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957A -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957A
KR20220162957A KR1020210071219A KR20210071219A KR20220162957A KR 20220162957 A KR20220162957 A KR 20220162957A KR 1020210071219 A KR1020210071219 A KR 1020210071219A KR 20210071219 A KR20210071219 A KR 20210071219A KR 20220162957 A KR20220162957 A KR 20220162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sting
sale
hous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구
Original Assignee
위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티(주) filed Critical 위티(주)
Priority to KR102021007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957A/ko
Publication of KR2022016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3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data annotations, e.g. user-defined meta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을 수신하여 제 1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이 제 1 매물을 검색할 때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주택 매물 정보를 기초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구성원수, 구성원의 나이, 선호지역, 이사희망일 및 융통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REAL ESTATE INFORMATION BASED ON SHARING REAL ESTATE OF INTERES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부동산 중개인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게 공유하여, 부동산 중개인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관심정보와 유사한 거래가능한 매물을 사용자의 관심정보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주택매물을 추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구입 또는 판매하려고 할 때 부동산 중개업소나 정보매체를 이용하게 되는데, 과거에는 매수자가 매물정보를 중개업자로부터 확인 및 권유를 받아 매수하려는 주택의 소재지를 방문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이러한 중개업자의 업무를 대신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제공하는 한정적인 조건(예를 들어, 원하는 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의해 무작위로 선별하여 주택 매물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또한, 종래의 부동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공한 검색어에 한정하여 매물을 검색한다는 수동적인 한계를 가지고, 현재 사용자가 확인 중에 있는 매물을 중개업자가 확인할 수 없기에 고객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부동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힘들게 검색한 매물의 실시간 상태에 대해서 반영이 느리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정보에 등록한 주택매물정보를 부동산 중개인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게 공유하여, 부동산 중개인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관심정보와 유사한 다른 매물을 사용자의 관심정보 리스트 내에 추가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원활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관심정보를 추천해주므로, 사용자의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매물 찾기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을 수신하여 제 1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이 제 1 매물을 검색할 때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주택 매물 정보를 기초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구성원수, 구성원의 나이, 선호지역, 이사희망일 및 융통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 이후 제 1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b) 단계 내지 (c)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c-1) 서버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또는 (c-2)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서버가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주택 매물을 중개자 단말로 전송하고, 중개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 2 매물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이 제 2 매물 리스트에서 특정 제 2 매물을 관심정보로 선택하면, 특정 제 2 매물의 가중치 값을 산출하고, 서버의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제 1 매물 및 제 2 매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시키되, 상세 정보는 매물의 동/층 수, 매물의 상태, 방향, 융자금, 기타 조건, 이사 가능 날짜, 매칭 날짜, 방문 날짜 및 계약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이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매물을 선택하면, 매물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중개자 단말로 제 2 매물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면, 수정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매물 리스트의 매물을 수정하고, 수정된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매물 리스트는 매물의 거래가능 여부와 관계없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매물로 구성되되, (c) 단계는 제 1 매물 중 거래가 불가능한 매물을 삭제하여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제 2 매물 리스트는 서버가 제 1 매물 및 제 2 매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반하여, 각 매물마다 해시태그를 생성하여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이 특정 해시태그를 입력하면, 특정 해시태그에 대응되는 매물을 필터링하여 표시하되, 상세 정보는 매물의 동/층 수, 매물의 상태, 방향, 융자금, 기타 조건, 이사 가능 날짜, 매칭 날짜, 방문 날짜 및 계약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후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중개자 단말에서 표시되되, 중개자 단말로 표시되는 리스트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는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이 구비되어, 중개자 단말이 수정 버튼을 입력하면, 수정 버튼에 대응되는 매물에 대한 정보의 수정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에 있어서,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을 수신하여 제 1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고,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이 제 1 매물을 검색할 때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주택 매물 정보를 기초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구성원수, 구성원의 나이, 선호지역, 이사희망일 및 융통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매물추천방식을 따르지 않고,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다른 객체(공인중개사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게 공유하여, 관심정보 리스트 상에서 다른 객체가 추천한 주택매물을 제시함에 따라, 추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매물거래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부동산매물추천알고리즘 기반으로 공인중개사에게 사용자의 추천매물리스트를 제공하여 공인중개사의 추천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부동산매물추천알고리즘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매물을 선별하여 추천하므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매물 추천이 가능하다.
