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178A -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178A
KR20220163178A KR1020210071762A KR20210071762A KR20220163178A KR 20220163178 A KR20220163178 A KR 20220163178A KR 1020210071762 A KR1020210071762 A KR 1020210071762A KR 20210071762 A KR20210071762 A KR 20210071762A KR 20220163178 A KR20220163178 A KR 2022016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aby bottle
measured
user termi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귀현
박근주
Original Assignee
에스투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투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투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3178A/ko
Publication of KR2022016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8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differences of values; giving differentiated values
    • G01K3/14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differences of values; giving differentiated values in respect of sp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2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2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과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젖병을 통하여 아이에 대한 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에서, 피측정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와 연결되어 온도를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으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센서가 배치되며 젖병 또는 신체의 제 1 위치에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온도 측정 센서에 연결되며 측정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의 온도 측정 센서가 피측정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달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신호와 피측정물의 정보로부터 상기 젖병 또는 신체에서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Temperature Detecting System for a Feeding Bottle and Human Body}
본 발명은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으로, 하나의 온도센서를 활용하여 젖병과 신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분유에는 열에 약한 영양소가 들어 있어서 끓는 물을 이용하면 분유의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다. 그렇다고 미지근한 물에 타면 분유가 제대로 녹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물의 온도 60~70℃에서 분유를 녹이고, 아기에게 먹일 때는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먹이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는 대략적인 온도가 아닌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737호는 온도 표시 젖병을 제안하고 있다. 젖병의 용기에 온도계를 다는 구성이다. 이런 기술로는 세세한 구성은 다르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24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0074호등이 있다.
하지만, 젖병의 경우에 위생을 위하여 고온에서 살균처리가 필요한데, 젖병에 온도계를 다는 경우에 살균 처리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30826호와 같이 젖병 외부에 별도의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온도/무게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온도 측정도 정확하지 못하여 활용도가 낮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단말과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젖병을 통하여 아이에 대한 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피측정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와 연결되어 온도를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으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센서가 배치되며 젖병 또는 신체의 제 1 위치에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온도 측정 센서에 연결되며 측정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의 온도 측정 센서가 피측정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달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신호와 피측정물의 정보로부터 상기 젖병 또는 신체에서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젖병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상기 피측정물의 정보는 젖병 또는 신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측정물이 젖병으로 입력받으면, 상기 계산 단계에서 상기 젖병 내면인 제 2 위치와 상기 홈과 상기 접촉면이 접촉하는 제 1 위치에서의 온도차를 고려하여 상기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접촉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에 상기 제 1 통신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젖병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크기는 상기 젖병의 홈의 외면 크기보다 커서 상기 온도 측정부가 젖병의 홈에 삽입될 때, 상기 홈을 확장 및 수축되어 상기 접촉면이 상기 홈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신체에 접착되도록 상기 접촉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피측정물에 위치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측정물이 신체로 입력 받으면, 상기 계산 단계에서 상기 신체의 부착 위치와 신체 기준 위치와의 차이를 고려하여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유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복수 개의 센서가 상기 유연 기판 상에서 하나의 접촉면 상에 배치되는 면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의 값으로부터 얻어진 값의 평균값 혹은 중간값을 활용하여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계산 단계 전에 피측정물인 젖병의 크기 또는 상기 온도 측정부가 부착되는 신체 위치를 입력받는 피측정물 정보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젖병의 크기 및 신체 위치도 고려하여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간에 따른 상기 피측정물의 제 2 위치의 온도 변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 후에 수행되며, 계산된 제 2 위치의 온도가 젖병 또는 신체의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표시하는 알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전극 간격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회로가 구비된 유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과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젖병을 통하여 아이에 대한 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의 측정 뿐만 아니라, 젖병의 살균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온도 센서의 활용이 가능한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젖병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온도 측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온도 측정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사용자 단말의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에서 젖병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은 온도 측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 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도 1 의 젖병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도 2 의 온도 측정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도 2 의 온도 측정부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도 1 의 사용자 단말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은 피측정물, 즉, 젖병(10) 및 신체(H)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측정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100)와 연결되어 온도를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온도 측정부(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은 무선 연결일 수 있으며, 무선 연결은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연결을 포함한다.
