction control
KR1015667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hybrid vehicle
CN112823117B (en) Trailer brake controller, method and software for the same, and trailer vehicle having the same
CN107826099B (en)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WO2017129092A1 (en) Auxiliary braking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ic automobile
EP2394890A1 (en) Vehicle trailer equipped with an additional traction system, vehicle with said trailer,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dditional traction system
US8746380B2 (en) Method for operation of a braking system of a hybrid vehicle, braking system and vehicle
KR101714238B1 (en) Braking control method for eco-friendly vehicle
KR1015667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rque intervention of hybrid vehicle
KR102353346B1 (en) Bra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US20220097786A1 (en) Trailer vehicle and trailer brake controller,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US11634138B2 (en) Electric vehicle
US20220340018A1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1221798B1 (en)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JP6561642B2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KR1017554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of electric vehicle
US11691520B2 (en) System for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vehicle having same and method for same
KR20220163586A (en) La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vehicle using the same
JP2016005291A (en) vehicle
CN105015539B (en) Traction control for hybrid electric powertrain system
US10112488B2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20220005160A (en)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electric four-wheel drive vehicle
KR102619724B1 (en)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180012576A (en) Battery charge control apparatus of regenerative breaking in range extender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