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437A -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437A
KR20220162437A KR1020210070896A KR20210070896A KR20220162437A KR 20220162437 A KR20220162437 A KR 20220162437A KR 1020210070896 A KR1020210070896 A KR 1020210070896A KR 20210070896 A KR20210070896 A KR 20210070896A KR 20220162437 A KR20220162437 A KR 2022016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policy
failure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준
신귀현
Original Assignee
김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준 filed Critical 김창준
Priority to KR102021007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437A/ko
Publication of KR2022016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1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at application loading time, e.g. accepting, rejecting, starting or inhibiting executable software based on integrity or source rel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하는 점검단계;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단계;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관리단계; 및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하는 정책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faul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smart filtering}
본 발명은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단말기의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 예방 작업과 장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사회는 키오스크, 자판기, ATM 등 무인단말기와 같은 무인화 정보제공 단말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보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비대면 방식의 생활 환경으로의 전환의 주요 방식으로 무인단말기의 활용이 가속화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생활 전반에 걸쳐 무인단말기를 통한 물품 또는 금전의 유통과 주문 결제 등을 보다 손쉽고 편하게 여기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근래에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지닌 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무인화 단말을 이용한 적용 범위는 더욱 광범위해지고 이에 따라 사용 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무인화 단말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기 관리적 차원의 중요성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이같이 무인단말기의 서비스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3388호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수개의 단말기를 그 제조회사가 간편하게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은행의 호스트 컴퓨터에 샘플링 주기동안 발생된 자료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DB서버로 상기 샘플링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S402); 전송된 상기 자료를 무인 단말기의 제조회사별, 제품별, 모델별로 분류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404); 및 전송된 상기 자료중 상기 무인 단말기의 에러에 관한 에러코드가 포함된 경우(S40), 상기 에러에 관련된 자료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6); 상기 에러코드를 해당 제조회사에 전송하는 단계(S408); 해당 제조회사는 서비스맨에게 에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10); 상기 서비스맨은 수리 후(S412), 수리 결과를 해당 제조회사에 전송하는 단계(S414); 상기 서비스맨은 수리에 관한 정보를 상기 DB서버에 기록하는 단계(S416); 상기 제조회사는 소정시간마다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DB서버에 접속하여 (S300), 해당 제조회사의 DB자료를 다운로드 받고(S302), 다운로드된 상기 DB자료를 분석 및 통계처리 하여(S304) 출력하는 단계(S306)로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무인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은 은행에 설치된 단말기에 적용되는 기술로 한정되어 있고, 또한 원격 관리방법에 있어서도 단지 은행에 설치된 단말기의 관리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제조사 또는 기술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방문 처리를 요청하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써 기술이 국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83388호(등록일자: 2003년 04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단말기에서 발생시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구동과 정보 처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태정보 점검을 통해 필요 시, 장애 예방 작업을 실시하고 또는 예측되는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대응 조치를 선제적으로 실행하는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하는 점검단계;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단계;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관리단계; 및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하는 정책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무인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하는 점검부;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관리부; 및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를 포함하는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단말기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대응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단말기의 상태정보에 따라 장애를 예방하거나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조치를 즉각적으로 실행하는 솔루션을 시스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현장으로의 인력 투입과 장애 관련 정보 분석 등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발생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애 처리 결과 정보를 축적하고 새로운 장애 예측 패턴을 생성하고 기존 장애 관리 정책과 연동함으로써 대응 정책의 최신화가 가능하고 또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은 공중망(Public network)과의 연결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망은 국가 혹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구축 및 관리하는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이 타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망을 네트워크로 대체하여 표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은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해, 무인단말기(200),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또는 단말들은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인단말기가 발생 시키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장애 발생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지능형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 활용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무인단말기의 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인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방식 등을 통한 입력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100)는 기관이나 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식당 등 특정 장소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요구되는 금전이나 물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100)는 키오스크(Kiosk), 자판기, ATM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4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중망 또는 사설망 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각각의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웹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단말(300)은 개별적인 보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정상적인 운용을 위한 시스템 환경 설정 등 시스템 관리 영역의 정보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수집부(120), 점검부(130), 판별부(140), 처리부(150), 관리부(160),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 알림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수집부(120)는 무인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20)는 하나 이상의 무인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무인단말기(200)별 구분 및 분류하여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물리적 구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정보를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대기 상태로 맞춰지는 세팅에 이르기까지 발생될 수 있는 정보를 단말 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입력받는 요청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물리적 구동이 완료되고 데이터 입력 대기 상태로 진입 후에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시스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수집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처리될 시, 트랜잭션 처리 정보 등을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랜잭션 처리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는 변화될 수 있다.