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274A - Compost ferment equipment - Google Patents

Compost ferment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274A
KR20220162274A KR1020210070542A KR20210070542A KR20220162274A KR 20220162274 A KR20220162274 A KR 20220162274A KR 1020210070542 A KR1020210070542 A KR 1020210070542A KR 20210070542 A KR20210070542 A KR 20210070542A KR 20220162274 A KR20220162274 A KR 2022016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supply pipe
hot water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2661B1 (en
Inventor
위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그린
주식회사 이앤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그린, 주식회사 이앤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그린
Priority to KR102021007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661B1/en
Publication of KR2022016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Abstract

A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supply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a fermentation tank in which livestock manure is stored, and supplying heated air to the livestock manure;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circulates therein. The air supply pipe comprises: an upper plate in contact with the livestock manure stored in the fermentation tank; and a lower plate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forming an air flow passag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can easily remove deposits and the like in the air supply pipe.

Description

퇴비 발효 장치{COMPOST FERMENT EQUIPMENT}Compost fermentation equipment {COMPOST FER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축분을 발효시켜 퇴비를 생산하는 퇴비 발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소, 돼지, 닭 등의 분뇨를 미생물 등에 의해 발효 처리하여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t by fermenting livestock manur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organic fertilizer by fermenting manure of cows, pigs, chickens, etc. with microorganisms or the like.

최근 축산업의 기업화로 인하여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분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된 축분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때문에 축분의 효과적인 처리, 나아가서 축분을 자원화 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livestock industry, a large amount of livestock waste discharged from livestock farms has been generated, and the generated livestock meal has emerged as a major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For this reason, a lot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effective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and furthermore, the recycling of livestock manure.

축분을 자원화 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축분을 미생물 등에 의해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방법이 있다.As one of the methods for recycling livestock manure, there is a method of composting livestock manure by fermenting it with microorganisms or the like.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532호에서는 분뇨를 교반 및 발효시켜 유기질 비료로 만드는 발효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7532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fermentation device for making organic fertilizer by stirring and fermenting manur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의 퇴비 발효 장치는 축분이 적재되어 발효되는 발효조(1), 상기 발효조(1) 저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공기공급관 삽입홈(2), 상기 공기공급관 삽입홈(2)에 삽입되어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 공기공급관(3)의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밸브(4), 공기공급관(3)에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5) 및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으로 교반하는 교반기(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includes a fermentation tank (1) in which livestock manure is loaded and fermented, an air supply pipe insertion groove (2)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1), and the air supply pipe is inserted. An air supply pipe (3) inserted into the groove (2) to supply air to the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er, a valve (4) to control the air flow in the air supply pipe (3), and a blower to inject air into the air supply pipe (3) (5) and an agitator (6) for agitating the livestock contents loaded in the fermenter.

공기공급관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다. 공기 공급관은 축분이 적재되는 발효조의 바닥에 매설되어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적재된 축분이 미생물에 의해 활발하게 발효되도록 한다.The air supply pipe is made in the form of a pipe,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are perforated. The air supply pipe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in which the livestock meal is loaded, and supplies air to the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so that the loaded livestock meal is actively fermented by microorganisms.

공기공급관이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측에 적재된 축분 등이 공기 배출공을 통해 관 내에 유입되어 쌓이거나 유입된 축분 등에 의해 관이 막히는 경우, 적재된 축분에 원활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해 퇴비 발효 장치의 발효 효율이 저하된다.In the process of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 if livestock manure, etc., loaded on the upper side flows into the pip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and accumulates, or if the pipe is blocked by the inflow of livestock manure, etc., smooth air supply to the loaded livestock manure is not achieved, resulting in compost.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the fermentation device is lowered.

이와 같이 공기공급관에 문제가 발생하면, 종래의 경우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을 모두 다른 장소에 이적한 후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공급관을 들어내어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대대적인 작업을 해줘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공급관은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유지보수시에 비용, 인력 및 시간이 막대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In this way, if a problem occurs in the air supply pipe, in the conventional case, after transferring all the livestock contents loaded in the fermenter to another place, large-scale work such as removing and cleaning or replacing the air supply pipe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had to be performed. As such, the conventional air supply pipe is not easy to maintai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st, manpower, and time are enormously required during maintenance.

한편, 축분의 발효가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발효조 내의 축분이 약 60℃~65℃의 온도로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져 축분의 발효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종래에는 퇴비 발효 장치 전체를 가열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는데, 이와 같이 퇴비 발효 장치 전체를 가열하는 경우, 가열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fermentation of livestock meal to occur efficiently, the livestock meal in the fermenter should be proper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to 65 ° C. Conventionally, this has been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heating the entir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but when the entir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is heated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required for heating is excessive.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07532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07532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공급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퇴비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가 분리 가능하여, 공기 공급관 내의 퇴적물 등의 제거가 용이한 퇴비 발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for easy maintenance of an air supply pipe.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detachable so that sediments in the air supply pipe can be easily removed.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발효 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온수배관을 이용하여 가열이 가능한 퇴비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온수배관을 통하여 퇴비 발효 장치의 바닥면, 측면 및 공기 공급관을 가열함으로써, 낮은 온도로 인한 발효 효율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에 소요되는 비용은 줄일 수 있는 퇴비 발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that can be heated using a hot water pipe so that fermentat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low.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cost required for heating while preventing degradation of fermentation efficiency due to low temperature by heating the bottom surface, side surface, and air supply pipe of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through hot water pipes.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소규모농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퇴비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even in small farms.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는, 축분이 저장된 발효조의 바닥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가지는 온수 순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에 저장된 축분과 접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하판을 가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n air supply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a fermentation tank in which livestock meal is stored and supplying heated air to the livestock meal, and the air 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upply pipe and includes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circulates, and the air supply pipe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late in contact with livestock meal stored in the fermenter and a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It has a lower plate forming an air movement passage between them.

또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온수 순환관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들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fermenter, and one hot water circulation pip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또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서로 이격된 제1 공기 공급관 및 제2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 순환관은 상기 제1 공기 공급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관들보다 더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며, 다시 상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2 공기 공급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pipe includes a first air supply pipe and a second air supply pi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refracted downward at an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to be more than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ipes. It extends to a low height and is refracted upward again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또한, 상기 상판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공기 배출공에 삽입되는 공기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ir supply pipe may be formed through the top plate, and the air supply pipe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nozzle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또한, 상기 공기 분사 노즐은 축분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공기 분사통로들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nozzle may have at least two air injection passages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axis.

또한, 상기 공기 분사통로들은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passages may inject air downward.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된 이동 통로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 및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injection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ement passag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supplying air to the movement passage,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ement passage to supply air to the other side of the movement passage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that opens and closes.