또한, 부동산 중개인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리스트를 함께 확인하고, 실제 거래가 가능한지 혹은 잘못된 매물이나 추천 매물이 있는지 여부를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추천기능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 매물을 등록 및 공유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 매물을 등록 및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개자 단말의 개입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매물 리스트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개자 단말에 표시되는 매물 리스트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나 중개자 단말(300)로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기술은 사용자의 개인정보(사용자 정보)를 수집한 후 사용자에게 맞는 맞는 매물의 리스트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공한 후 사용자가 매물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매물을 관심정보에 담는 과정이 선행된다.
따라서, 선행되는 과정에 대해서 아래에서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주택 매물을 검색하여 검색의 결과로 산출된 주택 매물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리스트에서 주택 매물을 관심정보로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의 정보와 선택된 매물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주택 매물의 검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란 사용자의 개인정보, 이사 희망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호장소, 최대 융통 가능 금액, 거래형태 및 주택 매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길 원하는 편의시설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정보란 가족 구성원의 나이, 인원수 등이 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호장소란 사용자가 자주 왕래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로, 본인 및 배우자의 출퇴근지나 자녀의 학교 및 부모님이 사는 지역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길 원하는 편의시설은 매매하려는 주택 매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기 원하는, 학교나 병원, 대형마트, 공원 등과 같은 편의 및 문화 시설에 관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주택매물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주택 매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주택 매물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의 조건에 대응되는 주택 매물을 검색하고, 이를 리스트화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회신한다.
이때, 서버(100)의 주택 매물을 검색 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리스트로 제공한다.
이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주택 매물의 리스트에서 관심정보로서 선택한 주택 매물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입력한 사용자 정보의 조건과 사용자가 관심정보로 선택한 주택 매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기계학습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추천할 주택 매물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 횟수 및 관심 매물정보 입력 횟수가 늘어날수록 기계학습의 훈련데이터가 많아져, 더 정확한 사용자 정보에 맞는 주택 매물 추천이 가능해진다.
이때, 사용되는 맵핑 알고리즘과 부동산 매물 추천 알고리즘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유사하다.
먼저 맵핑 알고리즘 관련하여, 입력조건으로 '구성원들의 인수 및 나이'가 서버(100)에 수신되면, '방의 면적, 방 및 화장실 갯수'를 주 반영 요소로 고려하게 된다. 이는, 다른 입력조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입력조건으로 '구성원들의 선호장소'를 수신하면, 매물을 고려할 시 '위치 좌표'에 반영하게 된다. 그 밖에도 입력조건으로 '이사희망일'이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전세 거래일'을 산출하거나, '최대 융통 가능 금액을 입력하면, 이를 매물에 대한 '최근 실거래가 혹은 전세가율'에 반영하여 주택매물을 검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정보로서 특별한 입력조건으로 '응급실이 있는 대형병원; 대형마트; 교육환경; 공원; 새 아파트; 자동차 보유 유무; 대단지; 차 없는 단지 내 도로; 등'이 입력되면, 서버(100)는 맵핑 알고리즘에 기초하여'주차장 지하화 여부/한 세대당 주차공간, 관리비, 새 아파트 여부, 준공년도(주택나이), 세대 수, 커뮤니티 센터 여부 등'의 정보를 각 매물마다 도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갖는 주택 매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 매물 추천 알고리즘은 특별한 입력조건으로부터, '교통, 교육 및 편의 시설 조건'에 관한 주택입지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주택입지데이터를 보유한 주택 매물 중 사용자가 선택한 POI와 인접한 주택 매물을 검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러한 입력조건에 따른 반영 요소를 통해 주택매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딱 맞는 주택 매물을 추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추천 받은 주택 매물의 리스트에서 관심정보로 선택된 주택 매물을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맵핑 알고리즘과 주택 매물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학습의 대상이 되는 정보는 상술한 맵핑 알고리즘과 주택 매물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가중치가 될 수 있고, 가중치가 업데이트 된 후 사용자에게 매물을 추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정보로 30대 신혼부부가 종로와 강남역을 중요한 곳으로 지정하였고 병원을 원하는 시설로 지정하였다는 정보가 서버로 수신된 후, 해당 사용자가 종로의 A주택을 관심정보로 저장한 경우,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입력값이 "30대 신혼부부, 중요한 곳은 종로와 강남역, 병원시설선호"일때 출력값이 "A주택의 정보(즉, 지하철역에서 떨어진 정도, 평수, 주변시설정보, 방개수 등)"가 되도록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중치를 기계학습할 경우, '어떤 나이대의 어떤 가족구성원 조건의 사용자들은 주로 어떤 주택을 좋아하더라'와 같은 사용자들의 선호정보를 학습할 수 있게 되고, 각 사용자별로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매물을 정확하게 추천해줄 수 있다.