온도 측정부(100)가 측정하는 젖병(1)은 본체(10)의 하부에는 홈(20)을 포함하며, 상기 홈(20)에 온도 측정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2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젖병(1) 본체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 온도 측정부(100)를 배치하는 것이 온도의 측정에 유리하기 때문에, 홈(20)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에는 이러한 온도 측정부(100)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100)는 기판(120); 상기 기판(120)에 배치되는 온도 측정 센서(110); 상기 온도 측정 센서(110)의 일면이 향하는 방향에서 젖병(1)의 제 1 위치(P2)에 접촉하는 접촉면(111) 및 상기 온도 측정 센서(110)에 연결되며 측정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제1통신부(130); 제1통신부(130)와 상기 온도 측정 센서(110)에 연결되며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140); 및 상기 기판(120)에서 접촉면(111)이 배치된 면에 구비되는 접착부(150)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 센서(110)는 전극 간격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회로가 기판(120)에 인쇄된 인쇄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온도 센서는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18/164570 등에 공개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기판(120)은 온도 측정 센서(110)가 인쇄되며, 상기 온도 측정 센서(110)의 신호를 받아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기 위한 제1통신부(130) 및 전원부(140)가 연결된다. 기판(120)은 온도 측정 센서(110)가 피측정물, 젖병(1)에 밀착하기 쉽도록 유연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며, 전원부(140)는 온도 측정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외부에서 유도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충전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접착부(150)는 기판(120)이 피측정물에 밀착하게 하는 구성으로, 기판(120)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120) 상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부(150)는 일종의 양면 테이프로 피측정물 및 기판(120) 양쪽 면에 부착되며, 적어도 온도 측정 센서(110)의 일부를 둘러싸서, 온도 측정 센서(110)의 밀착을 돕는다.
젖병(1)의 경우에 열전도율이 낮으면서, 아이의 감각적 욕구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으로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본체(10)의 온도가 낮아서 본체(10)의 내부면(P1)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 온도 측정부(100)는 젖병(1)의 본체(10) 하부에 형성된 홈(20)에 배치되어, 본체(10) 두께가 작은 곳에 배치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두께(t)로 인하여 내부면(P1)의 온도와 홈(20)의 외면(P2)의 위치에서 온도가 동일하지는 않으며, 그에 따라서, 아무리 온도 측정부(100)가 정확하게 온도 측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젖병(1) 내부면(P1)의 온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어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복수의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제1통신부(1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신호와 피측정물의 정보로부터 상기 젖병 또는 신체의 제 1 위치(P2)와 다른 제 2 위치(P1)의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내부면(P1)의 정확한 온도를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에 대하여는 도 6 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120)은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판(120)을 포함한 내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의 크기는 상기 젖병(1)의 홈(20)의 입구(21)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온도 측정부(100)가 젖병의 홈(20)에 삽입될 때, 상기 홈(20)이 확장 및 수축되어 상기 접촉면(111)이 상기 홈(20)에 밀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 측정부(100)는 젖병(1)이 부착됐다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젖병(1) 외에 별도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간 활용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온도 측정부(10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젖병을 살균할 수도 있어서, 온도 측정부(100)에 구성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인쇄 온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온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분리된 온도 측정부(100)는 도 4 에서와 같이 신체(H)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신체에 부착하여 체온계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온도 측정부(100)에서 온도 측정 센서(110)는 평면 상에서 폐곡선 혹은 각형으로 형성되는 접착부(15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어, 온도 측정 센서(110)는 일종의 면센서로 동작한다. 즉, 접촉면(111)의 여러 포인트에서 온도를 측정 신호를 생성하며, 이러한 신호는 센서 자체의 정확도와 함께 접촉 위치에 따른 편차도 제거하여 온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 예를 들면 휴대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폰, 테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등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을 도시하고 있다. 온도 측정부(100)의 제1통신부(130)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210), 상기 제2통신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30)와 연결되며 제2통신부(210)를 통하여 제공되는 온도 신호를 온도로 연산하는 프로세서(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부로써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일부 영역에 피측정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입력영역(24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영역(240)을 조작함으로써, 피측정물에 대한 정보가 프로세서(220)로 제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프로세서(220)에서 온도 신호 및 피측정물에 대한 정보로부터 연산한 온도값을 표시하는 온도 표시 영역(250) 및 시간에 따른 온도값의 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그래프 영역(2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온도 측정부(100)는 피측정물의 온도에 의해서 온도 신호를 생성한다. 즉, 온도 측정부(100)에 의해서 피측정물의 온도가 측정되는 측정 단계(S10)가 수행된다. 그 후 측정 단계(S10)에서 측정된 온도 신호가 온도 측정부(100)의 제1통신부(1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는 전달 단계(S20)가 수행된다. 이렇게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된 온도 신호는 온도값으로 계산된 후 사용자가 입력한 피측정물의 종류, 즉, 젖병(1)인지 아니면 신체(H)인지에 따라서 수정 계산되는 계산 단계(S30)가 수행된다.
