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649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649A
KR20220162649A KR1020220083490A KR20220083490A KR20220162649A KR 20220162649 A KR20220162649 A KR 20220162649A KR 1020220083490 A KR1020220083490 A KR 1020220083490A KR 20220083490 A KR20220083490 A KR 20220083490A KR 20220162649 A KR20220162649 A KR 20220162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il
aerosol
generating device
susceptor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080B1 (ko
Inventor
김용환
한대남
김동성
이승원
장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08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649A/ko
Priority to KR1020230054994A priority patent/KR2023006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유도 코일에 대한 제어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일 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고, 다른 일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APPARATUS}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유도 코일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궐련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의 삽입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장치의 전원을 켜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별도의 센서(예: 압력 센서, 필름 센서, 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탑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없이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장치의 전원을 켜는 방법이 구현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자동으로 장치의 전원을 켜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별도의 센서를 포함하면, 하드웨어의 복잡도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소형 크기의 전자 장치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별도의 센서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설계 변경에 대한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유도 코일에 대한 제어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일 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고, 다른 일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된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로부터 수신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유도 코일, 및 상기 유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유도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진폭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의 진폭이 지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도 코일이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된 유도 코일; 및 상기 유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코일에 제1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유도 코일에 상기 제1 전력의 크기와는 다른 제2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유도 코일이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유도 코일을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여 가열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이외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계 변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최소한의 전력량을 소모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유도 코일에 대한 제어 모드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200)의 제1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200)의 제2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유도 코일에 대한 제어 모드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 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홀더(holder)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퍼프”라 함은 사용자의 흡입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서셉터(130), 유도 코일(140), 배터리(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도시되는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유도 가열 방식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서셉터(130)에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하는 교번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인가하여 서셉터(130)를 발열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서셉터(130)에 교번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서셉터(130)에는 와류손(eddy current loss) 및 히스테리시스손(hysteresis loss)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손실되는 에너지가 열에너지로서 서셉터(13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서셉터(130)에 인가되는 교번 자기장의 진폭 또는 주파수가 클수록 서셉터(130)로부터 많은 열에너지가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서셉터(130)에 교번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서셉터(130)로부터 열에너지를 방출시킬 수 있고, 서셉터(130)로부터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셉터(130)는 조각, 박편, 또는 스트립 등의 형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서셉터(130)의 적어도 일부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셉터(130)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130)는 페라이트(ferrite), 강자성 합금(ferromagnetic alloy),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셉터(130)는 흑연(graphite), 몰리브덴(molybdenum),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니오븀(niobium), 니켈 합금(nickel alloy), 금속 필름(metal film), 지르코니아(zirconia) 등과 같은 세라믹, 니켈(Ni)이나 코발트(Co) 등과 같은 전이 금속, 붕소(B)나 인(P)과 같은 준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수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는 서셉터(130)가 배치될 수 있다.
서셉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셉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에 포함된 담배 매질을 둘러쌀 수 있다. 그에 따라, 서셉터(130)로부터 담배 매질에 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서셉터(130)에 교번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유도 코일(14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유도 코일(140)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유도 코일(140)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서셉터(130)가 유도 코일(140) 내부에 위치하여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하는 교번 자기장에 노출되는 경우, 서셉터(130)가 발열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가열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서셉터(130)의 외측면을 따라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유도 코일(14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권선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이 권선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셉터(130)가 위치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유도 코일(140)에 의해 생성되는 교번 자기장이 서셉터(130)에 인가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정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 코일(140)은 서셉터(1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서셉터(130)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서셉터(130)에 교번 자기장을 인가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 코일(140)은 서셉터(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 코일(140)의 크기 및 배치에 의해 유도 코일(140)의 교번 자기장이 서셉터(130)에 인가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유도 코일(140)을 통해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수신 모드로 설정하거나, 유도 코일(140)을 통해 서셉터(130)를 가열하기 위하여 발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설정하여, 유도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이 감지되면 스위칭 모듈을 통해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의해 형성되는 교번 자기장의 진폭 또는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 서셉터(13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하는 정도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의한 자기장의 진폭 또는 주파수는 유도 코일(140)에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유도 코일(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유도 코일(140)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진폭 및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유도 코일(140)은 솔레노이드(solenoid)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권선되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고, 솔레노이드의 내부 공간에 서셉터(13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위치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도선의 재질은 구리(Cu)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은(Ag), 금(Au), 알루미늄(Al), 텅스텐(W), 아연(Zn), 및 니켈(Ni)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이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도선의 재질이 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유도 코일(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직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유도 코일(140)에 공급되는 교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직류를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배터리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 등일 수 있다.
