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919A -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919A
KR20220162919A KR1020210070849A KR20210070849A KR20220162919A KR 20220162919 A KR20220162919 A KR 20220162919A KR 1020210070849 A KR1020210070849 A KR 1020210070849A KR 20210070849 A KR20210070849 A KR 20210070849A KR 20220162919 A KR20220162919 A KR 20220162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valve unit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9384B1 (en
Inventor
최성욱
강성민
유창영
김건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84B1/en
Publication of KR2022016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hut-off valve in which a plurality of valve units can be sequenti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of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a mo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hut-off valve in which a plurality of valve units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rotating body rotated by a motor without the need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valve unit, the excessive power consumption, noise generation, valve malfunction, and valve damage can be prevented, and the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Description

회전식 개폐밸브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Rotary on-off valve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된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다수개의 밸브유닛이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회전식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밸브유닛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없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통해 용이하게 밸브유닛이 개방 및 차폐될 수 있고, 과도한 전력소모, 소음 발생 및 밸브의 오작동, 밸브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식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on-off valve in which a plurality of valve units can be sequenti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of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a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rotated by a motor without the need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valv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on-off valve capable of easily opening and closing a valve unit through the whole, preventing excessive power consumption, noise generation, valve malfunction, and valve damage,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개폐밸브는 기계식 밸브와 전자식 밸브로 나뉘어진다.In general, on-off valves used to move fluid are divided into mechanical valves and electromagnetic valves.

현재 상용화된 기계식 밸브의 경우 볼밸브, 게이트밸브 등을 포함하며, 유체를 통하게 하거나 개방 및 차폐하기 위하여 볼 형태나 게이트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조절하는 기술로 사용되며, 수동식 밸브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편이며 구조가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mechanical valves include ball valves, gate valves, etc., and are used as a technology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with a ball shape or gate in order to pass fluid or open and shield. In the case of manual valves, the price is It is inexpensive and the structure is used in a simple way.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계식 밸브 방식은 유속이 빠르거나 압력이 높은 경우 직접적인 힘이 가해져 조작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수격(水擊)이나 동파(凍破) 등의 문제에 다른 밸브에 비해 취약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mechanical valves can be difficult to operate due to direct force applied when the flow rate is fast or the pressure is high, and they are more vulnerable to problems such as water hammer or freezing compared to other valves. exists.

또한, 기계식 작동은 수동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온, 고압 등 사용시 주의사항이 필요하고, 유량을 제어 및 개방/차폐하기 어려워 다른 기구나 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밸브 개방/차폐 및 유량 조절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mechanical operation is mostly operated manually, precautions are required when us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and open / shield the flow r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money and time.

반면, 전자식 밸브의 경우 솔레노이드 내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지지되며 밸브의 통로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차폐되어있던 밸브가 개방되며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valve, the inside of the solenoid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and a method of opening or shielding the passage of the valve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When current flows to the solenoid coil, the shielded valve is opened and the fluid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allows the flow of

그러나 기존 전자식 밸브의 경우 전자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동력원이 필수로 존재해야하며, 동력원이 없는 환경에서는 이용이 어렵고 기기 오류 등의 문제로 차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 또한 존재합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electronic valves, since they are used electronically, a power source must exist, and in an environment without a power source, it is difficult to use and there are concerns that shielding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due to problems such as device failure.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오리피스가 작아 유체가 흐를 때 저항이 생기며 유체가 호르피스 통과시 소음 및 저항이 발생하여 유입통로와 배출통로에서의 유체속도가 달라지고, 유체의 저항으로 인해 스프링의 차폐 가능한 힘을 넘어서는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유체의 차폐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olenoid valve, resistance is generated when the fluid flows because the orifice is small, and noise and resistance are generate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orifice, so that the velocity of the fluid in the inflow passage and the discharge passage is different, and the resistance of the fluid causes the spring to be shielded. When a pressure exceeding the force is generated,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shielding of the fluid becomes impossible.

특히, 스프링의 힘으로 차폐되기 때문에 이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별도의 소음기를 따로 설치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기계식 밸브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가격이 기존 밸브에 비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particular, since noise is generated during this process because it is shielded by the force of a spring,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install a separate silencer, and the price is very high compared to existing valves because the structure is more complicated than mechanical valves. exis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641호 "개폐밸브"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0641 "Opening/closing valv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밸브유닛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없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통해 용이하게 밸브유닛이 개방 및 차폐될 수 있고, 과도한 전력소모, 소음 발생 및 밸브의 오작동, 밸브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식 개폐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alve unit can be easily opened and shielded through a rotating body rotated by a motor without the need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valve unit, excessive power consumption, noise genera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on-off valv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valve and damage to the valve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또한, 회전체가 단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cam방식으로 각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써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밸브유닛의 작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밸브유닛 내 오리피스를 개방 및 차폐하는데 큰 힘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성이 뛰어난 회전식 개폐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a single direction, each valve is opened and closed in a cam method, so that the operating speed of the valve un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ody, and a large force is applied to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in the valve un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on-off valve with excellent usability without occurrence of this.

또한, 밸브프레임 내 피스톤 구비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져 구비할 수 있어 밸브유닛의 조립 및 보수가 간편한 회전식 개폐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on-off valv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ides when the piston is provided in the valve frame, so that the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valve unit is eas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에 있어서,In the on-off valve capable of inflow and discharge of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원형으로 배치되며 다수개의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의 중앙측에 구비되어 연결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유닛을 개폐시키는 회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유닛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밸브유닛 내측으로 이동되는 유입홀; 및 상기 밸브유닛으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단 일부가 인입되며 상기 밸브유닛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부의 중심측으로 연장된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회전시 측단이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밸브유닛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홀 또는 상기 배출홀을 폐쇄시키되, 상기 유입홀과 상기 배출홀은 개폐상태가 서로 반대된다.A valve unit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valve units; and a rotating bod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to open and close the valve unit while being rotated by a motor connected thereto, and at one side of the valve unit, an inflow hole through which fluid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valve unit. ;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valv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piston is formed,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valve unit is retracted, and a piston protrudes downward of the valve unit and ext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a side end contacts the piston to drive the piston, and the piston closes the inlet hole or the outlet hole while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valve unit,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The open and closed stat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밸브부는 다수개의 상기 밸브유닛이 원형으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양측단이 상기 커넥터와 각각 연결 및 고정된다.In addition, the valve unit includes a connector that allows a plurality of valve units to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both ends of the valve unit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connector, respectively.