앞에서 보이듯이, 온도 측정부(100)에서 온도 측정 센서(110)가 복수 개인 경우에, 각각이 온도 신호에 대하여 계산한 후 평균값 혹은 중간값을 선택하여 대표 온도값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위치에 대한 신호값을 전체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복수의 위치에서 측정하여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온도 측정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신호의 편차가 큰 경우에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산 단계(S30)에서는 온도 측정 센서(110)에서 측정된 값을 단순히 온도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피측정물을 정보를 고려하여 온도 측정 센서(110)가 측정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의 온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젖병(1)의 경우에 홈(20)이 형성된 젖병(1)에서 홈(20)에서의 두께(t)는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젖병(1)의 본체(10)의 소재에서 온도 밸런스가 이루어졌을 때, 본체(10)의 내측 위치에서의 온도와 외측 위치에서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 혹은 온도 차이값을 저장해뒀다가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값에 차이값을 반영하여 계산한다. 젖병(1)의 경우 두께(t)가 변화되는 경우에 제 1 위치(P2)와 제 2 위치(P1)의 온도 차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젖병(1)의 크기, 혹은 두께(t)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입력 받아 반영할 수도 있다.
다르게, 신체(H)의 경우에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온도 측정부(100)가 신체에서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부분, 예를 들면 겨드랑이에 밀착되기 어려우므로, 평평한 면에 부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신체(H)의 온도가 정확하게 나오는 부분과 온도 측정부(100)가 부착될 수 있는 부분, 예를 들면 팔뚝과 겨드랑이와의 온도차이를 계산 혹은 온도 차이값을 저장해뒀다가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값에 차이값을 반영하여 계산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하여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온도 차이를 계산 혹은 해당 위치에 대한 저장된 차이값을 반영하여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측정 단계(S10)에서 계산 단계(S3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반복 수행에 의해서 얻어진 온도값은 디스플레이부(230)의 그래프 영역(26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젖병에 부착된 온도 측정부(1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젖병(1)의 홈(20)에 부착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젖병(1)의 홈(20)에 안쪽보다 작은 입구(21)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이 도 2 의 젖병(1)과의 차이점이다.