변환부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유도 코일(140)에 공급되는 교류를 출력하는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amplifi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부는 D급 증폭기(class-D amplifier)의 부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공급되는 전력이 조정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서셉터(130)의 온도에 기초하여 서셉터(13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에 따라 유도 코일(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어 모드가 수신 모드인 경우에 유도 코일(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1 전력으로 설정하고, 제어 모드가 발신 모드인 경우에 유도 코일(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1 전력보다 높은 제2 전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히터(135), 센서(145),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0)는 히터(135)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 즉, 센서(145),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135)는 서셉터(예: 도 1a의 서셉터(130)) 및 유도 코일(예: 도 1a의 유도 코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히터(135)가 유도 가열 방식인 경우에,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교번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기장이 서셉터(130)에 인가됨에 따라, 서셉터(130)는 가열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도 1a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셉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에 포함된 담배 매질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셉터(130)는 담배 매질이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매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서셉터(130)의 배치에 관계 없이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13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서셉터(130)의 배치에 관계 없이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 또는 발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45)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2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120)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45)는 퍼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5)는 히터(135)(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3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135)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135)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별도의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위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외부의 온도이다. 주위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방출되는 대기의 온도이다. 온도 센서는 주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측정한 주위 온도의 값을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주위 온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프로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주위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주위 습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외부의 습도이다. 주위 습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방출되는 대기의 습도이다. 습도 센서는 주위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측정한 주위 습도의 값을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주위 습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기 위한 가열 프로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이 감지되면, 추가적인 외부의 입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가열이 시작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이 감지되면, 배터리(110)가 유도 코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20)는 추가적인 외부의 입력이 존재해야 가열이 시작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관련된 시각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5)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종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 디바이스, 외부 서버 등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타입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 USB, MHL, AES/EBU,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채널과, 디바이스 정보, 비디오 또는 오디오에 관련된 정보(예로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송수신하기 위한 DDC(Display Data Channel)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2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6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1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유도 코일(140), 스위칭 모듈(20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가열 제어부(210) 및 궐련 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제어부(210) 및 궐련 인식부(220)는 각각 독립적인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제어부(210)는 전반적인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가열 IC(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되고, 궐련 인식부(220)는 가열 제어부(210)와 독립적인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열 제어부(210) 및 궐련 인식부(220)는 각각의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가열 제어부(210)는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궐련 인식부(220)는 궐련의 삽입 감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는 수신 모드(Rx) 및 발신 모드(Tx)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모드는 유도 코일(14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을 감지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발신 모드는 유도 코일(14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을 가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가 수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가 발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해 서셉터(예: 도 1a의 서셉터(130))를 관통하는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가변 자기장이 발생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모듈(200)은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유도 코일(140)의 전기적인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듈(200)은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된 제어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부(120)의 구성 요소(예: 가열 제어부(210) 및 궐련 인식부(220))와 유도 코일(140) 간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스위칭 모듈(200)은 유도 코일(140)과 제어부(120)의 궐련 인식부(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칭 