또한, 밸브유닛은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밸브부의 중심측으로 향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시 양측단이 한 쌍의 상기 피스톤과 각각 접촉되어 구동시키며, 상기 회전체와 맞닿는 한 쌍의 상기 피스톤은 서로 반대측면에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valve unit, the piston protruding downward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but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both ends of the pair of the pistons The pair of piston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and drive each oth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또한, 밸브유닛은, 상기 유입홀과 내부가 연통되며 내장된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내측에 구비되는 상측중공; 기 배출홀과 내부가 연통되며 내장된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내측에 구비되는 하측중공; 및 상기 밸브유닛 내측면 중앙에 수직돌출형성되는 중앙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턱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기 상측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턱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상기 하측중공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턱의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이 관통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밸브유닛의 하면 중앙으로 상단이 내삽되며, 상단은 상기 중앙턱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중공에 구비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유닛 하면 외측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valve unit, the inlet hole and the inside is in communica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built-in piston is provided in the upper hollow; a lower hollow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built-in pist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gas discharge hole; and a central sill formed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an inner surface of the valve unit, wherein the upper hollow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round the central sill, and the lower hollow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round the central sill. A central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can pas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and the upper end of the piston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he upper end penetrates the central jaw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hollow, and the lower end is When the valve unit protrudes outward.

이때, 피스톤은 상기 상측중공에 내장되며, 외경이 확장되어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측중공에 내장되고, 외경이 확장되어 원통 형상을 가지는 하단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단돌출부는 상기 중앙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상단돌출부는 상기 상측중공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유입홀 및 상기 중앙홀 상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고, 상기 하단돌출부는 상기 하측중공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홀 및 상기 중앙홀 하측을 선택적으로 폐쇄된다.At this time, the piston is embedded in the upper hollow,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the upper protrus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lower protrusion that is embedded in the lower hollow and has an outer diameter that is expand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hollow and can selectively close the inlet hole and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hole, and the lower protrusion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lower hollow and covers the discharge hole and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hole selectively closed.

이때, 상단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메인오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단돌출부의 하면과 맞닿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돌출부의 하면과 맞닿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메인오링은 설치된 구성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유닛의 내측면간의 틈새를 마감한다.At this time, a main O-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respectivel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have a finishing O-ring; Each is provided, and the main O-ring closes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talled configura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unit.

또한, 상기 피스톤 외주면에는 중앙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스프링은 상면은 상기 중앙턱 하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체를 통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단돌출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중앙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회전체와 상기 피스톤이 이격되면 압축된 상기 중앙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하게된다.In addition, a central sp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spr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jaw, the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piston moves toward the upper protrusion through the rotating body. When moving, the central spring is compressed, and when the rotating body and the piston are separated, the pisto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central spring.

또한, 밸브유닛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상기 밸브유닛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중공을 형성하는 상부캡; 및 상기 밸브유닛의 개방된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중공을 형성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 말단이 관통될 수 있는 피스톤 관통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alve unit includes an upper cap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o form the upper hollow; and a lower cap provided on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o form the lower hollow, and a piston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end can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p.

이때,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마감오링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부캡 밖으로 돌출시 상기 마감오링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피스톤 관통홀의 내주면간의 틈새를 마감하게 된다.At this time, a finishing O-ring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finishing O-ring closes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through hole when the piston protrudes out of the lower cap.

또한, 밸브유닛은, 상기 유입홀에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출홀에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유닛 내 유체가 배출되는 호스와 연결되는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 및 상기 배출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홀 및 상기 배출홀과 나사결합된다.In addition, the valve uni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coupled to the inle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se for supplying the fluid; And one end intercalated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the other end is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hos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valve unit is discharged; the inlet and one end of the outlet are formed with a screw thread, and the inlet hole and the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screwed to the inlet and outlet holes.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부피스톤 및 하부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피스톤은, 상단에 외경이 확장되는 상단돌출부; 및 하면 중앙은 상기 하부피스톤측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피스톤은 상단 외경이 확장되는 하단돌출부;가 형성되며, 일부 하단은 상기 밸브유닛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와 맞닿고,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되, 함몰된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피스톤과 상기 하부피스톤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내삽되어 나사결합된다.In addition, the piston is composed of an upper piston and a lower piston, the upper piston, the upper end protrusion of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tended at the top;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xtending toward the lower piston at a center thereof, and a lower protrusion having an outer diameter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is formed, and a part of the lower end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o form an outer surface. It protrudes into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an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cess is formed, and the upper piston and the lower piston are couple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s screw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밸브유닛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없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통해 용이하게 밸브유닛이 개방 및 차폐될 수 있고, 과도한 전력소모, 소음 발생 및 밸브의 오작동, 밸브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n and shield the valve unit through a rotating body rotated by a motor without the need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valve unit, and avoid excessive power consumption, noise generation, malfunction of the valve, and valve damage. It can be prevented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production costs.

또한, 회전체가 단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cam방식으로 각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써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밸브유닛의 작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밸브유닛 내 오리피스를 개방 및 차폐하는데 큰 힘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a single direction, each valve is opened and closed in a cam method, so that the operating speed of the valve un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ody, and a large force is applied to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in the valve unit. This does not occur, so it has the effect of excellent usability.

또한, 밸브프레임 내 피스톤 구비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져 구비할 수 있어 밸브유닛의 조립 및 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when the piston is provided in the valve fram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valve unit is eas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개폐밸브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개폐밸브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의 절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 내 피스톤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과 유입구 및 배출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의 절단면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회전체의 이동에 따른 피스톤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front view of a rotary on-of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on-of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the movement of the piston in the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valve unit and the inlet an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 surface of the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show the movement of the pist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개폐밸브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개폐밸브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의 절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 내 피스톤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과 유입구 및 배출구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의 절단면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회전체의 이동에 따른 피스톤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otary on-of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on-of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ut-away view of the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nd 5 shows the movement of the piston in the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valve unit and the inlet an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 surface of the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show the movement of the pist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된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다수개의 밸브유닛이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회전식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회전식 개폐밸브(1)는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밸브부(10)와, 모터(M)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유닛(100)을 구동시키는 회전체(2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on-off valve in which a plurality of valve units can be sequenti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of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a motor. It is composed of a valve unit 10 and a rotating body 20 connected to a motor M to drive the valve unit 100.

밸브부(10)는 회전체(20)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이 원형을 이루게 배치되며, 회전체(20)의 회전에 따라 밸브유닛(100)에 구비된 피스톤(120)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어 유체의 유입 및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valve unit 10, a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piston 120 provided in the valve unit 100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It is drive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perform the role of inflow and discharge of fluid.