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데이터를 구분하고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하드웨어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운영체제 부문,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문, 트랜잭션 처리 부문 등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등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무분별한 소프트웨어의 설치와 실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증 처리된 화이트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이트리스트는 상기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특 정보 등을 통해 분석될 수 있고 보안 등급이 평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이트리스트는 일정 기준 이상 등급으로 평가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야기할 수 있는 구성요소 별 체크리스트를 상기 장애 관리 정책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으로 하드웨어 체크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체크리스트는 상기 무인단말기(200) 내 구비되는 메인보드, CPU, 메모리, 슬롯, 주변 장치 접속 포트 및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기 하드웨어 체크리스트는 각 구성요소 별 장치 운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여 장애 관리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와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의 분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데이터로 운영체제 정보로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운영체제 파일 정보 점검에 대한 운영체제 부문의 체크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점검부(130)는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이라는 정보를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는 운영체제 오류에 대한 정보로 업데이트 실패,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 윈도우 서비스 동작 오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응용 프로그램 오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오류 정보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미응답, 응용 프로그램 설치 실패, 응응 프로그램 파일 손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부(130)는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발생되는 BSOD(Blue Screen Of Death; 블루스크린) 정보를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연계 설치된 디바이스의 정상적 설치 및 구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드라이버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CPU, RAM, 스레드, 핸들, 프로세스 등과 같은 성능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판별부(14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장애 관리 지표를 분석하여 장애 관리 조치 실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와의 매칭 분석을 통해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로 각 항목별 임계값 또는 점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임계값 또는 점검정보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시스템 성능 수치,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이벤트 오류 정보, 이벤트 횟수 등에 대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특정 장애 파라미터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부(140)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 정보로 인증된 화이트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의 설치, 실행 등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하드 디스크 사용량 등으로 측정될 수 있는 시스템 성능수치 정보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값은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등과 같이 외부와 연동되는 기기와의 상태 변화에 따라 측정될 수 있는 수치 정보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정보의 내용은 이벤트의 오류 정보, 이벤트 발생 횟수, 이상 로그 정보 등을 대상으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별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은 정보 처리를 위하여 트랜잭션 발생 시, 상대 기기에 요청한 정보에 대한 응답정보를 기다리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은 일정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장애 관리 지표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타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의 정상 여부 또는 기기의 온라인 상태를 판단하는 Ping 테스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판별부(140)는 장애 관리 지표로 설정된 장애 파라미터 기준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의 필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로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류 이벤트 분석 정보는 운영체제 오류에 대한 정보로 업데이트 실패,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 윈도우 서비스 동작 오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이라는 단말 점검정보와 대응되는 장애 관리 지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4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로 설정되어 있는 주요 시스템 파일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이와 일치하는 경우, 장애 관리 조치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조치는 원격 리부팅, 시스템 파일 백업, 포트 활성화 및 비활성화 제어, dump 파일 삭제, 프로세스 보호, 실행 프로세스 순위 조정, 악성 소프트웨어 차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는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때 장애 관리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부(150)는 특정 무인단말기(200)를 대상으로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CPU 사용량이 95%로 확인되는 경우, 장애 관리 지표에 설정된 CPU 사용량 80%를 초과한 상황으로 장애 관리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CPU 사용량이 95%가 되도록 유발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실행을 중지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CPU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교착상태에 빠진 응용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 처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CPU 사용량이 95%이 되도록 유발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트래픽을 확인하여 필요 시 트래픽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명령을 무인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긴급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조치 후,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시 원격 처리를 요청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원격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처리는 윈도우의 경우, 명령 프롬프트인 CMD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관리부(16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6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결과정보와 상기 단말 데이터와의 연계 정보를 학습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60)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를 통해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가 정상으로의 전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160)는 상가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필수 실행 프로세스의 종료되었을 경우, 장애 관리 조치를 실행하여 종료된 프로세스를 재실행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관리부(160)는 필수 실행 프로세스를 재실행시키는 처리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필수 실행 프로세스가 종료된 원인을 분석하고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부(160)는 A 프로세스라는 필수 실행 프로세스가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A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거나 삭제시킨 외부 명령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에 대한 원인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리스크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과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연동하여 검증된 스마트 필터링 정책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 메인보드, 하드웨어, CPU, 메모리, 전원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이상 징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등의 이상 징후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알 수 없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등을 이용하여 화이트리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스마트 필터링 정책을 부가할 수 있다.