모듈(200)의 제1 단자가 선택됨에 따라, 유도 코일(140)은 궐련 인식부(220)와 제1 경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이 제1 경로를 통해 궐련 인식부(220)에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를 획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에, 스위칭 모듈(200)은 유도 코일(140)과 제어부(120)의 가열 제어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칭 모듈(200)의 제2 단자가 선택됨에 따라, 유도 코일(140)은 가열 제어부(210)와 제2 경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이 제2 경로를 통해 가열 제어부(210)와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120)는 서셉터(130)를 가열하기 위해 유도 코일(140)에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모듈(200)은 유도 코일(140) 및 제어부(120)의 구성 요소(예: 가열 제어부(210), 궐련 인식부(220))간에 전기적인 경로(예: 제1 경로, 제2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듈(200)은 모스펫(MOSFET)을 사용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가 수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예: 장치의 전원을 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원 상태가 온(on)되면, 제어부(120)는 스위칭 모듈(200)로 하여금 궐련 인식부(220)와 연결된 단자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칭 모듈(200)을 통해 유도 코일(140), 스위칭 모듈(200) 및 궐련 인식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 스위칭 모듈(200) 및 궐련 인식부(220)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모듈(200)을 통해 유도 코일(140) 및 궐련 인식부(220)가 연결되면, 궐련 인식부(220)는 유도 코일(140)에 제1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예: 도 1a의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은 금속 물질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궐련 인식부(2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도 1a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는 수식 1을 통해 연산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궐련 인식부(220)는 수식 1을 통해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02
)에 따른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
Figure pat00003
)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유도 코일(140)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되는 경우에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04
) 값은 감소하고, 궐련 인식부(220)에서 측정되는 주파수(
Figure pat00005
) 값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주파수 변화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궐련 인식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 부분에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유도 코일(14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값은 3μH에서 2.5μH으로 감소할 수 있다. 궐련 인식부(220)는 인덕턴스 변화인 0.5μH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가 기 설정된 주파수 변화 이상임을 감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궐련 인식부(220)는 유도 코일(140)이 포함된 발진 회로에서 발진 전압의 진폭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코일(140)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되는 경우에, 발진 회로의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발진 전압의 진폭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발진 전압의 진폭이 기 설정된 진폭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 궐련 인식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스위칭 모듈(200)을 통해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부터 발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유도 코일(140)에 대해 서셉터를 관통하는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제어부(120)는 스위칭 모듈(200)로 하여금 가열 제어부(210)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전기적인 경로를 궐련 인식부(220)와 연결되는 제1 경로에서 가열 제어부(210)와 연결되는 제2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모듈(200)을 통해 유도 코일(140) 및 가열 제어부(210)가 연결되면, 가열 제어부(210)는 유도 코일(140)에 제1 전력보다 높은 제2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력은 유도 코일(140)이 서셉터(130)를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는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2 전력은 유도 코일(140)이 서셉터(130)를 예열하기 위한 전력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유도 코일에 대한 제어 모드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에 대응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예: 도 2의 제어부(120))는 동작 301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도 1a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유도 코일(예: 도 2의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 및 궐련 인식부(예: 도 2의 궐련 인식부(220))가 연결되도록 스위칭 모듈(예: 도 2의 스위칭 모듈(200))을 제어함으로써,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이 궐련 인식부(220)와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제1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예: 도 1a의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동작 303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제1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 유도 코일(140)에는
Figure pat00006
만큼의 자속(magnetic flux)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수식 2에서와 같이,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07
) 값은 유도 코일(140)의 자속(
Figure pat00008
)에 비례하고, 유도 코일(140)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09
)에 반비례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pat00010
제1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 적어도 일 부분에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유도 코일(140)에 근접하면,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11
) 값이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유도 코일(140)에 근접함에 따라 유도 코일(140)에서의 자속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유도 코일(140)에서의 자속을
Figure pat00012
만큼 유지하기 위해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해 더 높은 전류(
Figure pat00013
) 값에 대응되는 전력을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14