또한, 상기 하판은 단면이 반원 형상이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판과, 상기 제1 하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상판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하판 상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lower plate extending from a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plate to a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By being extended, it may have an extension jaw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는, 투입구로부터 발효조로 투입된 축분을 교반하며,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기, 축분이 저장된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가지는 온수 순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에 저장된 축분과 접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을 가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other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stirrer for stirring and transporting livestock powder introduc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from the inlet in one direction, and a one-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in which livestock powder is stored. It extends to, and includes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heated air to the livestock meal,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circulates therein, wherein the air supply pipe is stored in the fermentation tank. It has an upper plate in contact with livestock powder,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o form an air passag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온수 순환관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들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fermenter, and one hot water circulation pip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는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가 분리 가능하여, 공기 공급관 내의 퇴적물 등의 제거가 용이하다. 이를 통하여, 공기 공급관에 퇴적물이 쌓이거나 공기 공급관이 막힘에 의해 축분에 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함으로써, 퇴비 발효 장치의 발효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detachable, it is easy to remove sediments in the air supply pip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solve a problem in which air is not supplied to livestock manure due to accumulation of sediment in the air supply pipe or clogging of the air supply pipe, thereby minimizing a decrease in fermentation efficiency of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또한, 온수배관을 통하여 퇴비 발효 장치의 바닥면, 측면 및 공기 공급관을 가열함으로써, 낮은 온도로 인한 발효 효율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에 소요되는 비용은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heating the bottom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air supply pipe of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through the hot water pipe, fermentation efficiency degradation due to low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and costs required for heating can be reduced.

또한, 스크루 컨베이어 방식의 교반기를 이용하는 경우, 소규모농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using a screw conveyor type agitator, it can be used even in small farms.

도 1은 종래 퇴비 발효 장치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퇴비 발효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 공급관과 온수 순환관을 A-A'라인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판으로부터 하판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하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공기 공급관과 온수 순환관을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공기 공급관 및 온수 순환관과 공기 공급관에 삽입되는 공기 분사 노즐을 C-C'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관에 탈부착되는 공기 주입부와 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턱을 포함하는 하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슬라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의 개념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mpost fermentation devic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f FIG. 2 taken along line A-A'.
4 is a view showing how the lower plat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is separated in FIG. 3 .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f FIG. 2 taken along line BB′.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f FIG. 2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inserted into the air supply pipe taken along line C-C′.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injection unit and a stopper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late including an extension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lide structure of a low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could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could also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퇴비 발효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공기 공급관과 온수 순환관을 A-A'라인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상판으로부터 하판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하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f FIG. 2 taken along line A-A',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lower plate in FIG. 3 .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퇴비 발효 장치(10)는 축분이 적재되어 발효되는 발효조(500),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을 교반하는 교반기(700),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100), 공기 공급관(100)에 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900), 온수로 발효조에 적재된 축분을 가온하는 온수 순환관(300) 및 온수 순환관(300)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2 to 5, th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10 includes a fermentation tank 500 in which livestock meal is loaded and fermented, an agitator 700 for stirring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and air supplied to the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An air supply pipe 100, a blower 900 for provid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 100,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for heating livestock loaded in the fermenter with hot water, and hot water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A pump (not shown) may be included.

퇴비 발효 장치(10)는 다양한 유기성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로 재생산하는 장치일 수 있다. 유기성폐기물은 음식물 등의 생활쓰레기, 가축의 분뇨인 축분 등 유기물을 주체로 하는 폐기물들을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축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10 may be a device for reproducing compost by fermenting various organic wastes. Organic waste refers to wastes mainly composed of organic substances, such as household waste such as food and livestock manure, which is livestock man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livestock manure will be described below.

발효조(500)는 외부로부터 퇴비 발효 장치(10)에 투입된 축분이 적재되는 장소일 수 있다. 투입된 축분은 발효조(500)에서 일정 기간동안 발효되어 퇴비화 되고, 퇴비화된 축분은 퇴비로써 출고된다. 발효조(500)는 노지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개방형 발효조이거나 별도의 시설물에 설치되는 폐쇄형 발효조일 수 있다.The fermentation tank 500 may be a place where livestock contents input from the outside into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10 are loaded. The introduced livestock manure is fermented and composted for a certain period in the fermentation tank 500, and the composted livestock manure is released as compost. The fermentation tank 500 may be an open fermentation tank installed in a place such as an open field or a closed fermentation tank installed in a separate facility.

교반기(700)는 발효조(500)에 적재된 축분을 교반하는 장치일 수 있다. 교반기(700)는 발효조(500)에 적재된 축분을 인공적으로 교반하여 호기성 발효를 시키게 된다. The stirrer 700 may be a device for stirring the livestock contents loaded in the fermenter 500. The agitator 700 artificially agitates the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500 to perform aerobic fermentation.

축분을 교반하는 경우, 축분을 교반하지 않는 경우와 대비하여 발효를 진행하는 미생물들이 축분에 골고루 퍼지게 함과 더불어, 미생물들에게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livestock meal is stirred, the ferment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upplying enough air to the microorganisms as well as evenly spreading the microorganisms undergoing fermentation in the livestock meal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livestock meal is not stirred.

교반기(700)는 교반 에스컬레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발효조(500)의 양측벽 상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발효교반차일 수 있다.The stirrer 700 has a stirring escalator and may be a fermentation stirrer that reciprocates along rail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 walls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교반 에스컬레이터는 축분을 퍼 담을 수 있는 버킷이 순환 회전을 하면서, 발효조(500)에 적재된 축분을 퍼 올린 후 낙하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축분을 교반할 수 있다.The agitation escalator can stir the livestock meal through a process of raising and dropping the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er 500 while the bucket capable of scooping the livestock meal circulates.

공기 공급관(100)은 축분이 저장된 발효조(500)의 바닥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발효조(500)에 적재된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The air supply pipe 100 extends in one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in which livestock meal is stored, and supplies heated air to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500.

축분의 발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축분에 투입된 미생물들의 발효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상온의 공기를 축분에 공급하는 경우, 발효조(500) 내에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축분의 발효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적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발효조(500) 내에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축분의 발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order for livestock manure to be fermented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at which fermentation of microorganisms added to livestock manure can occur actively. When air at room temperature is supplied to livestock manu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quired for fermentation in the fermenter 500, and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air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is supplied,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quired for fermentation can be maintained in the fermenter 500, so that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can be improved.

공기 공급관(100)은 상부에 적재되는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공(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111 for supplying heated air to shaft powder loaded thereon.