간단하게, 서버(100)는 사용자가 매칭 신청한 주택이 사용자에게 잘 맞는 주택이라고 가정값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신청한 주택이 갖는 입지 조건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여, 저장된 속성정보로 학습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설의 가중치값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추가 주택 매물을 추천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상기의 맵핑 알고리즘과 부동산 매물 추천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주택 매물의 리스트에서 특정 주택 매물을 관심정보로 선택하게 되면,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와 관심정보로 선택된 매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추가적인 매물을 산출하거나, 중개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매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이 관심정보로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주택 매물의 정보를 제 1 매물이라 지칭하고, 상기 제 1 매물로 구성되는 리스트를 제 1 매물 리스트라 지칭한다.
또한, 서버(100)가 제 1 매물 리스트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와 주택 매물 정보에 부합되는 제 2 매물을 검색하여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 후 사용자 단말(200)과 중개자 단말(3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 1 매물에 의해 산출된 정보에 해당 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매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 부동산 서버를 통해 주택 매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중개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출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주택 매물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대응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매물의 조건을 입력하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성과 형태는 자유롭게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 실시예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챗봇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서버(100)가 원하는 주택 매물에 대한 질문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그에 대답을 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질문에 대한 보기가 주어지는 선택지의 형태, 사용자가 주택 매물에 대한 문장을 입력하면, 입력된 문장으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 등이 추가 실시예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검색의 결과로 제공되는 제 1 매물 리스트나, 서버(100)가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제 1 매물을 기반으로 새롭게 형성된 제 2 매물 리스트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개자 단말(300)은 부동산을 중개해주는 중개인이 사용하는 단말에 대응된다.
이때, 중개자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될 제 1 매물 리스트 혹은 제 2 매물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을 수정하거나, 신규 매물을 추천하기 위한 수정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된다.
앞서 서술된 과정은,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에 설치된 주택 매물을 등록 및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고, 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자 단말(3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정보, 주택 매물 정보 및 매물 리스트의 생성에 필요한 매물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 정보, 주택 매물 정보, 매물 리스트의 생성에 필요한 매물의 정보 및 알고리즘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 매물을 등록 및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을 수신하여 제 1 매물 리스트를 생성한다(S310).