이러한 밸브부(10)는 피스톤(120)이 내삽되어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일어나는 밸브유닛(100)과, 상기 밸브유닛(100)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치시키는 커넥터(11)로 구성된다.The valve unit 10 is composed of a valve unit 100 in which a piston 120 is inserted to allow inflow and discharge of fluid, and a connector 11 that arranges the valve units 100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do.

커넥터(11)는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이 원형으로 배치되되 외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커넥터(11)는 밸브유닛(100)의 밸브프레임(110)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밸브유닛(100)에 포함된 피스톤(120)이 밸브부(10)의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됨으로써 회전체(20)에 의해 피스톤(120)이 밀어져 상하방향으로 운동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The connector 11 serves to fix the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in a circularly arranged state while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diameter. These connectors 11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alve frame 110 of the valve unit 100, respectively, so that the piston 120 included in the valve unit 100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10, thereby rotating it. The piston 120 is pushed by the whole 20 and can be arranged so that i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원형으로 이루어진 밸브부(10)에 외경을 따라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이러한 밸브유닛(100)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커넥터(11)가 포함된다.That is, a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valve unit 10, and the connector 11 connects these valve units 100 to each other and fixes them in an arranged state. is included

이러한 커넥터(11)는 밸브유닛(100)의 밸브프레임(110)의 양측단과 각각 결합되며,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이 원형으로 배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다수개의 밸브유닛(100)간의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며, 이때 밸브프레임(110)과 커넥터(11)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se connectors 11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alve frame 110 of the valve unit 100, respectively, and serve to arrange a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in a circular shape. That is, it is provided in spaced apart spaces between the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and at this time, the valve frame 110 and the connector 11 may be integrally formed.

밸브유닛(100)은 원형의 밸브부(1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체(20)를 통해 밸브유닛(100)이 개폐되어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valve unit 100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rotating body 20 provided inside the circular valve unit 10 so that fluid is introduced or discharged to adjust the flow rate.

이러한 밸브유닛(100)은 커넥터(11)와 연결되는 밸브프레임(110)과 상기 밸브프레임(110)의 상단 일부가 내삽되어 회전체(20)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유닛(100)을 개폐시키는 피스톤(120)으로 구성된다.In the valve unit 100, the valve frame 11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1 and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valve frame 110 are interpolated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rotating body 20 to form the valve unit 100. It consists of a piston 120 that opens and closes.

밸브프레임(11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은 원통형상의 내측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 공간으로 피스톤(120)이 내장된다.The valve frame 110 is made of a square shape with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but an inner spac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piston 120 is built into this inner space.

밸브프레임(110)의 내측 공간의 내측면 중앙에는 내측면에 수직한 상태로 돌출되는 중앙턱(113)이 형성된다.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valve frame 110, a central jaw 113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inner surface is formed.

중앙턱(113)의 중앙에는 피스톤(120)의 중앙부분, 즉 상단돌출부(121a)와 하단돌출부(122a)간의 이격된 공간이 인입되며, 피스톤(120)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중앙턱(113)의 상면에 상단돌출부(121a)가 안착되어 중앙턱(113) 중앙의 홀을 마감하고 상측에 구비되는 유입홀(101)을 폐쇄하거나 중앙턱(113)의 하면에 하단돌출부(122a)의 상면이 밀착되어 중앙턱(113) 중앙의 홀을 마감함과 동시에 하측에 구비되는 배출홀(102)을 폐쇄할 수도 있다.The central part of the piston 120, that is,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the lower protrusion 122a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and as the piston 1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entral jaw ( 11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to close the hole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and close the inflow hole (10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jection (122a) of the central jaw (113). The upper surface may be in close contact to close the hole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and at the same time close the discharge hole 102 provided on the lower side.

밸브프레임(110)의 내측공간은 중앙턱(113)을 중심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중공(111)과 상기 중앙턱(113)을 중심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중공(112)으로 나뉘어진다.The inner space of the valve frame 110 is divided into an upper hollow 111 located on the upper side around the central jaw 113 and a lower hollow 112 located on the lower side around the central jaw 113.

상측중공(111)은 밸브프레임(110)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는 유입홀(101)과 내부가 연통되며, 하측중공(112)은 밸브프레임(110)의 일측 하단, 즉 유입홀(10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측중공(112)과 내부가 연통되는 배출홀(102)이 형성된다.The upper hollow 11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hole 101 provided at the top of one side of the valve frame 110, and the lower hollow 112 is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valve frame 110, that is, the inlet hole 101. A discharge hole 102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hollow 112 and the inside is formed.

따라서, 유입홀(101)과 연결된 유입구(130)를 통해 밸브유닛(100) 내부 중 상측중공(111)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피스톤(120)이 하강하면 중앙턱(113)의 중앙에 형성된 홀로 상측중공(111) 내 유체가 하측중공(112)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하측중공(112)으로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120)이 상승하면 배출홀(102)과 연결된 배출구(140)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when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hollow 111 of the inside of the valve unit 100 through the inlet 130 connected to the inlet hole 101 and the piston 120 descends, the upper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The fluid in the hollow 111 moves to the lower hollow 112 . In addition, when the piston 120 rises,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lower hollow 112 is moved to the discharge port 140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02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유입홀(101) 및 배출홀(102)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러한 나사산은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어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는 각각 결합될 유입홀(101) 및 배출홀(102)에 일단이 내삽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밸브유닛(100)에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가 결합될 수 있다.Thread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let hole 101 and the outlet hole 102, and these threads correspond to the threads formed at one end of the inlet 130 and the outlet 140, so that the inlet 130 and the outlet 140 The inlet 130 and the outlet 140 may be coupled to the valve unit 100 by screwing one end into the inlet hole 101 and the outlet hole 102 to be coupled, respectively.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의 타단에는 각각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호스와 연결된다.The other ends of the inlet 130 and the outlet 140 are connected to hoses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피스톤(120)은 밸브프레임(110)에 내삽되어 상측중공(111) 및 하측중공(112)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를 개폐하여 밸브유닛(100)으로 유입된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다.The piston 120 is inserted into the valve frame 110 and moves inside the upper hollow 111 and the lower hollow 112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30 and the outlet 140 to flow into the valve unit 100. fluids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이러한 피스톤(1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피스톤(120) 중 상측중공(111)에 구비되는 곳에는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상단돌출부(121a)가 형성되고, 피스톤(120) 중 하측중공(112)에 구비되는 곳에는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하단돌출부(122a)가 형성된다.The piston 12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n upper protrusion 121a having a large outer diameter is formed where it is provided in the upper hollow 111 of the piston 120, and the lower hollow 112 of the piston 120 ) Where it is provided, a lower protrusion 122a having a large outer diameter is formed.