공기 공급관(100)은 발효조(500)의 바닥과 평행하며, 적재된 축분이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 또는 적재된 축분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00 is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fermenter 500, and may be installe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ed livestock meal is transported 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aded livestock meal is transported.

공기 공급관(100)은 송풍기(9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00 may receive air from the blower 900 .

공기 공급관(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900)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장치로,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impeller),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casing)을 사용하여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The blower 900 that supplies air to the air supply pipe 100 is a device that causes the flow of air, and uses an impeller that causes the flow and a casing that guides the flow that goes in and out of the impeller to flow the air. can cause

공기 공급관(100)을 통해 축분에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공급관(100) 내부의 공기는 온수 순환관(3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된 후, 축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공급관(100)은 송풍기(900)에서 가열된 공기를 공급받아 축분으로 공급할 수 있다.Air supplied to livestock meal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heated air. Specifically, the air inside 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heated by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and then supplied as axis powder. The air supply pipe 100 may receive air heated by the blower 900 and supply it as shaft powder.

공기 공급관(100) 내의 가열된 공기의 온도는 발효조(500) 내에 적재된 축분을 발효에 적정한 온도로 가온할 수 있는 온도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in 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livestock manure loaded in the fermenter 500 can be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fermentation.

종래에는 겨울철 등 저온 시기에도 발효조(500)에 상온의 공기를 그대로 공급함으로써 발효 효율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온수 순환관(300)을 공기 공급관(100) 내부에 수용하여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이로 인해 축분의 발효에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발효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Conventionally, fermentation efficiency is reduced by supplying air at room temperature to the fermentation tank 500 as it is even during low-temperature periods such as win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100 to supply heated air to livestock meal, thereby maintain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fermentation of livestock meal, thereby improving fermentation efficiency.

축분의 발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축분에 투입된 미생물들의 발효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상온의 공기를 축분에 공급하는 경우, 발효조(500) 내에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축분의 발효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적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발효조(500) 내에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축분의 발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order for livestock manure to be fermented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at which fermentation of microorganisms added to livestock manure can occur actively. When air at room temperature is supplied to livestock manu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quired for fermentation in the fermenter 500, and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air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is supplied,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quired for fermentation can be maintained in the fermenter 500, so that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can be improved.

공기 공급관(100)은 상판(110)과 상판(110)에 결합되는 하판(130)을 가진다.The air supply pipe 100 has an upper plate 110 and a lower plate 130 coupled to the upper plate 110 .

상판(110)은 발효조(500)에 저장된 축분과 접한다.The upper plate 110 is in contact with livestock manure stored in the fermenter 500.

상판(110)은 발효조(500) 내에서 교반되며 이송되는 축분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발효조(500)의 바닥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so as not to be moved by the shaft powder being stirred and transported in the fermentation tank 500.

상판(110)은 공기 공급관(100) 내의 공기가 공기 공급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발효조(500)의 바닥에 실링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10 may be seal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to prevent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from leaking out of the air supply pipe.

상판(110)은 공기 공급관(100) 내의 공기가 공기 공급관(100)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발효조(500)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판(110)과 발효조(500) 사이는 실링될 수 있다.The top plate 11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to prevent the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from leaking out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top plate 110 and the fermentation tank 500 are sealed. can

하판(130)은 상판(110)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판(110)과의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한다.The lower plate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10 and forms an air passage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

구체적으로, 상판(110)과 하판(130)은 그 사이에 축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1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각각의 하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passage 141 for air supplied as a shaft may be formed therebetween, and respective lower part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상판(110)과 하판(130)의 단면의 형상은 각각 반 원, 반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판(110)과 하판(130)의 하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is any one of a half circle, a half ellipse, and a polygon, respectively, and the lower part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상판(110)의 단면의 형상은 반 원, 반 타원,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이고, 하판(130)은 제1 하판(131)과 제2 하판(133)으로 이루어지며, 상판(110)의 하부가 제2 하판(133)의 하부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plate 110 is any one of a half circle, half ellipse, and polygonal shape, and the lower plate 130 is composed of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3, and the upper plate ( 1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ower plate 133.

이 경우, 제1 하판(131)은 단면의 형상이 반 원, 반 타원,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이고, 제2 하판(133)은 제1 하판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판(110)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ower plate 131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half circle, half ellipse, and polygonal shape,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3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plat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10. can do.

하판(130)은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30)의 기 설정된 두께는 공기 공급관(100) 내부로 삽입되는 관 청소구 등의 두께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관(100) 내부에 퇴적물이 쌓여 막힌 경우, 상판(110)으로부터 하판(130)을 인출하여 분리한 후, 관 청소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The lower plate 130 may have a preset thickness. For example, the preset thickness of the lower plate 130 may be the thickness of a pipe cleaning tool inserted into the air supply pipe 100 . In this case, when sediment accumulates inside the air supply pipe 100 and is clogged, the lower plate 130 can be pull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and then the pipe cleaning tool can be easily inserted.

하판(130)은 발효조(500)의 바닥면과 수평하여 이동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130 may be moved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구체적으로, 하판(130)은 발효조(500)의 바닥면과 수평하여 이동하면서, 발효조(500)의 바닥에 고정된 상판(1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plate 130 may be drawn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fixed to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while moving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This is shown in FIG. 4 .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하판이 인출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공기 공급관 내 퇴적물에 의한 막힘 등의 경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plate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supply pipe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plate is drawn out, maintenance is easy in the case of clogging due to deposits in the air supply pipe.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축분에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 공급관 내부로 유입되어 퇴적물이 쌓이거나 유입된 퇴적물에 의해 관이 막힐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관의 하판을 인출하여 분리하면, 공기 공급관 내에 하판의 부피만큼 여유공간이 만들어지게 된다. 만들어진 여유공간에 관 청소구 등을 삽입하여 공기 공급관 내의 퇴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ile air heated from the air supply pipe is discharged to livestock manure, it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and sediment may accumulate or the pipe may be blocked by the introduced sediment. In this case, when the lower plate of the air supply pipe is drawn out and separated, an extra space equal to the volume of the lower plate is created in the air supply pipe. Deposits in the air supply pipe can be easily removed by inserting a pipe cleaner or the like into the created free space.

예를 들어, 공기 공급관이 막힌 경우, 먼저 사용자는 공기 공급관 하판을 분리하여 공기 공급관 내에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 다음으로, 둥근 막대기 끝에 브러시나 긁어내는 장치가 달려 있거나 또는 스크루가 형성된 관 청소구를 관 내부에 삽입한 후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시켜 공기 공급관 내에 쌓인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에는 공기 공급관 내에 쌓인 퇴적물이 쌓이는 경우 공기 공급관 내에 관 청소구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아 관 내부의 퇴적물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when the air supply pipe is blocked, the user secures a free space in the air supply pipe by first removing the lower plate of the air supply pipe. Next, deposits accumulated in the air supply pipe may be removed by inserting a pipe cleaner having a brush or a scraper at the end of a round stick or a screw formed into the pipe and then rotating or reciprocating. Conventionally, when sediments accumulated in the air supply pipe are not easily inserted into the air supply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sediments inside the pipe.