이 경우의 온도 측정부(100)의 모습이 도 8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온도 측정부(100)는 온도 측정 센서(110)가 배치되는 일부 영역은 유연한 재질의 기판이, 나머지 영역은 일반 재질의 기판이 서로 연결된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측정 센서(110)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고 접착부(150)가 배치되며, 제1통신부(130) 및 전원부(140)는 온도 측정 센서(110)와 다른 영역에 배치된다. 물론 이 실시예도 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레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의 수행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서 보이듯이, 측정 단계(S10), 전달 단계(S20), 계산 단계(S30)까지는 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계산 단계(S30)에서 얻어진 온도값이 피측정물의 종류에 따른 온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알림 단계(S4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동 모듈을 동작, 소리 모듈을 동작 및 디스플레이부(230)에 팝업을 생성시키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젖병(1) 또는 신체(H)에서 온도 범위를 벗어남으로 주의할 사항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젖병 10: 본체
20: 홈 21: 입구
100: 온도 측정부 110: 온도 측정 센서
120: 기판 130: 제1통신부
140: 전원부 150: 접착부
200: 사용자 단말 210: 제2통신부
220: 프로세서 230: 디스플레이부
240: 입력 영역 250: 온도 표시 영역
260: 그래프 영역

Claims (10)

  1. 피측정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와 연결되어 온도를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으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센서가 배치되며 젖병 또는 신체의 제 1 위치에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온도 측정 센서에 연결되며 측정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부의 온도 측정 센서가 피측정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달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신호와 피측정물의 정보로부터 상기 젖병 또는 신체에서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젖병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상기 피측정물의 정보는 젖병 또는 신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측정물이 젖병으로 입력받으면, 상기 계산 단계에서 상기 젖병 내면인 제 2 위치와 상기 홈과 상기 접촉면이 접촉하는 제 1 위치에서의 온도차를 고려하여 상기 온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접촉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에 상기 제 1 통신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젖병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크기는 상기 젖병의 홈의 외면 크기보다 커서 상기 온도 측정부가 젖병의 홈에 삽입될 때, 상기 홈을 확장 및 수축되어 상기 접촉면이 상기 홈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신체에 접착되도록 상기 접촉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피측정물에 위치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측정물이 신체로 입력 받으면, 상기 계산 단계에서 상기 신체의 부착 위치와 신체 기준 위치와의 차이를 고려하여 온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복수 개의 센서가 상기 유연 기판 상에서 하나의 접촉면 상에 배치되는 면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의 값으로부터 얻어진 값의 평균값 혹은 중간값을 활용하여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 전에 피측정물인 젖병의 크기 또는 상기 온도 측정부가 부착되는 신체 위치를 입력받는 피측정물 정보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젖병의 크기 및 신체 위치도 고려하여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 2 위치의 온도를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간에 따른 상기 피측정물의 제 2 위치의 온도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 후에 수행되며, 계산된 제 2 위치의 온도가 젖병 또는 신체의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표시하는 알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전극 간격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회로가 구비된 유연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KR1020210071762A 2021-06-02 2021-06-02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KR20220163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62A KR20220163178A (ko) 2021-06-02 2021-06-02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62A KR20220163178A (ko) 2021-06-02 2021-06-02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178A true KR20220163178A (ko) 2022-12-09

Family

ID=8444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62A KR20220163178A (ko) 2021-06-02 2021-06-02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1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2735B2 (ja) 温度計及び温度計測方法
US6794990B2 (en) Electronic patch thermometer
US20190343397A1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and wireless monitoring and analysis of temperature in organisms
JP5732737B2 (ja) 温度測定装置及び温度測定方法
US20100298677A1 (en) Wireless ring-type physical detector
US20090299682A1 (en) Surface temperature profile
KR20160120396A (ko) 패치형 체온계, 이를 포함하는 실시간 체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 측정 방법
US20140046199A1 (en) Method for measuring human vital signs and portable terminal adopting the same
KR20120026384A (ko) 유아용 온도 패치
GB2561193A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and wireless monitoring and analysis of temperature in organisms
JP2016086873A (ja) バイタル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動作方法
EP3860445B1 (en) Sensor system with no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inuous and wireless monitoring and analysis of temperature in organisms
KR101984565B1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의 운동 관리 방법
KR20220163178A (ko) 젖병 및 신체 온도 측정 시스템
US20220133153A1 (en) Smart thermo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using the same
JP5351681B2 (ja) 体温検出システム
NO20181285A1 (en) Sensor system with no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inuous and wireless monitoring and analysis of temperature in organisms
JP2012098041A (ja) 温度計及び温度計測方法
US2021029860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airing method for measurement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JP2011185819A (ja) 温度計及び温度計測方法
US20190059742A1 (en)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system with heat isolation mechanism
JP2014055963A (ja) 温度計
US119748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ody temperature
CN210953050U (zh) 一种婴儿喂养数据的监测统计系统
JP2014167480A (ja) 温度計及び温度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