이러한 상단돌출부(121a)와 하단돌출부(122a)는 중앙턱(113) 중앙에 형성된 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단돌출부(121a) 또는 하단돌출부(122a)가 중앙턱(113)에 밀착되어 유입구(130) 또는 배출구(140)를 폐쇄하여 반대편의 배출구(140) 또는 유입구(130)가 개방될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the lower protrusion 122a are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so that the upper protrusion 121a or the lower protrusion 1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ral jaw 113, and the inlet 130 ) Or by closing the outlet 140, the outlet 140 or inlet 130 on the opposite side may be opened.

이러한 피스톤(120) 중 밸브유닛(100)의 하측으로 관통 및 돌출된 피스톤(120) 하단은 회전체(20)와 맞닿아 회전체(20)의 회전을 통해 피스톤(120)이 이동될 수 있는데, 이후 피스톤(120)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야 할 필요가 존재한다.Among these pistons 120, the lower end of the piston 120, which penetrates and protrudes to the lower side of the valve unit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20 so that the piston 120 can be mov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 then the piston 120 needs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예를 들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밸브유닛(100)의 피스톤(120) 말단은 회전체(20)의 양단에 각각 밀착되어 상측중공(111)측으로 피스톤(120)을 밀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피스톤(120)을 미는 힘이 회전체(20)가 회전을 통해 부재하게 되면 다시 피스톤(120)이 회전체(20)측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이때, 밸브부(10) 중 상측에 구비된 밸브유닛(100)과 결합된 피스톤(120)의 경우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할 수는 있으나, 도 1과 같이 밸브부(10) 중 하측에 위치한 밸브유닛(100)의 경우 피스톤(120)의 말단이 회전체(20)측으로 돌출되기 위해서는 별도로 피스톤(120)을 상측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필요하다.For example, the ends of the piston 120 of the valve unit 100 dispos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20 and move while pushing the piston 120 toward the upper hollow 111 side. ) When the rotating body 20 is absent through rotation, the piston 120 should protrude toward the rotating body 20 again.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iston 120 coupled with the valve unit 10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alve unit 10, it can descend automatically by gravity, bu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lve unit 10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valve unit 100, in order for the distal end of the piston 120 to protrude toward the rotating body 20, a separate force pushing the piston 120 upward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20)의 미는 힘 부재시 피스톤(120) 말단이 자동으로 회전체(20)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중앙스프링(123)이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pring 12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end of the piston 120 automatically protrudes toward the rotating body 20 when there is no pushing force of the rotating body 20 .

중앙스프링(123)은 하측중공(112) 내에 위치하여 피스톤(12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중앙스프링(123)은 내측에 피스톤(120)이 구비되고 중앙스프링(123)의 직경은 중앙턱(113) 내 중앙에 형성된 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중앙스프링(123)이 압축 및 팽창되는 과정에서 중앙턱(113)을 통과하여 상측중공(111)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central spring 123 is located in the lower hollow 112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20. The central spring 123 is provided with a piston 120 on the inside, and the diameter of the central spring 123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so that the central spring 123 is compressed and expanded. To prevent from moving through the central jaw 113 to the upper hollow (111).

이러한 중앙스프링(123)은 도 3과 같이 상단은 중앙턱(113) 하면에 밀착되어 구비되고, 하단은 하단돌출부(122a)의 상면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spring 123 has an upper end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jaw 113, and a lower e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따라서, 도 4와 같이 피스톤(120)이 회전체(20)를 통해 상측중공(111)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중앙스프링(123)은 압축되고, 이후 피스톤(120)을 상측중공(111)측으로 미는 힘이 사라지는 경우 압축된 중앙스프링(123)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중앙스프링(123)이 피스톤(120)의 하단돌출부(122a)를 하측(외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를 통해 피스톤(12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피스톤(120)이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piston 120 moves toward the upper hollow 111 side through the rotating body 20, the central spring 123 is compressed, and then the force that pushes the piston 120 toward the upper hollow 111 side. disappears, the compressed central spring 123 expand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central spring 123 pushes the lower protrusion 122a of the piston 120 downward (outward), through which the piston 120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piston 120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continuously.

이러한 피스톤(120)을 통해 회전체(2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밸브유닛(100)을 계속 개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e piston 120, the rotating body 20 can continuously open and close the valve unit 100 while continuously rotating, and through this, the flow rate can be continuously adjusted.

특히,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동력을 밸브에 개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없고, 기계적으로 작동되어 무동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power to the valve like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it can be mechanically operated and driven without power, and malfunction of the internal components can be prevented.

또한, 상단돌출부(121a)와 하단돌출부(122a)는 외주면에 메인오링(124)이 구비되며, 상단돌출부(121a)와 하단돌출부(122a)의 하면과 내경이 줄어드는 피스톤(120)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마감오링(125)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the lower protrusion 122a are provided with the main O-ring 124 on thei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the lower protrusion 122a and the piston 120 whose inner diameter is reduced. A finishing O-ring 125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먼저, 상단돌출부(121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메인오링(124)은 상단돌출부(121a)의 외경과 상측중공(111)의 내측면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irst, the main O-ring 1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protrusion 121a serve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top protrusion 121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llow 111.

이때, 메인오링(124)이 구비되는 측의 상단돌출부(121a) 외주면에는 밀착된 메인오링(124)이 일부 내삽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메인오링(124)이 인입될 수 있는 함몰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홈 내측으로 메인오링(124)이 인입되어 상단돌출부(121a)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한다.At this tim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on the side where the main O-ring 124 is provided, a depress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which the main O-ring 124 can be inserted so that the main O-ring 124 in close contact can be partially inserted. , The main O-ring 124 is introduced into the recessed groove to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상술된 바와 같이 상단돌출부(121a)의 외주면에 메인오링(124)이 일부 내삽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피스톤(120) 이동시 상측중공(111)의 내측면에 밀착한 메인오링(124)이 마찰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등 메인오링(124)이 최초 설치된 상단돌출부(121a)의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O-ring 12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in a partially inserted state, so that when the piston 120 moves, the main O-ring 124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llow 111 is caused by frictional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O-ring 124 from escaping from the position of the initially installed top protrusion 121a, such as being pushed up.