) 값은 감소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값이 3μH에서 2.5μH으로 감소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값이 0.5μH만큼 감소함에 기초하여,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 공간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가 기 설정된 주파수 변화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가 기 설정된 주파수 변화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 공간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주파수 변화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에 포함되는 금속 물질이 유도 코일(140) 내부에 삽입되면서 발생하는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의 최솟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은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물질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금속 물질은 알루미늄(A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동작 305에서 서셉터(예: 도 1a의 서셉터(130))에 대해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 및 가열 제어부(예: 도 2의 가열 제어부(210))가 연결되도록 스위칭 모듈(200)을 제어함으로써,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이 가열 제어부(210)와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제2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가열 IC로 구현되는 가열 제어부(210)를 통해서 유도 코일(140)에 제2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력은 제1 전력보다 높은 전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동작 301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가 기 설정된 주파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301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유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200)의 제1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상태가 온(on) 되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 및 궐련 인식부(220)가 연결되도록 스위칭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모듈(200)은 유도 코일(140) 및 궐련 인식부(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 및 궐련 인식부(220)가 연결되면, 궐련 인식부(220)는 유도 코일(140)에 제1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예: 도 1a의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궐련 인식부(220)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코일(140)에 제1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유도 코일(140)의 내부 및 주변 영역에는 제1 전력에 대응되는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자기장에 대해 금속 물질(또는, 자성체)이 삽입되면, 궐련 인식부(220)는 금속 물질로 인해 변형된 자기장의 정도에 대응되는 인덕턴스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궐련 인식부(220)는 인덕턴스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200)의 제2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 및 가열 제어부(210)가 연결되도록 스위칭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칭 모듈(200)은 유도 코일(140) 및 가열 제어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 및 가열 제어부(210)가 연결되면, 가열 제어부(210)는 유도 코일(140)에 제2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은 유도 코일(14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15) 사이에 배치되는 서셉터(예: 도 1a의 서셉터(130))를 가열하기 위하여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코일(140)에 제2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유도 코일(140)의 내부 및 주변 영역에는 제2 전력에 대응되는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력은 제1 전력보다 높고, 제2 전력에 대응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제1 전력에 대응되는 자기장의 세기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 코일(140)로부터 발생된 가변 자기장을 통해 서셉터(130)가 가열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유도 코일에 대한 제어 모드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예: 도 2의 제어부(120))는 동작 501에서 유도 코일(예: 도 2의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설정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동작 503에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주기(예: 3초)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퍼프 수 및 흡연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동작 505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지속적으로 삽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전력이 흐르는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를 감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동작 507에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전환하여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5)이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동작 509에서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유지하여 가열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600)는 유도 코일(14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600)는 별도의 스위칭 모듈 없이 제어부(120)를 통해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는 수신 모드(Rx) 및 발신 모드(Tx)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드는 유도 코일(14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발신 모드는 유도 코일(14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수신 모드로 설정하여,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검출된 유도 코일(140)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에 대한 제어 모드를 발신 모드로 설정하여, 유도 코일(140)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여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유도 코일(140)은 가변 자기장이 발생함에 따라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된 서셉터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에어로졸 생성 물품
110: 배터리
120: 제어부
130: 서셉터
135: 히터
140: 유도 코일
200: 스위칭 모듈

Claims (7)

  1.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된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로부터 수신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유도 코일, 및
    상기 유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유도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진폭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의 진폭이 지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도 코일이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 동안 제1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 동안 제2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고,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제2 전력량보다 작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상의 온도 변화, 유량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도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진폭을 측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스트립(strip) 형상이고,
    상기 서셉터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흑연, 몰리브덴, 실리콘 카바이드, 니오븀, 니켈, 코발트, 붕소, 및 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따라 권선되는 솔레노이드이고,
    상기 유도 코일은 구리, 은, 금, 알루미늄, 텅스텐, 아연, 및 니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된 유도 코일; 및