온수 순환관(300)은 공기 공급관(100)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가진다.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100 and has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is circulated.

온수 순환관(300)은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가진 배관이다.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a pipe having a passage in which hot water circulates.

온수 순환관(300)은 원통형 파이프 형태의 배관일 수 있다.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 pipe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pipe.

온수 순환관(300) 내부의 통로를 순환하는 온수는 온수펌프로부터 공급받은 가열된 온수일 수 있다.The hot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passage insid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heated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pump.

온수펌프는 온수보일러로부터 만들어진 온수를 온수 순환관(300)의 내부 통로로 공급할 수 있다.The hot water pump may supply hot water generated from the hot water boiler to the inner passag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

온수는 온수 순환관(300) 내부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공기 공급관(100) 내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Hot water may heat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while passing through the passage insid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

온수 순환관(300) 내의 온수의 온도는 공기 공급관(100) 내의 공기를 적정한 온도로 가온할 수 있는 온도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 temperature capable of warming the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온수 순환관(300)은 공기 공급관(100) 내부에 수용된다.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100.

구체적으로, 온수 순환관(300)은 공기 공급관(100) 하판의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되어진 공기 공급관(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공기 공급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ir supply pipe 100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late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supply pipe 100.

온수 순환관(300)은 공기 공급관(100)의 수용공간에 일부 또는 전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관(100)의 수용공간은 온수 순환관(3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관(100)의 하판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은 온수 순환관(300)의 외면을 그 단면의 반원 이상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part or all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ir supply pipe 100 . In this cas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space formed by the lower plate of 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with a semicircle or more of its cross section.

온수 순환관(300)은 공기 공급관(100)의 수용공간에 밀착하여 수용되거나,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 순환관(300)의 외면과 공기 공급관(100) 수용공간의 밀착되는 면적이 클수록 온수 순환관(300) 내의 온수가 공기 공급관(100) 내의 공기를 데우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온수 순환관(300)의 외면과 공기 공급관(100) 하판(130)의 외면 간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될수록, 온수 순환관(300) 내의 온수가 공기 공급관(100)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ir supply pipe 100 or may be accommod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n this case, the great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and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ir supply pipe 100,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warming the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by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n addi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30 of the air supply pipe 100 is minimized, the efficiency of heating the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by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ncreases. can rise

온수는 온수 순환관(300) 내부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발효조(500) 바닥을 온돌 방식으로 가열함으로써 축분을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축분을 아래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The hot water may heat livestock meal by heating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in an Ondol method while passing through the passage insid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n this case, the livestock powder can be heated from below.

온돌 방식은 화기가 방 밑을 통과하여 방을 덥히는 방식이다.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덥혀 실내 온도를 높이는 방식은 실내의 상부부터 덥혀지는 반면, 온돌 방식은 실내의 바닥과 접한 하부부터 덥혀지므로, 열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발효에 적절한 온도로 발효조 내의 축분을 가열할 수 있다.The ondol system heats the room by passing the fire under the room. While the method of raising the indoor temperature by heating the air using gas or electricity heats the room from the top, the ondol method heats the room from the bottom in contact with the floor. You can heat the axis.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공급관 내부에 온수 순환관을 수용하여 공기 공급관 내의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축분에 공급하여 축분을 가온함으로써, 저온에서 축분의 발효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ccommodati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nside the air supply pipe to heat the air in the air supply pipe, and supplying the heated air to the livestock meal to heat the livestock me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fermentation efficiency of livestock meal at low temperatures. .

또한, 발효조 바닥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 내부의 통로를 통과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발효조 및 적재된 축분을 온돌 방식으로 가열함으로써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온돌 방식의 경우, 바닥과 접한 하부부터 덥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겨울철 등 저온시 가온을 위하여 송풍기 등으로 고온의 공기를 퇴비 발효 장치 전체를 가열하던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더운 공기의 특성상 상부부터 덥혀지므로 하부에 축적된 축분을 데우기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m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heating the fermenter and the loaded livestock manure in an ondol method using hot water passing through a passage inside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ermenter. In the case of the ondol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ower part in contact with the floor is heated. Conventionally, a method of heating the entir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with high-temperature air using a blower, etc. was used to warm the compost at low temperatures, such as in winter. There was a problem of poor thermal efficiency.

한편, 도 2에서는 온수 순환관(300)이 발효조(500)의 바닥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온수 순환관(300)은 발효조(500)의 측벽 내부에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온수 순환관(300)이 발효조(500)의 측벽에 수용되는 경우, 발효조(500)를 측벽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효조 측벽의 온도가 낮아 발효조 내 양측면에 적재된 축분이 굳어져 교반 효율이 저하되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2 ,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only on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bu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side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Whe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accommodated in the side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the side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may be he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side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is low and the livestock powder loaded on both sides of the fermentation tank is hardened and the stirring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는,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하판이 인출되는 방식으로 분리됨으로써 만들어진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 공급관 내의 퇴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공기 공급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이로 인해 종래 유지보수시의 막대하게 소요되던 비용,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 in the air supply pipe can be easily removed using the free space created by separating the lower plate from the air supply pipe in a manner in which the lower plate is drawn out, so maintenance of the air supply pipe is easy. . In addition,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conventional maintenance.

도 6은 도 2의 공기 공급관과 온수 순환관을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f FIG. 2 taken along line BB′.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공급관(100)은 발효조(300)의 바닥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나의 온수 순환관(300)이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들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2 and 6, a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100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fermenter 300, and on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

공기 공급관(100)은 발효조(300)의 바닥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10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3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공기 공급관(100)은 발효조(300)의 바닥에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100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t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3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5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모두를, 하나의 온수 순환관(300)이 관통하며 연장될 수 있다.On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extend through all of the accommodating spaces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500 .

온수 순환관(300)은 공기 공급관(500)의 상판(110)으로부터 하판(13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각각의 공기 공급관(500) 말단에서 하방으로 굴절될 수 있다.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bent downward at the end of each air supply pipe 500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lower plate 130 from the upper plate 110 of the air supply pipe 500 .