이때, 상단돌출부(121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메인오링(124)은 피스톤(120)이 밸브유닛(100) 밖으로 최대한 돌출되더라도 메인오링(124)이 유입홀(101)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도 5 참조) 메인오링(124)을 중심으로 상단돌출부(121a)의 외측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며, 상측중공(111)으로 유입된 유체가 피스톤(120) 하강시 상단돌출부(121a) 및 상기 상단돌출부(121a)의 외주면에 구비된 메인오링(124)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O-ring 1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hole 101 even if the piston 120 protrudes out of the valve unit 100 as much as possible (Fig. 5 Reference) Allows fluid to flow in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centered on the main O-ring 124, and when the piston 120 descends, the fluid flowing into the upper hollow 111 lowers 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the upper protrusion. It can move through the main O-ring 1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21a).

또한, 하단돌출부(122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메인오링(124) 또한 하단돌출부(122a)의 외주면과 하측중공(112)의 내측면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단돌출부(122a) 또한 메인오링(124)이 일부 내삽될 수 있는 함몰홈이 외주면을 따라 함몰형성되며, 이러한 하단돌출부(122a)의 함몰홈 내측으로 메인오링(124)이 결합되어져 메인오링(124)의 이탈방지 및 결합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O-ring 1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also serve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llow 112, and the lower protrusion 122a also A recessed groove into which the main O-ring 124 can be partially inserted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ain O-ring 124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cessed groov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ain O-ring 124 and to provide bonding strength. improvement can be obtained.

따라서, 하단돌출부(122a)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하단돌출부(122a)의 외주면과 하측중공(112)의 내측면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메인오링(124)은 하측중공(112)에 유입된 유체가 후술된 하부캡(160)의 피스톤 관통홀(161)로 이동되지 않고 피스톤(120)의 움직임에 따라 배출구(140) 또는 상측중공(111)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main O-ring 1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122a and closing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12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llow 112 prevents fluid flowing into the lower hollow 112, as described later. It is not moved to the piston through-hole 161 of the lower cap 160, but moves to the discharge port 140 or the upper hollow 11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120.

또한, 내경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단돌출부(121a)의 하면 중앙에 구비된 피스톤(120)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125)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마감오링(125)은 피스톤(120) 하강시 상단돌출부(121a)가 중앙턱(113) 상면에 밀착되면서 피스톤(120) 외주면이 중앙턱(113)의 중앙홀간의 틈새에 마감오링(125)이 구비되면서 상단돌출부(121a) 및 마감오링(125)을 통해 중앙턱(113)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완전히 마감하여 하측중공(112)에 구비된 유체가 상측중공(111)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nishing O-ring 125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20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whose inner diameter is rapidly reduced. 12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jaw 11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20 is provided with the finishing O-ring 125 in the gap between the central holes of the central jaw 113 through 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the finishing O-ring 125 By completely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uid provided in the lower hollow 112 from moving to the upper hollow 111.

또한, 하단돌출부(122a)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120)간의 연결되는 부분에도 마감오링(125)이 구비된다. 이러한 마감오링(125)은 피스톤(120) 하강시 하단돌출부(122a)가 후술된 하부캡(160)의 내측면에 하단돌출부(122a)의 하면이 밀착되면서 하단돌출부(122a)가 피스톤 관통홀(161)을 폐쇄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 관통홀(161)을 관통하는 피스톤(120)의 외주면과 피스톤 관통홀(161)의 내측면간의 틈새를 마감오링(125)이 완전히 마감함으로써 하단돌출부(122a)의 외주면에 구비된 메인오링(124)을 통과하여 하부캡(160)측으로 이동한 유체가 피스톤 관통홀(161)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closing O-ring 125 is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istons 12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protrusion 122a. In this finishing O-ring 125, when the piston 120 descends, the bottom protrusion 1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160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protrusion 122a forms a piston through hole ( 161) is closed. At this time, the closing O-ring 125 completely closes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20 penetrating the piston through hole 1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through hole 161, thereby reducing the lower protrusion 122a.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O-ring 1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oving toward the lower cap 160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ward the piston through-hole 161.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유닛(100) 중 밸브프레임(11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되지 않은 종래의 밸브의 경우 밸브에 내장된 구성에 이상이 생기거나 보수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밸브 자체를 교체해야 하거나 모든 밸브 구성을 해체하여 밸브 내부를 보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valve frame 110 of the valve unit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n open upper and lower surface, 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alve that is not opened, it is difficult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r the configuration built into the valve.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 hassle that the valve itself must be replaced or all valve components must be dismantled to repair the inside of the valve.

특히, 유체가 밸브 내부를 이동하면서 밸브 내측면에 이물질이나 불순물 등이 잔존할 우려가 존재하며, 이러한 경우 밸브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particular, there is a concern that foreign substances or impurities may remai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while the fluid moves inside the valve,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valve is deteriorated.

따라서, 조립 및 추후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밸브프레임(110)의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이러한 개방된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부캡(150)과 하부캡(160)이 밸브프레임(110)과 결합되어 구비된다.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alve frame 110 are opened to facilitate assembly and subsequent repair work, and the upper and lower caps 150 and 160 are coupled to the valve frame 110 on the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상부캡(150)은 밸브프레임(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개방된 밸브프레임(110)의 상면을 폐쇄하고, 상부캡(150) 및 밸브프레임(110) 상측 내부에 상측중공(111)이 구비되도록 한다.The upper cap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frame 110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valve frame 110, and an upper hollow 111 is provided on the upper inside of the upper cap 150 and the valve frame 110. Let it be.

이때, 밸브프레임(110)의 최상단 외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며, 상부캡(150)은 하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하측으로 밸브프레임(110)의 최상단이 인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mo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frame 110 is recessed inward, and the upper cap 15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surface open and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uppermost end of the valve frame 110 enters the open lower side. and can be fitted.

하부캡(160)은 밸브프레임(110)의 하면에 구비되어 개방된 밸브프레임(110)의 하면을 폐쇄하고, 하부캡(160) 및 밸브프레임(110) 하측 내부에 하측중공(112)이 구비되도록 한다.The lower cap 16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frame 110 to clos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valve frame 110, and a lower hollow 112 is provided on the lower inside of the lower cap 160 and the valve frame 110. Let it be.

이때, 밸브프레임(110)의 최하단 외주면은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며, 하부캡(16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상측으로 밸브프레임(110)의 최하단이 인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most end of the valve frame 110 is depressed inward, and the lower cap 16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groove formed on the inside, and the lowermost end of the valve frame 110 enters the open upper side. and can be fitted.