    상기 유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코일에 제1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유도 코일에 상기 제1 전력의 크기와는 다른 제2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유도 코일이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20083490A 2021-06-01 2022-07-07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490A KR102530080B1 (ko) 2021-06-01 2022-07-07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30054994A KR20230062513A (ko) 2021-06-01 2023-04-26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66A KR20220162472A (ko) 2021-06-01 2021-06-0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20083490A KR102530080B1 (ko) 2021-06-01 2022-07-07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66A Division KR20220162472A (ko) 2021-06-01 2021-06-0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994A Division KR20230062513A (ko) 2021-06-01 2023-04-26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649A true KR20220162649A (ko) 2022-12-08
KR102530080B1 KR102530080B1 (ko) 2023-05-08

Family

ID=8432338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66A KR20220162472A (ko) 2021-06-01 2021-06-0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20083490A KR102530080B1 (ko) 2021-06-01 2022-07-07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30054994A KR20230062513A (ko) 2021-06-01 2023-04-26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40052095A KR20240054257A (ko) 2021-06-01 2024-04-18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66A KR20220162472A (ko) 2021-06-01 2021-06-0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994A KR20230062513A (ko) 2021-06-01 2023-04-26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40052095A KR20240054257A (ko) 2021-06-01 2024-04-18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0632B2 (ko)
EP (1) EP4247195A1 (ko)
JP (1) JP2023548633A (ko)
KR (4) KR20220162472A (ko)
CN (1) CN116583199A (ko)
CA (1) CA3201403A1 (ko)
WO (1) WO20222557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7256A1 (en) *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ductive heating device, aerosol-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648324B1 (ko) * 2014-05-21 2016-08-1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용 유도 가열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61233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90214A (ko) * 2017-12-21 2020-07-28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10006088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에어로졸 형성기재 감지 구조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8752A (en) * 1996-11-25 1999-03-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lean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heat sources and lighters useful in smoking systems and other apparatuses
KR100285640B1 (ko) 1998-12-31 2001-04-02 구자홍 유도가열조리기의 초기동작회로
EP2100525A1 (en) 2008-03-14 2009-09-16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EP2201850A1 (en) 2008-12-24 2010-06-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rticl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GB2518598B (en) * 2013-08-30 2016-06-01 Nicoventures Holdings Ltd Apparatus with battery power control
CN105407750B (zh) * 2014-05-21 2018-06-26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多材料感受器的成烟制品
GB201705208D0 (en) 2017-03-31 2017-05-17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Temperature determination
JP7082140B2 (ja) 2017-04-11 2022-06-07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パフ認識を介した適応的な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KR102231228B1 (ko) 2017-05-2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049391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99797B1 (ko) 2018-12-14 2021-0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3046B1 (ko) * 2019-03-05 2021-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CA3149060A1 (en) 2019-08-23 2021-03-04 Jerome Courbat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or the extraction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nto or from th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7256A1 (en) *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ductive heating device, aerosol-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648324B1 (ko) * 2014-05-21 2016-08-1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용 유도 가열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90214A (ko) * 2017-12-21 2020-07-28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00061233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6088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에어로졸 형성기재 감지 구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700A1 (en) 2022-12-08
KR102530080B1 (ko) 2023-05-08
CA3201403A1 (en) 2022-12-08
US20230389613A1 (en) 2023-12-07
JP2023548633A (ja) 2023-11-17
KR20230062513A (ko) 2023-05-09
CN116583199A (zh) 2023-08-11
KR20220162472A (ko) 2022-12-08
EP4247195A1 (en) 2023-09-27
US11950632B2 (en) 2024-04-09
KR20240054257A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02060B (zh) 气溶胶生成装置、气溶胶生成系统和气溶胶生成装置的制造方法
US11980231B2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30080B1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02755B1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장치
US11998061B2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hea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27523A (ko) 흐름 통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126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진열 시스템
KR20200088655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3507850B (zh) 气溶胶生成装置和气溶胶生成系统
KR2024003363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042360A1 (ja) 吸引装置、及び吸引システム
KR2023017299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