예를 들어, 공기 공급관(500)은 서로 이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공기 공급관(101)과 제2 공기 공급관(103)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온수 순환관(300)이 제1 공기 공급관(101)과 제2 공기 공급관(103)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supply pipe 500 may include a first air supply pipe 101 and a second air supply pipe 103 disposed adjacent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include a first air supply pipe 101 and a second air supply pipe 103. It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ly pipe 101 and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

구체적으로, 먼저 온수 순환관(300)은 제1 공기 공급관(101)의 하판(130)의 형태에 의해 형성된 제1 공기 공급관(101)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firs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formed by the shape of the lower plate 130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

다음으로, 온수 순환관(300)은 제1 공기 공급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공기 공급관(101)의 말단까지 연장되며 관통할 수 있다.Nex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extend to an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and pass through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

다음으로, 온수 순환관(300)은 제1 공기 공급관(101)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굴절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온수 순환관(300)은 제1 및 제2 공기 공급관(101,103)의 하부보다 더 낮은 깊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이후에 온수 순환관(300)이 제2 공기 순환관(103)의 방향으로 굴절될 경우, 온수 순환관(300)의 상면의 높이가 제1 및 제2 공기 공급관(101,103)의 하면의 높이보다 낮아지는 깊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공급관(101)의 하판(130)이 인출될 때, 하판(130)에 온수 순환관(3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refracted and extend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 At this tim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extend downward to a depth lower than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ipes 101 and 103 . That is, whe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later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irculation pipe 103,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is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ipes 101 and 103. It may extend downward to a depth lower than the height. In this case, when the lower plate 130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01 is withdraw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plate 130 from interfering wit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

다음으로, 온수 순환관(300)은 제2 공기 공급관(103) 말단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Nex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

다음으로, 온수 순환관(300)은 제2 공기 공급관(103)의 하판(130)의 형태에 의해 형성된 제2 공기 공급관(103)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삽입될 수 있다.Nex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be extended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formed by the shape of the lower plate 130 of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

다음으로, 온수 순환관(300)은 제2 공기 공급관(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공기 공급관(103)의 다른 말단까지 연장되며 관통할 수 있다.Nex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ext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and pass through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

이후로, 온수 순환관(300)은 제2 공기 공급관(103)과 인접한 또 다른 공기 공급관(100)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장되며 관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may extend and pass through another air supply pipe 100 adjacent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103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상술한 바에 따르면, 온수 순환관이 각각의 공기 공급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굴절되어 연결됨으로써, 공기 공급관의 상판으로부터 하판이 인출되어 분리될 때, 하판이 온수 순환관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bent downward at the end of each air supply pipe and connected, the problem that the lower plate is caught i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when the lower plate is drawn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of the air supply pipe can be solved.

도 7은 도 2의 공기 공급관 및 온수 순환관과 공기 공급관에 삽입되는 공기 분사 노즐을 C-C'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f FIG. 2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inserted into the air supply pipe taken along line C-C′.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공급관(100)에 형성된 공기 배출공(111)에는 공기 분사 노즐(150)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n air injection nozzle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formed in the air supply pipe 100 .

공기 공급관(100)의 상판(110)에는 공기 공급관(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111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ir supply pipe 100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late 110 of the air supply pipe 100 .

공기 배출공(111)은 공기 공급관(100)의 이동 통로(141)로 유입된 공기가 축분으로 배출되는 개구일 수 있다.The air discharge hole 111 may be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 141 of the air supply pipe 100 is discharged as shaft powder.

공기 배출공(111)은 상판(110)에 적재된 축분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hole 111 may be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loaded on the top plate 110 .

공기 공급관(100)은 공기 배출공(111)에 삽입되는 공기 분사 노즐(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00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nozzle 150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

공기 배출공(111)은 상부에 적재된 축분 방향으로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공기 공급 효율이 낮다. 공기 배출공(111)에 별도의 공기 분사 노즐(150)을 연결하면, 공기가 공급되는 방향 및 공기가 공급되는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적절한 방향과 위치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hole 111 can supply air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loaded on the top, and thus the air supply efficiency is low. When a separate air injection nozzle 150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the air supply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posi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supply air in an appropriate direction and position.

구체적으로, 공기 배출공(111)에 공기 분사 노즐(150)이 삽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

공기 분사 노즐(150)은 공기 배출공(111)과 연결되어 공기 배출공(111)을 통해 축분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nozzle 150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as shaft powder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111 .

공기 분사 노즐(150)은 공기 배출공(11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고무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nozzle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

공기 분사 노즐(150)은 공기 배출공(111)에 삽입된 후 외력에 의해 잘 빠지지 않도록, 삽입되는 말단에 고정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is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111, a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utward at an end into which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is inserted so as not to fall out easily by an external force.

공기 분사 노즐(150)에는 공기 분사통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An air injection passage 151 may be formed in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

공기 분사통로(151)는 공기 분사 노즐(150) 내부에 형성된 공기통로로써, 공기 분사통로(151)를 통하여 공기 공급관(100) 내부의 공기가 축분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passage 151 is an air passage formed inside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and the air inside the air supply pipe 100 can be discharged as axis powder through the air injection passage 151.

하나의 공기 분사 노즐(150)에는 축분에 골고루 공기를 공급하도록, 축분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공기 분사통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two air injection passages 151 may be formed in one air injection nozzle 150 to inject air toward the axis powder so as to uniformly supply air to the axis content.

이 때, 각각의 공기 분사통로(151)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관(100)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복수 개의 공기 분사통로(151)를 이용하여, 발효조(1) 내의 축분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each air injection passage 151 may b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00 can be evenly sprayed to the livestock in the fermenter 1 using the plurality of air spray passages 151 .

공기 분사 노즐(150)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기 분사통로(151)는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air injection passage 151 formed in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may be formed to inject air downward.

구체적으로, 공기 분사통로(151)는 공기 분사통로(151)의 말단의 위치보다 더 낮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jection passage 151 may be formed to inject air in a direc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air injection passage 151 .

이 경우, 하방으로 형성된 공기 분사통로(151)의 형태에 의해, 공기 공급관(100)으로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공기 분사통로(151)가 상방으로 형성되는 경우, 공기 공급관(100) 상부에 적재된 축분이 공기 공급관(100)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livestock powder into the air supply pipe 100 by the shape of the air injection passage 151 formed downw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injection passage 151 is formed upward, livestock content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 supply pipe 100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10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 노즐(150)은 하방으로 지면과 수직하여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하나의 공기 분사통로(15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may have one air injection passage 151 capable of injecting air downward an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 경우, 상면 또는 측면에서 폐수 등의 이물질이 공기 분사 노즐(15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공기 분사 노즐(150)이 상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폐수 등의 이물질들이 공기 분사 노즐(150)이나 공기 공급관(100)에 유입되어 축분에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분사 노즐로 이물질이 들어가 막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In this case,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stewat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ir spray nozzle 150 from the top or side surfac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is formed so as to face the upper surface,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stewater flow into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or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air is not smoothly supplied to the livestock. There was a problem.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air injection nozzle.