이때, 서버(100)는 단계(S310) 이후 제 1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서버(100)는 단계(S320) 내지 단계(S340)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최초로 자신의 조건(사용자 정보를 입력)에 맞는 주택 매물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으나, 서버(100)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더 검색된 주택 매물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천받을 수도 있다. 이때, 제 1 매물 리스트는 매매 대상이 아닌 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아직 매매나 전세 매물로 나오지 않은 매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추천 알고리즘이나 부동산 중개인에 의해, 매매 대상이 되며 사용자의 성향에 부합하는 매물이 추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관심정보에 담겨지는 방식으로 추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기 위해 선택적 실시예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 직접 검색 기능과 자동 검색 기능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직접 검색 기능이 선택되면, 단계(310) 이후 사용자의 관심정보에는 자신이 선택한 제 1 매물 리스트만이 포함되어 있게 되고, 자동 검색 기능이 선택되면 단계(310) 내지 단계(340)를 거쳐 다른 객체가 추천한 매물을 포함하는 제 2 매물 리스트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주택 매물을 검색(필터링)하여 제공한 후 사용자 단말(200)이 선택한 관심정보로서 선택한 매물과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입력한 사용자 정보의 조건과 사용자가 관심정보로 선택한 주택 매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기계학습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추천할 주택 매물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검색 횟수 및 관심 매물정보 입력 횟수가 늘어날수록 기계학습의 훈련데이터가 많아져, 더 정확한 사용자 정보에 맞는 주택 매물 추천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한다(S320).
이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복수의 제 1 매물들에 포함된 정보 중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을 갖는 공통된 정보를 주택 매물 정보로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검색의 결과로 각각 방이 3개인 매물이 3개가 검색되고, 방이 2개인 매물과 4개인 매물이 각각 1개씩 검색되었다고 가정하면, 서버(100)는 주택 매물 정보로 방이 3개인 매물을 찾게 된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인공지능 추천 알고리즘 또는 중개자 단말(300)을 통하여 제 2 매물 리스트 생성 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330).
단계(S330)에서 서버(100)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제 2 매물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인공지능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제2매물리스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중개자 단말(300)로부터 제 2 매물리스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중개자 단말(300)에게 제1 매물리스트가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개자 단말(300)에게도 인공지능 추천 알고리즘을 통한 매물 추천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첫 번째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제 1 매물을 검색할 때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주택 매물 정보를 기초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계(S330)는 서버(100)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앞서 설명한 맵핑 알고리즘과 부동산 매물 추천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매물 리스트에서 특정 제 2 매물을 관심정보로 선택하면, 서버(100)는 특정 제 2 매물의 가중치 값을 산출하여 맵핑 알고리즘과 부동산 매물 추천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제 1 매물 리스트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매물의 거래가능 여부와 관계없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매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30)에서 서버(100)는 제 1 매물 중 거래가 불가능한 매물을 삭제하여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추가 실시예로, 주택 매물이 매매가 가능한 상태가 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서버(100)는 제 1 매물 리스트를 중개자 단말(300)로 함께 전달하여,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이때, 중개자 단말(300)은 후술할 도 6a 및 도 6b에 묘사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물 리스트에서 특정 매물에 대한 세부정보를 수정하거나, 사용자에게 추천할 신규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중개자 단말(300)이 신규 매물을 추가하여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면, 서버(100)는 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그 밖에도 중개자 단말(300)의 수행되는 매물 리스트의 수정 과정은 후술할 도 4를 통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330)에서 서버(100)는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제 1 매물 및 제 2 매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세 정보는 매물의 동/층수, 매물의 상태, 방향, 융자금, 기타 조건, 이사 가능 날짜, 매칭 날짜, 방문 날짜 및 계약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그에 따라, 단계(S330) 이후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매물을 선택하면, 해당 매물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개자 단말(300)의 개입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중개자 단말(300)로 매물 리스트를 전달한다(S410).
이때, 중개자 단말(300)로 전달되는 매물 리스트는 제 1 매물 리스트 혹은 제 2 매물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서버(100)가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중개자 단말(300)도 사용자 단말(200)이 보게 되는 매물 리스트가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중개자 단말(300)로부터 수정 정보를 수신한다(S420).
단계(S410)에서 매물 리스트를 확인한 부동산 중개인은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에 대한 정보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의 수정이 필요한 매물(잘못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거나, 거래가 불가능한 매물)에 대한 수정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수정 정보는 단순히 정보에 대한 수정 외에도, 추가 매물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중개자 단말(300)로부터 추가 매물을 수신하면, 제 2 매물 리스트에 추가 매물을 포함시키고,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수정 정보에 기반하여 매물 리스트를 수정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수정된 매물 리스트를 제공한다(S430).