또한, 하부캡(16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캡(16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관통홀(161)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iston through-hole 16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cap 160 to pass through the lower cap 160 .

피스톤 관통홀(161)의 내측으로는 피스톤(120)의 하단이 관통하여 밸브프레임(110) 및 하부캡(160) 밖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피스톤(120)의 하단(말단)은 회전체(20) 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체(20)의 회전 반경내에 위치하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piston 12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piston through-hole 161 and protrudes out of the valve frame 110 and the lower cap 160, and the lower end (end) of the protruding piston 120 is the rotating body 20 ) and is positioned within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따라서, 상부캡(150) 및 하부캡(160)을 통해 밸브프레임(110)의 상면 및 하면을 폐쇄하고, 이를 통해 상측중공(111) 및 하측중공(112)이 밸브프레임(1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alve frame 110 are closed through the upper cap 150 and the lower cap 160, and through this, the upper hollow 111 and the lower hollow 112 are formed inside the valve frame 110. It can be.

또한, 필요에 의해 상부캡(150)이나 하부캡(160)을 밸브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측중공(111) 또는 하측중공(112) 내에 구비된 내부 구성을 교체하거나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upper cap 150 or the lower cap 160 can be separated from the valve frame 110 to replace the intern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upper hollow 111 or the lower hollow 112 or perform maintenance work. have the effect of

한편, 피스톤(120)은 상측중공(111)에 내장되는 상단돌출부(121a)와 하측중공(112)에 내장되는 하단돌출부(122a)가 구비되어 중앙턱(113)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을 관통하기 어려워 피스톤(120)을 밸브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iston 120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121a embedded in the upper hollow 111 and a lower protruding portion 122a embedded in the lower hollow 112, passing through a central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piston 120 from the valve frame 110 because it is difficult to do so.

마찬가지로 피스톤(120)을 밸브프레임(110)에 내장된 상태로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Likewi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uple the piston 120 to the valve frame 110 in a built-in state.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스톤(120)은 상부피스톤(121) 및 하부피스톤(122)으로 나뉘어져 서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밸브프레임(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iston 12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piston 121 and a lower piston 122,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egrally provided in the valve frame 110.

먼저, 상부피스톤(121)은 상단에 상단돌출부(121a)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돌출부(121a)의 하단에는 중앙턱(113)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홀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First, the upper piston 121 has an upper protrusion 121a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corresponds to the central hole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ral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113. have an outward appearance

이러한 상부피스톤(121)에는 상단돌출부(121a)의 외주면에 메인오링(124)이 구비되고, 상단돌출부(121a)의 하면과 연결된 상부피스톤(121)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125)이 구비된다.In such an upper piston 121, a main O-ring 12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and a finishing O-ring 125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ston 121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21a.

또한, 상부피스톤(121)의 말단, 즉 중앙턱(113)을 통과하여 하측중공(112)측으로 구비되는 상부피스톤(121)의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돌기(121b)가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upper piston 121,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ston 121 provided toward the lower hollow 112 side through the central jaw 113, a coupling protrusion 121b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

결합돌기(121b)는 후술된 하부피스톤(122)의 결합홈(122b) 내측으로 인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돌기(121b)에서 결합홈(122b) 내측으로 인입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홈(122b) 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upling protrusion 121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b of the lower piston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screwed together.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b corresponding to a portion drawn into the coupling groove 122b so that it can be screwed by engaging with the thread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122b.

하부피스톤(122)은 상단에 하단돌출부(122a)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돌출부(122a)의 하단에는 하부캡(160)의 피스톤 관통홀(16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관통홀(161)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진다.The lower piston 122 has a lower protrusion 122a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the piston through-hole 161 to pass through the piston through-hole 161 of the lower cap 160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이러한 하부피스톤(122)에는 하단돌출부(122a)의 외주면에 메인오링(124)이 구비되고, 하단돌출부(122a)의 하면과 연결된 하부피스톤(122)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이 구비된다.In such a lower piston 122, a main O-ring 12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and a finishing O-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ston 122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하부피스톤(122)의 상면, 즉 하단돌출부(122a)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1b)가 인입될 수 있는 결합홈(122b)이 함몰형성된다.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iston 122, that is,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2a, has a coupling groove 122b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1b can be inserted.

결합홈(122b)은 결합돌기(12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며, 내측면에 상기 결합돌기(121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피스톤(121)이 하부피스톤(122)과 결합시 결합돌기(121b)가 결합홈(122b)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나사결합되어 상부피스톤(121) 및 하부피스톤(122)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회전체(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122b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1b,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upper piston 121 is lower piston 122. )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1b is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b when coupled, so that the upper piston 121 and the lower piston 122 are formed integrally and can be moved along the rotating body 20.

따라서, 생산자가 밸브유닛(100)을 조립하거나 관리자가 밸브유닛(100)의 보수작업을 수행할 때에 밸브프레임(110)과 결합된 상부캡(150) 및 하부캡(160)을 분리하고, 밸브프레임(110)내의 상측공간으로는 상부피스톤(121)을 구비하되 결합돌기(121b)가 중앙턱(113)을 관통하도록 하며, 밸브프레임(110) 내 하측공간으로는 하부피스톤(122)을 구비하되 중앙턱(113)을 관통한 결합돌기(121b)를 결합홈(122b)에 나사결합시키고 이후 하부피스톤(122)의 말단이 하부캡(160)의 피스톤 관통홀(161)을 관통하게 밸브프레임(110)에 하부캡(160) 및 상부캡(150)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용이하게 밸브유닛(100)을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producer assembles the valve unit 100 or a manager performs maintenance work on the valve unit 100, the upper cap 150 and the lower cap 160 coupled to the valve frame 110 are separated, and the valve An upper piston 121 is provided as an upper space in the frame 110, but a coupling protrusion 121b penetrates the central jaw 113, and a lower piston 122 is provided as a lower space in the valve frame 110. However, the coupling protrusion 121b penetrating the central jaw 113 is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2b, and then the valve frame ends of the lower piston 122 pass through the piston through-hole 161 of the lower cap 160. Since the lower cap 160 and the upper cap 15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110, the valve unit 10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separated.

또한, 교체가 필요한 구성에 따라 상부캡(150) 또는 하부캡(160)을 밸브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측중공(111)이나 하측중공(112)을 개방하여 밸브유닛(100)에 내장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requiring replacement, the upper cap 150 or the lower cap 160 is separated from the valve frame 110 to open the upper hollow 111 or the lower hollow 112 to be built into the valve unit 100. Parts can also be replaced.