또한, 공기 분사 노즐(150)은 공기 공급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좌측, 중앙, 우측 상단에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공기 분사 노즐이 공기 공급관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상단에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분사 노즐(150)이 중앙과 좌우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nozzles 150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left, center, and right upper ends of the air supply pip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air injection nozzle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supply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ir is not smoothly suppli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jection nozzles 15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enter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as a whole.

또한, 중앙 상단에 형성된 공기 분사 노즐(150)의 경우, 공기가 하방으로 분사된 후, 공기 공급관(100)의 상면에 반사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50 formed at the upper center, after the air is injected downward, it is ref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re is an effect of injecting air upwar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관에 탈부착되는 공기 주입부와 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injection unit and a stopper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10)는 공기 공급관(100) 내 형성된 공기의 이동 통로(141)의 일측에 연결되는 공기 주입부(170)와 공기의 이동 통로(141)의 타측에 연결되는 마개(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injection unit 170 connected to one side of an air passage 141 formed in an air supply pipe 100 and an air passage 141 It may include a stopper 19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공기 주입부(170) 및 마개(190)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판(110)과 하판(130) 사이에 형성된 이동 통로(141)는 발효조(500)의 측벽에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unit 170 and the stopper 190, the movement passage 141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may be open to the side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공기 주입부(170) 및 마개(190)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판(110)과 하판(130)은 발효조(500)의 측벽에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unit 170 and the stopper 190,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500.

공기 주입부(170)는 상판(110)과 하판(130) 사이에 형성된 이동 통로(141)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 통로(14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70 is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ement passage 141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and may supply air to the movement passage 141 .

공기 주입부(170)는 송풍기(900)로부터 제공받은 공기를 공기 공급관(100) 내 이동 통로(141)로 전달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70 may deliver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900 to the moving passage 141 in the air supply pipe 100 .

공기 주입부(170)는 이동 통로(141)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판(110)과 하판(130)의 말단에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주입부(170)는 상판(110)과 하판(1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이동 통로(141)와 연통하게 되고, 공기의 이동 통로(141)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70 may be closely connected to end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to supply air to the moving passage 141 . In this case, the air injection unit 170 communicates with the air passage 141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and can continuously supply air to the air passage 141. .

공기 주입부(170)는 상판(110)과 하판(130)의 개방된 말단을 완전히 폐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판(110)과 하판(130)의 개방된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7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mpletely closes the open end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end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

공기 주입부(170)와 이동 통로(141)의 연결을 해제하고, 공기 공급관(100)의 고정된 상판(110)으로부터 하판(130)을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air injection unit 170 and the moving passage 141 may be released, and the lower plate 130 may be pull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100 .

공기 주입부(170)는 이동 통로(141)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동성이 있는 주름관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70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flexible corrugated pipe so as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coupling with the moving passage 141 .

마개(190)는 이동 통로(141)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통로(141)의 타측을 개폐할 수 있다.The stopper 19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assage 141 to open and close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assage 141 .

마개(190)는 상판(110)과 하판(130)의 개방된 말단을 완전히 폐쇄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판(110)과 하판(130)의 개방된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topper 190 has a structure that completely closes the open end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end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

마개(190)와 이동 통로(141)의 연결을 해제하고, 공기 공급관(100)의 고정된 상판(110)으로부터 하판(130)을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stopper 190 and the moving passage 141 may be disconnected, and the lower plate 130 may be pull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100 .

공기 주입부(170)와 마개(190)는 이동 통로(141)의 각 말단에 서로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70 and the stopper 190 may be coupled to each end of the moving passage 141 to correspond to each other.

공기 주입부(170)와 마개(190)를 이동 통로(141)로부터 분리하면, 공기 주입관(100), 즉 이동 통로(141)의 양쪽 말단이 모두 개구되어, 관 청소구 등을 이용하여 공기 공급관(100) 내의 퇴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air injection part 170 and the stopper 190 are separated from the moving passage 141, the air injection pipe 100, that is, both ends of the moving passage 141 are opened, and air is supplied using a pipe cleaner or the like. Deposits in the supply pipe 100 can be easily removed.

공기 주입부(170)가 이동 통로(141)와 연결된 상태에서, 마개(190)만을 분리하는 경우, 공기 주입부(170)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기 공급관(100), 즉 이동 통로(141)에 불어넣음으로써, 공기 공급관(100) 내에 쌓인 퇴적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When only the stopper 190 is removed while the air injection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passage 141, high-pressur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injection section 170 to the air supply pipe 100, that is, the movement passage 141. By blowing into the air supply pipe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accumulated deposit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턱을 포함하는 하판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late including an extension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하판(130)은 하판(130)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하판(130) 상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턱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lower plate 130 may have an extension jaw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13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130 .

하판(130)은 제1 하판(131)과 제2 하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late 130 may include a first lower plate 131 and a second lower plate 133 .

제1 하판(131)은 단면이 반 원, 반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공기 공급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plate 131 has a cross section of any one of a half circle, half ellipse, and polygonal shape, and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supply pipe 100 .

제2 하판(133)은 제1 하판(131)의 하부로부터 상판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plate 13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plate 131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연장턱(135)은 제1 하판(131) 및 제2 하판(133)으로 형성된 하판(130)의 상방으로, 하판(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sion jaw 135 may extend upward of the lower plate 130 formed of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3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131 .

이 경우, 공기 공급관(100)의 상판(110)으로부터 하판(130)을 인출하여 분리할 때, 공기 공급관(100) 내에 쌓인 퇴적물이 연장턱(135)에 걸려 나오게 되므로, 공기 공급관(100) 내의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wer plate 130 is pull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of the air supply pipe 100, the deposits accumulated in the air supply pipe 100 are caught on the extension jaw 135, so that the air supply pipe 100 Sediments can be effectively remov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슬라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lide structure of a low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하판(13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레일(137)이 형성되고, 온수 순환관(30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레일(137)과 대응하는 위치에 레일 가드(31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sliding rail 137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late 130, and a rail guard 310 may b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rail 137 in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have.

슬라이딩 레일(137)은 하판(130)이 공기 공급관(100)으로부터 인출될 때 온수 순환관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판(130)의 하부에 형성되며, 볼베어링(139)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rail 137 is formed under the lower plate 130 to reduce frictional force wit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when the lower plate 130 is drawn out from the air supply pipe 100, and may include a ball bearing 139.