즉, 최종적으로 서버(100)는 부동산 중개인을 통해 매물에 대한 실제 정보를 보정하거나, 부동산 중개인만 알고 있는 매물에 대해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매물 리스트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는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매물에 대응되는 주택 매물 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주택 매물에 대한 관심정보를 선택하지 않아,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시되는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는 최초로 비어있는 리스트(510)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비어있는 리스트(510)의 일 영역에는 직접 검색 기능과 타 매물 추천기능에 대한 선택지(520)가 제공된다. 만약, 사용자 단말(200)이 선택지에서 타 매물 추천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주택 매물 정보 및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제 2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표시하게 된다. 반대로 직접 검색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만을 기초로 검색된 매물 중 관심정보로 선택된 제 1 매물이 포함되는 제 1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직접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주택 매물을 검색한 이후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에 대한 제 1 매물 리스트(530)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이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매물 리스트에는 각각의 매물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남산타운"이라는 매물의 이름과 "서울 중구 다산로 32"라는 간략한 주소 등이 표시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도 5b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매물 리스트(530)의 일 영역에는 서버(100)로 하여금 제 2 매물을 검색하여 제 2 매물 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서버(100)가 추천한 제 2 매물이 포함된 제 2 매물 리스트(540)의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선택적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제 2 매물 리스트(540)는 서버(100)가 제 1 매물 및 제 2 매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반하여, 각 매물마다 해시태그(550)를 생성하여 부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이 특정 해시태그(550)를 입력하면, 특정 해시태그(550)에 대응되는 매물을 필터링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해시태그(550)인 "#올수리"를 입력하면, 검색된 복수의 매물 중 최근에 수리가 진행된 매물들이 검색되어 필터링하게 된다.
그 밖의 추가 실시예로, 중요도가 높은 상세 정보의 경우 특정 색상으로 폰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이 사전에 매물을 찾을 시 중요 사항으로 "호가"를 선택하는 경우, 매물 리스트에서 호가에 대응되는 정보는 빨간 색상의 글씨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융통 금액과 특정 매물과 관련된 실거래가, 시세, 호가 등이 맞지 않아 구매가 힘든 상태라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해당 매물의 상세 정보에 특정 색상의 폰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개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매물 리스트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중개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리스트 인터페이스에는 제목(610)이 인터페이스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목(610)이란 하단에 표시될 매물 리스트(620)가 누구(어느 고객)의 것인지 표시하게 된다.
또한, 매물 리스트(620)에 포함된 매물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주어진다.
구체적으로, 중개자 단말(300)로 표시되는 리스트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는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6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서버(100)는 중개자 단말(300)이 수정 버튼(640)을 입력하면, 수정 버튼(640)에 대응되는 매물에 대한 정보의 수정 기능이 제공하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리스트 인터페이스에는 중개자가 매물을 검색하거나,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변경 버튼(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정 버튼(640)을 통해 매물 리스트(620)의 정보를 수정하더라도, 변경 버튼(630)을 최종 완료를 하지 않으면, 서버(100)로 변경사항이 업데이트 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한 제 1 매물 리스트(660) 및 제 2 매물 리스트(650)가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이때, 선택적 실시예로 제 1 매물 리스트(660)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100)로 상기 리스트를 요청하는 경우 중개자 단말(300)에도 제 1 매물 리스트(660)가 곧장 표시되는 반면, 제 2 매물 리스트(650)는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100)로 요청하는 경우 중개자 단말(300)로 함께 표시되거나, 부동산 중개인이 자신의 단말(즉, 중개자 단말(300))을 통해 임의로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개인은 서버(100)가 검색해준 매물을 참고하여 사용자에게 신규 매물을 직접 소개해줄 수 있다.