상술된 밸브부(10)는 커넥터(11)를 통해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이 원형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밸브유닛(100)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밸브유닛(100)의 피스톤(120)이 회전체(2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valve unit 10, a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are dispos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a circular shape through a connector 11, and the valve unit 100 i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alve units ( The piston 120 of 100 may be moved through the rotating body 20 .

이러한 밸브유닛(10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피스톤(120)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밸브부(10)의 중심측으로 향하되, 완전히 중심을 향하는 것이 아닌 도 1과 같이 회전체(2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며, 회전체(20)의 회전축(21)에서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구비된다.Each of the pistons 120 included in the valve unit 100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ular valve unit 10, but is positioned within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s shown in FIG. 1, not completely toward the center. And,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rotating body 20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

따라서, 도 8과 같이 밸브유닛(100)의 피스톤(120)은 회전체(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측으로 기울어져 밸브부(10)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회전체(20)의 양측단이 각각 밸브유닛(100)의 피스톤(120)과 맞닿아 피스톤(120)을 상부캡(150)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밸브유닛(100)을 개폐시키고, 이를 통해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piston 120 of the valve unit 100 is til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nd protrudes into the valve unit 10, so th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20 are respectively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iston 120 of the valve unit 100 and moves the piston 120 toward the upper cap 150 to open and close the valve unit 100, thereby facilita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fluid.

회전체(20)는 장축이 단축보다 긴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 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회전체(20) 중앙은 모터(M)와 연결되는 회전축(21)이 구비된다.The rotating body 20 is made of a column having an elliptical cross-s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is longer than the short axis, and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2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21 connected to the motor M.

회전축(21)은 회전체(20)의 중앙을 관통하며 후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력(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M)가 회전축(21)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20)가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2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20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and is connected to a motor M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power) so that the motor M rotates the rotating shaft 21 so that the rotating body 20 ) can be rotated.

따라서, 종래의 밸브와 같이 각 밸브별로 동력원과 연결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모터(M)를 통해 한 쌍의 밸브유닛(100)을 개폐시킬 수 있어 전력 등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밸브 개폐를 통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서 모터(M)만을 준비하여 쉽게 회전식 개폐밸브(1)를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회전식 개폐밸브(1)를 구비 및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pair of valve units 100 through one motor M, rather than providing power by connecting to a power source for each valve as in the conventional valve,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such as powe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and since the rotary on-off valve 1 can be easily operated by preparing only the motor M from the outside, the rotary on-off valve 1 can be easily equipped and us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power supply is difficult. have.

상술된 회전식 개폐밸브(1)는 모터(M)를 통해 회전체(20)가 밸브부(10) 내측에서 회전하면 밸브부(10) 내측에 구비된 피스톤(120)을 회전체(20)의 양측단이 각각 밀어내면서 피스톤(120)을 구동시킬 수 있고(도 8 참조), 회전체(20)가 회전하면서 맞닿은 피스톤(120)과 멀어져 이격되면 밸브유닛(100)에 내장된 중앙스프링(123)을 통해 피스톤(120)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고(도 9 참조), 회전체(20)의 회전방향으로 구비된 다른 밸브유닛(100)의 피스톤(120)을 구동시키면서 회전체(20)의 회전을 통해 다수개의 밸브유닛(100)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rotary on-off valve 1, when the rotating body 20 rotates inside the valve unit 10 through the motor M, the piston 120 provided inside the valve unit 10 rotates the rotating body 20. Both ends can drive the piston 120 while pushing each other (see FIG. 8), and when the rotating body 20 rotates and is separated from the piston 120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entral spring 123 built into the valve unit 100 ) Through this, the piston 1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see FIG. 9), and while driving the piston 120 of the other valve unit 100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drive a plurality of valve units 100 through rotation.

이러한 회전식 개폐밸브(1)는 회전체(20)가 단일방향으로 밸브부(10) 내측에서 회전하게 되어 CAM방식으로 각 밸브유닛(10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체(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유체를 조절할 수 있고, 밸브유닛(100) 내 오리피스를 개방 및 차폐하는 데 큰 힘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In such a rotary on-off valve 1, the rotating body 20 rotates inside the valve unit 10 in a single direction, so that each valve unit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CAM method,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uid while adjusting the speed, and it has an effect of excellent usability because no large force is generated to open and close the orifice in the valve unit 100 .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회전식 개폐밸브
10: 밸브부
11: 커넥터
100: 밸브유닛
101: 유입홀
102: 배출홀
110: 밸브프레임
111: 상측중공
112: 하측중공
113: 중앙턱
120: 피스톤
121: 상부피스톤
121a: 상단돌출부
121b: 결합돌기
122: 하부피스톤
122a: 하단돌출부
122b: 결합홈
123: 중앙스프링
124: 메인오링
125: 마감오링
130: 유입구
140: 배출구
150: 상부캡
160: 하부캡
161: 피스톤 관통홀
20: 회전체
21: 회전축
M: 모터
1: rotary on-off valve
10: valve part
11: connector
100: valve unit
101: inflow hole
102: discharge hole
110: valve frame
111: upper hollow
112: lower hollow
113: central chin
120: piston
121: upper piston
121a: upper protrusion
121b: coupling protrusion
122: lower piston
122a: lower protrusion
122b: coupling groove
123: central spring
124: main O-ring
125: finish O-ring
130: inlet
140: outlet
150: upper cap
160: lower cap
161: piston through hole
20: rotating body
21: axis of rotation
M: motor

Claims (11)