레일 가드(310)는 슬라이딩 레일(137)을 지지하여 이동경로 이외로 슬라이딩 레일(137)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온수 순환관(300) 상부의 슬라이딩 레일(13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rail guard 310 supports the sliding rail 137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rail 137 abov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to prevent the sliding rail 137 from escaping to a path other than the movement path. can be formed

상기와 같이, 하판(130)은 볼베어링(139)이 포함된 슬라이딩 레일(137)이 레일 가드(310)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어 분리되므로, 공기 공급관(100)의 상판(110)으로부터 하판(13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late 13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of the air supply pipe 100 because the sliding rail 137 including the ball bearing 139 is drawn out and separated by the rail guard 310 in a sliding manner ( 130) can be easily separa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의 개념도이다.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퇴비 발효 장치(20)는 축분이 투입되는 투입구(21), 축분이 적재되어 발효되는 발효조(23), 발효조(23)에 적재된 축분을 교반하며 배출구(27)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기(25), 발효조(23)에 적재된 축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100), 공기 공급관(100) 내의 이동 통로 타측을 개폐하는 마개(190), 공기 공급관(100)에 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900), 온수로 발효조(23)에 적재된 축분을 가온하는 온수 순환관(300), 온수 순환관(300)에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펌프(미도시), 발효되어 퇴비화된 축분이 배출되는 배출구(27), 배출된 퇴비가 보관 및 포장되는 포장기(2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20 includes an inlet 21 into which livestock meal is input, a fermentation tank 23 in which livestock meal is loaded and fermented, and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23 are stirred and directed toward an outlet 27. An agitator 25 for transporting, an air supply pipe 100 for supplying air to the livestock meal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23, a stopper 19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assage in the air supply pipe 100, air in the air supply pipe 100 A blower 900 for providing,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for warming the livestock loaded in the fermentation tank 23 with hot water, a hot water pump (not shown) for provid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00, fermented and composted It includes a discharge port 27 through which livestock manure is discharged and a packaging machine 29 through which the discharged compost is stored and packaged.

도 2에 도시된 퇴비 발효 장치(10)는 기업형 또는 공장형 퇴비 발효 시설에 적용이 되는 것인데 반하여, 도 12에 도시된 퇴비 발효 장치(20)는 일반 축산농가에 설치 가능하도록 발효조(23) 등이 소형이라는 점과, 투입구(21), 배출구(27) 및 포장기(29)를 더 가진다는 점과, 스크루 컨베이어 방식의 교반기(25)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10 shown in FIG. 2 is applied to a corporate or factory type compost fermentation facility, whereas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20 shown in FIG. 1 to 11 except that it is small, has an inlet 21, an outlet 27, and a packaging machine 29, and is a screw conveyor type agitator 25.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only the difference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발효조(23)는 일반 축산 농가 등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효시 발생되는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적재된 축분에 의해 해충이 모여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악취를 포집하는 포집기(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The fermentation tank 23 may be formed in a closed type so that it can be used in general livestock farm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read of odor generated during fermentation to the surroundings, and to minimize the gathering of pests due to the loaded livestock manure. In this case, a collecto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collect odors.

발효조(23)는 소형화된 크기로 형성되고,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따. 이 경우, 일반 축산 농가 등에서 설치 및 위치 이동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fermentation tank 23 may be formed in a miniaturized size and formed to be movable.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in a general livestock farm.

투입구(21)는 농가에서 수거된 축분을 퇴비 발효 장치(20)의 발효조(23)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깔때기 모양의 호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let 21 is for inputting livestock manure collected from farms into the fermenter 23 of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2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shaped hopper.

투입구(21)를 통해 투입된 축분은 발효조(23) 내의 교반기(25)에 의해 교반되며, 배출구(27)로 이송될 수 있다.Livestock manu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is stirred by the stirrer 25 in the fermentation tank 23, and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let 27.

배출구(27)는 발효조(23)에서 발효되어 퇴비화가 완료된 축분이 포장기(29)로 배출되기 위한 것으로, 교반기(25)의 말단에 형성되며, 교반기(25)를 통하여 이송된 축분이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27 is for discharging the livestock content fermented and composted in the fermentation tank 23 to the packaging machine 29.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gitator 25, and the livestock content transferred through the agitator 25 can be discharged. have.

포장기(29)에서는 퇴비화가 완료되어 배출구(27)로부터 배출된 축분의 포장 및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ackaging machine 29, the composting and discharged from the outlet 27 may be packaged and stored.

교반기(25)는 나사모양의 날개를 회전시켜 축분을 교반 및 이송하는 스크루 컨베이어 방식의 교반기(25)일 수 있다.The stirrer 25 may be a screw conveyor type stirrer 25 that stirs and transfers shaft powder by rotating screw-shaped blades.

스크루 컨베이어 방식의 교반기(25)는 밀폐된 발효조(23) 내에 나사모양의 날개(Screw)를 회전시켜 축분을 교반 및 배출구(27)로 이송할 수 있다. 축분은 날개 1회전에 대해 나사의 피치(pitch)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이송하며, 연속회전에 의해 축분을 배출구(27)까지 운반할 수 있다.The screw conveyor type stirrer 25 can stir and transfer the shaft powder to the discharge port 27 by rotating a screw-shaped wing in the sealed fermentation tank 23. The shaft powder is transferred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screw for one rotation of the blade, and the shaft powder can be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port 27 by continuous rotation.

스크루 컨베이어 방식의 교반기(25)는 구조가 간단하고, 교반 및 이송시 먼지발생이 최소화되므로, 공장형이 아닌 축산 농가와 같이 소규모로 축분을 퇴비화 하는 경우 효율적일 수 있다.The screw conveyor type agitator 25 has a simple structure and minimizes dust generation during agitation and transfer, so it can be effective when composting livestock manure on a small scale, such as in a non-factory livestock far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발효 장치는 소규모의 축산 농가에서도 간편하게 축분을 발효시켜 퇴비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공급관의 하판이 분리되어, 공기 공급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효조 바닥을 온돌 방식으로 가열함으로써 축분 발효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compost by simply fermenting livestock manure even in a small-scale livestock farm. In addition, since the lower plate of the air supply pipe is separated, maintenance of the air supply pipe is easy.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fermentation can be increased by heating the bottom of the fermenter in an ondol metho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퇴비 발효 장치 100: 공기 공급관
110: 상판 111: 공기 배출공
130: 하판 131: 제1 하판
133: 제2 하판 150: 공기 분사 노즐
170: 공기 주입부 190: 마개
300: 온수 순환관 500: 발효조
700: 교반기 900: 송풍기
10: compost fermentation device 100: air supply pipe
110: top plate 111: air discharge hole
130: lower plate 131: first lower plate
133: second lower plate 150: air spray nozzle
170: air inlet 190: stopper
300: hot water circulation pipe 500: fermenter
700: agitator 900: blower