그 밖의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특정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매물 리스트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공유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다른 추가 실시예로, 다른 사용자 단말(200) 다수가 공통적으로 선택한 특정 매물에 대해 인기도가 부가될 수 있다. 인기도는 매물 리스트 상의 상세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빠르게 매매될 수 있는 인기 매물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단지, 인기 매물에 대해서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마다 부여할 수 있는 횟수에 제한을 두어, 무분별하게 인기도를 높이는 행위를 막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중개자 단말

Claims (12)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을 수신하여 제 1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매물을 검색할 때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주택 매물 정보를 기초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구성원수, 구성원의 나이, 선호지역, 이사희망일 및 융통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b) 단계 내지 (c) 단계를 수행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서버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 상기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또는
    (c-2) 상기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가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주택 매물을 중개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중개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에서 특정 제 2 매물을 상기 관심정보로 선택하면, 상기 특정 제 2 매물의 가중치 값을 산출하고, 상기 서버의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제 1 매물 및 제 2 매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시키되,
    상기 상세 정보는 매물의 동/층수, 매물의 상태, 방향, 융자금, 기타 조건, 이사 가능 날짜, 매칭 날짜, 방문 날짜 및 계약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매물을 선택하면, 상기 매물에 대응되는 상기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중개자 단말로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의 매물을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는 매물의 거래가능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관심정보로 선택한 매물로 구성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매물 중 거래가 불가능한 매물을 삭제하여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 2 매물 리스트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매물 및 제 2 매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반하여, 각 매물마다 해시태그를 생성하여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특정 해시태그를 입력하면, 상기 특정 해시태그에 대응되는 상기 매물을 필터링하여 표시하되,
    상기 상세 정보는 매물의 동/층수, 매물의 상태, 방향, 융자금, 기타 조건, 이사 가능 날짜, 매칭 날짜, 방문 날짜 및 계약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중개자 단말에서 표시되되,
    상기 중개자 단말로 표시되는 리스트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 및 제 2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매물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중개자 단말이 상기 수정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수정 버튼에 대응되는 매물에 대한 정보의 수정 기능이 제공되는 것인,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
  11.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관심정보로 선택한 제 1 매물을 수신하여 제 1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매물로부터 주택 매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매물을 검색할 때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주택 매물 정보를 기초로 타 매물 추천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상기 제 1 매물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물을 포함시켜 제 2 매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구성원수, 구성원의 나이, 선호지역, 이사희망일 및 융통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택 매물 정보는 매물의 이름, 거래 방법, 면적, 실거래가 및 호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주택 매물을 등록 및 공유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의한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10071219A 2021-06-02 2021-06-02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20162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19A KR20220162957A (ko) 2021-06-02 2021-06-02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19A KR20220162957A (ko) 2021-06-02 2021-06-02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57A true KR20220162957A (ko) 2022-12-09

Family

ID=8444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219A KR20220162957A (ko) 2021-06-02 2021-06-02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7119B (zh) 电子资料开发、存储、使用以及基于其采取行动的系统
US20180308188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real estate searches and procurement
US20110275441A1 (en) Portable real estate social game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20100318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hopping assistant for online computer users
JP5156465B2 (ja) オークション処理装置、オークション処理方法、オークション処理プログラム及び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80064735A (ko) 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581167B2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買い物支援プログラム
KR20200011915A (ko) 모의 사용자를 통한 통신
US20050004948A1 (en) Facilitation of local, community-based, person-to-person connections and transactions on a national, international, or global scale
JP2016206783A (ja)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JP2014206860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US9672548B2 (en) Reput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829703B1 (ko) 상품 정보 검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17630B1 (ko) 기계학습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JP7221614B2 (ja) 物件情報処理装置及び物件情報処理方法、物件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物件情報処理システム
TWM539677U (zh) 行程安排的傳送裝置
KR20220162957A (ko) 관심정보 공유 기반의 주택 매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632677B1 (ko) 부동산 거래의 중개서비스를 위한 공인중개사와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A2717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 realtor recommendation
TWM560094U (zh) 看屋輔助資訊的傳送裝置
CN112905675A (zh) 一种用于商业综合体的智能导览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80308137A1 (en) Photographic evaluation, rating system, and assessment tool
US20140279590A1 (en) Network-based real estate marketplace database and agent metrics
US20140279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nline fashion design marketplace
CA3030331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potential asset re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