알림부(180)는 상기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를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80)는 장애 관리 조치 결과인 처리결과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80)는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등을 기반으로 하여 직관적으로 장애 관련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80)는 상기 장애 관련 정보를 전자메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인터페이스 형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점검부(130)는 물리 계층 점검부(131), OS 계층 점검부(132), 응용 계층 점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30)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한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하드웨어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하드웨어로 구분되는 입출력장치,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저장장치 등의 기계적인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의 데이터 트래픽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기계적인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위한 점검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체크리스트화하여 상기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물리 계층 점검부(131)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하드웨어 부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OS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응용 소프트웨어 구동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상용화되고 있는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위한 점검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체크리스트화하여 상기 운영체제 장애 관리 정책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OS 계층 점검부(132)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운영체제 부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영체제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응응 계층 점검부(133)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용 프로그램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 점검부(133)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특화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에 대한 소프트웨어 부문의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 점검부(133)는 상기 무인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점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체크리스트화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 정책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응용 계층 점검부(133)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서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170)는 상기 장애 관리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와 연동을 통해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는 사전 설정한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대하여 실행 상태의 변경을 차단하는 프로세스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로 종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는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경로,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상기 프로세스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는 상기 식별값으로 구분되는 보호 프로세스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실행 코드를 제거할 수 있는 프로세스 보호모듈(17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는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가 상기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에 인터럽트를 시도하는 이벤트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는 상기 인터럽트를 시도한 행위 주체 및 실행 코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에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171)는 상기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상태 변경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접근 이벤트 정보를 상기 알림부(180)로 전달하여 관리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행 프로세스별 연동되는 출력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프로세스의 실행 경로,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화면 표시 장치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레이아웃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레이아웃 순서를 통해 최상단 인터페이스로 출력되는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하여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레이아웃이 결정된 순서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상태에 대하여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레이아웃이 결정된 출력 인터페이스 순서를 위배하고, 우선 권한을 득하고자 실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최하위 순서로 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접근 이벤트 정보를 상기 알림부(180)로 전달하여 관리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화면 표시 장치에 음식 주문 및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최상단 레이아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음식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 프로세스를 최상단 레이아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운영체제 자동 업데이트가 발생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메시지 알림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무인단말기(200)는 운영체제 업데이트 오류에 따른 상기 메시지 알림 이벤트의 알림창이 발생된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상기 알림창으로 인해 화면 표시 장치에서 화면 전환 또는 일부 화면 가림 상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인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의 인터페이스 전환 또는 화면 가림 상태는 정상적인 음식 주문 및 구매를 불가하게 할 수 있는 장애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사전 설정한 레이아웃의 순서와 최상단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프로세스의 지정을 통해 상기 알림창으로 인해 화면의 변경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커스 차단 정책부(172)는 사용자 입력을 방해 하지 않는 화면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 2a 내지 도2C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부의 역할과 기능은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수집단계(S101)는 무인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200)의 구동과 상기 무인단말기(200)에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데이터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트랜잭션 처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검단계(S103)는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하드웨어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운영체제 부문,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문, 트랜잭션 처리 부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등을 포함한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처리단계(S105)는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시스템 성능 수치,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이벤트 오류 정보, 이벤트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특정 장애 파라미터가 지정될 수 있다.