Claims (10)

축분이 저장된 발효조의 바닥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가지는 온수 순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에 저장된 축분과 접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하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n air supply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in which livestock meal is stored and supplying heated air to the livestock meal;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circulates therein;
The air supply pipe,
a top plate in contact with livestock meal stored in the fermenter; and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forming an air movement passag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온수 순환관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들 내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air supply pipes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fermenter,
Compost fermen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서로 이격된 제1 공기 공급관 및 제2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 순환관은 상기 제1 공기 공급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관들보다 더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며, 다시 상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2 공기 공급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ir supply pipe includes a first air supply pipe and a second air supply pi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bent downward at the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extends to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ipes, and is bent upward again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mad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공기 배출공에 삽입되는 공기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ir supply pipe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plate,
The air supply pip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ir injection nozzle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 노즐은 축분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공기 분사통로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air spray nozzle has at least two air spray passages for spraying air toward the man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통로들은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air injection passages ar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injecting air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된 이동 통로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 및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ir injection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a moving passag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supplying air to the moving passage; and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stopp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assage to open and close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단면이 반원 형상이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판과, 상기 제1 하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상판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하판 상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late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lower plate extending from a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plate to a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Compost ferment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an extension jaw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투입구로부터 발효조로 투입된 축분을 교반하며,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기;
축분이 저장된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가지는 온수 순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에 저장된 축분과 접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 stirrer for stirring and transferring the livestock meal input from the inlet into the fermenter in one direction;
an air supply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fermenter in which livestock meal is stored, and supplying heated air to the livestock meal;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accommodat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circulates therein;
The air supply pipe,
a top plate in contact with livestock meal stored in the fermenter; and
The compost fermen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to form an air passag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온수 순환관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들 내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발효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plurality of the air supply pipes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fermenter,
Compost fermen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ipes.
KR1020210070542A 2021-06-01 2021-06-01 Compost ferment equipment KR102562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42A KR102562661B1 (en) 2021-06-01 2021-06-01 Compost ferment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42A KR102562661B1 (en) 2021-06-01 2021-06-01 Compost ferment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74A true KR20220162274A (en) 2022-12-08
KR102562661B1 KR102562661B1 (en) 2023-08-02

Family

ID=8443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542A KR102562661B1 (en) 2021-06-01 2021-06-01 Compost ferment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61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198U (en) * 1983-10-12 1985-05-13 株式会社クボタ Heat exchange type double pipe air diffuser for composting
JP2002346513A (en) * 2001-05-25 2002-12-03 Tokyo Gas Engineering Co Ltd Garbage disposer
KR200307532Y1 (en) 2002-12-11 2003-03-20 상우바이오텍 주식회사 A compost fermentation tank structure
KR101060621B1 (en) * 2011-01-07 2011-08-31 (주)동광기업 Air diffus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190186B1 (en) * 2012-05-22 2012-10-15 (주)상일테크 Tower composter
JP2014019615A (en) * 2012-07-19 2014-02-03 Chugoku Ishoku Kenkyusho:Kk Compost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733979B1 (en) * 2016-08-30 2017-05-24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hysicochemical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1803895B1 (en) * 2016-09-08 2017-12-28 토방토건(주) Sludge fermentation apparatus
KR101911321B1 (en) * 2017-05-18 2019-01-04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oisture recycling system at aerobic landfill site
KR20190011161A (en) * 2017-07-24 2019-02-01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supplying apparatus at landfill site
KR101955553B1 (en) * 2018-06-22 2019-03-07 주식회사 한조 Pipelines of double pipe structure for gas suppl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90044193A (en)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해창 Apparatus for fermenting organic wast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198U (en) * 1983-10-12 1985-05-13 株式会社クボタ Heat exchange type double pipe air diffuser for composting
JP2002346513A (en) * 2001-05-25 2002-12-03 Tokyo Gas Engineering Co Ltd Garbage disposer
KR200307532Y1 (en) 2002-12-11 2003-03-20 상우바이오텍 주식회사 A compost fermentation tank structure
KR101060621B1 (en) * 2011-01-07 2011-08-31 (주)동광기업 Air diffus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190186B1 (en) * 2012-05-22 2012-10-15 (주)상일테크 Tower composter
JP2014019615A (en) * 2012-07-19 2014-02-03 Chugoku Ishoku Kenkyusho:Kk Compost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733979B1 (en) * 2016-08-30 2017-05-24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hysicochemical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1803895B1 (en) * 2016-09-08 2017-12-28 토방토건(주) Sludge fermentation apparatus
KR101911321B1 (en) * 2017-05-18 2019-01-04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oisture recycling system at aerobic landfill site
KR20190011161A (en) * 2017-07-24 2019-02-01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supplying apparatus at landfill site
KR20190044193A (en)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해창 Apparatus for fermenting organic waste
KR101955553B1 (en) * 2018-06-22 2019-03-07 주식회사 한조 Pipelines of double pipe structure for gas supply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661B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079B1 (en) The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of fermentation room and stable using scrubber
CN104211460B (en) A kind of quickly aerobic compost reaction unit and application thereof
EP0733029B1 (en) A composting plant for organic waste and method for composting such waste
KR101178572B1 (en) Apparatus for drying and reducing food waste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JP200901830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using and composting livestock feces as resources
JPS58199792A (en) Organic material aerobic fermentation treatment and device
US20080277336A1 (en) Permanent access port
KR1008528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of organic wastes and wastes
KR102562661B1 (en) Compost ferment equipment
KR101229735B1 (en) Fermentation equipment of animals excretions
KR200359746Y1 (en) Garbage disposal device
CN204097352U (en) A kind of sectionally assembled aerobic compost reaction experiment device
KR102357184B1 (en) Methane gas remove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using excretion
KR100828741B1 (en) Supply sprinkling device for a livestock excretions and saprophytic of a fermentation agitation equipment
WO2019169845A1 (en) Waste degradation treatment system for ecological livestock and poultry breeding
KR101973099B1 (en) Small blower of fermentor for fast fermentation
CN213295135U (en) Dirty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that handles of excrement
JP2014176784A (en) Methane fermentation system
CN110054511A (en) A kind of fermentation bacterial manure preparation facilities
KR100857612B1 (en) Livestock excretions agitator
KR0164203B1 (en) Dryer for domestic animal's excrement
CN215260928U (en) Bio-organic fertilizer drying device
CN215975578U (en) Fermenting installation is used in organic fertilizer production
KR102380732B1 (en) A Livestock manure treatment system
KR102091975B1 (en) Apparatus for drying and fermenting livestock excre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