유체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에 있어서,
원형으로 배치되며 다수개의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의 중앙측에 구비되어 연결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유닛을 개폐시키는 회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유닛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밸브유닛 내측으로 이동되는 유입홀; 및
상기 밸브유닛으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단 일부가 인입되며 상기 밸브유닛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부의 중심측으로 연장된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회전시 측단이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밸브유닛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홀 또는 상기 배출홀을 폐쇄시키되, 상기 유입홀과 상기 배출홀은 개폐상태가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In the on-off valve capable of inflow and outflow of fluid,
A valve unit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valve units; and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valve uni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unit while rotating by a connected motor.
On one side of the valve unit,
an inflow hole through which fluid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moved into the valve unit;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valv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The valve unit includes a piston whose upper end is retracted and protrudes to the lower side of the valve unit and ext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a side end contacts the piston to drive the piston,
The piston closes the inlet hole or the discharge hole while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valve unit, and the inlet hole and the discharge hole are open and closed, characterized in that opposit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다수개의 상기 밸브유닛이 원형으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양측단이 상기 커넥터와 각각 연결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unit includes a connector that allows a plurality of valve units to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valve unit is a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connecto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밸브부의 중심측으로 향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시 양측단이 한 쌍의 상기 피스톤과 각각 접촉되어 구동시키며, 상기 회전체와 맞닿는 한 쌍의 상기 피스톤은 서로 반대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alve unit, the piston protruding downward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but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valv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pistons to drive them during rotation, and the pair of piston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유입홀과 내부가 연통되며 내장된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내측에 구비되는 상측중공;
상기 배출홀과 내부가 연통되며 내장된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내측에 구비되는 하측중공; 및
상기 밸브유닛 내측면 중앙에 수직돌출형성되는 중앙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턱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기 상측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턱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상기 하측중공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턱의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이 관통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밸브유닛의 하면 중앙으로 상단이 내삽되며, 상단은 상기 중앙턱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중공에 구비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유닛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unit,
an upper hollow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let hole and has an upper end of the built-in piston provided therein;
a lower hollow in which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and the lower end of the built-in piston is provided therein; and
Including; a center chin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he upper hollow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round the central chin, and the lower hollow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round the central chin,
A central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can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jaw,
The piston is a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he upper end is provided in the upper hollow through the central jaw, and the lower end protrudes outward when the valv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상측중공에 내장되며, 외경이 확장되어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측중공에 내장되고, 외경이 확장되어 원통 형상을 가지는 하단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단돌출부는 상기 중앙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상단돌출부는 상기 상측중공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유입홀 및 상기 중앙홀 상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고, 상기 하단돌출부는 상기 하측중공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홀 및 상기 중앙홀 하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4,
the piston,
a top protrusion built into the upper hollow and having an extended outer diameter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 lower protrusion that is embedded in the lower hollow and has an extended outer diameter to have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respectively.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are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ral hole,
When the piston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upper end protrusion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hollow and selectively closes the inlet hole and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hole, and the lower end protrusion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lower hollow, A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and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hole can be selectively clo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메인오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단돌출부의 하면과 맞닿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돌출부의 하면과 맞닿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메인오링은 설치된 구성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유닛의 내측면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5,
A main O-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respectively.
A finishing O-ring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respectively.
The main O-ring is a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 closing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talled configura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외주면에는 중앙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스프링은 상면은 상기 중앙턱 하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체를 통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단돌출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중앙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회전체와 상기 피스톤이 이격되면 압축된 상기 중앙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5,
A central sp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spr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jaw, the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and when the piston moves toward the upper protrusion through the rotating body, the central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rotating body and the central spr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iston is spaced apart, the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sto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central spr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상기 밸브유닛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중공을 형성하는 상부캡; 및 상기 밸브유닛의 개방된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중공을 형성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 말단이 관통될 수 있는 피스톤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alve unit are open,
an upper cap provided on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o form the upper hollow; And a lower cap provided on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o form the lower hollow,
A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piston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end can pass throug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마감오링;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마감오링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부캡 밖으로 돌출시 상기 마감오링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피스톤 관통홀의 내주면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8,
A finishing O-ring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The closing O-ring is a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iston protrudes out of the lower cap, the closing O-ring closes a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through-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유입홀에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출홀에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유닛 내 유체가 배출되는 호스와 연결되는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 및 상기 배출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홀 및 상기 배출홀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unit,
an inlet having one end intercalated and coupled to the inlet ho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hose supplying fluid; and
One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and the other end is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hos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valve unit is discharged;
One end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s threaded,
Screw threads ar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inlet hole and the discharge hole,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rotary on-off valves, characterized in that screwe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부피스톤 및 하부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피스톤은,
상단에 외경이 확장되는 상단돌출부; 및 하면 중앙은 상기 하부피스톤측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피스톤은 상단 외경이 확장되는 하단돌출부;가 형성되며, 일부 하단은 상기 밸브유닛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와 맞닿고,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되, 함몰된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피스톤과 상기 하부피스톤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내삽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piston is composed of an upper piston and a lower piston,
The upper piston,
An upper protrusion with an outer diameter extending at the top; And when the center extends toward the lower piston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with a screw threa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The lower piston is formed with a lower protrusion having an outer diameter at the upper end, and a part of the lower e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uni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a coupling groove is formed, which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cess.
The rotary on-of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pper piston and the lower piston are couple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screwed together.




KR1020210070849A 2021-06-01 2021-06-01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KR102519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49A KR102519384B1 (en) 2021-06-01 2021-06-01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49A KR102519384B1 (en) 2021-06-01 2021-06-01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19A true KR20220162919A (en) 2022-12-09
KR102519384B1 KR102519384B1 (en) 2023-04-11

Family

ID=8444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849A KR102519384B1 (en) 2021-06-01 2021-06-01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120A (en)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드림피아 Hydraulic pump for bicycles
KR101547549B1 (en) * 2014-04-21 2015-08-27 주식회사 제이오 Multi port valve for high pressure circumstances
KR200480641Y1 (en) 2015-03-31 2016-06-22 김태붕 Opening and closeing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120A (en)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드림피아 Hydraulic pump for bicycles
KR101547549B1 (en) * 2014-04-21 2015-08-27 주식회사 제이오 Multi port valve for high pressure circumstances
KR200480641Y1 (en) 2015-03-31 2016-06-22 김태붕 Opening and close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84B1 (en)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311A (en) Valve apparatus
KR101401086B1 (en) Prefabricated high-pressure flow control valve
JP5818498B2 (en) Directional switching valve
KR20170064878A (en) Dual check valve
KR20210000285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P0937928A1 (en) Electric motor-operated flow control valve
CN217784255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CN109538772B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JPH07247983A (en) Bidirectional pump
KR102020601B1 (en) A Solenoid valve with flow control
KR102519384B1 (en) Opening and closeing valve of rotary type
CN110836270B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JP5881876B2 (en) Directional switching valve
JP5881367B2 (en) Pilot type electric control valve
CN110388484B (en) Swing check valve
JP7278459B2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its cooling system
CN203571114U (en) Self-control reflux valve with rotary valve used as bypass structure
CN110220021B (en) Household explosion-proof pipe integrated valve
KR200337366Y1 (en) A decompression and flow control switch for boiler
KR101098244B1 (en) Stop valve for attachment of excavator
CN219712397U (en) Modularized assembled valve
CN211010079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43223B1 (en) Refrigerant-blocking valve assembled & disassembled by element
CN217874277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ssembly,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KR0177368B1 (en) Control valve unit of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