관리단계(S107)는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정책단계(S109)는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점검단계(S103)는 하드웨어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물리 계층 점검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단계(S103)는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OS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OS 계층 점검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단계(S103)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용 프로그램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응응 계층 점검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책단계(S109)는 사전 설정한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대하여 실행 상태의 변경을 차단하는 프로세스 정책을 적용하는 프로세스 관리 정책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단계는 실행 프로세스의 경로 또는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상기 프로세스 정보를 구분하고, 상기 식별값으로 구분되는 보호 프로세스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실행 코드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보호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책단계(S109)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행 프로세스별 연동 출력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하는 포커스 차단 정책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무인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하는 점검부;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관리부; 및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의 구동과 상기 무인단말기에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데이터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트랜잭션 처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하드웨어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물리 계층 점검부;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OS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OS 계층 점검부;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용 프로그램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응응 계층 점검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는,
    사전 설정한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대하여 실행 상태의 변경을 차단하는 프로세스 정책을 적용하는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필터링 정책부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행 프로세스별 연동 출력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하는 포커스 차단 정책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부는,
    실행 프로세스의 경로 또는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상기 프로세스 정보를 구분하고, 상기 식별값으로 지정하는 보호 프로세스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실행 코드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보호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하드웨어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운영체제 부문,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문, 트랜잭션 처리 부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시스템 성능 수치,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이벤트 오류 정보, 이벤트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특정 장애 파라미터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인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말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단말 데이터와 장애 관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태 분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단말 점검정보를 저장하는 점검단계;
    상기 단말 점검정보에 대응하는 장애 관리 지표의 판별 정보에 따라 장애 관리 조치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단계;
    상기 장애 관리 조치 정보의 처리 결과 및 상기 단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예측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관리단계; 및
    상기 장애 예측 패턴 정보의 학습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스마트 필터링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을 갱신하는 정책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무인단말기의 구동과 상기 무인단말기에 요청되는 정보 처리를 위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데이터는 운영체제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로그 정보, 이벤트 정보, 트랜잭션 처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단계는,
    하드웨어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드웨어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물리 계층 점검단계;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OS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OS 계층 점검단계;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용 프로그램 장애 관리 정책과 매칭하는 응응 계층 점검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단계는,
    사전 설정한 보호 프로세스 리스트에 대하여 실행 상태의 변경을 차단하는 프로세스 정책을 적용하는 프로세스 관리 정책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단계는,
    상기 단말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행 프로세스별 연동 출력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순서에 대한 변경을 시도하는 접근을 차단하는 포커스 차단 정책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관리 정책단계는,
    실행 프로세스의 경로 또는 프로세스 명을 식별값으로 상기 프로세스 정보를 구분하고, 상기 식별값으로 지정하는 보호 프로세스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실행 코드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보호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정책은 하드웨어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운영체제 부문,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문, 트랜잭션 처리 부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평판정보, 해시정보, 실행 데이터, 사회공학적 데이터, 휴리스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시스템 성능 수치, 데이터 응답 대기 시간, 데이터 트래픽양, 이벤트 오류 정보, 이벤트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장애 관리 지표는 특정 장애 파라미터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70896A 2021-06-01 2021-06-01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KR20220162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96A KR20220162437A (ko) 2021-06-01 2021-06-01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96A KR20220162437A (ko) 2021-06-01 2021-06-01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37A true KR20220162437A (ko) 2022-12-08

Family

ID=8443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896A KR20220162437A (ko) 2021-06-01 2021-06-01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4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388B1 (ko) 2000-06-22 2003-05-12 주식회사 뱅크테크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388B1 (ko) 2000-06-22 2003-05-12 주식회사 뱅크테크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단말기의 원격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6469C (en) Faults and performance issue prediction
US9084937B2 (en) Faults and performance issue prediction
US8161330B1 (en) Self-service terminal remote diagnostics
US8015455B1 (en) Self-service terminal for making deposits and for permitting withdrawals
US202000921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icroservices observability automation
KR20130033407A (ko) 보안 이벤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5637833A (zh) 基于配置通道来预先识别可能的恶意行为
US11291077B2 (en) Internet of things sensor major and minor event blockchain decisioning
SG183217A1 (en) Self-service device inventory information control
US11341463B2 (en) Blockchain ledger entry upon maintenance of asset and anomaly detection correction
CN109299064B (zh) 数据库监控方法及终端设备
US20220366488A1 (en) Transmitting proactive notifications based on machine learning model predictions
CN115280337A (zh) 基于机器学习的数据监控
JP2017207894A (ja) 統合監視運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410415A1 (en) Computer-based systems for risk-based programming
CN116886517B (zh) 一种基于流量数据的告警系统及方法
KR20220162432A (ko)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KR20220162437A (ko) 스마트 필터링 기반의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동작 방법
KR20220162438A (ko)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162444A (ko)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162443A (ko)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62442A (ko)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162440A (ko)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62441A (ko)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162439A (ko) 무인단말기 장애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